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365B1 - 확장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1365B1 KR102591365B1 KR1020160117429A KR20160117429A KR102591365B1 KR 102591365 B1 KR102591365 B1 KR 102591365B1 KR 1020160117429 A KR1020160117429 A KR 1020160117429A KR 20160117429 A KR20160117429 A KR 20160117429A KR 102591365 B1 KR102591365 B1 KR 102591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unit
- flexible
- circuit board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8—Direct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FPCs or between flexible parts of rigid PCB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양쪽으로 확장되는 확장형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확장형 표시 장치는 하우징,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 가요성 표시 패널,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지판을 포함한다.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는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해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판과의 거리가 변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지지판 상에 위치하는 고정 표시부,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에 각각 조립되며 가변적인 노출 면적을 가지는 제1 가변 표시부 및 제2 가변 표시부, 고정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다층막으로 구성되고 패드부를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연성 회로기판은 패드부에 접속되며 적어도 하나의 벤딩 부분을 가진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확장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요성(flexible) 표시 패널을 이용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전자 기기는 동영상 재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화상 통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구동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표시 장치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가 커짐에 따라 모바일 전자 기기의 외형도 커지게 되므로, 휴대성이 저하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가요성 기판 위에 복수의 화소를 배치한 표시 장치로서, 쉽게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다. 최근 들어, 가요성 표시 패널을 이용한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확장형(expandable)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확장형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과 결합된 슬라이딩 기구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기구의 작동에 의해 사용 시에는 표시부의 크기를 확대시키고, 이동 및 보관 시에는 표시부의 크기를 줄인다. 이러한 확장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양측으로 확장이 가능한 듀얼-확장형 기구 구조를 제공하여 확장 모드에서 표시부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확장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가요성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키고, 안정적인 확장-축소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는 하우징,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 가요성 표시 패널,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지판을 포함한다.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는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해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판과의 거리가 변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지지판 상에 위치하는 고정 표시부,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에 각각 조립되며 가변적인 노출 면적을 가지는 제1 가변 표시부 및 제2 가변 표시부, 고정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다층막으로 구성되고 패드부를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연성 회로기판은 패드부에 접속되며 적어도 하나의 벤딩 부분을 가진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가요성 기판, 가요성 기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보호층,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은 고정 표시부와 중첩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확장부는 가요성 기판에 형성되며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1 확장부, 제1 보호층에 형성된 제2 확장부, 터치 센서부에 형성된 제3 확장부의 다층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는 제1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연성 회로기판은 제2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확장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터치 접속부가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접속부는 연성 회로기판과 중첩되며 제2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확장부는 고정 표시부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고, 연성 회로기판은 제3 벤딩부와 제4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확장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터치 접속부가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접속부는 연성 회로기판과 중첩되며 제3 벤딩부와 제4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요성 표시 패널은 가요성 기판, 가요성 기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엘라스토머층,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2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은 고정 표시부와 중첩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제1 엘라스토머층 아래에 위치하는 제1 표면 강화층과, 제2 엘라스토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2 표면 강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는 가요성 기판에 형성되며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4 확장부, 제1 엘라스토머층에 형성된 제5 확장부, 제2 엘라스토머층에 형성된 제6 확장부의 다층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는 제5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연성 회로기판은 제6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확장부는 고정 표시부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고, 연성 회로기판은 제7 벤딩부와 제8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형 표시 장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는 지지판에 고정된 고정 레일부, 제1 롤러부에 결합되며 고정 레일부와 맞물리는 제1 이동 레일부, 제2 롤러부에 결합되며 고정 레일부와 맞물리는 제2 이동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부는 제1 슬릿이 형성된 제1 롤러 하우징과, 제1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롤러부는 제2 슬릿이 형성된 제2 롤러 하우징과, 제2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레일부는 제1 롤러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이동 레일부는 제2 롤러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이동 레일부와 제2 이동 레일부는 축소 모드에서 지지판과 중첩될 수 있고, 확장 모드에서 지지판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1 이동 레일부의 길이는 제1 롤러부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보다 클 수 있고, 제2 이동 레일부의 길이는 제2 롤러부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는 제1 롤러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된 제1 구동 슬라이더, 제1 롤러 하우징의 타단에 고정된 제1 종동 슬라이더, 제1 구동 슬라이더에 결합된 제1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는 제2 롤러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된 제2 구동 슬라이더, 제2 롤러 하우징의 타단에 고정된 제2 종동 슬라이더, 제2 구동 슬라이더에 결합된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슬라이더는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안내 벽을 사이에 두고 제2 종동 슬라이더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구동 슬라이더는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안내 벽을 사이에 두고 제1 종동 슬라이더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제1 가변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더미부와, 제2 가변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더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제1 더미부와 제2 더미부는 각각 제1 롤러 및 제2 롤러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판 아래에서 제1 롤러 하우징에 제1 안내부가 연결되어 축소 모드에서 제1 가변 표시부와 제1 더미부를 수용할 수 있고, 지지판 아래에서 제2 롤러 하우징에 제2 안내부가 연결되어 축소 모드에서 제2 가변 표시부와 제2 더미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인 가능한 표시부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확장 모드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은 레일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구동 모듈부는 슬라이딩 동작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확장부의 벤딩에 따른 응력은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제2 롤러와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제2 롤러와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100)는 하우징(10), 제1 롤러부(20), 제2 롤러부(30), 제1 슬라이딩부(40), 제2 슬라이딩부(50), 레일부(60), 가요성 표시 패널(70), 구동 모듈부(8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지지판(11) 및 보조 지지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지지판(11) 및 보조 지지판(12)의 일측에 연결된 제1 수납부(13)와, 지지판(11) 및 보조 지지판(12)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수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은 상부 지지판일 수 있고, 보조 지지판(12)은 하부 지지판일 수 있다. 제1 수납부(13)와 제2 수납부(14)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한다. 제1 수납부(13)는 제1 모터(44)의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제2 수납부(14)는 제2 모터(54)의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제1 방향(DR1)은 확장형 표시 장치(100)의 제1 면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DR2)은 제1 면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면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확장형 표시 장치(10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수평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DR2)은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제1 롤러부(20)는 지지판(11) 및 보조 지지판(12)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2 롤러부(30)는 지지판(11) 및 보조 지지판(12)의 타측에 위치한다. 제1 롤러부(20)와 제2 롤러부(3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마주한다. 제1 롤러부(20)는 제1 롤러(21)와, 제1 롤러(21)를 감싸는 제1 롤러 하우징(22)을 포함한다. 제2 롤러부(30)는 제2 롤러(31)와, 제2 롤러(31)를 감싸는 제2 롤러 하우징(32)을 포함한다.
