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724B1 -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압감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압감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6724B1 KR910006724B1 KR1019860006481A KR860006481A KR910006724B1 KR 910006724 B1 KR910006724 B1 KR 910006724B1 KR 1019860006481 A KR1019860006481 A KR 1019860006481A KR 860006481 A KR860006481 A KR 860006481A KR 910006724 B1 KR910006724 B1 KR 9100067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tive adhesive
- pressure
- adhesive tape
- carbon atoms
- carb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54—Inorganic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U.S.P Re 24,906(울리치)호에 서술되어진, 아크릴산과 같은 공중합성 단량체와 비삼차 알코홀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접착층을 갖는 압감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인데 때로는 "아크릴 압감 접착 테이프"로 불리운다. 비록 아크릴 압감 접착 테이프가 좋은 접착력을 갖는 어떠한 압감 접착제보다 매우 높은 전단력을 갖기는 하지만 높은 전단력을 가지며 특히 증가되는 온도에서도 접착력이 감소되지 않는 새로운 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U.S.P 제4,223,067(레빈스)호에는 다음과 같은 서술이 있다 : "0.1-0.2mm두께의 압감 접착층을 갖는 테이프는 제조 원가가 비싸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낮은 전단력을 갖는다. 더 큰 두께의 적용이 요구될 때는 카나다 특허 제747,341호에 서술된 것과 같은 기포-백(back)의 압감 접착 테이프가 때때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포의 다공성은 액체를 약하게 하려는 경향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기포의 고유 탄성력은 거칠거나 또는 매끈하지 못한 표면의 낮은 점으로부터 테이프를 들려는 경향이 있다. 약 1.0mm이하의 기포층은 제조가 힘들므로 따라서 매우 비싸다," 레빈의 특허는 유리소구로 충진되어 테이프가 마치 기포-백테이프와 같은 느낌과 물리적 형상을 갖는 중합성 압감 접착매트릭스(matrix)로 구성된 접착층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 테이프와 같은 압감 접착 테이프로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압감 접착 테이프매트릭스가 실질적으로 보이드(void)가 유리되어 있으므로 레빈의 테이프의 압감 접착층은 실질적으로 수분의 흡수가 없다.
이러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기포-백 압감 접착 테이프는 계속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레빈의 기포-형테이프도 널리 사용되는데, 그러나 때때로 소구로 충진된 접착층의 각면을 충진되지 않은 압감 접착층에 적용시켜야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기포-형 테이프는 특히 가온 조건에서 충분할 정도의 높은 접착력을 갖지 못한다. 이와 같은 층의 첨가로 기포-형 테이프의 가격은 실질적으로 증가되며 따라서 비록 접착력이 나쁘긴해도 더 싼 가격의 기포-백 테이프가 계속하여 판매되고 있다.
레빈의 특허에서 알 수 있듯이, 소구로 충진된 접착층은 유리소구를 부분 중합된 단량체에 분산시킨 뒤 자외선 방사선에 노출시켜 중합화하면 양호하게 제조된다. 똑같은 방법으로 용액 또는 유탄액으로 피복될수 있는 것보다 더 큰 두께의, 소구가 없는 압감 접착 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더 큰 두께의, 소구가 없는 압감 접착 테이프는 똑같은 두께의 소구로 충진된 층을 갖는 테이프보다 특히 가온 상태에서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두께 및 유리소구 충진 여부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는다면, 결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압감 접착 테이프를 수정한 선공정은 결과적으로 접착력을 감소시킨다.
