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3734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340A
KR20210137340A KR1020200055385A KR20200055385A KR20210137340A KR 20210137340 A KR20210137340 A KR 20210137340A KR 1020200055385 A KR1020200055385 A KR 1020200055385A KR 20200055385 A KR20200055385 A KR 20200055385A KR 20210137340 A KR20210137340 A KR 2021013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isplay area
support member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의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340A/ko
Priority to US17/313,516 priority patent/US11797048B2/en
Priority to CN202110495407.6A priority patent/CN113629106A/zh
Publication of KR2021013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340A/ko
Priority to US18/492,303 priority patent/US121355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01L27/3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1L27/3225
    • H01L27/3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표시 장치에서 실제 영상에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서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소들을 갖는 제1 표시 영역과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들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단위 면적당 상기 제1 화소들의 개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단위 면적당 상기 제2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은 사용자의 눈으로 보이는 현실의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가리킨다. 가상 이미지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실제 영상은 장치의 시야에 관찰된 실제 물체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증강 현실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와 같은 증강 현실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증강 현실 제공 장치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증강 현실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표시 장치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가상의 이미지를 추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실의 이미지가 아닌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인 점에서 진정한 증강 현실로 보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표시 장치에서 현실의 이미지에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서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소들을 갖는 제1 표시 영역과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들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가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된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단위 면적당 상기 제1 화소들의 개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단위 면적당 상기 제2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소들을 갖는 제1 표시 영역과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들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창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은 제2 표시 영역의 투과창을 통해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눈에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의 투과창을 통해 표시 장치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이 절개 패턴들을 포함하므로, 일 방향에서 연신되어 하부 부재보다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은 제2 표시 영역의 투과창을 통해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눈에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의 투과창을 통해 표시 장치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보다 돌출된 후, 일 방향에서 연신되는 경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는 제2 표시 영역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1 슬라이드 모듈과 하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Ⅰ-Ⅰ’를 따라 절단한 제1 슬라이드 모듈과 하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3의 표시 패널, 카메라 센서, 및 하부 부재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7은 표시 패널의 제1 표시 영역의 화소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 도이다.
도 8은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의 화소들과 투과 영역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 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1 지지 부재, 제2 슬라이드 모듈, 및 제2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2의 Ⅲ-Ⅲ’를 따라 절단한 제1 지지 부재, 제2 슬라이드 모듈, 및 제2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표시 패널, 카메라 센서, 및 하부 부재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5와 도 16은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의 화소들과 투과 영역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 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표시 패널, 카메라 센서, 및 하부 부재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코너(corner)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좌우측 끝단에 형성되며, 일정한 곡률 또는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지지 부재(800), 및 하부 부재(9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화소들과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의 면적은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패널(100)의 하측,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단위 면적당 제2 화소들의 개수(Pixels Per Inch(PPI))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단위 면적당 제1 화소들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단위 면적은 화소들의 개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면적으로, 예를 들어, 평면 상 제1 방향(X축 방향)의 1 인치와 제2 방향(Y축 방향)의 1 인치에 해당하는 사각 영역의 면적일 수 있다.
지지 부재(800)는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800)는 표시 패널(100)의 네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다. 지지 부재(800)는 사각 프레임 형태 또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800)는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부재(9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부재(900)는 표시 장치(1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 또는 하부 케이스일 수 있다. 하부 부재(900)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900)는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을 통해 지지 부재(8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와 같이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는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800)는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는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800)는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가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지지 부재(800)의 일 측이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일 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지지 부재(800)의 상측이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상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 부재(800)의 하측이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하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는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지지 부재(800)의 좌측 또는 우측이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좌측 또는 우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대한 설명은 도 3, 도 4a, 및 도 4b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가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지지 부재(800)가 제1 슬라이드 모듈(도 3의 400)에 의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지지 부재(800), 및 하부 부재(900) 이외에, 표시 구동 회로(200), 표시 회로 보드(300), 제1 슬라이드 모듈(400), 메인 회로 보드(700), 카메라 센서(710), 메인 프로세서(720)를 더 구비한다.
표시 패널(100)은 메인 영역(MA)과 서브 영역(SB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MA)은 서브 화소(SP)들이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가리키며, 서브 영역(SBA)은 표시 구동 회로(200)와 회로 보드(300)가 배치되는 영역을 가리킨다. 메인 영역(MA)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브 영역(SBA)이 펼쳐진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서브 영역(SBA)은 구부러져 표시 패널(10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영역(SBA)은 표시 패널(1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에서 메인 영역(MA)과 중첩할 수 있다.
표시 구동 회로(200)는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구동 회로(20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되어 COG(chip on glass) 방식, COP(chip on plastic) 방식, 또는 초음파 접합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구동 회로(200)는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표시 구동 회로(200)는 표시 회로 보드(3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00)는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00)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과 같은 도전성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의 패드들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회로 보드(300)는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0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연성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모듈(400)은 제1 슬라이드 돌기(411), 제2 슬라이드 돌기(412), 제1 슬라이드 레일(도 4b의 42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도 4b의 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지지 부재(800)의 좌측부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지지 부재(80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800)의 좌측부의 배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지지 부재(8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800)의 좌측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지지 부재(800)의 우측부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돌기(41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돌기(412)는 지지 부재(80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800)의 우측부의 배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2 슬라이드 돌기(412)는 지지 부재(8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800)의 우측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하부 부재(900)의 제1 슬라이드 홈(910) 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레일(도 4b의 421)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부재(900)의 제1 슬라이드 홈(910)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돌기(412)는 하부 부재(900)의 제2 슬라이드 홈(920) 내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드 레일(도 4b의 422)과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부재(900)의 제2 슬라이드 홈(920)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모듈(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연성 케이블 또는 연성 회로 보드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회로 보드(700)와 표시 회로 보드(3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하부 부재(900)는 수납 공간(AS)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회로 보드(700)는 하부 부재(900)의 수납 공간(AS)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710)는 메인 회로 보드(7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71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720)로 출력한다. 카메라 센서(710)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센서일 수 있다.
