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리딘 오렌지
Acridine orange아세리딘 오렌지는 세포 주기 결정에 유용한 양이온 특성을 가진 핵산 선택형 형광염의 역할을 하는 유기 화합물이다. 아세리딘 오렌지는 세포가 용해되기 때문에 염료가 DNA와 상호작용을 하거나 정전기적 매력을 통해 RNA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DNA와 결합했을 때, 아세리딘 오렌지는 플루오르세신이라고 알려진 유기 화합물과 매우 유사하다. 아세리딘 오렌지와 플루오르세인은 502nm와 525nm(녹색)로 최대 호기량이 있다. 아세리딘 오렌지가 RNA와 결합할 때 형광 염료는 525nm(녹색)에서 460nm(파란색)로 최대 흥분 변화를 경험한다. 최대 호기량 변화에 따라 최대 650nm(빨간색)의 배출량도 발생한다. 아세리딘 오렌지는 낮은 pH 환경을 견딜 수 있어 형광 염료가 산 가수분해나 세포 사포체 세포의 포고포토시스 산물 생산에 필수적인 막 결합형 유기체인 리소솜, 파고리소솜과 같은 산성 유기체를 투과할 수 있다. 아세리딘 오렌지는 에피플루오렌스 현미경 검사 및 유동 세포측정법에 사용된다. 산성 오르가넬의 세포막 침투 능력과 아세리딘 오렌지의 양이온 성질은 염료가 다양한 종류의 세포(즉, 박테리아 세포와 백혈구)를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최대 호기 파장과 방출 파장의 변화는 세포가 얼룩질 파장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1]
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N,N,N,N,-테트라메틸아크리딘-3,6-다이아민 | |
체계적 IUPAC 이름 3-N,3-N,6-N,6-N-Tetramethylacridine-3,6-diamine | |
기타 이름 3,6-아크리디네디아민 애시딘 오렌지 베이스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체비 |
|
켐벨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122.153 |
EC 번호 |
|
케그 | |
메슈 | 아세리딘+오렌지 |
펍켐 CID | |
RTECS 번호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17H19N3 | |
어금질량 | 265.360 g·190−1 |
외관 | 오렌지 가루 |
위험 | |
GHS 라벨 표시: | |
경고 | |
H302, H312, H341 | |
P281, P304+P340 | |
NFPA 704(화재 다이아몬드)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NVERIFI (?란 ? | |
Infobox 참조 자료 | |
광학 특성
환경의 pH가 3.5일 때 아세리딘 오렌지는 푸른 빛(460nm)에 의해 흥분된다. 아세리딘 오렌지가 푸른 빛에 들뜨면 형광 염료가 사람 세포를 녹색으로, 원핵 세포 오렌지(600nm)로 차등적으로 얼룩지게 할 수 있어 형광현미경으로 신속한 감지가 가능하다. 아세리딘 오렌지의 차등 얼룩 기능은 1000배율에서 작동하는 그램 얼룩에 비해 400배 낮은 배율의 시료 얼룩을 빠르게 스캔할 수 있다. 세포의 분화는 색이 있는 유기체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어두운 배경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날카로운 대조는 표본에 존재하는 유기체의 수를 세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아세리딘 오렌지가 DNA에 결합될 때 염료는 502nm에서 최대 호기량을 나타내며 최대 방출량은 525nm이다. RNA에 바인딩되었을 때 아세리딘 오렌지는 최대 방출 값이 650nm, 최대 호기 값이 460nm로 표시된다. 아세리딘 오렌지가 RNA에 결합되었을 때 발생하는 최대 호기 및 방출 값은 정전기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RNA와 DNA 내에 존재하는 아세리딘 분자와 핵산 염기쌍 사이의 상호교합의 결과물이다.[2]
준비
아세리딘 염료는 적절한 벤잘데히드를 함유한 1,3-다이아미노벤젠의 응결을 통해 제조된다. 아세리딘 오렌지는 디메틸아미노벤츠알데히드와 N,N-디메틸-1,3-다이아미노벤젠에서 유래한다.[3] 또한 3,6-아크리딘디아민의 에슈바일러-클라크 반응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역사
아세리딘 오렌지는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석탄을 끓여 아세리딘을 고립시킨 칼 그랩과 하인리히 카로에 의해 처음 발견된 유기 분자 아세리딘에서 유래되었다. 아세리딘은 다양한 환경에서 약물에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와 박테리아 분리에 유용한 항균인자를 가지고 있다.[4] 20세기 중반의 아세리딘 오렌지는 토양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함량과 수생 세균의 직접 수치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아스트리딘 오렌지 직접 계수(AODC) 방법은 매립지 내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를 열거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아세리딘 오렌지를 이용한 다이렉트 에피플루오린 필터 기법(DEFT)은 식품과 물 속 미생물 함량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 응용에서 아세리딘 오렌지의 사용은 널리 받아들여졌고, 주로 혈액 배양에서 박테리아를 강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양성 혈액 배양 감지를 위해 아세리딘 오렌지 얼룩과 맹목적인 하위 배양액을 비교한 과거 및 현재의 연구는 아세리딘 오렌지가 뇌척수액 및 기타 임상 및 비임상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해 그람 얼룩보다 더 민감하게 유화시키는 간단하고 저렴하며 빠른 얼룩 처리라는 것을 보여주었다.아이칼 [3]재질
