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3327B1 - Apparatus for forming wet paper of paper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rming wet paper of pap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27B1
KR930003327B1 KR1019900008266A KR900008266A KR930003327B1 KR 930003327 B1 KR930003327 B1 KR 930003327B1 KR 1019900008266 A KR1019900008266 A KR 1019900008266A KR 900008266 A KR900008266 A KR 900008266A KR 930003327 B1 KR930003327 B1 KR 93000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land
wire
roll
dewater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01167A (en
Inventor
아끼히토 나가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03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twin-wire ty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2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Fourdrinier type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초지기의 습지 형성장치Wetland Formation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배치도.1 is a layou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배치도.2 is a layou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종래의 로울 탈수를 주체로 하는 트윈와이어 방식의 습지형성장치의 배치도.3 is a layout view of a twin-wire wetland forming apparatus mainly composed of conventional roll dewatering.

제4도는 종래의 트윈와이어 장치의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twin wire device.

제5도 내지 제7도는 각각 상기 트윈와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종래의 습지형성장치의 예를 표시한 배치도.5 to 7 are layout views each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etland forming apparatus in the twin-wire apparatu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종이원료 (2a) : 습지(2): paper raw material (2a): wetland

(3) : 아래쪽 와이어 (8) : 석션 픽업로울(3): Lower wire (8): Suction pickup roll

(9) : 위쪽 와이어 (10) : 슈우박스(9): upper wire (10): shoebox

(12) : 중앙로울 (16) : 도입로울(12): Central roll (16): Introduction roll

(17) : 리이드인 슈우 (18) : 오오토 슬라이스(17): lead-in Shu (18): auto slice

(21) : 슈우 블레이드 (50) : 탈수로울21: Shuu blade 50: dehydration roll

(51) : 세이브 오올 (52) : 진공탈수기(51): Save five (52): Vacuum dehydrator

(60) : 석션 카우치 로울60: Suction Couch Roll

본 발명은, 초지기에 적용되는 습지의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wetland applied to a paper machine.

상 와이어 유니트를 가진 종래의 트윈와이어 장치의 일반예를 제4도에 표시한다.A general example of a conventional twin wire device with a phase wire unit is shown in FIG.

헤드박스(1)로부터 분출된 종이원료(2)는, 루우프 형상의 아래쪽 와이어(3)위에 착지해서, 아래쪽 와이어(3)의 아래쪽의 초기탈수기기(4)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되어 습지(2a)가 되고, 그후, 루우프 형상을 이루어서 도입로울(16)에 의해서 종이원료(2)를 끼워넣는 드로오트부를 형성하는 위쪽 와이어(9)와 상기 아래쪽 와이어(3)에 끼워져서 상부 탈수기기(5) 및 하부탈수기기(6)에 의해서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탈수된다. 그후, 위쪽 와이어(9)는, 아래쪽 와이어(3)위에 형성된 습지로부터 떨어지고, 습지는 아래쪽 와이어(3)의 아래쪽의 수분조정기(7)에 의해 아래쪽으로 탈수되고, 석션 픽업로울(8)에 의해 아래쪽 와이어(3)로부터 떨어져서 후속하는 프레스파아트에 이행된다.The paper raw material 2 ejected from the head box 1 lands on the lower wire 3 of the loop shape, and is dewatered downward by the initial dehydrator 4 below the lower wire 3 to form a wetland 2a. Then, the upper dewatering machine (5) is inserted into the upper wire (9) and the lower wire (3), which form a loop shape to form a draw portion for inserting the paper material (2) by the introduction roll (16). And dewater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lower dehydrator 6, respectively. Then, the upper wire 9 is separated from the wetland formed on the lower wire 3, and the wetland is dewatered downward by the moisture regulator 7 below the lower wire 3, by the suction pickup roll 8. Off the lower wire 3 is transferred to the subsequent presspaart.

상기 제4도에 표시된 상부탈수기기(5) 및 하부탈수기기(6)의 종래 기술의 일례를 제5도에 표시한다.An example of the prior art of the upper dewatering device 5 and the lower dewatering device 6 shown in FIG. 4 is shown in FIG.

