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히 길었던 이번 2025년의 설 연휴, 다들 잘 보내셨나요? IT업계는 연초 행사인 CES 2025를 통해 공개된 다양한 소식, 특히 RTX 50 시리즈의 소식으로 바빴던 한 달이었던 것 같습니다. 2년이 넘도록 소식이 없던 차세대 그래픽카드에 대한 내용이다 보니 그럴 만도 했던 것 같습니다.
이번 2월에도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된 컴퓨터 견적을 확인할 수 있는 'Skywalkers'님의 IT 인벤 2월 추천 견적을 준비했습니다.
Skywalkers 님은 오랜 기간 꾸준히 IT 인벤의 견적 게시판에서 게이머 분들의 문의에 대한 답변을 올려 주시고 있으며, 견적에 대한 추가 질문이나 궁금한 점에 대해서도 상세히 답변해 주시고 있습니다. IT 전문 블로그를 운용했던 경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하드웨어 정보들을 공유하여 IT 인벤의 추천 견적 작성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관심을 바탕으로 작성된 이달의 컴퓨터 추천 견적 정보를 통해, 컴퓨터를 새로 구입하시거나 부품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생겼을 때 인벤 게이머 분들께서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컴퓨터 견적에 사용된 부품 조합, 선호하는 부품의 제조사, 제품의 가격 대 성능과 활용성 등 구성에 대한 부분은 사용자별로 의견이 갈릴 수 있으며 명확한 정답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시는 것은 언제든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공격적인 발언과 인신공격 등으로 작성자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은 자제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Skywalkers입니다.
2024년 새해를 맞이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1월이 지나고 2월이 찾아왔네요. 아직은 추운 겨울이지만 곧 다가올 봄을 기다리는 설렘이 커집니다. 2월은 1년 중 가장 짧은 한 달이지만 건강과 웃음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지난달에는 IT 관련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행사인 CES 2025가 있었습니다. 가장 궁금해했던 NVIDIA의 새로운 제품이 발표 및 출시일이 공개되었죠. RTX 5080과 RTX 5090이 1월 30일(국내 기준 1월 31일) 출시가 되었습니다. 기사가 작성되는 시기가 아무래도 출시 직전의 시기라 면밀히 다루기는 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에서는 DLSS4가 새롭게 적용된 5000번대 제품의 경우 RTX 5090과 RTX 4090은 2배 가까운 성능 차이를, 발표된 RTX 50 시리즈 중 가장 하위 모델인 RTX 5070은 RTX 4090과 동급 수준이라고 발표했습니다. DLSS가 적용된 상태에서의 비교라 물리적인 성능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되었죠.
공개된 RTX 5090의 성능을 보자면 FHD 해상도에서의 RTX 4090과의 성능 차이는 대략 14%, QHD 해상도에서는 약 22% 그리고 UHD 해상도에서는 약 30%의 성능 차이를 보였습니다. DLSS가 적용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성능 차이는 기대만큼 크지는 않다는 의견입니다.
대신 TGP(Total GPU POWER)는 575W로 RTX 4090의 450W에 비해서 약 30%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해서 성능 향상이 된 만큼 전력 소모량도 늘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권장 파워도 1000W라서 RTX 5090을 구매하시려는 유저는 넉넉하게 1200W 이상급의 파워서플라이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RTX 5080의 경우 메모리 용량, 메모리 버스, 대역폭 등 모든 부분이 절반 수준으로 커팅되었고 TGP는 360W로 RTX 4080의 320W에 비해서 40W 정도 소폭 높아졌습니다. 전력 소모량의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라 성능 향상도 크게 될 것으로 보아지는 않지만 이 부분은 벤치마크가 공개되는 시점에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2월 중에 나머지 제품인 RTX 5070 Ti와 RTX 5070이 출시가 될 예정이며 각각 제품의 TGP는 300W와 250W입니다.
라데온도 CES 2025에서 새로운 세대 제품인 RX 9070 XT와 RX 9070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가격과 성능 그리고 출시일 등의 공식적인 정보에 대한 발표가 아직이기에 이 부분은 추후 확인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픽카드와 더불어 가장 기대가 되었던 AMD CPU의 남아 있는 한 발이라고 할 수 있는 3D CPU도 발표됐습니다. 16코어 32스레드의 9950X3D와 12코어 24스레드인 9900X3D 두 제품이 2025년 1분기에 출시가 될 예정입니다. 아마도 그래픽카드와 큰 차이 없이 3월 중에 출시가 되지 않을까 예상이 되네요.