적용들
아세리딘 오렌지는 에피플루오렌스 현미경 검사, 정자 크로마틴 품질 평가와 같은 많은 다른 분야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사용되어 왔다. 아세리딘 오렌지는 보통 멸균 시료의 신속한 검사에 유용하다. 아세리딘 오렌지를 플로우 시토메트리와 함께 사용할 경우, 미분 얼룩은 개별 세포에서 DNA 변성[5] 및 DNA 대 RNA의[6] 세포 함량을 측정하거나 불임 정자 세포에서 DNA 손상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7] 아세리딘 오렌지는 임상 및 비임상 물질에서 준비된 미생물의 형광 현미경 검출에 권장된다. 아세리딘 오렌지 얼룩은 미분 얼룩을 얻기 위해 산성 pH에서 수행해야 하는데, 이것은 박테리아 세포가 오렌지를 얼룩지게 하고 조직 구성 요소가 노란색이나 녹색으로 얼룩지게 한다.[8]
아세리딘 오렌지는 산성의 바쿠올(리소좀, 내포좀, 자가포도좀), RNA, DNA를 생세포에 착색시키는 데도 쓰인다. 이 방법은 Lysosomal vacuolation, autopady, apoptosis를 연구하기 위한 싸고 쉬운 방법이다. 살아있는 세포의 산성 바쿠올에서 pH가 떨어지면서 아세리딘 오렌지의 방출 색상은 노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빨강색으로 바뀐다. 이온 강도와 농도의 특정 조건에서는 아세리딘 오렌지가 교호작용을 쌓아 RNA에 결합할 때 적색 형광물질을 방출하고, DNA에 상호작용으로 결합할 때 녹색 형광물질을 방출한다. 아세리딘 오렌지 농도에 따라 핵은 치료되지 않은 세포에서 황색-녹색 형광물질을, 클로로킨과 같은 화합물에 의해 RNA 합성이 억제될 때 녹색 형광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9] 아세리딘 오렌지는 에티듐브로미드 또는 요오드 프로피듐과 함께 사용되어 실행 가능한 세포, 세포 사멸성 세포, 괴사성 세포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아세리딘 오렌지는 수막염과 같은 박테리아 감염의 임상 진단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 DNA를 형광 투출을 유발하는 혈액 샘플에 사용될 수 있다.[3]
참조
- ^ Yektaeian, Narjes; Mehrabani, Davood; Sepaskhah, Mozhdeh; Zare, Shahrokh; Jamhiri, Iman; Hatam, Gholamreza (December 2019). "Lipophilic tracer Dil and fluorescence labeling of acridine orange used for Leishmania major tracing in the fibroblast cells". Heliyon. 5 (12): e03073. doi:10.1016/j.heliyon.2019.e03073. PMC 6928280. PMID 31890980.
- ^ Sharma, Supriya; Acharya, Jyoti; Banjara, Megha Raj; Ghimire, Prakash; Singh, Anjana (December 2020). "Comparison of acridine orange fluorescent microscopy and gram stain light microscopy for the rapid detection of bacteria in cerebrospinal fluid". BMC Research Notes. 13 (1): 29. doi:10.1186/s13104-020-4895-7. ISSN 1756-0500. PMC 6958790. PMID 31931859.
- ^ a b c Mirrett, Stanley (June 1982). "Acridine Orange Stain". Infection Control. 3 (3): 250–253. doi:10.1017/S0195941700056198. ISSN 0195-9417. PMID 6178708.
- ^ Kumar, Ramesh; Kaur, Mandeep; Kumari, Meena (January 2012). "Acridine: a versatile heterocyclic nucleus". Acta Poloniae Pharmaceutica. 69 (1): 3–9. ISSN 0001-6837. PMID 22574501.
- ^ Darzynkiewicz, Z.; Juan, G. (2001). "Analysis of DNA denaturation". Curr. Protoc. Cytom. 7: 7.8. doi:10.1002/0471142956.cy0708s03. PMID 18770735. S2CID 37493288.
- ^ Darzynkiewicz, Z.; Juan, G.; Srour, E.F. (2004). "Differential staining of DNA and RNA". Curr. Protoc. Cytom. 7: 7.3. doi:10.1002/0471142956.cy0703s30. PMID 18770805. S2CID 45199347.
- ^ Evenson, D.P.; Darzynkiewicz, Z.; Melamed, M.R. (1980-12-05). "Relation of mammalian sperm chromatin heterogeneity to fertility". Science. 210 (4474): 1131–1133. Bibcode:1980Sci...210.1131E. doi:10.1126/science.7444440. PMID 7444440.
- ^ "Review" (PDF). ki.se.
- ^ Fan, C; Wang, W; Zhao, B; Zhang, S; Miao, J (2006-05-01). "Chloroquine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cell death in A549 lung cancer cell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4 (9): 3218–3222. doi:10.1016/j.bmc.2005.12.035. PMID 16413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