1941년경부터 친수성 뿐만 아니라 소수형의 미세 실리카가 액체의 농화제로 사용되었다. 일례로 1981년 3월의 "Technical Bulletin·Pigments" No. 6, Degussa Corp., Teterboro, NJ의 표지는 소수성 실리카의 개략적인 구조가 실려 있다. 또다른 Degussa 회보(bulletin)인 1978년 12월의 "Precipitated Silics and Silicates"에는 다수의 소수 및 찬수성 실리카가 연결되어 있으며 특이한 실리카 생성물의 사용법도 제시되어 있다. "Product Infomation'이란 제목의 "PL/SK 6/4/84"로 표시된 4페이지 짜리 Degussa 회보에는 소수성 실리카 "Aerosil"R972는 표면적이 130㎡/g인 친수성 실리카 "Aerosil"130으로 제조되었으며, 소수성 실리카 "Aerosil"R974는 표면적이 200㎡/g인 친수성 실리카 "Aerosil"200으로 제조되었으며; 소수성 실리카 "Aerosil"R976는 표면적이 300㎡/g인 친수성 실리카 "Aerosil"300으로 제조되었다. 더 세분된 실리카의 처리는 더 어렵기 때문에 더 많은 자유 히드록실이 세분된 실리카 표면상에 남게 되는데 즉 소수성 R972, R974와 R976상에 30%,40%와 50%로 각각 남게 된다. 1983년 10월의 "Cab-O-Sil" N70-TSHydrophobic Fumed Silica of Cabot Cab-O-Sil Division, Tuscola, IL회보에는 상기 소수성 실리카가 "접착 결합의 강도에 어떠한 역효과도 주지 않고 에폭시 접착제에 뛰어난 흐름성과 항휨성을 준다"(23페이지)고 서술되어 있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그후 TS-720으로 바뀌어졌다.
미합중국 특허 제3,024,146(버치등)호는 특히 트리알킬 할로게노 실란-처리된 실리카 에어로겔과 같은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일종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수분의 존재하에서 반복되는 동결과 해빙에 대해 더 좋은 저항성을 갖는 접착결합을 제공한다. 만약 처리된 실리카를 대신 사용하여 실리카 입자 표면상에 실리콘-결합된 알콕시를 형성시킴으로서 소수성이 되게 한다면 "똑같은 특성이나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3열, 26-33행). 이들 예의 접착제가 페이스트형이지만 이들은 "압감 접착 테이프"로 사용될 수 있다(6열, 10-15행, 5열,59-70행).
압감 접착 테이프에 소수성 실리카를 사용하는 선공정은 아직까지는 없었다. 상기 리벤스의 특허증 실시예 2와 3은 "발연된 실리카"가 함유된 소구-충진된 압감 접착충(5열, 9행)을 서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415,615(에스메이 등)호는 점도가 5000cps이상인 기포화된 단량체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형성된 세포 막형의 접착층을 갖는 압감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에스메이의 특허에서 상기와 같은 점도는 단량체를 "발연된 실리카"와 같은 요변제와 혼합하여 산출한다. "발연된 실리카"는 친수성이다.
Chemical Abstracts, Vol.88, 1987의 88 : 153860(59페이지)에서는 1977. 11. 8일자 일본 코카이 77,133,339호에 고체 함량 40%의 100부의 아크릴 압감 접착제를 10부의 SiO2(20-50nm)와 8시간 볼-밀한 뒤 피복 및 건조하여 "비 점착성 표면의 접착 시이트를 산출한다"는 예가 있음을 밝혔다.
미합중국 특허 제2,859,198(시어즈 등)호에는 오르가노-실록산 물질로 피복된 실리카와 같은 세분된 무기 고체 실리콘-함유 물질로 고무상 조성물을 변형시켜 소수성 표면을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카본블랙 강화 염료를 흰색 또는 밝은새 고무 조성물로 변환시킨다고 할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163,081(슐츠)호에는 발연(된) 실리카가 일조의 자가-접착성 실리콘 탄성체의 강화충진제이며 상기 실리카가 "클로로실란, 실라잔, 알콕시 실란과 시클릭 실록산으로 처리되어 소수성 표면이 산출된다"(6열, 47-52행)라고 쓰여 있다.
본 출원은 접착성과 물리적 특성을 개선 또는 유지하면서 아크릴 압감 접착 테이프의 결합력을 뛰어나게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개선은 70℃정도와 같은 가온상태에서 특히 뛰어나다. 신규의 테이프는 좋은 접착력과 물리적 특성을 갖는 어떠한 압감 접착 테이프에 의해 산출된 것보다 매우 뛰어난 결합력을 갖는다. 이러한 개선점으로 인하여, 70℃에서의 높은 정전 전단력이 요구되는 사용에서도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223,067호의 미소구로 충진된 기포형 압감 접착 테이프의 비충진된 표면층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기포형 압감 접착 테이프도 기포-백 압감 접착제와 유사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되었다.