제1 롤러(21)와 제2 롤러(31)의 축 방향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하다. 제1 롤러 하우징(22)과 제2 롤러 하우징(32)은 양단이 막힌 대략적인 원통 모양일 수 있다. 제1 롤러(21)는 제1 롤러 하우징(22) 내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롤러(31)는 제2 롤러 하우징(32) 내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롤러 하우징(22)은 제1 롤러(21)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1 슬릿(23)을 포함하고, 제2 롤러 하우징(32)은 제2 롤러(31)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2 슬릿(33)을 포함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제1 슬릿(23)과 제2 슬릿(33)에 의해 그 일부가 제1 롤러 하우징(22) 및 제2 롤러 하우징(32)의 내부로 들어가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31)와 접촉한다.
제1 롤러(21)와 제2 롤러(31)의 표면에는 약한 점착 기능을 갖는 점착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점착층에 의해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31)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롤러(21)와 제2 롤러(31)는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지판(11)과 보조 지지판(12) 사이의 거리는 대략적으로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31)의 직경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롤러부(20)는 제1 슬라이딩부(40)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되며, 제1 슬라이딩부(40)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판(11)과의 거리가 변한다. 제1 슬라이딩부(40)는 제1 롤러 하우징(22)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제1 슬라이더(41, 42)와, 한 쌍의 제1 슬라이더(41, 42) 중 어느 하나의 제1 슬라이더에 결합된 제1 액츄에이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롤러부(30)는 제2 슬라이딩부(50)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되며, 제2 슬라이딩부(50)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판(11)과의 거리가 변한다. 제2 슬라이딩부(50)는 제2 롤러 하우징(32)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제2 슬라이더(51, 52)와, 한 쌍의 제2 슬라이더(51, 52) 중 어느 하나의 제2 슬라이더에 결합된 제2 액츄에이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한 쌍의 제1 슬라이더(41, 42)와 한 쌍의 제2 슬라이더(51, 52)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슬라이더(41, 42)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한다. 한 쌍의 제2 슬라이더(51, 52) 또한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한다.
한 쌍의 제1 슬라이더(41, 42)는 제1 수납부(13) 측에 위치하는 제1 구동 슬라이더(41)와, 제2 수납부(14) 측에 위치하는 제1 종동 슬라이더(42)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슬라이더(51, 52)는 제2 수납부(14) 측에 위치하는 제2 구동 슬라이더(51)와, 제1 수납부(13) 측에 위치하는 제2 종동 슬라이더(5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구동 슬라이더(41)는 제2 종동 슬라이더(52)와 충돌하지 않도록 제2 종동 슬라이더(52)보다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구동 슬라이더(41)와 제2 종동 슬라이더(5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안내 벽(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슬라이더(41)와 제2 종동 슬라이더(52)는 제1 안내 벽(1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동 슬라이더(51)는 제1 종동 슬라이더(42)와 충돌하지 않도록 제1 종동 슬라이더(42)의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2 구동 슬라이더(51)와 제1 종동 슬라이더(4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안내 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슬라이더(51)와 제1 종동 슬라이더(42)는 제2 안내 벽(16)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슬라이더(41, 42)와 한 쌍의 제2 슬라이더(51, 52)는 하우징(10)의 최하단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제1 구동 슬라이더는 제2 종동 슬라이더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구동 슬라이더는 제1 종동 슬라이더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액츄에이터(43)는 제1 수납부(13)에 고정된 제1 모터(44)와, 제1 모터(44)에 결합된 제1 랙 기어(45)와, 제1 구동 슬라이더(41)의 일면에 위치하여 제1 랙 기어(45)와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53)는 제2 수납부(14)에 고정된 제2 모터(54)와, 제2 모터(54)에 결합된 제2 랙 기어(55)와, 제2 구동 슬라이더(51)의 일면에 위치하며 제2 랙 기어(55)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 기어(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44)의 구동으로 제1 랙 기어(45)가 회전하면 제1 구동 슬라이더(41)가 제1 방향(DR1)으로 움직이면서 제1 롤러부(20)를 이동시킨다. 제1 모터(44)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제1 롤러부(20)의 위치가 정해진다. 제2 모터(54)의 구동으로 제2 랙 기어(55)가 회전하면 제2 구동 슬라이더(51)가 제1 방향(DR1)으로 움직이면서 제2 롤러부(30)를 이동시킨다. 제2 모터(54)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제2 롤러부(30)의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에서는 동력원으로 모터를 구비하고, 동력 전달 기구로서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제1 슬라이딩부(40) 및 제2 슬라이딩부(50)를 설명하였으나, 제1 슬라이딩부(40) 및 제2 슬라이딩부(50)의 구성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모터 이외의 다른 동력원이 적용될 수 있고,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이외의 다른 동력 전달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지지판(11) 위에 가요성 표시 패널(70)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부(60)가 설치된다. 레일부(60)는 지지판(11)에 고정된 고정 레일부(61)와, 제1 롤러부(20)에 결합되며 고정 레일부(61)와 맞물리는 제1 이동 레일부(62)와, 제2 롤러부(30)에 결합되어 고정 레일부(61)와 맞물리는 제2 이동 레일부(63)를 포함한다.
