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83B1 - 코오킹쳄버의평탄문과평탄문틀용정화설비를구비한코오킹로 - Google Patents
코오킹쳄버의평탄문과평탄문틀용정화설비를구비한코오킹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9183B1 KR910009183B1 KR1019860000519A KR860000519A KR910009183B1 KR 910009183 B1 KR910009183 B1 KR 910009183B1 KR 1019860000519 A KR1019860000519 A KR 1019860000519A KR 860000519 A KR860000519 A KR 860000519A KR 910009183 B1 KR910009183 B1 KR 910009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t
- door
- pedestal
- caulking
- flat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10B25/12—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for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10B25/14—Devices for lifting do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ke Indu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unnel Furna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코오킹로에 있는 코오킹쳄버의 기계를 본 밞명의 정화장치와 함께 본 도시적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부분 평면도.
제3도는 문개방 장치를 폐쇄위치에 있는 평탄문과 함께 확대한 도시적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장치를 안으로 들어간 위치에 있거나 정지된 상태에 있는 평탄문과 함께 그린도면.
제5도는 평탄물틀에 작동하여 받침대와 결합하고 있는 작동장치를 확대한 평면도.
제6도는 제5도 장치를 선VI-VI를 따라 관통한 도면.
제7도는 제5도에 따라 문을 정화 장치와 결합한 작동장치의 수평단면도.
제8도는 제7도 장치를 제7도의 선VIII 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8도 장치를 제8도의 선IX-IX를 따라 자른 수직단면도.
제10도는 제8도 장치를 제8도의 선X-X를 따라 자른 수직단면도.
제11도는 제1도의 문정화 장치의 문종단 정화기의 수직 중앙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오킹쳄버 3 : 코오크 압축기계
4 : 평탄바아 6 : 운반 및 공급설비
7 : 지지로울러 10 : 정화설비
11 : 평탄문 12 : 평탄문틀
13 : 폐쇄설비 14 : 문개발설비
16 : 문틀정화설비 17 : 문정화설비
20,28 : 받침대 24 : 피봇레바
32 : 칼퀴 38 : 수압식 추진기
60 : 정화헤드
본 발명은 코오킹쳄버에 있는 평탄문과 평탄물틀을 정화하는 설비를 구비한 코오킹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코오킹로의 기계쪽에는 평탄 바아(bar) 그리고 그 평탄 바아 지지 및 가압 설비를 갇춘 평탄 설비가 있다. 평탄설비는 주로 코오킹로의 종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특히 코오킹로의 종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코오크 압축기계상에 설치되어 있다. 평탄문은 주로 평탄물틀 사에 피봇 연결되는데 특히 위쪽으로 연결되며, 각각 폐쇄 설비를 갖추고 있다.
상기 코오킹로는 길게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코오킹쳄버를 구비하며 상부의 호퍼로부터 자체 공급작동되는 수평 쳄버형태로이다. 코오크스용 석탄으로 코이킹쳄버를 채울 때, 코오킹쳄버에서 선택 공급입구 아래쪽에 석탄이 원뿔형으로 쌓이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원뿔형으로 쌓인 석탄은 코오킹 쳄버 외의 공간이 적절히 이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되어야 한다. 여기서 평탄설비가 이용되는데, 그 설비는 거의 언제나 코오킹쳄버의 기계쪽 , 즉 코오크 압축 기계근처에 설치되는데, 그 자체의 이동가능 활대나 코오크 압축기계 자체상에 설치된다. 평탄화 작업시에, 평탄설비의 평탄바아는 특정으로 코오킹쳄버의 기계쪽 문의 상부에 갖추어진 구멍(소위 평탄구멍)을 통하여 코오킹쳄버의 내부로 도입되고 다음 코오킹쳄버 내부에서 이리저리 움직여서, 원뿔형으로 쌓인 석탄을 평탄하게 한다. 평탄화 작업에 끝난뒤에, 평탄바아는 코오킹쳄버로부터 빠져 나오며, 평탄구멍은 평탄문에 의하여 다시 가스밀폐상태로 폐쇄된다. 평탄물은 로문에 설치된 평탄물틀에 밀폐상태로 배치되는데, 이때 밀폐작용은 보통 쇠테두리로 만든 밀폐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코오킹쳄버의 문과 문틀처럼, 코오킹쳄버의 평탄문과 평탄문틀도 들어붙은 코오크스 및 타르에 의해서 더렵혀지게 된다. 이렇게 더렵혀진 것은 코오킹쳄버의 문과 문틀에서처럼 심하지는 않으며 이제까지는 때때로 손으로 청소하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지금까지는 수동식 스크래퍼가 정화설비로 이용되었다. 이제까지 이렇게 성가신 작업이 아주 드물게 실시된 것은 당연하다.
환경에 대한 의식이 커지고 환경보호 규정이 강화됨에 따라서, 오염에 으하여 코오킹로에 있어서 코오킹쳄버의 평탄문과 평탄문틀을 통한 비교적 적은 방출에 대해서도 더 이상 감수할 수 없게 되었다. 한편, 강화된 작업보호규정에서는 수동식 정화설비를 이용하여 더 짧은시간 간격으로 평탄문과 평탄물틀을 청소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탄물 평탄물틀의 특수한 필요조건에 부합하도록 설계된 광범위하게 자동화 가능한 정화 설비를 제시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의 정화설비는 발명의 근복적인 원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문개방설비, 배치설비, 문틀정화설비, 문정화설비가 갖추어져 있으며, 배치설비, 문틀정화설비, 및 바람직하게는 문정화설비도 문개방 설비에 대하여 코오킹쳄버의 종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문개방설비”라는 전문용어는, 평탄문이 대부분 평탄문틀에 피봇연결된 점, 특히 특별히 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코오킹쳄버문 자체에서 처럼, 평탄물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고, 그냥 흔들어 올려서 평탄물을 열게된다. 평탄물은 평탄물틀을 여러방법으로 들어올리고 측면등으로 흔들어 열거나 혹은 평탄문틀로부터 후방으로 들어 올려진 만큼 역이동함으로써 열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되는데, “문개방설비”는 “문개방 및 들어올림 설비”가 된다. 끝으로 평탄물틀에 있는 평탄문이 측면이나 혹은 아래쪽으로 피복연결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평탄문을 위쪽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수평쳄버로에서 특히 유리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되면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치설비가 특히 중요한데, 그 배치설비는 문틀정화설비 및 바람직하게는 문정화설비가 평탄문틀 및 평탄문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배치설비를 이용하며, 전체 정화설비가 다양한 평탄문틀에 자동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원리에 따른 배치설비의 형태에 관해서는 이후 좀더 상세히 후술된 것이다.
