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마사르탄
Fimasartan임상자료 | |
---|---|
상명 | 카나르브 |
ATC 코드 |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27H31N7OS |
어금질량 | 501.65 g·190−1 |
3D 모델(JSmol) | |
| |
|
피마사르탄은 고혈압과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비펩타이드 안지오텐신 2 수용체 길항제(ARB)이다.[1][2]피마사르탄은 경구 투여를 통해 안지오텐신 2 수용체 타입 1(AT1 수용체)을 차단해 전신 혈관수축, 신장에 의한 수분 보유 등 안지오텐신 2의 친고혈압 작용을 감소시킨다.[3]이뇨성 염산염과 함께 피마사르탄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은 임상시험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1]피마사르탄은 2010년 9월 9일 국내 사용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세계적인 제휴를 추진 중인 보령제약을 통해 카나르브라는 브랜드로 사용이 가능하다.[4]
작용기전
피마사르탄은 신장의 레닌-안지오텐신 폭포에 작용하는데, 레닌이 신장에서 방출되면서 안지오텐시노겐이 안지오텐신 1로 분해되면서 시작된다.이어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는 혈관, 심장, 신장 등에 AT1 수용체에 작용하는 안지오텐신Ⅱ를 형성하는 반응을 촉진한다.[5]혈관에서는 AT1 수용기가 세포내 경로에 결합되어 혈관의 원활한 근육수축(혈관확장)을 일으킨다.[6]
AT1 수용체를 차단할 때 피마사르탄은 혈관수축을 억제하여 혈관수축을 선호한다.신장과 부신에서는 AT1 막힘과 알도스테론 형성의 예방으로 신장에 의한 물과 소금의 배설이 증가하여 전체 혈액량이 감소한다.[7]심장에서 AT1 막힘은 수축성을 감소시키고 교감신경계의 자극 효과를 감소시킨다.[4]전체적으로 피마사르틴은 혈압 저하와 고혈압 증상 완화를 이끈다.피마사르탄과 같은 ARB도 뇌졸중, 심근경색, 심장마비에 대해 보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피마사르탄은 AT1 활성화로 인한 Endotherlin 1 생산량 감소를 통해 AT1 활성화가 자각적으로 차단되어 심장비대증, 섬유화, 리모델링, 불필요한 세포 증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0]피마스타탄은 또한 TGF-β1 생산(AT1 의존적)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는 섬유화 및 심실 손상의 원인이 된다.[11]ARB 투여 후 생쥐는 심근경색 후 개선된 예후를 보였지만,[9] 심혈관 손상 감소에 대한 피마사르탄의 구체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다.
부작용
부작용 임상 실험에서 피마사르탄은 모든 환자들에게 잘 용인되었다.그러나 복용량이 높은 경우(1일 360mg/일)에는 어지럼증 증가(순간적인 혈압 저하로 인한 가능성이 가장 높음)와 두통이 동반되었다.[1]설사, 싱코프, 냉발 등의 다른 부작용도 적은 수의 과목에서 경험했는데, 모두 의학적인 개입 없이 해결되었다.[1]
약리학
피마사르탄은 빠르게 흡수되어 투여 7일 후 체내에 축적되는 양이 적다.[1]피마사르탄의 반감기는 9~16시간으로 하루 복용에 적당하다.[1]피마사르탄은 다양한 복용 요법으로 금식 또는 급식을 하는 주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시험에서 약물의 최대 효과는 투여 후 30분에서 3시간 후에 나타나는 최대 혈장 농도(T-max)를 달성한 후 약간 발생하였다.[1][12]피마사르탄은 대부분 혈장과 담즙 배설물에서 측정되지 않은 형태로 발견되었다.약물의 비뇨기 제거는 투여 후 24시간 경과 후 3% 미만으로 낮아 피마사르탄은 신장 배설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
사회와 문화
브랜드명
이 약은 러시아에서도 쓰바사스칼레(카나르브)로 구할 수 있다.[13]피마사르탄은 아잔타파마(Ajanta Pharma Ltd)를 통해 피만타와 피마겐이라는 브랜드명으로 인도에서 마케팅되고 있다.
참조
- ^ a b c d e f g h Lee HY, Oh BH (July 2016). "Fimasartan: A New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Drugs. 76 (10): 1015–22. doi:10.1007/s40265-016-0592-1. PMID 27272555.
- ^ Pradhan A, Gupta V, Sethi R (July 2019). "Fimasartan: A new armament to fight hypertension". Journal of Family Medicine and Primary Care. 8 (7): 2184–2188. doi:10.4103/jfmpc.jfmpc_300_19. PMC 6691418. PMID 31463228.
- ^ DeMello WC, Re RN (2009). "Systemic versus local renin angiotensin systems. An overview.". In DeMello WC, Frohlich ED (eds.). Renin angiotensin system and cardiovascular disease. New York, NY: Humana Press. pp. 1–5. ISBN 978-1-60761-186-8.
- ^ a b c "Fimasartan". 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rugs. 11 (4): 249–252. 2011. doi:10.2165/11533640-000000000-00000.
- ^ Burnier M (February 2001). "Angiotensin II type 1 receptor blockers". Circulation. 103 (6): 904–12. doi:10.1161/01.cir.103.6.904. PMID 11171802.
- ^ Wynne BM, Chiao CW, Webb RC (2009). "Vascular Smooth Muscle Cell Signaling Mechanisms for Contraction to Angiotensin II and Endothelin-1".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Hypertension. 3 (2): 84–95. doi:10.1016/j.jash.2008.09.002. PMC 2704475. PMID 20161229.
- ^ Klabunde RE (15 March 2007).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ARBs)". CV Pharmacology.
- ^ Neal B, MacMahon S, Chapman N (December 2000). "Effects of ACE inhibitors, calcium antagonists, and other blood-pressure-lowering drugs: results of prospectively designed overviews of randomised trials. Blood Pressure Lowering Treatment Trialists' Collaboration". Lancet. 356 (9246): 1955–64. doi:10.1016/s0140-6736(00)03307-9. PMID 11130523.
- ^ a b Harada K, Sugaya T, Murakami K, Yazaki Y, Komuro I (November 1999). "Angiotensin II type 1A receptor knockout mice display less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nd improved survival after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100 (20): 2093–9. doi:10.1161/01.cir.100.20.2093. PMID 10562266.
- ^ Phillips PA (July 1999). "Interaction between endothelin and angiotensin II".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 Physiology. 26 (7): 517–8. doi:10.1046/j.1440-1681.1999.03069.x. PMID 10405777.
- ^ Sun Y, Zhang JQ, Zhang J, Ramires FJ (August 1998). "Angiotensin II,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and repair in the infarcted heart".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30 (8): 1559–69. doi:10.1006/jmcc.1998.0721. PMID 9737942.
- ^ Gu N, Kim BH, Lim KS, Kim SE, Nam WS, Yoon SH, Cho JY, Shin SG, Jang IJ, Yu KS (July 2012). "The effect of fimasartan, an angiotensin receptor type 1 blocker, on the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warfarin in healthy Korean male volunteers: a one-sequence, two-period crossover clinical trial". Clinical Therapeutics. 34 (7): 1592–600. doi:10.1016/j.clinthera.2012.06.004. PMID 22727611.
- ^ "Kanarb (fimasartan) film-coated tablets. Registration Certificate". Russian State Register of Medicines (in Russian). JSC R-Pharm. Retrieved 1 Septembe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