대량학살
Genocide시리즈의 일부(on) |
대량학살 |
---|
문제들 |
18세기/19세기/20세기 초 대량학살 |
후기 오스만 제국의 대량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
냉전 |
현대의 인종 종교 집단 학살 |
관련주제 |
카테고리 |
대량학살은 사람들을[a]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것입니다.1948년, 유엔 대량학살협약은 대량학살을 "국가적, 민족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집단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파괴하려는 의도로 자행된 다섯 가지 행위"로 정의했습니다.이 다섯 가지 행위는 집단 구성원을 살해하여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심각한 해를 끼치고, 집단을 파괴하려는 생활 조건을 강요하고, 출산을 방지하고, 아이들을 집단에서 강제로 내보내는 것이었습니다.피해자들은 [1][2]무작위가 아니라 실제 또는 인지된 집단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표적이 됩니다.
정치 불안정 대책반은 1956년에서 2016년 사이에 43건의 대량 학살이 발생하여 약 5천만 명이 사망한 [3]것으로 추정했습니다.UNHCR은 2008년까지 [3]그러한 폭력 사건들로 인해 추가적으로 5천만 명이 실향민이 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대량학살, 특히 대규모 집단학살은 인간 [4]악의 전형으로 널리 여겨지고 있습니다.라벨로서 [5]도덕적이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1990년대 [6]후반부터 도덕적 범주의 한 종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어원
폴란드의 변호사 라파엘 렘킨은 1944년 저서 "점령된 유럽의 축 지배"에서 그리스어 γένος(유전자, 인종, 사람)와 라틴어 접미사 -caedo(살해 행위)를 결합하여 대량학살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축의 법칙에서, 렘킨은 유럽에서의 나치 점령 정책에 대한 자신의 연구를 기록하고, 폴란드 점령에 대한 사례 연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렘킨은 폴란드인에 대한 나치의 만행은 폴란드인들의 "파괴 의도"를 드러낸 다섯 가지 정책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여기에는 i) 폴란드인에 대한 대량학살이 포함된다 i) "집단 구성원들에게 심각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해악을 가함" i) "그들의 파멸을 가져오도록 계산된" 생활환경의 계획적 악화 i) 낙태의 촉진, 임산부 부담,등 v) 폴란드 어린이들을 독일 가정으로 강제 이송.렘킨에 따르면 이 다섯 개의 표식은 나치가 폴란드인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제거하려는 계획을 나타냈다고 합니다.이 다섯 가지 기준은 1948년 대량학살협약에서 대량학살의 [11]의도에 대한 개념의 증거로 채택되었습니다.
그 용어가 만들어지기 전까지, 그러한 사건들을 묘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었습니다.독일어(Völkermord, '국민 살해')와 폴란드어(ludobójstwo, '국민 또는 [12][13][14][15]국가 살해')를 포함한 몇몇 언어들은 이미 이러한 살해에 대한 단어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 당시 나치 군대에 의해 "수 십만 명"의 러시아인들에 대한 "방법적이고 무자비한 도살"을 묘사할 때, 윈스턴 처칠은 "이름 [16]없는 범죄"를 언급했습니다.Lemkin의 1944년 저서 "점령된 유럽에서의 축의 지배"는 점령된 유럽에서 나치 정책의 시행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전의 대량 [17]학살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1921년 아르메니아인 소고몬 텔리리안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의 주요 설계자인 탈라트 파샤의 암살에 대해 읽은 후, 렘킨은 그의 교수에게 [7][18][19]탈라트를 기소할 수 있는 법이 왜 없는지 물었습니다.그는 이후 "변호사로서 범죄는 피해자가 처벌할 게 아니라 [20]법원이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렘킨은 대량학살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새로운 개념은 새로운 용어를 필요로 합니다.대량학살이란 국가나 민족 집단의 파괴를 의미합니다.저자가 현대의 발전에서 오래된 관행을 나타내기 위해 만든 이 신조어는 고대 그리스어 genos(인종, 부족)와 라틴어 cide(살인)에서 만들어졌으며, 따라서 그 형성은 폭군 살해, 살인, 유아 살해 등과 같은 단어에 해당합니다.일반적으로 대량학살은 국가 구성원 모두를 대량 학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국가의 즉각적인 파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그것은 오히려 집단 자체를 소멸시키는 것을 목표로 국가 집단의 삶의 필수적인 기반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른 행동들의 협력된 계획을 나타내려는 의도입니다.그러한 계획의 목적은 정치적, 사회적 제도, 문화적, 언어적, 민족적 감정, 종교적, 국가적 집단의 경제적 존재의 해체와 개인의 안전, 자유, 건강, 존엄성, 그리고 그러한 집단에 속한 개인들의 삶까지도 파괴하는 것입니다.집단학살은 하나의 실체로서 국가집단에 대항하는 것이고, 관련된 행위는 개인의 자격이 아니라 국가집단의 [9]구성원으로서 개인에 대항하는 것입니다.