카메라 센서(710)는 표시 패널(100)의 두께 방향인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710)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에서 입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710)는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함에도 불구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20)는 메인 회로 보드(7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20)는 표시 패널(1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회로 보드(300)를 통해 표시 구동 회로(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20)는 카메라 센서(7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제1 슬라이드 모듈과 하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Ⅰ-Ⅰ’를 따라 절단한 제1 슬라이드 모듈과 하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슬라이드 모듈(400)의 제1 슬라이드 돌기(411)와 제1 슬라이드 레일(421), 및 하부 부재(900)의 제1 슬라이드 홈(910)만을 예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돌기(411)는 제1 연장부(411a), 제1 돌출 삽입부(411b), 및 제2 돌출 삽입부(4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은 제1 바닥부(421a), 제1 측벽부(421b), 제2 측벽부(421c), 제1 돌출부(421d), 및 제2 돌출부(4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11a)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411a)의 하단은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11a)의 상단은 지지 부재(8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돌출 삽입부(411b)는 제1 연장부(411a)의 하단의 일 측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 삽입부(411b)는 제1 연장부(411a)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 삽입부(411c)는 제1 연장부(411a)의 하단의 일 측의 반대 측인 타 측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 삽입부(411c)는 제1 연장부(411a)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벽부(421b)는 제1 바닥부(421a)의 좌측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벽부(421b)는 제1 바닥부(421a)의 좌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421d)는 제1 측벽부(421b)의 상단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421d)는 제1 측벽부(421b)의 상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 제2 측벽부(421c), 및 제2 돌출부(421e)에 의해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돌출 삽입부(411b)는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 제1 측벽부(421b), 및 제1 돌출부(421d)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측벽부(421c)는 제1 바닥부(421a)의 우측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벽부(421c)는 제1 바닥부(421a)의 우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421e)는 제2 측벽부(421c)의 상단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421e)는 제2 측벽부(421c)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 제2 측벽부(421c), 및 제2 돌출부(421e)에 의해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돌출 삽입부(411c)는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 제2 측벽부(421c), 및 제2 돌출부(421e)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홈(910)은 하부 부재(900)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홈(91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슬라이드 홈(910)의 입구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돌기(411)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홈(910)은 입구보다 바닥면이 넓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드 홈(910)의 입구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제1 슬라이드 홈(910)의 바닥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돌기(411a)의 제1 돌출 삽입부(411b)는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 제1 측벽부(421b), 및 제1 돌출부(421d)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되고, 제2 돌출 삽입부(411c)는 제1 슬라이드 레일(421)의 제1 바닥부(421a), 제2 측벽부(421c), 및 제2 돌출부(421e)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슬라이드 돌기(411a)는 제1 슬라이드 레일(421)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드 모듈(400)의 제2 슬라이드 돌기(412)와 제2 슬라이드 레일(422), 및 하부 부재(900)의 제2 슬라이드 홈(920)은 도 4a 및 도 4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슬라이드 모듈(400)의 제2 슬라이드 돌기(412)와 제2 슬라이드 레일(422), 및 하부 부재(900)의 제2 슬라이드 홈(9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와 도 6은 도 3의 표시 패널, 카메라 센서, 및 하부 부재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5에는 제1 슬라이드 모듈(4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와 중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제1 슬라이드 모듈(4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서는 메인 회로 보드(700)가 도 3과 같이 하부 부재(900)의 수납 공간(AS)에 배치되고, 카메라 센서(710)가 하부 부재(900)보다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지 않는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카메라 센서(710)와 중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 센서(710)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에서 입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710)는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함에도 불구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는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은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눈(E)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눈(E)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함에도 불구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표시 패널의 제1 표시 영역의 화소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화소(PX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PX1)들 각각은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제3 서브 화소(SP3), 및 제4 서브 화소(S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제3 서브 화소(SP3), 및 제4 서브 화소(SP4)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1)는 제1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 영역(R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SP2)는 제2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제2 발광 영역(G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화소(SP3)는 제3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제3 발광 영역(BE)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화소(SP4)는 제4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제4 발광 영역(G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들(RE, GE1, BE, GE2)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4 발광 영역들(RE, GE1, BE, GE2)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발광 영역들은 동일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 영역(GE1)과 제4 발광 영역(GE2)은 동일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RE)들, 제2 발광 영역(GE1)들, 제3 발광 영역(BE)들, 및 제4 발광 영역(GE2)들 각각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발광 영역(RE)들, 제2 발광 영역(GE1)들, 제3 발광 영역(BE)들, 및 제4 발광 영역(GE2)들 각각은 사각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제3 발광 영역(BE)의 면적이 가장 크고, 제2 발광 영역(GE1)의 면적과 제4 발광 영역(GE2)의 면적이 가장 작으며, 제2 발광 