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가쿠

Egaku
에가쿠
恵萼
Egaku - Hui'E - 恵萼-慧锷.png
에가쿠의 현대화(헤이안 시대 초기 - CE 9세기 초)
개인적인
태어난알려지지 않았지만 822년 이전
일본.
죽은알 수 없지만 864 CE 이후
일본.
종교불교
번성했다9세기 CE
학교[2]: 7605 [note 2], 텐다이
직업승려, 학자
시니어포스팅
선생님사이초, 옌구안치안
제자들
한자이름
중국어 번체慧鍔
중국어 간체慧锷
베트남 이름
베트남의Huệ Ngạc 또는 Tuệ Ngạc.
한국이름
한글혜악
한자慧鍔
일본식 이름
히라가나えがく

에가쿠 또는 희이는 9세기 일본의 학자로, 당나라로 순례 여행을 자주 다녀와 일본에 불교의 가르침을 전했던 인물이다. 에가쿠는 중국과 일본의 종교문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6]: 1 [note 6] 일본에서는 린자이 선종 제1대 승려[2]: 7605 [note 7] 기쿠와 중국 시인 바이주이의 작품을 일본에 들여온 것으로 유명하다.[5]: 47–49 중국에서는 중국 4대 불교 순례지 중 하나인 푸투오산에 발전된 순례지를 조성하는 역할로 유명하다.[7]: 14 [note 8] [4][note 9]

인생

에가쿠는 수도원 동시대 사이초, 쿠카이, 엔닌과 달리 여행 일기를 하나도 남기지 않았다.[8]: 810 [note 10] 그에 대해 알려진 정보는 수많은 중국과 일본의 소식통에서 나왔고, 따라서 그에 대한 불분명한 점,[9][10]: 45 즉 생사의 날짜와 구체적인 장소 등이 여전히 많다. [note 1] [3] 그러나 사이초의 제자였고, 아마도 쿠카이의 지인일 것이다.[1][5]: 49

일본의 유산

에가쿠는 일부 수도원 동시대 사람들과는 대조적으로 일본으로부터의 공식 사절단의 일환으로 당나라로 여행을 가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여행은 종교와 문학적 명성이 있는 독실한 불교 신자인 다치바나 카치코 황후가 쿠카이와 대화한 후 선불교에 대해 궁금해하는 개인적인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12]: 348–356 [note 11] 에가쿠는 그 후 여러 차례 당나라로 여행을 떠났는데, 대부분이 황후를 대신하여 당나라로 갔다.[13]: 216

841년 에가쿠는 만주보살좌상 우타이산을 순례하기 위해 당나라로 갔다. 그곳에서 항주로 건너가 황태후로부터 마즈다오이의 후손인 저명한 9대 찬불교 사부 [4]옌간치안에게 선물을 바쳤다.[2]: 7472 [note 12] 이어 에가쿠는 일본으로 돌아왔다.

844년 에가쿠는 다시 당나라로 갔다. 그는 우타이 산과 린치 사원에 방문하여 종교적인 제물을 바쳤다.[6]: 2 황후 도배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직접 수놓은 수도복과 종교적인 깃발을 만들었다.[14]: 269 [15]: 109–112 [note 14] 이 여행에서 에가쿠는 우종황제후이창 박해의 효과를 직접 목격하고 체험하여 일본 귀국을 지연시켰다.[5]: 48 [note 15] 846년 CE 846년 선종 황제가 즉위하면서 학대는 끝이 났고, 에가쿠는 일본 최초의 선종이 된 옌구안 치안의 수석 제자인 기쿠와 함께 돌아왔다.[2]: 7010 [note 16]

귀족 헤이안 사회는 기쿠가 일본에서 선교를 전담하는 중국 최초의 선승이었기 때문에 그의 일본 도착을 열렬히 환영했다. [note 17] [11]: 130 [note 18] 타치바나 카치코는 처음에 그를 도지사의 서쪽 날개에 수용했다가, 그것이 완성되면 단린사로 옮겼다.[14]: 269 [note 19] 기쿠는 그곳에서 몇 년 동안 선교를 가르쳤다가 당나라로 돌아왔다.[11]: 132–133 [note 20][16]: 109 [note 21][note 22]