끝으로 발명된 원리에서는 근본적으로 배치설비, 문틀정화설비 및 바람직하게는 문정화설비가 문개방설비와 마주하여 코오킹쳄버의 종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발명된 원리의 이렇한 특징은, 평탄문은 이동할 때부터 문개방설비를 이용하여 개방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경우, 위쪽으로 피봇연결되어야 하며, 그리고 나서 비로소 배치설비, 문틀정화설비, 및 바람직하게는 문정화설비가 평탄문틀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문개방설비가 다소 정지상태에 있게될 때에는, 배치설비, 문틀정화설비, 및 바람직하게는 문정화설비도 문개방설비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것이 개별적으로 이떻게 이루어지고, 문틀정화설비와 문정화설비가 본 발명의 우수한 원리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어떻게 만들어지는 가는 이후 상세하게 후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아주 우수하게 합리적으로 만들어 다시 제작한 것을, 아래에서 우수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와 제2도에서는 코오킹로의 기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와 제2도의 왼쪽 가장자리에는 코오킹쳄버(1)와 코오킹쳄버(1)를 경계짓는 2개의 고정대(2)가 있다. 또한 도면을 보면, 코오킹로의 종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코오크 압축기계(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오크 압축기계(3)의 위에는 평탄바아(5)와, 평탄바와(5)용 지지 및 가압설비(6)을 갖춘 평탄설비(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로울러(7), 받침대(8), 그리고 이것들과 멀리 떨어져 설치된 평탄설비(4)의 로우프 로울러(9)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설비(10)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것은 코오킹쳄버(1)의 평탄문(11)과 평탄문틀(12)을 청소하는데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는는 않았으나, 평탄문(12)는 로문의 일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평탄문(11)은 펑탄문틀(12)상에 위쪽으로 피봇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폐쇄설비(13)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화설비(10)는 기존의 코오킹로에서 이용된 펑탄문 및 평탄물틀용 수동식 정화설비를 대체한 것인데, 문개방설비(14), 배치설비(15), 문틀정화설비(16), 문정화설비(17)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본 발명 정화설비(10)의 기본 부품들이다.
제1도와 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배치설비(15), 문틀정화설비(16) 및 문정화설비(17)는 문개방설비(14)와 마주하여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도와 2도에서 보듯이, 정화설비(10)는 평탄설비(4)와 결합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이 평탄설비와 함께 코오크 압축기계(3)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와 2도를 자세히 보면, 정화설비(10)는 평탄설비(4)와 일체적인 부품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쪽에 있는 평탄설비(4)와 다른 한쪽에 있는 정화설비(10)가 구조적으로 서로 정확하게, 맞추어져있다. 이렇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화설비를 평탄설비로부터 완저히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하며, 심지어 정화설비는 코오킹로의 종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체의 적절한 이동활대를 가질 수 있다. 다르면에서 보면, 평탄설비(4)와 정화설비(10)를 설명된 대로 통합하는 것이 도구면으로 보나 작동면으로 보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우수한 원리중의 구조적인 첫 번째 장점은, 문개방설비(14)가 평탄설비(4) 및 정화설비(10) 모두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문개방설비(14)를 이중으로 이용하는 것은, 평탄바아(5)를 코오킹쳄버(1)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평탄문(11)이 열려져야 한다는 점을 용융한 것이다. 따라서, 평탄설비(4)에 갖추어진 문개방설비를 정화설비(10)에 사용하거나 혹은 발명에 따라서 정화설비(10)에 갖추어진 문개방설비(14)를 평탄설비와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정화설비(10)가 개방된 평탄문(11)앞에 있다면,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가 차단된다.
본 발명의 우수한 원리에 따르면, 배치설비(5), 물틀정화설비(16), 정화설비(10)의 문정화설비(17)가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 안으로 들어갈 수 있고 또 이 이동궤도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이러한 피봇이동은 실질적으로 수평면에서, 말하자면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로부터 벗어난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나아가서 배치설비(15), 문틀정화설비(16), 문정화설비(17)는 문개방설비(14)와 마주하여 이동될 수 있음이 밝혀진다.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통 주활대(18)가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활대(18)는 주궤도(19)의 로울러 위에서 움직이는데, 코오크 압축기계(3)위에서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뻗쳐있다. 설명된 상세한 실시예에서는 주활대(18)와 주궤도(19)는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 상부와 혹은 측면에 있게 되는데, 그 이동은 배치설비(15)의 피봇 상태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제1도와 2도에서는 주활대(18)는 배치설비와 함께 피봇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1도와 2도에서는 배치설비(15)의 외부로의 피봇상태가 설명된 상세한 실시예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알 수 있다. 배치설비(15), 문틀정화설비(16), 문정화설비(17)는 주활대(18)상에 피봇연결된(특히 실질적으로 수평면으로 피봇됨)받침대(20)에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10)는 받침대축(21), 그리고 받침대축(21)으로부터 돌출해 있지만 근본적으로 수직면에 있는 받침대틀(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대 축(21)는 주활대(18)가에서 상하 축받이(23)안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말로 설명하면, 받침대(20)는 받침대축(21)에 의하여 한쪽 단부가 지지되는데 이는 비교적 규모가 커야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받침대(20)가 주활대(18)의 마주해서 이동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그 자체의 피봇은 운동에 의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20)의 피봇운동을 목적에 따라서 조종하는 것은 활대(18)를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제1도와 2도에서는, 받침대(20)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접속된 피봇레바(pivot lever)(24)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레바의 끝부분은 제어슬롯(26)안에 있는 로울러(25)와 통한다. 제어슬롯(26)는 코오크 압축기계(3)위의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20)의 피봇운동은 주활대(18)와 마주해서 주활대(18)의 이동방향으로부터 코오킹쳄버의 종축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에 나타나 있듯이, 피봇레바(24)는 설명된 상세한 실시예에서 받침대(20)로부터 둔각으로 돌출해있다. 동시에 제어슬롯(26)는 받침대축(21)의 이동궤도가 된다. 그러나 이렇게 되더라도, 제2도에서 볼 수 있듯이, 로울러(25)는 피봇레바(24)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해 있고, 제어슬롯(26)는 주활대(18)의 이동궤도 상부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런 피해가 없다. 제2도에서 있어서 점선 방향으로 보면, 배치설비(15), 문틀정화설비(16), 문정화설비(17), 받침대(20), 그리고 로울러(25)가 이동위치를 알 수 있다. 이렇게 점선으로된 위치에서는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가 완전히 비어있다.
