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433A - Laser notch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scrap - Google Patents
Laser notch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scr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4433A KR20230094433A KR1020210183620A KR20210183620A KR20230094433A KR 20230094433 A KR20230094433 A KR 20230094433A KR 1020210183620 A KR1020210183620 A KR 1020210183620A KR 20210183620 A KR20210183620 A KR 20210183620A KR 20230094433 A KR20230094433 A KR 202300944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aser
- scrap
- notching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6—Removal of by-products, e.g. particles or vapours produced during treatment of a workpie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 노칭 작업 후 기재에서 잘려나간 스크랩을 흡입하여 바로 회수하여 처리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by sucking in scraps cut from a substrate after laser notching and immediately recovering and processing the scrap.
근래에 들어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 및 화석 연료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 자동차의 필요성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laptop computer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and the need for and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carbon emissions caused by fossil fuels.
이에 따라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고, 고용량 및 고성능을 가지는 2차 전지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Accordingly,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greatly increasing, and there is a trend of developing secondary batteries having high capacity and high performance.
일반적으로 2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전극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되는 분리막, 전지 케이스 내에 주입되는 전해액 또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electrode body constitut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or solid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battery case.
2차 전지의 전극체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조한다. The electrode bod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battery case.
이에 전극체는 노칭 공정을 통해 전극 시트를 기설정된 형상과 크기로 재단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electrode body cuts the electrode shee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through a notching process.
전극 시트는 레이저 노칭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형상과 크기로 재단되며, 이 때 전극의 접속 부분인 탭을 함께 재단하게 된다. The electrode sheet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by a laser notching device, and at this time, tabs, which are connecting parts of the electrodes, are cut together.
종래의 레이저 노칭장치는 전극 시트가 감겨진 제1권취롤에서 전극 시트를 풀고 다른 제2권취롤에서 감아 이송시키면서 레이저 장비로 전극 시트를 기설정된 형상과 크기로 재단한다. In a conventional laser notching device, an electrode sheet is unwound from a first winding roll on which an electrode sheet is wound, and wound and transported from another second winding roll, while laser equipment cuts the electrode shee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종래의 레이저 노칭장치는 레이저 장비로 전극 시트를 절단해서 발생되는 절단 조각 즉, 스크랩이 회수되지 못해 공정 상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laser notching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cutting pieces, that is, scraps generated by cutting electrode sheets with laser equipment are not recovered, resulting in defects in the process.
또한, 종래의 레이저 노칭장치는 노칭 작업 중 발생되는 스크랩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작업 중 스크랩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해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aser notching device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a separate cleaning operation for handling scrap generated during the notching operation, and there is a risk of causing injury to workers due to splashing of the scrap during operation.
또한, 종래의 레이저 노칭장치는 제1권취롤에 감겨진 전극 시트를 제2권취롤로 회수하면서 이송하는 중에 이송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레이저 장비로 노칭 공정을 수행할 때 전극 시트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초점 범위가 벗어나게 되어 원활하고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aser notching device, the electrode sheet wound on the first winding roll is recovered and transported to the second winding roll, and the electrode sheet is shaken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veying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smooth and precise processing could not be achieved because the focal range of the irradiated laser was out of range.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노칭 작업 후 기재에서 잘려나간 스크랩을 흡입하여 바로 회수하여 처리하여 스크랩에 의해 발생되는 공정 상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s that can prevent defects in the process caused by scraps by sucking in scraps cut off from a substrate after laser notching and immediately recovering and processing th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재의 노칭 작업 구간에서 기재의 상, 하부를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로 지지하여 기재의 이송 중 발생되는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bstrate with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of the substrate, thereby minimizing shak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during the transfer of the substrate, and a laser capable of recovering scrap. It is to provide a notch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의 노칭 작업 구간으로 기재가 진입할 때 상향 경사져 진입하고, 노칭 구간에서 작업 후 기재가 배출될 때 하향 경사져 배출시킴으로써 기재의 이송 중 발생되는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hak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at occurs during transport of the substrate by inclining upward when the substrate enters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of the substrate and tilting downward when the substrate is discharged after working in the notching section. It is to provide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recovery of scra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미가공된 기재가 감겨진 제1권취롤부, 상기 제1권취롤부에서 풀린 후 노칭 가공된 기재를 감아 회수하여 기재를 이송시키는 제2권취롤부, 상기 제1권취롤부와 상기 제2권취롤부 사이의 노칭 작업 구간에서 상기 기재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 장비, 상기 노칭 작업 구간의 출구 측에 위치되어 상기 기재의 노칭 작업 후 발생되는 스크랩을 흡입하는 스크랩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winding roll unit on which an unprocessed substrate is wound, and a notched substrate after unwinding from the first winding roll unit. A second take-up roll unit that collects and transports the substrate, a laser generating device that irradiates a laser to the substrate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between the first take-up roll unit and the second take-up roll unit, and is located at the exit side of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crap recovery unit for sucking in scrap generated after the notching operation of the substrate.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랩 회수부는 상기 기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 및 상기 기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p recovery unit may include an upper scrap suction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 lower scrap suction uni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이에 노칭 작업 구간이 위치되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노칭 작업 구간으로 들어오는 상기 기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상부 지지롤부 및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의 타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노칭 작업 구간에서 나가는 상기 기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상부 지지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는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working support roll unit and a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in which a notching operation section is located therebetween, and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unit A first upper support roll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entering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and a second upper support roll position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roll unit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exiting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It further includes a portion, and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portion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work support roll portion and the second work support roll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스크랩 흡입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 장비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재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1회수용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 스크랩 흡입부는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의 사이에서 제2회수용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crap suction unit is positioned inclined between the laser generating equipment and the support roll unit for the second operation at an angle for the first recovery ba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ower scrap intake unit supports the second operation It may be inclined at a second recovery angle between the roll unit and the second upper backup rol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수용 각도는 상기 제2회수용 각도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overy angle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covery angle.