영역(GE1)의 면적과 제4 발광 영역(GE2)의 면적은 동일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발광 영역(GE1)들과 제4 발광 영역(GE2)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광 영역(GE1)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발광 영역(GE2)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발광 영역(GE2)들 각각은 제4 방향(DR4)의 장변과 제5 방향(DR5)의 단변을 갖는 반면에, 제2 발광 영역(GE1)들 각각은 제5 방향(DR5)의 장변과 제4 방향(DR4)의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제4 방향(DR4)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사이의 대각 방향이고, 제5 방향(DR5)은 제4 방향(DR4)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RE)들과 제3 발광 영역(BE)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RE)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발광 영역(BE)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RE)들과 제3 발광 영역(BE)들 각각은 마름모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광 영역(RE)들과 제3 발광 영역(BE)들 각각은 제4 방향(DR4)으로 나란한 변들과 제5 방향(DR5)으로 나란한 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의 화소들과 투과 영역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화소(PX2)들과 투과창(T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소(PX2)들 각각은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제3 서브 화소(SP3), 및 제4 서브 화소(S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소(PX2)들 각각의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제3 서브 화소(SP3), 및 제4 서브 화소(SP4)는 도 4를 결부하여 설명한 제1 화소(PX1)들 각각의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제3 서브 화소(SP3), 및 제4 서브 화소(SP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투과창(TA)들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영역을 가리킨다. 투과창(TA)들에는 제2 화소(PX2)가 배치되지 않는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단위 면적당 제2 화소(PX2)들의 개수(Pixels Per Inch, PPI)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단위 면적당 제1 화소(PX1)들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DA2)에서는 제2 화소(PX2)들의 개수를 줄여 투과창(TA)을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투과창(TA)들 각각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각각에서 제2 화소(PX2)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투과창(TA)들 각각은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투과창(TA)들 각각은 제2 화소(PX2)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투과창(TA)들은 M(M은 양의 정수) 개의 제2 화소(PX2)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투과창(TA)들 사이에는 M 개의 제2 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투과창(TA)들 사이에는 M 개의 제2 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창(TA)들은 도 8과 같이 2 개의 제2 화소(PX2)를 둘러싸고,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각각으로 인접한 투과창(TA)들 사이에는 2 개의 제2 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화소(PX2)들과 투과창(TA)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PX2)들과 투과창(TA)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2 개의 제2 화소(PX2), 투과창(TA), 2 개의 제2 화소(PX2), 및 투과창(TA)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화소(PX2)들과 투과창(TA)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PX2)들과 투과창(TA)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2 개의 제2 화소(PX2), 투과창(TA), 2 개의 제2 화소(PX2), 및 투과창(TA)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단위 면적당 제2 화소(PX2)들의 개수를 제1 표시 영역(DA1)에서 단위 면적당 제1 화소(PX1)들의 개수보다 줄임으로써, 제2 표시 영역(DA2)에 투과창(TA)들을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표시 영역(DA2)은 투과창(TA)들을 통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前面)에서 입사되는 광을 배면으로 통과시키고,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을 전면(前面)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판(SUB1) 상에는 제1 배리어막(BR1)이 배치되고, 제1 배리어막(BR1) 상에는 제2 기판(SUB2)이 배치되며, 제2 기판(SUB2) 상에는 제2 배리어막(BR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각각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각각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1 배리어막(BR1)과 제2 배리어막(BR2) 각각은 투습에 취약한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발광 소자층(EML)의 발광층(172)을 보호하기 위한 막이다. 제1 배리어막(BR1)과 제2 배리어막(BR2) 각각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막(BR1)과 제2 배리어막(BR2) 각각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리어막(BR2) 상에는 버퍼막(BF)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막(BF)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BF)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막(BF)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ST)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ST)는 액티브층(ACT),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막(BF) 상에는 액티브층(ACT),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ACT)은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저온 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실리콘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에 이온 또는 불순물이 도핑되어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액티브층(ACT)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며,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ST)의 액티브층(ACT),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3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는 게이트 전극(G)과 제1 커패시터 전극(CAE1)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액티브층(ACT)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 전극(CAE1)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제2 커패시터 전극(CAE2)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과 제1 커패시터 전극(CAE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과 제1 커패시터 전극(CAE1) 상에는 제1 층간 절연막(14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41)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41)은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41) 상에는 제2 커패시터 전극(CA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 전극(CAE2)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41)이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므로, 제1 커패시터 전극(CAE1), 제2 커패시터 전극(CAE2),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층간 절연막(141)에 의해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 전극(CAE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 전극(CAE2) 상에는 제2 층간 절연막(1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2)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2)은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42) 상에는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제1 층간 절연막(141), 및 제2 층간 절연막(142)을 관통하여 드레인 전극(D)을 노출하는 제1 애노드 콘택홀(ANCT1)을 통해 드레인 전극(D)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 상에는 평탄화를 위한 제1 