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7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
수십 년: | |
년: |
토픽별 1287 |
---|
리더스 |
출생 및 사망 카테고리 |
출생 – 사망 |
설립 및 해체 카테고리 |
시설 – 시설 해체 |
미술과 문학 |
1287년 시 |
그레고리력 | 1287 MCCLXXXVII |
아부르베콘디타 | 2040 |
아르메니아 달력 | 736 ԹՎ ՉԼԶ |
아시리아 달력 | 6037 |
발리 사카 달력 | 1208–1209 |
벵골력 | 694 |
베르베르 달력 | 2237 |
영국 섭정년 | 15 Edw.1 ~ 16 Edw.1 |
불교력 | 1831 |
버마 달력 | 649 |
비잔틴 달력 | 6795–6796 |
중국력 | 소방견 3983 또는 3923 - 대상... 불돼지 3984 또는 3924 |
콥트 달력 | 1003–1004 |
불일치 달력 | 2453 |
에티오피아 달력 | 1279–1280 |
히브리 달력 | 5047–5048 |
힌두력 | |
- 비크람 삼바트 | 1343–1344 |
- 샤카 샘뱃 | 1208–1209 |
- 칼리 유가 | 4387–4388 |
홀로세력 | 11287 |
이그보 달력 | 287–288 |
이란력 | 665–666 |
이슬람력 | 685–686 |
일본 달력 | 코안 10 (弘安10年) |
자바 달력 | 1197–1198 |
율리우스력 | 1287 MCCLXXXVII |
한국 달력 | 3620 |
민구오 달력 | 625 이전 ROC 民前625年 |
나나크샤히 달력 | −181 |
타이 태양력 | 1829–1830 |
티베트력 | 阳火狗年 (수컷 소방견) 1413, 1032 또는 260 - 대상... 阴火猪年 (암컷 파이어 피그) 1414, 1033 또는 261 |
1287년(MCCL XXXVII)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입니다(링크는 전체 달력을 표시합니다).
이벤트
장소까지
유럽
- 1월 17일 – 아라곤 부대 왕 알폰소 3세(자유)가 이끄는 메노르카 섬. Minorca의 스페인명. 섬 정복하다.그는 술탄 Abû 'Umar 이븐 Sa'îd 1월 21일에"조약 샌 Agayz의"에 서명한다.알폰소 자유 무역 상인들과 그들의 재산을 위한 정책을 채택합니다.그는 또한 Marinids에 아부 사이드 우스만와도 동맹을 1세, Zayyanid 왕국 틀렘센의 통치자(알제리 현대)결론을 내리고 있다.그는 5명에서 10galleys(과 함께 음식과 다른 상품들)500명 Zayyanid도 기병 대가로 그를 공급할 것을 제안한다.[1]
- 알폰소 3세(자유당)는 귀족 봉기(아라곤 연합이라 불림) 이후 귀족들에게 양보를 강요당한다.특히, 그는 그의 귀족들에게 '권리장전'을 수여한다.이것은 왕위를 존중할 이유를 점점 더 잘 알지 못하고 아라곤 왕국을 무정부 상태에 이르게 하는 귀족들 사이에 분열과 더 이상의 반발을 남긴다.반왕립주의 운동을 달가워하지 않는 알폰소는 마그나 카르타(대헌장)[2]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 6월 23일 – 백작 전투: 라우리아의 로저 제독이 이끄는 아라곤-시칠리아 함대(약 50척)가 나폴리 근교에서 70척의 대형 앙주 함대를 격파했다.거짓 퇴각 후 로저는 사방에서 앙주 갤리선을 공격한다.하루 종일 계속되는 전투 동안, 앙주 함대는 흩어지고 약 40척의 갤리선과 5,000명의 포로가 생포된다.승리 후, 로저는 제임스 2세의 어떠한 승인도 받지 않고, 나폴리인들과 휴전한다.
- 6월 – 중국 네스토리우스 승려이자 외교관인 Rabban Bar Sauma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이탈리아로 여행한다.그곳에서 그는 나폴리에 도착하여 아라곤 함대와 앙주 함대 사이의 항구에서 해전을 목격한다.바르 사우마는 로마로 가지만, 최근에 사망한 교황 호노리오 4세를 만나기엔 너무 늦게 도착한다.대신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콘클라베에 있는 추기경들과 협상에 임하고 있으며, 세인트루이스에 방문한다. 베드로 대성당.바르 사우마는 제노바로 가서 따뜻한 [3]환영을 받는다.