본 발명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재와 상기 상부 스크랩 흡입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기재와 상기 하부 스크랩 흡입부 사이의 간격보다 짧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upper scrap suction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lower scrap suction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스크랩 흡입부에서 흡입구의 중심은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스크랩 흡입부에서 흡입구의 중심은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in the upper scrap suction part is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par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part, and the center of the suction hole in the lower scrap suction par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par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part. 2 can be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support rol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의 높이는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상기 기재의 진입 각도가 상기 노칭 작업 구간에서 노칭 작업 후 배출되는 상기 기재의 배출 각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first upper backup roll uni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upper backup roll unit, so that the entry angle of the substrate entering the notching operation zone is discharged after the notching operation in the notching operation zone. It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angle.
본 발명에서 상기 진입 각도는 상기 배출 각도 대비 50 ~ 8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y angle may have an angle of 50 to 80% compared to the exit angle.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는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may be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는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 대비 60 ~ 95%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unit may have a distance of 60 to 95%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노칭 작업 구간에서 상기 기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기재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guide part and a lower guide part respectively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bstrate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to control shaking of the substrate. there is.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 대비 30 ~ 9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may have a length of 30 to 9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roll part for the first work and the support roll part for the second work.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guide unit and the lower guide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간격 조절부는 하단부 측이 상기 하부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부 가이드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간격 조절볼트부재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spacing adjusting unit may be a spacing adjusting bolt member whose lower end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guide unit and screwed through the upper guide unit to move the upper guide unit up and down by rot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에는 노칭 작업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되는 레이저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전극 시트이고, 상기 레이저 발생 장비는 레이저 빔을 이송 중인 상기 전극 시트로 조사하여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기설정된 폭으로 절단하면서 절단된 가장자리에 전극탭이 돌출되게 전극 시트를 재단하되,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전극탭을 연속적으로 가공하며, 상기 레이저 통과구멍의 길이는 상기 전극탭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passage hole through which a laser for notching is passed is formed in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the substrate is an electrode sheet, and the laser generating equipment irradiates a laser beam to the electrode sheet being transferred. While cutting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the electrode sheet is cut so that the electrode tab protrudes from the cut edge, and the electrode tab is continuously proces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ength of the laser passage hole is the electrode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pacing of the tabs.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이저 통과구멍은 폭방향에서 미가공된 상기 전극 시트의 폭방향 가장자리와 일치된 제1변, 상기 전극 시트의 절단선과 일치되고 상기 제1변과 나란한 제2변,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변,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4변을 포함한 사각구멍이고, 상기 레이저 발생 장비는 레이저 빔을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이 만나는 제1꼭지점에서 상기 제2변과 상기 제4변이 만나는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4꼭지점에서 상기 제2변을 따라 상기 제2변과 상기 제3변이 만나는 제3꼭지점으로 직선 이동하고, 다시 상기 제3꼭지점에서 상기 제1변과 상기 제4변이 만나는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 이동하여 상기 전극 시트에서 상기 전극탭을 제외한 띠형상의 스트립을 절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passage hole has a first side coincident with the width direction edge of the unprocessed electrod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a second side coincident with the cut line of the electrode sheet and parallel to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side A square hole including a third side connecting one side of the second side and a fourth side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the laser generating device emits a laser beam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side. Diagonally moves from the first vertex where the sides meet to the fourth vertex where the second side and the fourth side meet, and then from the fourth vertex along the second side to the third vertex where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eet. A strip of the electrode sheet excluding the electrode tab may be cut from the electrode sheet by moving in a straight line and moving diagonally from the third vertex to a fourth vertex where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meet.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기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기재의 하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guid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rotation members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that roll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re protruded,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rotating members that rol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econd rotation member for transporting the substrate may be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본 발명은 레이저 노칭 작업 후 기재에서 잘려나간 스크랩을 바로 흡입하여 처리함으로써 스크랩에 의해 발생되는 공정 상의 불량을 방지하며,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노칭 작업 시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작업 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fects in the process caused by scrap by directly inhaling and processing the scrap cut off from the substrate after laser notching, greatly improves production efficiency, improves the work environment during notching, and improves safety during work. has an enhancing effect.
본 발명은 기재의 노칭 작업 구간에서 기재의 상, 하부를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로 지지하여 기재의 이송 중 발생되는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레이저 노칭 작업 시 정밀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bstrate with the upper and lower guide parts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of the substrate, thereby minimizing shak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during the transport of the substrat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work efficiency during laser notching. has the effect of
또한, 본 발명은 노칭 작업 구간으로 기재를 상향 경사지게 진입시키고, 노칭 구간에서 작업 후 기재를 하향 경사지게 배출시킴으로써 기재의 이송 중 발생되는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레이저 노칭 작업 시 정밀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substrate at an upward slope into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and discharges the substrate at a downward slope after work in the notching section, thereby minimizing shak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during transport of the substrate, thereby increasing precision and work efficiency during laser notching operation.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노칭 작업 구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통과구멍 내를 가공하는 레이저 빔의 이동 경로를 예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노칭 작업 구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간격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 notching operation section in one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ving path of a laser beam processing in a laser pass-through hole in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notching operation sec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pper guide part and a lower guide part in one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pper guide part and a lower guide part in one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interval adjustment unit in one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노칭 작업 구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notching operation section in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는 미가공된 기재(1)가 감겨진 제1권취롤부(100)와 제1권취롤부(100)에서 풀린 후 노칭 가공된 기재(1)를 감아 회수하는 제2권취롤부(200)를 포함한다.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vered by winding the notched
기재(1)는 이차전지에서 전극체로 사용되는 전극 시트(1a)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극 시트(1a)에서 전극의 탭부분 즉, 접속 부분인 전극탭(1b)을 가공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The
기재(1)는 전극 시트(1a) 이외에도 롤과 롤 사이를 이송하면서 레이저 노칭 작업을 통해 재단되는 공지의 기재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o the
제2권취롤부(200)는 레이저 노칭 작업을 통해 전극탭(1b) 가공이 완료된 전극 시트(1a)를 감아 회수하며, 제1권취롤부(100)에서 풀린 기재(1) 즉, 전극 시트(1a)를 이송시킨다. The second winding
제2권취롤부(200)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극 시트(1a)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권취롤부(100)에서 풀려 레이저 노칭 가공된 전극 시트(1a)를 감아 회수한다. The second take-
제1권취롤부(100)와 제2권취롤부(200)의 사이에는 레이저 발생 장비(300)가 위치되고, 레이저 발생 장비(300)는 제1권취롤부(100)와 제2권취롤부(200)의 사이에서 레이저 노칭 작업이 이루어지는 노칭 작업 구간에 위치된다.A
레이저 발생 장비(300)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이송 중인 전극 시트(1a)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하부 측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전극 시트(1a)를 재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레이저 발생 장비(300)는 레이저 발생부를 이동시켜 레이저 빔을 통해 기설계된 형태의 절단 가공을 하는 공지의 레이저 장비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The
노칭 작업 구간의 출구 측에는 기재(1)의 노칭 작업 후 발생되는 스크랩을 흡입하는 스크랩 회수부(1300)가 위치된다.At the exit side of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a
스크랩 회수부(1300)는 노칭 작업 구간의 출구 측에 위치되어 스크랩을 흡입하는 흡입관부재, 흡입관부재에 연결되어 흡입관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면서 스크랩을 함께 흡입시키는 흡입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흡입기는 진공 펌프를 포함한 공지의 흡입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aspirator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 a known suction structure including a vacuum pump,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크랩 회수부(13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입관부재를 통해 흡입된 스크랩을 보관하는 스크랩 보관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Although not shown, the
스크랩 보관부(미도시)는 레이저 노칭 작업 후 발생되는 스크랩을 별도로 모아 보관하고, 일정량 이상이 모인 경우 스크랩 보관부에 모인 스크랩을 다른 처리 시설로 이송시켜 처리할 수 있다. The scrap storage unit (not shown) separately collects and stores scraps generated after the laser notching operation, and when a certain amount or more is collected, the scraps collected in the scrap storage unit may be transferred to other processing facilities for treatment.
