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692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1692A KR20240021692A KR1020230086422A KR20230086422A KR20240021692A KR 20240021692 A KR20240021692 A KR 20240021692A KR 1020230086422 A KR1020230086422 A KR 1020230086422A KR 20230086422 A KR20230086422 A KR 20230086422A KR 20240021692 A KR20240021692 A KR 202400216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work machine
- mode
- machine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작업기의 장착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자율 주행이 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간이나 수고의 낭비를 삭감하는 것.
[해결 수단] 포장에 대하여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가 접속 가능한 차체(4)와, 인위적 조작에 의한 수동 주행 모드와, 상기 포장의 기준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차체(4)를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해결 수단] 포장에 대하여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가 접속 가능한 차체(4)와, 인위적 조작에 의한 수동 주행 모드와, 상기 포장의 기준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차체(4)를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앙기나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나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로서 모종 식부 장치(20)나 제초 장치(40)가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경량의 작업기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최고 속도를 규제하기 위해서, 작업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제초 장치(4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여, 엔진 회전수가 허용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신하고, 모종 식부 장치(2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의 검출을 행하지 않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작업기를 착탈, 교환 가능한 작업 차량에서는, 작업기와 차량 본체를 접속하는 커넥터의 접속 망각이나 완전히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하여 작업기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이거나, 작업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실수로 주행되는 경우가 있다.
작업기의 접속이 불완전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자율 주행(자동 주행, 무인 주행)을 행하면, 작업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거나, 작업기가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특히, 자율 주행을 행하는 기술에서는, 자율 주행 경로를 작성하기 전에, 포장의 외주를 따라 작업 차량을 주행시켜서, 자율 주행 시의 기준이 되는 포장의 범위를 취득하는 동작(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 티칭 모드)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지만, 작업기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티칭 모드가 실행된 후에 작업기의 접속 불완전이 판명되어도, 작업기의 접속 불완전 해소 후에 다시 티칭 모드를 실행하게 되어, 시간이나 수고가 낭비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기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자율 주행이 개시되는 경우에 비해, 시간이나 수고의 낭비를 삭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의 해결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포장에 대하여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가 접속 가능한 차체(4)과, 인위적 조작에 의한 수동 주행 모드와, 상기 포장의 기준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차체(4)를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작업기로서, 포장의 풀을 제거하는 제초기(160)와, 포장 내의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절기(170)와, 약제의 살포를 행하는 관리기(180) 중 어느 하나가 접속 가능한 상기 차체(4)이며, 상기 제초기(160)와 상기 구절기(170) 및 상기 관리기(180)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드로의 이행을 규제하는 상기 제어 수단(3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접속되어 있는 작업기에 관한 항목과, 상기 항목의 설정값이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식부 장치 이외를 상기 차체(4)에 접속하면, 식부 장치에 관한 항목은 표시되지만, 상기 항목의 적어도 일부의 설정값은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접속되어 있는 작업기에 관한 항목과, 상기 항목의 설정값이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작업기로서 매트 형상의 모종으로부터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장치(10)가 있고, 상기 식부 장치(10) 대신에 직파 장치(150)를 상기 차체(4)에 접속하면, 식부 깊이의 설정값은 표시되고, 매트 형상의 모종에 관한 설정값은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포장의 기준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차체(4)의 주행을 원격 조작 가능한 원격 조작구(102)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해서 상기 차체(4)를 주행시키는 원격 조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 조작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가 미접속인 경우에 자동 주행 모드 금지함으로써, 작업기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자율 주행이 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간이나 수고의 낭비를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제초기와 구절기 및 관리기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된 경우에는, 자동 주행 모드로의 이행을 규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자율 주행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를 금지함으로써, 자율 주행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 조작 모드를 금지함으로써, 작업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모종 이식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1)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2)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3)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4)이다.
