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106B1 - 압연기류의 로울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통 연삭기 - Google Patents
압연기류의 로울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통 연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7106B1 KR930007106B1 KR1019900001466A KR900001466A KR930007106B1 KR 930007106 B1 KR930007106 B1 KR 930007106B1 KR 1019900001466 A KR1019900001466 A KR 1019900001466A KR 900001466 A KR900001466 A KR 900001466A KR 930007106 B1 KR930007106 B1 KR 930007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work
- grinding
- carrier
- wh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1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peculiarly surfaces, e.g. bulged
- B24B5/16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peculiarly surfaces, e.g. bulged for rolls with large curvature radius, e.g. mill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압연기의 로울의 쌍을 연삭하는 기계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취한 연삭기의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사용되는 각각의 작업승강기의 확대 축방향 단면도.
제4a도는 제3도의 작업승강기에 의해서 상승된 상부로울을 도시하고 있고 로울의 대향 끝상에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가 채워지고 제1도 및 제2도의 연삭기에 의해서 연삭 는 압연기의 상부 로울의 확대 끝면도.
제4b도는 제3도의 작업승강기에 의해서 상승된 하부로울을 도시하고 있고, 로울의 대향 끝상에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가 채워지고, 제1도 및 제2도의 연삭기에 의해서 제4a도의 상부로울과 동시에 연삭되는 압연기의 하부 로울의 확대끝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한쌍의 대향된 휘일스톡 12 : 연삭휘일
13 : 한쌍의 휘일안내문 15, 15' : 한쌍의 작업캐리어
25 : 작업승강기 40 : 한쌍의 헤드스톡
W1,W2: 반제품
본 발명은 연삭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외면 연삭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원통연식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압연기의 로울의 쌍을 자동으로 연삭 및 교정할 수 있으며, 베어링 조립체를 통해서 적합한 위치관계로 결합되는 로울의 쌍을 수용함으로써 이 로울을 각각 분리시켜서 연삭한후 이 로울을 원래위치관계로 재조립시키는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압연로울이 불균일한 마모가 발생될때, 압연기의 로울은 정규적으로 연삭하여 교정할 필요가 있다. 압연기 산업에서 오랫동안 실행된 종래의 기술은 로울을 각각의 로울의 양끝에서 베어링 조립체의 쌍과 함께 기계로부터 제거시키고 베어링 조립체를 로울로부터 제거해야 한다. 연삭기의 고정부상에 회전가능하게 놓여진 그 저어널의 쌍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로울은 연삭된다 베어링 조립체는 연삭 종결함에 따라 로울저어널상에 재 설치된다.
본 발명자는 각각의 로울의 연삭작압을 하기 위하여 각각의 로울의 베어링 조집체의 제거 및 재장착의 수고를 배제하도록 최근에 발전시킨 진보된 연삭기를 인식하게 되었다. 일본특허공보 번호 제 58-15259는 이러한 진보된 로울 연삭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의 기술장치는, 한쌍의 로울을 유지할 수 있는 로울 지지부를 포함하며, 이 한쌍의 로울 각각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에 채워진다. 한쌍의 로울은 동시에 연삭될 수 있다. 하지만, 한쌍의 로울을 동시에 연삭하기 때문에, 지지부재는 로울이 크기 때문에 필요하다.
이 장치는 로울을 지지부재상에서 지지하는 부재, 및 베어링부재와 맞물림하는 클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당히 큰 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결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번호 제 63-84856호는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 로울을 연삭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지된 장치는 로울이 압연기와 연삭기의 선회지지형성 부분 사이에서 기중기로 운반되어야 한다는 사실때문에 자동화 하기가 어려운 결점을 갓고 있다.
