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6182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827A
KR20220161827A KR1020210070059A KR20210070059A KR20220161827A KR 20220161827 A KR20220161827 A KR 20220161827A KR 1020210070059 A KR1020210070059 A KR 1020210070059A KR 20210070059 A KR20210070059 A KR 20210070059A KR 20220161827 A KR20220161827 A KR 20220161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roller
wiring
circuit board
sourc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성
김대윤
박근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827A/ko
Priority to US17/746,551 priority patent/US12041737B2/en
Priority to CN202210549361.6A priority patent/CN115482723A/zh
Publication of KR2022016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 표시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롤러, 롤러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와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시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배선과 시트를 일체화한 배선 시트를 배치하여, 반복적인 와인딩 및 언와인딩에 따른 제1 배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 소자, 배선 등을 형성하여,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스 인쇄 회로 기판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연장 시트를 일체화하여 와인딩 및 언와인딩 시 신뢰성을 향상시킨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배선의 손상을 저감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프링을 롤러 중앙에 배치하여, 롤러 전체에 균일한 힘이 인가되도록 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 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복수의 배선과 소스 인쇄 회로 기판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정렬 오차를 보상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 표시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롤러, 롤러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와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시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배선과 시트를 일체화한 배선 시트를 배치하여, 반복적인 와인딩 및 언와인딩에 따른 제1 배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시트, 및 배선 시트와 연결되고, 내부에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이 수납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스프링은 롤러의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프링을 롤러의 중앙에 배치하여 표시 패널을 틀어짐 없이 롤러에 와인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배선과 백커버 및 롤러를 연결하는 시트를 하나의 배선 시트로 일체화하여, 배선이 손상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 내부에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및 제1 배선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 내부에서 스프링을 롤러 중앙에 배치하여 표시부가 롤러에 비스듬하게 와인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선 시트의 복수의 배선과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정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와인딩 및 언와인딩 시 접촉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롤러블 표시 장치를 돌돌 말아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 돌돌 말린 롤러블 표시 장치를 다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하우징부(HP)를 포함한다.
표시부(DP)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부(DP)는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는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표시 패널 및 백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 표시부(DP)는 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표시부(DP)는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HPO)가 배치된다. 표시부(DP)는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는 풀 언와인딩(full unwinding)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full winding)된 상태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언와인딩된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DP)가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외부에 최대한 배치되고, 더 이상 언와인딩할 수 없는 상태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와인딩된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고, 더 이상 와인딩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표시부(DP)가 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부피가 작아지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구동부(MP)가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롤러(181) 및 표시부(DP)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롤러(181) 내부의 스프링 및 회전축의 도시를 생략하였고, 도 3에서는 하우징부(HP), 롤러(181) 및 표시부(DP)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MP)는 롤러부(180) 및 승강부(170)를 포함한다.
롤러부(18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부(180)에 고정된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한다. 롤러부(180)는 롤러(181) 및 롤러 지지부(182)를 포함한다.
롤러(181)는 표시부(DP)가 와인딩되는 부재이다. 롤러(181)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181)에 표시부(DP)의 하측 엣지가 고정될 수 있다. 롤러(181)가 회전하면, 롤러(181)에 하측 엣지가 고정된 표시부(DP)가 롤러(181)에 와인딩될 수 있다. 반면, 롤러(18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81)에 와인딩된 표시부(DP)가 롤러(18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롤러(181)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18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지만, 일부분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롤러(181)의 외주면의 일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롤러(181)는 곡면부(181R) 및 평면부(181F)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롤러(181)는 완전한 원통 형상이거나, 표시부(DP)를 와인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롤러 지지부(182)는 롤러(181)의 양측에서 롤러(181)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롤러 지지부(182)는 하우징부(HP)의 바닥면(HPF)에 배치된다. 그리고 롤러 지지부(182)의 상단 측면은 롤러(181)의 양측 끝단과 결합된다. 이에, 롤러 지지부(182)는 롤러(181)가 하우징부(HP)의 바닥면(HPF)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롤러(181)는 롤러 지지부(18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승강부(170)는 롤러부(180)의 구동에 맞춰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170)는 링크부(171), 헤드바(172), 슬라이드 레일(173), 슬라이더(174), 모터(175) 및 회전부(176)를 포함한다.