고정 레일부(61)는 복수의 고정 레일(611)을 포함하고, 제1 이동 레일부(62)는 복수의 제1 이동 레일(621)을 포함한다. 제2 이동 레일부(63)는 복수의 제2 이동 레일(631)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 레일(611), 복수의 제1 이동 레일(621), 복수의 제2 이동 레일(631) 각각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띠 모양의 레일로 이루어지며, 금속 소재의 레일일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레일(611)은 지지판(11) 위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정렬된다. 복수의 제1 이동 레일(621)은 제1 롤러 하우징(22)에 고정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정렬된다. 복수의 제2 이동 레일(631)은 제2 롤러 하우징(32)에 고정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정렬된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이웃한 두 개의 고정 레일(611) 사이로 제1 이동 레일(621)과 제2 이동 레일(63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동 레일(621)과 제2 이동 레일(631)은 측면끼리 서로 맞물리며, 제2 방향(DR2)을 따라 고정 레일(611), 제1 이동 레일(621), 제2 이동 레일(631), 고정 레일(611)의 순서로 반복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레일(611)과 복수의 제1 이동 레일(621) 및 복수의 제2 이동 레일(631)은 돌기-홈 결합 구조에 의해 측면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레일(611)과 복수의 제1 이동 레일(621) 및 복수의 제2 이동 레일(631) 각각은 돌기-홈 결합 구조에 의해 지지판(11)과 맞물릴 수 있다. 제1 이동 레일부(62)와 제2 이동 레일부(63)는 지지판(11)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제2 방향(DR2)을 따라 고정 레일(611), 제1 이동 레일(621), 고정 레일(611), 제2 이동 레일(631), 고정 레일(611)의 순서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축소 모드에서, 제1 이동 레일부(62)와 제2 이동 레일부(63)는 지지판(11) 상에 위치한다. 확장 모드에서, 제1 이동 레일부(62)는 제1 롤러부(20)와 함께 슬라이딩하여 지지판(11)으로부터 양(+)의 제1 방향(DR1)으로 확장된다. 제2 이동 레일부(63)는 제2 롤러부(30)와 함께 슬라이딩하여 음(-)의 제1 방향(DR1)으로 확장된다.
복수의 제1 이동 레일(621) 각각의 길이는 제1 롤러 하우징(22)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보다 클 수 있고, 복수의 제2 이동 레일(631) 각각의 길이는 제2 롤러 하우징(32)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모드에서 제1 이동 레일부(62)와 제2 이동 레일부(63)는 고정 레일부(6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레일부(60)의 상면을 덮는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지지판(11) 상에 위치하며 고정 레일부(61)에 고정되는 고정 표시부(DA1)와, 제1 롤러부(20)에 조립되며 노출 면적이 가변적인 제1 가변 표시부(DA2)와, 제2 롤러부(30)에 조립되며 노출 면적이 가변적인 제2 가변 표시부(DA3)를 포함한다.
또한,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제1 가변 표시부(DA2)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더미부(DM1)와, 제2 가변 표시부(DA3)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더미부(D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변 표시부(DA2)와 제2 가변 표시부(DA3)는 고정 표시부(DA1)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DR1)을 따라 마주하며, 제1 더미부(DM1)와 제2 더미부(DM2)는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최외곽에 위치한다. 제1 더미부(DM1)와 제2 더미부(DM2)는 회로 소자와 더미 화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축소 모드에서, 제1 가변 표시부(DA2)는 제1 슬릿(23)을 통해 제1 롤러 하우징(22)의 내부로 투입되어 그 일부가 제1 롤러(21)와 접촉하고, 나머지 일부는 고정 표시부(DA1)의 아래에서 고정 표시부(DA1)와 중첩된다. 제2 가변 표시부(DA3)는 제2 슬릿(33)을 통해 제2 롤러 하우징(32)의 내부로 투입되어 그 일부가 제2 롤러(31)와 접촉하고, 나머지 일부는 고정 표시부(DA1)의 아래에서 고정 표시부(DA1)와 중첩된다.
축소 모드에서, 고정 표시부(DA1)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1 가변 표시부(DA2)와 제2 가변 표시부(DA3)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확장 모드에서, 제1 가변 표시부(DA2)는 제1 롤러 하우징(22)으로부터 인출되어 고정 표시부(DA1)와 나란하게 위치하고, 제2 가변 표시부(DA3)는 제2 롤러 하우징(32)으로부터 인출되어 고정 표시부(DA1)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때 제1 더미부(DM1)는 제1 롤러(21)와 접촉하고, 제2 더미부(DM2)는 제2 롤러(31)와 접촉한다.
확장 모드에서, 고정 표시부(DA1)와 더불어 제1 가변 표시부(DA2)와 제2 가변 표시부(DA3)도 영상을 표시하므로, 표시 가능 영역의 크기가 확장된다. 이때 제1 가변 표시부(DA2)는 제1 이동 레일부(62)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가변 표시부(DA3)는 제2 이동 레일부(63)에 의해 지지되어 그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제1 롤러부(20)는 제1 가변 표시부(DA2)와 제1 더미부(DM1)를 지지하고 이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내부(25)는 지지판(11) 아래에서 제1 롤러 하우징(22)에 고정되며, 제1 롤러(21)를 향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축소 모드에서, 제1 가변 표시부(DA2)와 제1 더미부(DM1)는 제1 안내부(25)의 수납 공간에 위치한다.
제2 롤러부(30)는 제2 가변 표시부(DA3)와 제2 더미부(DM2)를 지지하고 이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내부(35)는 지지판(11) 아래에서 제2 롤러 하우징(32)에 고정되며, 제2 롤러(31)를 향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축소 모드에서, 제2 가변 표시부(DA3)와 제2 더미부(DM2)는 제2 안내부(35)의 수납 공간에 위치한다. 제1 안내부(25)와 제2 안내부(35)는 보조 지지판(12) 위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편의상 가요성 표시 패널(70)과 제1 롤러 하우징(22) 및 제2 롤러 하우징(32)이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1 롤러 하우징(22)과 제2 롤러 하우징(32)은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도록 가요성 표시 패널(70)과의 사이에 여유 공간을 구비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구동 모듈부(80)는 가요성 표시 패널(70)에 접속되며, 가요성 표시 패널(70)로 영상 표시를 위한 전기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 모듈부(80)는 가요성 표시 패널(70)에 접속된 연성 회로기판(81)과, 연성 회로기판(81)에 접속된 인쇄회로기판(85)을 포함한다. 연성 회로기판(81)은 구동 집적회로(82)를 포함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85)은 제어 회로(86)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85)은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를 연성 회로기판(81)의 구동 집적회로(82)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집적회로(82)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를 위한 데이터 신호 및 화소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7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제1 보호층(71), 가요성 기판(72), 제2 보호층(73), 터치 센서부(74), 윈도우(7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A)는 가요성 기판(72) 상에 위치하며, 박막 봉지(FE)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표시부(DA)는 고정 표시부(DA1)와 제1 가변 표시부(DA2) 및 제2 가변 표시부(DA3)를 포함한다.