1948년 대량학살협약([17]CPPCG)의 전문은 [21]역사를 통틀어 대량학살 사례가 발생해 왔으며, 유엔이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국제법에 따라 대량학살의 범죄를 규정한 것은 렘킨이 이 용어를 만들고 홀로코스트 가해자들을 기소한 이후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그 용어가 국제 사회에 널리 채택되기 몇 년 전이었습니다.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독일화", "인도에 반하는 범죄", "대량 살인"과 같은 문구의 부적절성이 드러났을 때, 국제법 학자들은 렘킨의 연구가 나치 범죄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1946년 뉴욕 타임즈의 헤드라인은 "대학살은 나치 [22][23]지도자들에게 죄를 씌운 범죄의 새로운 이름"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단어는 1945년부터 열린 뉘른베르크 재판의 기소에서 사용되었지만, 아직 공식적인 법적 [24]용어가 아닌 오직 기술적인 용어로만 사용되었습니다.1946년 Arthur Greiser와 Amon Leopold Goth의 소위 폴란드 대량학살 재판은 판결문에 이 [25]용어가 포함된 첫 번째 재판이었습니다.
금지행위
대량학살 협약은 필요한 목적으로 행해질 경우 대량학살에 해당하는 다섯 가지 금지 행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학살형 살인이 가장 일반적으로 대량학살로 파악되고 처벌되지만, 법에서 고려하는 폭력의 범위는 훨씬 더 [26]넓습니다.
조직원들을 살해.
대량 학살이 자행되기 위해서는 대량 학살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알려진 거의 모든 대량 학살에 존재해 왔습니다.다에시의 [27]야지디족 대량학살, 오스만 투르크의 [28]아르메니아인 공격, 버마 보안군의 [29]로힝야족 공격 등 [citation needed]초기 단계에서 남성과 청소년 소년들이 살인 혐의로 지목되는 거의 획일적인 패턴이 역사 곳곳에서 나타났습니다.남성과 소년은 일반적으로 [30]총살과 같은 "빠른" 살인의 대상이 됩니다.여성들과 소녀들은 더 느린 죽음을 맞거나, 화상을 입거나,[31] 성폭력의 결과로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ICTR)의 법리는 강간과 고문과 같은 다른 극단적인 폭력 행위를 신속하게 따르는 최초의 사형과 사형이 모두 최초의 금지된 행위에 [32]해당하는 것으로 인정됨을 보여줍니다.
덜 정착된 논의는 집단학살 협약의 이 조항에 따라 폭력의 초기 행위에서 더 제거된 죽음을 다룰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예를 들어, 법률 학자들은 심각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해를 입히는 것을 포함한 다른 대량학살 행위로 인한 죽음이나 물리적 파괴를 초래하도록 계산된 생명 조건의 성공적인 의도적 가해는 대량학살로 [26]간주되어야 한다고 가정했습니다.
