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57599A - 자력흡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력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599A
KR20230157599A KR1020220056966A KR20220056966A KR20230157599A KR 20230157599 A KR20230157599 A KR 20230157599A KR 1020220056966 A KR1020220056966 A KR 1020220056966A KR 20220056966 A KR20220056966 A KR 20220056966A KR 20230157599 A KR20230157599 A KR 2023015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ocking
magnet
rot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한창기
Original Assignee
대성마그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마그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마그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599A/ko
Publication of KR2023015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05Grab supports, e.g. articulations; Oscillation dampers;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방으로 접근하강 및 이격상승 가능하게 마련된 인양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회전축과, 수평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자석과, 회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자석을 가지며, 고정자석에 대한 회전자석의 회전위치에 따라 착자상태와 해자상태를 나타내는 자석부와, 하우징에 착자구동을 위한 상승위치와 해자구동을 위한 하강위치 간을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슬라이더와, 구동슬라이더의 승강운동을 수평회전축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여 수평회전축을 착자위치와 해자위치 간을 회동하게 하는 전동부 및, 인양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 간을 선택할 수 있는 승강차단부를 포함하며, 승강차단부는 인양부의 승강축선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어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는 회동몸체와, 회동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구를 가지며, 하우징은 회동몸체가 걸림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걸림구가 걸림되게 하는 걸림차단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력흡착장치{Apparatus for magnetic adsorber}
본 발명은 자력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성체 중량물을 이동할 때 사용되는 자력흡장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자석과, 회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자석을 가지며, 회전자석과 고정자석의 대응 위치에 따라 흡착자력이 온(ON), 오프(OFF) 된다. 이를 위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부가 마련된다.
회전축구동부는 하우징의 상방으로 접근하강 및 이격상승 가능하게 마련된 인양부와,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승강슬라이더와, 인양부와 승강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락킹부를 가진다.
그리고 하우징은 자력흡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보관시 인양부가 하우징의 상방으로 이격상승되지 않게 구속하는 밴드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자력흡착장치는 밴드의 양단부가 하우징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밴드가 인양부의 일부 상단영역에 단순히 걸쳐지도록 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밴드에 의한 인양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양부가 하우징으로 상승이 제한된 구속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력흡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자력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방으로 접근하강 및 이격상승 가능하게 마련된 인양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자석을 가지며, 상기 고정자석에 대한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위치에 따라 착자상태와 해자상태를 나타내는 자석부와, 상기 하우징에 착자구동을 위한 상승위치와 해자구동을 위한 하강위치 간을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슬라이더와, 상기 구동슬라이더의 승강운동을 상기 수평회전축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여 상기 수평회전축을 착자위치와 해자위치 간을 회동하게 하는 전동부 및, 상기 인양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 간을 선택할 수 있는 승강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차단부는 상기 인양부의 승강축선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어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는 회동몸체와 상기 회동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동몸체가 상기 걸림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걸림구가 걸림되어 상기 인양부가 승강축선을 따라 상승이 제한된 구속상태가 되게 하는 걸림차단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승강차단부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차단턱에 걸림되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차단턱으로부터 벗어난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시키는 회동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걸림구의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위치결정홈을 가지며, 상기 인양부에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위치 또는 걸림해제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위치결정홈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몸체의 회동을 저지하는 볼플런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 구동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인양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를 선택하는 선택버튼과, 상기 선택버튼으로부터 해제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차단턱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회전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양부와 상기 구동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는 상기 인양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승강 가능한 슬라이딩소켓과, 상기 구동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딩소켓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하는 락킹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양부가 하우징으로 상승이 제한된 구속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래치부와 푸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승강차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10)는 하우징(100), 자석부(160), 구동슬라이더(170), 전동부(190), 승강차단부(20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상방으로 접근하강 및 이격상승 가능하게 마련된 인양부(120)를 구비한다.
바디부(110)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112)와, 측벽부(112)에 의해 형성된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를 폐쇄하는 상판부(114) 및 하판부(116)와, 상판부(114)를 덮는 커버(118)로 이루어진다. 커버(118)에는 구동슬라이더(170)가 전동바디부(140)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동슬라이더출입공(118a)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110)는 자석부(160)가 수용되는 한 쌍의 마그네틱바디부(130)와, 한 쌍의 마그네틱바디부(130) 사이에 마련되어 전동부(190)가 수용되는 전동바디부(140)와, 마그네틱바디부(130)에 결합되어 소켓부(180)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바디부(150)를 가진다.