승강부(170)의 링크부(171)는 복수의 링크(171a, 171b) 및 복수의 링크(171a, 171b) 각각을 연결하는 힌지부(171c)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링크(171a, 171b)는 제1 링크(171a) 및 제2 링크(171b)를 포함하고, 제1 링크(171a) 및 제2 링크(171b)는 시저 형상으로 서로 교차하여, 힌지부(171c)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링크부(17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복수의 링크(171a, 171b) 각각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승강부(170)의 헤드바(172)는 표시부(DP)의 최상단에 고정된다. 헤드바(172)는 링크부(171)와 연결되어, 링크부(171)의 복수의 링크(171a, 171b)의 회전에 따라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표시부(DP)는 헤드바(172) 및 링크부(17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바(172)는 표시부(DP)의 정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표시부(DP)의 최상단 엣지에 인접하는 면의 일부분만을 덮는다. 표시부(DP)와 헤드바(172)는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부(170)의 슬라이드 레일(173)은 복수의 링크(171a, 171b)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복수의 링크(171a, 171b) 중 일부는 슬라이드 레일(17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슬라이드 레일(173)의 궤적을 따라 움직임이 가이드 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171a, 171b) 중 일부는 슬라이드 레일(17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174)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레일(173)의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모터(175)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내장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175)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부(176)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회전부(176)는 모터(175)와 연결되어, 모터(175)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즉, 모터(175)의 회전 운동을 회전부(176)에 고정된 구조물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176)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볼 스크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터(175) 및 회전부(176)는 링크부(171)와 연동되어 표시부(DP)를 승강시킬 수 있다. 링크부(171)는 링크 구조로 형성되어, 모터(175) 및 회전부(176)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접히거나(folding), 펴지는(unfolding)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가 와인딩될 때, 모터(175)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부(176)의 구조물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제2 링크(171b)의 일단이 연결된 회전부(176)의 일부분은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제2 링크(171b)의 일단이 모터(175)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복수의 링크(171a, 171b)가 접히게 되어 링크부(171)의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링크(171a, 171b)가 접히는 과정에서 제1 링크(171a)에 연결된 헤드바(172) 또한 하강하게 되고, 헤드바(172)에 연결된 표시부(DP)의 일단도 하강하게 된다.
표시부(DP)가 언와인딩될 때, 모터(175)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부(176)의 구조물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제2 링크(171b)의 일단이 연결된 회전부(176)의 일부분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171b)의 일단이 모터(175)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복수의 링크(171a, 171b)가 펼쳐지게 되어 링크부(171)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링크(171a, 171b)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제1 링크(171a)에 연결된 헤드바(172) 또한 상승하게 되고, 헤드바(172)에 연결된 표시부(DP)의 일단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DP)가 롤러(181)에 풀 와인딩된 경우, 승강부(170)의 링크부(171)는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즉, 표시부(DP)가 롤러(181)에 풀 와인딩된 경우, 승강부(170)는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경우, 승강부(170)의 링크부(171)는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경우, 승강부(170)는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를 와인딩하는 경우, 롤러(181)는 회전할 수 있고, 표시부(DP)는 롤러(181)에 와인딩될 수 있다. 도 3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롤러(181)에 표시부(DP)의 하측 엣지가 연결된다. 그리고 롤러(181)가 제2 방향(DR2),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부(DP)는 표시부(DP)의 배면이 롤러(181)의 표면에 밀착되며 와인딩될 수 있다.