또한 기원전 846/847년 에가쿠는 "백주이 수집 작품"의 손으로 복사한 원고를 일본으로 가져왔다.[5]: 47–49 중국의 유명한 시인 바이주이의 시는 이미 일본에 소개되었다. [note 23] 그러나 에가쿠의 사본은 완전한 초기 사본으로, 이후의 일본 신어 시와 《겐지 이야기》, 《베개책》 등 토착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2]: 24–25

'백주이 수집작품' 페이지 - 시 '영원한 후회의 노래' - 고토 박물관

가나자와 판본은 에가쿠의 원본을 베낀 것이다. 처음에 가마쿠라 시대에 세워진 가나자와 도서관에서 보관된 가나자와판은 더 이상 완전한 사본은 아니다.[17] 가나자와 판본은 바이주이가 직접 수정한 「바이주이 수집 작품」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본판에는 에가쿠가 본문을 베끼고 있을 때 마주한 역사적 상황을 묘사한 에가쿠의 주석도 실려 있다.

에가쿠는 마지막 중국 여행(863CE)일 가능성이 있는 이 전 왕세자와 동행해 다카오카 신노 스님을 당나라로 만들었다. 이후 다카오카 신노는 불교와 관련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865년 광저우에서 배를 타고 인도로 여행을 시도했다는 평을 받았다. 불행히도 그는 싱가포르에서 사망했다고 한다.[note 24]

에가쿠는 쑤저우 카이위안 수도원에서 중국 선승 치에위안이 자신을 대신해 만든 '애국색 비석'도 갖고 있었다.[5][note 25] 이 기석은 헤이안쿄의 라쇼몬에 서 있던 것으로, 도다이지는 이 기석의 큰 파편 4점을 보존한 적이 있다. 이 석비의 의의는 에가쿠가 일본 최초의 선승으로 기쿠를 모신 것을 묘사한 몇 안 되는 동시대의 기록 중 하나라는 것이다. 고칸 시렌이 일본 최초의 불교사 겐코 샤쿠쇼에서 발견한 에가쿠 기사를 쓰는데 사용한 출처 중 하나였다.

중국의 유산

863년 에가쿠는 다시 우타이산을 순례하러 갔다. 이번에는 우타이 산 중턱에 위치한 절에 여행을 가던 중 우아하고 세련된 외관과 늘 즐거운 표정을 한 관음보살 목상을 보았다.[10]: 40 [note 26] 에가쿠는 이 동상을 다시 일본으로 가져가고 싶어 승려들의 허락을 구했다. 승려들은 그의 요구를 묵인했다. 그는 상인 장유싱의 배에 위치한 가마를 타고 닝보의 카이위안 수도원에 동상을 데리고 와 일본으로 떠날 채비를 했다. 그러나 동상은 극도로 무거워져 배 위로 가져올 수 없었다. 에가쿠는 신라에서 온 수많은 상인들이 힘을 합쳐야 비로소 동상을 배에 태우는 데 성공했다. 그 후 배는 출항하여 푸투오산 인근 해역으로 접근하여 거대한 성난 파도와 사나운 바람이 진행을 방해했다. 그 배는 신라 암초에 좌초되었다가 조수동굴로 표류했다. 그날 저녁 에가쿠는 "이 산에 나를 올려놓으면 바람에게 명하여 길을 보내겠다"[7]: 60 [note 28]고 말하는 외국 스님을 본 곳에서 꿈을 꾸었다. 에가쿠는 승선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의 꿈을 말해 주었고, 모든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 그런데도 그들은 뭍으로 올라와서 관음보살상을 세울 밀짚 오두막을 지었다. 그들은 동상에 작별인사를 한 후 배에 올라 일본으로 떠났다. 푸투오산의 한 주민 장씨는 이러한 행사를 목격하고 그의 집에 동상을 봉안하여 예배를 드렸다. 그가 죽은 후, 그들은 916년 푸투오산에 "관인사를 떠날 의향이 없다"라는 이름의 최초의 영구적인 사당을 지었다.[4][7]: 13, 60–61 [19][20]: 543–544 후대의 예배자들은 에가쿠를 푸투오산에 있는 아발로키테스바라 보디만다의 시조로 추앙하였다. [note 9] [13]: 81–83 [note 29] 푸투오산에는 현재 에가쿠를 모신 사당과 관인갑사[7]: 61 옆 절인 시팡징위안(西팡징위안)에 33개의 관음보살 현판이 있는 '에가쿠 사사 기념관'이 있다.