- 9월 - Rabban Bar Sauma가 파리에 도착하여 King Philip IV(Fair)의 방청객으로 맞이합니다.그는 궁정에서 한 달을 지내며, 그가 머무는 동안 필립은 생트 샤펠(또는 성스러운 예배당)을 돌며 고 루이 9세(성인)의 수난 유물 컬렉션을 본다.필립은 바르 사우마에게 많은 선물을 주고 그의 귀족 중 한 명인 고베르 드 헬레빌을 몽골 땅으로 돌려보낸다.이에 대응하여, 그는 프랑스 [4]및 영국과 군사 동맹을 맺으려고 시도한다.
- 12월 14일 – 북해와 영국 해협에 거대한 폭풍과 관련된 폭풍조류가 발생하며, 세인트루이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루시아의 홍수는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네덜란드와 영국의 해안선을 다시 만들었습니다.네덜란드에서는 북해와 얕은 호수 사이의 경계선이 무너져 역사상 다섯 번째로 큰 홍수가 발생했는데, 이 홍수는 Zuider Zee 만을 만들어 5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이것은 또한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바다 접근을 제공하여 중요한 항구 도시로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 겨울 – 몽골의 폴란드 침공:탈라부가 칸과 노가이 칸이 이끄는 몽골군(약 3만 명)이 폴란드를 세 번째로 공격한다.루블린, 산도미에르츠, 시에라즈 도시들은 침략자들에 의해 황폐해졌다.노가이 칸은 크라쿠프를 포위하고 요새화된 도시를 공격하는데 실패하며, 그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다.
잉글랜드
- 2월 - 사우스잉글랜드 홍수: 큰 폭풍이 남해안을 강타했습니다.이것은 Cinque Ports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그 중 두 곳이 피해를 입었습니다(Hastings와 New Romney).이 폭풍은 롬니 습지와 브룸힐 근처의 올드 윈첼시를 파괴한다.로터강은 거의 파괴된 뉴 롬니에서 벗어나 항구로서의 역할을 끝내고, 로터강은 항구로서의 전망이 강화된 라이의 바다로 대신 운영된다.헤이스팅스에서 절벽이 무너져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이 끝나고 헤이스팅스 성의 일부가 파괴된다.새로운 윈첼시는 더 높은 [5]곳에 세워졌다.
- 6월 8일 – 리스 압 마레두드가 이끄는 웨일스 군대는 웨일스에서 에드워드 1세(롱생크)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다.비록 Maredudd는 과거에 영국인들을 도왔으나, 그는 Edward가 세금 때문에 그를 부당하게 대했다고 비난한다.반군은 스완지와 카마텐을 포함한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그들은 데헤이바르스의 심장부인 이스트라드 티위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1288년까지 반란은 진압되지 않을 것이다.)
- 여름 – 에드워드 1세(롱생크)는 알메인의 에드먼드가 지휘하는 글로스터에서 군대를 일으켜 웨일스의 반란에 대응한다.영국군은 3주 동안 드라이슬윈 성을 포위했고, 그 후 장막이 무너진 후 성이 함락된다.Rhys ap Maredudd는 9월 말 마침내 요새가 함락되기 전에 탈출하여 잠적한다.
- 12월 - 노퍽의 일부 지역이 침수되고 서퍽의 던위치 항구는 더욱 황폐화된다.더 펜스에서는 폭풍과 바다의 폭력으로 스팔딩의 수도원과 많은 교회가 전복되고 파괴된다: "네덜란드 일부 지역의 나라 전체가 대부분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웅덩이로 변했다.많은 남자, 여자, 아이들이 물에 잠겼고, 특히 보스턴 마을에서는 그 대부분이 [6]파괴되었다.
중동
- 봄 – 일칸국의 몽골 통치자 아르군 칸은 맘루크 술탄국에 맞서 군사동맹을 체결하는 임무를 띠고 라반 바르 사우마 휘하의 대사관을 파견하고 예루살렘을 점령한다.그는 큰 레티누(선물과 편지를 들고)와 30마리의 동물을 타고 타브리즈에서 아르메니아를 거쳐 트레비존드까지 여행한다.바르 사우마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해 안드로니코스 2세(팔라이올로고스)[7] 황제의 접견을 받는다.
