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322A -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2322A KR20220102322A KR1020210004550A KR20210004550A KR20220102322A KR 20220102322 A KR20220102322 A KR 20220102322A KR 1020210004550 A KR1020210004550 A KR 1020210004550A KR 20210004550 A KR20210004550 A KR 20210004550A KR 20220102322 A KR20220102322 A KR 202201023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ntainer
- wall
- opening
- spo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 B65D47/30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provided with a spout, e.g. "escargot"-type val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결합시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타단에 누름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뚜껑 및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료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구가 마련되어 상기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토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뚜껑 구조가 개발되었다.
사용자가 용기 뚜껑에 입을 대고 음용하는 경우, 용이한 음용을 위해 용기 뚜껑에 토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주둥이나,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빨대가 결합된 뚜껑들이 개발되었다. 다만, 이러한 용기 뚜껑은 밀폐력이 떨어지며, 토출량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뚜껑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용물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의 개폐가 가능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타단에 누름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제거됨에 따라 이동 가능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는 밀봉부와 상기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내부에 토출로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토출로와 상기 토출구가 연통하는 경우에만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외벽은, 상기 주둥이부를 상기 뚜껑 본체부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에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힌지 이동시 상기 주둥이부와 접촉하여 상기 주둥이부를 힌지 이동시키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힌지 이동 가능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의 외부 표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돌출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밀봉부에 대해 회전 힌지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은 내용물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은 분리 가능한 마개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의 토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내용물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a, b)와 평면도(c)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의 결합 전후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 제거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a, b)와 평면도(c)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의 결합 전후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a, b)와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c, d)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변조 방지 밴드를 구비하는 경우 토출로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a, b)와 평면도(c)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의 결합 전후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 제거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a, b)와 평면도(c)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의 결합 전후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a, b)와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c, d)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변조 방지 밴드를 구비하는 경우 토출로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내용물은 액체 상태의 음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1)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용기(1)는 용기 본체(100) 및 용기 뚜껑(110)을 포함하며, 용기 뚜껑(110)은 뚜껑 본체부(120) 및 마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0)는 음료나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0)에는 내용물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뚜껑(110)이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그 형상이나 크기 또는 소재가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통상적인 용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100)는 하부가 상광하협이고, 상부가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기 본체(100) 상부의 측면 기울기가 하부의 측면 기울기보다 더 크게 마련되어, 용기 본체(100)의 하부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100)는 상부에 개구(101)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101)의 형상이나 크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100)는 개구(10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0)에서 개구(101)가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입구(102) 또한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용기 입구(102)를 통해 용기 뚜껑(110)과 결합할 수 있다. 용기 뚜껑(110)에 용기 입구(102)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용기 뚜껑(110)과 용기 본체(10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결합 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용기 뚜껑(110)은 용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개구(101)와 연통하는 토출구(126)를 갖는 뚜껑 본체부(120)와 뚜껑 본체부(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토출구(126)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132)와 타단에 누름부(133)를 포함하는 마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뚜껑(110)은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뚜껑 본체부(120)는 용기 본체(100)의 개구(101)를 덮도록 마련되되, 토출구(126)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구(126)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은 사용자의 입이나 다른 용기로 전달될 수 있으며, 토출구(126)는 개구(101)보다 크기가 작은 것일 수 있다. 