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742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429A
KR20220077429A KR1020200166359A KR20200166359A KR20220077429A KR 20220077429 A KR20220077429 A KR 20220077429A KR 1020200166359 A KR1020200166359 A KR 1020200166359A KR 20200166359 A KR20200166359 A KR 20200166359A KR 20220077429 A KR20220077429 A KR 2022007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sub
mode
plat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429A/ko
Priority to US17/534,120 priority patent/US11662771B2/en
Priority to CN202111436018.2A priority patent/CN114596775B/zh
Publication of KR2022007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바텀 커버, 제2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며, 표시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이너 케이스 및 이너 케이스와 제2 표시 영역 사이에서 지지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은 이너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한다. 이에,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단차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표시 장치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및 자체 발광형 OLED를 사용하는 유기 발광 소자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는 얇은 두께와 낮은 소비전력으로 인해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또는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판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접었을 때 휴대를 간편하게 하고 펼쳤을 때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폰, 전자책, 전자 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비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단차를 저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바텀 커버, 제2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며, 표시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이너 케이스 및 이너 케이스와 제2 표시 영역 사이에서 지지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은 이너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메인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서브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 지지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 및 서브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고, 지지 부재와 바텀 커버 사이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케이스를 포함하고, 서브 플레이트는 서브 표시 영역과 슬라이딩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 부재의 상면과 슬라이딩 케이스 상면 사이의 단차를 저감하도록 구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제2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표시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 플레이트가 지지 부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지지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므로, 표시 패널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의 A 영역 및 B 영역 각각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b의 VII-V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의 화면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는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화면의 크기가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표시 장치(100)의 화면의 크기가 최소로 축소된 제1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표시 장치(100)의 화면의 크기가 최대로 확장된 제2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제1 모드는 축소 모드 또는 최소 모드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모드는 확장 모드 또는 최대 모드로 정의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이때,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된 표시 영역(DA)의 크기를 화면의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모두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메인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서브 표시 영역으로서,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는 벤딩되어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에서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된 표시 영역(DA)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표시 장치(100)의 일측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0)의 백 케이스(170) 및 이와 연결된 구성들은 제1 표시 영역(DA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에,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는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서 표시 장치(100)의 전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된 표시 영역(DA)의 면적이 가장 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장치(100)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를 표시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화면을 가변할 수 있다. 백 케이스(170)가 제1 방향을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멀어지도록 이동할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노출 면적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의 화면 크기가 확장될 수 있다. 반대로, 백 케이스(170)가 제1 방향을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노출 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의 화면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2 표시 영역(DA2) 중 제1 표시 영역(DA1)과 이웃하는 일부 영역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모두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시 영역(DA) 중 바텀 커버(140)와 대응되는 영역을 제1 표시 영역(DA1)으로 정의하고, 나머지 영역을 제2 표시 영역(DA2)으로 정의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장치(100)의 슬라이드 동작은 사용자가 백 케이스(170)를 밀거나 당김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벤더블 표시 장치 또는 확장형 표시 장치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의 A 영역 및 B 영역 각각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백 플레이트(120), 지지 부재(130), 바텀 커버(140), 서브 플레이트(150), 이너 케이스(160), 백 케이스(170), 메인 보드(180) 및 배터리(19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10)은 구부러지거나 접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화소에서 방출되는 빛들의 조합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 복수의 화소와 대응되는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의 일부는 이너 케이스(160)와 백 케이스(170) 사이에서 벤딩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DA1)은 항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의 전환에 따라 전면에 노출되는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는 벤딩되고, 벤딩 위치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노출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위치는 이너 케이스(160)가 슬라이드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백 플레이트(120)는 표시 패널(110)의 배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120)는 표시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20) 중 제2 표시 영역(DA2)과 대응되는 영역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백 플레이트(120)의 플렉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 플레이트(120)의 일부는 제2 표시 영역(DA2)과 함께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20)는 표시 패널(11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130)는 백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130)는 표시 패널(110) 및 백 플레이트(120)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3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과 대응되어 제1 표시 영역(DA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DA1)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30)의 두께는 백 플레이트(1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130)는 표시 패널(110) 및 백 플레이트(1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13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부재(130)는 표시 패널(110)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DA1)의 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백 플레이트(120)는 지지 부재(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에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제1 표시 영역(DA1)은 항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텀 커버(140)는 지지 부재(130)의 하부에 결합된다. 바텀 커버(140)와 지지 부재(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하는 바텀 커버(140)와 지지 부재(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는 이너 케이스(16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너 케이스(160)는 바텀 커버(140)와 지지 부재(130)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드될 수 있다.