본 발명은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를 각각 가지고 있는 한쌍의 로울을 분해할 수 있고, 분리하여 분해된 로울을 연삭할 수 있고 이 로울을 재조립할 수 있고, 전과정이 합리화된 자동시이켄스이며 컴팩트하고 저렴한 연삭기를 제공함에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압연기의 한쌍의 로울과 같은 2개의 반제품을 분리하여 연삭할 수 있는 원통 연삭기이다. 이 연삭기는 연삭휘일을 각각 가진 한쌍의 대향된 휘일스톡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휘일스톡은 상호간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한쌍의 휘일안내면을 따라 각각 왕복운동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쌍의 대향된 작업캐리어부재는, 한쌍의 휘일안내면 중간에 배치되고, 휘일안내면의 직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한쌍의 휘일안내면사이의 중심선 위치의 중간과 각각의 휘일안내면에 인접한 분리 연삭부분사이에 있다.
작업승강기부재가 연속으로 중심선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작업승강부재는 2개의 반제품을 각각의 작업캐리어부재상에 로딩시키고 이들을 작업캐리어 부재로부터 언로딩시키기 위해 중심선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중심선위치에 각각의 작업캐리어 부재에 로드된 2개의 반제품은 연삭위치에서 지지되고 작업캐리어부재가 연삭위치와 동일하게 경사짐에 따라 연삭휘일에 대향하여 유지된다. 한쌍의 헤드스톡은 연삭휘일에 대향하여 유지되는 반제품을 선회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교정되는 압연기의 한쌍의 로울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호 맞물림되는 그 베어링 조립체의 쌍에 채워진다. 2쌍의 베어링 조립체는 작업승강기가 로울을 연속으로 중심선위치로 운반하고 이 로울을 각각의 작업캐리어 부재상에 로드시킴에 따라 상호간에 풀리게 된다.
한쌍의 로울은 제위치에 장착되어 유지되는 베어링 조립체로 인하여 연삭된다. 따라서, 연삭한후, 이 조립체는 가지고 있는 한쌍의 로울은 작업승강기 부재에 의해서 작업캐리어부재로부터 언로드된 상태로 결합되고 초기위치로 복구된다. 이 연삭기의 모든 작동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및 다른 특징과 장점 및 이들을 실현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의 설명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고찰함으로써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원통 연마기는 로울의 대향끝상의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를 각각 가진 압연기의 상부 및 하부 로울을 교정하기 위하여 채용됨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시된 로울 연마기는 상호간에 수평으로 평행이격된 관계로 뻗어있는 각각의 휘일안내면(13)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쌍의 대향된 휘일스톡(10)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휘일스톡(10)은 연삭휘일(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휘일헤드(11)을 포함한다. 양휘일스톡(10)은 각각의 휘일안내면(13)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도록 미끄럼 가능 또는 이동가능한 각각의 한쌍의 휘일캐리지(14)상에 장착된다. 2쌍의 퍼봇 작업캐리어(15,15')는 휘일안내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된 작업캐리어의 각 쌍으로 한쌍의 휘일안네며(13)중간에 배치된다. 이 작업캐리어(15,15')는 휘일안내면(13)에 직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캐리어 안내면(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각각의 캐리어 캐리지(18)상에 피봇적으로 장착된다. 유체 즉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23)는 결합된 캐리어 안내면(21)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캐리어 캐리지(18)에 연결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이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휘일안내면 사이에 있고, 중심선(c)를 가진 레지스터의 부분에 있는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을 도시하고 있다.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은 연삭되는 압연기의 상부호울(R1)으로 로드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상부 로울은 그 대향끝에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B1)를 가지고 있다.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은 중심선위치와 우측 휘일안내면(13)에 인접한 연삭위치사이에 결합된 캐리어 안내면(21)을 따라 상부로울(R1: 을 운반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다른 연삭위치에서 우측 휘일안내면(13)에 인접한 작업캐리어(15)의 좌측쌍을 도시하고 있다. 작업캐리어(15)의 좌측쌍은 하부연삭위치와 중심선위치 사이에 캐리어(21)의 다른 쌍을 따라 연삭되도록 하부로울을 운반하기 위해 작동되고, 이 연결위치는 2쌍의 작업캐리어(15,15')에 공통이다.