제4도에 표시한 종이원료(2)는, 초기탈수부(4)의 리이드인 슈우(27)와 저진공 박스(22)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되고, 매트 농도 1.5% 정도로 조정되어 습지(2a)가 되고, 제5도에 표시한 아래쪽 슈우 박스(10)의 들어가는쪽 부분에서 위쪽 와이어(9)와 아래쪽 와이어(3)에 끼워지고, 아래쪽 슈우 박스(10)의 리이드인 슈우(17) 및 복수개의 슈우 블레이드(21)에 의해 펄스형상의 탈수압력이 부여되어 탈수되어서 종이층이 형성된다.The paper raw material 2 shown in FIG. 4 is dehydrated downward by the shoe 27 and the low vacuum box 22, which are the leads of the initial dewatering part 4, and adjusted to a mat concentration of 1.5% to provide a wetland 2a. And a shoe 17 which is a lead of the lower shoe box 10 and fits into the upper wire 9 and the lower wire 3 at the entry portion of the lower shoe box 10 shown in FIG. Pulses of dehydration pressure are applied by the plurality of shoe blades 21 to be dewatered to form a paper layer.

슈우 박스(10)의 위쪽으로 탈수된 물은, 오오토 슬라이스(18)에 받아 들어진다. 오오토 슬라이스(18) 뒷부분의 중앙로울(12)에 의해 위쪽 와이어(9), 종이원료, 아래쪽 와이어(3)는 슈우 박스(10)의 곡률과는 반대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두루 감기고, 아래쪽 와이어(3)의 면압 및 원심력을 종이원료가 받아서 아래쪽으로 탈수되고, 또 중앙로울(12)과 위쪽 와이어(9)의 떨어진 부분에서 빨아들인 위쪽에의 물은 세이브오올(23)에 받아들여진다. 장망부 및 위, 아래쪽 와이어 사이에서 탈수되어 종이층을 형성한 습지 웨이브는 위아래쪽 와이어 떨어진 부분의 시이트 트랜스퍼 박스(14)에 의해서 아래쪽 와이어 쪽으로 이송된다.The water dehydrated upward of the shoe box 10 is received in the auto slice 18. The upper wire 9, the paper material, and the lower wire 3 are wound by the curva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urvature of the shoe box 10 by the central roll 12 behind the auto slice 18, and the lower wire. The paper pressure received by (3) and centrifugal force are dehydrated downward, and the upper water sucked from the central roller 12 and the separated portion of the upper wire 9 is taken in by the save oil 23. The wetland wave, which is dewatered between the long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wires to form a paper layer, is transferred toward the lower wire by the sheet transfer box 14 at the part away from the upper and lower wires.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된 종래의 상부 탈수 장치는, 상기와 같이, 슈우 박스(10)에 대한 펄스형상의 압력에 의해서 섬유를 재분산시키고 다시 중앙로울(12)에 의한 일정하기는 하나 슈우에 비해서 높은 압력에 의한 탈수라는 조합에 의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위쪽 와이어(9)의 루우프내에 설치된 로울(100a), (100c)와 동로울(100a), (100c)의 중간에서 아래쪽 와이어(3)의 아래쪽에 설치된 로울(100b)에 의한 탈수를 주체로 하는 소위 하이브리드호우머에 비해서 포오메이션(世合)이 좋다고 하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upper dewatering device shown in FIGS. 4 and 5, as described above, redisperses the fibers by the pulsed pressure on the shoe box 10 and is again constant by the central roller 12. Due to the combination of dehydration by higher pressure than the shoe, the middle of the roll 100a, 100c and the roll 100a, 100c provided in the loop of the upper wire 9 as shown in FIG. Compared to the so-called hybrid homer mainly composed of dehydration by the roll 100b provided below the lower wire 3, the formation has a great advantage.

그러나, 초지속도가 1200미터/분 이상인 고속이 되어오면, 어떤 한정된 길이의 장망부에서의 아래쪽 탈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부탈수장치에 들어가는 수량이 많아진다. 한편, 상기 슈우 박스(10)에 있어서의 탈수량에 대해서도 어떤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과로서 후속의 중앙로울(12)에 들어가는 유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안정된 습지이송을 행하려면, 후속의 트랜스퍼박스(14)위에서 물제거선(Water break line)(습지농도 약 6-7%라고 한다)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중앙로울부(12)에서의 아래쪽에의 탈수를 보다 행할 필요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papermaking speed becomes a high speed of 1200 m / min or more, the amount of water entering the upper dewatering device increase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dewatering of the lower part of the long-term part of a limited length.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a certain limit on the dehydration amount in the shoe box 10 as a result, the flow rate entering the subsequent central roll 12 in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stable wetland transfer, it is necessary to form a water break line (called wetland concentration of about 6-7%) on the subsequent transfer box 14, and for this, the central roll part 12 There is a need for further dehydration to the bottom of the furnace.