제1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된 것과 점선으로 된 것을 비교함으로써, 문정화설비(17)를 끌어들이고 내보내기 위해서 평탄문(11)의 문개방설비(14)를 이용하여 피봇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들어온 위치는 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문정화설비(17)가 들어온 이후에, 평탄문(11)은 정화되도록 정화위치로 역선회한다. 이것은 여기서 설명된 상세한 실시예를 볼 때, 수평위치가 되며,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우수한 원리에 따르면, 문정화설비(17)는 근본적으로 수평면에서 작동한다.
끝으로 제1도와 제2도에서는, 문틀정화설비(16)와 문정화설비(17)가 근본적으로 동시에 작용하고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이것은 위로 피봇된 평탄문틀(12)에 연결된 평탄문(1) 1과함께 평탄 개구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따라서 평탄문(11)을 안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전체의 정화설비(10)가 끌려오고 즉 배치되고, 그 다음에 평탄문(11)이 문정화설비(17)위로 내려와서, 평탄문틀(12)과 평탄문(11)의 청소가 다소 동시에 진행된다.
끝으로 제1도에서는 문개방설비(14)가 이동될 수 있는 다른 위치를 볼 수 있다. 이것을 문개방설비(14)가 코오크 압축기계(3)위로 역선회한 정지상태의 위치이다.
나아가서 제1도에서는 정화설비(10)의 여러 가지 부품을 작동시킬 때 본 발명의 정화설비(10)의 기능을 자동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수압식 실린더 즉 피스톤 설비를 갖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압식 추진설비 대신에 당연히 전기식 추진설비, 회전식 추진설비 및 기압식 추진설비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코오크스로를 만들때에는 수압이 이용되어, 특히 그와같은 수압식 추진설비는 발명된 정화설비(10)를 위해서 권장할만하다.
정화설비(10)에 있는 여러 가지 부품들의 운동을 조종하기 위하여 최종 스위치가 이용되는데, 그 스위치는 특히 마찰없이 작동될 수 있는 조정 스위치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발명된 정화설비(10)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낱낱이 상세하게 언급하기 전에 우선 제1도를 보면, 떨어지는 청소 찌꺼기들을 모으기 위하여 평탄문틀(12) 아래에는 덮개(27)가 있고, 문개방설비(14)의 받침대(28)내지 코오크 압축기에(2)가에는 덮개(27)에 인접시킬 수 있는 활강로(29)가 만들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활강로(29)는 수압식 추진기(30)을 이용하여 고정덮개(27)의 인접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이제 제3도와 4도를 이용하여 문개방설비(14)의 아주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우선 평탄문(11), 평탄문틀(12), 폐쇄설비(13), 문개방설비(14), 덮개(27), 코오크 압축기계(3)상의 문개방설비용 받침대(28)가 있다.
제3도에서는 문개방설비(14)가 닫힌 상태의 평탄문(11)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문개방설비(14)에는 수직면에 피봇되어 있고 코오크 압축기계(3)위 즉, 받침대(28)위에 고정되 있는 로드(ROD)연결부(31)가 있다. 또 로드연결부(31)와 피봇연결되고 동시에 수직면에서 로드연결부(31)와 피봇가능한 칼퀴(32)가 평탄문(11)의 폐쇄설비(13)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평탄문(11)상에 중앙 폐쇄설비(13)가 있고, 칼퀴(32)도 있다. 평탄문(11)에 있는 보다 많은 폐쇄설비(13)에 보다 많은 칼퀴(3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연결부(31)를 적절하게, 구체화시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는 것이다.
제1도와 2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제3도와 4도에서는, 문개방설비(14)의 로드연결부(31)는 근본적으로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로드연결부(31)는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와 중첩되고 칼퀴(32)를 지지하는 연장아암이 있음을 알기는 어렵다. 이것이 도시되어 있다면 로드연결부(31)는 제2도 하부의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 다음, 즉 배치설비(15)의 외부쪽 피봇위치에서 간격을 두고 있는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중앙에 설치된 폐쇄설비(13)만이 평탄문(11)에 갖추어진다면, 칼퀴(32)를 지지하고 있는 지레가 작동설비(15)를, 특히 주활대(18)도 위에서 지지할 것이 분명하다.
제3도와 4도에서는 평탄문(11)상의 폐쇄설비(13)가 윗쪽으로 피봇된 평탄문(11)에 특히 적합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다. 폐쇄설비(13)는 평탄문(11)상에 피봇연결되며, 손잡이 모양으로 만들어진 양팔레바(33)로 구체화 되어있다. 양팔레바(33)는 보다 짧은 레바팔로 평탄문틀(12)의 폐쇄용 걸쇠(34)를 뒤쪽으로부터 붙들고 있다. 양팔레바(33)는 다른 보다 긴 레바 팔로는 문개방설비(14)를 붙들어매는 지점, 즉 이 경우, 문개방설비(14)의 칼퀴(32)의 작용점을 형성한다. 평탄문(11)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2개의 레바팔이 동일재료로 만들어져 있을 때, 양팔레바(33)의 레바 팔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폐쇄방향으로 작용하는 코오크에 의해 저절로 폐쇄된다.