또한, 노칭 작업 구간에는 전극 시트(1a)의 상부와 하부 측에 각각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가 위치된다. Also,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여 전극 시트(1a)의 상, 하 흔들림을 방지한다.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전극 시트(1a)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사이에서 전극 시트(1a)의 직선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전극 시트(1a)의 상, 하 방향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 하 방향은 기재(1)에서 레이저 발생 장비(300)를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The
전극 시트(1a) 즉, 기재(1)는 제1권취롤부(100)에서 제2권취롤부(200)로 이송되면서 이송 중에 레이저 노칭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송 중에 출렁임 즉, 상, 하 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The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 즉, 기재(1)에 상, 하 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 레이저 발생 장비(3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초점이 절단 위치 즉, 전극 시트(1a)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해 노칭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노칭 작업의 정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When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여 전극 시트(1a)의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The
또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여 전극 시트(1a)의 좌, 우 흔들림을 더 방지한다. 여기서 좌, 우 방향은 기재(1)의 이송 방향을 가로 지르는 기재(1)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좌, 우 방향은 기재(1)의 이송 방향과 수직인 기재(1)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기재(1)의 중심에서 전극탭(1b)이 형성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In addition,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에는 노칭 작업을 위한 레이저 빔이 통과되는 레이저 통과구멍(410)이 형성된다. A
레이저 통과구멍(410)은 노칭 작업을 통해 절단되고, 기재(1)에 남는 즉, 노칭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통한 노칭 작업 시 레이저 빔을 통해 노칭 작업을 정확한 형상으로 재단할 수 있게 한다. The laser pass-through
레이저 통과구멍(410)은 전극탭(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이저 발생 장비(300)의 오작동으로 절단 형상에서 벗어나게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도 상부 가이드부(400)에 막혀 기재(1)를 잘못 절단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구멍 내에서만 노칭 작업이 이루어져 레이저 발생 장비(300)의 오작동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또한, 하부 가이드부(500)의 하부 측에는 기재(1)와 레이저 통과구멍(410)을 통과한 레이저 빔을 흡수하는 레이저 댐퍼부(510)가 위치된다.In addition, a
레이저 댐퍼부(510)는 레이저 통과구멍(410)을 통과한 레이저 빔을 흡수하여 레이저 빔이 다른 구조물을 파손시키거나 반사되어 작업자의 상해 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The
레이저 댐퍼부(510)는 구리 재질로 제조된 댐퍼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레이저 빔을 흡수할 수 있는 공지의 재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는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하단부 측이 하부 가이드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가이드부(40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부 가이드부(4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간격 조절볼트부재(61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간격 조절볼트부재(610)는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양 측 즉, 기재(1)인 전극 시트(1a)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회전되어 상부 가이드부(400)를 상, 하 이동시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gap adjust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는 사이에 노칭 작업 구간이 위치되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working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사이에는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가 위치된다. An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가 수평을 이루도록 서로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고,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사이로 전극 시트(1a)가 수평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The first working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의 일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노칭 작업 구간으로 들어오는 전극 시트(1a) 즉, 기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타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노칭 작업 구간에서 나가는 전극 시트(1a) 즉, 기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상부 지지롤부(1000)를 더 포함한다. A first upper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의 일측은 제1권취롤부(100)를 향한 방향 즉, 노칭 작업 구간의 입구 측이고,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타측은 제2권취롤부(200)를 향한 방향 즉, 노칭 작업 구간의 출구 측임을 밝혀둔다. One side of the first work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2상부 지지롤부(1000)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어 전극 시트(1a) 즉, 기재(1)가 상부 측으로 경사져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되고,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를 통해 수평 이동하면서 노칭 작업되고, 노칭 작업 후 하부 측으로 경사져 노칭 작업 구간에서 배출된다. The first upper
이에 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레이저 노칭 작업 시 즉,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전극 시트(1a)의 레이저 노칭 작업 시 정밀 가공이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ly, the tension is effectively controlled to prevent shaking of the
더 상세하게 제1상부 지지롤부(900)의 높이는 제2상부 지지롤부(100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어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기재(1)의 진입 각도(α)가 노칭 작업 구간에서 노칭 작업 후 배출되는 기재(1)의 배출 각도(β)보다 낮게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height of the first upper
즉,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기재(1)의 진입 각도(α)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배출되는 기재(1)의 배출 각도(β)보다 낮게 형성되되, 배출 각도(β) 대비 50 ~ 8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That is, the entry angle α of the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기재(1)의 진입 각도(α)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배출되는 기재(1)의 배출 각도(β) 대비 55 ~ 75%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An entry angle α of the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기재(1)의 진입 각도(α)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배출되는 기재(1)의 배출 각도(β) 대비 60 ~ 7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An entry angle α of the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기재(1)의 진입 각도(α)는 배출 각도(β) 대비 50 ~ 8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60 ~ 70%의 각도를 가짐으로써 노칭 작업 구간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기재(1)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레이저 빔의 초점이 기재(1)의 표면에 일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한다. The entry angle (α) of the
또한, 제2상부 지지롤부(10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1)는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 간의 거리(d2)보다 짧게 형성되어 전극 시트(1a)의 장력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d 1 ) between the second upper
더 상세하게 제2상부 지지롤부(10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1)는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 간의 거리(d2) 대비 60 ~ 95%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distance (d 1 ) between the second upper