제2조 나목의 구성원에게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중대한 위해를 가하는 행위
이 두 번째 금지된 행위는 치명적이지 않은 광범위한 대량 학살 [33]행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ICTR과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강간과 성폭력이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야기함으로써 두 번째 금지된 대량학살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ICTR은 역사적인 아카예스 판결에서 강간과 성폭력이 "신체적, 심리적 파괴"[34]를 초래했다고 주장했습니다.성폭력은 대량학살 폭력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대량학살 캠페인이 이를 [26]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제재하고 있습니다.르완다 대학살 3개월 동안 25만 명에서 50만 명의 여성들이 강간을 당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 중 다수가 다중 강간이나 집단 성폭행을 [35]당했습니다.다르푸르에서는 조직적인 강간 및 종종 성적인 토막 행위가 행해졌으며[36], 버마에서는 치안 [37]부대에 의해 로힝야족에 대한 공개적인 집단 강간과 집단 성폭행이 자행되었습니다.성노예는 오스만 투르크와 다에시의 야지디족 [38]대량학살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에서 기록되었습니다.
고문과 기타 잔인하고 비인간적이거나 모욕적인 대우나 처벌은 필요한 목적으로 행해졌을 때 집단 구성원들에게 심각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해를 끼침으로써 대량학살이 되기도 합니다.ICTY는 실패한 처형을 경험하는 것과 가족의 살인을 지켜보는 것 모두 [39]고문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시리아 조사위원회(COI)도 노예화, 자녀를 교화나 성노예로 몰아내는 행위, 신체적·성폭력 행위가 고문 수준까지 올라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ICTY와 나중에, 시리아 COI는 어떤 상황에서는 추방과 강제 이송 또한 심각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40]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생명체의 물리적 파괴를 초래할 것으로 계산된 생명체의 집단적 조건을 고의로 해치는 행위
세 번째 금지 행위는 대량 학살 행위와 구별되는데, 그 이유는 죽음이 즉각적(혹은 심지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음)이 아니라 오히려 수명 [10]연장을 뒷받침하지 않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입니다.ICTR은 실제 파괴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기간이 길기 때문에 법원은 조건이 부과되는 기간을 [42]법률의 한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19세기에 미국 연방정부는 대평원의 원주민들이 식량으로 의존했던 들소의 박멸을 지원했습니다.이것은 다양한 이유로 행해졌는데, 주로 분쟁 기간 동안 예약을 압박하기 위해서였습니다.몇몇 대량학살 전문가들은 이것을 [41]생존의 수단을 제거하는 것을 수반하는 대량학살의 한 예로 설명합니다.
ICTR은 무엇이 제3법 위반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했습니다.아카예스에서는 "한 무리의 사람들을 생계형 식단, 체계적인 가정 추방, 필수 의료 서비스의 최소 [43]요구량 이하 감소"를 대량학살로 규정했습니다.카이지셈마와 루진다나에서는 조건 [42]중 "적절한 주거, 의류, 위생 및 의료 서비스의 부족 또는 과도한 업무 또는 육체적 노력"을 포함하도록 목록을 확장했습니다.또한 필요한 자원을 박탈하는 것 외에도 강간도 이 금지된 [citation needed]행위 안에 들어갈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룹내 출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부과
네 번째 금지행위는 보호집단이 재생산을 통해 재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비자발적 살균, 강제 낙태, 결혼 금지, 출산을 [10]막기 위한 남녀 장기 별거 등 생식과 친밀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포괄합니다.강간은 두 가지 근거로 네 번째 금지법을 위반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강간이 여성을 임신시키고 그로 인해 다른 집단의 아이를 데려오도록 강요하는 것과 강간된 사람이 결과적으로 출산을 거부하는 사회에서.외상.[44]이에 따라 가해자들이 부과한 신체적 조치와 정신적 조치를 모두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룹의 자식을 다른 그룹으로 강제 이전
최종금지행위는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파괴를 초래하지 않고 문화적, 사회적 [26]단위로서 집단의 파괴를 초래하는 유일한 금지행위입니다.보호집단의 자녀가 가해집단으로 편입될 때 발생합니다.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자신들의 이름을 가해자 집단의 공통된 이름으로 바꾸고, 종교를 바꾸고, 노동을 위해 [45]또는 군인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집단에 받아들여집니다.전출된 소녀들은 일반적으로 가해자 그룹으로 전환되지 않고, 야지디 집단 학살과 아르메니아 집단 [26]학살에서 나타난 것처럼, 대신에 샤텔로 취급됩니다.