신규테이프의 접착층의 두께가 0.1 또는 0.2mm를 넘지 않을 때 유리소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양호하다, 그와 같은 테이프에 있어서, 특히 가온상태에서는 결합력이 보통 수준으로 증가함을 아수 있으며 접착력 및 물리적 성질은 유사 또는 개선되었으며 따라서 접착제 또는 패스너(fasteners)가 필요했던 그외의 종래의 다른 테이프 대신 상기 압감 접착 테이프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간단히 말해서 신규테이프는 (a) 분자내의 탄소원자 총수의 최소한 약 1/2을 함유하는, 히드록실 산소원자에서 종단된 4-12탄소원자의 탄소-탄소 사슬이 대부분인 1-14탄소원자의 비 3차 알킬알코홀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다량과 (b) 극성기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 합성 단량체 소량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압감접착제라는 점에서 상기 U.S.P Re 제24,906호와 유사하다. 신규 테이프는 소수성 실리카의 표면적이 최소한 10㎡/g이고 100부의 수지에 대하여 2-15중량부(phr)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울리치의 특허와 다르다. 소수성 실리카의 표면적이 50-400㎡/g(B.E.T. 표면적)인 것이 양호하다.
소수성 실리카가 제안된 것만 빼고는 똑같은 테이프와 비교했을 때 신규의 테이프는 더 우수한 접착성과 물리적 특성(냉충격에 대한 저항성 포함)을 나타낸다.
높은 결합력(가온에서의 정력 전단성(static shear value)에 의해 또는 실온에서 T-벗김(Peel)에 의해 측정했을때)을 얻기 위하여, 신규테이프의 압감 적착층은 교차 결합되어야 한다. 양호한 교차 결합제는 1,6-헥산 디올 디 아크릴레이트이다. 교차 결합은 단량체를 광교차 결합제와 혼합하여 광중합시키거나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4,330,590(베슬리)호와 제4,329,384(베슬리 등)호등에 의한 방법으로 특히 용이하게 조절된다. 비스아미드는 용액중합에 양호한 교차 결합제이다.
본 분야의 현재의 상태에 있어서, 광 중합은 불활성기체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서 양호하게 진행된다. 불활성 대기는 자외선방사가 투과되고 방사선이 그 막을 통해 공기로 방출되는 플라스틱막으로 광중합성 피복물을 일시적으로 차폐시키면 된다. 광중합시에 중합성 피복물이 차폐되지 않는다면 불활성 대기하에서 허용가능한 정도로 함유된 산소는 미합중국 특허 제4,303,485(레빈)호에서 알 수 있듯이 산화 가능한 주석 화합물과 혼합되어 광중합성 조성물로 유입되면서 증가하는데 또한 그렇게 되므로서 두꺼운 피복물이 공기중에서 중합된다.
레빈의 특허에서, 단량체의 혼합물은 초기에는 점도가 매우 낮아 전형적인 두께로 균일하게 피복되지 않으므로 피복 가능한 점도의 시럽이되도록 부분적으로 중합되어야 한다. 이것은 소수성 실리카 첨가전에 행하여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실리카 피복 가능한 점도의 혼합물에 더 빠르고 용이하게 분산되기 때문이다. 소수성 실리카가 100부의 수지에 대하여 2중량부(phr)로 구성될 때보다는 4중량부로 구성될 때 더 빠르게 균일한 분산물로 된다. 또한, 70℃에서의 더 큰 결합력과 더좋은 접착력도 2phr에서보다는 4-8phr의 소수성 실리카 존재시 성취된다. 소수성 실리카의 양이 8phr이상일 때 균일한 분산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페인트밀(paint mill)과 같은 고-전단 혼합기의 사용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15phr과 높은 하중의 유용한 분산물이 획득된다. 압감 접착층이 유리소구를 함유할 때는 소수성 실리카가 분산된 뒤에 첨가하는 것이 양호한데 그 이유는 고-전단 혼합기내에서 부서지기 때문이다.
광중합된 본 발명의 테이프는 일정기간후에 실질적으로 증가된 결합력과 접착력을 갖는다. 이것은 정합성 테이프에서는 매우 중요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수일내에 제거되지 않는다.