제3도와 4도를 서로 연결시켜보면, 폐쇄용 걸쇠(34)가 폐쇄방향으로 활처럼 휘어져 있는 조종면(3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팔레바(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점함으로써 평탄문(11)은 저절로 평탄문틀(12)에 밀착됨을 알 수 있다. 제3도와 4도에 나타나 있듯이 칼퀴(32)도 또한 폐쇄작용시 다른 레바팔이 끝에 오게 되며 활모양으로 휘어져 있는 조종면(36)를 갖는다; 그 조종면에 의하여 레바팔은 평탄문틀(12)방향에서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평탄문(11)의 폐쇄되도록 한다. 한편, 평탄문(11)의 최종적으로 폐쇄된 위치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제3도에서는 로드연결부(31)가 일정한 각으로 경사진 양팔레바(37)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양팔레바의 한쪽팔이 칼퀴(32)에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반면에 다른 한쪽팔에는 수압식 추진기(38)가 연결되어 있다. 이 수압식 추진기(38)는 전체 로드연결부(31)를 피봇시키는데 이용되며, 이러한 피봇 작용은 접촉상태(39)없이 작동되는 접근 스위치에 의하여 폐쇄위치(39), 평탄문(11)의 청소 위치(40), 평탄문(11)이 들어간 위치(41), 정지상태의 위치(42)로 조정된다. 칼퀴(32)는 로드연결부(31)와 피봇되어, 잡고있는 위치(제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됨) 및 놓고 있는 위치(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두 번째의 수압식 추진기(43)이 이용된다. 그 작동은 접촉 가동되는 접근 스위치에 의해 잡고있는 위치(44)와 놓고있는 위치(45)로 조정된다. 그 이외에 완충기(46)를 볼 수 있다.
제5도와 6도를 이용하여 우선 받침대(20)의 이동이 주활대(18)에 대하여 제1도와 2도에서와는 약간 다르게 어떻게 실행되는 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5도에서는 우선 받침대축(21), 받침대틀(22), 상부 축받이(23), 피봇레바(24), 피봇레바 끝에 설치된 로울러(25)를 가지고 있으며 도면상으로 주활대(18)와 피봇 연결된 받침대(20)가 제1도에서 보다 더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당연히 여기에도 갖추어져 있는 제어 슬롯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응하는 설명이 제6도에서 해당된다. 제2도에서 설명한 것과는 달리, 여기에서는 피봇레바(24)가 내부로 비스듬하게 나타나서 받침대(20)의 받침대를(22)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고 있다. 이로인하여 제어슬롯(26)는 받침대축(21)에 대하여 내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받침대축(21)은 제어슬롯과 충돌할 수 없다(도시되지 않음). 왜냐하면 그 받침대 축이 제어슬롯과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다. 제6도에 나타나 있듯이 로울러(25)는 받침대를(22)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받침대를(22)역시 제어슬롯과 충돌하지 않는다.
도시된 배치설비(15)에는 평탄문틀(12)의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해 있으며 평탄문틀(12)의 직선면(47)에 접촉될 수 있는 직선부품(48)이 있다. 직선부품(48)에는 직선면(47)을 향하고 있는 경사면(49)이 있다. 직선부품(48)이 서로 떨어져 있는 간격은 직선면(47)이 서로 떨어져야 할 표준 간격과 부합한다. 코오킹로에서는 정밀기계 제품을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나타나는 오차는 경사면(49)과 연결되어 있는 직선부품(48)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보완된다.
도시된 상세할 실시예에서는 직선부품(48)은 비틀림 강성이 있는 배치틀(50)의 일부이다. 배치틀(50)은 제5도의 상부단면 및 제6도의 전방 단면으로 나타난다. 배틀(50)과 동시에 배치설치(15)가 평탄문틀(12)에 정확히 배치되면, 전체 정화설비(10)의 작용이 극대화된다. 그러나 코오크 압축기계(3)는, 정화설비(10)에 설치될 별도의 작동기는 아주 작은 오차를 유지하면서 그때그때마다 특정 코오킹쳄버 내지 평탄구멍앞에 배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다소의 측면 오차를 보완하기 위하여, 작통틀(50)은 받침대(20)에 지지되어 직선부품(48)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특정하게 기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배치 설비(15)를 배치시킬 때 배치틀(50)은 직선부품(48) 경사면(49)의 작용을 받아서 평탄문틀(12)에서 다소 자체적으로 뻗어나간다.
배치틀(50)을 받침대(20)에 설치하는 것은 특수한 수압식 추진기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조절력은 주활대(18)가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유도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배치틀(50)이 상부 가장자리에 그리고 주로 하부 가장자리에도 각각 받침대축(51)을 갖추고, 받침대축(51)이 최소한 배치틀(50)에 고정된 블복(52)의 중앙에 고정되며, 또 받침대 축(51)이 블록(52)의 양쪽에 설치된 받침대(20)의 받침대 구멍(53)으로 밀쳐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형태가 권장되고 있다. 설명된 상세한 실시예에서는 중앙블록(52)이외에도 각 받침대축(51)에 2개의 축면 블록(54)도 갖추어져 있다. 그 이외에 여기에서는 작동틀(50)이 받침대(320)와 마주하여 이동하는 것은 스프링부품(55)의 스프링힘과 반대로 이루어지게 때문에, 작동틀(50)이 중앙에 정상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프링 부품(55)는 중앙블록(52)사이 내지는 중앙블록(52)과 마주하여, 한편에서는 받침대 축(51)에 설치된 지탱고리(56)에, 다른 한편에서는 인접한 받침대 구멍(53)에 소정의 상대위치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동시에 스프링부품(55)은 여기서 나사식 압력 스프링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부분적으로 받침대축(51)을 대신한다.
오로지 완전성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치설비(15)의 형태에는 고정 플랜지(57)(58)가 있는데, 그 플랜지는 본 발명의 그 양호한 실시예의 문정화설비(17)과 연결되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7도에서는 우선 코오킹쳄버(1)에 있는 고정대(2)와 평탄문틀(12)를 다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전체적인 관계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제시된 직선부품(48) 및 배치틀(50)과 함게 배치설비(15)도 볼 수 있다.
제7도를 이용하여 발명된 문틀정화설비(16)의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 이외에 이 문틀정화설비(16)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제8도, 9도, 10도가 함께 고려된다.
여기서 도시된 상세한 실시예에 따라서 만들어진 정화장치(10)의 문틀정화설비(16)에는 우선 문지르는 장치(59)와 함게 평탄문틀(1)에 설치된 정화헤드(60)가 있다.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문지르는 장치(59) 대신에 모든 다른 종류의 정화부품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더운 증기노즐, 더운물 노즐등이 있다.