즉, 뚜껑 본체부(120)는 개구(101)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토출구(126)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뚜껑 본체부(120)는 용기 뚜껑(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122)과 뚜껑 외벽(122)으로부터 이격되고, 개구(1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은 용기 뚜껑(11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은 용기 입구(102)의 상부면과 측면을 모두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 외벽(122)은 용기 입구(10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 입구(10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이 용기 입구(102)의 상부면을 덮는 경우, 뚜껑 외벽(122)은 개구(10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뚜껑 외벽(122)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오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5)는 후술할 누름부(133)가 개구(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오목부(125)는 누름부(133)가 개구(101)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 강제 끼움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이 용기 입구(102)의 측면을 덮는 경우, 뚜껑 외벽(122)은 용기 입구(102)의 길이를 넘어 용기(1) 상부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에는 토출되는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로 흘려보내기 위한 주둥이(121)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 내벽(124)은 뚜껑 외벽(122)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뚜껑 내벽(124)은 뚜껑 외벽(122)의 어느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뚜껑 내벽(124)은 개구(1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 내벽(124)은 용기 입구(10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용기 입구(102)와 밀착하여 뚜껑 내벽(124)과 용기 입구(102)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용기 입구(102)가 용기 뚜껑(1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뚜껑 외벽(122)과 뚜껑 내벽(124)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10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견고한 결합 및 고정을 위해, 뚜껑 외벽(122)과 뚜껑 내벽(124)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123)를 포함하고, 용기 입구(102)는 뚜껑측 결합부(123)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측 결합부(123)와 용기측 결합부(103)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용기 본체(100)와 용기 뚜껑(110)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측 결합부(123) 및 용기측 결합부(103)는 스냅(snap)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래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측 결합부(123) 및 용기측 결합부(103)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뚜껑(110)의 뚜껑 본체부(120)에는 뚜껑 외벽(122) 및 뚜껑 내벽(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 외벽(122)과 뚜껑 내벽(124) 사이 공간으로 용기 입구(102)가 끼워질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의 내주면과 용기 입구(102)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130)는 뚜껑 본체부(12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마개 본체부(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개 본체부(131)는 개구(101)를 덮는 뚜껑 외벽(1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 본체부(131)는 일단에 토출구(126)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132), 타단에 마련되는 누름부(133), 변조 방지 밴드(134) 및 돌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32)는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2)는 토출구(126)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32)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구(126) 내부로 삽입되어 토출구(126)를 밀폐할 수 있다. 개폐부(132)는 후술할 마개부(130)의 동작에 따라 토출구(126)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132)는 토출구(126)와 밀착하여 뚜껑 본체부(120)와 마개부(130)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부(133)는 개폐부(132)의 개폐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손이나 다른 도구로 누를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누름부(133)는 마개 본체부(131) 상에서 개폐부(1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부(130)를 측면에서 볼 때, 누름부(133)는 용기(1)의 높이 방향으로의 두께가 용기 뚜껑(11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으며, 뚜껑 본체부(120)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누름부(133)는 두께가 일정하되,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용기 뚜껑(110)의 가장자리에서 뚜껑 본체부(120)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와 마개부(130)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는 마개부(130)가 뚜껑 본체부(12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134)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여 내용물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본체부(120)의 뚜껑 외벽(122)과 마개부(130)의 마개 본체부(131)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외벽(122)의 일 측면과 누름부(133)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는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방지 밴드(134)는 마개 본체부(131)와 일체로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를 용융 또는 접착시켜 뚜껑 본체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본체부(120)와 일체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가 용융 또는 접착되어 마개 본체부(131)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134)의 일단에 외력을 가하여 뚜껑 외벽(122) 및 누름부(13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가 결합된 경우, 즉, 용기(1)의 최초 개봉 이전에는 마개부(130)가 뚜껑 본체부(120)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마개부(130)의 개폐부(132)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구(126)에 삽입되어 토출구(126)를 밀폐하며, 누름부(133)는 변조 방지 밴드(134)에 의해 고정된다.
돌출부(135)는 마개 본체부(131)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개폐부(132)와 누름부(1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마개 본체부(131)의 일 측면에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뚜껑 본체부(120)는 뚜껑 외벽(122)에 형성되는 결합 홈(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130)의 돌출부(135)와 뚜껑 본체부(120)의 결합 홈(127)은 서로 대응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부(135)가 결합 홈(127)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돌출부를 통해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개부(130)는 뚜껑 본체부(1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에서 토출구(126)의 개폐 과정을 부연 설명한다.
