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선종

Colorectal adenoma
대장선종
Tubulovillous adenoma.jpg
튜브형 선종(관형 구성 요소 - 이미지 왼쪽, 마을 구성 요소 - 이미지 오른쪽). H&E 얼룩.
전문위내과
증상증상이 없는 직장 출혈
합병증대장암
진단법대장내시경
치료다면 절제술

대장선종은 결장과 직장의 양성선종양이다. 대장암(대장암)의 전구병변이다.[1][2][3] 그들은 종종 대장성 용종으로 나타난다.

비교표

다양한 종류의 대장 용종의 발병 및 악성 위험. 아데노마투스 유형은 맨 위에 그룹화된다.
대장선종
유형 악성세포포함위험 조직병리학 정의
관선종 1.5 cm[4] 2% 부피의 75% 이상이 관 모양의 외관을 가지고 있다.[5]
튜불로빌루스선종 20%~25%[6] 25~75%의[5] 마을
부성선종 15%~40%[7][6] 75% 이상의 마을[5]
Sessile serrated adenoma([8]Sessile serrated adenoma)
  • 지하수확장
  • 기저암호세례
  • 지하막까지 수평으로 이어지는 암호(수평암호)
  • 암호화 분기.

관선종

정상(왼쪽) 대 이상(오른쪽 큰) 대장암호, 후자는 관선종 진단을 내린다.

과플라스틱 용종과는 대조적으로 이형성증을 나타낸다.[citation needed]

튜불로빌루스선종

TVA튜브형 아데노마보악성()이 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9]

부성선종

아데노마들악성()이 될 수도 있다. 마을성 아데노마는 약 15~25%의 사례에서 악성 부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름이 4cm 이상인 경우 40%에 근접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7] 큰 병변에는 대장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원소가 거의 형성되지 않은 큰 체적의 액체 변을 가진 분비물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다량의 점액을 분비하여 환자에게 저칼륨혈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내시경 검사에서는 마을 스트레칭으로 인해 질량 같은 '카울리플라워'가 설명된다. 선종이기 때문에 질량은 주상피세포로 덮여 있다.[citation needed]

세실레 톱니형 선종

세실 톱니형 선종의 마이크로그래프. H&E 얼룩

Sessile seriated adenomas는 (1) 암호의 기저확장, (2) 암호확장, (3) 지하막(수평암호), (4) 암호분지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들 중 가장 흔한 것은 암호의 기저 확장이다.

참고 항목

참조

  1. ^ Hardcastle, J. D.; Armitage, N. C. (1984). "Early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A review".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77 (8): 673–6. doi:10.1177/014107688407700812. PMC 1440108. PMID 6384511.
  2. ^ Schofield, P. F.; Jones, D. J. (1992). "ABC of colorectal diseases. Colorectal neoplasia—I: Benign colonic tumours". BMJ (Clinical Research Ed.). 304 (6840): 1498–500. doi:10.1136/bmj.304.6840.1498. PMC 1882234. PMID 1319254.
  3. ^ Srivastava, S; Verma, M; Henson, D. E. (2001). "Bio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colon cancer". Clinical Cancer Research. 7 (5): 1118–26. PMID 11350874.
  4. ^ Minhhuyen Nguyen. "Polyps of the Colon and Rectum". MSD Manual. 2019년 6월 마지막 전체 검토/개정
  5. ^ a b c Bosman, F. T. (2010).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SBN 978-92-832-2432-7. OCLC 688585784.
  6. ^ a b Amersi, Farin; Agustin, Michelle; Ko, Clifford Y (2005). "Colorectal Cancer: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Health Services". Clinics in Colon and Rectal Surgery. 18 (3): 133–140. doi:10.1055/s-2005-916274. ISSN 1531-0043. PMC 2780097. PMID 20011296.
  7. ^ a b Alnoor Ramji. "Villous Adenoma Follow-up". Medscape. 업데이트됨: 2016년 10월 24일
  8. ^ Rosty, C; Hewett, D. G.; Brown, I. S.; Leggett, B. A.; Whitehall, V. L. (2013). "Serrated polyps of the large intestine: Current understanding of diagnosis, pathogenesis, and clinical management". Journal of Gastroenterology. 48 (3): 287–302. doi:10.1007/s00535-012-0720-y. PMC 3698429. PMID 23208018.
  9. ^ Levine JS, Ahnen DJ (December 2006). "Clinical practice. Adenomatous polyps of the colon". N. Engl. J. Med. 355 (24): 2551–7. doi:10.1056/NEJMcp063038. PMID 17167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