제7도에서는 정화헤드(60)에 나란히 배치된 4개의 문지르는 장치(59)가 평탄문틀(12)의 아래 가장자리에 나타나 있다. 문지르는 장치의 간격은 정화헤드(60)가 이리저리 움직여서 평탄문틀(12)을 전체적으로 완전히 청소할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한다. 제10도에서는 정화헤드(60)보다 더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정화헤드(60)가 틀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화헤드(60)에 있는 문지르는 장치(59)는 평탄문틀(12)의 상하 가장자리에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으며, 평탄문틀(12)의 축면 가장자리에서는 수직방향과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지르는 장치(59)가 정화헤드(60)에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평탄문틀(12)의 측면 가장자리로 함께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화헤드(60)가 수평면으로 왕복이동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정화헤드(60)가 왕복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혹은 정화헤드(60)이 다르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적당한 구조가 모색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정화헤드(60)가 이러저리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제7도에서는 도식적으로 설명된 수압식 추진기(61)가 이용될 수 있는데, 그것은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평면으로 움직이는데 효과적이다.
제7도와 제8도는 연결시켜 보면, 설명된 문틀정화설비(16)는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과 비스듬하게 특히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 정화헤드(60)를 지니고 있는 정화운반대(62)를 가지고 있다. 수압식 추진기(61)는 정화헤드(60)를 간접적으로 붙들고 있는데, 말하자면 중간의 정화운반대(62)를 경유하게 된다. 이용목적에 적합한 강력한 구조에서는 정화운반대(62)는 배치틀(50)상의 궤도(63)위, 즉 배치틀(50)의 직선부품(48)상에서 비스듬히 진행한다. 게다가 배치틀(50)의 방향부품(48)위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궤도(63)의 궤도부품이 고정되어 있는데, 그 위로 정화운반대(62)의 아래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울러(64)가 구르게 된다.
제7도와 9도를 연결시켜 보면, 궤도(63)가 작동틀(50)의 한쪽에서 지브(jib) 모양으로 길게되어 있으며, 정화운반대(62)의 수압식 추진기(61)를 위해서 버림대(65)를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화운반대가 이리저리 움직이고, 동시에 정화헤드(60)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조정하기 위해서 비접촉 접근 스위치(66,67)가 이용되는데, 그 스위치들은 궤도(63)가 지브형태로 길게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고정판(68)이 궤도(63)의 한쪽에는 이용된다. 영향을 줄 수 있는 부품으로써, 정화운반대(62)로부터 돌출해 있는 조종헤드가 이용된다. 필요에 따라 정화운반대(62)의 왕복이동 횟수가 변화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8도에서는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문틀정화설비(16)의 다른 특수성도 나타난다. 왜냐하면 정화헤드(60)가 단순히 정화운반대(62)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수차례 전술한 바있는 오차문제를 고려하면서, 정화헤드는(60)는 오히려 자체적으로 조정되도록 정화운반대(62)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스프링부품(71)에 의해서 정성적인 중앙 위치에 있는 링크연결부품(70)이 이용된다. 이러한 구조를 만듬으로써, 정화헤드(60)가 특정 오차 범위내에서 문지르는 장치(59)와 함께 언제나 평탄문틀(12)에 충분히 접근하게 된다.
제10도에서는 피이크 연결부품(70)이 정화헤드(60)의 한쪽에서만 표시되어 있다. 링크 연결부품(70)이 정화운반대(62)에 대하여 정화헤드(60)의 제한된 피봇각도만을 허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제8도, 9도, 10도, 및 11도를 이용하여 발명된 정화설비(10)에서 작동하는 문정화설비(17)를 설명하고자 한다.
원칙적으로 볼 때, 발명된 원리대로 문정화설비(17)에서도 문틀정화설비(16)과 같거나 유사한 작용 원리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상세한 실시예들을 보면, 평탄문에 있어서 청소가 필요한 밀폐 표면이 폭파여서 어느정도 가라앉은 고랑형태인 문제점이 있다. 열판은 평탄문(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기 위하여 문정화설비(17)는 문횡단정화기(72)와 문종 단정화기(73)으로 나누어져 있다. 문횡단정화기(72)는 평탄문(11)에서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진행되는 밀폐표면을 청소하는데 이용되고, 문종 단정화기(73)는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진행되는 밀폐표면을 청소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설명은 수평면 내지 실질적인 수평면에 위치되는 평탄문(1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된다. 평탄문(11)이 다른 상태로 될 때에는, 당연히 문정화설비(17)의 다른 하부부품이 필요하게 된다.
문정화설비(17)의 문횡단정화기(72)는 문틀정화설비(16)의 정화헤드(60)처럼 코오킹쳄버(1)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우수한 원리에 의하면 문횡단정화기(72)를 문틀정화설비(16)의 부분으로 실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앞에서 언급된 목적을 위하여, 문틀정화설비(16)의 정화운반대(62)는 문횡단정화기(72)에 대해 위쪽으로 돌출해 있는 지탱장치(74)를 갖추고 있다. 문횡단정화기(72)에는, 코오칭쳄버(1)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진행하고 있는 평탄문(11)의 양쪽 밀폐면에 설치할 수 있는 문지르는 장치(76)를 가지고 있으며 지탱장치(74)에 설치될 수 있는 버팀대(75)가 있다. 전술한 문지르는 장치(59)의 대체물은 문지르는 장치(76)의 대체물로서 적용된다. 버팀대(75)는 여기서 지탱장치(74)에 장치되어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77)주위로 시이소오처럼 피봇된다. 이로인하여 문횡단정화기(72)의 문지르는 장치(76)에서도 평탄문(11)에 있는 밀폐면에 대하여 자체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화운반대(62)가 왕복운동하게 되면, 정화헤드(60)의 문지르는 장치(59)가 청소를 하면서 평탄문틀(12)의 모든 밀폐면을 지나서 움직이게 되고, 버팀대(75)에 있는 문지르는 장치(76)는 청소를 하면서 코오칭쳄버(1)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진행되는 평판문(11)의 밀폐표면을 지나서 움직이게 된다.
앞에서 언급된 문횡단정화기(72)와는 별도로, 문종단정화기(73)가 있다. 그 문종단정화기(73)는 부분적으로 제9도, 10도, 및 11도에서 알아볼 수 있다. 문종단정화기(73)는 코오칭켐버(1)의 종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문(11)의 두밀폐 표면과 접촉 가능한 문지르는 장치(79)와 함께 정화헤드(78)을 가진다. 전술한 문지르는 장치의 대체물은 문지른 장치(79)에도 해당한다. 청소시에 정화헤드(78)는 수압식 추진기(80)(제11도)를 이용하여 코오칭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청소외에 평탄문(11)을 바람직하게 수평으로 잘 배치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정화헤드(78)는 피봇축 주위로 시이소오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코오칭쳄버(1)의 종축방향으로 움직이는 활대(82)의 연장아암(81)위에 설치되어 있다. 수압식 추진기(80)가 활대(82)를 붙들고 있어서, 정화헤드(78)는 지브(81) 및 활대(82)와 함께 전후 이동한다. 수압식 추진기(80)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동횟수는 정화작용을 극대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는 거꾸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정화헤드가 수압식 추진기(80)를 이용하여 연장아암(81)에 대해 전후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처음으로 언급된 해결책이 코오킹로의 기술 및 구조적 전체조건에 적합하다.