광중합되는 대신 본 발명의 테이프는 소수성 실리카를 단량체와 혼합한 뒤 용액을 중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중합후와 피복전에 소수성 실리카를 첨가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성취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비록 본 발명의 매카니즘이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소수성 실리카가 중합시에 단량체와 일종의 상호작용(물리적 또는 화학적)에 개입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소수성 실리카 대신 친수성 실리카를 사용할 때 개선점은 줄어든다. 또한 친수성 실리카의 사용은 프레폴리머 조성물의 점도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따라서 다량의 생성물에 대하여 더 큰 전단성 혼합기의 필요성이 줄어든다. 압감 접착 상태가 되도록 중합되고 조성물에 친수성 실리카를 첨가하면 조성물의 피복력을 제한시킬 정도로 점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그와 반대로 4phr의 소수성 실리카는 점도에 있어서 뛰어난 증가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접착층의 유리소구로 충진되었을 때 소구의 밀도는 1.0g/㎤이하, 평균 지름은 10-200㎛이고 압감 접착증의 10-65부피%로 구성된다.
신규테이프의 압감 접착층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언급된 공중합성 단량체(b)의 양은 상기 울리치의 특허에서와 마찬가지로 보통 실온에서 접착제가 접성을 갖도록 제한되어야 한다. 보통 실용에서의 점성은 비록 접착제 매트릭스의 20중량%까지가 공중합성단량체로 구성됐을 때 접착층이 실온에서 점성을 갖기는 하지만 공중합성단량체(b)가 단량체(a)와, (b)의 3-12중량%로 구성될 때 획득한다. 접착 매트릭스에 점도와 압감을 주기 위하여 테이프를 가열할때는 더 많은 양이 필요하다. 공중합성 단량체(b)가 상기 단량체(a) 와 (b)의 약 2%이하로 구성될 때 70℃에서 요구되는 더 큰 결합력은 인지되지 않는다.
공중합성 단량체(b)의 극성기는 카르복실산기인 것이 양호하다. 극성기를 갖는 적당한 공중합성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무수물, 아크릴아미드와 N-비닐피롤리돈이다. 현대까지, 공중합성 단량체가 단지 N-비닐피롤리돈이고 이와같은 실험이 70중량부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와 30중량부의 N-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은 성취되지 않았다. 그외의 공중합성 단량체 즉 알킬비닐에테르, 염화 비닐리덴, 스티렌과 비닐톨루엔 등이 신규의 압감 접착 테이프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는데 단지 소량만을 사용할 때 개선된 정력 전단값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한다.
신규 테이프의 접착층은 미합중국 특허 제4,415,615(에스메이 등)호에서 알 수있듯이 세포성 접착막을 갖는데 보이드 때문에 70℃에서의 정력 전단값은 보이드가 유리된 접착층에서보다 적다.
다음의 실험은 본 발명의 테이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70℃에서의 정력 전단값]
1.27cm넓이의 긴 테이프의 접착부를, 납작하고 단단한 스테인레스 강철판에 접착시키는데 판과는 정확히 1.27cm의 길이만큼의 테이프를 접착시킨다. 시험하기전에 접착된 부분위에 1000g추를 15분간 놓아둔다. 그 뒤 접착된 테이프를 70℃로 예열된 공기-순환 오븐에 정지시키고 15분 뒤 테이프의 유리된 끝에 추를 매다는데 모든 벗김력을 확실히 잴수 있도록 판을 수평에 대해 2°로 기울인다. 추가 떨어진 때의 시간이 "70℃에서의 정력 전단값"이다. 결함이 없다면 실험은 10,000분 동안 지속된다. 단지 결합력 결함만이 기록되었다.
두께를 증가시킨 똑같은 압감 접착제에서는 정력 전단값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증가된 접착제 두께를 갖는 테이프에는 다음과 같은 더 작은 추가 사용되었다. :
아크릴 압감 접착제의 결합력은 상기 언급된 공중합성 단량체(b)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와 같기 때문에 판과 접촉된 테이프의 길이는 공중합성 단량체(b)가 약5중량% 또는 그 이하의 상기 단량체(a)와 (b)로 구성되었을 때는 0.25cm이어야 한다.
[T-벗김]
실험 테이프의 넓이가 0.5인치(1.27cm)이고 알루미늄 포일백킹에 2시간 접착시킨 뒤에 실험된 것을 제외하고는 ASTM D-1876-72에 따라 T-벗김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데시미터에 대한 뉴튼(N/dm)으로 측정하였다. 단지 결합력 결합만이 측정되었다.
T-벗김은 결합력의 정량값을 나타내며, 실험 표면에 대한 압감 접착제의 접착력의 차이에는 덜 민감하였다.
