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75Y1 - 가스 주입호울더 - Google Patents
가스 주입호울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0075Y1 KR940000075Y1 KR2019910002878U KR910002878U KR940000075Y1 KR 940000075 Y1 KR940000075 Y1 KR 940000075Y1 KR 2019910002878 U KR2019910002878 U KR 2019910002878U KR 910002878 U KR910002878 U KR 910002878U KR 940000075 Y1 KR940000075 Y1 KR 9400000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gas injection
- holder
- air supply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로서, 제2a도는, 가스주입을 하지 않는 상태의 도면, 제2b도는, 가스주입상태의 도면.
제3도는, 본 고안 가스주입 호울더의 에어공급유통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제3a도는 에어 조절밸브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b도는 에어 조절밸브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 가스 주입호울더의 일부 절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가스주입호울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주입호울더 2 : 유지체
3 : 가스충전주입체 4 : 단턱부
5 : 에어공급유통로 5A : 개방부
5B : 폐쇄부 6 : 에어개폐 조절밸브
7 : 에어공급로 8, 8A : 스프링
9 : 피스톤 10 : 실린더체
11 : 가스메인 유통관 11A : 가스메인유통로
12 : 유동관 12A : 안쪽돌턱부
12B : 관통로 13 : 팩킹하우징
14 : 팩킹 15 : 링
17 : 가스노즐하우징 16 : 실린더커버
17A : 돌턱부 18 : 유통로
19 : 손잡이체 20 : 가스통
21 : 돌기 22 : 가스흡입구
23 : 플랜지
본 고안은 가스용기에 액화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호울더에 관한 것으로, 가스주입호울더의 앞끝단에 갈고리 형상의 유지체를 형성하여 가스통의 돌기와 걸어맞춤 함으로써, 가스주입호울더와 가스통과의 기밀을 유지하고, 가스주입호울더의 손잡이부를 스프링 현상의 탄성재로 형성하여 가스주입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며, 가스주입호울더의 실린더내부로 통하는 에어공급유통로가 형성된 에어공급관으로의 에어공급에 의해 피스톤과 이 피스톤과의 관통로가 형성된 유동관을 맞닿게 시켜 왕복 동작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유동관내에 가스충전 주입체를 형성하여 가스주입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용기에 액화(L. P. G 또는 부탄등)가스를 주입시키는 가스충전소에는, 저울상에 빈가스용기를 올려놓고 빈 가스용기의 중량을 가산한 다음 총중량 만큼의 가스를 가스용기에 충전시켜서 가스의 실중량분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가스는 순식간에 빈가스통에 충전되므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가스주입호울더를 개폐시키는 조작방식은 가스 정격용량의 주입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며, 이를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가스의 정격 용량이 빈가스통에 주입되었을때, 전자제어에 의하여 가스 주입호울더를 차단하는 자동방식의 가스충전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가스주입호울더와 빈가스용기의 가스주입 과정에서 가스통과 가스주입 호울더의 밀착성이 약하여 가스가 유출되어 버리므로, 불필요하게 액체가스가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가스주입 호울더에 잔류하고 있던 가스의 유출로인한 가스의 원활한 충전작업의 효율성을 저하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고압가스를 가스통에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호울더에 있어서, 앞끝단이 갈고리 형상으로된 유지체를 가스주입호울더의 전방에 형성하고, 에어공급유로통에 관통되도록한 실린더체내에 가스메인 유통로와 연결되어 통하도록된 관통로를 가지는 피스톤체를 스프링으로 탄성력 있게 형성하고, 피스톤체 내에 상기 유지체가 형성된 가스충전 주입체를 상기 스프링보다 강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으로써 탄성력 있게 형성하고, 상기 가스충전주입체의 후방에 형성된 팩킹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피스톤체 내의 관통로 상단에 형성된 유통로를 탄성력있게 개폐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며, 에어공급 유통로를 가스 주입호울더의 후방에 형성된 실린더체내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관통하고, 이 에어공급유통로를 개폐 조절하는 에어개폐조절밸브를 원통형상의 단턱부에 형성하는 것이고, 가스메인 유통관의 둘레에 스프링형상으로된 손잡이체를 형성하여 가스주입시에 가스주입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가스주입호울더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로써 제2a도는 가스주입을 하지않은 상태의 도면을 나타내고, 제2b도는 가스주입상태의 도면이고, 제3도는 본 고안 가스주입호울더의 에어공급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제3a도는 에어조절밸브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도이며, 제3b도는 에어조절밸브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 가스주입호울더의 일부 절개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가스주입호울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써,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압가스를 빈가스통에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호울더(1)의 몸통체(1')앞끝단에 적어도 3개이상의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면과 동일형상의 플랜지(23)가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3)는 도시하지 않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나사에 의해 나사맞춤됨과 동시에,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유지체(2)가 상기 플랜지(2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하여 몸통체(1')와 나사맞춤된다.