도 2는 모종 이식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1)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2)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3)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의 설명도(제 4)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로서, 매트 모종으로부터 식부 클로에 의해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장치의 일례로서의 모종 식부부(10)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프트 링크 기구(11)에 착탈 가능한 작업기로서는, 예를 들면 종자를 포장에 뿌리는 직파 장치나, 포장의 풀을 제거하는 제초기, 포장 내의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절기, 약제의 살포를 행하는 관리기 등 종래 공지인 다양한 작업기가 사용 가능하다.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는, 무선 통신 회선(101)을 통하여, 원격 조작구의 일례로서의 태블릿 단말(102)과의 간에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태블릿 단말(102)은 표시부의 일례이며 입력부의 일례로서의 터치 패널(102a)과, 전원 버튼 등 복수의 입력 버튼(102b) 등을 갖는다. 상기 태블릿 단말(102)에 작업자가 입력 조작함으로써, 모종 이식기(1)를 원격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모종 이식기(1)로부터 떨어진 위치(예를 들면, 포장의 외측)로부터 원격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작업자가 운전석(28)에 앉은 상태에서 스티어링 핸들(32) 등을 조작하지 않고 태블릿 단말(102)을 조작해서 모종 이식기(1)의 주행이나 식부 작업의 조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의 설명)
도 4는 실시형태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모종 이식기의 제어부의 설명)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는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어부(300)를 갖는다. 제어부(300)는 외부와의 신호의 입출력 등을 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I/O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300)는 필요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보 등이 기억된 ROM: 리드 온리 메모리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300)는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RAM: 랜덤 엑세스 메모리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300)는 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CPU: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갖는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제어부(300)는 소형의 정보 처리 장치, 이른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300)에는 스티어링 보드(31)의 각종 버튼이나 손잡이, 조작 기구(33), 꺾임각 센서(SN1), 우후륜 회전 센서(SN2a), 좌후륜 회전 센서(SN2b), 작업기 접속 센서(SN3), 잔량 센서(SN4), 이상 검출 센서(SN5), GNSS, 디퍼렌셜 기어 스위치(SW1), 기타 도시하지 않은 각종 센서(예를 들면 제초제 호퍼(62) 내의 잔량 센서) 등의 신호 입력 요소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꺾임각 센서(SN1)는 스티어링 핸들(32)의 조작량(꺾임각)을 검출한다.
우후륜 회전 센서(SN2a)는 우후륜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좌후륜 회전 센서(SN2b)는 좌후륜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작업기 접속 센서(SN3)는 작업기(모종 식부부(10) 등)의 접속, 착탈을 검출한다.
잔량 센서(SN4)는 작업기가 직파 장치(150)인 경우에 직파 장치(150)로부터 뿌려지는 종자의 잔량을 검출한다. 실시형태의 잔량 센서(SN4)는 직파 장치(150)의 호퍼 내의 중량을 검출해서 종자의 잔량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 센서(SN5)는 작업기가 직파 장치(150)인 경우에 직파 장치(150)의 이상을 검출한다. 실시형태의 이상 검출 센서(SN5)는 직파 장치(150)로부터 종자를 송출하는 부재(조출롤(15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조출롤(151)로부터 송출되어 통과하는 종자의 양을 검출한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전구 측위 위성 시스템)는 차체(4)의 현재 위치를 취득한다.
디퍼렌셜 기어 스위치(SW1)는 모종 이식기(1)의 디퍼렌셜(작동 장치)로 선회 시의 내외륜차를 자동적으로 두는 디퍼렌셜 록을 행할지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한, 제어부(300)에는 태블릿 단말(102)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입력된다.
제어부(300)는 피제어 요소의 일례로서의 리프트 실린더나 식부 클러치 등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작업기(모종 식부부(10))의 승강이나, 작업기(모종 식부부(10))의 작동/정지를 제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0)는 작업기로서 모종 식부부(1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동의 제초제 살포 장치(61)의 조출 부재(63)나, 전동의 살충제 살포 장치(66)의 살충제 조출 부재(69)나 이동용 모터(7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해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작업기로서 직파 장치(15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파 장치(150)의 조출롤(151)(조출 부재(63)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나, 조출롤(151)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클러치(152)로 제어 신호를 송신해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표시부의 일례로서의 스티어링 보드(31)의 모니터(31a)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태블릿 단말(102)을 향해서 정보를 출력한다.