수압식 추진기(8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비마찰 작동가능 접근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있는데, 이러한 스위치의 고정 플랜지(58)는 제5도에서 설명되었다.
구조상으로 볼 때, 활대(82)를 배치틀(50)에 고정된 궤도(83)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권장할만 하다. 그것은 제11도에서 도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궤도(83)를 위한 고정 플랜지(57) 역시 작동틀(50)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받침대(20)의 받침틀 역시 알수 있다. 수압식 추진기(80)가 정화헤드(78)의 하부공간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궤도(83)가 작동틀(50)에서 정화헤드(78)로부터 방향으로 돌린쪽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그 궤도는 작동틀(50)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평탄문틀(12)로부터 돌출해 있다. 궤도(83)역시 당연히 작동틀(50)이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에, 정화헤드(78)가 청소위치에 있는 평탄문(11)에 대하여 항상 정확하게 옆으로 방향을 정하고 있다.
그 이외에 제11도에서 궤도(83)가 활대(82)의 수압식 추진기(80)을 위한 버림대(84)를 이루고 있다. 궤도(83)는 발명에 따라 선택적 구조에서 받침대(20)가 선회할때에도 횡방향으로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로 돌출한다. 그러나 이것은 장애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궤도(83)가 평탄바아의 이동궤도 위에 설치되고, 받침대(20)가 선회된 상태에서는 평탄바아(5)는 궤도(83)와 수압식 추진기(80)아래에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연장아암(81)의 특수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지브는 제11도에서 설명된 것처럼 활대(82)와 마주하여 아랫쪽으로 전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장아암(81)이 정화헤드(78)로부터 방향을 등지고 있는 쪽으로부터 작동틀(50)을 관통하여, 정화헤드(78)을 평탄문(11)과 관련해서 올바른 높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면에서 볼 때, 문지르는 장치(59,76,79)는 어디에서나 교체될 수 있는데, 말하자면 나사로 죄어져 있다.
결론적으로 작용방법을 다시 한번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문개방설비(14)의 칼퀴(32)가 높고 있는 위치에 잡고있는 위치로, 말하자면 제3도의 접근 스위치(39)가 신호를 보낼때까지 옮겨진다. 이러한 신호에 따라서 두 번째 수압식 추진기는 칼퀴(32)가 잡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이동은 접근 스위치(44)의 신호로 끝난다. 그러게 되면 제4도 있는 접근 스위치(41)의 신호에 따라 첫 번째 수압식 추진기(38)에 의하여 역이동이 시작된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 신호에 의하여 지금가지 언급하지 않은 수압식 추진기(90)가 주활대(18)를 따라 조정된다. 그리고 배치 설비(15)가 직선부품(48)(제5도)의 경사면(49)과 함께 배치틀(50)을 평탄문틀(12)로 올바르게 작동시킬 때까지, 주활대(18)는 주궤도(19)에서 평탄문틀(1)방향으로 밀쳐진다. 동시에 문틀정화설비(16)와 문정화설비(17)도 올바르게 표준위치에 있게 된다. 왜냐하면 이 두가지 설비가 작동틀(50)과 함께 받침대(20)와 마주해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설명되지 않은 최종 스위치에 의하여 평탄문(11)이 청소되는 위치로 내려가도록 하는 신호가 끝나게 된다. 청소는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접근 스위치(40)의 신호가 첫 번째 수압식 추진기(38)를 다시 차단시키는데 이용된다. 이제 청소를 하는 싸이클이 시작되는데, 이때에 우선 문틀정화설비(16)와 문정화설비(17)의 문횡단정화기(72)가 우선 선택적으로 작동하고 나서, 문종단정화기(73)가 작동하거나, 혹은 역으로 문종단정화기(73)가 먼저 작동한다. 또한 이것들이 동시에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종단설비(73)가 왕복운동하는 것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았지만, 작동틀(52)의 고정 플랜지(58)위에서 조절되는 접근 스위치에 의해서 조정된다. 그 반면에 정화운반대(62)가 정화헤드(60) 및 문횡단정화기(72)와 함게 왕복운동하는 것은 접근 스위치(66,67)(제7도)에 의해서 조정된다. 규정된 합리적인 횟수대로 정화작용을 하여 청소하는 싸이클이 진행되고 나면, 첫 번째 수압식 추진기(38)가 다시 조정되어 평탄문(11)이 접근 스위치(41)의 신호에 의하여 다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수압식 추진기(90)가 조정되어 주활대(18)는 역이동하게 된다. 주활대(18)가 역이동함으로써, 받침대(20)는 주활대(18)와 마주하여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평탄바아(5)의 이동궤도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빠져나오는 것이 끝난 뒤에, 첫 번째 수압식 추진기(38)은 다시 조종되고, 칼퀴(32)는 접근 스위치(39)의 신호에 의하여 평탄문(11)의 폐쇄위치로 내려간다. 이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페쇄설비(13)가 평탄문(11)에서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제3도) 그러게 되면 2번째 수압식 추진기(43)가 최종적으로 작동하고, 접근 스위치(45)의 신호에 따라서 칼퀴(32)가 놓는 위치로 이동하고, 첫 번째 수압식 추진기(38)가 작동함으로써, 로드(31)가 접근 스위치(42)의 신호에 따라서 칼퀴(32)와 함께 제4도에 나타난 정이 위치로 되돌아 간다.
평탄설비(4)의 평탄바아(5)가 코오킹쳄버(1)안으로 들어간다면, 문개방설비(14)가 마찬가지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은 확실하다.