이경우, 습지농도가 낮은 상태, 즉 습지강도가 낮은 상태에서 중앙로울(12)로부터의 보다 높은 탈수 압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소위 "파쇄(크리싱)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진다.In this case, since a higher wet-water dehydration pressure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roller 12 in a state where the wetland concentration is low, that is, when the wetland intensity is low, a so-called "crushing phenomenon" tends to occur.

또, 동시에 초지속도 상승과 더불어 위쪽에의 탈수비율이 저하해가게 된다. 종이의 대표적 품질인 포오메이션 표리차, 종이 두께방향 강도등의 성질은, 이 위쪽 탈수 비율과 강한 상관이 있으며 이것의 성질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정한 위쪽 탈수 비율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습지형성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위쪽 탈수 비율이 속도의존성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At the same time, as the papermaking speed increases, the dehydration ratio to the upper side decreases. Properties such as formation variation and paper thickness direction strength, which are typical qualities of paper,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is upper dewatering ratio, and in order to satisfy this property simultaneous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upper dewatering ratio. Therefore, as in the conventional wetland formation apparatus,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upper dewatering ratio has a speed dependency.

또 더우기, 시이트 트랜스퍼 박스(14)부에서의 습지농도가 낮으면, 시이트 트랜스퍼가 불안정해지고 위쪽 와이어(9)가 오염되기 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Moreover, when the wetland concentration in the sheet transfer box 14 part is low, there exists a problem that sheet transfer becomes unstable and the upper wire 9 becomes easy to be contaminated.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장망부의 길이를 길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포오메이션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설비적으로도 필요 스페이스가 커져서 비용이 든다.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long section, but the formation tends to deteriorate, and the equipment requires a large space and costs.

또,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앙로울(12)의 앞에 아래쪽 와이어(3)의 와이어루우프내에 진공탈수박스(24)를 설치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아래쪽 탈수의 비율이 증가해 버리기 때문에 문제가 남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vacuum dehydration box 24 in the wire loop of the lower wire 3 in front of the center roll 12 can be considered, but the ratio of the lower dehydration increases. That leaves a problem.