유기막(1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기막(16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기막(160) 상에는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은 제1 유기막(160)을 관통하여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을 노출하는 제2 애노드 콘택홀(ANCT2)을 통해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 상에는 제2 유기막(1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기막(18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ST)가 게이트 전극(G)이 액티브층(ACT)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 전극(G)이 액티브층(ACT)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 전극(G)이 액티브층(ACT)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기막(180) 상에는 발광 소자(170)들과 뱅크(190)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70)들 각각은 제1 발광 전극(171), 발광층(172), 및 제2 발광 전극(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전극(171)은 제2 유기막(18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발광 전극(171)은 제2 유기막(180)을 관통하여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을 노출하는 제3 애노드 콘택홀(ANCT3)을 통해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층(172)을 기준으로 제2 발광 전극(173)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구조에서 제1 발광 전극(17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뱅크(190)는 발광 영역들(RE, GE1, BE, GE2)을 정의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제2 유기막(180) 상에서 제1 발광 전극(171)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뱅크(190)는 제1 발광 전극(17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뱅크(19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영역들(RE, GE1, BE, GE2) 각각은 제1 발광 전극(171), 발광층(172), 및 제2 발광 전극(17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1 발광 전극(171)으로부터의 정공과 제2 발광 전극(17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17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발광 영역(GE1)과 제4 발광 영역(GE2)만을 예시하였다. 제1 발광 영역(RE)과 제3 발광 영역(BE)은 도 7에 도시된 제2 발광 영역(GE1) 및 제4 발광 영역(GE2)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발광 영역(RE)과 제3 발광 영역(BE)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발광 전극(171)과 뱅크(190) 상에는 발광층(172)이 형성된다. 발광층(17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소정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17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물질층,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 전극(173)은 발광층(172) 상에 형성된다. 제2 발광 전극(173)은 발광층(17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광 전극(173)은 발광 영역들(RE, GE1, BE, GE2)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제2 발광 전극(173) 상에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발광 구조에서 제2 발광 전극(17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광 전극(173)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2 발광 전극(173) 상에는 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층(EML)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TFE)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EML)을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은 제1 무기막(TFE1), 유기막(TFE2), 및 제2 무기막(TFE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TFE1)은 제2 발광 전극(173) 상에 배치되고, 유기막(TFE2)은 제1 무기막(TFE1) 상에 배치되며, 제2 무기막(TFE3)은 유기막(TFE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기막(TFE1)과 제2 무기막(TFE3)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TFE2)은 모노머(monomer, 단량체)일 수 있다.
한편, 투과창(TA)들 각각에는 제2 배리어막(BR2), 버퍼막(BF), 제1 층간 절연막(141), 제2 층간 절연막(142), 제1 유기막(160), 제2 유기막(180), 및 뱅크(190)를 관통하여 제2 기판(SUB2)을 노출하는 투과홀(TAH)이 형성될 수 있다. 투과홀(TAH)에는 봉지층(TFE)의 유기막(TFE2)이 채워질 수 있다. 봉지층(TFE)의 유기막(TFE2)은 제2 기판(SUB2)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봉지층(TFE)의 제1 무기막(TFE1)은 봉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투과홀(TAH)에 의해 노출되는 제2 배리어막(BR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봉지층(TFE)의 제1 무기막(TFE1)은 투과홀(TAH)에 의해 노출되는 제2 배리어막(BR2)의 측면, 게이트 절연막(130)의 측면, 제1 층간 절연막(141)의 측면, 제1 유기막(160)의 측면, 제2 유기막(180)의 측면, 및 뱅크(190)의 측면을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봉지층(TFE)의 제1 무기막(TFE1)은 뱅크(1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투과창(TA)들 각각에는 제2 배리어막(BR2), 버퍼막(BF), 제1 층간 절연막(141), 제2 층간 절연막(142), 제1 유기막(160), 제2 유기막(180), 및 뱅크(190)를 관통하여 제2 기판(SUB2)을 노출하는 투과홀(TAH)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前面)에서 입사되는 광은 투과창(TA)들을 통해 배면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은 투과창(TA)들을 통해 전면(前面)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막(160), 제2 유기막(180), 및 뱅크(190)가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 폴리이미드는 단파장의 광, 즉 청색 계열의 광의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단파장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투과창(TA)들에서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제1 유기막(160), 제2 유기막(180), 및 뱅크(190)를 제거하는 경우, 카메라 센서(710)에 입사되는 광 중에서 단파장의 광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센서(710)에 입사되는 광이 제1 유기막(160), 제2 유기막(180), 및 뱅크(190)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0과 도 11의 실시예는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 대신에, 지지 부재(800)의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연신되는 것에서 도 1과 도 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는 도 1과 도 2의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800)는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800)는 표시 패널(100)의 네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다. 지지 부재(800)는 사각 프레임 형태 또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800)는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부재(8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을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 부재(810)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 우측면, 및 하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810)는 압력 민감 점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의 좌측면, 우측면, 및 하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810)는 하부 부재(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810)는 압력 민감 점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하부 부재(900)에 부착되거나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하부 부재(90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820)는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 부재(820)는 표시 패널(100)의 상측면, 좌측면의 일부, 및 우측면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의 일부는 표시 패널(100)의 상측면에 인접한 좌측면의 일부 영역을 가리키고, 표시 패널(100)의 우측면의 일부는 표시 패널(100)의 상측면에 인접한 우측면의 일부 영역을 가리킨다. 