표시부(DP)를 언와인딩하는 경우, 롤러(181)는 회전할 수 있고, 표시부(DP)는 롤러(18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3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롤러(181)가 제1 방향(DR1),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81)에 와인딩된 표시부(DP)가 롤러(181)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동부(MP) 이외에 다른 구조를 갖는 구동부(MP)가 표시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표시부(DP)를 와인딩 및 언와인딩할 수 있다면, 상술한 롤러부(180) 및 승강부(170)의 구성이 변경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부(DP)는 백커버(110), 표시 패널(120),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 배선 시트(160) 및 커버부(190)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부(190)의 도시는 생략하였고, 도 6에서는 표시부(DP) 및 롤러(181)만을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한다. 백커버(110)의 크기는 표시 패널(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백커버(110)는 외부로부터 표시부(DP)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백커버(110)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나, 백커버(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는 SUS(Steel Use Stainless) 또는 인바(Invar)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백커버(110)의 물질은 열 변형량, 곡률 반경, 강성 등의 물성 조건을 만족한다면,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백커버(110)는 복수의 지지 영역(PA) 및 연성 영역(MA)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영역(P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고,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10)의 최상단에서부터 제1 지지 영역(PA1), 연성 영역(MA)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 영역(PA)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 홀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영역(PA1)에는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되고,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이 형성된다.
제1 지지 영역(PA1)은 백커버(110)의 최상단 영역으로, 헤드바(172)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1 지지 영역(PA1)에는 헤드바(172)와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바(172)와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헤드바(172)와 백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영역(PA1)이 헤드바(172)와 체결됨에 따라, 헤드바(172)에 체결된 링크부(171)의 상승 또는 하강 시, 백커버(110)도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고, 백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 또한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연성 영역(MA)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백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연성 영역(MA)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8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영역이다. 연성 영역(MA)은 표시부(DP)의 다른 구성 중 적어도 표시 패널(120)에는 중첩할 수 있다.
제2 지지 영역(PA2)은 연성 영역(MA)으로부터 백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2 지지 영역(PA2)은 커버부(190) 및 배선 시트(160)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커버부(190) 및 배선 시트(160)와의 체결을 위해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90)와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커버부(190)와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 시트(160)와 제3 체결 홀(AH3)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배선 시트(160)와 제2 지지 영역(PA2)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백커버(110)의 복수의 지지 영역(PA) 및 연성 영역(MA)이 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백커버(110)가 행 방향으로 와인딩되는 경우, 복수의 지지 영역(PA) 및 연성 영역(MA)은 행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 체결 홀(AH1)이 5개이고, 제2 체결 홀(AH2)이 2개이며, 제3 체결 홀(AH3)이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체결 홀(AH1),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서는 백커버(110)가 제1 체결 홀(AH1)을 사용하여 헤드바(172)와 체결되고,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을 사용하여 커버부(190) 및 배선 시트(160)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 홀 없이 백커버(110)와 헤드바(172), 배선 시트(160) 및 커버부(190)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는 표시부(DP)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의 슬립(Slip)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즉,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10)가 와인딩될 때,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곡률 반경 차이로 인해, 롤러(181)에 와인딩되는 표시 패널(120)의 길이와 백커버(110)의 길이가 차이나게 된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81)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81)에 한 바퀴 와인딩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20)이 롤러(181)를 기준으로 백커버(110)보다 외측에 배치되므로, 표시 패널(120)이 롤러(181)에 한 바퀴 와인딩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는, 백커버(110)가 롤러(181)에 한 바퀴 와인딩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처럼,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해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에서 와인딩되는 길이가 차이나게 되고, 백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이 미끄러져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와인딩에 의해 발생한 응력 및 곡률 반경의 차이로 인해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슬립 현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슬립이 과도하게 커지면,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탈착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연성 영역(MA)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 각각에는 제1 체결 홀(AH1),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만이 형성될 뿐,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연성 영역(MA)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11)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체결 홀(AH1),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은 복수의 개구부(111)와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제1 지지 영역(PA1)은 헤드바(172)에 고정되는 영역이고, 제2 지지 영역(PA2)은 커버부(190) 및 배선 시트(160)와 연결되는 영역으로, 연성 영역(MA)보다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강성 특성을 갖도록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에는 복수의 개구부(111)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며 표시부(DP)에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열 방향을 따라 롤러(181)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백커버(110)의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백커버(110)의 길이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곡률 반경 차이에 의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의 길이 차이를 백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개구부(111)가 변형되어 백커버(110)로부터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완화될 수 있다.