Claims (16)
- 하나이상의 코오킹쳄버(1)을 갖고, 이 코오칭 쳄버(1)는 그 일측에 있는 평탄구멍 주위에 평탄문틀(12)과, 이 평탄문틀을 폐쇄하고 있는 평탄문(11)을 구비하고, 상기 평탄문(11)은 페쇄설비(13)를 구비하여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피봇 연결된 코오킹로에 있어서, 이 코오킹로는, 상기 하나이상의 코오킹쳄버(1)의 평탄문(11)을 개방 및 페쇄하는 수단을 장치한 이동 가능한 받침대와, 평탄설비(4)와, 상기 하나이상의 코오칭쳄버(1)의 상기 평탄문(11)과 평탄문틀(12)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설비(10)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받침대는 상기 코오칭쳄버(1)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평탄구멍이 그 속에 마련되며, 상기 코오칭쳄버(1)와 정렬 위치하도록 코오칭쳄버(1)의 일측을 따라 종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평탄문(11)을 개방 및 폐쇄하는 수단은 이 평탄문을 선회시켜 개방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되어 있어서, 평탄 및 정화중에 상기 평탄문(11)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평탄설비(4)는 평탄바아(5)와, 이 평탄바아(5)를 이용가능한 받침대 위에서 지지하는 제1이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제1이동수단은 이동가능 받침대상의 수축위치로부터 직선이동로를 따라 상기 평탄구멍까지 코오크 압력기계(3)에 대해 상기 평탄바아(5)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가능 받침대가 상기 코오칭쳄버와 정렬배치되도록 하고 평탄문(11)이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 이 코오칭쳄버(1)에 평탄상태를 제공하고, 평탄상태가 완료된 다음 평탄구멍 바깥으로 상기 평탄바아(5)를 후퇴시켜 상기 수축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며, 상기 정화설비(10)는, 평탄문(11)이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평탄구멍으로부터, 또는 평탄구멍쪽으로 직선 이동로를 따라 상기 이동가능 받침대 위에 배치되고 이동가능 받침대에 대해 이동하는 제2이동수단 위에 장치된 주활대(18)와, 상기 주활대(18)의 수직측 위에 한지로 장치되어 평탄바아(5)의 이동로를 정화하는 제1위치와 평탄구멍 반대측의 제2위치사이의 평탄바아(5)의 이동로내에서 수평으로 흔들리는 선회받침대(20)와, 상기 선회받침대(20)상에 장치된 배치수단(15)와, 상기 배치수단(15)위에 장치되어 상기 선회받침대(20)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고 따라서 코오킹쳄버(1)의 평탄문틀(12)과 평탄문(11)을 정화하기 위해 이 문틀(12)과 문(11)에 대해 위치 선정되는 정화수단(16,17)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탄 및 정화작업은 평탄문(11)이 개방 및 페쇄수단에 의해 개방상태로 있는동안 서로 다른 시간에 실시하며, 정화작업이 평탄문틀(12)에 대해 실시되는 경우, 평탄바아(5)가 수축위치로 후퇴하고, 상기 선회받침대(20)는 제2위치로 선회하며, 상기 정화수단(16,17)은 배치수단(15)에 의해 상기 평탄문(11)과 평탄문틀(12)에 대해 위치가 선정되고, 정화수단(16,17)이 정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받침대가 코오크 압축기계(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문(11)은 바깥쪽 및 위쪽으로 선회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피봇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문(11)의 개방 및 폐쇄수단에 의해 평탄문(11)이 바깥쪽 및 위쪽으로 선회하여 초과 개방위치가 되고, 정화수단(16,17)이 정화작업의 위치에 놓여진 후 상기 평탄문(11)이 정화작업의 위치로 하강하여 정화수단(16,17)의 각 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문(11)의 개방 및 폐쇄수단은 수직 평면내에서 피봇 가능한 로드 연결부(31)와, 이 연결부(31)위에서 피봇 작동하고 수직면내에서 상기 연결부(31)에 대해 피봇 가능하여 상기 평탄문의 폐쇄설비(13)를 파지하는 칼퀴(3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31)는 평탄바아(5)의 이동로에서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평탄바아(5)의 이동로와 중첩되는 연장아암을 구비하며, 이 연장아암이 상기 칼퀴(3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받침대상에 제어슬롯(26)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선회받침대(20)에 피봇레버(24)의 고정 연결되며, 이 레버(24)의 자유단부가 상기 고정 제어슬롯(26)에 위치하여 상기 주활대(18)가 상기 평탄구멍에 대해 원, 근 이동할때 선회받침대(20)가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슬롯(26)이 주활대(18)의 이동 궤도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슬롯(26)이 상기 가동받침대위에 고정 설치되고, 선회받침대(20)에 피봇 레버(24)가 고정 연결되며, 이 레버(24)의 자유단부가 상기 고정 제어슬롯(26)에 위치하여 상기 주활대(18)가 평탄구멍에 대해 원,근이동할때, 선회받침대(20)가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슬롯(26)이 주활대(18)의 이동궤도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받침대(20)는 수직 받침대축(21)과 이 받침대축(21)에서 돌출하여 수직평면내에 위치하는 받침대틀(22)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틀(22)상에 상기 배치수단(15)이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수단(15)은 상기 평탄문틀(12)의 직선면(47)에 대해 놓여질 수 있도록 이 평탄문틀(12)쪽으로 뾰족하게 돌출한 2개의 직선부품(48)을 구비하고, 상기 직선부품(48)은 비틀림 강성이 있는 배치틀(50)의 일부이며, 이 배치틀(50)은 상기 선회받침대(20)위에서 상기 직선부품(48)의 설치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제어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틀(50)은 그 상부 가장자리에서 받침대축(51)을 갖고, 이 받침대축(51)은 상기 배치틀(50)위에 고정된 블럭의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대축(51)이 상기 중앙블럭의 양쪽에 설치된 선회받침대(20)의 받침대구멍(53)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밀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받침대(20)에 대한 상기 배치틀(50)의 위치선정은 이 배치틀(50)의 중앙 정상 위치를 예정시키는 방식으로 스프링부품(55)의 스프링힘에 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품(55)는 상기 받침대구멍(53)의 인접면과 중앙블럭(52)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문(11)의 폐쇄설비(13)는 이 평탄문(11)위에 피봇 연결된 손잡이 모양의 양팔레버(33)이며, 상기 레버(33)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평탄문틀(12)위에 있는 폐쇄용 걸쇠(34)를 하나의 레버팔로 붙들고, 다른쪽 팔으로 파지용 칼퀴(32)의 작용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칼퀴(32)는 하향으로 휘어진 조종면(36)을 갖고, 상기 다른쪽 팔의 일단에서 페쇄위치로 있을 때 상기 조종면(36)이 이 레버 팔을 평탄문틀(12)의 방향에서 아랫쪽으로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3502488.7 | 1985-01-25 | ||
DE3502488A DE3502488C1 (de) | 1985-01-25 | 1985-01-25 | Reinigungsvorrichtung fuer Planiertueren und Planiertuerrahmen von Verkokungskammern eines Verkokungsofe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5869A KR860005869A (ko) | 1986-08-13 |
KR910009183B1 true KR910009183B1 (ko) | 1991-11-04 |
Family