[180°벗김 접착력]
실험될 접착층은 0.05mm두께의 화학적으로 우수한 알루미늄 증기-피복된, 2중축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필름 (다른 언급이 없는 한)으로 형성한 뒤 1/2인치(1.27cm)의 넓이로 잘랐다. 상기 테이프는 2.04kg의 고무로 피복된 강철롤러로 각방향으로 2번 굴리므로서 매끄러운 스테인레스 강철판에 자가 접착되었다. 23℃에서 지시된 시간이 경과된 뒤 1초당 약 0.5cm의 속도로 테이프의 유리된 종단을 강철판으로부터 떼어냄으로서 "180°벗김 접착력"을 측정하였다.(장력 시험기 사용)
["90°벗김 접착력"]
실험될 접착층은 0.05mm두께의 화학적으로 우수한 알루미늄 증기-피복된, 2중축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필름 (다른 언급이 없는 한)으로 형성한 뒤 1/2인치(1.27cm)의 넓이로 잘랐다. 상기 테이프는 2.04kg의 고무로 피복된 강철롤러로 각방향으로 2번 굴리므로서 매끄러운 스테인레스 강철판에 자가 접착되었다. 23℃에서 지시된 시간이 경과된 뒤 1초당 약 0.5mm의 속도로 테이프의 유리된 종단을 강철판으로부터 떼어냄으로서 "90°벗김 접착력"을 측정하였다(장력 시험기 사용).
다음의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에 사용된 유리소구는 밀도가 0.15g/㎤이고 지름은 20-150㎛(평균 55㎛)이다. 실시예는 다음의 소수성 실리카가 사용되었다.
상기 각각은 발연 실리카로부터 전환되었고 단 "Sipernat" D17(Degussa 제품)은 침전된 소수성 실리카로부터 전환되었다. "Tullanox"500은 Tulco, Inc., Ayer, MA.에서 제조된다.
[실시예 1]
질소에 세정된 , 유리로 내부를 한 용기에서 51℃의 0.016부의 벤조일퍼옥사이드를 사용해 부분적으로 열중합된 9부의 아크릴산과 91부의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의 시럽으로 일련의 압감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시럽의 점도는 3600cps(Brookfield), 고유점도는 2.84이며 8%중합되었다. 100부의 시럽에 대하여 0.1부 phr)의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광개시제("Irgacure"651), 012phr의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교차 결합제, 8phr의 유리소구, 표1에 표시된 만큼의 소수성 실리카("Aerosil"R972)를 첨가한 뒤 혼합물을 10분간 500rpm의 속도를 유지한 추진 혼합기로 충분히 혼합한 뒤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데시케이터내에서 조심스럽게 탈 기체화하였다.
실시예 1의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물을 1쌍의 투명한 2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 레이트)필름사이의 나이프 피복기에 주입하는 데 필름의 표면은 저-접착성 실리콘 피복되었다. 나이프 피복기는 약 0.8mm의 피복 두께를 제공하돌고 조절되어졌다. 로올 피복기로부터의 조성물을 램프광에 410mJ/㎠(Dynachem 단위)로 노출시켜 조사시켰는데 램프 방사의 90%는 300과 400nm사이인데 최대는 351nm이었다. 두 개의 필름에 공기를 통과시켜 조성물을 냉각시켰는데 방사동안 필름의 온도는 필름의 주름을 막기 위하여 85℃이하로 유지시켰다.
생성된 교차 결합된 압감 접착 테이프는 표 1에 기록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4부의 친수성 실리카 즉 표면적이 130㎡/g인 발연된 실리카 "Aersoil"130을 사용하여 똑같은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2-4]
각각을 4phr의 상이한 소수성 실리카 즉 "Aerosil"R202, R805와 R812로 제조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유사하게 일련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4phr의 "Aerosil"R972(표 2의 "1A")를 함유하는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테이프의 값과 함께 시험값을 표 2 정리하였다.
[표 2]
[실시예 5]
시럽을 90부의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와 10부의 아크릴산으로 제조하였고 초기 부분중합이 열처리가 아닌 자외선 방사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일련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피복 제조시에, 0.14phr의 "Irgacure"651이 사용되었으며 교차 결합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4,330,590(베슬리)호의 6열, 65행의 0.15phr의 공학활성 S-트리아진, 유리소구는 제외되었으며 나이프피복은 피복 두께가 약 0.25mm가 되도록 조절되었다. 시험값은 하기 표 3에 열거하였다.