마그네틱바디부(130)의 내부에는 자성체인 다수개의 격판(132)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그네틱바디부(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격판(132)은 중앙부를 따라 설치된 비자성체판(미도시)에 의해 전후방측으로 분할되어 있다. 마그네틱바디부(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각 격판(132)은 한 쌍의 측벽부(112)와 함께 통형상을 이룬다.
소켓바디부(150)의 내부에는 소켓부(180)가 삽입되는 삽입부(152)가 형성되며, 삽입부(152)의 상부에는 소켓부(180)의 상승을 제한하는 차단턱(154)이 형성된다. 차단턱(154)은 소켓부(180)의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82b)에 걸림된다.
인양부(120)는 바디부(110)의 상방으로 접근하강 및 이격상승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면에는 크레인(미도시) 등에 구비된 인양고리가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122)와,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표시안내공(124)을 갖는다.
또한 인양부(120)는 표시안내공(124)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회전축(162)의 착자위치 및 해자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126)를 구비한다.
표시부(126)는 표시안내공(124)에 승강가능하게 위치되며 외주연에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26b)를 갖는 표시몸체부(126a)와, 표시안내공(124)에 설치되어 표시몸체부(126a)가 표시안내공(1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플랜지부(126b)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링(126c)으로 이루어진다. 이탈방지링(126c)의 중심부에는 표시몸체부(126a)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126c-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표시부(126)는 락킹부(184)에 의해 구동슬라이더(170)와 소켓부(180)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승될 때 구동슬라이더(170)에 형성된 받침대(174)의 상면과 접촉하여 표시안내공(124)을 통해 상방 돌출된다.
이러한 표시부(126)가 필요한 이유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184)가 래치부(188)에 의해 걸림부(182a)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소켓부(180)가 상승할 때 구동슬라이더(170)는 상승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소켓부(180)는 인양부(120)와 함께 상승을 한 상태여서 작업자는 자석부(160)가 착자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실제로 구동슬라이더(170)는 상승을 하지 않아 구동슬라이더(170)와 전동부(190)를 통해 착자위치와 해자위치 간을 회동하는 수평회전축(162)이 회전하지 않아 자석부(160)는 해자상태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자석부(160)가 착상태인지 해자상태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석부(16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회전축(162)과, 수평회전축(162)에 설치된 다수개의 회전자석(164)과, 회전자석(164)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자석(166)을 가진다.
회전자석(164)은 수평회전축(162)에 고정키(160b)를 통해 결합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원통체(160a)의 내부에 반원형태로 분할 삽입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개의 회전자석(164)은 각 격판(13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고정자석(166)은 회전자석(164)과 전후방으로 대응되는 마그네틱바디부(130)의 측벽부(112)의 내측에 회전자석(164)을 둘러싸며 회전자석(164)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다수개의 고정자석(166)은 각 격판(132)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석부(160)는 고정자석(166)에 대한 회전자석(164)의 위치에 따라 착자상태와 해자상태를 나타낸다.
회전자석(164)이 수평회전축(16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자석(164)과 고정자석(166)이 동일한 자극으로 대응되어 격판(132)이 자화된다. 즉, 격판(132)이 자화되면 마그네틱바디부(130)의 바닥부를 통해 흡착자력이 발생되는 착자상태가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회전자석(164)이 수평회전축(162)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자석(164)과 고정자석(166)이 서로 다른 자극으로 대응되어 격판(132)이 자화되지 않는다.
즉, 격판(132)이 자화되지 않으므로 마그네틱바디부(130)의 바닥부를 통해 흡착자력이 발생되지 않는 해자상태가 된다.
구동슬라이더(170)는 하우징(100)에 착자구동을 위한 상승위치와 해자구동을 위한 하강위치 간을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동부(190)를 구동시킨다. 구동슬라이더(170)가 상승위치에 되었을 때 회전자석(164)과 고정자석(166)이 착자상태를 나타내며, 구동슬라이더(170)가 하강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회전자석(164)과 고정자석(166)이 해자상태를 나타낸다.