이 유지체(2)는 빈가스통(20)의 돌기(21)에 걸어 맞춤되어 가스 충전 주입체(3)를 빈가스통(18)의 가스 흡입구(22)에 밀착 시키므로써, 가스주입호울더(1)와 빈가스통(2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몸통체(1')의 후방에 형성된 단턱부(4)에는 에어공급유통로(5)가 뚫려 형성되고, 이 에어공급 유통로(5)는, 개방부(A)와 폐쇄부(5B)로 이루어지고, 에어개폐 조절밸브(6)에 의해 개폐 되도록 형성된다. 예를들면, 에어개폐 조절밸브(6)에 조작하여 에어공급 유통로(5)의 개방부(5A)와 에어공급로(7)가 연결되어 통하도록하므로써, 에어공급에 의한 실린더체(10)내에 형성된 피스톤(9)이 스프링(8)에 저항하여 이동하도록 하면 팩킹(14)과 가스 노즐 하우징(17)에 형성된 돌턱부(17A)가 분리되어 유통로(18)가 완전하게 개방된다.
이때, 에어공급유통로(5)는 실린더체 내의 에어공급로(7)로 통하도록 형성하여 스프링(8)의 탄성력을 받는 피스톤(9)의 전진을 행하도록 하고, 이 피스톤(9)은 유동관(12)의 바깥쪽 돌턱부에 맞닿음하여 피스톤의 이동시 가스메인유동관(11)과 일체로 된 유동관(1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피스톤(9)과 실린더커버(16)사이에는 상술한 스프링(8)이 형성된다.
또한, 유동관(12)의 안쪽돌턱부(12A)와 팩킹하우징(13)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8)보다 탄성력이 큰 스프링(8A)이 내설되고, 팩킹하우징(13)의 팩킹(14)에는 가스충전주입체(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피스톤(9)의 바깥둘레에는 에어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링(15)이 형성되고, 팩킹(14)과 가스충전주입체(3)의 사이에는 돌턱부(17A)가 형성된 가스노즐하우징(17)이 형성되어 유통로(18)의 개폐를 조절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가스주입호울더(1)의 앞끝단쪽에 갈고리 형상의 유지체(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유지체(2)를 빈가스통(20)의 가스흡입구(22)의 후방돌기(21)에 검과 동시에, 이 가스 주입호울더(1)의 앞부분에 형성된 가스충전주입체(3)를 빈가스통의 가스 흡입구에 밀착시킴으로써, 가스충전 주입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이 가스충전주입체(3) 후방에 형성된 팩킹(14)과 가스노즐하우징(17)의 돌턱부(17A)가 분리됨으로써, 가스충전 주입체(3)에 형성된 유통로(18)가 개방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에어개폐 조절밸브(6)를 조작하여 에어공급 유통로(5)의 개방부(5A)와 에어공급로(7)가 연결되어 통하도록 하므로써, 에어공급에 의한 실린더체(10)내에 형성된 피스톤(9)이 스프링(8)에 저항하여 이동하도록 하면 팩킹(14)과 가스노출 하우징(17)에 형성된 돌턱부(17A)가 분리되어 유통로(18)가 완전하게 개방된다.
따라서, 가스메인유통로(18)를 통하여 충전되는 가스는, 관통로(12B) 및 가스충전주입체(3)의 유통로(18)를 통하여 유통되고, 이 유통되는 가스는 가스충전주입체(3)의 주입통로를 통하여 빈가스통에 충전된다(제2b도 참조).
상기 작용에 의해 빈가스통(20)에 가스가 완충되면, 에어 개폐조절밸브(6)를 조작하여, 에어공급 폐쇄부(5B)와 에어공급로(7)가 통하도록 하므로써 실린더체(10)내의 압출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9)은 원상복귀됨으로써, 팩킹(14)과 가스노즐하우징(17)에 일체로 형성된 돌턱부(17A)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가스통(20)의 돌기(21)에 걸려 있던 고리형상의 유지체(2)를 가스통(20)에서 제거하게 되면, 가스통(20)의 가스흡입구(22)에 밀착되어 있던 가스충전주입체(3)는 강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8A)의 힘에 의해 원상복귀된다(제2a도 참조).