[표 3]
표 3의 "180"벗김 접착력"은 0.05mm두께의 알루미늄 포일백킹을 사용하여 산출된 것이다.
[실시예 6]
90부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10부의 아크릴산, 0.2부의 벤조일퍼옥사이드의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42%의 단량체 고체로 구성된 용액을 형성하였다. 본 용액을 5개의 샘플로 나눈 뒤 4개에는 하기표에 지시된 대로 100부의 단량체에 기초를 한 양의 실리카를 첨가하였다.
샘플 1 : 첨가제 없음.
샘플 2 : 2phr소수성 실리카("Aersoil" R972)
샘플 3 : 4phr소수성 실리카("Aersoil" R972)
샘플 4 : 2phr소수성 실리카("Aersoil" R130)
샘플 5 : 4phr소수성 실리카("Aersoil" R130)
이들 5개의 샘플을 1qt.의 밤색의 입구가 적은 병에 넣었다. 각각은 2분각 1ℓ/분의 속도로 질소로 세정한 뒤 봉하고 55℃의 중합 배스에 24시간 정치시켰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배스에서 꺼낸 뒤, 각각의 병에 250g의 톨루엔을 첨가하여 점성을 낮추었다. 0.05phr의 N,N'-비스1,2-프로필렌이 소프탈아미드 교차 결합제를 첨가한 뒤 각각의 샘플을 화학적으로 우수한 0.05mm 두께의 2중축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상에 나이프 피복하였다. 1시간동안 70℃로 건조하면, 각각의 건조되고 교차 결합된 압감 접착층은 약 0.05mm의 두께를 갖게 된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표 4]
표 4의 "180"벗김 접착력"은 알루미늄 증기피복이 없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 백킹을 사용하여 산출됐다.
[실시예 7]
87.5부의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와 12.5부의 아클리산을 중합성 단량체로 사용한 미합중국 특허 제4,415,615(에스메이 등)호의 제6열 "Typical Tape-making Procedure"의 방법에 따라 2개의 압감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부분 중합후와 기포화 전에, 6phr의 소수성 실리카("Aersoil"R972)와 8phr의 유리소구(실시예 1에서와 같이)를 시럽중 하나에 첨가하였다 1mm접착 두께를 갖는 테이프를 시험한 결과를 표 5에 정리하였다.
[표 5]
[실시예 8]
다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압감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 중합성 단량체는 90부의 이소옥틸과 10부의 아크릴산, 유리소구는 제외되었고 15phr의 소수성 실리카. 결과는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표 6]
[실시예 9]
중합성 단량체로서 76부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0부의 N-비닐-2-피롤리돈, 4부의 아크릴아미드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일련의 압감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7에 정리하였다.
[표 7]
*접착된 테이프의 길이는 2.54cm
Claims (14)
- (a) 분자내의 탄소원자 총수의 최소한 약 1/2을 함유하는, 히드록실 산소원자에서 종단된 4-12탄소 원자의 탄소-탄소 사슬이 대부분인 1-14탄소원자의 비3차 알킬 알코홀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다량과 (b) 극성기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단량체 소량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접착층이 최소한 10㎡/g의 표면적을 가지며 2 내지 15phr의 중량으로 구성된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한 압감 접착층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충진제의 표면적이 50-400㎡/g인 압감 접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교차 결합된 압감 접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비중이 1.0을 넘지 않고 평균 지름이 10-200㎛인 유리소구가 압감 접착층의 10-65부피%로 충진된 압감 접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단량체(b)의 극성기가 카르복실인 압감 접착 테이프.