ID=626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0519A KR910009183B1 (ko) | 1985-01-25 | 1986-01-25 | 코오킹쳄버의평탄문과평탄문틀용정화설비를구비한코오킹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808268A (ko) |
EP (1) | EP0188768B1 (ko) |
KR (1) | KR910009183B1 (ko) |
AT (1) | ATE54932T1 (ko) |
DE (2) | DE3502488C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157B1 (ko) * | 2011-11-08 | 2013-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레벨러 도어 개폐 장치 |
KR101411866B1 (ko) * | 2012-06-28 | 2014-06-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코크스오븐용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642905A1 (de) * | 1986-12-16 | 1988-06-23 | Krupp Koppers Gmbh | Einrichtung zum reinigen der dichtungsflaechen der planierlochrahmen an den tueren von horizontalkammer-verkokungsoefen |
DE10113891C2 (de) * | 2001-03-21 | 2003-07-17 | Thyssen Krupp Encoke Gmbh | Vorrichtung zum Ausheben von Ofentüren eines Verkokungsofens |
CN109628111B (zh) * | 2018-12-24 | 2021-08-27 |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 导焦装置及拦焦车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144949A1 (de) * | 1971-09-08 | 1973-03-15 | Hartung Kuhn & Co Maschf | Koksausdrueckmaschine |
US3972781A (en) * | 1974-08-26 | 1976-08-03 | Koppers Company, Inc. | Scraper for the lid and lid seat of a coke oven ascension pipe |
GB1529611A (en) * | 1977-02-09 | 1978-10-25 | Clarke Chapman Ltd | Coke oven machine |
DE2914419C2 (de) * | 1979-04-10 | 1987-01-15 | Krupp Koppers GmbH, 4300 Essen | Einrichtung zum Reinigen der Dichtungsflächen der Planiertüren und Planierlochrahmen von Horizontalkammer-Verkokungsöfen |
US4276123A (en) * | 1980-09-22 | 1981-06-30 | Koppers Company, Inc. | Coke oven battery bench cleaning apparatus |
US4372819A (en) * | 1981-09-02 | 1983-02-08 | Koppers Company, Inc. | Aligning device |
DE3226885C1 (de) * | 1982-07-06 | 1984-01-05 | Gewerkschaft Schalker Eisenhütte, 4650 Gelsenkirchen | Verkokungsofen |
JPS5932510B2 (ja) * | 1982-08-13 | 1984-08-09 | 川崎製鉄株式会社 | コ−クス炉用ドア−の均し口及び均し口小蓋の掃除装置 |
DE3317185A1 (de) * | 1983-05-11 | 1984-11-15 | Dr. C. Otto & Co Gmbh, 4630 Bochum | Dichtflaechenreiniger fuer planiertueren und -tuerrahmen an horizontalkammer-verkokungsoefen |
-
1985
- 1985-01-25 DE DE3502488A patent/DE3502488C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5-12-18 EP EP85116203A patent/EP0188768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5-12-18 AT AT85116203T patent/ATE54932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12-18 DE DE8585116203T patent/DE3578896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6
- 1986-01-25 KR KR1019860000519A patent/KR9100091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
- 1987-06-22 US US07/067,415 patent/US4808268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157B1 (ko) * | 2011-11-08 | 2013-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레벨러 도어 개폐 장치 |
KR101411866B1 (ko) * | 2012-06-28 | 2014-06-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코크스오븐용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188768B1 (de) | 1990-07-25 |
DE3578896D1 (de) | 1990-08-30 |
EP0188768A2 (de) | 1986-07-30 |
KR860005869A (ko) | 1986-08-13 |
EP0188768A3 (en) | 1988-01-27 |
ATE54932T1 (de) | 1990-08-15 |
DE3502488C1 (de) | 1990-08-02 |
US4808268A (en) | 1989-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81898A (en) | Cover assembly for multi-configurable machine tool | |
CA1097586A (en) | Apparatus for scraping the bottom wall of a coke oven chamber | |
KR910009183B1 (ko) | 코오킹쳄버의평탄문과평탄문틀용정화설비를구비한코오킹로 | |
US4452115A (en) | Machine for treating plate-shaped workpieces especially a cutting press | |
US4165261A (en) | Apparatus for cleaning a coke oven door | |
US7481920B2 (en) | Fine-screened grid | |
GB2073040A (en) | Filter press | |
CN208180490U (zh) | 一种pcb自动印刷设备 | |
US4025979A (en) | Apparatus for cleaning the sealing surfaces of coke oven doors and door jambs | |
FR2609016B1 (fr) | Machine automatique verticale pour la coupe du verre | |
CN117754334A (zh) | 一种数控机床刀库 | |
CA1224179A (en) | Cleaner for the sealing surfaces of levelling doors and levelling door frames of horizontal chamber coke ovens | |
JP2558359B2 (ja) | コークス炉炉蓋底部掃除装置 | |
SU980604A3 (ru) | Промы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пресса | |
SU1222802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рельсов | |
SU1693023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чистки рам и броней коксовых печей | |
US4417952A (en) | Apparatus for cleaning coke oven doors | |
RU2091131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фильтрации | |
CN219339010U (zh) | 包装盒喷码装置 | |
SU1224375A1 (ru) | Щебнеочистительна машина | |
KR200257802Y1 (ko) | 도어 크리너 슈트의 자동 크리닝 장치 | |
KR0139017Y1 (ko) | 사이드 대차의 레일 청소용 브러시 | |
CN118149244A (zh) | 一种应用轨道机器人的视频监控装置 | |
JPH0630828Y2 (ja) | コ−クス炉均し口タ−ルパン掃除装置 | |
SU1191253A1 (ru) | Полуавтомат дл сн ти фасок с плоских детал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10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