용기(1)는 최초 개봉 이전에 도 4의 (b)와 같이 준비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변조 방지 밴드(134)를 통해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토출구(126)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용기(1)의 최초 개봉시에 변조 방지 밴드(134)의 일단을 잡고 외력을 가해 뚜껑 외벽(122) 및 누름부(13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변조 방지 밴드(134)를 제거한 직후 누름부(133)는 뚜껑 본체부(12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상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133) 자체의 형상이 뚜껑 본체부(120)의 뚜껑 외벽(1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거나, 뚜껑 외벽(122)에 오목부(125)가 형성되거나 두 가지 모두를 이용하여 확보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누름부(133)를 손으로 눌러 누름부(133)를 개구(10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부(132)가 토출구(126)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돌출부(135)를 받침대로 하여 개폐부(132)와 누름부(133)가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마개부 본체(131)는 돌출부(135)를 받침점으로 하는 1종 지레의 형상일 수 있으며, 누름부(133)는 힘점, 개폐부(132)는 작용점이 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마개부(130)가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이 됨과 동시에 마개부 본체(131)에 대한 받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부(133)를 개구(101)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132)가 최대로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누름부(133)를 끝까지 눌러 전술한 오목부(125)에 강제로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출구(126)를 개방한 상태로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부을 수 있게 된다. 주둥이(121)는 토출구(126)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
토출구(126)의 폐쇄는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부(132)의 상부면을 눌러 개폐부(132)를 토출구(126)에 끼워 밀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누름부(133)가 오목부(125)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개봉 이후에는 개폐부(132)와 누름부(133)를 각각 눌러 토출구(126)를 폐쇄하거나 재개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개부(130)를 뚜껑 본체부(1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토출구(126)를 전부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개 본체부(131)의 어느 일단을 잡은 상태로 마개부(130)를 들어 올려 돌출부(135)를 결합 홈(127)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135)를 다시 결합 홈(127)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마개부(130)를 재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에 대한 밀봉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토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개부를 구비하여 내용물의 누수 없이 음용 또는 토출할 수 있다.
도 8 내지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2)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용기(2)는 용기 본체(200) 및 용기 뚜껑(210)을 포함하며, 용기 뚜껑(210)은 뚜껑 본체부(220) 및 마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0)의 상부에 내용물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뚜껑(210)이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200)는 상부에 개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201)의 형상이나 크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200)는 상부에 개구(20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 본체(200)는 용기 입구(202)를 통해 용기 뚜껑(210)과 결합할 수 있다.
용기 뚜껑(210)은 용기 본체(200)에 형성되는 개구(201)와 연통하는 토출구(226)를 갖는 뚜껑 본체부(220)와 뚜껑 본체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구(226)에 결합되는 밀봉부(237)와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주둥이부(234)를 포함하는 마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뚜껑(210)은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뚜껑 본체부(220)는 용기 본체(200)의 개구(201)를 덮도록 마련되되, 토출구(226)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구(226)에는 후술할 밀봉부(237)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밀봉부(237)는 토출구(226)로부터 전달되는 내용물을 주둥이부(234)로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구(226)는 개구(201)보다 크기가 작은 것일 수 있으며, 두껑 본체부(220)는 개구(101)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뚜껑 본체부(220)는 용기 뚜껑(2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221)과 뚜껑 외벽(221)으로부터 이격되고, 개구(2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외벽(221)이 용기 입구(202)의 상부면을 덮는 경우, 뚜껑 외벽(221)은 개구(20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뚜껑 외벽(221)은 후술할 마개부(230)를 뚜껑 본체부(220)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224)는 마개부(230)의 형상, 구체적으로 주둥이부(2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한 공간을 제공하여, 용기(2)의 측면에서 볼 때 주둥이부(234)는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손잡이부(231)만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수납부(224)에는 공기 유입구(225)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의 상부에는 후수할 손잡이부(23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의 적어도 일단이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에서 손잡이부(231)의 상기 일단이 배치되는 부분에는 변조 방지 밴드(227)가 마련될 수 있다.