크라임
범죄화전도
대량학살이 국법에 반하는 범죄로 만들어지기 전에는, 그것은 주권적인 [46]권리로 여겨졌습니다.렘킨이 아르메니아 대학살 가해자들을 처벌할 방법에 대해 묻자, 한 법학 교수는 "닭 떼를 소유한 농부의 경우를 생각해 보세요.그는 그들을 죽이고 이것은 그의 일입니다.방해하면 [47]무단침입입니다."정치학자 더글라스 어빈 에릭슨([46]Douglas Irvin-Erickson)에 따르면 1959년까지 많은 세계 지도자들은 여전히 "국가들이 국경 내의 사람들에게 대량학살을 저지를 권리가 있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국제법
제2차 세계대전 이전과 전쟁 중 나치 독일에 의해 자행된 홀로코스트 이후, 렘킨은 대량 학살을 정의하고 금지하는 국제법의 보편적인 수용을 위한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벌였습니다.1946년 유엔 총회 제1차 회의는 대량학살이 국제법상 범죄임을 확인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고 그러한 사건의 예를 열거했습니다(그러나 범죄에 대한 완전한 법적 정의를 제공하지는 않았습니다).1948년 유엔총회는 대량학살죄를 처음으로 [48]규정한 대량학살범죄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CPPCG)을 채택했습니다.
대량학살은 전체 인간집단의 존재권을 부정하는 것으로서 살인은 개별 인간의 생존권을 부정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존재권의 부정은 인류의 양심에 충격을 주고, 이러한 인간집단으로 대표되는 문화적 기타 기여의 형태로 인류에 큰 손실을 초래하며,그리고 도덕법과 유엔의 정신과 목적에 위배됩니다.그러한 대량학살 범죄의 많은 사례들은 인종, 종교, 정치 그리고 다른 집단들이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파괴되었을 때 발생했습니다.
— UN Resolution 96(1), 11 December 1946
CPPCG는 1948년 12월[49] 9일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었고 1951년 1월 12일에 발효되었습니다(결의 260(Ⅲ)).대량학살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정의를 담고 있으며, 이는 많은 국가의 국내 형사법에 포함되었으며, 국제형사재판소(ICC)를 설립한 국제형사재판소의 로마 법령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협약 제2조는 대량학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국가, 민족, 인종 또는 종교 단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괴하려는 의도로 행해진 다음과 같은 행위.
- (a) 조직원 살해;
- (b) 단체의 구성원에게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중대한 위해를 가하는 행위
- (c)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물리적 파괴를 초래할 것으로 계산된 생활의 집단적 조건을 고의로 해치는 행위
- (d) 집단 내 출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부과
- (e) 그룹의 자녀를 다른 그룹으로 강제 이전하는 것.
대량학살 선동은 국제법상 별개의 범죄로 인정되며,[50] 대량학살이 반드시 기소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무고한 범죄로 인정됩니다.
협약의 첫 초안은 정치적 살인을 포함했습니다. 이 조항들은 많은 다양한 나라들의 반대에 따라 정치적 그리고 외교적 타협안에서 제거되었고, 원래 세계 유대인 회의와 라파엘 렘킨의 개념에 의해 촉진되었고, 일부 학자들은 문학에서 소련의 역할을 대중적으로 강조했습니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51]이온소련은 이 협약의 정의가 이 [52][53]용어의 어원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고, 특히 조셉 스탈린은 [54]대숙청과 같은 자국의 정치적 살인에 대한 국제사회의 더 큰 정밀 조사를 두려워했을 수도 있습니다.대량학살을 일으킨 렘킨은 결의안 투표가 소련에게 자신들에 대한 음모가 없다는 것을 확신시킬 때 소련 대표단에 접근했습니다.[55] 소련이 주도하는 블록에서는 1946년 12월 만장일치로 통과된 결의안에 반대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미국을 [56]포함한 다른 나라들은 정의에 정치 집단을 포함시키는 것은 국내 [53]정치에 대한 국제적 개입을 불러 일으킬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1951년까지 렘킨은 소련이 학살로 기소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라고 말하고 있었는데, 그의 대량학살 개념은 점령된 유럽의 추축 규칙에 명시되어 있으며 스탈린주의자들의 추방을 기본적인 대량학살로 다루고 있으며 채택된 대량학살 협약과는 여러 면에서 다릅니다.21세기의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어떤 심각한 인권침해도 대량학살로 포함할 정도로 광범위한 보도였고, 렘킨 대량학살로 간주된 많은 사건들은 대량학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냉전이 시작되자, 이러한 변화는 렘킨이 미국을 설득하여 대량학살협약을 [55]비준하려는 시도로 반공주의로 선회한 결과였습니다.