표시부(DA)는 복수의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경우, 구동 회로는 적어도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화소는 정공 주입 전극(애노드)과 전자 주입 전극(캐소드) 및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FE)는 무기막과 유기막 및 무기막의 다층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71)은 가요성 기판(72)을 지지하고, 제2 보호층(73)은 표시부와 박막 봉지(FE)를 덮어 보호한다. 가요성 기판(72)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호층(71) 및 제2 보호층(73)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서부(74)는 제2 보호층(7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74)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 등으로 화면을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이다.
터치 센서부(74)는 표시부(DA)와 중첩되는 터치 유효부(741)와, 터치 유효부(741)와 인쇄회로기판(85)을 연결하는 터치 접속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유효부(741)에는 복수의 센싱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며, 터치 접속부(742)에는 복수의 센싱 전극과 인쇄회로기판(8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윈도우(75)는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간섭으로부터 터치 센서부(74)와 표시부(DA)를 보호한다. 윈도우(75)는 가요성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A)와 윈도우(75) 사이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부(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할 수 있다. 반사 방지부는 편광 필름 또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고정 표시부(DA1)의 외측에 위치하는 확장부(90)를 포함한다. 확장부(90)는 다층막으로 구성되며, 패드부(P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확장부(90)는 가요성 기판(72)에 형성된 제1 확장부(91)와, 제1 보호층(71)에 형성된 제2 확장부(92)와, 터치 센서부(74)에 형성된 제3 확장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장부(91)의 가장자리에 패드부(PA)가 위치한다. 패드부(PA)에는 표시부(DA)의 신호선들(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 전극이 위치한다. 제2 확장부(92)와 제3 확장부(93)는 제1 확장부(91)를 사이에 두고 중첩된다. 제2 확장부(92)는 제1 확장부(91)를 지지하고, 제3 확장부(93)는 제1 확장부(91)를 보호한다. 터치 접속부(742)는 제3 확장부(93)로부터 인쇄회로기판(85)을 향해 확장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확장부(90)는 제1 벤딩부(BA1)를 포함한다. 제1 벤딩부(BA1)는 고정 표시부(DA1)와 패드부(PA) 사이에 위치하며, 약 90˚의 각도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제1 벤딩부(BA1)에 의해 패드부(PA)는 가요성 기판(72)의 가장 아래에서 제3 방향(DR3)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연성 회로기판(81)은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패드부(PA)에 접속된 출력 패드부(OPA)와, 인쇄회로기판(85)에 접속된 입력 패드부(IPA)를 포함한다. 터치 접속부(742)는 연성 회로기판(81)의 외측에서 연성 회로기판(81)에 중첩되며, 연성 회로기판(81)과 터치 접속부(742)는 제2 벤딩부(BA2)를 포함한다. 제2 벤딩부(BA2)는 약 90˚의 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제2 벤딩부(BA2)를 사이에 두고 연성 회로기판(81)의 출력 패드부(OPA) 측의 일부는 제3 방향(DR3)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입력 패드부(IPA) 측의 일부는 제2 방향(DR2)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인쇄회로기판(85)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아래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70)과 중첩된다.
이때 하우징(10)은 연성 회로기판(81)과 터치 접속부(742)를 보호하는 완충 시트(1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박막 봉지(FE)가 제1 벤딩부(BA1)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박막 봉지(FE)는 제1 벤딩부(BA1)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100)에서 확장부(90)는 제1 벤딩부(BA1)와 패드부(PA)를 포함하며, 연성 회로기판(81)은 제2 벤딩부(BA2)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70)과 연성 회로기판(81) 및 인쇄회로기판(85)은 전체적으로 디귿(ㄷ)자 모양을 이루며, 구동 모듈부(80)는 움직임이 없는 고정 표시부(DA1)의 아래에 위치한다.
만일 패드부가 제1 더미부에 위치하여 구동 모듈부가 제1 더미부의 외측에 접속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구동 모듈부는 제1 슬라이딩부 동작 시 제1 더미부와 함께 움직인다. 이 경우 구동 모듈부의 반복 동작으로 인해 구동 모듈부가 손상될 수 있으며, 구동 모듈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 설계가 요구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100)에서 구동 모듈부(80)는 제1 슬라이딩부(40) 및 제2 슬라이딩부(50)의 동작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확장부(90)에 패드부(PA)가 위치함에 따라, 가요성 기판(72) 중 표시부(DA)를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100)에서 제1 벤딩부(BA1)는 확장부(90)에 속해 있으므로 벤딩에 따른 응력 발생은 확장부(90)에 국한된다. 즉, 벤딩에 따른 응력은 표시부(DA)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벤딩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응력 상승이 억제된다.
제1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100)는 두 방향으로 확장되는 듀얼-확장형 표시 장치로서, 시인 가능한 표시부(DA)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축소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영화 등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확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70)은 제1 이동 레일부(62)와 제2 이동 레일부(6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200)에서 확장부(901)는 벤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확장부(901)는 제1 확장부(91)와 제2 확장부(92) 및 제3 확장부(93)의 적층으로 구성되고, 제1 확장부(91)가 패드부(PA)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고정 표시부(DA1)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연성 회로기판(81)은 출력 패드부(OPA)에서 제1 확장부(91)의 패드부(PA)에 접속되고, 입력 패드부(IPA)에서 인쇄회로기판(85)에 접속된다. 터치 접속부(742)는 연성 회로기판(81)의 외측에서 연성 회로기판(81)과 중첩된다. 연성 회로기판(81)과 터치 접속부(742)는 제3 벤딩부(BA3)와 제4 벤딩부(BA4)를 포함한다.