바텀 커버(140)는 스토퍼(141) 및 슬라이딩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1)는 바텀 커버(140)의 저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1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141)는 제1 모드에서 이너 케이스(160)의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즉, 스토퍼(141)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 전환 시, 이너 케이스(160)가 더이상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142)는 바텀 커버(14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 가이드(142)는 서로 마주보는 바텀 커버(140)의 내측면 각각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142)는 이너 케이스(16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142)는 후술될 이너 케이스(160)의 가이드 홈(162)과 대응되어 이너 케이스(1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150)는 백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배치된다. 서브 플레이트(150)는 표시 패널(110) 및 백 플레이트(120)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플레이트(150)는 표시 패널(110)의 제2 표시 영역(DA2)과 대응되어 제2 표시 영역(DA2)을 지지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150)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플레이트(150)의 복수의 홀의 크기 및 개수는 백 플레이트(120)의 복수의 홀의 크기 및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서브 플레이트(150)의 플렉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플레이트(150)는 제2 표시 영역(DA2)과 함께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을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150)의 두께는 백 플레이트(1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플레이트(150)는 표시 패널(110) 및 백 플레이트(1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Y축 방향)에 대한 서브 플레이트(150)의 폭은 표시 패널(1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서브 플레이트(150)의 두께 및 폭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플레이트(150)는 지지 부재(13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서브 플레이트(150)의 두께는 서브 플레이트(150)와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서브 플레이트(150)는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너 케이스(160)는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너 케이스(160)는 제1 방향을 따라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다. 즉, 이너 케이스(160)는 표시 장치(100)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이너 케이스(160)는 바텀 커버(140)의 슬라이딩 가이드(142)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162)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62)은 이너 케이스(160)의 양측벽으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60)의 가이드 홈(162)에는 바텀 커버(140)의 슬라이딩 가이드(14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이너 케이스(160)는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의 공간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60)는 특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벤딩부(161)를 포함한다. 벤딩부(161)는 이너 케이스(16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60)의 벤딩부(161)를 따라 표시 패널(110),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150)가 벤딩될 수 있다. 이때, 벤딩부(161)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표시 패널(110),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150)의 벤딩 시 응력이 완화될 수 있다.
백 케이스(170)는 이너 케이스(160)와 결합된다. 백 케이스(170)는 이너 케이스(16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 케이스(170)를 잡아당기거나 미는 동작에 의하여 이너 케이스(160)가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백 케이스(170)는 이너 케이스(160)의 벤딩부(16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백 케이스(170)는 표시 패널(110)의 벤딩된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150)는 백 케이스(170)와 벤딩부(161) 사이에서 벤딩될 수 있다.
메인 보드(180)는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메인 보드(180)는 지지 부재(130)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보드(180)는 표시 패널(110)과 연결되어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이너 케이스(160) 내에 배치된다. 배터리(19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표시 패널(110) 및 메인 보드(180)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제1 모드는 이너 케이스(160)가 제1 표시 영역(DA1)의 단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1 모드로 전환 시, 이너 케이스(160)는 제1 방향을 따라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60)는 스토퍼(141)와 접촉할 때까지 상술한 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141)에 의하여 이너 케이스(160)의 이동이 정지되고, 제1 모드로 전환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160)와 함께 이동하는 백 케이스(170)의 하단부는 바텀 커버(140)의 하단부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은 모두 지지 부재(130), 바텀 커버(140) 및 백 케이스(170)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은 모두 지지 부재(130), 바텀 커버(140) 및 백 케이스(170)에 의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표시 패널(110)의 일부는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는 벤딩되어 제1 표시 영역(DA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은 이너 케이스(16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중첩 면적이 가장 클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단부는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표시 영역(DA2)의 단부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10)의 벤딩은 제2 표시 영역(DA2) 중 제1 표시 영역(DA1) 인접한 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제2 표시 영역(DA2)의 대부분이 이너 케이스(16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화면의 크기는 제1 모드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위치는 이너 케이스(160) 및 백 케이스(170)가 슬라이드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위치는 벤딩부(161)의 곡면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100)의 제2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b의 VII-V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의 제2 모드는 이너 케이스(160)가 제1 표시 영역(DA1)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모드로 전환 시, 이너 케이스(160)는 제1 방향을 따라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 공간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모드 전환 시 이너 케이스(160)의 이동은 또 다른 스토퍼 등의 구성을 통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백 케이스(170)는 바텀 커버(1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백 케이스(170)와 바텀 커버(140)의 이격 공간은 이너 케이스(160)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은 모두 지지 부재(130), 바텀 커버(140), 이너 케이스(160) 및 백 케이스(170)에 의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표시 패널(110)의 대부분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이에, 표시 패널(110) 중 벤딩부(161)의 곡면 상에 벤딩되어 있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단부는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가 형성하는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DA2)의 단부는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10)의 벤딩은 제2 표시 영역(DA2) 중 제2 표시 영역(DA2)의 끝단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제2 표시 영역(DA2)의 대부분이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화면의 크기는 제2 모드에서 가장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160) 및 백 케이스(170)의 