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누로그나스과
Anurognathidae아누로그나티스과 | |
---|---|
시노마크롭스 본데이의 생명 회복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주문: | †익룡류 |
Clade: | †칼리드라콘류 |
패밀리: | †아누로그나스과 Nopcsa, 1928 |
모식종 | |
†아누로그나투스암모니 도더라인, 1923년 | |
서브그룹 | |
아누로그나티스과(Anurognathidae)는 쥐라기 시대와 백악기에 유럽, 아시아, 그리고 아마도 북미에 살았던 작은 짧은 꼬리를 가진 익룡의 과이다.독일 쥐라기 후기의 아누로그나투스, [1]중국 쥐라기 중기의 제홀롭테루스, 중국 쥐라기 중기의[2] 덴드로린초이데스, 카자흐스탄 쥐라기 후기의 바트라코그나투스, 중국 [3]백악기 초기의 베스페로페테르루스 등 5개의 속들이 알려져 있다.Bennett (2007)는 Mesadactylus의 완모식표본인 BYU 2024가 Anurognathid에 속한다고 제안했지만, 이 친화성은 다른 [4][5]저자들에 의해 의심되었다.메사닥틸루스는 미국의 쥬라기 후기 모리슨 층에서 왔다.몽골의[6][7] 쥐라기 중기의 박하르 스비타와 [8]북한의 백악기 전기에서도 불확실한 무지외과의 유적이 보고되었다.
분류
아누로그나투스과(Anurognathidae)는 1928년 프란츠 노프차 폰 펠시-실바시(Anurognathinae)에 의해 아누로그나투스(Anurognathus)가 표준속으로 명명되었다.아누로그나티스과라는 이름은 1967년 오스카 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Anurognathidae의 계통 발생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2003년 알렉산더 켈너와 데이비드 언윈은 이 그룹을 노드 분지군으로 정의했다.아누로그나투스와 바트라코그나투스의 마지막 공통 조상이자 그 후손이다.켈너(2003)의 분석과 같은 일부 분석에서는 익룡 [9]나무에서 가장 기초적인 그룹으로 분류된다.언윈은 또한 디모르포돈과와 콤필로그나토이드과 [9]사이에 있는 매우 기초적인 그룹을 회복했다.그러나 무지외과는 짧은 꼬리뼈와 융합된 꼬리뼈와 같이 파생된 익룡상과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더 많은 화석과 분류군을 포함한 더 최근의 분석은 이러한 관찰을 뒷받침하고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이 파생되었지만 여전히 익룡류에서 기초적인 것으로 그룹을 회복시켰다.2010년 Brian Andres의 분석에 따르면 Anurognathidae와 Pterodactyloidea는 자매 분류군이었다.이것은 화석 기록과 더 잘 일치하는데, 왜냐하면 그 당시에는 초기 무지외과의 공룡이 알려져 있지 않았고, 가장 기초가 되는 익룡 분지가 되기 위해서는 6천만 [10]년 이상의 유령 혈통이 필요했을 것이기 때문이다.그러나 디모르포돈 웨인트라우비를 아누로그나티스과 내의 기본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은 이 차이를 메우는 데 도움이 되며, 이 집단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일찍,[11][12] 아마도 쥐라기 초기에 나타났다는 것을 암시한다.익룡 내 어디에 속하느냐에 따라 디모르포돈 웨인트라우비의 존재는 주요 익룡 군락의 진화 시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익룡 [12]연구에 있어 이 표본에 대한 추가 연구가 중요하다.2022년 Cascocauda의 기술에 따른 계통학적 분석 결과, Breviquartossa와 [13]자매분지로서 Anurognathidae가 발견되었다.
라이프스타일
무지외과는 박쥐와 비슷한 야행성 또는 뇌근성 동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많은 무지외과의 눈구멍이 크다는 사실은 저조도 환경에서 작동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무지외과의 이빨은 그들이 주로 식충성이었음을 시사하지만,[14] 바트라코그나투스와 제홀롭테루스처럼 더 많은 먹잇감을 선택했을 수도 있다.적어도 베스페롭테루스와 같은 몇몇은 나뭇가지를 [3]잡는데 적합한 발톱을 가진 수상성 동물이었다.