반대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앙로울(12)의 대신에 복수의 슬롯(31)을 가진 진공탈수기기(32)를 설치하면, 상기 문제는 해결하나, 중앙로울의 탈수능력에 상당하는 정도의 슬롯수를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진공 탈수 구간이 상당히 길어지고, 또 바로 위방향으로 물을 빨아올리게 되기 때문에 진공치를 높게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부 탈수 장치로서의 진공탈수기기(32)를 구동할 필요가 발생하고, 또한 위쪽 와이어(9)의 수명도 짧아진다. 이것에 덧붙여서, 바로 위방향으로 탈수하는 배치에서는, 매트 농도가 점차로 높아지면 슬롯부에 섬유가 가득 차오는 현상을 볼 수 있어서 문제가 크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7, if the vacuum dehydrator 32 having a plurality of slots 31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entral roller 12, the above problem is solved, but it corresponds to the dewatering capacity of the central roll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vacuum value because the vacuum dewatering section becomes considerably longer and water is sucked up immediately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number of slot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rive the vacuum dehydrator 32 as the upper dewatering device, and the life of the upper wire 9 is also shortened. In addition to this, in a configuration in which water is directly dehydrated, the problem is that a phenomenon in which the fiber fills up in the slot portion can be observed when the mat concentration gradually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트윈 와이어식의 습지형성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습지형성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land forming apparatus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win-wire wetland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루우프형상으로 연속하여 종이원료가 그위에 공급되고 이 종이원료를 아래쪽으로 탈수하면서 반송하는 아래쪽 와이어와, 이 아래쪽 와이어의 도중에 상대해서 설치된 위쪽 와이어와, 상기 위쪽 및 아래쪽 와이어에 의해서 형성된 습지를 끼워넣는 드로오트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도입로울과, 상기 드로오트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위쪽 와이어, 아래쪽 와이어 및 습지를 두루 감아서 주행시키면서 탈수하는 아래쪽 와이어의 루우프내에 배치되어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해서 배열된 복수개의 슈우 블레이드를 가진 슈우 박스와, 상기 슈우 블레이드에 의해 위쪽으로 탈수된 물을 긁어내는 오오트 슬라이스를 구비한 초지기의 습지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우 박스의 후류쪽에 배치되어 상기 양 와이어와 습지가 상기 슈우 블레이드의 곡률과 동일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두루 감겨있는 탈수로울과, 동 탈소로울에 의해 위쪽으로 탈수된 물을 회수하는 세이브 오올과, 상기 세이브오올의 후류쪽에서 위쪽 와이어의 루우프내에 배치된 슬롯을 가진 진공탈수장치와, 양 와이어와 습지가 상기 탈수로울과는 반대 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두루 감겨있는 중앙로울과, 상기 종이층을 아래쪽 와이어로 이행시키는 진공탈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wire which is continuously fed in the form of a loop and fed while dewatering the paper material downward, an upper wire provided against the middle of the lower wire, and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wires. An introduction roll disposed to form a draw portion for embedding the wetland, and a loop form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wire that is dewatered while running around the upper wire, the lower wire, and the wetland, starting from the drawout portion, and curved upwardly A wet paper forming apparatus of a paper machine comprising: a shoe box having a plurality of shoe blades arranged in such a manner; and an oat slice for scraping water dewatered upward by the shoe blades. Wire and Marsh Curvature of the Shuu Blade Vacuum dewatering device having a dewatering roll wound around the curvature in the same direction, a save ool for recovering the water dewatered upward by the desulfurization roll, and a slot disposed in the loop of the upper wi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ave ool. And a central roll in which both wires and the wetland are wound by curvatu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watering roll, and a vacuum dewater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aper layer to the lower wire.

중앙로울에서의 매트에 걸린 탈수압력의 최대치(T)는, 로울직경(D)와 와이어텐션(T)의 관수이며,라는 형태로 표시된다. 또 어떤 주어진 로울직경 및 와이어텐션에 대해서는 여과저항이 클수록 발생하는 압력이 커진다.The maximum value (T) of the dewatering pressure applied to the mat in the center roll is the water diameter of the roll diameter (D) and the wire tension (T), In the form of For any given roll diameter and wire tension, the greater the filtration resistance, the greater the pressure generated.

또, 종이층형성의 과정에 대해서 보면, 일반적으로 여과현상이 지배적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매트는 형성와이어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어가고, 압출력을 받아서 보다 촘촘해져간다. 즉, 먼저 형성된 매트만큼 여과저항이 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아래쪽 와이어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됨으로서 형성되는 습지의 아래쪽의 매트는, 위쪽의 매트보다도 한층 촘촘하여, 여과저항이 크다.In terms of the paper layer formation process, filtr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dominant, and the mat is formed sequentially from the side closest to the forming wire, and is subjected to an extrusion force to become denser. That is, the filtration resistan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mat formed earli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 at the bottom of the wetland formed by being dewatered downward by the bottom wire is more dense than the mat at the top, and the filtration resistance is larger.

본 발명에서는 위쪽에 볼록하게 만곡해서 배열된 복수개의 슈우 블레이드를 가지고 아래쪽 루우프내에 배치된 슈우 박스와, 상기 슈우 블레이드의 곡률과 동일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위아래쪽의 와이어와 습지가 두루 감겨있는 탈수로울에 의해서, 위쪽으로 즉 여과저항이 적은 위쪽의 매트쪽으로 탈수가 행하여진다. 이때문에, 적은 탈수 압력에 의해서 많은 탈수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매트 농도는 충분히 높아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중앙로울에 들어갈때의 매트농도는, 초지속도가 고속이 되어도 충분히 높여지고 있으며, 중앙로울에서의 "파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e box having a plurality of shoe blades arranged convexly on the upper side is arranged in a lower loop, and a dewatering roll having a wire and a wetland wound up and down by the curvatu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urvature of the shoe blade. By this, dehydration is performed upward, that is, toward the upper mat with less filtration resistance. For this reason, a large amount of dehydration can be obtained by a small dehydration pressure. Therefore, the mat concentration is sufficiently high at this point. As a result, the mat density at the time of entering the center roller is sufficiently increased even at a high paper speed, and the "crushing phenomenon" at the center roller can be prevented.