모던 디스커버리즈

고고학자들은 1953년 교토 안쇼지 사원에서 세 마리의 용으로 장식된 돌다라니 기둥을 발견했으며, 우시ṇa Vijaya Dahraṇ Sutra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6]: 2 [15]: 115–116 에가쿠는 841년 또는 842년에 이 칼럼을 다시 일본으로 가져왔다. 교토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기둥을 볼 수 있다.

영화

푸투오산 창세기 이야기를 느슨하게 각색한 2013년 영화 '아발로키테스바라'에서 나가이즈미 히데오가 에가쿠 역으로 출연했다.

메모들

  1. ^ a b 사이초는 822년 CE에 죽었고, 에가쿠는 그의 제자였으므로 822 CE 이전에 태어났다.
  2. ^ 포구앙산 p 7605 慧日本語本。후이'E, 일본의 린자이 종파 승려.
  3. ^ Putuoshan 于是,留下弟子仁济、顺昌两人,白己朝礼天台山...에가쿠는 혼자서 톈타이 산[중국 톈타이 종파의 본거지, 일본 톈타이 종파의 본거지]을 순례하러 갔다가 두 제자인 진사이와 준쇼를 남기고 떠났다...
  4. ^ 에가쿠나 후이에는 표준화된 한자 이름이 없었다. 그러나 이 이름들은 모두 각각 중국어나 일본어의 동음어였다.[1]
  5. ^ Chen 于是命慧萼到齐安处留学 ,可以看出慧萼还不是一个普通的入唐求法僧人 ,其一举一动都代表着皇族的意思 ,与日本王室有着很深的渊源 。[Tachibana Kachiko (Empress Dowager)] commanded Hui'E to find Yanguan Qi'an so that he could learn Zen from him. 희이는 마음대로 당나라로 가서 원하는 대로 배우러 다니는 평범한 승려가 아니었다. 그가 하는 모든 동작에 있어서, [일본] 왕실을 대표하여 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6. ^ Tanaka 9世紀に日唐を頻繁に往来し、日中の宗教・文化に多大の影響を与えた日本僧慧萼について…일본과 중국을 자주 왕래하고 일본과 중국의 종교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에가쿠에 대해서는
  7. ^ Foguangshan p.7605 後參謁杭州靈池寺齊安國師,轉達太后之旨,延請義空禪師赴日弘揚禪法,自此日本始傳臨濟宗。Later Egaku visited the national preceptor Yanguan Qi'an at Hangzhou's Lingchi Monastery and communicated the wishes of the Empress Dowager (for a Zen monk). 이공[일본어로 기쿠]은 그 후 일본에 파견되어 선교를 전파하였다. 일본의 린자이 종파는 이런 식으로 시작되었다.
  8. ^ Wang 据明崇祯年间高僧木陈道忞所撰《普陀山梵音庵释迦文佛舍利塔碑》记载:…去明州薄海五百里外,复有山曰补怛洛迦者,则普门大士化亦所显,以佛菩萨慈悲姻缘故,故自晋之大康,…说明早在东晋南北朝,已有信徒们纷纷来山朝拜。According to the disciple of Tiantong Temple's Miyun, the Chinese Linji sect monk and then later the Hongjue National Preceptor, Muchen Daowen's (1596-1674) "Putuoshan Brahma Monastery Sarira Pagoda of Shakyamuni Buddha Stele" carved during the Chong Zhen regnal era (1622-1644), it is recorded: …Five hundred li from Mingzhou (오늘날 닝보)에는 포탈라카라는 산이 있는데, 이곳은 진나라 태강 섭정기를 기점으로 부처와 보살의 대감정(大心情)이 깃들어 있어 포탈라카의 마하사트바가 나타나는 곳이다. 이 인용구는 일찍이 동진 시대남북조 시대에는 이미 푸투오산으로 순례를 하러 오는 숭배자들이 속속 오고 있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9. ^ a b 푸투오산 后人人慧山山山山山山。라터 세대는 푸투오산의 시조로 후이이( huie)를 공손히 명명했다.