용어 "반제품"은, 이하에서 연삭되는 각각의 로울(R1,R2)로 칭하고, 그 대향끝상의 한쌍의 베어링 조립을 포함하고, 그것을 제외하면, 상부 및 하부 로울 및 베어링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동일시한다. 더욱이 베어링조립체(B1)와 함께 상부로울(R1)은 정확하게 W1으로 표시되고, 하부 로울의 베어링 조립체와 함께 하부 로울은 정확하게 W2로 표시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기계에 의해서 연삭되는 반제품(W1,W2)의 확대 예시도이다.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제품(W1)은 상부로울(R1)과 상부로울의 대향끝에 한쌍의 베어링조립체로 구성된다. 통상 직사각형 형태의 각각의 상부베어링 조립체(B1)은 그 상부끝으로부터 옆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플랜지(47)를 갖고 있으며, 한쌍의 구멍(48)은 그 하부면에 형성된다. 제4b도를 참고하면, 다른 반제품(W2)은 하부로울(R2)과 하부로울의 대향끝에 한쌍의 하부베어링 조립체(B2)을 포함하고 있다. 통상 직사각형 형태인 각각의 하부베어링 조립체(B2)는 그 하부끝으로부터 옆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플랜지(52)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위치조정핀(53)은 결합된 상부베어링 조립체(B1)내의 구멍(48)에 맞물림하기 위하여 각각의 하부 베어링 조립체(B2)의 상부끝으로부터 돌출된다. 상부 및 하부로울(R1, R2)은 하부베어링 조립체(B2)상의 위치조정핀(53)은 상부베어링 조립체(B1)내의 구멍(48)에 삽입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다시 참고하면, 작업캐리어(15,15')간격은 상부로울(R1)의 대향끝상의 한쌍의 베어링 조립체(B1) 사이에 그리고 하부로울(R2)의 대향끝상의 한쌍의 베어링조립체(B2) 사이에 간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작업캐리어(15 또는 15')의 각쌍은, 한쌍의 베어링조립체(B1또는 B2)와 맞물림 함으로써, 반제품(W1,W2)중의 하나를 공동으로 지지한다.
중심선과 연삭위치 사이에서의 반제품(W1,W2) 운반동안 뿐만 아니라 연삭휘일(12)에 의해서 이 반제품을 연삭하는 동안에도 작업고정부(16,17)의 세트는 베어링 조립체(B1,2)와 확고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의 작업캐리어(15 또는 15')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작업캐리어(15,15')는 L자 형상이고 2개의 구성아암 사이의 접합점에서 캐리어 캐리지(18)중의 하나상에 피봇된(19)에 의해 피봇적으로 지지된다. 피봇핀(19)은 휘일안내면(13)에 평행하게 뻗어서, 작업캐리어(15,1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휘일안내면에 평행하는 축에 대해서 피봇가능하다. 2쌍의 작업 캐리어(15,15')는 연삭위치로써 제2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경사각도로 피봇되고 연삭하는 연삭휘일(12)에 대해서 반제품(W1,W2)을 유지한다. 한쌍의 제한 정지부(24)는 연삭휘일(12)을 향한 작업캐리어(15,15')의 피봇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각각의 캐리어 캐리지(18)상에 형성된다. 23은 상기와 같이 연삭위치에서 작업 캐리어(15,15')를 피봇하는 유압실린더이다. 이 실린더(23)는 맨처음에 인용된 실린더(22)에 대비하여 캐리어 실린더로 칭하여지고 캐리어 캐리지 실린더라고 칭하고 있다.