실시형태의 제어부(300)는 이하의 기능 수단(프로그램 모듈)을 갖는다. 작업기 판별 수단(301)은, 작업기 접속 센서(SN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작업기의 종류(모종 식부부(10), 직파 장치(150), 제초기(160), 구절기(170), 관리기(180) 등)를 판별한다.
티칭 모드 제어 수단(302)은, 포장의 외주의 기준이 되는 개소(실시형태에서는 포장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차체(4)를 주행시켜서 기준 데이터(티칭 데이터, 교사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의 일례로서의 티칭 모드를 실행시킨다.
실시형태의 티칭 모드 제어 수단(302)은, 스티어링 보드(31) 또는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으로 티칭 모드의 개시의 입력이 된 후에, 스티어링 핸들(32) 등을 작업자가 수동 조작 또는 태블릿 단말(102)로 원격 조작해서 모종 이식기(1)를 주행시키고, 스티어링 보드(31) 등으로 티칭 모드의 종료의 입력이 될 때까지의 주행 궤적, 즉 주행 경로를 따른 GNSS의 위치 정보의 시간적인 이력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자동 주행 모드 제어 수단(303)은 기준 데이터에 의거해서 차체(4)를 자동적으로 주행시킨다. 실시형태의 자동 주행 모드 제어 수단(303)은 티칭 모드에서 얻어진 기준 데이터로부터 차체(4)의 주행 경로를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스티어링 보드(31) 또는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자동 주행 모드의 개시의 입력이 된 후에, 차체(4)의 주행이나 작업기(모종 식부부(10)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행 경로를 따라 차체(4)를 주행시키면서 작업기로 작업시킨다.
원격 조작 모드 제어 수단(304)은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해서 차체(4)를 제어하여, 차체(4)를 주행시킨다. 실시형태의 원격 조작 모드 제어 수단(304)은 스티어링 보드(31) 또는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원격 조작 모드의 입력이 된 경우에,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차체(4)의 주행이나 작업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동 조작 모드 제어 수단(305)은 스티어링 핸들(32)의 조작에 의거해서 차체(4)를 주행시킨다. 실시형태의 수동 조작 모드 제어 수단(305)은 스티어링 보드(31) 또는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수동 조작 모드의 개시의 입력이 된 경우에, 스티어링 핸들(32)이나 액셀 페달, 브레이크 페달 등의 주행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서 차체(4)의 주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스티어링 보드의 각종 버튼 등의 입력에 따라서 작업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에서는, 모종 이식기(1)의 전원 투입 시(기동 시, 초기 상태, 디폴트 상태)에는 수동 조작 모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모드 이행 수단(306)은 스티어링 보드(31) 또는 태블릿 단말(10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티칭 모드나 자동 주행 모드, 원격 조작 모드, 수동 조작 모드의 스위칭을 행한다. 실시형태의 모드 이행 수단(306)은, 작업기 접속 센서(SN3)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작업기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티칭 모드와 자동 주행 모드와 원격 조작 모드로의 이행을 규제한다. 즉, 작업기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동 조작 모드에서의 제어나, 차체(4)의 정지밖에 할 수 없도록 모드의 이행이 규제된다(티칭 모드 등으로 이행할 수 없다).