구동슬라이더(170)는 내부에 삽입부(172a)가 형성된 슬라이더몸체부(172)와, 슬라이더몸체부(172)의 상면에 구동슬라이더(170)의 승강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받침대(174)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받침대(174) 중 어느 하나에는 락킹부(184)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부출입공(17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동슬라이더(170)는 소켓바디부(150)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된 소켓부(180)를 통해 인양부(12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소켓부(180)는 인양부(1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승강 가능한 슬라이딩소켓(182)과, 구동슬라이더(170)를 슬라이딩소켓(182)에 선택적으로 걸리 및 걸림해제되게 하는 락킹부(184)를 가진다.
슬라이딩소켓(182)의 상부 내측면에는 락킹부(184)가 걸림되는 걸림부(182a)가 형성된다. 걸림부(182a)는 슬라이딩소켓(182)의 승강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된다.
락킹부(184)는 구동슬라이더(170)의 락킹부출입공(176)에 출입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락킹부(184)는 걸림부(182a)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한 락킹단부(184a)를 단부 가지며, 락킹단부(184a)가 걸림부(182a)에 걸림된 상태에서 소켓부(180)와 구동슬라이더(170)를 일체로 승강가능하게 한다.
락킹부(184)는 락킹작동부에 의해 소켓부(180)의 제1승강시 락킹단부(184a)가 걸림부(182a)로부터 걸림해제되며, 소켓부(180)의 제2승강시 락킹단부(184a)가 걸림부(182a)에 걸림되도록 교호적으로 구동된다.
락킹작동부는 락킹부(184)의 락킹단부(184a)가 걸림부(182a)에 걸림되도록 락킹부(18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86)와, 탄성부재(186)의 탄성력에 저항하며 락킹부(184)가 걸림부(182a)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는 래치위치와 락킹부(184)가 걸림부(182a)로 이동되게 하는 래칭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며 락킹부(184)에 접촉 및 이격하는 래치부(188)를 가진다.
탄성부재(186)는 소켓부(180)의 승강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켓부(180)의 제2승강시 락킹단부(184a)가 걸림부(182a)에 걸림되도록 락킹부(184)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86)는 락킹단부(184a)의 반대측 단부 내에 위치하는 지지핀(18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래치부(188)는 커버(118)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돌출된 지지프레임(188a)에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힌지 결합된다. 래치부(188)는 지지프레임(188a)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스프링(188b)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회동단부와, 회동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래치핀(188c)이 연장 형성된 자유단부를 가진다.
락킹부(184)의 하단부에는 래치부(188)의 자유단부가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홈(184b)이 락킹부(184)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절취 형성된다.
지지스프링(188b)은 래치부(188)의 자유단부가 락킹부(184)의 지지홈(184b)에 접촉 지지되어 락킹부(184)가 걸림부(182a)로 이동되지 않도록 래치부(188)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또한, 락킹부작동부는 래치부(188)를 가압하는 푸셔(189)를 구비한다. 푸셔(189)는 락킹단부(184a)가 걸림부(182a)로부터 걸림해제된 상태에서 소켓부(180)가 하강할 때 래치부(188)의 래치핀(188c)을 가압하여 래치부(188)의 자유단부가 락킹부(184)의 지지홈(184b)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에 따라 락킹부(184)가 걸림부(182a)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동부(190)는 전동바디부(140)에 설치되며, 구동슬라이더(170)의 승강운동을 수평회전축(162)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여 수평회전축(162)을 착자위치와 해자위치 간을 회동하게 한다.
이러한 전동부(190)는 수평회전축(162)에 결합되어 전동바디부(140)의 내부에 위치된 피니언기어(192)와, 구동슬라이더(170)에 형성된 랙치형부(194)와, 피니언기어(192)와 랙치형부(194)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슬라이더(170)의 승강운동시 수평회전축(162)이 회전운동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196)로 이루어진다.
승강차단부(200)는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 간을 선택한다.
승강차단부(200)는 인양부(120)의 승강축선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어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는 회동몸체(202)와, 회동몸체(20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구(204)를 가진다.
걸림구(204)는 회동몸체(202)가 걸림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하우징(100)의 소켓바디부(150)에 형성된 걸림차단턱(156)에 걸림된다. 걸림차단턱(156)은 회동몸체(202)가 걸림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걸림구(204)가 걸림되어 인양부(120)가 승강축선을 따라 상승이 제한된 구속상태가 되게 한다.