의도
국제법상 대량학살은 일반적인 정신적 요소와 특정한 의도의 요소(돌루스 스페셜리스)라는 두 가지 정신적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일반적인 요소는 금지된 행위가 고의, 지식, 무모함 또는 과실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말합니다.대량학살을 포함한 대부분의 심각한 국제 범죄에 대해서는 가해자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이 요구됩니다.로마 법령은 의도를 행위에 관여하는 의미로 정의하고, 결과와 관련하여 그 결과를 야기하는 의미 또는 "일상적인 [57]과정에서 일어날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특정 의도 요소는 행위의 목적을 "국가적, 민족적, 인종적, 종교적 집단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파괴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구체적인 의도는 전쟁범죄나 [citation needed]반인도적 범죄와 같은 다른 국제범죄와 집단학살을 구별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파괴할 의도"
2007년, 유럽인권재판소(ECHR)는 요르기 대 독일 사건에 대한 판결에서, 1992년에 대다수의 법학자들이 CPPCG에서 "파괴 의도"가 보호받는 집단의 의도된 물리적 생물학적 파괴를 의미한다는 편협한 견해를 취했고, 이것이 여전히 다수 의견이었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나 ECHR은 또한 소수민족은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적,[58] 인종적, 종교적 또는 민족적 집단을 파괴하려는 의도는 대량학살의 자격을 갖추기에 충분했기 때문에 생물학적 물리적 파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같은 판단으로, ECHR은 몇몇 국제 및 지방 법원의 판단을 검토했습니다.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와 국제사법재판소는 (어떤 행위가 대량학살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물리적 파괴가 필요하다는) 좁은 해석에 동의했다고 지적했습니다.ECHR은 또한 판결 당시 독일의 법원과 별개로 (광범위한 견해를 가지고 있던) 다른 협약국의 시법에 의한 대량학살 사례는 거의 없었다고 언급했습니다.그리고 "이들 주 법원이 집단 학살의 유죄가 인정되기 위해 가해자가 의도했던 집단 파괴의 유형을 규정한 보고된 사례는 없습니다."[59]
"Onephore Rwabukombe" 사건에서 독일 연방사법재판소는 기존의 판단을 고수하면서 ICTY와 ICJ의 [60]협소한 해석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전체 또는 부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라는 문구는 국제 인도법 [61]학자들에 의해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유엔의 Ruhashyankiko 보고서에서는 한때 더 넓은 집단을 파괴하려는 의도가 [62]살인에서 발견될 경우 단 한 명의 개인만을 살해하는 것은 대량학살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그 이후 공식적인 법원 판결은 이를 반박하고 있습니다.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는 검사 v. Radislav Krstic – 재판소 I – 판결 – IT-98-33 (2001) ICTY8 (2001년 [63]8월 2일)에서 대량학살이 자행되었다고 판결했습니다.검사 v. Radislav Krstic – Appeals Chamber – Judgment – IT-98-33 (2004년 4월 19일)[64] ICTY 7 (2004년 4월 19일) 문단 8, 9, 10, 11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부 다루었고 "해당 부분은 해당 그룹의 상당 부분이어야 합니다.대량학살 협약의 목적은 인간 집단 전체가 의도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목표로 하는 부분은 집단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중대해야 합니다."항소 위원회는 그들이 어떻게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되었는지 설명하기 위해 집단 학살 협약에 대한 다른 사건들과 존경 받는 논평가들의 의견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재판관들은 제12항에서 "대상 부분이 이 요건을 충족할 정도로 상당한 경우의 판단은 여러 가지 고려 사항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그룹의 대상 부분의 숫자 크기가 필요하고 중요한 시작점이지만, 모든 경우에 문의의 종료점은 아닙니다.대상이 되는 개인의 수는 절대적인 용어뿐만 아니라 전체 집단의 전체 규모와 관련하여 평가되어야 합니다.대상 부분의 숫자 크기 외에도 그룹 내에서 해당 부분의 두드러짐이 유용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단체의 특정 부분이 단체 전체를 상징하는 것이거나 단체의 존속에 필수적인 것인 경우에는 그 부분이 [재판소의 법령][65][66] 제4조의 의미 내에서 상당한 것으로 인정된다는 판단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입니다."