제2상부 지지롤부(10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1)는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 간의 거리(d2) 대비 70 ~ 90%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The distance (d 1 ) between the second upper
제2상부 지지롤부(10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1)는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 간의 거리(d2) 대비 80 ~ 90%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The distance (d 1 ) between the second upper
제2상부 지지롤부(10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1)는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 간의 거리(d2) 대비 60 ~ 95%의 거리, 바람직하게는 80 ~ 90%의 거리를 가짐으로써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기재(1)의 진입 각도(α)와 노칭 작업 구간에서 배출되는 기재(1)의 배출 각도(β)를 적절한 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노칭 작업 구간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기재(1)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레이저 빔의 초점이 기재(1)의 표면에 일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한다. The distance (d 1 ) between the second upper
또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에 의해 커버되는 전극 시트(1a)의 길이(L1) 즉,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길이(L1)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보다 짧게 형성되되,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30 ~ 9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에 의해 커버되는 전극 시트(1a)의 길이(L1) 즉,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길이(L1)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40 ~6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length (L 1 ) of the electrode sheet (1a) covered by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에 의해 커버되는 전극 시트(1a)의 길이(L1) 즉,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길이(L1)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50 ~ 6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length (L 1 ) of the electrode sheet (1a) covered by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사이에 위치되는 노칭 작업 구간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에 간섭되지 않게 위치되어 전극 시트(1a)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여 전극 시트(1a)의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30%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전극 시트(1a)를 지지하는 면적이 너무 작아 전극 시트(1a)의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When the
그리고,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90%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에 너무 근접하게 되어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상부 가이드부(400) 사이에서 전극 시트(1a)의 마찰력 및 제2작업용 받침롬부와 하부 가이드부(500) 사이에서 마찰력이 증대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상부 가이드부(400)의 간격을 넓히고,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을 넓혀야 하므로 전체 설비 크기가 증대되어 공간을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이에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사이 중앙에 위치되고,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30 ~ 90%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50 ~ 6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길이(L1)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 간의 거리(d3) 대비 30 ~ 90%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50 ~ 60%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전극 시트(1a)가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전극 시트(1a)의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length (L 1 ) of the
한편, 스크랩 회수부(1300)는 기재(1)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와 기재(1)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스크랩 회수부(1300)는 기재(1)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를 통해 1차로 스크랩을 흡입하여 처리하고,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에서 흡입되지 못한 스크랩을 기재(1)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통해 흡입하여 처리함으로써 스크랩이 흡입되지 못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The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는 레이저 발생 장비(3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사이에 위치되고,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는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와 제2상부 지지롤부(1000)의 사이에 위치된다.The upper
그리고,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는 레이저 발생 장비(3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사이에서 기재(1)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1회수용 각도(θ1)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는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와 제2상부 지지롤부(1000)의 사이에서 제2회수용 각도(θ2)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upper
기재(1)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높이가 동일한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에 의해 수평으로 위치되고, 제1회수용 각도(θ1)와 제2회수용 각도(θ2)는 노칭 작업 구간에서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에 의해 수평으로 위치된 기재(1)를 중심으로 기울어진 각도임을 밝혀둔다. The
제1회수용 각도(θ1)는 제2회수용 각도(θ2)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기재(1)가 레이저 발생 장비(300)의 레이저 빔에 의해 노칭된 직후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로 회수될 가능성을 높이고,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로 회수되지 못하는 경우에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로 회수될 수 있게 한다. The first recovery angle θ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covery angle θ 2 , so that the
또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기재(1) 즉, 전극 시트(1a)와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 사이의 간격은 기재(1) 즉, 전극 시트(1a)와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 사이의 간격보다 짧아 기재(1)의 진행 방향에서 관성에 의해 스크랩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에서 흡입구의 중심은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2상부 지지롤부(1000) 보다 높게 위치되어 기재(1)의 수평 이동 중 절단된 스크랩이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를 통해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intake in the upper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에서 흡입구의 중심은 제1상부 지지롤부(900)와 제2상부 지지롤부(1000) 보다 낮게 위치되어 노칭 작업 후 하향 경사지게 배출되는 기재(1)에서 절단된 스크랩을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통해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게 한다.In the low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권취롤부(100)에서 풀리는 전극 시트(1a)를 제1상부 지지롤부(900)로 안내하는 제1이송 안내롤부(1100), 제2상부 지지롤부(1000)를 통해 배출되는 전극 시트(1a)를 제2권취롤부(200)로 안내하는 제2이송 안내롤부(1200)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fer guide roll unit guides the
이에 제1권취롤부(100)에서 풀리는 전극 시트(1a)가 제1이송 안내롤부(1100)를 통해 제1상부 지지롤부(900)로 안내되어 제1상부 지지롤부(900)를 통과하여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되고, 노칭 작업 구간에서 레이저 노칭 작업 후 제2상부 지지롤부(1000)를 통해 배출되는 전극 시트(1a)가 제2이송 안내롤부(1200)를 통해 안내되어 제2권취롤부(200)로 원활하게 감겨 회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제1이송 안내롤부(1100)과 제2이송 안내롤부(1200)은 기재(1) 즉, 전극 시트(1a)의 이송 경로에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롤투롤로 기재(1)를 이송하는 공지의 이송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transfer guide roll unit 1100 and the second transfer