먼저 출시가 되었던 9800X3D와 게임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겠지만 작업 성능에 있어서는 아주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지난달에는 또한 논 K 인텔 울트라 200 제품군이, 메인보드도 새로운 보급형 칩셋인 H810과 B860이 출시되었습니다. AMD도 보급형 칩셋인 B850과 B840이 출시가 되어서 게이밍 PC에 대한 선택지가 넓어졌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번 달 구성은 작성일 기준 신제품 출시 전이라 지난달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RTX 50시리즈 출시 직전의 영향으로 RTX 40시리즈 그래픽카드는 전멸이라고 해도 무방한 상황이라 RTX 50 시리즈의 유통이 본격화되면 예산과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사무용 구성
지난달과 동일한 AMD 라이젠5 5500GT APU 기반의 구성입니다. 5500GT의 경우는 5600G를 완벽히 대체하는 제품으로 생산성도 더 높으면서 그동안 지원하지 않았던 PBO 기능까지 제공함으로써 활용도가 보다 더 높은 APU입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인텔 팬티엄 골드 G7400으로 구성했습니다. AI를 필두로 차세대 프로세서까지 출시된 상황이지만 저가형이라고 할 수 있는 셀러론이나 팬티엄 골드 라인은 여전히 미출시 상태입니다. 해당 라인의 새로운 CPU가 출시되지 않는다면 당분간은 이 구성이 계속될 것 같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DDR5 메모리 기반의 AMD 라이젠5 8500G의 구성입니다. 메인보드는 가성비 좋은 A620 칩셋의 제품과 조합했고 Gen4 규격의 SSD도 탑재했습니다. 8600G와 8700G 간에는 아직 가격 차이가 좀 있는 편이라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겠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DDR5 기반의 14세대 i3-14100 구성입니다. 가성비 좋은 B760 칩셋의 메인보드와 Gen4 규격의 SSD로 조합했습니다. 추가로 i3-12100과 i3-13100도 모두 같은 소켓을 사용하고 성능 차이도 크지 않기에 예산과 판매 금액대를 확인하면서 세 제품 중에 하나 구매하면 되겠습니다.
게임용 구성
지난달과 동일한 게임 가성비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는 AMD 라이젠5 5600과 RX 7700 XT의 조합입니다. QHD 해상도까지도 커버가 가능한 절대 가성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픽카드의 경우 RX 6600이나 RX 7600으로 구성해서 금액적인 측면에서 조금 더 저렴하게 접근할 수도 있겠네요.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카드를 선호하는 경우 원래 같았으면 4060 Ti로 구성할 수 있지만 현재 유통되고 있는 제품도 거의 없으면서 가격도 10만 원 이상 인상된 상태라 현시점에서는 추천을 하기가 어려운 제품입니다. 정 급하게 지포스로 해야 하는 유저라면 RTX 4060 수준으로 타협하거나 상황이 된다면 구매를 조금 기다리는 것 또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i5-12400F 기반의 구성입니다. 인텔은 12세대부터 벌크(트레이) 제품도 정품과 동일하게 3년 무상 A/S를 진행합니다. 구성은 정품으로 했지만 벌크 버전과의 가격 차이를 확인하고 상황에 따라 합리적으로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그래픽카드는 AMD 구성에서와 동일하게 라데온 RX 7700 XT로 구성했습니다.
게임용 일반에서는 인텔과 AMD 모두 이전 세대 제품들로 구성이 되었는데 그만큼 아직까지는 경쟁력이 충분한 프로세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역대급 가격 대비 성능을 보여주는 CPU들이 인텔의 12세대 i5와 AMD의 3세대 R5인 것 같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라이젠5 7500F와 RTX 4070 SUPER를 기반으로 한 구성입니다. 현재 지포스 그래픽카드는 대부분 품절이 상태라 선택지가 많이 없습니다. 가격도 대폭 상승한 경우가 많고요. 2월 중에 출시 예정인 RTX 5070을 기다리거나 라데온도 상관없다면 AFMF2 등 신기능을 사용해서 프레임 이득을 더 많이 볼 수 있는 RX 7800 XT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i5-14600KF 기반의 구성입니다. 14코어(P6+E8) 20쓰레드(P12+E8)가 적용되어 있어서 게임에서뿐만 아니라 고사양을 요구하는 그래픽 작업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기 좋은 CPU입니다.