각각의 캐리어 실린더(23)는 한쪽끝으로 작업캐리어(15,15')중의 하나에 피봇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에서 하나의 결합된 캐리어 캐리어(18)에 피봇적으로 연결된다.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는 2쌍의 유압작업 승강기(25)는 2개의 휘일안내면(13) 사이에 중심선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3도는 각각의 유압작업승강기를 통해서 측방향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작업승강기(25)는 피스톤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 있는 피스톤 로드(27a)를 가진 피스톤(27)에 미끄럼 가능하고 단단하게 장착된 직립관형상 하우징(26)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27) 및 피스톤 로드(27a)는 로타리 스핀들(28)을 동축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중공되어 있다. 이 스틴들의 하부끝은 전형적으로 120°도의 설정된 각도를 통해서 회전을 스핀들(28)에 전달할 수 있는 로타리 액츄에이터(28)에 연결된다. 칼라(31 ; Collar)는 피스톤(27)의 하부끝에 압입되고 그 내부측표면에 스핀들(28)내의 키이홈(29)과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리는 키이(32)는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작업 승강기의 피스톤 로드(27a)를 구비한 피스톤(27)은 스핀들(28)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고 하우징(26)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포오트(34,35)는 피스톤(27)에 의해서 하우징내에 형성된 하부 챔버의 안밖으로 압력을 받아서 유압유체를 출입시키기 위하여 하우징(26)의 하부끝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피스톤 로드(27a)의 상부끝은 작업승강기 하우징(26)으로부터 돌출하고 거기에 연결된 승강아암(37)을 가지고 있다. 승강아암(37)은 수평으로 배치된 편평한 상부표면(37a)을 가지고 있다. 38a와 38b는 승강아암(37)의 수직위치를 검출하는 전기스위치 또는 검출장치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다시 참고하면, 2쌍의 작업승강기(25)는 베어링 조립체(B1,B2)와 맞물림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로울(R1,R2)를 상하로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제3도의 상기 설명으로 명백해짐에 따라, 작업승강기(25)의 승강아암(37)은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작업위치사이에서 각을 이루어 이동될 수 있고 수축된 위치는 파선으로 표시된다. 승강아암(37)이 실선으로 표시된 작업위치에 있을때, 작업승강기(25)의 각쌍의 승강아암(37)은 통상 로울(R1또는 R2)의 베어링 조립체(B1또는 B2)중의 하나와 맞물리기 위하여 서로를 향해 뻗어 있다.
한편으로는, 승강아암의 점선으로 표시된 수축된 위치에 있을때, 작업승강기의 각쌍의 승강아암(37)은 베어링 조립체(B1또는 B2)의 최대 가로치수보다 더큰 간격을 제공한다.
로울 연삭기는 휘일스톡(10)에 대향한 설정된 연삭위치로 각각의 반제품(W1,W2)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연삭기 안내면(13)의 쌍 사이에 나란히 배치된 헤드스톡(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헤드스톡(40)은 거기에서 뻗어있는 작업스핀들(40a)을 가진 작업헤드(42)를 포함하고 자동 커플링(41)에서 종결되고 연삭위치로 반제품(W1,W2)중의 하나와 맞물림하여 축방향 안밖으로 이동가능하다. 구동기구(43)는 작업스핀들을 회전시킨다. 수축 가능한 자동 커플링을 구비한 헤드스톡(40)은 종래의 기술이다.
통상, 반제품이 로울 연삭기에 로드되어 있지 않을때, 캐리어 캐리지(18)상에 2쌍의 작업캐리어(15,15')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수축되고 연삭위치로써 수평위치를 유지한다. 2쌍의 작업승강가(25)의 승강아암(37)은 촤하위치로 유지되고 제1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상호간에 평행하게 회전된다. 2개의 헤드스톡(40)의 자동 커플링(41)은 수축되게 유지된다.
베어링 조립체(B1, B2)와 함께 압연기에서 제거된 한쌍의 로울(R1, R2)은 제1도의 2쌍의 작업 승강기(25)사이의 중심선(c)와 함께 레지스터의 위치로 결합된 형상(상부 베어링 조립체의 구멍(48)과 맞물림된 위치 조정핀(53)으로)으로 운반되도록 한다. 반제품의 스택(stack)은 베어링조립체(B1,B2)가 작업승강기(25)와 수직 위치맞춤의 위치에 있을때 정지된다.
명백하게, 본 발명은 반제품(W1,W2)의 스택을 연삭기상의 바람직한 위치로 운반하는 종래의 어떤 수단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러한 수단의 바람직한 실예는 한쌍의 안내레일(46)이고 캐리어 안내면(21)의 그 아래의 수평면상에 놓여지고 중심선(c)에 평행하게 놓여있다.