제3 벤딩부(BA3)와 제4 벤딩부(BA4) 각각은 약 90˚의 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제3 벤딩부(BA3)는 출력 패드부(OP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4 벤딩부(BA4)는 입력 패드부(IP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집적회로(82)는 제3 벤딩부(BA3)와 제4 벤딩부(BA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81)과 터치 접속부(742)는 제3 벤딩부(BA3)와 제4 벤딩부(BA4)에 의해 전체적으로 디귿(ㄷ)자 모양을 이룬다.
제2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200)는 전술한 확장부(901)와 연성 회로기판(81) 및 터치 접속부(742)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제2 롤러와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300)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701)은 제1 표면 강화층(76), 제1 엘라스토머층(77), 가요성 기판(72), 제2 엘라스토머층(78), 제2 표면 강화층(79)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A)는 가요성 기판(72) 상에 위치하며, 고정 표시부(DA1)와 제1 가변 표시부(DA2) 및 제2 가변 표시부(DA3)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부(74)는 별도의 기판을 구비하지 않고 가요성 기판(72) 또는 박막 봉지(도시하지 않음)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은 패드부(PA)에 형성된 터치용 패드 전극들(도시하지 않음)과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엘라스토머층(77)과 제2 엘라스토머층(78)은 탄성을 가지므로 형상 복원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제1 엘라스토머층(77)과 제2 엘라스토머층(78)을 구비한 가요성 표시 패널(701)은 쉽게 펴지고 쉽게 구부러지며, 축소 모드 또는 확장 모드를 장시간 유지하여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제1 엘라스토머층(77)과 제2 엘라스토머층(78)은 끈적이는 성질을 가지므로, 제1 표면 강화층(76)과 제2 표면 강화층(79)이 각각 제1 엘라스토머층(77)과 제2 엘라스토머층(78)을 덮어 이들의 끈적이는 표면이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1 표면 강화층(76)과 제2 표면 강화층(79)은 가요성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내지문(anti-finger) 코팅층, 대전 방지층, 하드 코팅층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1 표면 강화층(76)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 엘라스토머층(77)이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들러 붙어 원활한 롤링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박막 봉지의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제1 표면 강화층(76)은 제1 롤러(21)(도 4 참조) 및 제2 롤러(31)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저감시키며, 원활한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표면 강화층(79)은 제1 실시예의 윈도우와 같은 기능을 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701)은 고정 표시부(DA1)의 외측에 위치하는 확장부(902)를 포함한다. 확장부(902)는 다층막으로 구성되고, 패드부(P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확장부(902)는 가요성 기판(72)에 형성된 제4 확장부(94)와, 제1 엘라스토머층(77)에 형성된 제5 확장부(95)와, 제2 엘라스토머층(78)에 형성된 제6 확장부(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확장부(94)의 가장자리에 패드부(PA)가 위치한다. 패드부(PA)에는 표시부(DA)의 신호선들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 전극과, 터치 센서부(74)와 연결된 복수의 터치 패드 전극이 위치한다. 제5 확장부(95)와 제6 확장부(96)는 제4 확장부(94)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며, 제4 확장부(94)를 보호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701)의 확장부(902)는 제5 벤딩부(BA5)를 포함한다. 제5 벤딩부(BA5)는 고정 표시부(DA1)와 패드부(PA) 사이에 위치하며, 약 90˚의 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제5 벤딩부(BA5)에 의해 패드부(PA)는 가요성 기판(72)의 가장 아래에서 제3 방향(DR3)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연성 회로기판(81)은 제6 벤딩부(BA6)를 포함한다. 제6 벤딩부(BA6)는 약 90˚의 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제6 벤딩부(BA6)를 사이에 두고 연성 회로기판(81)의 출력 패드부(OPA) 측의 일부는 제3 방향(DR3)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입력 패드부(IPA) 측의 일부는 제2 방향(DR2)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 10에서 부호 17은 연성 회로기판(81)을 보호하는 완충 시트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300)에서 확장부(902)는 제5 벤딩부(BA5)와 패드부(PA)를 포함하고, 연성 회로기판(81)은 제6 벤딩부(BA6)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701)과 연성 회로기판(81) 및 인쇄회로기판(85)은 전체적으로 디귿(ㄷ)자 모양을 이루며, 구동 모듈부(80)는 움직임이 없는 고정 표시부(DA1)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3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300)는 가요성 표시 패널(701) 및 확장부(902)의 적층 구조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고하면, 제4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400)에서 확장부(902)는 벤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확장부(902)는 제4 확장부(94)와 제5 확장부(95) 및 제6 확장부(96)의 적층으로 구성되고, 제4 확장부(94)가 패드부(PA)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고정 표시부(DA1)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연성 회로기판(81)은 제7 벤딩부(BA7)와 제8 벤딩부(BA8)를 포함한다. 제7 벤딩부(BA7)와 제8 벤딩부(BA8) 각각은 약 90˚의 각도로 벤딩될 수 있다. 제7 벤딩부(BA7)는 출력 패드부(OP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8 벤딩부(BA8)는 입력 패드부(IP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집적회로(82)는 제7 벤딩부(BA7)와 제8 벤딩부(BA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400)는 전술한 확장부(902)와 연성 회로기판(81)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5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500)에서 제1 안내부(25)는 제1 롤러 하우징(22)에 연결된 제1 경사 안내부(251)와, 제1 경사 안내부(251)에 연결된 제1 평탄 안내부(252)로 구성된다. 제1 경사 안내부(251)는 가요성 표시 패널(70)이 완만하게 꺾이도록 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한다.
제2 안내부(35)는 제2 롤러 하우징(32)에 연결된 제2 경사 안내부(351)와, 제2 경사 안내부(351)에 연결된 제2 평탄 안내부(352)로 구성된다. 제2 경사 안내부(352) 또한 가요성 표시 패널(70)이 완만하게 꺾이도록 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70)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한다.