또, 상기와 같이 슈우 박스 및 탈수로울에 의한 위쪽에의 탈수에 의해서 매트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위쪽 와이어의 오염이 감소하고 종이끊김이 감소한다.In addition, since the mat concentration is increased by the dehydration to the upper side by the shoe box and the dehydration roll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tion of the upper wire is reduced and paper breaking is reduced.

또 더우기, 초지속도가 고속이 되어도, 상기 슈우 박스와 탈수로울에 의한 위쪽에의 탈수비율이 저하하는 일이 없이 종이 품질이 안정된다.Moreover, even if the papermaking speed becomes high, the paper quality is stabilized without lowering the dewatering ratio at the upper side due to the shoe box and the dewatering roll.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1도에 있어서,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된 종래의 습지형성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FIG. 1, since the same parts as the conventional wetland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S. 4 and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도입로울(16)에 의해서 형성되는 위쪽 와이어(9)의 드로오트부의 아래쪽 와이어(3)의 루우프내에는, 리이드인 슈우(17) 및 복수개의 슈우 블레이드(21)를 가진 아래쪽 슈우 박스(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복수개의 슈우 블레이드(21)는, 위쪽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아래쪽 슈우 박스(10)에 대향해서 위쪽 와이어(9)의 루우프내에 오오토 슬라이스(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슈우 박스(10)의 하류쪽의 아래쪽 와이어(3)의 루우프내에는, 슈우 블레이드(21)와 동일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위아래쪽 와이어(9), (3)와 습지(2a)가 두루 감겨 있는 탈수로울(50)이 설치되고, 이것에 대향해서 위쪽 와이어(9)의 루우프내에는, 세이브오올(51)과 진공탈수기(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수로울(50)의 하류쪽에는, 위아래쪽 와이어(9), (3)와 습지(2a)가 상기 탈수로울(50)과는 반대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두루 감겨 있는 중앙로울(12)이 설치되고, 위아래쪽 와이어(9), (3)와 습지(2a)는 중앙로울(12)에 의해서 전향되어서 거의 수평방향을 이동하고, 이 부분의 아래쪽 와이어(3)의 루우프내에 순차적으로 수분조정기에(7) 및 석션 카우치 로울(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8)은 석션 픽업로울(15)는 위쪽 와이어(9)의 떼어 놓기용의 로울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loop of the lower wire 3 of the draw portion of the upper wire 9 formed by the introduction roll 16, the lower part having the shoe 17 as a lead and the plurality of shoe blades 21 is provided. The shoe box 10 is provided. The plurality of shoe blades 21 are bent convexly upward. The auto slice 18 is provided in the loop of the upper wire 9 facing the lower shoe box 10. In the loop of the lower wire 3 downstream of the shoe box 10, the upper and lower wires 9, 3 and the wetland 2a are wound around by the curvatu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oe blade 21. A dewatering roll 50 is provided, and a save-or 51 and a vacuum dehydrator 52 are provided in the loop of the upper wire 9 opposite thereto.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watering roll 50, a central roll 12 is wound around the upper and lower wires 9, 3 and the wetland 2a by curvatu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watering roll 50. The upper and lower wires 9, 3 and the wetland 2a are turned by the central roll 12 to move almost horizontally, and the water regulator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op of the lower wire 3 of this portion. E (7) and suction couch roll (60) is provided. In addition, (8), the suction pickup roll 15 is a roll for separating the upper wire (9).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래쪽 와이어(3)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된 습지(2a)는, 리이드인 슈우(17)위에서 위아래쪽의 2장의 와이어(9), (3)에 의해서 끼워져서 와이어텐션에 의해 위쪽으로 탈수되고 또 위쪽에 볼록하게 만곡된 슈유박스(10)의 슈우 블레이드(21)에 의해 주로 위쪽으로 탈수된다. 탈수된 물은 오오토 슬라이스(18)에 의해 모이고, 계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상기 슈우 블레이드(21)와 동일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위아래쪽 와이어(9), (3)와 습지(2a)가 두루 감긴 탈수로울(50)에 의해서, 습지(2a)는 위쪽으로 탈수되고 흩날린 물은 세이브오올(51)에 들어가서 계외로 인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etland 2a dehydrated downward by the lower wire 3 is sandwiched by two wires 9 and 3 above and below the shoe 17, which is a lead, to the wire tension. By the shoe blade 21 of the shoe box 10, which is dewatered upward and convexly upward, is mainly dewatered upward. The dewatered water is collected by the auto slice 18 and discharged out of the system. Next, the wetland 2a is dewatered upward by the dewatering roll 50 wound up and down the wires 9 and 3 and the wetland 2a by the curvatu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oe blade 21. And the scattered water enters the save ool 51 and is led out of the system.