또한, 승강차단부(200)는 회동몸체(202)를 회동시키는 회동레버(206)를 구비한다. 회동레버(206)는 걸림구(204)가 걸림차단턱(156)에 걸림되는 걸림위치와 걸림차단턱(156)으로부터 벗어난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회동몸체(202)의 외주연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동몸체(202)의 외주연에는 한 쌍의 위치결정홈(202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위치결정홈(202a)은 걸림구(204)의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인양부(120)에는 걸림구(204)가 걸림위치 또는 걸림해제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위치결정홈(202a)을 가압하여 회동몸체(202)의 회동을 저지하는 볼플런저(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승강차단부(200)는 회동몸체(202)를 회동 구동시키는 회전모터(210)와,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를 선택하는 선택버튼(220)과, 선택버튼(220)으로부터 해제상태 신호가 입력되면 걸림구(204)가 걸림차단턱(156)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회전모터(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구비한다.
즉, 작업자가 선택버튼(220)을 조작하여 회전모터(210)를 작동시켜 걸림구(204)가 걸림차단턱(156)에 걸림되는 걸림위치와 걸림차단턱(156)으로부터 걸림해제되는 위치 간을 회동되게 하여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 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의 승강차단부를 도시하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차단부(200)는 하우징(100)에 마련된 힌지부(240)와, 힌지부(240)에 결합되며 단부에 승강차단바아(252)가 형성된 회동바아(250)로 이루어진다.
회동바아(250)는 승강차단바아(252)가 인양부(120)의 상면에 접촉되어 인양부의 상승을 차단하는 위치와 인양부(120)로부터 접촉해제되어 인양부(120)의 상승을 허용하는 위치 간을 왕복 회동한다.
여기서, 인양부(120)의 상면에는 승강차단바아(252)가 걸림될 수 있는 돌출턱(120a)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양부(120)의 상면에 승강차단바아(25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미도시)을 함몰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흡착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슬라이더(170)에 형성된 랙치형부(194)가 바디부(110)의 바닥까지 하강상태로 위치되고, 래치부(188)의 래치핀(188c)이 락킹부(184)의 지지홈(184b)에 접촉 지지되어 있어 락킹부(184)가 탄성부재(186)의 탄성력에 의해 락킹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고 락킹해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래치부(188)의 래치핀(188c)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8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푸셔(189)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인양부(120)는 승강차단부(200)에 의해 하우징(100)으로부터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인양부(120)의 연결부(122)를 로프 등을 통해 호이스트나 크레인 등과 같은 운반장치에 연결한 후 자력흡착장치(1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 운반하고자 하는 피이송물이 있는 곳으로 이송하여 피이송물의 상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자력흡착장치(10)를 피이송물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선택버튼(220)을 조작하여 회전모터(210)에 의해 회동몸체(202)가 회동되도록 하여 걸림구(204)가 걸림차단턱(156)으로부터 걸림해제되는 위치가 되게 하면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양부(120)를 1차상승시키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부(120)와, 인양부(120)에 결합된 소켓부(180)만이 상승된다. 즉, 구동슬라이더(170)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자석부(160)는 흡착자력이 발생되지 않은 해자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래치부(188)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위치에 위치되며, 래치부(188)의 래치핀(188c)은 한 쌍의 푸셔(189)로부터 이격된다.
이후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킨다. 인양부(120)를 하강시키면 소켓부(180)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189)가 래치부(188)의 래치핀(188c)을 하부로 가압하여 락킹부(184)의 지지홈(184b)에 접촉 지지되어 있는 래치핀(188c)이 지지홈(184b)으로부터 이탈된다. 즉, 락킹부(184)가 걸림부(182a)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래칭해제위치에 위치된다.
래치부(188)가 래칭해제 위치에 위치되면 락킹부(184)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단부(184a)가 탄성부재(186)의 탄성력에 의해 락킹부출입공(176)을 통해 소켓부(180)의 걸림부(182a)에 걸림되어 구동슬라이더(170)가 소켓부(180)와 일체로 상승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양부(120)를 2차상승시키면,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80)와 함께 구동슬라이더(170)가 상승하면서 전동부(190)가 구동하여 수평회전축(162)을 회전시킨다. 수평회전축(162)이 회전되면 회전자석(164)과 고정자석(166)이 동일한 자극으로 대응됨에 따라 자성체의 격판(132)이 자화되어 자석부(160)는 흡착자력이 발생되는 착자상태된다.
