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and 및 ausbau 언어

Abstand and ausbau languages

사회언어학에서 방관언어언어의 품종 또는 다른 모든 언어와 상당한 언어적 거리가 있는 품종의 군집인 반면, ausbau 언어표준 품종으로 관련 종속 품종이 있을 수 있다. Hainz Kloss는 "언어"[1]를 인식하기 위한 두 개의 독립적이고 대체로 독립적인 기준을 나타내기 위해 1952년에 이 용어를 도입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방언 연속체에서 나온 여러 가지 품종이 표준화되어 있는 상황을 다루기 때문에, 그것들이 상호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지라도 공통적으로 구별되는 언어로 간주된다. 대륙 스칸디나비아어들은 이러한 상황의 공통적인 예를 제공한다. 이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적용 중 하나는 언어 표준화(바스크로만쉬를 포함한 1960년대 이후의 예)이다.

아브스탠드어족

아브스탠다슈프는 문자 그대로 "거리 언어"를 의미한다. 클로스 교수는 지리적 분리보다는 언어적 차이를 참고해 영어 번역 '거리별 언어'를 제안했다.[1] Abstand는 기계적 설계에 의한 간격과 같이 지속적인 분리 거리를 의미한다. 언어의 다양성의 맥락에서, 방언은 두 방언의 불연속성을 나타낸다. 클로스(Kloss)의 말로, 언어의 다양성 사이에는 "확실한 단절"이 있다.[2]

방관언어는 어떤 다른 언어와 뚜렷이 구분되는 품종의 군집이다. 유럽의 예로는 바스크브레톤이 있다.[2] Kloss는 또한 한 쌍의 품종들 사이의 방관 정도에 대해서도 말했다.[3] 그는 언어학자들이 객관적 기준을 적용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두 품종 간의 차이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2] 표준 언어 기준은 상호 이해성이지만, 예를 들어 방언 연속체에 적용할 때 항상 일관된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4]

방관언어는 표준형식을 가질 필요가 없다. 이것은 더 큰 주 내에서 사용되는 소수 언어의 경우인 경우가 많은데, 소수 언어는 사적인 용도로만 사용되며, 모든 공식적인 기능은 다수 언어로 수행된다.

아우스바우어군

독일어 동사 ausbauen(문학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은 현존하는 구조에 추가되는 등, 무언가를 "확장"하거나 "완성하기 위해 무언가를 개발"한다는 핵심 의미를 표현한다.(크로아티아 언어학자 ž코 물자치치치치[hr]아우스바우스프라체를 프랑스어로 랑그 élaboration)로 번역했다.[5] Kloss는 "발달에 의한 언어"라는 영어 번역을 제안하면서 방언 연속체의 일부로부터 표준 다양성의 개발을 언급했다.[1]

이 범주에 속하는 언어는 문학적 표현의 표준화된 도구가 되기 위해 형태 또는 재형성, 성형 또는 리몰드되었기 때문에 그렇게 인식된다.

Kloss는 유머나 민속을 위한 다양성의 사용에서 시작하여 가사와 서술적인 산문을 차례로 사용하면서 이 발전의 몇 단계를 확인했다. 그가 결정적이라고 생각한 다음 단계는 진지한 논픽션에 이용되었다. 이 시점부터, 이 다양성은 기술, 과학 또는 정부 영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더 발전될 수 있다.[6]

이러한 방식으로 개발된 표준 품종은 다른 표준 품종과 상호 이해될 수 있다. 흔히 인용되는 예는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에 걸친 스칸디나비아 방언 연속체에서 나타난다. 표준화된 3개 언어(또는 노르웨이Bokm andl과 Nynorsk가 구별되는 경우 4개)는 서로 구별되는 ausbau 언어로서 서로 다른 표준의 화자들이 서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분류는 언어 사용의 사회적, 정치적 기능의 기준을 환기시킨다. 사회언어학자 피터 트루질(Peter Trudgill)은 클로스(Kloss)의 이론적 틀과 아이나르 하우겐(Einar Haugen)의 자율성과 이질적 틀에 연계시켰으며, 다양성은 다른 관련 언어와 관련하여 "자율적으로" 사용한다는 문구에 해당하는 ausbau 언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7] 그러한 언어는 같은 연속체의 다른 ausbau 언어와 상호 이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인 문화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8] 이것은 전형적으로 그것은 이웃 표준 언어와 독립된 표준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은 전형적으로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그것은 아마도 공식적인 국가 언어를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사회 및 정치적 기능에서 문자 언어로 사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ausbau 언어가 아닌 품종은 일반적으로 단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적인 맥락에서만 사용된다. Trudgill은 관련 품종을 포함하도록 정의를 확장한다.[8]

[A]n Ausbau 언어는 방언 연속체의 해당 부분에서 나온 모든 비표준 방언과 함께 자율적으로 표준화된 다양성으로, 방언 연속체(즉, 그것에 의존하는 것)에 대한 이질성이 있다.