- (a) 분자내의 탄소원자 총수의 최소한 약1/2을 함유하는, 히드록실 산소원자에서 종단된 4-12탄소 원자의 탄소-탄소 사슬이 대부분인 1-14탄소원자의 비 3차 알킬 알콜홀의 아크릴산 에스테르다량과 (b) 극성기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단량체 소량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접착층이 좋은 접착력과 물리적 특성을 주는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며 70℃에서의 정력 전단값이 최소한 2000분인 압감 접착층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
- 제6항에 있어서, 친수성 실리카가 12-15phr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
- 제7항에 있어서, 공중합성 단량체(b)가 상기 단량체(a)와 (b)의 3-20중량%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
- (1) (a) 분자내의 탄소원자 총수의 최소한 약1/2을 함유하는, 히드록실 산소원자에서 종단된 4-12탄소원자의 탄소-탄소 사슬이 대부분인 1-14탄소원자의 비 3차 알킬 알코홀의 아크릴산에스테르다량과 (b) 극성기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단량체 소량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피복가능한 점도의 시럽을 제조하고 (2) 상기 시럽에 최소한 10㎡/g의 표면적을 갖는 소수성 실리카를 2-15phr첨가하여 혼합하고, (3) 혼합물을 담체에 피복하고, (4) 피복물을 압감 접착 상태로 중합하는 것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3)단계의 앞에서 혼합물에 교차 결합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3)단계의 앞에서 혼합물에 광개시제를 첨가하고 (4)단계때에 자외선 조사를 사용하여 효과를 주는 것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교차 결합제가 광활성인 압감 접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1) (a) 분자내의 탄소원자 총수의 최소한 약 1/2을 함유하는, 히드록실 산소원자에서 종단된 4-12탄소원자의 탄소-탄소 사슬이 대부분인 1-14탄소원자의 비 3차 알킬 알콜홀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다량과 (b) 극성기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공중합성 단량체 소량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중합성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고 (2) 상기 용액에 표면적이 최소한 10㎡/g인 소수성 실리카를 2-15phr첨가하고 (3)의 조성물을 중합하고 (4) 중합체를 담체상에 피복하고 (5) 피복물을 압감 접착상태로 건조하는 것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4)단계의 앞에서 교차 결합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된 압감 접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76345885A | 1985-08-07 | 1985-08-07 | |
US763,458 | 1985-08-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2221A KR870002221A (ko) | 1987-03-30 |
KR910006724B1 true KR910006724B1 (ko) | 1991-08-31 |
Family
ID=2506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6481A KR910006724B1 (ko) | 1985-08-07 | 1986-08-06 |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압감 접착 테이프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EP (1) | EP0213737B1 (ko) |
JP (1) | JPS6234976A (ko) |
KR (1) | KR910006724B1 (ko) |
AU (1) | AU587053B2 (ko) |
BR (1) | BR8603752A (ko) |
CA (1) | CA1283330C (ko) |
DE (1) | DE3673922D1 (ko) |
ES (1) | ES2001069A6 (ko) |
MX (1) | MX16834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38896U (ko) * | 1988-03-18 | 1989-09-21 | ||
EP0336431B1 (en) * | 1988-04-07 | 1995-01-18 |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
US5732485A (en) * | 1993-04-13 | 1998-03-31 |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 Foot and shoe deodorizer |
US6227458B1 (en) | 1993-12-03 | 2001-05-08 |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 Deodorizer |
DE69511843T2 (de) * | 1995-04-03 | 2000-06-29 |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aint Paul | Druckempfindlicher Klebstoff |
JP4249815B2 (ja) * | 1997-08-27 | 2009-04-08 | 住友精化株式会社 | フロスト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フロスト調ガラス容器 |
DE19909864B4 (de) * | 1999-03-08 | 2005-03-31 | Avery Dennison Corp., Pasadena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Folienbahn |
DE19950510A1 (de) * | 1999-10-20 | 2001-05-23 | Beiersdorf Ag | Verpackungs-Klebeband |
JP5570706B2 (ja) | 2008-05-29 | 2014-08-13 | 日東電工株式会社 |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
JP5671478B2 (ja) * | 2008-12-31 | 2015-02-18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引き伸ばし剥離可能な感圧接着剤 |
ES2488136T3 (es) * | 2009-06-18 | 2014-08-2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Espumas poliméricas |
JP5746828B2 (ja) * | 2010-04-02 | 2015-07-08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アクリル系粘着剤 |
EP2588551A4 (en) * | 2010-06-30 | 2017-08-3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urface modific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nanoparticles |
US9484123B2 (en) | 2011-09-16 | 2016-11-01 | Prc-Desoto International, Inc. | Conductive sealant compositions |