제2 지지 부재(820)는 압력 민감 점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의 상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의 일부와 우측면의 일부에는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모두 배치된다. 그러므로,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의 일부와 우측면의 일부에서 제1 지지 부재(810)의 폭과 제2 지지 부재(820)의 폭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의 나머지와 우측면의 나머지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8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의 일부와 우측면의 일부에서 제1 지지 부재(810)의 폭과 제2 지지 부재(820)의 폭의 합은 폭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면의 나머지와 우측면의 나머지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81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820)는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을 통해 제1 지지 부재(8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1과 같이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는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820)는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는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 부재(820)는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부재(820)의 일 측이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일 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제2 지지 부재(820)의 상측이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상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지지 부재(820)의 하측이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하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부재(820)의 좌측 또는 우측이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하부 부재(900)의 좌측 또는 우측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대한 설명은 도 13a와 도 13b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은 절개 패턴들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제2 지지 부재(820)가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은 연신될 수 있다. 연신된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은 연신되지 않았을 때보다 늘어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5와 도 16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도 13b의 500)에 의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지지 부재(820)에 연결되므로, 제2 지지 부재(8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신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10)가 제1 슬라이드 모듈(400)을 포함하지 않으며, 지지 부재(800)가 제1 지지 부재(810) 및 제2 지지 부재(820)를 포함하는 것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는 도 10과 도 11을 결부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도 1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는 제1 지지 부재, 제2 슬라이드 모듈, 및 제2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2의 Ⅲ-Ⅲ’를 따라 절단한 제1 지지 부재, 제2 슬라이드 모듈, 및 제2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슬라이드 모듈(500)의 제3 슬라이드 돌기(511)와 제3 슬라이드 레일(521), 및 제1 지지 부재(810)의 제3 슬라이드 홈(811)만을 예시하였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3 슬라이드 돌기(511)는 제3 연장부(511a), 제3 돌출 삽입부(511b), 및 제4 돌출 삽입부(5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은 제3 바닥부(521a), 제3 측벽부(521b), 제4 측벽부(521c), 제3 돌출부(521d), 및 제4 돌출부(5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장부(511a)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연장부(511a)의 좌측은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연장부(511a)의 우측은 제2 지지 부재(820)의 좌측부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돌출 삽입부(511b)는 제3 연장부(511a)의 좌측의 일 단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출 삽입부(511b)는 제3 연장부(511a)의 좌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돌출 삽입부(511c)는 제3 연장부(511a)의 좌측의 일 단의 반대 단인 타 단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출 삽입부(511c)는 제1 연장부(411a)의 좌측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측벽부(521b)는 제3 바닥부(521a)의 상단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측벽부(521b)는 제3 바닥부(521a)의 상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출부(521d)는 제3 측벽부(521b)의 우측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출부(521d)는 제3 측벽부(521b)의 우단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 제3 측벽부(521c), 및 제3 돌출부(521e)에 의해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돌출 삽입부(511b)는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 제3 측벽부(521c), 및 제3 돌출부(521e)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측벽부(521c)는 제3 바닥부(521a)의 하단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측벽부(521b)는 제3 바닥부(521a)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돌출부(521e)는 제4 측벽부(521c)의 우측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돌출부(521e)는 제4 측벽부(521c)의 우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 제4 측벽부(521c), 및 제4 돌출부(521e)에 의해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4 돌출 삽입부(511c)는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 제4 측벽부(521c), 및 제4 돌출부(521e)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드 홈(811)은 제1 지지 부재(810)의 좌측부의 내측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820)와 마주보는 제1 지지 부재(810)의 내측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드 홈(811)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길이는 제3 슬라이드 홈(811)의 입구에 배치되는 제3 슬라이드 돌기(511)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이로 인해, 제3 슬라이드 홈(811)은 입구보다 바닥면이 넓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슬라이드 홈(811)의 입구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제3 슬라이드 홈(811)의 바닥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제3 슬라이드 돌기(511a)의 제3 돌출 삽입부(511b)는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 제3 측벽부(521c), 및 제3 돌출부(521e)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되고, 제4 돌출 삽입부(511c)는 제3 슬라이드 레일(521)의 제3 바닥부(521a), 제4 측벽부(521c), 및 제4 돌출부(521e)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 또는 ‘C’자 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슬라이드 돌기(511a)는 제3 슬라이드 레일(521)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4 슬라이드 레일이 배치되는 제4 슬라이드 홈은 제1 지지 부재(810)의 우측부의 내측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슬라이드 돌기는 제2 지지 부재(820)의 우측부의 외측면과 제4 슬라이드 홈의 제4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모듈(500)의 제4 슬라이드 돌기와 제4 슬라이드 레일, 및 제4 슬라이드 홈은 도 13a 및 도 13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슬라이드 모듈(500)의 제4 슬라이드 돌기와 제4 슬라이드 레일, 및 제4 슬라이드 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도 11의 표시 패널, 카메라 센서, 및 하부 부재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4에는 제2 슬라이드 모듈(5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이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메인 회로 보드(700)가 도 12와 같이 하부 부재(900)의 