계속해서 진공탈수기(52)에 의해서 탈수를 행하게 되나, 그 진공치는 종이품질을 보면서, 최적의 위쪽 탈수비를 얻을 수 있는 진공치로 조정된다. 또, 진공탈수기(52)의 슬롯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로울(50)의 포용각을 크게 취하고, 또한 중앙로울(12)과의 스페이스를 확보함으로서 슬롯부 보다 진공탈수기(52)의 배수구를 아래쪽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막힘이 방지된다. 또한 진공탈수기(50)의 탈수량은 작기 때문에 진공폭은 최대 3슬롯정도 있으면 충분하다.Subsequently, dehydration is performed by the vacuum dehydrator 52, but the vacuum value is adjusted to a vacuum value capable of obtaining an optimum upper dehydration ratio while viewing the paper quality. In order to prevent clogging of the slot part of the vacuum dehydrator 52, as shown in the drawing, a larger angle of engagement of the dehydration roll 50 and a space with the central roll 12 are ensured so that the vacuum dehydrator ( The drain hole of 52) is made downward, and clogging is prevented by this. In addition, since the dehydration amount of the vacuum dehydrator 50 is small, a maximum vacuum width of about 3 slots is sufficient.

위아래쪽 와이어(9), (3)와 습지(2a)는, 탈수로울(50)과는 반대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중앙로울(12)에 두루 감겨있으며, 습지(2a)는 동 중앙로울(12)에 의해서 아래쪽에의 탈수작용을 받는다. 중앙로울(12)까지, 상기와 같이 습지(2a)의 위쪽에의 탈수가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중앙로울(12)에 두루 감긴 습지의 매트농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중앙로울(12)에서 "파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습지의 웨이브(2a)는, 중앙로울(12)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된 후 수평방향으로 전향되어, 수분조정기기(7)에 의해 다시 탈수되고, 석션 카우치 로울(60)위에서 아래쪽 와이어를 트랜스퍼되고, 석션 픽업로울(8)에 의해서 아래쪽 와이어(3)부터 떨어져서 다음의 프레스피아트로 보내진다.The upper and lower wires 9 and 3 and the wetland 2a are wound around the central roller 12 by the curva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ehydration roller 50, and the wetland 2a is the copper central roller 12. ) Is subjected to dehydration to the bottom. Since the dehydra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wetland 2a is carried out to the center roll 12 as mentioned above, the mat density of the wetland wound around the center roll 12 is increasing, and the "rolling phenomenon" in the center roll 12 is performed. "This can be avoided. The wave 2a of the wetland is dewatered downward by the central roller 12 and then turned horizontally, and then dewatered again by the moisture control device 7, and the lower wire is transferred on the suction couch roll 60. The suction pickup roll 8 separates the lower wire 3 from the lower wire 3 to the next press pia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슈우 박스(10) 및 탈수로울(50)에 의해서 습지(2a)중의 수분을 위쪽으로 탈수한후, 중앙로울(12)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하고 있으며, 습지(2a)의 매트농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중앙로울(12)에 있어서의 "파쇄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water in the wetland 2a is dehydrated upward by the shoe box 10 and the dehydration roll 50, the water is dehydrated downward by the central roll 12. Since the mat concentration of 2a) is increasing, the occurrence of "crushing phenomenon" in the central roller 12 can be prevented.