도 3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로 전극 시트(1a)의 전극탭(1b)을 가공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극 시트(1a)를 이송하면서 전극 시트(1a)의 일측 가장자리 즉,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기설정된 폭으로 절단하면서 절단된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의 전극탭(1b)이 돌출되게 전극 시트(1a)를 재단하되, 전극 시트(1a)의 폭방향 가장자리에 전극 시트(1a)의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전극탭(1b)을 연속적으로 가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레이저 통과구멍(410)은 전극 시트(1a)의 폭방향 가장자리에서 절단되는 폭과 동일한 폭, 즉, 전극탭(1b)의 폭과 동일한 폭, 전극탭(1b)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구멍인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에는 전극탭(1b)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전극탭(1b)과 동일한 크기의 사각 형상을 가지는 레이저 통과구멍(410)이 형성되고, 레이저 통과구멍(410)의 길이(L2)는 전극탭(1b)의 간격(d4)보다 작게 형성되어 레이저 통과구멍(410) 내에서 전극탭(1b)을 남기고 전극 시트(1a)의 가장지리를 일정폭을 두고 절단 즉, 전극탭(1b) 이외의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In the
레이저 발생 장비(300)는 레이저 통과구멍(410) 내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절단하면서 전극탭(1b)을 제외한 부분을 절단하여 사각 형상의 전극탭(1b) 부분을 남겨 전극탭(1b)을 형성하는 레이저 노칭 작업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이송 중인 전극 시트(1a)의 가장자리에 전극탭(1b)이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한다.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통과구멍(410) 내를 가공하는 레이저 빔의 이동 경로를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레이저 통과구멍(410)은 폭방향에서 미가공된 전극 시트(1a)의 폭방향 가장자리와 일치된 제1변(411), 전극 시트(1a)의 절단선과 일치되고 제1변(411)과 나란한 제2변(412), 제1변(411)과 제2변(41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변(413), 제1변(411)과 제2변(41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4변(414)을 포함한 사각구멍인 것을 일 예로 한다.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path of a laser beam processing the inside of a laser through
또한, 제1변(411)과 제2변(412)의 일측은 제1권취롤부(100)를 향한 방향 즉, 노칭 작업 구간의 입구 측이고, 제1변(411)과 제2변(412)의 타측은 제2권취롤부(200)를 향한 방향 즉, 노칭 작업 구간의 출구 측임을 밝혀둔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사각 형상의 레이저 통과구멍(410) 내에서 레이저 빔은 제1변(411)과 제3변(413)이 만나는 제1꼭지점에서 제2변(412)과 제4변(414)이 만나는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으로 이동한 후 제4꼭지점에서 제2변(412)을 따라 제2변(412)과 제3변(413)이 만나는 제3꼭지점으로 직선 이동하고, 다시 제3꼭지점에서 제1변(411)과 제4변(414)이 만나는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 이동하여 전극 시트(1a)에서 전극탭(1b)을 제외한 부분을 절단하여 띠형상의 스크랩을 발생시킨다. Within the square-shaped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권취롤부(100)에서 제2권취롤부(200)로 이송 중에 전극 시트(1a)에 전극탭(1b)을 가공하므로 레이저 발생 장비(300)에서 광원 또는 내부 광학부재를 이동하여 레이저 빔을 제1꼭지점에서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 이동시키고, 제4꼭지점에서 제3꼭지점으로 직선 이동시킨 후 제3꼭지점에서 제2꼭지점으로 대각 이동시킴으로써 직선 이송 중인 전극 시트(1a)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일정폭을 가지는 띠를 절단하여 사각 형상의 전극탭(1b)만 남기게 된다. One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레이저 통과구멍(410) 내에서 레이저 빔을 제1꼭지점에서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 이동시키고, 제4꼭지점에서 제3꼭지점으로 직선 이동시킨 후 제3꼭지점에서 제2꼭지점으로 대각 이동시켜 일정폭을 가지는 띠를 일정 간격을 두고 절단하여 절단된 띠 사이에 전극탭(1b)을 남기게 된다.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beam is moved diagonally from the first vertex to the fourth vertex within 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노칭 작업 구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를 참고하여 스크랩 회수부(1300)의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Meanwhile,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notching operation sec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FIG. 5, another embodiment of the
스크랩 회수부(1300)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를 좌, 우로 이송시키는 제1폭방향 이송부(1311)를 더 포함하여 레이저 발생 장비에 의한 노칭 작업에 의해 기재(1)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의 위치에 따라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The
제1폭방향 이송부(1311)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유압 실린더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first
스크랩 회수부(1300)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를 회전시켜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의 흡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흡입각도 조절부(1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흡입 각도조절부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제1흡기관 지지 브라켓트부재(1312a), 제1흡기관 지지 브라켓트부재(1312a)에 장착되어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 모터(1312b)를 포함한다. The first suction angle adjustment unit is mounted on the upper
스크랩 회수부(1300)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를 상, 하 이동시켜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흡입높이 조절부(1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흡입높이 조절부(1313)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승하강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first suction
제1흡입높이 조절부(1313)는 제1흡입각도 조절부(1312)를 상, 하 이동시키고, 제1폭방향 이송부(1311)는 제1흡입높이 조절부(1313)를 기재(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는 제1흡입높이 조절부(1313)의 작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제1흡입각도 조절부(1312)로 흡입 각도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제1폭방향 이송부(1311)에 의해 기재(1)의 폭방향에서 위치 조절도 가능하다. The first suction
또한, 스크랩 회수부(1300)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좌, 우로 이송시키는 제2폭방향 이송부(1321)를 더 포함하여 레이저 발생 장비에 의한 노칭 작업에 의해 기재(1)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의 위치에 따라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2폭방향 이송부(1321)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유압 실린더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second
스크랩 회수부(1300)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회전시켜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의 흡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흡입각도 조절부(1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2흡입 각도조절부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제2흡기관 지지 브라켓트부재(1322a), 제2흡기관 지지 브라켓트부재(1322a)에 장착되어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 모터(1322b)를 포함한다.The second suction angle adjusting unit is mounted on the second intake pipe
스크랩 회수부(1300)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를 상, 하 이동시켜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흡입높이 조절부(1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2흡입높이 조절부(1323)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승하강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second suction
제2흡입높이 조절부(1323)는 제2흡입각도 조절부(1322)를 상, 하 이동시키고, 제2폭방향 이송부(1321)는 제2흡입높이 조절부(1323)를 기재(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는 제2흡입높이 조절부(1323)의 작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제2흡입각도 조절부(1322)로 흡입 각도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제2폭방향 이송부(1321)에 의해 기재(1)의 폭방향에서 위치 조절도 가능하다. The second suction
