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디모르포돈
Eudimorphodon유디모르포돈 시간 범위:후기 트라이아스기, ~ Ma O P K N | |
---|---|
MCSNB 2888 (베르가모)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주문: | †익룡류 |
패밀리: | †에우디모르포돈과 |
서브패밀리: | †에우디모르포돈아과 |
속: | †유디모르포돈 잠벨리, 1973년 |
종류: | ① 란지이 |
이항명 | |
†에우디모르포돈란지이 잠벨리, 1973년 |
유디모르포돈은 1973년 이탈리아 체네 마을에서 마리오 판돌피에 의해 발견되었고 로코 잠벨리에 의해 같은 해에 묘사된 익룡이다.거의 완전한 골격은 트라이아스기 후기(노리아 중기~[1]후기)에 퇴적된 셰일에서 발견되었고,[2] 에우디모르포돈은 가장 오래된 익룡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그것은 약 100 센티미터(3.3 피트)의 날개 폭을 가지고 있었고, 긴 뼈 모양의 꼬리의 끝에는 후대의 람포린쿠스처럼 다이아몬드 모양의 플랩이 있었을지도 모른다.만약 그렇다면,[3] 플랩은 공중에서 조종하는 동안 조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유디모르포돈은 어린 시절의 표본을 포함한 여러 뼈에서 알려져 있다.
발견과 종
에우디모르포돈은 1973년 잠벨리에 의해 처음 기술된 모식종 에우디모르포돈 란지이(Eudimorphodon ranzii)라는 한 종을 포함하고 있다.완모형 MCSNB 2888을 기반으로 합니다.구체적인 이름은 실비오 란지 교수에게 경의를 표합니다.두 번째 종인 에우디모르포돈 로젠펠디는 1995년 달라 베키아에 의해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두 개의 표본에서 이름을 얻었다.하지만, 달라 베키아에 의한 추가 연구는 이것이 실제로 다른 속이라는 것을 발견했고,[4] 그는 2009년에 카르니아닥틸루스라고 이름을 붙였다.세 번째 종은 2001년 [5]젠킨스와 동료들에 의해 기술된 유디모르포돈 크롬토넬루스입니다.그것은 90년대 초 그린란드 제임슨랜드에서 발견된 날개 폭이 24cm에 불과한 어린 표본인 MGUH VP 3393에 바탕을 두고 있다.그것의 구체적인 이름은 알프레드 월터 크롬튼 교수에게 경의를 표한다; 그 이름은 예시적인 것이 너무 작기 때문에 축소형이다.2015년 알렉산더 켈너에 [6]의해 북극해조류(Arcticodactylus)로 명명되었다.2003년에 cf E. ranzii로 [7]지칭된 표본 BSP 1994 I 51은 켈너가 Austriadraco속으로 [6]만든 2015년이었다.
1986년 텍사스 서부의 Dockum Group 바위에서 여러 갈래 이빨을 포함한 턱 화석 조각이 발견되었다.아래턱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한 조각에는 각각 5개의 뾰족한 이빨이 있는 두 개가 들어 있었다.위턱에서 나온 또 다른 파편에도 여러 개의 구겨진 이빨이 있었다.이 발견들은 유디모르포돈과 매우 유사하며 더 나은 화석이 남아있지 않으면 [1]확실치 않을 수 있지만 이 속 때문일 수 있다.
많은 화석들이 한때 [8]에우디모르포돈으로 언급되었다는 것이 발견되었고, 에우디모르포돈은 이탈리아에서 온 익룡 중 가장 풍부한 것 중 하나이다.오늘날, 이것들은 대부분 별개의 [9]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묘사
유디모르포돈은 몸길이가 1미터(3.3피트)이고 몸무게가 10킬로그램(22파운드)을 넘지 않는 작은 익룡이었다.그것의 네 번째 손가락은 매우 큰 크기를 가지고 있었고,[8] 날개를 구성하는 막에 붙어 있었다.
에우디모르포돈은 치아의 분화가 심했기 때문에 그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진정한 이형성 치아"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그것은 또한 이러한 이빨을 많이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총 110개가 겨우 6cm(2.4인치) 길이의 턱에 촘촘히 박혀 있었다.턱의 앞부분은 윗턱에 각각 4개, 아래턱에 2개씩 송곳니로 채워져 있었는데, 이 송곳니는 윗턱에 25개, 아래턱에 26개, 대부분 5개의[2] 뾰족한 이빨로 이루어져 있었다.
치아의 형태학은 어식성 식단을 연상시키며, 이는 파라폴리도포루스속 물고기의 잔해를 포함한 보존된 위 내용물에 의해 확인되었다.Eudimorphodon은 치아 수가 적고 약간 다른 치아를 가지고 있었으며 식충성 [2]식단을 더 많이 했을지도 모른다.유디모르포돈의 윗니와 아랫니는 턱이 닫혔을 때, 특히 턱 뒤쪽에서 서로 직접 접촉했다.이 정도의 치아 교합은 익룡 중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치아는 여러 개의 구겨져 있었고, 치아의 마모로 인해 유디모르포돈은 음식을 어느 정도 으깨거나 씹을 수 있었다.이러한 이빨의 측면을 따라 마모된 것은 유디모르포돈이 단단한 껍질을 가진 무척추동물을 [10]먹이로 했다는 것을 암시한다.이 이빨은 에우디모르포돈을 구별하는데, 왜냐하면 거의 모든 익룡들이 단순한 이빨을 가지고 있거나 아예 이빨이 없기 때문이다.Benson et al. (2012)는 [8]치아가 물고기를 잡고 으깨는 데 완벽했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챘다.