따라서, 강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8A)에 의해 팩킹(14)과 가스노즐 하우징(17)에 일체로 형성된 돌턱부(17A)가 완전하게 밀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가스 주입호울더의 앞끝단에 갈고리 형상의 유지체를 형성하여 가스통의 돌기와 걸어맞춤함으로써, 가스주입호울더와 가스통과의 기밀을 유지하고, 가스주입호울더의 손잡이부를 스프링 형상의 탄성재로 형성하여 가스주입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며, 가스주입호울더의 실린더내부로 통하는 에어공급 유통로가 에어공급관으로의 에어공급에 의해 피스톤과, 이 피스톤과 관통로가 형성된 유동관을 맞닿음 시켜 왕복 동작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유동관 내에 가스충전주입체를 형성하여 가스주입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고압가스를 가스통에 주입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몸체부(1')와, 앞끝단에 플랜지(23)에 나사맞춤되는 갈고리 형상으로 된 유지체(2)와, 뒤쪽에 손잡이체(1)가 가스메인유통관(11)의 외주면을 탄성력있게 감싸도록 형성된 가스 주입호울더(1)에 있어서, 상기 몸통체(1')의 외부 후단에는 에어 개폐조절밸브(6)가 유동성있게 설치되며, 이 에어 개폐조절밸브(6)는 개방부(5A)와 폐쇄부(5B)로 이루어진 에어 공급유통로(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가스 주입호울더(1)내부는 뒤쪽에 가스메인유통로(11A)와, 이와 대향하는 쪽에 실린더체(10)의 안쪽에 전후왕복운동하는 피스톤체(9)와, 이 피스톤체(9)에 일체로 설치되는 유동관(12)과, 이 유동관(12)의 앞쪽끝단은 플랜지(23)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가스노즐하우징(17)이 끼워 맞춤되고, 상기 유동관(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스프링(8)이 상기 피스톤체(9)와 실린더커버(16)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관(12)의 안쪽에 형성된 돌턱부(12A)와 팩킹하우징(13)사이에 스프링(8A)이 탄성력있게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8A)의 탄성력을 받아 전진, 후퇴하는 가스충전 주입체(3)와 상기 팩킹하우징(13)사이에 팩킹(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호울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유통로(5)를 가스 주입호울더의 주방에 형성된 실린더체(10)내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관통하고, 이 에어공급 유통로(5)를 개폐 조절하는 에어 개폐조절밸브(6)를 원통형상의 단턱부(4)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주입 호울더.
- 제1항에 있어서, 가스메인 유통관(11)의 둘레에 스프링 형상으로된 손잡이체(19)를 형성하여 가스주입시에 가스주입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주입 호울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02878U KR940000075Y1 (ko) | 1991-02-28 | 1991-02-28 | 가스 주입호울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02878U KR940000075Y1 (ko) | 1991-02-28 | 1991-02-28 | 가스 주입호울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6917U KR920016917U (ko) | 1992-09-17 |
KR940000075Y1 true KR940000075Y1 (ko) | 1994-01-10 |
Family
ID=1931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02878U KR940000075Y1 (ko) | 1991-02-28 | 1991-02-28 | 가스 주입호울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0075Y1 (ko) |
-
1991
- 1991-02-28 KR KR2019910002878U patent/KR94000007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6917U (ko) | 1992-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98743A (en) | Filling nozzle | |
KR900012833A (ko) | 가정용 소오다 분배씨스템 | |
US10704515B2 (en) | Device for metering fuel | |
ITRM980094A1 (it) | Sistema di iniezione ad accumulo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a piu' cilindri | |
DK561884A (da) | Vaeskecarboniseringsapparat | |
GB2180331B (en) | Container valve | |
CA1100373A (en) | Fuel injector nozzle | |
SU1426464A3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прыска топлива | |
KR102053575B1 (ko) | 가스저장탱크용 멀티밸브장치 | |
KR890000775A (ko) | 연료 주입 펌프 | |
US2881810A (en) | Metering pump for liquid gas fuel | |
ATE119238T1 (de) | Kraftstoffeinpritzdüse. | |
KR970701830A (ko) | 연료 밸브 및 이 밸브를 구비한 고압 개스 엔진(a fuel valve and a high pressure gas engine provided with such a valve) | |
KR940000075Y1 (ko) | 가스 주입호울더 | |
KR101875420B1 (ko) | 소형 가스저장탱크용 멀티밸브장치 | |
US2928576A (en) | Valved head construction for sparklet syphon | |
JPH0474541B2 (ko) | ||
US2591969A (en) | Liquid soap dispenser | |
KR200217646Y1 (ko) | 재충전용 부탄가스통 | |
US3966097A (en) | Fluid metering valve | |
KR200387629Y1 (ko) | 가스 토출용 밸브 | |
KR0133155Y1 (ko) | 가스 차단막을 이용한 분무기 | |
KR20100047643A (ko) |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 |
JP2000005647A (ja) | スプレーガン | |
KR910006085Y1 (ko) | 가스 주입용 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