  10. ^ 엔닌 p 810 [에가쿠는 여행 일기를 쓰지 않았지만 에가쿠는 에닌의 일기에 언급되어 있다...] 841 CE 9일 제7회 달 9일. 일본 승려 에가쿠와 그의 제자들이 모두 세 사람, 모두 우타이산에 도착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사부님은 사방팔방으로 자신의 영지를 찾기 위해 고국으로 돌아가겠다고 맹세했지만, 두 제자를 우태산에 머무르게 하고 있다.
  11. ^ Reeves p 352–3 Inoue (in Inoue, “Danrin kōgō (Tachibana no Kachiko),” 64; the original text is found in Buntoku Jitsuroku (one of the six traditional Japanese histories), Kashō 3 (850).5.5, where the passage translated above reads, in the original, as follows: 后為人寬和風容絶異手過於膝髪委於地観者皆驚.) argues, that Kachiko’s contemporaries certainly associated her with hokkeji사, 특히 열한 얼굴의 관음보살과 함께 무릎까지 손이 닿아 있는 모습으로.
  12. ^ 포구앙산 p 7472 宣宗「「「大大」」之,並並悼。[연구안치안]은 당승 황제가 즉위하기 전인 842년 CE에 사망하였다.] 쉬안종황제는 '우공 국사'라는 칭호인 옌구안치안을 시상하고 황실 시로 그를 애도했다. 그는 당나라 왕족인 리씨(李氏)의 먼 혈족이었다.
  13. ^ 항저우의 린치 수도원은 항저우에서 50km 떨어진 옌구안에 위치했고, 이후 쉬안종 황제에 의해 안궈 수도원이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수도원은 1978년에 철거되었다.
  14. ^ 관음보살의 발현에 바친 사당에 제물의 일부를 카츠라 에가쿠가 주었다.
  15. ^ 천은 희창 박해가 시작되자, 희이는 공우라는 불교의 평신도라는 거짓된 신분 아래 쑤저우 바이셰렌 찬 수도원에 은신하였다. 그는 추저우에서 배를 타고 떠나려 했으나 그들은 모든 배가 떠나는 것을 막았다. 박해로 그는 쉬안종 황제가 즉위할 때까지 1년 넘게 숨어 지내야 했다.
  16. ^ 포구앙산 7010 與昉東東東日本--기쿠는 도호 등과 함께 동쪽으로 일본 여행을 떠났다.
  17. ^ 일본에는 일찍이 도쇼나 도센과 같이 일본에 오거나 귀국한 선주들이 있었지만, 다른 종파의 가르침도 가르쳤다. 이와 같이 기쿠는 헤이안쿄의 신수도인 헤이안쿄에 상주하는 남학파 출신의 독점적인 선사(先士)이다.
  18. ^ Ōtsuki また橘嘉智子だけでなく皇帝(仁明天皇)や中散大夫藤公兄弟といった官僚の帰依も厚かったことが知られる。Records indicate that not only Tachibana Kachiko but the Emperor Ninmyō and the bureaucrat Chūsan Daifu Fujiwara brothers were sincere and also took refuge with Gikū.
  19. ^ 그로너 단린사원은 비구니 법도를 지키는 수녀들에게도 수녀원이었다. 타치바나 카치코 자신도 황제 아들 닌묘가 병에 걸려 죽을 때까지 단린사에서 생활하면서 수녀가 되었다.
  20. ^ Ōtsuki さらに師蛮は,義空伝の賛において,義空渡来後「...,実悟せし者,橘后一人のみ,空公,時未だ熟せざるを知り,之を辞して帰唐す」と記し...'등불전송의 엔포 기록'과 '대제사장의 혼초 기록' 두 개의 불교사를 쓴 일본의 린자이 선학자 맹겐 시반(1626~1710)은 기쿠가 일본에 도착한 후 기쿠 기록에 대한 찬사를 통해 "..."[젠]을 진정으로 이해한 사람은 타치바나 카치코뿐이었다. 기쿠는 젠에게는 때가 무르익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는 사직하고 나서 당나라로 돌아갔는데...", ...田中史生氏によると滞在期間は十年にも満たなかった可能性が高く,856(唐・大中10,日本・斉衡 3 )年前後までの間と推定されている。According to Tanaka Fumio, it is very likely Gikū only stayed in Japan for less than ten years. 그는 기쿠가 CE 856년경까지만 머물렀을 가능성이 높다고 이론화했다.