이동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 시,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위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 시,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위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멀리 떨어진 부분으로부터 인접한 부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벤딩 위치를 기준으로 제2 표시 영역(DA2) 중 제1 표시 영역(DA1)과 가까운 부분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멀리 떨어진 부분은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벤딩 위치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노출 면적이 달라지고, 표시 장치(100)의 화면 크기를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는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을 통해 화면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케이스가 내부에 배치될 경우, 슬라이딩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의 메인 표시 영역은 슬라이딩 케이스에 의하여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너 케이스가 외부로 이동할 경우, 표시 패널의 메인 표시 영역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존재하지 않아 표시 패널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30)를 포함한다. 이에, 이너 케이스(160)의 위치에 관계없이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DA1)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제2 표시 영역(DA2)을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플레이트(150)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플레이트(150)는 제2 표시 영역(DA2)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과 함께 원활하게 벤딩될 수 있다.
특히, 서브 플레이트(150)는 제1 표시 영역(DA1)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3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플레이트(150)는 지지 부재(13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이 동일 선 상에 배치될 때,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케이스(160)는 지지 부재(130)와 바텀 커버(140)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너 케이스(160)의 상면과 지지 부재(130)의 상면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서브 플레이트(150)는 이너 케이스(160)와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플레이트(150)는 제2 표시 영역(DA2)과 대응되는 백 플레이트(120)와 이너 케이스(160) 사이를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차를 저감하고,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의 표시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7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서브 플레이트(25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200)의 구성 중 표시 패널(110),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250)만을 도시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의 제2 표시 영역(DA2)과 대응되는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250)는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250)의 플렉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표시 영역(DA2)의 벤딩 시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250)도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250)의 복수의 홀의 개수 및 크기는 백 플레이트(120)의 복수의 홀의 개수 및 크기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서브 플레이트(250)의 복수의 홀의 개수는 백 플레이트(120)의 복수의 홀의 개수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 플레이트(250)의 복수의 홀의 크기는 백 플레이트(120)의 복수의 홀의 크기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즉, 서브 플레이트(250)의 복수의 홀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 및 작은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서브 플레이트(250)는 플렉서빌리티를 유지함과 동시에 보다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홀의 총 면적이 클수록 플렉서빌리티는 향상되나, 강성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복수의 홀의 총 면적이 작을수록 플렉서빌리티는 감소하나, 강성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플렉서빌리티를 유지하는 수준에서 복수의 홀의 총 면적을 최소화시켜 서브 플레이트(250)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 영역(DA2)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a 및 도 9b의 표시 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7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서브 플레이트(35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300)의 구성 중 표시 패널(110), 백 플레이트(120) 및 서브 플레이트(350)만을 도시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서브 플레이트(350)는 보호 부재(351)를 더 포함한다. 보호 부재(351)는 서브 플레이트(35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호 부재(351)는 표시 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보호 부재(351)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351)는 표시 패널(110)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표시 영역(DA2)이 표시 장치(300)의 전면으로 노출되었을 때, 보호 부재(351)에 의하여 표시 패널(110)의 측면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표시 장치(3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바텀 커버, 제2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며, 표시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이너 케이스 및 이너 케이스와 제2 표시 영역 사이에서 지지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은 이너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부재와 서브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백 플레이트 중 제2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과 서브 플레이트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백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과 서브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브 플레이트 상에서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텀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에는 이너 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딩 가이드가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텀 커버의 저면에는 표시 패널을 향하여 돌출된 스토퍼가 배치되고, 제1 모드에서, 이너 케이스는 스토퍼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너 케이스는 지지 부재와 바텀 커버 사이의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모드는 이너 케이스가 제1 표시 영역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이고, 제2 모드는 이너 케이스가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지지 부재와 바텀 커버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제2 모드에서,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벤딩된 제2 표시 영역의 일부를 감싸며 이너 케이스와 함께 이동하는 백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백 케이스는 바텀 커버와 접촉하고, 제2 모드에서, 백 케이스는 바텀 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는,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메인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서브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 지지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 및 서브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고, 지지 부재와 바텀 커버 사이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케이스를 포함하고, 서브 플레이트는 서브 표시 영역과 슬라이딩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 부재의 상면과 슬라이딩 케이스 상면 사이의 단차를 저감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부재와 서브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텀 커버의 저면에는 표시 패널을 향하여 돌출된 스토퍼가 배치되고, 스토퍼는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텀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된 슬라이딩 가이드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케이스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브 플레이트 상에서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백 플레이트 중 서브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과 서브 플레이트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백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과 서브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에 따라 표시 장치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전환되며, 제1 모드는 슬라이딩 케이스가 메인 표시 영역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이고, 제2 모드는 슬라이딩 케이스가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메인 표시 영역과 서브 표시 영역은 슬라이딩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고, 제2 모드에서 메인 표시 영역과 서브 표시 영역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서브 표시 영역의 단부는 공간에 배치되고, 제2 모드에서, 서브 표시 영역의 단부는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백 플레이트