- 3월 – 술탄 칼라운(승리왕)이 이끄는 맘루크군이 안티오키아 공국의 마지막 잔존물인 라타키아를 점령한다.도시 항구는 쉽게 그의 손에 넘어갔지만, 방어자들은 항구 입구에 있는 성채로 물러난다.마침내 칼라운은 4월 [8]20일 십자군 수비대를 항복시키도록 강요한다.
- 10월 19일 – 트리폴리의 통치자 보헤몽 7세가 자녀 없이 사망한다.그의 뒤를 이어 그의 여동생 루시아가 물려받았는데, 루시아는 나폴리의 전 제독인 나르조 드 투시와 결혼했다.그러나 귀족들은 이 결정에 달가워하지 않고 보헤몽의 어머니인 아르메니아 [9]왕비 시빌라에게 백국을 제공한다.
- 겨울 – 두 명의 신원 미상의 '상인'이 지중해 동부 제노아의 지배로 인한 경제적 위험을 칼라운에게 경고하기 위해 알렉산드리아에서 카이로로 여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맘루크 무역은 그들의 자유에 맡겨집니다.칼라운은 개입 요청을 받아들여 [10]트리폴리와의 휴전을 파기했다.
아프리카
아시아
- 1월 30일 - 와레루는 파간 왕국의 붕괴 이후 한타와디 왕국(현재의 미얀마)을 창설한다.그는 4월 5일 왕위에 올라 파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다.
- 5월 14일 - 보르지긴 일족의 몽골 왕자 나얀이 쿠빌라이 칸의 통치에 반기를 든다.쿠빌라이는 만주에서 나얀에 대한 토벌 원정을 이끌고 7월 16일 그의 군대를 물리친다.
- 12월 - 이간 전투: 테무르 칸이 이끄는 몽골이 이끄는 위안군(약 7,000명의 기병)이 이간 왕국의 티하투 왕을 물리칩니다.왕국은 붕괴되고 무정부 상태가 뒤따른다.
- 란나왕국(현대 태국)의 망라이왕과 수코타이왕국의 람 캄행왕은 평화협정에 동의한다.그들은 "강력한 우정 협정"[12]을 확립한다.
주제까지
예술과 문화
경제.
종교
- 3월 16일 뷔르츠부르크 시노드: 조반니 보카마자 추기경과 루돌프 1세가 뷔르츠부르크에서 교회 회의를 개최합니다.집회가 진행되는 동안, 지오바니는 루돌프(이탈리아인 주그로 알려진)의 로마 원정과 황제의 [14]대관식에 자금을 대기 위한 성직자들의 세금 부과를 발표한다.
- 4월 3일 – 교황 호노리오 4세는 로마에서 2년간의 교황 재임 후 선종한다.재위 중 시칠리아를 교황의 속국으로 되돌리려 하지만 호노리우스는 시칠리아의 독립을 지지하는 페드로 3세(대왕)와 충돌한다.
- 스웨덴의 웁살라 대성당 건설이 시작됩니다.
Births
- 1월 24일 - 리처드 아웅에르빌, 영국 주교 (d. 1345)
- 4월 25일 – 로저 모티머, 영국의 사실상의 지배자 (d. 1330)
- 6월 15일 – 앨리스 드 바렌, 영국 귀족 여성 (d. 1338)
- 9월 29일 - 존 헤이스팅스, 영국 귀족 (d. 1325년)
- 11월 1일 - 알안달루세 통치자 그라나다의 나스르 (d. 1322)
- 프레드릭 1세, 피에몬테의 귀족이자 기사(d. 1336년)
- 가스톤 1세, 옥시탄 귀족, 왕자, 기사(d. 1315)
- 기 드 펜티에브르, 브르타뉴 귀족이자 기사(d.1331)
- 이븐 누바타, 이집트 학자, 시인, 작가 (1366년 [15]사망)
- 고노에 쓰네히라 궁정 (1318년 사망)
- 마가렛 드 클레어, 노르만 아일랜드 귀족 여성 (1333년 생)
- 카스텔로의 마가렛, 이탈리아 수녀이자 교사(1320년 사망)
- 올리버 잉햄, 영국의 지주이자 기사(d. 1344년)
- 로베르 3세, 프랑스 귀족(카페 가문)(d. 1342년)
- 탕디, 중국의 산수화가이자 시인 (1355년 사망)
- 울리히 5세, 독일 귀족, 원수, 기사(d. 1354년)
- 왕면(또는 원장), 중국 화가(1359년)
- 장주, 중국 역사학자, 시인, 작가 (1368년 사망)
사망.