루핑

Kloss는 ausbau 언어를 "루프"를 제공하는 것으로 묘사했다(독일어: ) 의존성 이상의 품종인 반면, 기준 기준이 없는 비표준 품종은 "지붕 없는 방언"[9]이었다. 는 로우 색슨(표준독일어), 오시탄아이티어 크리올(프랑스어), 사르디니아어(이탈리아어) 등 서로 관련이 있지만 상호 이해되지 않는 표준 품종별로 지붕을 올린 품종에 대해 '거의 대화형 자매어'라는 표현을 썼다.[10]

물자치치는 다른 방언의 표준어 역할을 하는 방언에 다흐스프라체(Dachsprache), 즉 '지붕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11] 이 방언들은 보통 방언 연속체 안에 있을 것이지만, 모든 방언들, 특히 상당한 지리적 거리에 의해 분리된 방언들 사이에서 상호간 정보화가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다를 수 있다. 1982년 하인리히 슈미드가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상당히 다른 로마어 형식을 위해 그와 같은 닥스프라체로서 "루만치 그리스춘"을 개발하였다.[citation needed] 마찬가지로 스탠더드 바스크어(Standard Basque)와 남부 케추아어(Southern Quecua) 문학 표준은 역사적으로 많은 방언과 "공식" 방언이 없는 이산언어로 여겨졌던 방언 연속어의 표준어로 개발되었다.[citation needed] 표준 독일어이탈리아어는 어느 정도는 같은 방식으로 기능한다. 아마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DachspracheModern Standard Arabian일 것이다. 이 아랍어는 많은 다양하고, 종종 상호 이해 할 수 없는 아랍어의 다양한 언어들을 함께 연결한다.

ausbau 언어 사이의 거리

Kloss는 ausbau 언어 사이의 3도의 분리를 인정했다.[12]

두 가지 표준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성에 가까운 방언에 기초할 때, 그는 그것들을 같은 표준의 변형으로서, 백색언어를 구성했다. 예로는 영국과 미국의 변종 영어, 유럽과 브라질의 변종 포르투갈어를 들 수 있다.[12] 높은 힌디우르두 역시 공통의 방언적 기반(Dehlavi)을 가지고 있다.[13]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린어 등도 마찬가지인데, 이 역시 같은 방언(쇼토카비아어)을 가지고 있으며,[14] 결과적으로 백색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4가지 표준 변형을 이루고 있다.[15][16][17][18][19]

다른 방언에서 만들어지지만 방관할 수 없는 표준은 별도의 방언으로 간주되지 않고 덴마크어, 스웨덴어노르웨이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뚜렷한 ausbau 언어를 구성한다.[12] ausbau의 개념은 특히 더 큰 지역에 걸쳐 지역 언어의 다양성이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중요하다. 이런 경우 한 언어가 어디에서 끝나고 다른 언어가 시작되는가에 대한 문제는 종종 방관보다는 ausbau에 대한 질문이다. 어떤 경우에, ausbau 언어는 국가 건설을 목적으로 방언으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이것은 룩셈부르크어의 vis-a-vis 독일어(룩셈부르크의 자국어는 모셀레 강 계곡의 독일 부분과 모젤레 인근 프랑스 지방에서도 사용되는 모셀레 프랑코니안의 다양한 종류)에 적용된다. 내부적으로는 석연치 않지만 여러 개의 ausbau 언어가 생겨난 자국어 집단의 다른 예는 이란의 페르시아어아프가니스탄이다. 다리);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 왜냐하면 방언의 기초가 다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ausbau 언어는 너무 달라서 또한 방관언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로는 네덜란드 독일어, 페르시아파슈토, 타밀 대 텔루구 등이 있다.[12]