또 슈우 박스(10) 및 탈수로울(50)에 의해서, 초지속도가 고속이 되어도 충분한 위쪽에의 탈수가 행하여지고 이것에 의해서 종이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Moreover, by the shoe box 10 and the dehydration roll 50, even if a papermaking speed becomes high speed, dehydration to a sufficient upper side is performed, and paper quality can be stabilized by this.

또 더우기, 습지(2a)의 아래쪽 와이어(3)에의 이행이 습지형성장치의 탈수의 최후단계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습지의 농도가 높고, 섬유의 위쪽 와이어(9)에의 부착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동 위쪽 와이어(9)의 오염이 매우 적어지고, 또한 종이 끊김을 감소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transition of the wetland 2a to the lower wire 3 is performed at the end of the dewatering of the wetland forming apparatus, the concentration of the wetland is high, and since the fiber is hardly attached to the upper wire 9, the copper upper wire The contamination of (9) becomes very small, and can also reduce paper breaks.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2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되는 장치와 탈수기능이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나, 중앙로울(12)에서의 전향을 크게 취하고, 동 중앙로울(12)이 하류쪽의 시이트 트랜스퍼박스(14)에 의해 위아래쪽 와이어(9), (3)와 습지(2a)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기설의 와이어 높이로 복귀시키는 배치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기설의 장망을 용이하게 본 실시예에 관한 장치로 개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2도중 각부는 제1도중의 부호와 대응하는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aratus used and the dehydration function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deflection in the central roller 12 is large, and the central roller 12 is downstream of the sheet transfer box 14.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wires 9 and 3 and the wetland 2a are moved upward to return to the existing wire height.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each part in FIG. 2 is shown with the code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code | symbol in 1st drawing.

본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the following effects.

(1) 위쪽의 탈수능력이 향상하여, 장망부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초지속도를 올릴 수 있다.(1) The dewatering capacity of the upper part is improved, and the papermaking speed can be increased without lengthening the long part.

(2) 초지속도가 고속이 되어도 위쪽의 탈수 비율이 저하하지 않고 종이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2) Even if the paper feed speed is high, the paper quality can be stabilized without lowering the rate of dehydration at the top.

(3) 충분한 탈수를 행한 후 습지층을 아래쪽 와이어로 이동시킴으로서 위쪽 와이어의 오염을 적게 하고, 또한 종이 끊김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3) By moving the wetland layer to the lower wire after sufficient dehydration, the contamination of the upper wire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paper breaks can be reduced.

Claims (4)

루우프형상으로 연속하여 종이원료가 그위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이 종이원료를 아래쪽으로 탈수하면서 반송하는 아래쪽 와이어와, 이 아래쪽 와이어의 도중에 상대해서 설치된 위쪽 와이어와, 형성된 습지를 상기 위쪽 및 아래쪽 와이어에 의해서 끼워넣는 드로오트부를 형성시키도록 배치된 도입로울과, 상기 드로오트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위쪽 와이어, 아래쪽 와이어 및 습지를 두루 감아서 주행시키면서 탈수하는 아래쪽 와이어의 루우프내에 배치되어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해서 배열된 복수개의 슈우 블레이드를 가진 슈우 박스와, 상기 슈우 블레이드에 의해 위쪽으로 탈수된 물을 긁어내는 오오트 슬라이스를 구비한 초지기의 습지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우 박스의 후류쪽에 배치되어 상기 양 와이어와 습지가 상기 슈우 블레이드의 곡률과 동일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두루 감겨 있는 탈수로울과, 동 탈수로울에 의해 위쪽으로 탈수된 물을 회수하는 세이브오올과, 상기 세이브오올의 후류쪽에서 위쪽 와이어의 루우프내에 배치된 슬롯을 가진 진공탈수장치와 양 와이어와 습지가 상기 탈수로울과는 반대 방향의 곡률에 의해서 두루 감겨있는 중앙로울과, 상기 습지를 아래쪽 와이어로 이행시키는 진공탈수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습지형성장치.Paper wire is continuously supplied in the form of a loop, and the lower wire conveys the paper material while being dehydrated downward, the upper wir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wire, and the formed wetland by the upper and lower wires. An introduction roll arranged to form an interposed draw portion, and a convexly curved convex upwardly arranged in a loop of the lower wire dewatering while traveling around the upper wire, the lower wire, and the wetland starting from the draw portion; A wet paper forming apparatus of a papermaking machine having a shoe box having a plurality of shoe blades arranged and an oat slice for scraping water dewatered upward by the shoe blades, wherein both wires are dispos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shoe box. And wetlands of the Shue blade Vacuum dewatering with a dewatering roll wound around by the curvatu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ate, a save ool recovering the water dewatered upward by the dewatering roll, and a slot disposed in the loop of the upper wir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ave ool. A wetland forming apparatus for a paper machine, comprising: a central roll having a device, both wires, and a wetland wound by curvatu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watering roll; and a vacuum dewater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wetland to a lower wire. 제1항에 있어서, 중앙로울에 의해서 전향된 위아래쪽 와이어와 습지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습지형성장치.2. The wetland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wires and the wetland, which are forwarded by the central roller, move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중앙로울에 의해서 전향된 위아래쪽 와이어와 습지는,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습지형성장치.The wetland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wires and the wetland, which are turned by the central roller, move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습지를 아래쪽 와이어로 이행시키는 진공탈수장치는 석션카우치로 로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습지형성장치.The wetland forming apparatus of a paper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cuum dewater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wetland to the lower wire is a suction couch.
KR1019900008266A 1989-06-06 1990-06-05 Apparatus for forming wet paper of paper machine KR9300033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2204 1989-06-06
JP1142204A JPH038889A (en) 1989-06-06 1989-06-06 Apparatus for forming wet paper of paper machine
JP142,204 1989-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67A KR910001167A (en) 1991-01-30
KR930003327B1 true KR930003327B1 (en) 1993-04-26