JP6537302B2 (ja) * | 2015-03-06 | 2019-07-03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感圧接着剤及び積層体 |
EP3182398A1 (en) | 2015-12-18 | 2017-06-2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Identification plat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906A (en) * | 1859-07-26 | Simeon goodfellow | ||
US2859198A (en) * | 1951-06-12 | 1958-11-04 | Goodrich Co B F | Surface-coated silicon-containing particulate material and rubbery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
GB761868A (en) * | 1952-08-09 | 1956-11-21 | Connecticut Hard Rubber Co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lysiloxane adhesive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
IT610737A (ko) * | 1955-11-18 | 1900-01-01 | ||
US3024146A (en) * | 1958-08-04 | 1962-03-06 | Silicone rubber adhesive containing | |
JPS52133339A (en) * | 1976-05-01 | 1977-11-08 | Res Inst For Prod Dev | Latent adhesive and its production |
US4223067A (en) * | 1978-03-27 | 1980-09-16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oam-lik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JPS5914072A (ja) * | 1982-07-14 | 1984-01-24 |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 現金取扱装置 |
JPS6028469A (ja) * | 1983-07-26 | 1985-02-13 | Aisin Seiki Co Ltd | エポキシ樹脂製テ−プ |
-
1986
- 1986-07-28 DE DE8686305786T patent/DE3673922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07-28 EP EP86305786A patent/EP021373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07-29 AU AU60662/86A patent/AU587053B2/en not_active Expired
- 1986-07-30 CA CA000514916A patent/CA1283330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07-31 MX MX003335A patent/MX168347B/es unknown
- 1986-08-06 BR BR8603752A patent/BR8603752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08-06 JP JP61184997A patent/JPS6234976A/ja active Granted
- 1986-08-06 KR KR1019860006481A patent/KR9100067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08-06 ES ES8600896A patent/ES2001069A6/es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2221A (ko) | 1987-03-30 |
CA1283330C (en) | 1991-04-23 |
JPH0250145B2 (ko) | 1990-11-01 |
ES2001069A6 (es) | 1988-04-16 |
EP0213737B1 (en) | 1990-09-05 |
EP0213737A1 (en) | 1987-03-11 |
MX168347B (es) | 1993-05-19 |
DE3673922D1 (de) | 1990-10-11 |
AU587053B2 (en) | 1989-08-03 |
BR8603752A (pt) | 1987-03-10 |
JPS6234976A (ja) | 1987-02-14 |
AU6066286A (en) | 1987-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49590A (en) |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ontaining hydrophobic silica | |
US4710536A (en) |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ontaining hydrophobic silica | |
KR910006724B1 (ko) |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압감 접착 테이프 | |
KR100249615B1 (ko) | 상호침투하는 중합체망상구조물을 포함하는 감압접착제 및 감압접착제테이프 | |
US5536778A (e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cellulose | |
CN102086351B (zh) | 装配胶带 | |
KR0128278B1 (ko) | 점착화된 삼원 공중합체 접착제 | |
EP1704197B1 (en) | Method of prepar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 |
JP5227658B2 (ja) | 基材付き光重合体層及びその製造方法 | |
EP1753834B1 (en) | Adhesive sheet comprising hollow parts | |
KR20010085543A (ko) | 감압성 접착 시이트, 및 기능성 필름의 고정방법 | |
JPH0790028A (ja) | 光重合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性テープおよび粘着性テープ | |
JPH0790229A (ja) | 光重合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性テープおよび粘着性テープ | |
JP2877678B2 (ja) | 両面粘着テープ | |
JP4535411B2 (ja) | アクリル系熱硬化型接着剤および接着シート類 | |
KR920002782B1 (ko) | 아크릴압감 접착 테이프 | |
JP3736576B2 (ja) | 紫外線重合型粘着剤組成物及び両面粘着テープ | |
JP7109698B1 (ja) | 熱剥離型粘着テープ | |
JPH02503330A (ja) | 貯蔵安定性重合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 |
JPH05140510A (ja) | 光重合性接着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の接着シ―ト類 | |
JPH0987600A (ja) | 偏光板用粘着剤 | |
CN114410236A (zh) | 一种耐低温冲击型丙烯酸泡棉胶带及其制备方法 | |
JPH06166858A (ja) | 感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類 | |
JPS63181347A (ja) | 感圧接着性シ−ト及びこれを用いる半導体ウエハ−のダイシング方法 | |
US20240270915A1 (en) | Silica-coated cellulose nanofiber modified with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825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