시간에 따른 역할 변경

시간이 지나면서 역할 변화를 겪은 언어와 언어 쌍의 예가 몇 개 있다. 예를 들어, 낮은 독일어네덜란드독일 그리고 발트 주 일부와 그 이전 독일 부근에 있는 ausbau 언어와 지역 방언의 지붕이었다. 한자동맹의 종식과 함께 로우 독일어는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크게 잃었다. 대략 같은 시기에 네덜란드는 오늘날의 네덜란드 로우 작슨 그룹을 형성하는 네덜란드 로 독일어 방언의 지붕으로 로우 독일어를 대체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중앙 독일어 방언은 진화하는 하이 독일어의 "지붕" 밑에 들어갔다.[20] 발트해의 동쪽 테두리에서는 낮은 독일어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오늘날, 독일 북부에서 살아남은 그것의 방언들은 표준 독일어의 지붕 아래에 왔다.[21] 네덜란드에서 사용되는 낮은 독일어 방언들이 네덜란드어의 옥상 아래에 들어왔다.[20] 이것은 저독어 지역의 서구(더치)와 동부(프러시아, 현재 주로 폴란드어와 러시아어) 지역 사이의 양방향으로 주목할 만한 이주 흐름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편협함과 노동의 필요성 모두에 의해 동기부여되었다. 네덜란드-독일 국경을 따라 여러 곳에서 양쪽 방언은 동일한 방언으로 쓰이나,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다른 지붕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22]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클로스 1967 페이지 29.
  2. ^ a b c 클로스 1967 페이지 30.
  3. ^ 클로스 1967 페이지 33.
  4. ^ 챔버스 & 트루질 1998, 페이지 3-4.
  5. ^ 1989년, 페이지 278.
  6. ^ 1966년, 페이지 930.
  7. ^ Trudgill 2004, 페이지 2-3.
  8. ^ a b 트루딜 2004, 페이지 3
  9. ^ 2004년 암몬, 페이지 280.
  10. ^ 클로스 1967 페이지 34-35.
  11. ^ 물자치치 1993, 페이지 95.
  12. ^ a b c d 클로스 1967 페이지 31.
  13. ^ Dua, Hans Raj (1992). "Hindi-Urdu as a pluricentric language". In Clyne, Michael G (ed.). Pluricentric Languages: Differing Norms in Different Nations. Contributions to the sociology of language 62. Berlin & New York: Mouton de Gruyter. pp. 381–400. ISBN 3-11-012855-1. OCLC 24668375.
  14. ^ Gröschel, Bernhard (2009). Das Serbokroatische zwischen Linguistik und Politik: mit einer Bibliographie zum postjugoslavischen Sprachenstreit [Serbo-Croatian Between Linguistics and Politics: With a Bibliography of the Post-Yugoslav Language Dispute]. Lincom Studies in Slavic Linguistics 34 (in German). Munich: Lincom Europa. p. 451. ISBN 978-3-929075-79-3. LCCN 2009473660. OCLC 428012015. OL 15295665W.
  15. ^ Blum, Daniel (2002). Sprache und Politik : Sprachpolitik und Sprachnationalismus in der Republik Indien und dem sozialistischen Jugoslawien (1945–1991) [Language and Policy: Language Policy and Linguistic Nationalism in the Republic of India and the Socialist Yugoslavia (1945–1991)]. Beiträge zur Südasienforschung ; vol. 192 (in German). Würzburg: Ergon. p. 200. ISBN 3-89913-253-X. OCLC 51961066.
  16. ^ Bunčić, Daniel (2008). "Die (Re-)Nationalisierung der serbokroatischen Standards" [The (Re-)Nationalisation of the Serbo-Croatian Standards]. In Kempgen, Sebastian (ed.). Deutsche Beiträge zum 14. Internationalen Slavistenkongress, Ohrid, 2008. Welt der Slaven (in German). Munich: Otto Sagner. p. 93. OCLC 238795822.
  17. ^ Zanelli, Aldo (2018). Eine Analyse der Metaphern in der kroatischen Linguistikfachzeitschrift Jezik von 1991 bis 1997 [Analysis of Metaphors in Croatian Linguistic Journal Language from 1991 to 1997]. Studien zur Slavistik ; 41 (in German). Hamburg: Dr. Kovač. p. 21. ISBN 978-3-8300-9773-0. OCLC 1023608613. (NSK). (FFZG)
  18. ^ Kordić, Snježana (2009). "Plurizentrische Sprachen, Ausbausprachen, Abstandsprachen und die Serbokroatistik" [Pluricentric languages, Ausbau languages, Abstand languages and Serbo-Croatian studies]. Zeitschrift für Balkanologie (in German). 45 (2): 210–215. ISSN 0044-2356. OCLC 680567046. SSRN 3439240. CROSBI 436361. ZDB-ID 201058-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2. Retrieved 9 May 2013.
  19. ^ Kordić, Snježana (2010). Jezik i nacionalizam [Language and Nationalism] (PDF). Rotulus Universitas (in Serbo-Croatian). Zagreb: Durieux. pp. 69–168. doi:10.2139/ssrn.3467646. ISBN 978-953-188-311-5. LCCN 2011520778. OCLC 729837512. OL 15270636W. CROSBI 47556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 June 2012. Retrieved 15 April 2019.
  20. ^ a b Stellmacher 1981, 1부.
  21. ^ 클로스 1967 페이지 36.
  22. ^ Goltz & Walker 2013, 페이지 31–32.