수납 공간(AS)에 배치되고, 카메라 센서(710)가 하부 부재(900)보다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는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은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눈(E)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눈(E)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함에도 불구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표시 패널의 제2 표시 영역의 화소들과 투과 영역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레이아웃 도이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내지 제4 아일랜드 패턴들(ISP1, ISP2, ISP3, ISP4), 제1 내지 제4 연결 패턴들(CNP1, CNP2, CNP3, CNP4),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 제1 내지 제4 투과 연결 패턴들(TNP1, TNP2, TNP3, TNP4), 및 제1 내지 제4 절개 패턴들(CUP1, CUP2, CUP3, CUP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절개 패턴들(CUP1, CUP2, CUP3, CUP4)은 표시 패널(100)이 절개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절개 패턴들(CUP1, CUP2, CUP3, CUP4)은 표시 패널(100)의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들이 절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아일랜드 패턴들(ISP1, ISP2, ISP3, ISP4)은 제1 내지 제4 절개 패턴들(CUP1, CUP2, CUP3, CUP4)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제2 아일랜드 패턴(ISP2) 사이에는 제1 절개 패턴(CUP1)이 배치되므로, 제1 아일랜드 패턴(ISP1)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아일랜드 패턴(ISP2)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제3 아일랜드 패턴(ISP3) 사이에는 제2 절개 패턴(CUP2)이 배치되므로, 제3 아일랜드 패턴(ISP3)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아일랜드 패턴(ISP2)과 제4 아일랜드 패턴(ISP4) 사이에는 제2 절개 패턴(CUP2)이 배치되므로, 제4 아일랜드 패턴(ISP4)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2 아일랜드 패턴(ISP2)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아일랜드 패턴(ISP3)과 제4 아일랜드 패턴(ISP4) 사이에는 제1 절개 패턴(CUP1)이 배치되므로, 제4 아일랜드 패턴(ISP4)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3 아일랜드 패턴(ISP3)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연결 패턴들(CNP1, CNP2, CNP3, CNP4)은 제1 내지 제4 아일랜드 패턴들(ISP1, ISP2, ISP3, ISP4) 각각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아일랜드 패턴(ISP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연결 패턴(CNP1)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으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턴(CNP1)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제2 아일랜드 패턴(ISP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패턴(CNP2)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으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턴(CNP2)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제3 투과 패턴(TSP3)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패턴(CNP3)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으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연결 패턴(CNP3)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제2 투과 패턴(TSP2)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 패턴(CNP4)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으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4 연결 패턴(CNP4)은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제3 아일랜드 패턴(ISP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아일랜드 패턴들(ISP1, ISP2, ISP3, ISP4) 각각에는 제2 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화소(PX2’)는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및 제3 서브 화소(S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1’), 제3 서브 화소(SP3’), 및 제2 서브 화소(SP2’)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1’)는 제1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 영역(R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SP2’)는 제2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제2 발광 영역(G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화소(SP3’)는 제3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제3 발광 영역(B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은 적색이고, 제2 색은 녹색이며, 제3 색은 청색일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RE’)들, 제2 발광 영역(GE’)들, 및 제3 발광 영역(BE’)들 각각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발광 영역(RE’)들, 제2 발광 영역(GE’)들, 및 제3 발광 영역(BE’)들 각각은 사각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제3 발광 영역(BE’)의 면적이 제1 발광 영역(RE’)의 면적 및 제2 발광 영역(GE’)의 면적보다 큰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발광 영역(RE’)의 면적과 제2 발광 영역(GE’)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투과창(TA)들에는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에는 제2 화소(PX2’)가 배치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ISP1, ISP2, ISP3, ISP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과 패턴(TSP1)과 제2 투과 패턴(TSP2) 사이에는 제1 절개 패턴(CUP1)이 배치되므로, 제1 투과 패턴(TSP1)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투과 패턴(TSP2)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과 패턴(TSP1)과 제3 투과 패턴(TSP3) 사이에는 제2 절개 패턴(CUP2)이 배치되므로, 제3 투과 패턴(TSP3)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투과 패턴(TSP1)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과 패턴(TSP2)과 제4 투과 패턴(TSP4) 사이에는 제2 절개 패턴(CUP2)이 배치되므로, 제4 투과 패턴(TSP4)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2 투과 패턴(TSP2)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투과 패턴(TSP3)과 제4 투과 패턴(TSP4) 사이에는 제1 절개 패턴(CUP1)이 배치되므로, 제4 투과 패턴(TSP4)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3 투과 패턴(TSP3)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과 패턴(TSP1)과 제2 아일랜드 패턴(ISP2) 사이에는 제3 절개 패턴(CUP3)이 배치되므로, 제1 투과 패턴(TSP1)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아일랜드 패턴(ISP2)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과 패턴(TSP2)과 제1 아일랜드 패턴(ISP1) 사이에는 제3 절개 패턴(CUP3)이 배치되므로, 제2 투과 패턴(TSP2)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투과 패턴(TSP3)과 제4 아일랜드 패턴(ISP4) 사이에는 제3 절개 패턴(CUP3)이 배치되므로, 제3 투과 패턴(TSP3)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4 아일랜드 패턴(ISP4)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4 투과 패턴(TSP4)과 제3 아일랜드 패턴(ISP3) 사이에는 제3 절개 패턴(CUP3)이 배치되므로, 제4 투과 패턴(TSP4)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3 아일랜드 패턴(ISP3)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과 패턴(TSP1)과 제3 아일랜드 패턴(ISP3) 사이에는 제4 절개 패턴(CUP4)이 배치되므로, 제1 투과 패턴(TSP1)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3 아일랜드 패턴(ISP3)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투과 패턴(TSP2)과 제4 아일랜드 패턴(ISP4) 사이에는 제4 절개 패턴(CUP4)이 배치되므로, 제2 투과 패턴(TSP2)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4 아일랜드 패턴(ISP4)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투과 패턴(TSP3)과 제1 아일랜드 패턴(ISP1) 사이에는 제4 절개 패턴(CUP3)이 배치되므로, 제3 투과 