백커버(110)의 일 면 상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된다. 백커버(110)의 일 면에서, 연성 영역(MA)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은 접착층을 통해 백커버(110)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이다.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표시 소자 및 구동 소자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2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 패널(120)은 롤러(18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블한 표시 패널(12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 및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는 구동 소자 및 배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 및 회로 등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20)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필름(130)은 설계에 따라 1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플렉서블 필름(13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패널(120)의 일단에서 비표시 영역(N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표시 영역(AA)의 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에 일단이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구동 IC는 실장되는 방식에 따라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IC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이 배치된다.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은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과 연결된다.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IC에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이다.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구동 IC로 공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4개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이 배치되고, 각각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은 2개의 플렉서블 필름(130)과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을 덮는 커버부(190)가 배치된다. 커버부(190)는 백커버(110) 중 적어도 제2 지지 영역(PA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90)는 제2 지지 영역(PA2)에 인접한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 일부, 제2 지지 영역(PA2)에 배치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20),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190)는 베이스 플레이트(191) 및 커버 플레이트(19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백커버(110)의 일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지 않은 백커버(110)의 일 면의 반대 면에서 제2 지지 영역(PA2)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백커버(11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제2 지지 영역(PA2)에 배치된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2 지지 영역(PA2)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192)는 백커버(110)의 일 면에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192)는 표시부(DP)의 구성 중 적어도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플레이트(192)는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92)는 표시 패널(120)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이 배치된 백커버(110)의 일 면에서 제2 지지 영역(PA2)과 베이스 플레이트(19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192)는 일 면이 볼록한 형상, 즉,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92)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커버부(190)와 백커버(110)는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영역(PA2)에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91)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제2 체결 홀(AH2) 및 제3 체결 홀(AH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커버부(190)와 백커버(11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91), 커버 플레이트(192) 및 백커버(110)를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부재에 의해 커버부(190)와 백커버(110)가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커버부(190) 및 백커버(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90)는 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구부러지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여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커버 플레이트(192)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여 커버 플레이트(192) 상에 와인딩되는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의 일부분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곡면을 갖는 커버 플레이트(192)는 롤러(181)의 곡면부(181R)와 원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커버부(190) 상에 와인딩되는 표시부(DP)의 나머지 구성이 일정한 곡률로 와인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강성을 갖는 커버부(190)의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구부러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91)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91)가 와인딩되는 롤러(181)의 일부분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91)는 롤러(181)의 평면부(181F)에 안착되어 표시부(DP)가 와인딩되더라도 구부러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백커버(110)와 롤러(181) 사이에 배선 시트(160)가 배치된다. 배선 시트(160)는 일단이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체결되고, 타단이 롤러(181)에 체결된다. 배선 시트(160)에 의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과 롤러(181)가 연결될 수 있고, 롤러(181)의 회전에 따라 배선 시트(160),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81)에 와인딩되거나, 롤러(18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 시트(160)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후술할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배선 시트(160)는 복수의 배선(162), 복수의 배선(162)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한 쌍의 시트(161)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선(162)은 제1 배선(163), 제2 배선(164) 및 그라운드 배선(165)을 포함한다. 