130: 지지 부재
140: 바텀 커버
141: 스토퍼
142: 슬라이딩 가이드
150, 250, 350: 서브 플레이트
160: 이너 케이스
161: 벤딩부
162: 가이드 홈
170: 백 케이스
180: 메인 보드
190: 배터리
351: 보호 부재
DA, DA1, DA2: 표시 영역

Claims (20)

  1.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바텀 커버;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며, 상기 표시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이너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 플레이트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홀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홀은 상이한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딩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여 돌출된 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바텀 커버 사이의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이너 케이스가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이너 케이스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인,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바텀 커버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단부는 상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벤딩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함께 이동하는 백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백 케이스는 상기 바텀 커버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백 케이스는 상기 바텀 커버와 이격되는, 표시 장치.
  11.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 및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의 일부를 벤딩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바텀 커버 사이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표시 영역과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 상면 사이의 단차를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여 돌출된 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된 슬라이딩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 플레이트 중 상기 서브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홀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홀은 상이한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가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인,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의 단부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서브 표시 영역의 단부는 상기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200166359A 2020-12-02 2020-12-02 표시 장치 KR20220077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59A KR20220077429A (ko) 2020-12-02 2020-12-02 표시 장치
US17/534,120 US11662771B2 (en) 2020-12-02 2021-11-23 Display device
CN202111436018.2A CN114596775B (zh) 2020-12-02 2021-11-2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59A KR20220077429A (ko) 2020-12-02 2020-12-0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29A true KR20220077429A (ko) 2022-06-09

Family

ID=8175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59A KR20220077429A (ko) 2020-12-02 2020-12-0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2771B2 (ko)
KR (1) KR20220077429A (ko)
CN (1) CN114596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8372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1510536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30121205A (ko) * 2022-02-09 2023-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2253B1 (en) * 2003-06-23 2012-10-03 Simon Richard Daniel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US8711566B2 (en)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CN103399616A (zh) * 2013-07-02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KR102269135B1 (ko) * 2014-10-0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47146B1 (ko) * 2016-07-07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31840B1 (ko) * 2016-10-06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27801B1 (ko) * 2016-10-10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595848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389189B1 (ko) *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10217B1 (ko) * 2018-02-08 2022-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60471B1 (ko) * 2018-03-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05796A1 (ko) * 2018-11-23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835893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以及伸缩机械部件
KR20200128319A (ko) * 2019-05-03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491289B (zh) * 2019-07-29 2024-03-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1206190A1 (ko) * 2020-04-0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4128729A4 (en) * 2020-10-12 2023-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RICTION-REDUC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96775A (zh) 2022-06-07
CN114596775B (zh) 2024-06-28
US11662771B2 (en) 2023-05-30
US20220171429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5054B2 (en) Expandable display device
KR102278681B1 (ko) 접철식 기기
KR102330223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77429A (ko) 표시 장치
KR10221004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659B1 (ko)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613522B1 (ko) 베젤 처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8804349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69032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4927059B (zh) 显示装置
US997138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3167070A (zh) 具有柔性显示器的手持电子设备
KR20170124120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11416035B2 (en) Display device
KR20220121270A (ko) 표시 장치
KR102302702B1 (ko) 벤더블 디스플레이
CN113130577B (zh) 显示设备
US20240176389A1 (en) Display device
CN219349722U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20210053582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