패턴(TSP3)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아일랜드 패턴(ISP1)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4 투과 패턴(TSP4)과 제2 아일랜드 패턴(ISP2) 사이에는 제4 절개 패턴(CUP4)이 배치되므로, 제4 투과 패턴(TSP4)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제2 아일랜드 패턴(ISP2)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투과 연결 패턴들(TNP1, TNP2, TNP3, TNP4)은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 각각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투과 패턴(TSP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투과 연결 패턴(TNP1)은 제1 투과 패턴(TSP1)으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투과 연결 패턴(TNP1)은 제1 투과 패턴(TSP1)과 제2 투과 패턴(TSP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투과 연결 패턴(TNP2)은 제1 투과 패턴(TSP1)으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투과 연결 패턴(TNP2)은 제1 투과 패턴(ISP1)과 제3 아일랜드 패턴(ISP3)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투과 연결 패턴(TNP3)은 제1 투과 패턴(TSP1)으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투과 연결 패턴(TNP3)은 제1 투과 패턴(ISP1)과 제2 아일랜드 패턴(ISP2)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투과 연결 패턴(TNP4)은 제1 투과 패턴(TSP1)으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4 투과 연결 패턴(TNP4)은 제1 투과 패턴(ISP1)과 제3 투과 패턴(TSP3)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내지 제4 절개 패턴들(CNP1, CNP2, CNP3, CNP4)에 의해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 아일랜드 패턴들(ISP1, ISP2, ISP3, ISP4)과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 및 제1 내지 제4 아일랜드 패턴들(ISP1, ISP2, ISP3, ISP4)과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연결 패턴들(CNP1, CNP2, CNP3, CNP4)과 제1 내지 제4 투과 연결 패턴들(TNP1, TNP2, TNP3, TNP4)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제2 표시 영역(DA2)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 제1 절개 패턴(CUP1)들과 제3 절개 패턴(CUP3)들이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 제2 절개 패턴(CUP2)들과 제4 절개 패턴(CUP4)들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절개 패턴들(CUP1, CUP2, CUP3, CUP4)에 의해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투과창(TA)들 각각의 제1 내지 제4 투과 패턴들(TSP1, TSP2, TSP3, TSP4)에는 제2 화소(PX2’)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투과창(TA)들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표시 영역(DA2)은 투과창(TA)들을 통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前面)에서 입사되는 광을 배면으로 통과시키고,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을 전면(前面)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의 실시예는 지지 부재(800)의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연신되는 것에서 도 1과 도 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도 1과 도 2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지지 부재(800)의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도록 연신되는 것은 도 10과 도 11을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8과 같이, 지지 부재(800)와 하부 부재(900)가 제1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지지 부재(800)가 제1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일 방향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지지 부재(820)에 연결되므로, 제2 지지 부재(8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신될 수 있다.
즉, 도 18과 같이 지지 부재(800)가 제1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된 후, 도 19와 같이 제2 지지 부재(820)가 제2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일 방향에서 돌출되는 경우, 일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즉, 도 19의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은 도 18의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보다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은 도 11의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보다 넓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의 실시예는 지지 부재(800)가 제1 지지 부재(810) 및 제2 지지 부재(820)를 포함하는 것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지지 부재(810)와 제2 지지 부재(820)는 도 10과 도 11을 결부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도 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도 20의 표시 패널, 카메라 센서, 및 하부 부재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21에는 제1 슬라이드 모듈(4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된 후, 제2 슬라이드 모듈(5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신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서는 메인 회로 보드(700)가 도 20과 같이 하부 부재(900)의 수납 공간(AS)에 배치되고, 카메라 센서(710)가 하부 부재(900)보다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과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는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하부 부재(9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이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연신되는 경우, 하부 부재(900)보다 돌출되는 제2 표시 영역(DA2)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의 배면에서 입사되는 광은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 영역(POA)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눈(E)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눈(E)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표시 패널(100)과 중첩함에도 불구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투과창들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배면의 배경을 봄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일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표시 구동 회로 300: 표시 회로 보드
DA1: 제1 표시 영역 DA2: 제2 표시 영역
PX1: 제1 화소 PX2: 제2 화소
SP1: 제1 서브 화소 SP2: 제2 서브 화소
SP3: 제3 서브 화소 SP4: 제4 서브 화소
RE: 제1 발광 영역 GE1: 제2 발광 영역
BE: 제3 발광 영역 GE2: 제4 발광 영역

Claims (20)

  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소들을 갖는 제1 표시 영역과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들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가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단위 면적당 상기 제1 화소들의 개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단위 면적당 상기 제2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은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화소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투과창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2 화소들 중 M(M은 양의 정수) 개의 제2 화소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이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카메라 센서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카메라 센서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하부 부재의 슬라이드 홈 내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제1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드 모듈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슬라이드 홈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된 후 상기 제2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면적보다 넓은 표시 장치.