또한, 실시형태의 모드 이행 수단(306)은 작업기 판별 수단(301)의 판별 결과로부터, 장착되어 있는 작업기가 제초기(160), 구절기(170), 관리기(180)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티칭 모드와 자동 주행 모드와 원격 조작 모드로의 이행을 규제한다. 즉,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되어 있는 작업기가 모종 식부부(10) 또는 직파 장치(150)인 경우에만 티칭 모드와 자동 주행 모드와 원격 조작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모종 식부부(10) 및 직파 장치(150) 이외의 작업기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티칭 모드 등으로 이행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모드 이행 수단(306)은 모종 식부부(10) 또는 직파 장치(150)가 장착된 상태에서 티칭 모드, 자동 주행 모드, 원격 조작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실행 중에, 작업기 접속 센서(SN3)의 검출 결과로부터 작업기가 분리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티칭 모드 등을 강제적으로 종료하고, 수동 주행 모드로 강제적으로 이행시킨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에서는, 작업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티칭 모드나 자동 주행 모드, 원격 조작 모드로의 이행이 규제된다. 작업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차체(4)의 제어부(300)가 작업기를 인식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작업기의 장착이 불완전 또는 분리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자동 주행 모드나 원격 조작 모드가 실행되면, 작업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거나, 작업기가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자동 주행 모드의 전제가 되는 티칭 모드를 실행해도, 티칭 모드 후에 작업기의 장착 불완전이 판명되어도, 작업기의 장착 불완전의 해소 후에 다시 티칭 모드를 실행하게 되어, 시간이나 수고가 낭비가 된다. 이들에 대하여,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티칭 모드나 자동 주행 모드, 원격 조작 모드로의 이행이 규제되고 있어, 작업기의 장착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자율 주행이 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이 행하여지지 않았거나, 작업기가 파손되거나, 시간이나 수고의 낭비가 삭감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가 모종 식부부(10) 또는 직파 장치(150) 이외인 경우에는, 자동 주행 모드 등으로 이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종 식부부(10) 또는 직파 장치(150)의 경우만 작업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좋은 자율 주행이나 원격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주행 모드 등으로 작업 중에 작업기가 분리된 경우에, 강제적으로 수동 주행 모드로 이행한다. 현실 문제로서, 작업 중에 작업기가 분리되었다고 인식되는 상황은, 작업기의 장착이 불완전하여 작업기가 도중에 빠져버린 상태나, 작업기와 차체(4)를 접속하는 케이블의 단선, 혹은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빠진다는 상황이 생각된다. 작업 중에 작업기가 분리되었다고 판별되는 상황인 채로 작업을 계속하면, 작업이 불완전해지거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강제적으로 수동 주행 모드로 이행시킴으로써, 그 이상의 자동 주행을 규제하여, 사고의 발생 등을 억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로봇 이앙기에 직파 유닛 등을 장착할 때의 모니터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의 차체(100) 및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적어도 일방의 모니터(800)에서, 장착되어 있는 작업기에 관한 미리 정해진 필요한 항목이 표시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작업기에 관한 미리 정해진 필요한 항목이 동시에 표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작업기에 관한 항목에 대해서는,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표시 변형이 행하여진다.
로봇 이앙기에 있어서, 직파 유닛, 제초기 유닛, 또는 구절기 유닛과 같은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 차체(100) 및 리모트 컨트롤러(700)에 각각 설치된 모니터(800)의 모니터 패널에 있어서, 이들 유닛과 관계가 없는 모종 매트 유닛을 위한 항목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직파 유닛 등이 장착되면, 모종 매트 유닛의 항목인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 등에 대해서는 데이터 참조원이 없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모니터 표시가 프로그램 재기동 조작 등에 수반하여 갱신되어도, 유저의 오해를 초래하기 쉬운 표시는 행하여지지 않으므로, 사용성이 향상된다.
표시 변형은 항목의 명칭을 표시함에도 불구하고, 항목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표시 변형은 체크 마크와 같은 기호의 부가 등을 이용함으로써 행하여져도 좋고, 표시 문자색 또는 표시 배경색의 변경 등을 이용함으로써 행하여져도 좋다.
장착되어 있는 작업기는 작업기와의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이용함으로써, 차체(100)의 컨트롤러(600)에서 판별 가능하다.
모종 매트 유닛과 같은 유닛을 이앙기 본체에 하니스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이앙기 전방측 또는 이앙기 후방측에 설치된 컨트롤러(600)에 의해 유닛의 종류를 식별하는 구성도 생각된다.