깃털들
2022년 [13]중국 내몽골에서 온 두 마리의 쥐라기 시대 익룡의 유적에 대한 2018년 연구는 익룡이 일반적으로 자신들을 덮는 것으로 여겨졌던 균질 구조와는 달리 다양한 화석 섬유 모양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이들 중 일부는 새나 다른 공룡에서 알려진 네 종류의 깃털과 구조가 매우 비슷했지만, 연구 전에는 익룡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동성을 [15][16]시사하는 마모된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이 연구에 대한 응답은 2020년에 발표되었는데, 여기서 무지외과의 구조물은 실제로 [17]날개를 강화하고 단단하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 섬유인 아크티노피브릴의 분해의 결과라고 제안되었다.그러나 이에 대한 대응으로 2018년 논문의 저자들은 구조물의 존재가 파타지움을 지나 확장되고, Jeholopterus ningchengensis와[18] Sordes pilosus에 [19]아크티노피브릴과 필라멘트가 모두 존재함을 지적한다.2018년 연구에서 무지외반증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필라멘트 구조 또한 다양한 '필라멘트' 형태를 유발하는 분해 형태를 필요로 할 것이다.따라서 그들은 구조에 대한 가장 인색한 해석은 그들이 필라멘트 형태의 원형 깃털이라는 [20]결론에 도달했다.그러나 릴리아나 달바는 두 개의 아누로그마시드 표본에서 보존된 피막 구조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총체적인 형태학에 기초하고 있다고 지적한다.그녀는 또한 프테로린쿠스가 깃털이 오르니토디란과 공통의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깃털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었지만 몇몇 작가들에 의해 반대 의견이 제기되었다고 지적한다.그것이 깃털과 상동성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주사 전자 [21]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이다.
메모들
- ^ Gao, K. -Q.; Shubin, N. H. (2012). "Late Jurassic salamandroid from western Liaoning, Chi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 (15): 5767–72. Bibcode:2012PNAS..109.5767G. doi:10.1073/pnas.1009828109. PMC 3326464. PMID 22411790.
- ^ Lü Junchang & David W.E. Hone (2012). "A New Chinese Anurognathid Pterosaur and the Evolution of Pterosaurian Tail Lengths". Acta Geologica Sinica. 86 (6): 1317–1325. doi:10.1111/1755-6724.12002. S2CID 140741278.
- ^ a b Lü, J.; Meng, Q.; Wang, B.; Liu, D.; Shen, C.; Zhang, Y. (2017). "Short note on a new anurognathid pterosaur with evidence of perching behaviour from Jianchang of Liaoning Province, China". In Hone, D.W.E.; Witton, M.P.; Martill, D.M. (eds.). New Perspectives on Pterosaur Palaeobiology (PDF).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Vol. 455. London: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pp. 95–104. doi:10.1144/SP455.16. S2CID 219196969.
- ^ Bennett, S. Christopher (2007). "Reassessment of Utahdactylus from the Jurassic Morrison Formation of Utah".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7 (1): 257–260. doi:10.1671/0272-4634(2007)27[257:ROUFTJ]2.0.CO;2. JSTOR 4524687.
- ^ Sprague, M. & McLain, M.A. (2018년)콜로라도주 모리슨층 드라이 메사 채석장의 메사닥틸루스 복합체 해결.척추동물 고생물학 저널, 프로그램 및 추상, 2018, 페이지 220.
- ^ Unwin, D. M. & Bakhurina, N. N. (2000):러시아, 중앙아시아, 몽골의 익룡.– 입력: M. J. Benton, M. A. Shishkin, D. M. Unwin & E. N. Kurochin(Eds), 러시아와 몽골의 공룡 시대; 케임브리지(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420~433.
- ^ Barrett, Paul M.; Butler, Richard J.; Edwards, Nicholas P.; Milner, Andrew R. (2008). "Pterosaur distribution in time and space: an atlas" (PDF). Zitteliana. B. 28: 61–107. doi:10.5282/ubm/epub.12007.
- ^ Gao, K.-Q.; Li, Q.-G.; Wei, M.-R.; Pak, H.; Pak, I. (2009). "Early Cretaceous birds and pterosaurs from the Sinuiju Series, and geographic extension of the Jehol Biota into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5 (1): 57–61. ISSN 1225-0929.