제5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500)는 제1 안내부(25) 및 제2 안내부(35)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6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600)에서 제1 롤러(21)와 제2 롤러(31)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다. 도 16에서는 제1 롤러(21)의 직경이 제2 롤러(31)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반면, 제1 롤러 하우징(22)과 제2 롤러 하우징(32)은 동일한 직경(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내부(25)의 수납 공간은 제1 롤러(21)의 가장 아래 부분과 연통할 수 있고, 제2 안내부(35)의 수납 공간은 제2 롤러(31)의 가장 아래 부분과 연통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600)는 제1 롤러(21)와 제2 롤러(31)의 직경 차이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확장형 표시 장치(100, 200, 300, 400, 500, 600)가 하나의 구동 모듈부(80)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확장형 표시 장치는 두 개의 구동 모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표시 장치의 축소 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7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700)는 두 개의 구동 모듈부(80)를 포함하며, 도시하지 않은 두 개의 확장부를 포함한다. 제7 실시예의 확장형 표시 장치(700)는 두 개의 구동 모듈부(8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8과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확장형 표시 장치 중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8을 참고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보호층(71), 가요성 기판(72), 제2 보호층(도시하지 않음), 터치 센서부(74), 그리고 윈도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72)은 고정 표시부(DA1)의 상부 외측과 하부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확장부(91)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확장부(91)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한다. 제1 보호층(71)은 한 쌍의 제1 확장부(91)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2 확장부(92)를 포함하고, 터치 센서부(74)는 한 쌍의 제1 확장부(91)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3 확장부(93)를 포함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전술한 제3 실시예 또는 제4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표면 강화층(도시하지 않음), 제1 엘라스토머층(77), 가요성 기판(72), 제2 엘라스토머층(78), 그리고 제2 표면 강화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72)은 고정 표시부(DA1)의 상부 외측과 하부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4 확장부(9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4 확장부(94)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한다. 제1 엘라스토머층(77)은 한 쌍의 제4 확장부(94)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5 확장부(95)를 포함하고, 제2 엘라스토머층(78)은 한 쌍의 제4 확장부(94)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6 확장부(96)를 포함한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두 개의 연성 회로기판(81)은 한 쌍의 제1 확장부(91) 또는 한 쌍의 제4 확장부(94)에 형성된 한 쌍의 패드부(PA)에 각각 접속된다. 표시부(DA)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되며, 두 개의 구동 모듈부(80)가 제1 영역의 신호선들과 제2 영역의 신호선들로 각각 영상 표시를 위한 전기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300, 400, 500, 600: 확장형 표시 장치
10: 하우징 11: 지지판
20: 제1 롤러부 21: 제1 롤러
22: 제1 롤러 하우징 30: 제2 롤러부
31: 제2 롤러 32: 제2 롤러 하우징
40: 제1 슬라이딩부 41, 42: 제1 슬라이더
50: 제2 슬라이딩부 51, 52: 제2 슬라이더
60: 레일부 61: 고정 레일부
62: 제1 이동 레일부 63: 제2 이동 레일부
70, 701: 가요성 표시 패널 DA1: 고정 표시부
DA2: 제1 가변 표시부 DA3: 제2 가변 표시부
80: 구동 모듈부 81: 연성 회로기판
85: 인쇄회로기판 90, 901, 902: 확장부
10: 하우징 11: 지지판
20: 제1 롤러부 21: 제1 롤러
22: 제1 롤러 하우징 30: 제2 롤러부
31: 제2 롤러 32: 제2 롤러 하우징
40: 제1 슬라이딩부 41, 42: 제1 슬라이더
50: 제2 슬라이딩부 51, 52: 제2 슬라이더
60: 레일부 61: 고정 레일부
62: 제1 이동 레일부 63: 제2 이동 레일부
70, 701: 가요성 표시 패널 DA1: 고정 표시부
DA2: 제1 가변 표시부 DA3: 제2 가변 표시부
80: 구동 모듈부 81: 연성 회로기판
85: 인쇄회로기판 90, 901, 902: 확장부
Claims (20)
- 지지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과의 거리가 변하는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
상기 지지판 상에 위치하는 고정 표시부, 상기 제1 롤러부 및 상기 제2 롤러부에 각각 조립되며 가변적인 노출 면적을 가지는 제1 가변 표시부 및 제2 가변 표시부, 상기 고정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다층막으로 구성되고 패드부를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패드부에 접속되며 적어도 하나의 벤딩 부분을 가지는 연성 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상기 제1 롤러부 및 상기 제2 롤러부와 다른 측에 위치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보호층,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고정 표시부와 중첩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가요성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1 확장부, 상기 제1 보호층에 형성된 제2 확장부, 상기 터치 센서부에 형성된 제3 확장부의 다층막으로 구성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제1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확장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터치 접속부가 위치하며,
상기 터치 접속부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중첩되며 상기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 표시부와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제3 벤딩부와 제4 벤딩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확장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터치 접속부가 위치하며,
상기 터치 접속부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중첩되며 상기 제3 벤딩부와 상기 제4 벤딩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엘라스토머층,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2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고정 표시부와 중첩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엘라스토머층 아래에 위치하는 제1 표면 강화층과, 상기 제2 엘라스토머층 상에 위치하는 제2 표면 강화층을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가요성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4 확장부, 상기 제1 엘라스토머층에 형성된 제5 확장부, 상기 제2 엘라스토머층에 형성된 제6 확장부의 다층막으로 구성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제5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제6 벤딩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 표시부와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제7 벤딩부와 제8 벤딩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고정 레일부, 상기 제1 롤러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레일부와 맞물리는 제1 이동 레일부, 상기 제2 롤러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레일부와 맞물리는 제2 이동 레일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는 제1 슬릿이 형성된 제1 롤러 하우징과, 상기 제1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제2 슬릿이 형성된 제2 롤러 하우징과, 상기 제2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레일부는 상기 제1 롤러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이동 레일부는 상기 제2 롤러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이동 레일부와 상기 제2 이동 레일부는 축소 모드에서 상기 지지판과 중첩되고, 확장 모드에서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레일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롤러부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2 이동 레일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롤러부의 최대 슬라이딩 거리보다 큰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롤러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된 제1 구동 슬라이더, 상기 제1 롤러 하우징의 타단에 고정된 제1 종동 슬라이더,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에 결합된 제1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롤러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된 제2 구동 슬라이더, 상기 제2 롤러 하우징의 타단에 고정된 제2 종동 슬라이더, 상기 제2 구동 슬라이더에 결합된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안내 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종동 슬라이더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안내 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가변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더미부와, 상기 제2 가변 표시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더미부를 포함하고,