따라서, 압력을 받은 유압유체는 2쌍의 작업승강기(25)로 유입되어 스핀들(29)를 따라 피스톤(27)을 상승시킨다. 피스톤 로드(27a)상의 승강아암(37)이 상부로울(R1)의 베어링 조립체(B1)의 플랜지 바로 아래에서 수평면으로될때 피스톤(27)이 상승은 정지된다. 따라서, 작업승강기(25)의 회전 액츄에이터(33)은 120도의 바람직한 각도를 통해서 승강아암(37)을 선회시키도록 에너지화 된다. 각각의 로타리 액츄에이터(33)의 회전은 로타리 스핀들(28), 스핀들에 키이식으로된 칼라(32), 및 피스톤에 단단하게 부착된 칼라를 가진 피스톤(27)을 통해서 결합된 승강아암(37)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선회된 승강아암(37)은 제1도의 실선위치로 될 것이고, 거기에서 승강아암(37)은 한쌍의 상부베어링 조립체(B1)의 플랜지(47) 아래에 놓여진다.
따라서, 압축된 유체는 작업승강기(25)로 다시 유입되며, 이에따라 승강아암(37)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상부베어링 조립체(B1)의 플랜지(47)와 맞물린다. 승강아암(37)은 압축된 유체의 연속적인 유입으로 하부 반제품(W2)으로부터 이격된 상부 반제품(W1)을 작업승강기(25)로 승강된다. 승강아암(37)의 상승은 상부 반제품(W1)이 연삭위치로써 수평위치로 유지된 작업캐리어(15,15')의 작업고정부(16)의 평면 약간위의 위치로 되었을때 정지된다. 2쌍의 작업캐리어(15,15')중의 하나는 작업승강기(25)에 의해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유지되는 상부 반제품(W1)아래의 중심선위치에서 구동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은 첫째로 중심선위치로 이동된다. 이것이 종료되었을때, 캐리어 캐리지 실린더의 결합된 우측쌍은 캐리어 안내면(21)을 따라 중심선을 향해 캐리어 캐리지의 결합된 쌍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뻗게된다. 따라서, 압축된 유체는 작업승강기(25)의 하우징(26)으로부터 후퇴되고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의 작업고정부(16)상의 상부 반제품(W1)을 하강시키고 배치시킨다. 따라서, 승강아암(37)은 작업승강기(25)의 로타리 액츄에이터(33)에 의해서 제1도의 파선위치로 후방으로 선회시킨다. 따라서, 승강아암(37)은 제4b도에 도시된 하부베어링 조립체(B2)의 플랜지(52)를 지나서 최하 위치로 내려진다. 승강아암(37)의 이러한 상하운동은 수직위치가 제3도에서 38a 및 38b로 도시된 스위치 또는 검출장치에 의해서 검출됨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가능하다.
상술된 바와같이,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상에 상부 또는 제1반제품(W1)을 배치한 다음에, 캐리어 캐리지 실린더(22)의 결합된 쌍은 제1반제품(W1)과 함께 캐리어 캐리지(18)의 결합된 쌍을 캐리어 안내면(21)을 따라 우측 휘일스톡(10)에 인접한 연삭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축된다. 제1반제품(W1)은 캐리어 캐리지(10)의 우측상의 작업캐리어(15')와 함께 우측휘일스톡(10)에 가까이 운반된다.
따라서 캐리어 실린더의 우측쌍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약 75도의 각도를 통해서 한쌍의 작업캐리어(15')를 피봇핀(19)에 대해서 선회시키기 위하여 수축된다. 제1반제품(W1)과 함께 한쌍의 작업캐리어(15')는 제2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제위치에서 제한정지부(24)에 대해서 맞닿음함에 따라 고정된다.
제1반제품(W1)은, 작업고정부(17)상에 맞닿음을 함으로써 한쌍의 작업캐리어(15')상에 제위치되고, 거기에서 작업고정부(16)상에서 추가로 반제품은 작업캐리어가 수평으로 놓여 졌을때 지지된다. 제1반제품(W1)은 우측 연삭휘일(12)에 대향한 설정된 연삭위치로 위치된다.