- ^ a b Kellner, Alexander W. A. (2003-01-01). "Pterosaur phylogeny and comments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roup".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217 (1): 105–137. doi:10.1144/GSL.SP.2003.217.01.10.
- ^ Andres, Brian; Clark, James M.; Xing, Xu (2010). "A new rhamphorhynchid pter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of Xinjiang, China,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basal pterosaur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0 (1): 163–187. doi:10.1080/02724630903409220.
- ^ Vecchia, Fabio Marco Dalla (2019-07-25). "Seazzadactylus venieri gen. et sp. nov., a new pterosaur (Diapsida: Pterosauria) from the Upper Triassic (Norian) of northeastern Italy". PeerJ. 7: e7363. doi:10.7717/peerj.7363.
- ^ a b Wei, Xuefang; Pêgas, Rodrigo Vargas; Shen, Caizhi; Guo, Yanfang; Ma, Waisum; Sun, Deyu; Zhou, Xuanyu (2021-03-31). "Sinomacrops bondei, a new anurognathid pterosaur from the Jurassic of China and comments on the group". PeerJ. 9: e11161. doi:10.7717/peerj.11161.
- ^ a b Yang, Zixiao; Benton, Michael J.; Hone, David W. E.; Xu, Xing; McNamara, Maria E.; Jiang, Baoyu (2022-03-03). "Allometric analysis sheds light on the systematics and ontogeny of anurognathid pterosaur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e2028796. doi:10.1080/02724634.2021.2028796. S2CID 247262846.
- ^ Bestwick, Jordan; Unwin, David M.; Butler, Richard J.; Henderson, Donald M.; Purnell, Mark A. (November 2018). "Pterosaur dietary hypotheses: a review of ideas and approaches". Biological Reviews. 93 (4): 2021–2048. doi:10.1111/brv.12431. PMC 6849529. PMID 29877021.
- ^ Yang, Zixiao; Jiang, Baoyu; McNamara, Maria E.; Kearns, Stuart L.; Pittman, Michael; Kaye, Thomas G.; Orr, Patrick J.; Xu, Xing; Benton, Michael J. (January 2019). "Pterosaur integumentary structures with complex feather-like branching". Nature Ecology & Evolution. 3 (1): 24–30. doi:10.1038/s41559-018-0728-7. hdl:1983/1f7893a1-924d-4cb3-a4bf-c4b1592356e9. PMID 30568282. S2CID 56480710.
- ^ Briggs, Helen (2018-12-17). "Fur flies over new pterosaur fossils". BBC News. Retrieved 2018-12-19.
- ^ Unwin, David M.; Martill, David M. (December 2020). "No protofeathers on pterosaurs". Nature Ecology & Evolution. 4 (12): 1590–1591. doi:10.1038/s41559-020-01308-9. PMID 32989266. S2CID 222168569.
- ^ Kellner; et al. (2009). "The Soft Tissue of Jeholopterus (Pterosauria, Anurognathidae, Batrachognathinae) and the Structure of the Pterosaur Wing Membrane". ResearchGate. 277 (1679): 321–29. doi:10.1098/rspb.2009.0846. PMC 2842671. PMID 19656798.
- ^ Unwin, David M.; Bakhurina, Natasha N. (September 1994). "Sordes pilosus and the nature of the pterosaur flight apparatus". Nature. 371 (6492): 62–64. Bibcode:1994Natur.371...62U. doi:10.1038/371062a0. S2CID 4314989.
- ^ Yang, Zixiao; Jiang, Baoyu; McNamara, Maria E.; Kearns, Stuart L.; Pittman, Michael; Kaye, Thomas G.; Orr, Patrick J.; Xu, Xing; Benton, Michael J. (December 2020). "Reply to: No protofeathers on pterosaurs". Nature Ecology & Evolution. 4 (12): 1592–1593. doi:10.1038/s41559-020-01309-8. PMID 32989267. S2CID 222163211.
- ^ D’Alba, Liliana (January 2019). "Pterosaur plumage". Nature Ecology & Evolution. 3 (1): 12–13. doi:10.1038/s41559-018-0767-0. PMID 30568284. S2CID 56480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