적어도 하나의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작업기는 모종 매트 유닛이다. 모종 매트 유닛에 관한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 및 모종 매트 사용 매수의 항목에 대하여는 표시 변형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800)의 설명도(제 1)인 도 6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 및 모종 매트 사용 매수의 항목에 대해서는 가로대 기호의 부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표시 변형이 행하여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 모니터(800)의 설명도(제 2)인 도 7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 및 모종 매트 사용 매수의 항목에 대해서는 표시 명도의 변경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표시 변형이 행하여지고 있다.
상술된 형태에서 모종 매트 유닛 이외의 유닛이 검출되었을 때, 모니터 패널의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에 대하여, 표시가 행하여지지 않거나, 또는 데이터 없음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표시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모니터 패널의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에 대해서, 표시가 행하여지지 않거나, 또는 데이터 없음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표시될 때,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 모내기량, 및 주수로부터 산출되는 10아르당의 모종 매트 사용 매수를 표시하는 패널 표시 에어리어에 있어서, 표시가 행하여지지 않거나, 또는 데이터 없음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표시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모종 매트 유닛에 관한 모종 식부 깊이의 항목 및 모내기량의 항목에 대해서는 표시 변형이 행하여지지 않고, 항목의 내용 설정은 조절 가능하다. 모종 매트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 조절된 설정은 반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800)의 설명도(제 3)인 도 8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깊이의 항목에 대해서는, 항목의 내용 설정은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이앙기의 모니터(800)의 설명도(제 4)인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모내기량의 항목에 대해서는 항목의 내용 설정은 조절 가능하다.
즉, 모종 식부 깊이 및 모내기량 등의 항목과 같은, 빈번하게 사용되는 모종 식부 장치(240)를 갖는 표준적인 모종 매트 유닛의 항목은, 직파 유닛에 관한 파종량의 항목, 및 구절기 유닛에 관한 구절 깊이의 항목 등과 비교해서 자주 중요하므로, 특별히 다루어져, 편리성이 향상되어도 좋다.
모종 매트 유닛 이외의 유닛이 검출되었을 때여도, 모종 식부 깊이의 항목은 기능 설정 화면에서 표시되어서 설정은 조절 가능하고, 모종 매트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 변경된 설정은 반영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모종 매트 유닛 이외의 유닛이 검출되었을 때여도, 모내기량의 항목은 기능 설정 화면에서 표시되어서 설정은 조절 가능하고, 모종 매트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 변경된 설정은 반영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모종 매트 유닛 이외의 유닛이 검출되었을 때여도, 모종 식부 깊이의 항목은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기능 설정 화면에서 표시되어서 보정값은 조절 가능하고, 모종 매트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 변경된 설정은 반영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모종 매트 유닛 이외의 유닛이 검출되었을 때여도, 모내기량의 항목은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기능 설정 화면에서 표시되어서 보정값은 조절 가능하고, 모종 매트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 변경된 설정은 반영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모종 매트 횡이송 횟수의 항목에 있어서의 패턴은 모니터 패널 기능 설정 화면에서 표시되어서 조절 가능하고, 변경된 설정은 10아르당의 모종 매트 사용 매수에도 반영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로봇 이앙기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직파 복토의 설정은, 유저 지시에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700)로 조절 가능하다.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이앙기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700) 등의 휴대 단말의 조작으로 직파 유닛의 복토 조절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자동 주행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여도, 기외로부터의 복토 조절을 행할 수 있으므로,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 기능 설정 화면에 복토 조절의 항목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도 생각된다.
장착된 유닛이 직파 유닛인 것이 식부부 유닛의 형식(型式) 판정에서 인식된 경우, 상술된 형태에 있어서의 복토 조절의 항목은 선택 가능하게 되어서 활성 상태가 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장착된 유닛이 직파 유닛이 아닌 것이 식부부 유닛의 형식 판정에서 인식된 경우, 상술된 형태에 있어서의 복토 조절의 항목은 선택 불가능으로 되어 표시되지만 비활성 상태가 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장착된 유닛이 직파 유닛이 아닌 것이 식부부 유닛의 형식 판정에서 인식된 경우, 상술된 형태에 있어서의 복토 조절의 항목은 표시되지 않고 비활성 상태가 되는 구성도 생각된다.