따라서 우측 헤드스톡(40)의 자동 커플링(41)은 제1도의 상부로울(R1)의 하나의 끝저어널(51a)과 동축 맞물림하여 뻗게된다. 상부로울(R1)은 우측헤드스톡(40)의 구동기어(43)가 작동을 시작함에 따라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한 회전함에 따라, 우측휘일스톡(10)의 연삭휘일(12)은 휘일안내면(13)을 따라 우측휘일캐리지(14)의 동시 이동으로 상부로울(R1)을 연삭하고 교정한다. 연삭되는 제1반제품(W1)은 수평면에서 약 75도로 경사진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에 의해서 지지된다. 반제품이 작업캐리어상의 작업고정부(16,17)상에서 지지됨에 따라 작업캐리어(15')의 이 경사각때문에 연사각공중에 반제품 크램핑하기 위한 보조부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같이 최하위로 복귀된후, 승강아암(37)은 하부로울(R2)의 베어링 조립체(B2)의 플랜지(52)의 쌍 바로아래 위치에서 뒤로 선회된다. 따라서 제2반제품(W2)는 작업승강기(25)에 의해서 작업캐리어(15)의 좌측쌍의 작업고정부(16)의 약간위의 위치로 상승된다.
따라서 캐리어 캐리지 실린더(22)의 우측쌍은 이 캐리어 캐리지 실린더가 장착된 캐리어 캐리지(18)의 결합된 쌍과 함께 작업캐리어(15)의 좌측쌍을 중심선위치로 상승되어 유지되는 제2반제품(W2) 아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뻗게된다. 따라서 승강아암(37)은 다시 하강되어 작업캐리어(15)의 우측쌍의 작업고정부(16)상에 제2반제품(W2)을 내려놓게 된다. 따라서 승강아암(37)은 제1도의 가상의 수축된 위치에서 뒤로 선회되고 작업승강기(25)에 의해서 초기 최하위치로 더 하강된다.
작업캐리어(15)의 좌측쌍상에 고정된 제2반제품은 좌측휘일스톡(10)에 대향한 연삭위치로 운반되고 수평면에 대해서 75도의 각위치로 회전되고 그 과정을 통해서 제1반제품(W1)과 연결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제2반제품(W2)이 좌측 연삭휘일(12)에 대향한 연삭위치로 경사져서 유지될때, 좌측 헤드스톡의 자동 커플링(41)은 하부로울(R2)의 끝저어널(55a)과 동축 맞물림 하여 뻗게 된다. 따라서 좌측 헤드스톡(40)의 구동기구(43)은 좌측헤드스톡(40)의 구동기구(43)는 회전을 하부로울(R2)에 전달하도록 운전시킨다. 좌측휘일스톡(10)의 연삭휘일(12)은 그 축에 대해서 회전되고 휘일캐리지(14)를 구비한 휘일안내면(13)을 따라 가로로 이송됨으로써 하부로울(R2)을 연삭하고 교정시키게 된다. 로울 교정을 종결함에 따라, 2개 반제품(W1,W2)은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같이 상기 과정의 역으로 기계로 다시 재결합되고 복귀된다.
첫째로 좌측헤드스톡(40)의 자동커플링이 제2반제품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수축될때, 작업캐리어의 우측쌍(15)는 제2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위치로 뒤로 피봇된다. 따라서 캐리어 해리지의 좌측쌍(18)은 작업캐리어(15) 및 반제품(W2)와 함께 중심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반제품(W2)은 베어링플랜지(52)와 맞물림으로 2쌍의 승강아암(37)에 의해서 작업캐리어(15)의 좌측쌍 약간 상승되고, 중심선위치에서 이격된 작업캐리어 (15)의 우측쌍이 수축된 후, 안내레일(46)의 쌍위로 하강된다
따라서 제1반제품(W1)은 안내레일(46)의 쌍상에 놓여진 제2반제품(W2) 위에 내려진다. 2개의 반제품(W1,W2)은 하부베어링조립체(B2) 상의 위치 조정핀(53)이 상부 베어링 조립체(B1) 내의 구멍(48)에 맞물려짐에 따라 간단하게 재조립된다. 재조립된 반제품은 안내레일(46)을 따라 기계로부터 철수된다.