  21. ^ Hibino こ,に当時の禅の受容のあり方を知ることができる。…呪術的に受け入れられたのであった。斯様に歪曲されて受容された禅は、....禅そのものを理会することもできず――従って必要ともしない状態の中にあって、その後に継承・発展するべくもなかった...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헤이안 사회가 선군을 만트라 의식의 형태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안다. 이러한 유형의 난해한 수용은 사회로 하여금 선 그 자체를 이해할 수 없게 만들었고, 그 당시 [선]만의 특유한 면들이 필요 없게 되었기 때문에 [젠]은 전승되고 발전할 수 없었다.
  22. ^ 도쇼, 도센, 기쿠, 후일 가쿠아는 일본에 젠을 소개하려고 시도했다. 그들의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 13세기 일본에서 젠이 확고히 자리를 잡기까지 기쿠 이후 400년이 더 걸릴 것이다.cf 아이사이, 도겐, 난포 쇼묘.
  23. ^ Although there were other Japanese who had already introduced Bai Juyi's Poetry into Japan such as Ennin's 6 scroll copy of the "Collected Works of Bai Juyi" in 839 and Fujiwara no Okamori's (808-851 CE) copy of "Yuan Bai Shi Ji" or "Selection of Yuan Zhen and Bai Juyi's Poetry" in 838 CE, both were incomplete.
  24. ^ 다카오카 신노는 865년 광저우 목적지인 인도에서 배로 팔로워 3명과 함께 떠났다. 이후 당나라 사람들은 그와 연락이 끊겼다. 16년 후인 881년 당나라를 방문한 일본의 학자 몽크인 취칸은 타카오카 신노가 싱가포르에서 사망했다고 보고했다. 일부 다른 소식통들은 호랑이가 타카오카 신노를 죽였다고 언급했다. 최근 조호르 바루의 일본 묘지에 황실 탑이 세워졌다.
  25. ^ Chen 慧萼还专门请苏州开元寺高僧契元制作了一块题为枟日本国首传禅宗记枠的玛瑙石碑立在罗城门侧 。Hui'E asked the senior monk of Suzhou's Kaiyuan Monastery Qieyuan, to compose an agate(-colored) stele entitled "Record of the Nation of Japan's First Zen School." 기석은 후에 헤이안쿄의 라쇼몬 문 옆에 놓였다.
  26. ^ Park 日本国僧惠锷诣五台山敬礼。至中台精舍,见观音貌像端雅,喜生颜间,乃就恳求愿迎归其国,寺众从之。The Japanese monk Hui'E went on a pilgrimage on Mount Wutai. 그는 중앙봉에 있는 절에 도착했다. (우타이 산은 다섯 개의 산봉우리를 가지고 있다 - 중앙봉우리는 그 중 하나이다) 그는 우아하고 세련된 외모와 언제나 즐거운 얼굴로 관음보살상을 경외하며 서 있었다. 게다가, 그는 우타이 산의 승려들이 그것을 일본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간청했고, 그 후에 승려들이 동의했다.
  27. ^ Park 新罗礁位于离普陀山岛“观音跳”东侧...신라 암초는 푸투오산 앞바다에 있는 암초로, '관인 도약'이라는 유적지의 동쪽에 있다.
  28. ^ 왕胡胡僧僧 foreign foreign身외승은 [아발로키테스바라] 보살의 발현이다.
  29. ^ 빙겐하이머 왕롄성(王롄성)은 13세기 일부 출처가 에가쿠와의 푸투오산 연대의 출처로 당 시인이자 관료인 웨이셴(Wei Xuan) 801(801~866)을 인용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바오칭 시밍즈(126년)에 따르면 위수안은 에가쿠의 귀항 행적에 관한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반드시 동시대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불행히도 위쉰의 본문은 이제 없어졌지만, 나는 바오칭 시밍즈에서 이 언급이 에가쿠가 푸투오 산의 건국에 실제로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왕롄성의 의견에 동의한다. 아마도 그의 방문은 859년 또는 863년에 이루어졌다.