13항에서 판사들은 피해자들에 대한 가해자들의 접근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대학살의 역사적인 예들은 또한 가해자들의 활동과 통제의 영역과 그들의 도달 가능한 범위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대량학살 가해자에 의해 형성된 파괴 의도는 항상 그에게 주어진 기회에 의해 제한될 것입니다.이 요인만으로 대상 그룹이 상당한지 여부를 알 수는 없지만, 다른 요인과 결합하여 [64]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국가적, 민족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집단"
CPPCG 초안 작성자들은 보호 그룹에 정치적 또는 사회적 그룹을 포함하지 않기로 선택했습니다.대신, 그들은 역사적으로 태어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는 속성인 "안정적인"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이러한 정의는 선천적 사실이 아닌 사회적 구성체로서의 인종에 대한 현대적 개념과 종교를 변화시키는 실천 [67]등과 충돌합니다.
국제형사재판소는 일반적으로 표적집단이 구별되는 집단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를 혼합하여 적용해 왔습니다.언어, 신체적 외모, 종교, 문화적 관습의 차이는 집단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입니다.그러나, 르완다 대학살과 같은 상황에서, 후투족과 투치족은 종종 신체적으로 [68]구별할 수 없었습니다.
객관적 표지에 따른 확정적 답변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법원은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보호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됐다면 피해자는 의회에서 [69]보호집단의 일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주관적 기준에 눈을 돌렸습니다.가해자들이 시민권을 유보하거나, 단체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요구하거나, 전체로부터 격리하는 등의 법적 조치를 통해 단체를 낙인찍는 것은 가해자들이 피해자들을 보호받는 단체로 보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대량학살범죄의 예방과 처벌에 관한 협약
이 협약은 최소 20개국이 당사국이 된 후 1951년 1월 12일 국제법으로 발효되었습니다.하지만 그 당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 중 프랑스와 중화민국 두 나라만이 이 조약의 당사국이었습니다.1954년 소련, 1970년 영국, 1983년 중화인민공화국(1971년 안보리에서 타이완에 근거지를 둔 중화민국을 대체), 1988년 [citation needed]미국이 비준했습니다.
William Schabas는 집단학살협약의 이행을 감시하기 위해 Whitaker Report에 의해 권고된 상설기구를 제안하고, 국가들이 협약을 준수하는 것에 대한 보고서를 발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문방지협약에 대한 유엔 선택의정서에 통합됨).컨벤션을 [70]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겁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674호
2006년 4월 2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채택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674호는 "집단학살, 전쟁범죄, 인종청소, [71]반인륜적 범죄로부터 인구를 보호할 책임에 관한 2005년 세계정상회의 결과문서 138항과 139항의 규정을 재확인합니다."결의안은 무장 [72]충돌에서 민간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을 취할 것을 의회에 약속했습니다.
2008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820년 결의안을 채택했는데, 이 결의안은 "강간과 다른 형태의 성폭력은 전쟁범죄, 인도에 반한 범죄 [73]또는 대량학살에 관한 헌법적 행위를 구성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시법
1951년 1월 협약이 발효된 이후 약 80개의 유엔 회원국이 CPPCG의 조항을 그들의 [74]시법에 포함시키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대량학살의 다른 정의
1998년 쿠르트 조나손과 카린 비에른손은 CPPCG가 외교적 타협의 결과로 생긴 법적 수단이라고 밝혔습니다.이와 같은 조약의 문구는 연구도구로서 적합한 정의를 의도한 것이 아니며,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부족한 국제법적 신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대량학살 정의도 제시되고 있습니다.그들은 계속해서 이러한 대안적인 정의들 중 어떤 것도 [75]광범위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고 말하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대량학살의 정의가 등장하지 않은 주요한 이유는 학자들이 다른 시대를 강조하기 위해 그들의 초점을 조정했고 약간 다른 정의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합니다.예를 들어, Frank Chalk와 Kurt Jonassohn은 모든 인류 역사를 공부했고, Leo Kuper와 Rudolph Rummel은 20세기에 집중했고, Helen Fein, Barbara Harff, 그리고 Ted Gurr는 2차 세계대전 후의 [75]사건들을 보았습니다.