제1 배선(163)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제1 배선(163)은 적어도 일부분이 한 쌍의 시트(161) 외측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163)은 일단이 한 쌍의 시트(161) 외측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하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한 쌍의 시트(161) 외측으로 연장되어 롤러(181) 내부의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배선(163)이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에 따라 제1 배선(163)은 하나 또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배선(16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배선(164)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제2 배선(164)은 제1 배선(163)을 통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연결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배선(164)은 일단 및 타단 각각이 한 쌍의 시트(161)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신호를 공급받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은 제2 배선(164)을 통해 인접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라운드 배선(165)은 표시부(DP)에 생성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표시부(DP)의 일부 구성과 롤러(18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롤러(181)는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고, 이러한 롤러(181)와 표시부(DP)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반복적인 와인딩 및 언와인딩 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배선(165)을 표시부(DP)의 구성 중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커버부(190)와 롤러(181)에 연결하여 표시부(DP)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다. 다만, 롤러(181) 대신 다른 구성이 접지될 수 있고, 그라운드 배선(165)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커버부(190) 대신 다른 구성들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시트(161)는 제1 배선(163)과 제2 배선(164)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착된다. 한 쌍의 시트(161)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연성 필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R) 등의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시트(161)는 복수의 배선(162)을 감싸 복수의 배선(162)을 보호할 수 있고, 백커버(110)와 롤러(181)를 연결하여,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81)에 와인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시트(161)에는 복수의 제4 체결 홀(AH4) 및 제5 체결 홀(AH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시트(161)의 상측 부분에는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과의 체결을 위해 복수의 제4 체결 홀(AH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시트(161) 하측 부분에는 롤러(181)와의 체결을 위해 복수의 제5 체결 홀(AH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시트(161)는 복수의 제4 체결 홀(AH4) 및 제5 체결 홀(AH5)을 통해 백커버(110) 및 롤러(181)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배선 시트(160)의 복수의 제4 체결 홀(AH4) 및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3 체결 홀(AH3)을 통해 배선 시트(160), 백커버(110) 및 커버부(190)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3 체결 홀(AH3), 복수의 제4 체결 홀(AH4) 및 커버부(190)를 관통하는 스크류를 배치하여 배선 시트(160), 백커버(110) 및 커버부(19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다만, 배선 시트(160)는 백커버(110) 또는 커버부(190) 중 어느 하나에만 체결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백커버(11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4 체결 홀(AH4)이 3개이고, 제5 체결 홀(AH5)이 7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4 체결 홀(AH4) 및 제5 체결 홀(AH5)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3 체결 홀(AH3) 및 제4 체결 홀(AH4)을 사용하여 배선 시트(160), 백커버(110) 및 커버부(190)를 체결하고, 제5 체결 홀(AH5)을 사용하여 배선 시트(160)와 롤러(181)를 체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 홀 없이 백커버(110)와 배선 시트(160) 및 롤러(181)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롤러(181) 내부에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이 배치된다.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으로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등이 실장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으로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롤러(181) 내부에 스프링(183)이 배치된다. 스프링(183)은 롤러(181) 내부에 배치되어 롤러(181)의 회전축(184)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83)의 일단은 롤러(181) 내주면에 연결되고, 스프링(183)의 타단은 회전축(184)에 연결될 수 있다. 롤러(18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183)의 일단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프링(183)에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183)에 저장된 에너지는 롤러(181)의 회전을 도울 수 있고, 표시부(DP)가 롤러(181)에 원활하게 언와인딩 또는 와인딩되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롤러(181) 내부에서 스프링(183)은 롤러(181)의 중앙에 배치되고,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은 롤러(181)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183)을 롤러(181)의 중앙이 아닌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 치우치게 배치한 경우, 스프링(183)에 저장된 에너지가 롤러(181)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기 어렵고, 표시부(DP)가 롤러(181)에 비스듬하게 와인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183)을 롤러(181)에 중앙에 배치하여 롤러(181) 전체에 균일하게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표시부(DP)를 틀어짐 없이 롤러(181)에 와인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백커버와 롤러를 연결하는 시트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배선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을 별도로 구성하였다. 이 경우, 시트와 케이블 간의 곡률 차이로 인해 케이블의 길이 조절이 필요하였다. 다만, 케이블의 길이 조절 오차로 인해 케이블이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을 롤러 중앙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롤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나,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케이블을 벤딩할 수 있다. 이에, 케이블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이를 벤딩함에 따라 와인딩 시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고, 와인딩 및 언와인딩 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연결하는 배선과 백커버(110)와 롤러(181)를 연결하는 시트를 일체화하여 표시 장치(1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배선 시트(160)는 백커버(110)와 롤러(181)를 연결하는 동시에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배선(162)과 한 쌍의 시트(161)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배선(162)과 한 쌍의 시트(161) 간의 곡률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복수의 배선(162)의 방향 전환에 따른 두께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배선(162)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고, 롤러(181) 내에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한 쌍의 시트(161) 사이에 복수의 배선(162)이 배치된 배선 시트(160)를 이용하여,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시트(161) 사이에서 복수의 배선(162)을 다양하게 배치 가능하므로, 롤러(181) 내에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 및 스프링(183)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롤러(181)에 와인딩되는 표시부(DP)의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의 표시 장치(700)는 도 1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복수의 배선(762)의 위치가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선 시트(760)는 복수의 배선(762)을 포함하고, 복수의 배선(762)은 제1 배선(763), 제2 배선(764) 및 그라운드 배선(165)을 포함한다.