계통발생 및 분류
유디모르포돈은 오랜 세월에도 불구하고 원시적인 특징이[2] 거의 없기 때문에 익룡이 파충류 족도에서 어디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그러나 기본적인 특징은 익룡의 이빨 유지와 꼬리의 유연성인데, 이는 다른 긴 꼬리를 가진 익룡이 가지고 있는 매우 긴 경직된 척추 확장부가 없다.초기 익룡의 부족은 공룡, 대룡류, 또는 프로라커트류에 대한 친화력을 시사하는 다른 전문가들과 함께 그들의 진화적 기원이 계속해서 미스터리임을 확실히 했다.
공룡모형이 가장 중요한 오르니토디라 내의 익룡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표준 가설에서, 에우디모르포돈은 또한 익룡의 초기 형태와 후기 형태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다원화된 이빨은 단순한 단일 구리의 테에 비해 매우 파생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유디모르포돈은 후대의 익룡의 조상과는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강력한 지표이다.대신 익룡 진화의 주요 "계통"인 캄필로그나토이드과에서 [2]분리된 특수한 분지의 일원인 것으로 여겨진다.다음의 계통학적 분석은 업처치 외 연구진(2015)[11]의 토폴로지를 따른다.
엽테로사우루스류 |
| ||||||||||||||||||||||||||||||||||||||||||
그러나 2020년 매튜 G. 바론이 지지한 초기 익룡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는 유디모르포돈이 론코그나타라고 불리는 [12]군락 내에 있는 노비알로이데아 군락과 함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웰앤호퍼, P. (1991)트라이아스기 익룡의 개요익룡 삽화 백과사전.영국 런던: 살라만더 북스 리미티드, 페이지 67. ISBN0-86101-566-5.
- ^ a b c d e 크랜필드, I.공룡과 다른 선사시대 생물들의 일러스트레이티드 디렉토리.런던: 샐러맨더 북스, 280~281페이지
- ^ Palmer, D., ed. (1999).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London: Marshall Editions. p. 102. ISBN 1-84028-152-9.
- ^ Dalla Vecchia, F.M. (2009). "Anatomy and systematics of the pterosaur Carniadactylus (gen. n.) rosenfeldi (Dalla Vecchia, 1995)". Rivista Italiana de Paleontologia e Stratigrafia. 115 (2): 159–188.
- ^ Jenkins, F.A.; Jr; et al. (2001). "A diminutive pterosaur (Pterosauria: Eudimorphodontidae) from the Greenlandic Triassic". Bulletin of the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Harvard University. 155: 487–506.
- ^ a b Kellner, Alexander W.A. (2015). "Comments on Triassic pterosaurs with discussion about ontogeny and description of new taxa". Anais da Academia Brasileira de Ciências. 87 (2): 669–689. doi:10.1590/0001-3765201520150307. PMID 26131631.
- ^ Wellnhofer P., 2003, "북칼레우스 알프스(오스트리아 티롤)에서 온 후기 트라이아스기 익룡"인: Buffetaut E. and Mazin J-M. (Eds), 익룡의 진화와 고생물학, 런던지질학회, 특별출판물 217, 페이지 5-22
- ^ a b c Benson, R.B.J. & Brussatte, S. (2012). Prehistoric Life. London: Dorling Kindersley. pp. 216–217. ISBN 978-0-7566-9910-9.
- ^ Vecchia, Dalla; Marco, Fabio (2019). "Seazzadactylus venieri gen. et sp. nov., a new pterosaur (Diapsida: Pterosauria) from the Upper Triassic (Norian) of northeastern Italy". PeerJ. 7: e7363. doi:10.7717/peerj.7363. PMC 6661147. PMID 31380153.
- ^ Osi, A. (2010년)"기초 익룡의 먹이 관련 특징: 턱의 메커니즘, 치아 기능 및 식이요법에 대한 영향"Lethaia, doi: 10.1111/j.1502-3931.2010.00230.x
- ^ Upchurch, P.; Andres, B.B.; Butler, R.J.; Barrett, P.M. (2015). "An analysis of pterosaurian biogeography: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ary history and fossil record quality of the first flying vertebrates". Historical Biology. 27 (6): 697–717. doi:10.1080/08912963.2014.939077. PMC 4536946. PMID 26339122.
- ^ 매튜 G. 배런 (2020년).익룡의 집단관계를 시험하는 것은 복막상근 분류군과 특징의 광범위한 샘플링과 다양한 계통발생학적 분석기법을 통해 이루어진다.피어 J. 8: e9604.doi:10.7717/peerj.9604.PMC 7512134.PMID 33005485
- 딕슨, 두걸"공룡전집"에르메스 하우스, 2006년
- 공룡에 관한 환상적인 사실 (ISBN 0-7525-3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