Yehuda Bauer는 일반적으로 대량 학살이라고 불리는 많은 것들이 인종적 동기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현재의 정의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바우어는 르완다 대학살 사건을 주었는데, 바우어는 여기서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같은 민족이라고 주장했습니다.그는 이러한 차이 때문에 "분명히 대량학살에 대한 기존의 정의는 부적절하며 [76]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치사회단체
CPPCG 법적 정의에서 대량학살의 대상으로 사회적, 정치적 집단을 제외하는 것은 일부 역사학자들과 사회학자들에 의해 비판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어, M. Hassan Kakar는 그의 책 The Soviet Invasion and the Afghan Response, 1979-1982에서[77] 대량학살의 국제적 정의는 너무 [78]제한적이며, 그것은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정치 집단 또는 가해자에 의해 정의된 어떤 집단도 "학살은 한 집단을 파괴하려는 국가나 다른 권위자의 일방적인 대량 학살의 한 형태이며, 그 집단과 그 집단 내의 구성원 자격은 [79]가해자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입니다."라고 Chalk and Jonassohn을 인용합니다.결국 에티오피아,[80] 프랑스,[81] 스페인과[82][83] 같은 일부 주들은 정치 집단들을 그들의 대량학살 반대법에 합법적인 집단학살 희생자로 포함시킵니다.
하프와 구르는 집단학살을 "국가나 그 대리인에 의한 정책의 촉진과 집행"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이는 집단의 상당 부분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피해를 입은 집단이 주로 그들의 공동체적 특성, 즉 민족성, 종교성 또는 [84]국적에 따라 정의되는 경우.하프와 구르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국가에 의해 식별되는 특성에 의해 집단 학살과 정치적 사건을 구분하기도 합니다.집단 학살에서, 희생된 집단은 주로 그들의 공동체적인 특징, 즉 민족성, 종교성 또는 국적에 따라 정의됩니다.정치적 측면에서 피해 집단은 주로 그들의 계층적 위치 또는 정권과 지배 [85]집단에 대한 정치적 반대의 측면에서 정의됩니다.다니엘 D.폴스비와 돈비.Kates, Jr.는 "우리는 Harff의 대량 학살과 '포그롬'의 구별을 따르고 있으며, 그녀는 이를 '폭도들에 의한 단기간의 폭발'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종종 당국에 의해 묵인되기는 하지만, 거의 지속되지 않습니다.하지만 폭력이 충분히 오래 지속되면 묵인과 공모의 구분이 [86][87]무너집니다."라고 하프는 주장합니다.
럼멜에 따르면 대량학살은 세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일반적인 의미는 국민의 국가적, 민족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단체 회원으로 인한 정부에 의한 살인입니다.대량학살의 법적 의미는 국제조약인 대량학살범죄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CPPCG)을 의미합니다.여기에는 출산을 막거나 아이들을 무리하게 다른 그룹으로 옮기는 등 결국 그룹을 없애는 비살해도 포함됩니다.
에이드리언 갤러거(Adrian Gallagher)는 21세기에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들이 집단 학살을 저지를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집단 학살을 '집단 권력의 원천(보통 국가)이 의도적으로 권력 기반을 사용하여 파괴 과정을 구현할 때'라고 정의했습니다.n (가해자에 의해 정의된) 집단을 파괴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부분적으로, 상대적인 집단의 [88]크기에 의존합니다.그 정의는 의도의 중심성, 파괴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지지하며, 1948년 정의의 그것을 넘어 집단 정체성의 정의를 넓히지만 집단의 실질적인 부분이 대량학살로 분류되기 전에 파괴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집단 학살에 대한 다른 제안된 정의는 성별, 성적 성향,[89] 또는 성 [90][91]정체성에 의해 정의되는 사회적 집단을 포함합니다.