뚜껑 내벽(223)은 뚜껑 외벽(221)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뚜껑 외벽(221)의 어느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용기 본체(200)는 용기 입구(202)가 용기 뚜껑(2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과 뚜껑 내벽(221)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20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과 뚜껑 내벽(223)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222)를 포함하고, 용기 입구(202)는 뚜껑측 결합부(222)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면, 마개부(230)는 뚜껑 본체부(22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230)는 뚜껑 본체부(22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230)는 토출구(226)에 결합되는 밀봉부(237), 내부에 토출로(235)를 가지며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하는 주둥이부(234) 및 주둥이부(234)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237)는 토출구(22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237)는 토출구(226)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밀봉부(237)는 일단이 개방되어 토출구(226)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하며, 타단에 토출공을 구비하여 후술할 토출로(235)와 연통하는 경우 내용물을 주둥이부(234)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토출구(226)와 토출로(235)가 연통하지 않는 경우 내용물은 밀봉부(237)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밀봉부(237)는 토출구(226)와 밀착하여 뚜껑 본체부(220)와 마개부(230)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빨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일단에 입을 대고 음용하거나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내부에 주둥이부(234)의 양단을 연통시키는 토출로(235)를 가질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토출로(235)와 토출구(226)가 연통하는 경우에만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둥이부(234)는 일단부의 양 측면이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힌지 결합된 양 측면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들어올려지는 방식으로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둥이부(234)는 후술할 돌출부(238)를 기준으로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개구(201)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수납부(224)에 배치되어 있다가, 힌지 이동하여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나올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수납부(224)와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최대한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납부(224)와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하는 일단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수납부(224)에 배치되는 경우 토출구(226)는 주둥이부(234)의 일단부의 외부 표면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밀봉부(237)의 토출공과 맞닿는 외부 표면에 밀봉링(239)을 구비할 수 있다. 밀봉링(239)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밀봉링(239)은 주둥이부(234)가 토출구(226)를 밀봉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주둥이부(234)와 밀봉부(237)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의 어느 한 표면에는 플러그(236)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둥이부(234)가 뚜껑 외벽(221)에 맞닿는 표면에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러그(236)가 마련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수납부(224)에 완전히 수납되는 경우, 플러그(236)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구(225)를 밀폐시킬 수 있다. 플러그(236)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구(225)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뚜껑 본체부(220)쪽으로 완전히 힌지 이동하는 경우 또는 주둥이부(234)가 수납부(224)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는 경우에는 플러그(236)가 공기 유입구(225)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토출구(226)는 주둥이부(234)에 의해 밀폐되며, 공기 유입구(225)는 플러그(236)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다. 주둥이부(234)를 힌지 이동시키면 공기 유입구(225)는 개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둥이부(234)의 일단부에 입을 대고 흡입하면 공기 유입구(225)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231)는 주둥이부(234)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31)를 잡고 주둥이부(234)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둥이부(234)의 어느 한 표면에는 힌지부(233)가 마련되며, 힌지부(233)를 통해 손잡이부(231)가 주둥이부(234)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용기(2)를 기준으로 주둥이부(23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2)의 측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뚜껑 본체부(220)의 상부 및 측면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일단부가 용기 뚜껑(210)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을 잡고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사용자가 잡게 되는 일단부의 타단부가 힌지부(233)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타단부에는 받침부(23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받침부(232)는 손잡이부(231)의 힌지 이동시 주둥이부(234)의 표면과 접촉하여, 주둥이부(234)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231)의 일단부를 잡고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31)의 힌지 이동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힌지부(233)를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일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가 들어올려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받침부(232)가 주둥이부(234)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서 손잡이부(231) 자체의 힌지 이동은 정지되지만, 손잡이부(231)에 외력이 계속 가해지면 받침부(232)를 통해 주둥이부(234)에 외력이 가해져 주둥이부(234)가 힌지 이동하게 된다. 