스크랩 회수부(1300)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1310)와 하부 스크랩 흡입부(1320)의 위치, 높이, 흡입 각도를 각각 조절하여 기재(1)의 레이저 노칭 작업 후 발생되는 스크랩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레이저 노칭 작업 후 바로 공정 상에서 제거하여 처리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은 기재(1) 즉, 전극 시트(1a)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부 가이드부(400)는 전극 시트(1a)의 상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하부 가이드부(500)은 전극 시트(1b)의 하면과 이격되게 위치된다.Meanwhile,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전극 기재(1a)는 상면 또는 하면에 활물질이 도포되며, 이에 될 수 있고,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극 시트(1a)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는 경우 전극 시트(1a)에 도포된 활물질층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An 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전극 시트(1a)는 양측에 위치된 롤러 즉, 제1작업용 받침롤부(700)과 제2작업용 받침롤부(800)의 사이에서 텐션에 의해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사이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와 이격된 상태로 이송된다. The
그리고,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은 전극 시트(1a)의 두께에 따라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를 통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의 전극 시트(1a)에 대응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상부 가이드부(400)를 관통하여 상부 가이드부(400)에 나사 결합되고, 하단부 측이 하부 가이드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간격 조절볼트부재(610)를 포함한다. The guide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은 간격 조절볼트부재(610)를 회전시켜 조절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상부 가이드부(400)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간격 조절볼트부재(6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체(620), 상부 지지체(620)에 장착되고, 간격 조절볼트부재(610)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가이드부(4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볼트 회전모터(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볼트 회전모터(630)의 작동에 의해 전동으로 상부 가이드부(400)를 상, 하 이동시켜 레이저 노칭 작업 중 작업 조건 즉, 기재(1)의 두께 또는 기재(1)의 이송 속도 등의 작업 조건에 따라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guid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을 참고하면 상부 가이드부(400)의 하부면에는 전극 시트(1a) 즉, 기재(1)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400a)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하부 가이드부(500)의 상부면에는 전극 시트(1a) 즉, 기재(1)의 하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500a)가 돌출되게 위치된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400a)와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500a)는 바퀴 형상일 수도 있고, 구형상의 볼 베어링일 수도 있다. The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400a)와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500a)는 전극 시트(1a)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어 구르면서 이송 중인 전극 시트(1a)가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 사이에서 선 접촉하며 원활하게 수평 이동될 수 있게 한다. The first rotating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400a)와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500a)는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사이에서 전극 시트(1a)와 접촉되면서 전극 시트(1a)의 상, 하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고, 전극 시트(1a)가 수평인 위치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사이에서 원활하게 직선 이동될 수 있게 한다. The
전극 시트(1a)는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사이에서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400a)와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500a)에 접촉된 상태로 흔들림 없이 수평 이동되어 표면에 레이저 빔의 초점이 일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전극 시트(1a)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 즉, 기재(1)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회전부재(400a, 500a) 각각은 적어도 한 개씩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회전부재(400a, 500a) 각각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제1회전부재(400a)는 전극 시트(1a) 상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회전부재(500a)는 전극 시트(1a) 상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each of the first and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회전부재(400a) 및 제2회전부재(500a)는 전극 시트(1a)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부재(400a) 및 제2회전부재(500a)는 전극 시트(1a) 상에 배치된 활물질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rotating
일례로, 제1회전부재(400a)와 마주하는 전극 시트(1a)의 상면 상에만 활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전부재(400a)는 제2회전부재(500a)와 서로 상이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부재(400a)는 제2회전부재(500a)와 상하 방향기준으로 서로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ctive material may be dispos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실시예는 기재(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기재(1) 상에 형성된 활물질의 파손을 방지하며 레이저 노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aking of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는 레이저 통과구멍(410) 내에서 레이저 빔을 이동시키면서 전극 시트(1a)의 레이저 노칭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기설정된 형상으로 정밀하게 레이저 노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one embodiment of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perform the laser notching operation of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을 참고하면,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세워져 하부 가이드부(500)와 상부 가이드부(40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간격 조절 스크류부재(640), 하부 가이드부(500)의 하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거나 상부 가이드부(400)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간격 조절 스크류부재(6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체(650), 스크류 지지체(650)에 장착되어 간격 조절 스크류부재(640)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660)를 포함한다.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스크류 회전모터(660)의 작동에 의해 전동으로 간격 조절 스크류부재(640)를 양 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를 서로 마주보게 이동시켜 간격을 좁힐 수 있고,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넓힐 수 있다. The guide
가이드 간격 조절부(600)는 스크류 회전모터(660)를 작동시켜 레이저 노칭 작업 중 작업 조건에 따라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guide
스크류 지지체(650)는 하부 가이드부(500)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레이저 댐퍼부(510)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스크류 지지체(650)는 레이저 댐퍼부(510)가 구비되어 레이저 통과구멍(410)을 통과한 레이저 빔을 레이저 댐퍼부(510)로 흡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The
레이저 노칭 작업 후 기재에서 잘려나간 스크랩을 바로 흡입하여 처리함으로써 스크랩에 의해 발생되는 공정 상의 불량을 방지하며,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노칭 작업 시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작업 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directly inhaling and processing the scraps cut off from the substrate after laser notch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cess defects caused by scraps, greatly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during notching, and improve safety during work. there is.