참조

  1. ^ a b c Putuoshan 2017 慧锷,又译惠萼、慧谔、慧萼[、惠蕚],是入唐求法的学问僧和请益僧,又是日本天台宗始祖最澄大师高足。Hui'E, also known as 慧锷,惠萼、慧谔、慧萼[、惠蕚] was the disciple of the founder of the Japanese Tendai Sect Saichō.
  2. ^ a b c d 포구앙산 1989
  3. ^ a b Chen 2010, p. 47 最后于咸通五年(日本贞观六年 ,864)和入唐僧贤真 、忠全等一起从明州回到日本。从此以后 ,其名便消失在这一时代的史籍之外了 。Egaku returned to Japan for the last time in 864 CE from Ningbo; with two Japanese monks who had earlier accompanied him on the way to China, Genma and Zenchū. 그 후 에가쿠의 이름은 역사 기록에서 사라진다.
  4. ^ a b c d 푸투오산 2017
  5. ^ a b c d e f 첸 2010
  6. ^ a b c 타나카 2011
  7. ^ a b c d 왕 2009년
  8. ^ 엔닌 850
  9. ^ 하시모토 1972년
  10. ^ a b c 2003년 공원
  11. ^ a b c 오쓰키 2008
  12. ^ a b c 리브스 2018
  13. ^ a b 빙헨하이머 2016
  14. ^ a b 그루너 1997
  15. ^ a b 가쓰라 2017
  16. ^ 히비노 1972년
  17. ^ Gotoh Museum. 氏白文集・金沢文庫本 [Collected Works of Bai Juyi・Kanazawa Library Manuscript]. 五島美術館・The Gotoh Museum (in Japanese). Retrieved 1 August 2019. Picture of the poem "Song of the Everlasting Regret" on a manuscript leaf of the Kanazawa edition of the "Collected Works of Bai Juyi" -- transl summary of text: The Tang poet Bai Juyi's "Collected Works of Bai Juyi" has had a tremendous impact on Japanese Sinitic poetry and prose....The Kanazawa library was the best medieval library. Later many items were scattered and lost.
  18. ^ 이 사진을 확대하면 오른쪽에는 에가쿠가 우타이산에 있는 유명한 관음보살좌상에 경의를 표하는 모습이 나온다. 조수동굴은 이 사당 오른쪽 바닷가에 있다[보이지 않는다.
  19. ^ 푸투오산엔 2017
  20. ^ 위 2000년