확장 모드에서 상기 제1 더미부와 상기 제2 더미부는 각각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접촉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아래에서 상기 제1 롤러 하우징에 제1 안내부가 연결되어 축소 모드에서 상기 제1 가변 표시부와 상기 제1 더미부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판 아래에서 상기 제2 롤러 하우징에 제2 안내부가 연결되어 축소 모드에서 상기 제2 가변 표시부와 상기 제2 더미부를 수용하는 확장형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7429A KR102591365B1 (ko) | 2016-09-12 | 2016-09-12 | 확장형 표시 장치 |
US15/656,491 US10111346B2 (en) | 2016-09-12 | 2017-07-21 | Display device |
CN201710810890.6A CN107818735B (zh) | 2016-09-12 | 2017-09-11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7429A KR102591365B1 (ko) | 2016-09-12 | 2016-09-12 | 확장형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0301A KR20180030301A (ko) | 2018-03-22 |
KR102591365B1 true KR102591365B1 (ko) | 2023-10-19 |
Family
ID=6156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7429A KR102591365B1 (ko) | 2016-09-12 | 2016-09-12 | 확장형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111346B2 (ko) |
KR (1) | KR102591365B1 (ko) |
CN (1) | CN10781873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2732B1 (ko) * | 2016-06-10 | 2023-01-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534580B1 (ko) * | 2016-07-27 | 2023-05-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595848B1 (ko) * | 2016-10-11 | 2023-11-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확장형 표시 장치 |
USD871398S1 (en) * | 2017-01-03 | 2019-12-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D871397S1 (en) * | 2017-01-03 | 2019-12-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DE102017204338A1 (de) * | 2017-03-15 | 2018-09-20 | Robert Bosch Gmbh | Elektronisches Steuermodu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onischen Steuermoduls |
KR102460376B1 (ko) * | 2017-10-27 | 2022-10-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2389189B1 (ko) * | 2017-11-29 | 2022-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WO2019111576A1 (ja) | 2017-12-07 | 2019-06-13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装置 |
KR102031910B1 (ko) * | 2018-06-01 | 2019-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
KR102478444B1 (ko) * | 2018-07-03 | 2022-12-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588619B1 (ko) * | 2018-07-13 | 2023-10-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477229B1 (ko) * | 2018-07-30 | 2022-12-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N111273379A (zh) * | 2018-11-19 | 2020-06-1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109495621B (zh) * | 2018-12-17 | 2021-03-1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折叠机构及移动终端 |
USD912045S1 (en) * | 2018-12-19 | 2021-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KR102656466B1 (ko) * | 2018-12-26 | 2024-04-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0928863B2 (en) | 2019-01-14 | 2021-02-23 | Dell Products L.P. |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idframe to sliding frame assembly |
US10817030B2 (en) * | 2019-01-14 | 2020-10-27 | Dell Products L.P. |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with alternating slide support frame |
US11165897B2 (en) | 2019-02-14 | 2021-11-02 | Lg Electronics Inc. | Roll-slide mobile terminal |
WO2020166856A1 (en) * | 2019-02-14 | 2020-08-2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KR20200099455A (ko) * | 2019-02-14 | 2020-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705238B1 (ko) | 2019-02-19 | 2024-09-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윈도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WO2020196941A1 (ko) * | 2019-03-26 | 2020-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이동 단말기 |
JP1654801S (ja) * | 2019-04-10 | 2020-03-09 | 携帯電話機 | |
JP1654799S (ja) * | 2019-04-10 | 2020-03-09 | 携帯電話機 | |
JP1654795S (ja) * | 2019-04-10 | 2020-03-09 | 携帯電話機 | |
JP1654802S (ja) * | 2019-04-10 | 2020-03-09 | 携帯電話機 | |
US11071218B2 (en) * | 2019-04-10 | 2021-07-20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having sliding expandable displays |
JP1646030S (ko) * | 2019-04-10 | 2021-11-08 | ||
US11914423B2 (en) | 2019-04-11 | 2024-02-27 | Lg Electronics Inc. |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230127367A (ko) * | 2019-04-18 | 2023-08-31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롤링 디스플레이 장치 |
CN111835893A (zh) * | 2019-04-22 | 2020-10-2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终端以及伸缩机械部件 |
KR20200124793A (ko) | 2019-04-24 | 2020-11-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00128319A (ko) * | 2019-05-03 | 2020-11-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CN110047387B (zh) * | 2019-05-06 | 2024-02-0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
CN110033707B (zh) * | 2019-05-06 | 2024-03-26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装置 |
CN111953820A (zh) * | 2019-05-17 | 2020-11-1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 |
CN112040033B (zh) * | 2019-06-03 | 2022-06-2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一种终端 |
CN110277024B (zh) * | 2019-06-25 | 2021-09-21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CN112153181B (zh) * | 2019-06-27 | 2022-06-14 | 华为机器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屏伸缩机构及移动终端 |
TWM592168U (zh) * | 2019-07-03 | 2020-03-11 | 宏碁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CN110246422B (zh) * | 2019-07-25 | 2019-11-15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CN110491289B (zh) * | 2019-07-29 | 2024-03-15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装置 |
CN110599907A (zh) | 2019-09-05 | 2019-12-20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可折叠显示装置 |
KR20210033696A (ko) * | 2019-09-19 | 2021-03-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040219A (ko) * | 2019-10-02 | 2021-04-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041409A (ko) * | 2019-10-07 | 2021-04-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JP1663660S (ja) * | 2019-10-24 | 2020-07-13 | 携帯電話機 | |
JP1663659S (ja) * | 2019-10-24 | 2020-07-13 | 携帯電話機 | |
CN110706600B (zh) * | 2019-10-29 | 2021-12-03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CN118280219A (zh) * | 2019-11-28 | 2024-07-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折叠支撑件及制备方法、显示装置 |
CN113132512B (zh) * | 2019-12-31 | 2022-09-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
EP4089502A4 (en) * | 2020-01-09 | 2023-10-11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