제1 배선(763)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제1 배선(763)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가장 인접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이 롤러(181)의 좌측에 배치된 경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최좌측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 사이에 제1 배선(763)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선(763)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선(764)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서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복수의 제2 배선(764)은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신호를 공급받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나머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배선(764)은 좌측에서부터 첫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두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제2 배선(764), 두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세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제2 배선(764) 및 세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네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제2 배선(76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에서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가장 인접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 사이에 제1 배선(763)을 배치하여, 제1 배선(763)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의 최단 직선 거리가 가장 짧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에 제1 배선(763)을 연결하는 경우, 제1 배선(763)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제1 배선(763)을 일직선으로 구성 가능하므로 제1 배선(763)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최단 직선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에 제1 배선(763)을 연결하는 경우, 제1 배선(763)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고, 서로 인접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제2 배선(764)의 배치 및 형태 또한 배선 시트(760)를 가로지르는 제1 배선(763)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에서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중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최단 직선 거리가 가장 짧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연결하도록 제1 배선(763)을 형성하여 복수의 배선(762)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의 표시 장치(800)는 도 7의 표시 장치(700)와 비교하여 배선 시트(860)가 제2 배선(764)을 포함하지 않고, 연결 배선(CL)을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배선 시트(860)는 한 쌍의 시트(161) 및 복수의 배선(86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배선(862)은 제1 배선(763) 및 그라운드 배선(165)을 포함한다. 제1 배선(763)을 통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시트(860)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백커버(110)과 롤러(181)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CL)이 배치된다. 연결 배선(CL)은 컨트롤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신호를 공급받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나머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좌측에서부터 첫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이 제1 배선(76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첫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두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연결 배선(CL), 두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세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연결 배선(CL) 및 세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네 번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연결 배선(CL)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배선(CL)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각각의 측부에 연결되므로, 배선 시트(860)와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에서는 배선 시트(860)에서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제2 배선을 제거하고, 별도의 연결 배선(CL)을 이용하여 배선 시트(86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신호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각각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일대일로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만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은 연결 배선(CL)을 통해 다른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배선(CL)은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의 측부에서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최단 거리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에서는 배선 시트(860) 내에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는 별도의 배선을 배치할 필요 없이 제1 배선(763) 및 그라운드 배선(165)만 배치할 수 있고, 배선 시트(86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배선 시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의 표시 장치(900)는 도 7의 표시 장치(700)와 비교하여 배선 시트(960)가 복수의 홀(966, 966a, 966b)을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배선 시트(960)는 복수의 홀(966)을 포함한다. 