전형적인 로울 연삭기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함에 따라 숙련자라면 로울의 쌍을 로드시키는 완전한 시이켄스를 자동화시키고, 각각의 로울상에 베어링 조립체를 채우고, 기계로 로울을 분리하고, 이 로울을 각각 연삭하고, 이 로울을 기계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의 더 높은 생산성 및 자동화에 현저하게 공헌하게 될 것이다.
상기 설명은 명세서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연삭기는 예시된 적용 또는 예시된 구조의 정확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당해기술에 숙련된자라면 다른 적용의 다양성 및 구성에 있어서의 변형 및 교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 압연기의 로울의 쌍과 같은 2개 반제품을 분리하여 연삭 가능한 원통연삭기에 있어서, (a) 연삭 휘일을 각각 가지고 있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한쌍의 안내면을 따라 각각 왕복운동가능하게 이동가능한 한쌍의 대향된 휘일스톡 ; (b) 휘일안내면의 쌍 중간에 배치되고 휘일안내면에 직각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이동가능한 한쌍의 대향된 작업캐리어 ; (c) 공통의 중심선위치 사이의 작업캐리어의 쌍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이동시키고 휘일안내면의 쌍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고 각각의 휘일안내면에 인접한 연삭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부재 ; (d) 작업캐리어부재가 연속으로 중심선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작업 캐리어 부재상에 2개의 반제품을 로딩시키고 작업캐리어 부재로부터 이 반제품을 언로딩시키는 작업승강기 부재 ; (e) 연삭위치에서 작업캐리어부재를 피봇하고 휘일스톡의 연삭휘일에 대향하여 로딩된 반제품을 유지하는 제2액츄에이터부재 ; 및 (f) 연삭위치에서 연삭휘일에 대향하여 유지되는 반제품에 회전을 전달하는 각각의 휘일안내면에 인접한 한쌍의 헤드스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연삭기.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작업캐리어 부재는 (a) 휘일안내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고 휘일안내면에 직각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캐리어 안내면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이동가능한 한쌍의 캐리어 캐리지, 및 (b) 반제품중의 하나를 공동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캐리어 캐리지상에 장착된 한쌍의 작업캐리어.
-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작업캐리어는 대체로 L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연삭기.
- 제1항에 있어서, 작업승강기는 (a) 휘일안내면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각각 가진 복수의 유체작동식 실린더 ; (b) 각각의 유체작동식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상에 형성되고 거기로부터 각을 이루어 우측으로 뻗는 승강아암 ; 및 (c) 피스톤 로드에 대해서 설정된 각도를 통해서 승강아암을 선회시키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7870 | 1989-02-07 | ||
JP1027870A JPH0724845B2 (ja) | 1989-02-07 | 1989-02-07 | 自動ロール研削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7106B1 true KR930007106B1 (ko) | 1993-07-30 |
Family
ID=1223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1466A KR930007106B1 (ko) | 1989-02-07 | 1990-02-07 | 압연기류의 로울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통 연삭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035086A (ko) |
JP (1) | JPH0724845B2 (ko) |
KR (1) | KR930007106B1 (ko) |
DE (1) | DE400355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58441A (zh) * | 2020-08-12 | 2020-11-20 | 王恩童 | 一种立式磨床磨具的升降机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041989A1 (de) * | 1990-12-21 | 1992-07-02 | Mannesmann Ag | Vorrichtung zum schleifen der arbeitswalzen eines planetenwalzwerkes |
US5402606A (en) * | 1994-03-04 | 1995-04-04 | Voith Sulzer Paper Technology North America, Inc. | Roll grinder |
DE19534180A1 (de) * | 1995-09-15 | 1997-03-20 | Wolters Peter Fa | Vorrichtung zum Schleifen von Spinnzylindern |
IT1288922B1 (it) * | 1996-06-13 | 1998-09-25 | Danieli Off Mecc | Dispositivo di rettifica in linea per cilindri di laminazione e/o rulli di trascinamento |