Family

ID=1530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266A KR930003327B1 (en) 1989-06-06 1990-06-05 Apparatus for forming wet paper of paper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05154A1 (en)
JP (1) JPH038889A (en)
KR (1) KR930003327B1 (en)
FI (1) FI902791A0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1607C2 (en) * 1991-12-17 1996-04-25 Voith Gmbh J M Twin wire former
DE4219292A1 (en) * 1992-06-12 1993-12-16 Escher Wyss Gmbh Twin wire former
US5783045A (en) * 1996-05-06 1998-07-21 Beloit Technologies, Inc. Pulp and linerboard former with improved dewatering
DE10116364A1 (en) * 2001-04-02 2002-10-10 Voith Paper Patent Gmbh De-watering press surrenders paper between felt sandwich to separation zone with air suction box
KR102236703B1 (en) * 2020-07-17 2021-04-06 주식회사 아진피앤피 sheet forming section structure of papermaking process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8133C2 (en) * 1981-09-04 1986-03-06 Sulzer-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Dewatering unit for Fourdrinier paper machines
AT382655B (en) * 1981-10-29 1987-03-25 Escher Wyss Gmbh Papermaking machine with two moveable water-permeable dewatering belts, e.g. wires
JPS60146095A (en) * 1983-12-30 1985-08-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Twin-wire former of paperma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67A (en) 1991-01-30
JPH038889A (en) 1991-01-16
FI902791A0 (en) 1990-06-05
EP0405154A1 (en) 1991-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9659C (en) Forming of a paper or board web in a twin-wire former or in a twin-wire section of a former
US3846233A (en) Papermaking machine having a single wire run and a double wire run over a downwardly curving dewatering box
KR900010147A (en) Web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KR930003327B1 (en) Apparatus for forming wet paper of paper machine
KR0157101B1 (en) Apparatus for forming multilayered paper
US4517054A (en) Web-forming section of a paper machine intended for modernization of a fourdrinier wire
CA2151645C (en) Hybrid former for a paper machine
FI82272B (en) BANFORMNINGSPARTI FOER PAPPERSMASKIN.
EP0160615A2 (en) Top wire former
KR0165862B1 (en) Paper machine twin-wire former and dewatering device therein
US632266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eb former for preventing rewetting of a web
JP2003513179A (en) Equipment in the wet section of a paper machine
CA23513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lp drying
US6669820B2 (en) Twin-wire former
EP17407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aper machine
US7300553B2 (en) Arrangement for a wire section of a paper or board machine
KR100527534B1 (en) Paper forming device of paper-making machine
JPH05171591A (en) Web formation system
JPH02269890A (en) Twin wire former of paper-making machine
SE422820B (en) Process and device for, in a roll-type double wire former, manufacturing a paper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