배선 시트(960)에서 복수의 홀(966)은 복수의 배선(762)과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홀(966)의 길이 방향은 롤러(18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홀(966)은 열 방향에서 폭이 행 방향에서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966)은 열 방향에서 장축을 갖는 타원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홀(966)은 열 방향에서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큰 형태이므로, 행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홀(966)은 행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행 방향에 대한 배선 시트(960)의 길이 또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배선 시트(960)의 복수의 배선(762)의 정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홀(966)이 유연하게 변형되며 정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900)가 대형화될수록 행 방향에 대한 배선 시트(96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고,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의 개수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배선 시트(960)의 복수의 배선(762)과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의 연결 지점에 정렬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행 방향에서 배선 시트(960)의 길이가 설계한 것보다 짧은 경우, 복수의 배선(762) 중 일부 배선은 연결되어야 할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어긋나게 배치되어 복수의 배선(762)과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홀(966)이 행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여 배선 시트(960)가 행 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어긋나게 배치된 복수의 배선(762)과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정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홀(966)은 도 9에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a)의 배선 시트(960a)에서 복수의 홀(966a)은 행 방향에 대한 폭이 열 방향에 대한 폭보다 짧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b)의 배선 시트(960b)에서 복수의 홀(966b)은 행 방향에 대한 폭이 열 방향에 대한 폭보다 짧고,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가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홀은(966b) 마름모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900)에서는 배선 시트(960, 960a, 960b)에 복수의 홀(966, 966a, 966b)이 형성되어 복수의 배선(762)의 정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배선 시트(960, 960a, 960b)에 형성된 복수의 홀(966, 966a, 966b)은 행 방향에 대한 폭이 열 방향에 대한 폭보다 작게 구성되어, 행 방향으로 용이하게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홀(966, 966a, 966b)에 의해 배선 시트(960, 960a, 960b)도 행 방향으로 용이하게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만약, 행 방향에 대한 배선 시트(960, 960a, 960b)의 길이가 설계와 다른 오차를 갖는 경우, 복수의 배선(762)은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과 어긋나게 배치되어, 복수의 배선(762)과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을 연결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900)에서는 복수의 홀(966, 966a, 966b)에 의해 배선 시트(960, 960a, 960b)가 행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며 복수의 배선(762)과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간의 정렬 오차를 보상할 수 있고, 복수의 배선(762),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150)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 표시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롤러, 롤러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와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롤러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스프링은 롤러의 중앙에 배치되고,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은 롤러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선 시트는 제1 배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착된 한 쌍의 시트, 및 적어도 일부분이 한 쌍의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선 시트는, 한 쌍의 시트에 배치된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배면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배선 시트의 일단은 백커버와 체결되고, 배선 시트의 타단은 롤러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시트, 및 배선 시트와 연결되고, 내부에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이 수납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스프링은 롤러의 중앙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선 시트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배선, 및 제1 배선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한 쌍의 시트를 포함하고, 제1 배선의 타단은 한 쌍의 시트로부터 롤러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선 시트는, 일부분이 한 쌍의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서로 이웃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고, 연결 배선은 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 및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백커버는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영역에서 배선 시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선 시트는, 한 쌍의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그라운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선 시트는, 한 쌍의 시트에서 제1 배선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홀의 길이 방향은 롤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700, 800, 900: 표시 장치
110: 백커버
111: 개구부
120: 표시 패널
130: 플렉서블 필름
140: 소스 인쇄 회로 기판
150: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160, 760, 860, 960, 960a, 960b: 배선 시트
161: 한 쌍의 시트
162, 762, 862: 복수의 배선
163, 763: 제1 배선
164, 764: 제2 배선
165: 그라운드 배선
966, 966a, 966b: 홀
170: 승강부
171: 링크부
171a: 제1 링크
171b: 제2 링크
171c: 힌지부
172: 헤드바
173: 슬라이드 레일
174: 슬라이더
175: 모터
176: 회전부
180: 롤러부
181: 롤러
181F: 평면부
181R: 곡면부
182: 롤러 지지부
183: 스프링
184: 회전축
190: 커버부
191: 베이스 플레이트
192: 커버 플레이트
DP: 표시부
HP: 하우징부
HPO: 하우징부의 개구부
HPF: 하우징부의 바닥면
MP: 구동부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PA: 지지 영역
PA: 제1 지지 영역
PA2: 제2 지지 영역
MA: 연성 영역
AH1: 제1 체결 홀
AH2: 제2 체결 홀
AH3: 제3 체결 홀
AH4: 제4 체결 홀
AH5: 제5 체결 홀
CL: 연결 배선
DR1: 제1 방향
DR2: 제2 방향

Claims (13)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
    상기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롤러;
    상기 롤러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롤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롤러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시트는 상기 제1 배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착된 한 쌍의 시트;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한 쌍의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시트는, 상기 한 쌍의 시트에 배치된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 시트의 일단은 상기 백커버와 체결되고, 상기 배선 시트의 타단은 상기 롤러와 체결되는, 표시 장치.