본 발명은 기재(1)의 노칭 작업 구간에서 기재(1)의 상, 하부를 상부 가이드부(400)와 하부 가이드부(500)로 지지하여 기재(1)의 이송 중 발생되는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레이저 노칭 작업 시 정밀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또한, 본 발명은 노칭 작업 구간으로 기재(1)를 상향 경사지게 진입시키고, 노칭 구간에서 작업 후 기재(1)를 하향 경사지게 배출시킴으로써 기재의 이송 중 발생되는 상, 하 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레이저 노칭 작업 시 정밀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기재
1a : 전극 시트
1b : 전극탭
100 : 제1권취롤부
200 : 제2권취롤부
300 : 레이저 발생 장비
400 : 상부 가이드부
400a :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
410 : 레이저 통과구멍
411 : 제1변
412 : 제2변
413 : 제3변
414 : 제4변
500 : 하부 가이드부
500a :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
510 : 레이저 댐퍼부
600 : 가이드 간격 조절부
610 : 간격 조절볼트부재
620 : 상부 지지체
630 : 볼트 회전모터
640 : 간격 조절 스크류부재
650 : 스크류 지지체
660 : 스크류 회전모터
700 : 제1작업용 받침롤부
800 : 제2작업용 받침롤부
900 : 제1상부 지지롤부
1000 : 제2상부 지지롤부
1100 : 제1이송 안내롤부
1300 : 스크랩 회수부
1310 : 상부 스크랩 흡입부
1311 : 제1폭방향 이송부
1312 : 제1흡입각도 조절부
1312a : 제1흡기관 지지 브라켓트부재
1312b : 제1회전 모터
1313 : 제1흡입높이 조절부
1320 : 하부 스크랩 흡입부
1321 : 제2폭방향 이송부
1322 : 제2흡입각도 조절부
1322a : 제2흡기관 지지 브라켓트부재
1322b : 제2회전 모터
1323 : 제2흡입높이 조절부1:
1b: electrode tab 100: first winding roll unit
200: second winding roll unit 300: laser generating equipment
400:
410: laser pass hole 411: first side
412: second side 413: third side
414: fourth side 500: lower guide part
500a: second rotating member for substrate transfer 510: laser damper unit
600: guide spacing adjusting unit 610: spacing adjusting bolt member
620: upper support 630: bolt rotation motor
640: spacing adjustment screw member 650: screw support
660: screw rotation motor 700: support roll for first operation
800: second support roll unit 900: first upper support roll unit
1000: second upper support roll unit 1100: first transfer guide roll unit
1300: scrap recovery unit 1310: upper scrap intake unit
1311: first width direction transfer unit 1312: first suction angle adjusting unit
1312a: first intake pipe support bracket member
1312b: first rotation motor 1313: first suction height adjusting unit
1320: lower scrap suction part 1321: second width direction transfer part
1322: second suction angle adjusting unit
1322a: second intake pipe support bracket member
1322b: second rotation motor 1323: second suction height adjusting unit
Claims (18)
상기 제1권취롤부에서 풀린 후 노칭 가공된 기재를 감아 회수하여 기재를 이송시키는 제2권취롤부;
상기 제1권취롤부와 상기 제2권취롤부 사이의 노칭 작업 구간에서 상기 기재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 장비; 및
상기 노칭 작업 구간의 출구 측에 위치되어 상기 기재의 노칭 작업 후 발생되는 스크랩을 흡입하는 스크랩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A first winding roll unit on which the unprocessed substrate is wound;
a second take-up roll unit for transporting the substrate by winding and recovering the notched substrate after being unwound from the first take-up roll unit;
a laser generating device that irradiates a laser to the substrate in a notching operation section between the first winding roll unit and the second winding roll unit; and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ap recovery unit located at an exit side of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to suck in scrap generated after the notching operation of the substrate.
상기 스크랩 회수부는,
상기 기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크랩 흡입부; 및
상기 기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크랩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ap recovery unit,
an upper scrap suction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omprising a lower scrap suction par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사이에 노칭 작업 구간이 위치되는 제1작업용 받침롤부와 제2작업용 받침롤부;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노칭 작업 구간으로 들어오는 상기 기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상부 지지롤부; 및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의 타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노칭 작업 구간에서 나가는 상기 기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상부 지지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는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2,
Support roll unit for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upport roll unit for the second operation in which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is located between;
a first upper support roll unit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roll unit for support and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entering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upper support roll part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ork support roll part and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exiting the notching work sectio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par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part are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par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ing roll part.
상기 상부 스크랩 흡입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 장비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재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1회수용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 스크랩 흡입부는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의 사이에서 제2회수용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scrap suction unit is positioned inclined at a first recovery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laser generating equipmen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and the lower scrap suction uni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ed inclined at an angle for the second recovery between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units.
상기 제1회수용 각도는 상기 제2회수용 각도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covery angle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recovery angle.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재와 상기 상부 스크랩 흡입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기재와 상기 하부 스크랩 흡입부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upper scrap suction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lower scrap suction part.
상기 상부 스크랩 흡입부에서 흡입구의 중심은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스크랩 흡입부에서 흡입구의 중심은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 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upper scrap suction part,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is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par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part,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suction hole in the lower scrap suction part is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upper backup roll part and the second upper backup roll part.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의 높이는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노칭 작업 구간으로 진입하는 상기 기재의 진입 각도가 상기 노칭 작업 구간에서 노칭 작업 후 배출되는 상기 기재의 배출 각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eight of the first upper backup roll uni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upper backup roll unit so that the entry angle of the substrate entering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is lower than the discharge angle of the substrate discharged after the notching operation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진입 각도는 상기 배출 각도 대비 50 ~ 80%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entry angle is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ngle of 50 to 80% compared to the exit angle.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는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unit.
상기 제1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는 상기 제2상부 지지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 대비 60 ~ 95%의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unit is 60 to 95%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upper support roll uni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 roll unit Laser notching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Device.
상기 노칭 작업 구간에서 상기 기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기재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guide part and a lower guide part respectively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bstrate in the notching operation section to control shaking of the substrate.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작업용 받침롤부와 상기 제2작업용 받침롤부 간의 거리 대비 30 ~ 90%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length of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is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of 30 to 9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orking support roll part and the second working supporting roll part.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guide unit and the lower guide unit.
상기 가이드 간격 조절부는 하단부 측이 상기 하부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부 가이드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간격 조절볼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guide spacing adjusting unit is a spacing adjusting bolt member whose lower end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guide unit and screwed through the upper guide unit to move the upper guide unit up and down by rotation. Recoverable laser notching device.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에는 노칭 작업을 위한 레이저가 통과되는 레이저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전극 시트이고,
상기 레이저 발생 장비는 레이저 빔을 이송 중인 상기 전극 시트로 조사하여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기설정된 폭으로 절단하면서 절단된 가장자리에 전극탭이 돌출되게 전극 시트를 재단하되,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전극탭을 연속적으로 가공하며,
상기 레이저 통과구멍의 길이는 상기 전극탭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laser passage hole through which a laser for notching is passed is formed in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The substrate is an electrode sheet,
The laser generating equipment irradiates a laser beam to the electrode sheet being transported and cuts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cutting the electrode sheet so that the electrode tab protrudes from the cut edge, and the electrode ta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ntinuously processed,
The laser no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laser passage hole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tabs.