원천

  • Binghenheimer, Marcus (2016). Island of Guanyin Mount Putuo and Its Gazetteer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0456191.
  • Chen, Chong (陈翀) (2010). 慧萼东传枟白氏文集枠及普陀洛迦开山考 [On the Spread of Baishi Wenji to Japan by Hui E and the First Temple on Putuo‐Luojia Mountain]. 浙江大学学报 (人文社会科学版)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dition) (in Chinese). 40 (5): 44–54.
  • Ennin (1955) [850]. 入唐求法巡禮行記 [Ennin's Diary: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Translated by Reischauer, Edwin O. ISBN 9780826074003.
  • Foguangshan Foundation for Buddhist Culture and Education (佛光山文教基金會) (1989). 慧萼 [Hui'E]. 佛光山大詞典 (Foguangshan Dictionary of Buddhism) (in Chinese). p. 7605. ISBN 9789574571956.
  • Foguangshan Foundation for Buddhist Culture and Education (佛光山文教基金會) (1989). 齊安 [Qi'an]. 佛光山大詞典 (Foguangshan Dictionary of Buddhism) (in Chinese). p. 7472. ISBN 9789574571956.
  • Foguangshan Foundation for Buddhist Culture and Education (佛光山文教基金會) (1989). 義空 [Yikong]. 佛光山大詞典 (Foguangshan Dictionary of Buddhism) (in Chinese). p. 7010. ISBN 9789574571956.
  • Groner, Paul (1997). Ryogen and Mount Hiei: Japanese Tendai in the Tenth Centu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2606.
  • Hashimoto, Shinkichi (橋本進吉) (1972) [1922]. "慧蕚和尚年譜 (Chronology of the Monk Egaku)". 橋本進吉博士著作集 [Collected Works Authored by Dr. Hashimoto Shinkichi] (in Japanese). 12. 岩波書店.
  • Hibino, Kō (日比野晃) (1972). 禅の受容についての一考察―橘嘉智子と栄西の場合 [A Study on the Reception of Zen in Japan-The Case Study on Tachibana Kachiko and Eisai]. 中日本自動車短期大学論叢 (in Japanese) (3–4): 107–114.
  • Katsūra, Noriko (勝浦令子) (2017). 平安期皇后・皇太后の<漢>文化受容――信仰を中心に―― [Acceptance of Chinese culture by the Empress and Empress Dowagers of the Heian Period ---From the Viewpoint of Religious Beliefs]. 中古文学会春季大会・平安文学における<漢>の受容ーーその日本化の様相 (in Japanese): 107–120.
  • Ōtsuki, Yōko (大槻暢子) (2008). 唐僧義空についての初歩的考察――唐商徐公祐から義空への書簡―― [A Preliminary Study of the Tang Monk Giku: The Letters Addressed to Tang Priest Giku from a Tang Merchant Jokoyu]. 東アジア文化交渉研究 (in Japanese). 1: 129–140.
  • Park, Hyun-kyu (扑現圭[박현규]) (2003). Translated by Yang, Yulei (杨雨雷). (Original language in Korean). 中国佛教圣地普陀山与新罗礁 [China’s Buddhist Holy Land Putuoshan and Silla Reef]. 浙江大学学报 (人文社会科学版)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dition) (in Chinese). 33 (1): 39–46.
  • Putuoshan (2017). 慧锷 [Hui E [Egaku]]. 普陀山佛教网 (in Chinese). Retrieved 12 July 2019.
  • Putuoshan-en (2017). "Bukenqu (Unwilling to Go) Guanyin Temple". 普陀山佛教网. Retrieved 16 August 2019.
  • Reeves, Kristopher L. (2018). Of Poetry, Patronage and Politics: From Saga to Michizane, Sinitic Poetry in the Early Heian Court. Columbia University.
  • Tanaka, Fumio (田中史生); Ge, Jiyong (葛継勇); Lee, Yonghyeon (李鎔賢[이용현]); Wang, Haiyan (王海燕) (1 June 2011). 入唐僧慧萼の求法活動に関する基礎的研究 [A Basic Study of the Japanese Monk, Egaku in the Tang Dynasty] (PDF). KAKEN (in Japanese). Retrieved 12 July 2019.
  • Wang, Liansheng (王連胜) (2009). 普陀名山溯源 [The Origin of the Famous Putuoshan]. 佛教文化 (Buddhist Culture) (in Chinese) (3): 12–19.
  • Wang, Liansheng (王連胜) (2009). 普陀山寺院通览 [An Overview of the Temples in Putuoshan]. 佛教文化 (Buddhist Culture) (in Chinese) (3): 50–67.
  • Yü, Chün-Fang (2000). "P'u Tuo Shan". Kuan-yin, The Chinese Transformation of Avalokiteśvara.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353–406. ISBN 9780231120296.

추가 읽기

  • 『読み下し日本三代実録』 [Yomikudashi Nihon Sandai Jitsuroku] (in Japanese). Translated by Takeda, Yūkichi (武田祐吉); Satō, Kenzō (佐藤謙三). 戎光祥出版.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