참고 문헌 목록

  • Ammon, Ulrich (2004), "Standard Variety", in Wiegand, Herbert Ernst (ed.),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vol. 1 (2nd ed.), Berlin: deGruyter, pp. 273–283, ISBN 978-3-11-014189-4.
  • Chambers, J.K.; Trudgill, Peter (1998), Dialectology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9646-6.
  • Goebl, Hans (1989), "Quelques remarques relatives aux concepts Abstand et Ausbau de Heinz Kloss", in Ammon, Ulrich (ed.), Status and function of languages and language varieties, de Gruyter, pp. 278–290, ISBN 978-0-89925-356-5.
  • Goltz, Reinhard H.; Walker, Alastair G.H. (2013) [1989], "North Saxon", in Russ, Charles V.J. (ed.), The dialects of modern German: a linguistic survey, London: Routledge, pp. 31–58, ISBN 978-1-136-08676-2.
  • Haugen, Einar (1966), "Dialect, Language, N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68 (4): 922–935, doi:10.1525/aa.1966.68.4.02a00040, JSTOR 670407.
  • —— (1968), "The Scandinavian languages as cultural artifacts", in Fishman, Joshua A.; Ferguson, Charles A; Dasgupta, Jyotirindra (eds.), Language problems of developing nations, pp. 267–284, ISBN 978-0-471-26160-5.
  • Kloss, Heinz (1952), Die Entwicklung neuer germanischer Kultursprachen von 1800 bis 1950, Munich: Pohl, OCLC 3549152.
  • —— (1967), "'Abstand languages' and 'ausbau languages'", Anthropological Linguistics, 9 (7): 29–41, JSTOR 30029461.
  • —— (1976), "Abstandsprachen und Ausbausprachen" [Abstand languages and ausbau languages], in Göschel, Joachim; Nail, Norbert; van der Elst, Gaston (eds.), Zur Theorie des Dialekts: Aufsätze aus 100 Jahren Forschung, Zeitschrift für Dialektologie und Linguistik, Beihefte, n.F., Heft 16, Wiesbaden: F. Steiner, pp. 301–322, ISBN 978-3-515-02305-4.
  • Kordić, Snježana(2004년),"프로 und kontra:'Serbokroatisch의 heute"[프로와 콘트라:'Serbo-Croatian의 오늘](PDF), 크라우제 Marion;Sappok, 기독교(eds.), Slavistische Linguistik 2002:Referate 데 XXVIII.Konstanzer Slavistischen Arbeitstreffens, 보훔 10.-12.2002년 9월, Slavistishe Beiträge, 434(독일어로), 뮌헨vol.:.오토 Sagner,를 대신하여 서명함. 97–148, 아이 에스비엔 3-87690-885-X, 온라인 컴퓨터 도서관 센터 56198470, SSRN 3434516, CROSBI 430499, 원본에서 42012년 8월에, 3월 17일 2016년 돌려받지 못 했다.(ÖNB)(PDF)에서 보관하고 있다.
  • Muljačić, Žarko (1993), "Standardization in Romance", in Posner, Rebecca; Green, John N. (eds.),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Trends in Romance Linguistics and Philology, 5, pp. 77–116, ISBN 978-3-11-011724-0.
  • Stellmacher, Dieter (1981), Niederdeutsch: Formen und Forschungen, Germanistische Linguistik, 31, Tübingen: Niemeyer Verlag, ISBN 3-484-10415-5.
  • Trudgill, Peter (2004), "Glocalisation and the Ausbau sociolinguistics of modern Europe", in Duszak, A.; Okulska, U. (eds.), Speaking from the margin: Global English from a European perspective, Frankfurt: Peter Lang, pp. 35–49, ISBN 978-0-8204-7328-4.
  • Wrede, Adam (1999), Neuer Kölnischer Sprachschatz (12th ed.), Köln: Greven Verlag, ISBN 978-3-7743-0243-3.

외부 링크

다음 문서에는 유용한 정의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