- 4월 3일 – 가톨릭 교회 교황 호노리오 4세 (b. 1210년)[16]
- 7월 1일
- 7월 27일 – 영국 추기경 겸 의사인 Evesham의 휴
- 8월 13일 - 일본 귀족 호조 시게토키 (1241년)
- 8월 29일 - 토마스 드 클레어, 노르만 귀족 (b. 1245년)
- 8월 31일 - 독일 시인 겸 작가 콘라트 폰 뷔르츠부르크
- 9월 8일 – 이탈리아 집사 겸 추기경 Giordano Orsini
- 10월 19일 - 아우트레메르 귀족 보헤몽 7세 (b. 1261년)
- 10월 21일 – Stephen Bersted, 영국 성직자 겸 주교
- 아부 알 압바스 알 무르시, 안달루시아 수피 지도자 (b. 1219년)
- 아주(또는 아주), 몽골의 장군이자 재상(b. 1227년)
- 독일 왕자 베른하르트 1세(아스카니아 왕가) (b. 1218년)
- 고프레도 다 알라트리, 이탈리아 귀족, 성직자, 추기경
- 잉게보르 에릭스도터, 노르웨이 왕비(b. 1244년)
- 릴린 압 다피드, 웨일스 귀족이자 왕자 (b. 1267년)
- 프리예즈다 1세, 보스니아 귀족(반)과 기사(b. 1211년)
- 윌리엄 1세 드 라 로체, 라틴 귀족이자 대리인
- 윌리엄 드 페러, 영국의 귀족이자 기사 (b. 1240년)
- 쿠야비아의 지에모미스우, 폴란드 왕자 및 기사 (b. 1245년)
레퍼런스
- ^ 조셉 F.O'Callaghan (2011).지브롤터 십자군: 카스티야와 해협 전투, 95페이지 ISBN978-08122-2302-6.
- ^ 체이토, 헨리 존(1933년).아라곤과 카탈로니아의 역사, 126페이지. 런던:메튜엔.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333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334ISBN 978-0-241-29877-0.
- ^ Simons, Paul (2008). Since Records Began. London: Collins. ISBN 978-0-00-728463-4.
- ^ 휠러, M.Inst.C.E, 윌리엄 헨리(1896년).강 위텀과 웰랜드와 그들의 어귀의 펜스는 링컨셔의 역사, 설명, 개간, 배수의 계좌, 그리고 fens의 동심 원형 실린더 내 인접한 합의.(2판). 그렇듯 뉴콤브가(보스턴), Simpkin, 마샬 &, 제조 업체(런던).P.27.doi:10.1680/ahotfosl2e.50358., 1287년의 스토우의 기록을 인용하다.
- ^ 모리스 로사비(2014).위안에서 현대 중국 및 몽골까지: 모리스 로사비의 글.BRELL. 페이지 385-386.ISBN 978-90-04-28529-3.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337페이지. 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페이지 337-338ISBN 978-0-241-29877-0.
- ^ 스티븐 런시만(1952년).십자군 원정의 역사 Vol III: 아크레 왕국, 339쪽ISBN 978-0-241-29877-0.
- ^ Meynier, Gilbert (2010). L'Algérie cœur du Maghreb classique. De l'ouverture islamo-arabe au repli (658-1518). Paris: La Découverte. p. 163. ISBN 978-2-7071-5231-2.
- ^ Coedés, George (1968).월터 F.Vella(에드)동남아시아의 인도화 국가, 195페이지.번역:수잔 브라운 카윙.하와이 대학 출판부ISBN 978-0-8248-0368-1.
- ^ Munro, John H. (2003). "The Medieval Origins of the Financial Revolution". 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15 (3): 506–562.
- ^ 월터, 잉게보리(1969년)."보카마짜, 지오반니"디지오나리오 바이오그라피코 델리 이탈리아니, 페이지 169제11권: 보카디부 보네티(이탈리아어).로마: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ISBN 978-8-81200032-6.
- ^ Rikabi, J. (1971). "Ibn Nubāta". In Lewis, B.; Ménage, V. L.; Pellat, Ch. & Schacht, J.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III: H–Iram. Leiden: E. J. Brill. pp. 900–901. OCLC 495469525.
- ^ "Honorius IV pop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January 11,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