WO2021141160A1 (ko) * | 2020-01-09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1141158A1 (ko) * | 2020-01-09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210111398A (ko) * | 2020-03-02 | 2021-09-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1312081B (zh) * | 2020-03-31 | 2022-07-0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 |
KR102689206B1 (ko) * | 2020-04-03 | 2024-07-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EP4145274A4 (en) * | 2020-04-27 | 2024-05-15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FLEXIBLE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
US11423810B2 (en) * | 2020-05-15 | 2022-08-23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WO2021251647A1 (ko) | 2020-06-12 | 2021-12-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상태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20002775A (ko) | 2020-06-30 | 2022-01-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1860694B2 (en) | 2020-07-14 | 2024-01-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
EP4167046B1 (en) | 2020-07-14 | 2024-10-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ing structure |
KR20220017571A (ko) | 2020-08-04 | 2022-02-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4078367B (zh) * | 2020-08-20 | 2024-05-0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 |
CN112082059B (zh) * | 2020-09-14 | 2022-03-01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支撑结构件及显示装置 |
CN112309258B (zh) | 2020-11-02 | 2022-08-02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支撑结构件以及显示设备 |
US11720147B2 (en) * | 2020-12-01 | 2023-08-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KR20220077429A (ko) * | 2020-12-02 | 2022-06-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4598759A (zh) * | 2020-12-07 | 2022-06-0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 |
US11561583B2 (en) * | 2021-02-04 | 2023-01-24 | Dell Products L.P. |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scrolling expandable display |
CN113053241B (zh) * | 2021-02-23 | 2022-07-12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装置 |
KR20230112708A (ko) | 2021-02-26 | 2023-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11632452B2 (en) | 2021-03-25 | 2023-04-18 | Lepton Computing Llc | Expandable display mobile device |
CN113063075B (zh) | 2021-04-09 | 2023-03-28 |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 支撑结构件及显示装置 |
CN113554951A (zh) * | 2021-07-21 | 2021-10-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滑卷显示装置 |
EP4369141A1 (en) * | 2021-08-10 | 2024-05-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amage to display panel |
CN113707024B (zh) * | 2021-09-02 | 2023-08-04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显示装置 |
US11861110B1 (en) | 2021-10-19 | 2024-01-02 | Apple Inc. | Shielding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with touch sensors |
KR20230097885A (ko) * | 2021-12-24 | 2023-07-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슬라이드 표시 장치 |
US11966544B2 (en) | 2022-07-29 | 2024-04-23 | Apple Inc. | Data line shielding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with touch sensors |
CN116386460A (zh) * | 2023-01-06 | 2023-07-04 | 三星半导体(中国)研究开发有限公司 | 电子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41012A1 (en) * | 2003-06-23 | 2005-02-24 | Daniel Simon R. |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
CN103399616A (zh) * | 2013-07-02 | 2013-11-20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95387B2 (en) * | 2002-02-28 | 2006-08-22 | Palm, Inc. | Display expansion method and apparatus |
JP2010526335A (ja) * | 2007-04-25 | 2010-07-29 | ポリマー、ビジョン、リミテッド | エッジプロテクタ付きの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電子装置 |
US8379377B2 (en) * | 2010-01-20 | 2013-02-19 | Creator Technology B.V. |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
US8711566B2 (en) | 2011-09-02 | 2014-04-29 | Microsoft Corporation | Expandable mobile device |
CN103763409A (zh) * | 2012-05-29 | 2014-04-30 | 青岛雅昡电子创意有限公司 | 一种双卷轴三倍屏式手机视频显示器 |
US9419065B2 (en) * | 2012-08-07 | 2016-08-16 | Apple Inc. | Flexible displays |
KR102020982B1 (ko) * | 2013-02-28 | 2019-09-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004547A (ko) * | 2013-07-03 | 2015-01-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77525B1 (ko) * | 2013-07-30 | 2020-02-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849339B1 (ko) | 2013-09-30 | 2018-04-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KR102193313B1 (ko) | 2014-02-22 | 2020-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
KR102269135B1 (ko) * | 2014-10-06 | 2021-06-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05786124A (zh) * | 2016-03-28 | 2016-07-20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
2016
- 2016-09-12 KR KR1020160117429A patent/KR1025913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7-21 US US15/656,491 patent/US10111346B2/en active Active
- 2017-09-11 CN CN201710810890.6A patent/CN10781873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41012A1 (en) * | 2003-06-23 | 2005-02-24 | Daniel Simon R. |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
CN103399616A (zh) * | 2013-07-02 | 2013-11-20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111346B2 (en) | 2018-10-23 |
US20180077808A1 (en) | 2018-03-15 |
CN107818735A (zh) | 2018-03-20 |
CN107818735B (zh) | 2021-09-10 |
KR20180030301A (ko) | 2018-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1365B1 (ko) | 확장형 표시 장치 | |
US20220342458A1 (en) |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nd Hinges | |
KR102697976B1 (ko) | 롤러블 표시 장치 | |
US20230244275A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11455049B2 (en) | Display device with compensating film | |
CN106486010B (zh) | 用于柔性显示器的支撑框架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 |
CN109523916B (zh) | 显示设备 | |
US9164547B1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
CN109523915B (zh) | 显示装置 | |
RU2708950C2 (ru) |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чт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 |
US8385055B2 (en) |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 |
US9173287B1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
US20190244976A1 (en) | Flexible array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US9013884B2 (en) | Display, electronic unit, and supporting substrate | |
JP2020013163A (ja) | 表示装置 | |
US20140092566A1 (en) | Electronic device | |
US11886255B2 (en) |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movable support body | |
KR20230170892A (ko) | 베젤 처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
US20120075236A1 (en) | Terminal with touch screen | |
US10152087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CN105739754A (zh) | 触摸面板和包括触摸面板的显示设备 | |
CN104732885A (zh) | 显示设备 | |
KR20200080020A (ko) | 표시 장치 | |
KR102245101B1 (ko) | 표시 장치 | |
KR20160088487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