  7.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시트; 및
    상기 배선 시트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과 스프링이 수납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롤러의 중앙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시트는,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제1 배선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한 쌍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시트로부터 상기 롤러 내부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시트는,
    일부분이 상기 한 쌍의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중 서로 이웃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배선 시트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시트는,
    상기 한 쌍의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그라운드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시트는,
    상기 한 쌍의 시트에서 상기 제1 배선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의 길이 방향은 상기 롤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표시 장치.
KR1020210070059A 2021-05-31 2021-05-31 표시 장치 KR20220161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59A KR20220161827A (ko) 2021-05-31 2021-05-31 표시 장치
US17/746,551 US12041737B2 (en) 2021-05-31 2022-05-17 Display device
CN202210549361.6A CN115482723A (zh) 2021-05-31 2022-05-2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59A KR20220161827A (ko) 2021-05-31 2021-05-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27A true KR20220161827A (ko) 2022-12-07

Family

ID=8419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059A KR20220161827A (ko) 2021-05-31 2021-05-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041737B2 (ko)
KR (1) KR20220161827A (ko)
CN (1) CN115482723A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205A (ja) *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8052040A (ja) * 2006-08-24 2008-03-06 Fujifilm Corp 表示装置
KR101870889B1 (ko) * 2011-11-18 2018-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34058B1 (ko) * 2013-06-07 2019-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65299B1 (ko) * 2014-08-01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26609B1 (ko) * 2015-07-30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WO2017119543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주) 전자 디바이스
KR102454386B1 (ko) * 2016-04-29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N107993573A (zh) * 2016-10-27 2018-05-0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器及其显示方法
KR20180062269A (ko)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백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590868B2 (ja) * 2017-06-20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
KR102490314B1 (ko) * 2017-11-13 2023-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TWM574253U (zh) * 2018-03-09 2019-02-1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可捲收型顯示器
KR102501909B1 (ko) * 2018-04-20 2023-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8915B1 (ko) * 2018-08-17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68284B1 (ko) * 2018-08-29 2023-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2737A (ko) * 2019-07-26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0726A (ko) 2019-08-16 2021-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396954B (zh) * 2019-08-16 2022-12-0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EP4191373A4 (en) * 2020-11-12 2024-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86484A1 (en) 2022-12-01
CN115482723A (zh) 2022-12-16
US12041737B2 (en) 202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6072B1 (en) Rollable display device
CN111161633A (zh) 显示装置
US11626041B2 (en) Display device
JP6937876B2 (ja) 表示装置
KR20210004379A (ko) 표시 장치
JP7288034B2 (ja) 表示装置
CN112599003B (zh) 显示装置
US11670199B2 (en) Display device
KR20220032742A (ko) 표시 장치
CN114627755B (zh) 显示装置
US20230164936A1 (en) Display device
KR2022002694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94084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roller
US11895791B2 (en) Display device
KR20220161827A (ko) 표시 장치
US20240218956A1 (en) Display device
KR20220056098A (ko) 표시 장치
KR20220096227A (ko) 표시 장치
KR20230102625A (ko) 표시 장치
KR20230103259A (ko) 표시 장치
JP2023181156A (ja)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