주둥이부(234)가 완전히 이동한 경우, 받침부(232)는 뚜껑 본체부(220)에 형성되는 홈(229)에 수용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본체부(220)의 적어도 일부와 마개부(230)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는 마개부(230)가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227)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여 내용물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본체부(220)의 뚜껑 외벽(221)과 마개부(230)의 손잡이부(231)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외벽(221)의 일 측면과 손잡이부(231)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는 손잡이부(231)와 일체로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를 용융 또는 접착시켜 뚜껑 본체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본체부(220)와 일체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가 용융 또는 접착되어 손잡이부(231)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227)의 일단에 외력을 가하여 뚜껑 외벽(221) 및 손잡이부(2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는, 변조 방지 밴드(227)는 손잡이부(231)로부터만 분리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가 결합된 경우, 즉, 용기(2)의 최초 개봉 이전에는 마개부(230)가 뚜껑 본체부(220)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마개부(230)의 주둥이부(234)는 수납부(224)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토출구(226)는 밀봉부(237)와 주둥이부(234)에 의해 밀폐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공기 유입구(225)는 플러그(236)에 의해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변조 방지 밴드(2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와 주둥이부(234)가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238)는 주둥이부(234)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주둥이부(234)와 밀봉부(237)가 힌지 결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38)는 주둥이부(234)의 외부 표면의 일부가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또는, 돌출부(238)는 주둥이부(234) 표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밀봉부(237)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가 돌출되어 나온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238)가 주둥이부(234)의 회전 힌지 이동에 대한 회전 축일 수 있다. 뚜껑 본체부(220)는 뚜껑 외벽(221)에 형성되는 결합 홈(2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230)의 돌출부(238)와 뚜껑 본체부(220)의 결합 홈(228)은 서로 대응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부(238)가 결합 홈(228)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230)는 돌출부를 통해 뚜껑 본체부(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개부(230)는 뚜껑 본체부(2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2)에서 토출구(226)의 개폐 과정을 부연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용기(2)는 최초 개봉 이전에 도 16의 (a)와 같이 준비될 수 있다. 마개부(230)는 전술한 주둥이부(234)와 플러그(236)에 의해 용기(2)가 완전히 밀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잡고 외력을 가해 손잡이부(231)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들어 올려 손잡이부(231)를 주둥이부(234)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232)가 주둥이부(234)에 접촉할 때까지 손잡이부(231)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받침부(232)가 주둥이부(234)에 접촉한 후에도 계속해서 손잡이부(231)에 외력을 가하면 주둥이부(234)가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힌지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236)가 공기 유입구(225)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토출로(235)가 토출구(226)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받침부(232)가 홈(229)에 수용되면서 손잡이부(231)의 이동이 멈출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는 뚜껑 본체부(220)의 측면을 넘어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둥이부(234)는 수납부(224)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토출구(226)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토출구(226)의 폐쇄는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잡고 외력을 가해 손잡이부(231)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는 손잡이부(231)가 주둥이부(234)에 접촉하면서 주둥이부(234)를 밀게 되어 주둥이부(234)를 수납부(224)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끝까지 눌러 플러그(236)를 공기 유입구(225)에 끼울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개봉 이후에는 손잡이부(231)를 힌지 이동시켜 토출구(226)를 폐쇄하거나 재개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개부(230)는 변조 방지 밴드(237)를 통해 뚜겅 본체부(22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토출구(226)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2)의 최초 개봉시에 변조 방지 밴드(237)의 일단을 잡고 외력을 가해 손잡이부(231) 및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7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방지 