그래픽카드는 앞서 언급한 AMD와 동일하게 RTX 4070 SUPER로 구성했고 상위 제품들도 커버가 가능하니 RTX 50 시리즈 유통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예산과 요구로 하는 PC 사양에 맞춰 탄력적으로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라이젠7 9800X3D 구성입니다. 그동안 품귀 현상으로 인해서 100만 원을 넘어가던 CPU였는데 점차 가격이 안정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RTX 4070 Ti SUPER로 구성을 했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RTX 50시리즈 그래픽카드 출시 이후 구매를 한다면 예산에 맞게 차세대 그래픽카드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난달과 동일하게 게임 끝판왕인 14세대 i9-14900KF 기반의 구성입니다. 8개의 P코어(8C/16T)와 16개의 E코어(16C/16T)를 가지는 인텔의 최상위 CPU로 24코어 32쓰레드로 역대 인텔 데스크탑 제품 중에서는 압도적인 코어 수를 자랑하는 제품입니다. 게임뿐만 아니라 최고 수준의 고사양 작업 환경에서도 탁월한 선택이 되겠네요.
하이엔드 구성
지난달과 동일한 젠5 CPU의 최상위 제품인 라이젠9 9950X를 기반으로 한 구성입니다. 9950X도 품귀 현상으로 가격이 대폭 인상이 되었지만, 이번 달에는 가격이 많이 안정화가 되었습니다. 현시점 작업 성능이 최상위면서도 게임 성능 또한 좋은 편이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메모리도 사양을 고려하여 32GB를 듀얼 채널로 적용한 64GB로 넉넉하게 구성했습니다. 9950X의 TDP가 170W로 제법 높은 편이라 3열 대장급 수냉쿨러로 조합했고요. 그래픽카드는 RTX 4080 SUPER로 구성되어 있지만 RTX 50시리즈가 출시되면 해당 제품들로 구성하면 되겠습니다.
지난달과 동일한 인텔 코어 울트라 7 시리즈2 265K 기반의 구성입니다. 20코어(P8+E12) 20스레드(P8+E12)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전 세대 제품인 i7-14700K 대비 더 적은 전력 소모로 더 높은 멀티 성능을 보여주기에 다양하게 활용하기 좋습니다.
메인보드는 CPU와 함께 새롭게 출시된 Z890 칩셋 중 1280A급 출력의 튼튼한 드라이브 모스펫 전원부가 적용되어 있는 제품으로 구성했습니다.
워크스테이션 구성
지난달과 동일한 96코어 192스레드의 끝판왕 사양을 자랑하는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PRO 7995WX로 구성했습니다. 딥러닝과 하드한 고사양 그래픽 및 영상작업 그리고 AI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다중 방송 송출용으로 사용하기에 훌륭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메인보드도 WRX90 소켓으로 구성, 8채널 메모리를 지원하여 48GB 메모리 총 8개를 장착한 무려 384GB의 메모리로 구성해 봤습니다. 그래픽카드는 RTX 4090으로 구성했지만 RTX 50시리즈 출시 이후 RTX 5090으로 대체하면 됩니다.
인텔의 차세대 AI CPU의 최상위 성능 제품인 24코어(P8+E16) 24스레드(P8+E16)가 적용되어 있는 인텔 코어 울트라9 시리즈2 285K와 플래그십 메인보드라고 할 수 있는 MSI MPG Z890 카본 WIFI 기반의 구성입니다.
MSI MPG Z890 카본 WIFI는 무려 22페이즈(20+1+1) 전원부에 페이즈당 110A급 출력의 드라이버 모스펫이 적용되어 있어서 최대 2200A급 출력을 자랑하는 압도적인 사양을 제공합니다.
이상으로 2025년 2월 추천 견적을 마치겠습니다.
2월에는 RTX 50시리즈 그래픽카드가 모두 출시됩니다. 전력 소모량이 늘어난 만큼 더 높은 용량의 파워로 구성해야 하지만 4000번대 그래픽카드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라 결국 새롭게 PC를 맞추는 경우 RTX 50시리즈를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CPU는 인텔의 차세대 AI CPU, 울트라 200의 논K 버전 제품과 함께 보급형 메인보드가 출시되었고 AMD도 보급형 메인보드가 출시되면서 선택지가 많아졌습니다. AMD CPU의 경우 1분기에 나머지 3D CPU인 9950X3D와 9900X3D가 출시될 예정이고 논X 버전 혹은 내장그래픽을 제거한 보급형 F 버전 제품이 출시될 수도 있다는 소문이 있으니 이 부분도 지켜보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달에도 새로운 소식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