Claims (6)
- 포장에 대하여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가 접속 가능한 차체(4)와,
인위적 조작에 의한 수동 주행 모드와, 상기 포장의 기준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차체(4)를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로서, 포장의 풀을 제거하는 제초기(160)와, 포장 내의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절기(170)와, 약제의 살포를 행하는 관리기(180) 중 어느 하나가 접속 가능한 상기 차체(4)이며,
상기 제초기(160)와 상기 구절기(170) 및 상기 관리기(180)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드로의 이행을 규제하는 상기 제어 수단(3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 제 2 항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는 작업기에 관한 항목과, 상기 항목의 설정값이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식부 장치 이외를 상기 차체(4)에 접속하면, 식부 장치에 관한 항목은 표시되지만, 상기 항목의 적어도 일부의 설정값은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 제 2 항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는 작업기에 관한 항목과, 상기 항목의 설정값이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작업기로서 매트 형상의 모종으로부터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장치(10)가 있고, 상기 식부 장치(10) 대신에 직파 장치(150)를 상기 차체(4)에 접속하면, 식부 깊이의 설정값은 표시되고, 매트 형상의 모종에 관한 설정값은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의 기준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 데이터 취득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4)의 주행을 원격 조작 가능한 원격 조작구(102)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해서 상기 차체(4)를 주행시키는 원격 조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가 비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 조작 모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2-127181 | 2022-08-09 | ||
JP2022127181A JP7424427B1 (ja) | 2022-08-09 | 2022-08-09 | 作業車両 |
JP2022201814A JP2024087169A (ja) | 2022-12-19 | 2022-12-19 | 作業車両 |
JPJP-P-2022-201814 | 2022-12-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1692A true KR20240021692A (ko) | 2024-02-19 |
Family
ID=9005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6422A KR20240021692A (ko) | 2022-08-09 | 2023-07-04 | 작업 차량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1692A (ko) |
TW (1) | TW20240645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79515A (ja) | 2006-09-26 | 2008-04-10 | Kubota Corp | 水田用作業機 |
-
2023
- 2023-07-04 KR KR1020230086422A patent/KR20240021692A/ko unknown
- 2023-07-24 TW TW112127452A patent/TW202406450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79515A (ja) | 2006-09-26 | 2008-04-10 | Kubota Corp | 水田用作業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406450A (zh) | 2024-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414142B (zh) | 作业车辆 | |
CN106462165A (zh) | 作业车辆及使作业车辆自动行驶的行驶控制装置 | |
US11399454B2 (en) | Working vehicle | |
EP3744603B1 (en) | Work vehicle | |
JP2019187358A (ja) | 作業車両 | |
KR20240021692A (ko) | 작업 차량 | |
WO2021200568A1 (ja) | 農業機械 | |
KR20190070276A (ko) | 포장 작업기 및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 | |
CN117581685A (zh) | 作业车辆 | |
EP4014706B1 (en) | Work vehicle | |
JP7322926B2 (ja) | 作業車両 | |
JP6999471B2 (ja) | 圃場作業機 | |
WO2018207558A1 (ja) | 作業機の操作支援システム及び農業支援システム | |
JP7386403B2 (ja) | 作業車両 | |
JP7371667B2 (ja) | 作業車両 | |
JPH11206208A (ja) | 水田作業機の警報装置 | |
JP2020054320A (ja) | 作業車両 | |
KR20230159263A (ko) | 작업 차량 | |
JP3418337B2 (ja) | 作業機 | |
JP7139838B2 (ja) | 作業車両 | |
JP7124905B2 (ja) | 移植機 | |
US20230345858A1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irst or a Second Agricultural Machine | |
JP2024060338A (ja) | 作業車両 | |
KR20240149788A (ko) | 작업 차량 | |
JP2024032792A (ja) | 作業車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