밴드(237)는 손잡이부(231)로부터만 제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토출구(226)의 폐쇄시 손잡이부(231)가 원위치하게 되면 변조 방지 밴드(237)를 원위치하여 변조 방지 밴드(237)와 뚜껑 외벽(221) 사이에 손잡이부(231)의 말단을 끼워 부주의에 의한 손잡이부(231)의 원치않는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토출구(226)의 개폐 동작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개부(230)를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토출구(226)를 전부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의 어느 일단을 잡은 상태로 마개부(230)를 들어 올려 돌출부(238)를 결합 홈(228)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238)를 다시 결합 홈(228)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마개부(230)를 재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에 대한 밀봉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토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개부를 구비하여 내용물의 누수 없이 음용 또는 토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개부에 마련되는 주둥이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으며, 주둥이부는 손잡이부의 원터치 조작을 통해 용기 뚜껑 내부 수납과 토출 위치로의 이동이 간편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2: 용기
100, 200: 용기 본체
101, 201: 개구 102, 202: 용기 입구
103, 203: 용기측 결합부 110, 210: 용기 뚜껑
120: 뚜껑 본체부 121: 주둥이
122: 뚜껑 외벽 123: 뚜껑측 결합부
124: 뚜껑 내벽 125: 오목부
126: 토출구 127: 결합 홈
130: 마개부 131: 마개 본체부
132: 개폐부 133: 누름부
134: 변조 방지 밴드 135: 돌출부
220: 뚜껑 본체부 221: 뚜껑 외벽
222: 뚜껑측 결합부 223: 뚜껑 내벽
224: 수납부 225: 공기 유입구
226: 토출구 227: 변조 방지 밴드
228: 결합 홈 229: 홈
230: 마개부 231: 손잡이부
232: 받침부 233: 힌지부
234: 주둥이부 235: 토출로
236: 플러그 237: 밀봉부
238: 돌출부 239: 밀봉링
101, 201: 개구 102, 202: 용기 입구
103, 203: 용기측 결합부 110, 210: 용기 뚜껑
120: 뚜껑 본체부 121: 주둥이
122: 뚜껑 외벽 123: 뚜껑측 결합부
124: 뚜껑 내벽 125: 오목부
126: 토출구 127: 결합 홈
130: 마개부 131: 마개 본체부
132: 개폐부 133: 누름부
134: 변조 방지 밴드 135: 돌출부
220: 뚜껑 본체부 221: 뚜껑 외벽
222: 뚜껑측 결합부 223: 뚜껑 내벽
224: 수납부 225: 공기 유입구
226: 토출구 227: 변조 방지 밴드
228: 결합 홈 229: 홈
230: 마개부 231: 손잡이부
232: 받침부 233: 힌지부
234: 주둥이부 235: 토출로
236: 플러그 237: 밀봉부
238: 돌출부 239: 밀봉링
Claims (17)
-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타단에 누름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제거됨에 따라 이동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는 밀봉부와 상기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내부에 토출로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토출로와 상기 토출구가 연통하는 경우에만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벽은,
상기 주둥이부를 상기 뚜껑 본체부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에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힌지 이동시 상기 주둥이부와 접촉하여 상기 주둥이부를 힌지 이동시키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힌지 이동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의 외부 표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돌출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밀봉부에 대해 회전 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550A KR20220102322A (ko) | 2021-01-13 | 2021-01-13 | 용기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550A KR20220102322A (ko) | 2021-01-13 | 2021-01-13 | 용기 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2322A true KR20220102322A (ko) | 2022-07-20 |
Family
ID=8260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4550A KR20220102322A (ko) | 2021-01-13 | 2021-01-13 | 용기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02322A (ko) |
-
2021
- 2021-01-13 KR KR1020210004550A patent/KR2022010232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18228C (en) | Dispensing closure for package containing a consumable beverage | |
US6460726B1 (en) | Closure with articulated lid | |
US20080230543A1 (en) | Dual overlapping flip top closure assembly | |
JP3387035B2 (ja) | ヒンジキャップ | |
JPH0372656U (ko) | ||
US4736858A (en) | Selectively closable container closure | |
CN108945774B (zh) | 密闭容器 | |
JP4668810B2 (ja) | 複合ヒンジキャップ | |
KR20220102322A (ko) | 용기 뚜껑 | |
JP3802113B2 (ja) | ヒンジキャップ | |
KR101229152B1 (ko) |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 |
JP3074173B1 (ja) | ボトル容器蓋体の開閉構造 | |
JP4294242B2 (ja) | 蓋部を開いた状態に固定可能にした液体注出容器 | |
US8286813B2 (en) | Handle with a closure function, connectable to a bottle | |
JPS5845241Y2 (ja) | 瓶蓋 | |
KR101876962B1 (ko) | 위조 방지용 포장 용기 | |
US6932249B1 (en) | Toggle-action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 |
KR200217611Y1 (ko) | 화장품 케이스 | |
JP2576175Y2 (ja) |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 |
JP3678030B2 (ja) | 小蓋付キャップ | |
JP3849347B2 (ja) | 小蓋付キャップ | |
JP3583235B2 (ja) | 内容液注出容器における中栓およびキャップ | |
JP2001192051A (ja) | 飲料容器 | |
CN218230104U (zh) | 包装软管及其盖体组件 | |
JP2584254Y2 (ja) |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