DE19844243A1 (de) * | 1998-09-26 | 2000-03-30 | Schuette Alfred H Gmbh & Co Kg | Universalschleifmaschine |
JP4494598B2 (ja) * | 2000-07-12 | 2010-06-30 | 日新製鋼株式会社 | ロールの回転装置 |
US6827530B2 (en) * | 2001-07-10 | 2004-12-07 | Self Leveling Machines, Inc. | Symmetrical mill |
CN103009200B (zh) * | 2012-12-25 | 2014-12-10 | 武汉宝德机电股份有限公司 | 双轮数控轧辊磨床及其数控方法 |
EP2937173A1 (en) * | 2014-04-25 | 2015-10-28 | Aktiebolaget SKF | Grinding machine for bearing rings and method for moving a bearing ring in such a machine |
CN105150036B (zh) * | 2015-10-09 | 2017-12-19 | 河北工业大学 | 一种砂轮架移动式电池极片轧辊磨床 |
CN110842725A (zh) * | 2019-12-09 | 2020-02-28 | 徐州中宜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消防设备生产加工用打磨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1828A (en) * | 1891-10-27 | Roll-grinding machine | ||
US2127210A (en) * | 1937-07-31 | 1938-08-16 | Norton Co | Grinding and lapping machine |
JPS5815259B2 (ja) * | 1975-07-31 | 1983-03-24 | 東芝機械株式会社 | ロ−ル研削装置 |
US4033076A (en) * | 1976-06-03 | 1977-07-05 | Landis Tool Company | Cylindrical grinding machine with workpiece loader and unloader |
US4663892A (en) * | 1982-11-30 | 1987-05-12 | Energy Adaptive Grinding, Inc. | Force-controlled steadyrest system |
JPS6384856A (ja) * | 1986-09-29 | 1988-04-15 | Toshiba Mach Co Ltd | チヨツク付ロ−ル研削装置 |
-
1989
- 1989-02-07 JP JP1027870A patent/JPH0724845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
- 1990-02-06 US US07/475,853 patent/US503508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2-06 DE DE4003557A patent/DE4003557A1/de active Granted
- 1990-02-07 KR KR1019900001466A patent/KR9300071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58441A (zh) * | 2020-08-12 | 2020-11-20 | 王恩童 | 一种立式磨床磨具的升降机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724845B2 (ja) | 1995-03-22 |
US5035086A (en) | 1991-07-30 |
JPH02207906A (ja) | 1990-08-17 |
DE4003557A1 (de) | 1990-08-09 |
DE4003557C2 (ko) | 1992-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7106B1 (ko) | 압연기류의 로울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통 연삭기 | |
US6604984B2 (en) | Grinding machine for machining sheets of glass | |
US4893982A (en) | Apparatus for conveying workpiece | |
JPH03150143A (ja) |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機用リム装着装置 | |
JP3834214B2 (ja) | 加工装置 | |
JPH0390355A (ja) | グラビア輪転機の版胴交換装置 | |
JP2664569B2 (ja) | 管内面の中摺装置 | |
JPH03110138A (ja) |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チエンジャ装置 | |
CN210939232U (zh) | 用于划线的辅助装置 | |
US20220395942A1 (en) | Manufacturing cell comprising a tool carrier | |
US4664579A (en) |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heavy workpieces | |
CN114643526A (zh) | 一种矩形金属壳体抛光装置及其抛光方法 | |
US4727982A (en) |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 |
CN118023595B (zh) | 一种可旋转铣床 | |
US4519166A (en) | Workpiece handling apparatus for grinding machines | |
US1939055A (en) |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 |
JPS6117808Y2 (ko) | ||
JPH07270151A (ja) | ワークの外形の計測方法 | |
KR890000445B1 (ko) | 대형작업물 이동장치 | |
JPH069048A (ja) | ワーク把持装置 | |
US3496831A (en) | Billet chipper | |
KR102292749B1 (ko) | 공작기계 시스템 | |
JPH0750359Y2 (ja) | 原紙掛け機 | |
JP2002211743A (ja) | 環状物品の搬送装置 | |
CN116222208A (zh) | 一种烧结机台车更换装置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1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