이후,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키면 자력흡착장치(10)는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을 하지 않고 보관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걸림구(204)가 걸림차단턱(156)에 걸림되는 걸림위치에 위치되도록 선택버튼(220)을 조작하여 회전모터(210)에 의해 회동몸체(202)가 회동시키면 인양부(1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상승이 제한된 구속상태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하우징
110; 바디부
120; 인양부
130; 마그네틱바디부
140; 전동바디부
150; 소켓바디부
160; 자석부
170; 구동슬라이더
180; 소켓부
190; 전동부
200; 승강차단부

Claims (5)

  1.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방으로 접근하강 및 이격상승 가능하게 마련된 인양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자석을 가지며, 상기 고정자석에 대한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위치에 따라 착자상태와 해자상태를 나타내는 자석부;
    상기 하우징에 착자구동을 위한 상승위치와 해자구동을 위한 하강위치 간을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슬라이더;
    상기 구동슬라이더의 승강운동을 상기 수평회전축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여 상기 수평회전축을 착자위치와 해자위치 간을 회동하게 하는 전동부; 및
    상기 인양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 간을 선택할 수 있는 승강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차단부는 상기 인양부의 승강축선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어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는 회동몸체와, 상기 회동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동몸체가 상기 걸림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걸림구가 걸림되어 상기 인양부가 승강축선을 따라 상승이 제한된 구속상태가 되게 하는 걸림차단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흡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단부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차단턱에 걸림되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차단턱으로부터 벗어난 걸림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시키는 회동레버를 더 포함하는 자력흡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는 외주면에 상기 걸림구의 걸림위치와 걸림해제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위치결정홈을 가지며,
    상기 인양부에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위치 또는 걸림해제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위치결정홈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몸체의 회동을 저지하는 볼플런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흡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 구동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인양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승 가능한 해제상태와 상승이 제한되는 구속상태를 선택하는 선택버튼과,
    상기 선택버튼으로부터 해제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차단턱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회전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력흡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와 상기 구동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는 상기 인양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승강 가능한 슬라이딩소켓과, 상기 구동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딩소켓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하는 락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흡착장치.
KR1020220056966A 2022-05-10 2022-05-10 자력흡착장치 KR20230157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66A KR20230157599A (ko) 2022-05-10 2022-05-10 자력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66A KR20230157599A (ko) 2022-05-10 2022-05-10 자력흡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599A true KR20230157599A (ko) 2023-11-17

Family

ID=8896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966A KR20230157599A (ko) 2022-05-10 2022-05-10 자력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961B2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
JP3789733B2 (ja) 複合操作スイッチ
RU232680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в шахту лифта
US7779657B2 (en) Lock having an indicative lock core
KR19980072201A (ko)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개폐장치
US11187015B2 (en) Lock heads and mechanisms for mobile device security
KR20230157599A (ko) 자력흡착장치
US9441399B2 (en) Lock
JPH08226263A (ja) カードキーを用いる施錠装置
KR102698499B1 (ko) 자력흡착장치
KR102580811B1 (ko) 도어락 장치
KR20230137601A (ko) 자력흡착기
CN102021789A (zh) 电磁门盖锁
JP2010221843A (ja) ボックス昇降装置
CA2928792A1 (en) Combination lock
CN209976236U (zh) 挂锁
EP4092232A1 (en) An electrical lock suitable for attachment to a fence gate
GB2591571A (en) Hook lock with dual locking function with key captive design
US7306224B2 (en) Support for a drive motor of image-bearing rollers in amusement machines
JP4096398B2 (ja) 電気錠のクラッチ機構
JP2679919B2 (ja) 昇降装置
CN110429503B (zh) 压板闭锁装置
KR101703819B1 (ko) 하부설치형 제어봉 구동장치의 피구동라인 교체방법 및 이를 위한 마운팅장치
JP3595029B2 (ja) 電動シャッタの開閉制御装置
KR102158381B1 (ko) 세탁기용 드로우 박스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