상기 레이저 통과구멍은 폭방향에서 미가공된 상기 전극 시트의 폭방향 가장자리와 일치된 제1변, 상기 전극 시트의 절단선과 일치되고 상기 제1변과 나란한 제2변,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3변,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4변을 포함한 사각구멍이고,
상기 레이저 발생 장비는 레이저 빔을 상기 제1변과 상기 제3변이 만나는 제1꼭지점에서 상기 제2변과 상기 제4변이 만나는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4꼭지점에서 상기 제2변을 따라 상기 제2변과 상기 제3변이 만나는 제3꼭지점으로 직선 이동하고, 다시 상기 제3꼭지점에서 상기 제1변과 상기 제4변이 만나는 제4꼭지점으로 대각선 이동하여 상기 전극 시트에서 상기 전극탭을 제외한 띠형상의 스트립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in claim 16
The laser passage hole has a first side coincident with the edge of the unprocessed electrod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second side coincident with the cut line of the electrode sheet and parallel to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 square hole including a third side connecting one side of the side and a fourth side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The laser generating device moves a laser beam diagonally from a first vertex where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side meet to a fourth vertex where the second side and the fourth side meet, and then moves the laser beam from the fourth vertex to the second side. It linearly moves to a third vertex where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eet, and diagonally moves from the third vertex to a fourth vertex where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meet.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for cutting the strip-shaped strip except for.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기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기재 이송용 제1회전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기재의 하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복수의 기재 이송용 제2회전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의 회수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first rotation member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that roll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guide unit,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unit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that rol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laser notch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sc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otating member is positioned to protrud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3620A KR102656672B1 (en) | 2021-12-21 | 2021-12-21 | Laser notch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scrap |
KR1020240046198A KR20240050316A (en) | 2021-12-21 | 2024-04-04 | Laser notch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3620A KR102656672B1 (en) | 2021-12-21 | 2021-12-21 | Laser notch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scrap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6198A Division KR20240050316A (en) | 2021-12-21 | 2024-04-04 | Laser notch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4433A true KR20230094433A (en) | 2023-06-28 |
KR102656672B1 KR102656672B1 (en) | 2024-04-12 |
Family
ID=869945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3620A KR102656672B1 (en) | 2021-12-21 | 2021-12-21 | Laser notch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scrap |
KR1020240046198A KR20240050316A (en) | 2021-12-21 | 2024-04-04 | Laser notching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6198A KR20240050316A (en) | 2021-12-21 | 2024-04-04 | Laser notch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5667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43713A (en) * | 2024-03-27 | 2024-04-30 | 苏州美艾仑新材料科技有限公司 | Optical film laser cutting device |
CN118237780A (en) * | 2024-05-06 | 2024-06-25 | 益阳市领创服饰有限公司 | Material discharging machine for clothing process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2839A (en) * | 2013-11-29 | 2015-06-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Notching apparatus of laser |
KR101700113B1 (en) * | 2015-05-26 | 2017-01-26 |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 Electrode Notching Processing Apparatus for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
KR20210069610A (en) | 2019-06-26 | 2021-06-11 | 주식회사 디이엔티 | Laser notching device with improved processing speed |
-
2021
- 2021-12-21 KR KR1020210183620A patent/KR10265667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4-04 KR KR1020240046198A patent/KR20240050316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2839A (en) * | 2013-11-29 | 2015-06-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Notching apparatus of laser |
KR101700113B1 (en) * | 2015-05-26 | 2017-01-26 |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 Electrode Notching Processing Apparatus for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
KR20210069610A (en) | 2019-06-26 | 2021-06-11 | 주식회사 디이엔티 | Laser notching device with improved processing spee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43713A (en) * | 2024-03-27 | 2024-04-30 | 苏州美艾仑新材料科技有限公司 | Optical film laser cutting device |
CN117943713B (en) * | 2024-03-27 | 2024-05-28 | 苏州美艾仑新材料科技有限公司 | Optical film laser cutting device |
CN118237780A (en) * | 2024-05-06 | 2024-06-25 | 益阳市领创服饰有限公司 | Material discharging machine for clothing process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0316A (en) | 2024-04-18 |
KR102656672B1 (en) | 2024-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050316A (en) | Laser notching apparatus | |
KR102158708B1 (en) | Drum Type Pattern Jig for Laser Notching Process of Electrode Film for Secondary Battery, And Laser Notching System Having the Pattern Jig | |
US20210220877A1 (en) | Fully-automatic device for detecting substrate size, substrate detection line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 |
JP4231538B1 (en) | Laser processing machine | |
KR102386160B1 (en) | Laser notching device with improved processing speed | |
KR102245162B1 (en) | System for Laser Notching Process of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ilm | |
JP6690486B2 (en) | Electrode manufacturing equipment | |
US20220297237A1 (en) | Device for manufacturing electrode | |
KR102252983B1 (en) | Laser notcing machine scrap drainage conveyor and scrap drainage method | |
WO2023015937A1 (en) | Laser edge deletion machine for solar cell and edge deletion method | |
KR20230152616A (en) | Notching machine for secondary battery | |
KR102605703B1 (en) | Device for manufacturing electrode | |
KR102643662B1 (en) | Laser notching apparatus | |
KR101141932B1 (en) | Laser machining device for machining multi-layer substrate | |
CN206519656U (en) | Laser scoring system for manufacturing flexible substrate solar cell | |
CN217859407U (en) | Pole piece die cutting device | |
JP5363802B2 (en) | Laser scribing machine | |
KR102497811B1 (en) | Laser Notching System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
KR102713214B1 (en) | electrode sheet notching apparatus and notching method | |
JP2004273696A (en) | Cutting apparatus | |
KR102704054B1 (en) | Hybrid notching device and notch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 |
US20230364710A1 (en) | Laser processing device | |
CN219926121U (en) | Waste material removing device for light guide plate film | |
CN221275881U (en) | Film tensioning device and vacuum coating equipment | |
KR20110129321A (en) | Laser machining device for machining multi-layer substr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