데모사이드
미국의 정치학자 루돌프 럼멜(Rudolph Rummel)이 고안한 용어인 데모사이드(Democide)는 "정부의 정책이나 고위 [92][93]지휘권에 따라 권한 있는 능력으로 행동하는 정부 요원들이 비무장 또는 무장 해제된 사람을 의도적으로 살해하는 것"을 설명합니다.[94] 이 정의는 정부의 강제 노동, 강제 수용소, 사법 외 약식 살인, 내전, 홀로도모르와 [92][93]같은 정부의 방치로 인한 대량 사망 등 모든 [92][93]정부에 의한 살인을 포함합니다.Rummel은 20세기에 2억 6천 [95]2백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홀로코스트 역사가 예후다 바우어(Yehuda Bauer)는 집단 학살 대 [96]집단 학살의 더 포괄적인 정의 때문에 집단 학살보다 집단 학살을 묘사하는 데 더 적합한 용어라고 럼멜(Rummel)의 의견에 동의했습니다.
트랜스젠더 대학살
2013년 일부 국제 트랜스 활동가들은 전 세계적으로 트랜스인들의 살인 수준이 높아진 것을 설명하기 위해 '트랜스사이드'라는 용어를 도입했습니다.남미와 유럽의 NGO 연합은 "트랜스 제노사이드를 멈추라" [97][98]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트랜사이드"라는 용어는 이전 용어인 젠더사이드를 [99]따온 것입니다.법학자들은 트랜스젠더들이 제도적 차별과 박해, [100][101][102]폭력의 피해자이기 때문에 대량학살의 정의를 성전환자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브라이언 크리츠는 성전환자를 [102]보호하기 위해 기존의 법이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103][104]인도에 반하는 범죄"의 법적 정의를 확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비슷한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법적 연구 이외에도, 트랜스젠더 집단 학살은 퀴어 연구, 증오 연구 등의 [105]학자들에 의해 검토되어 왔습니다.
국제소추
특별재판소에 의해서
CPPCG의 모든 서명국들은 평화적이든 전시적이든 집단 학살 행위를 예방하고 처벌해야 하지만, 일부 장벽들은 이러한 집행을 어렵게 합니다.특히 바레인, 방글라데시,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미국, 베트남, 예멘, 전 유고슬라비아 등 일부 서명국은 국제사법재판소에서 자신들의 [106]동의 없이는 집단살해 주장을 제기할 수 없다는 단서를 달고 서명했습니다.이들 보호구역의 윤리와 법적 지위에 대한 다른 서명국들(특히 키프로스와 노르웨이)의 공식적인 항의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1999년 코소보 [107]전쟁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가 제기한 대량학살 혐의에 대한 기소를 허용하지 않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들이 부여하는 기소에 대한 면책특권은 때때로 발동되어 왔습니다.
적어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량학살은 관습 국제법에 의해 전통적인 국제법뿐만 아니라 관습 국제법에 의해서도 불법으로 규정되어 온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대량학살 행위는 일반적으로 책임의 사슬이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기소를 위해 성립하기가 어렵습니다.국제형사재판소와 재판소는 주로 관련된 국가들이 [citation needed]이 정도 규모의 범죄를 기소할 능력이 없거나 의지가 없기 때문에 기능합니다.
뉘른베르크 재판소 (1945-1946)
제2차 세계대전 직후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 등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된 나치 지도자들은 1948년 대량학살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CPPCG)까지 '대학살' 범죄가 공식적으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반인도적 범죄 등 기존 국제법에 따라 기소됐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만들어진[108] 용어는 나치 지도자들의 기소장인 Count 3에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소된 사람들이 "특정한 인종과 계급을 파괴하기 위해 특정한 점령지의 민간인 인구에 대해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대량학살, 즉 인종 및 국가 집단을 몰살했다"고 진술했습니다.특히 유대인, 폴란드인, 집시 [109]등과 같은 민족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집단의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