  12.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소들을 갖는 제1 표시 영역과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들을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일 방향에서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단위 면적당 상기 제1 화소들의 개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단위 면적당 상기 제2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은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화소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투과창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2 화소들 중 M(M은 양의 정수) 개의 제2 화소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표시 영역이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은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하부 부재보다 돌출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카메라 센서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카메라 센서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일 방향에서 연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면적보다 넓은 표시 장치.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슬라이드 홈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55385A 2020-05-08 2020-05-08 표시 장치 KR20210137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85A KR20210137340A (ko) 2020-05-08 2020-05-08 표시 장치
US17/313,516 US11797048B2 (en) 2020-05-08 2021-05-06 Display device
CN202110495407.6A CN113629106A (zh) 2020-05-08 2021-05-07 显示装置
US18/492,303 US12135583B2 (en) 2020-05-08 2023-10-2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85A KR20210137340A (ko) 2020-05-08 2020-05-0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40A true KR20210137340A (ko) 2021-11-17

Family

ID=7837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85A KR20210137340A (ko) 2020-05-08 2020-05-0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797048B2 (ko)
KR (1) KR20210137340A (ko)
CN (1) CN1136291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340A (ko) * 2020-05-08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24308A (ko) * 2021-03-02 2022-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30343249A1 (en) * 2022-04-22 2023-10-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7728A1 (de) * 1986-01-25 1987-07-30 Telefonbau & Normalzeit Gmbh Endgeraet einer fernmeldevermittlungsanlage
GB2238627B (en) * 1989-11-29 1994-04-06 Yazaki Corp Display apparatus
US5267127A (en) * 1990-11-30 1993-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Personal computer with folding and sliding keyboard
JP3016889B2 (ja) * 1991-02-28 2000-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用電話機
US6597347B1 (en) * 1991-11-26 2003-07-22 Itu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sensitive input in multiple degrees of freedom
US5252950A (en) * 1991-12-20 1993-10-12 Apple Computer, Inc. Display with rangefinder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JP2595932B2 (ja) * 1994-05-18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CA2177167A1 (en) * 1994-09-27 1996-04-04 Shinsuke Nishida Display device
JP3700200B2 (ja) * 1995-06-05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用電話装置
US6481851B1 (en) * 1995-09-20 2002-11-19 Videotronic Systems Adjustable contrast reflected display system
USD406837S (en) * 1995-12-22 1999-03-16 Mitel Corporation Modular telephone set
US6011653A (en) * 1996-03-11 2000-01-04 Seiko Epson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US5729219A (en) * 1996-08-02 1998-03-17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adio with contraposed touchpad
US5896575A (en) * 1997-02-28 1999-04-2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viewable from two opposite ends
US5808711A (en) * 1997-08-22 1998-09-15 Motorola, Inc. Transparent or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ssembly with electrochromic and cholesteric layer
US6483445B1 (en) * 1998-12-21 2002-11-19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hidden keyboard
US6665173B2 (en) * 1999-12-20 2003-12-16 Wireless Agents, Llc Physical configuration of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20020044152A1 (en) * 2000-10-16 2002-04-18 Abbott Kenneth H. Dynamic integration of computer generated and real world images
US7199767B2 (en) * 2002-03-07 2007-04-03 Yechezkal Evan Spero Enhanced vision for driving
JP2003296022A (ja) * 2002-04-01 2003-10-17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US8446359B2 (en) * 2002-05-31 2013-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rument-activated sub-surface computer buttons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JP4531341B2 (ja) * 2003-02-28 2010-08-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622863B2 (en) * 2003-06-30 2009-11-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s
JP2005070074A (ja) * 2003-08-21 2005-03-17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含んでなる電子機器
US7142231B2 (en) * 2003-12-29 2006-11-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handset multi-tasking, including pattern recognition and augmentation of camera images
KR100630162B1 (ko) * 2004-05-28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엘씨디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US7502221B2 (en) * 2005-04-22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use auxiliary display
DE102005043310B4 (de) * 2005-09-12 2007-10-04 Siemens Ag Anzeigesystem insbesondere für eine industrielle Automatisierungseinrichtung
KR101309176B1 (ko) * 2006-01-1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장치 및 방법
US7636591B2 (en) * 2006-04-28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sliding mobile terminal
US7970444B2 (en) *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US20090009628A1 (en) * 2007-07-06 2009-01-08 Michael Janicek Capturing an image with a camera integrated in an electronic display
USD575259S1 (en) * 2007-10-16 2008-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8233948B2 (en) * 2007-12-11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lider assembly for a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150482B2 (en) * 2008-01-08 2012-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moveable housing segments
US8200298B2 (en) * 2008-01-08 2012-06-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pad housing configuration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EP2129090B1 (en) *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53151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US8228345B2 (en) * 2008-09-24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 image feedback method and system
US8629903B2 (en) * 2009-04-02 2014-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vision system full-windshield HUD
US20100277420A1 (en) *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 Dual Sided Gesture
US20100277421A1 (en) * 2009-04-30 2010-11-04 Motorola, Inc. Device with a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Incorporating the Display Module into the Device
US8493364B2 (en) * 2009-04-30 2013-07-23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8854802B2 (en) * 2010-10-22 2014-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rotatable display screen
US9164581B2 (en) * 2010-10-22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US10192358B2 (en) * 2012-12-20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stereoscopic augmented reality display
TWI546934B (zh) * 2014-10-20 2016-08-21 Playnitride Inc Led陣列擴張方法及led陣列單元
KR20170029037A (ko) * 2015-09-04 2017-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608599B (zh) * 2016-03-02 2017-12-11 Innolux Corp 顯示面板
KR101810050B1 (ko) 2016-08-11 2017-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11004363B2 (en) * 2019-03-05 2021-05-11 Innolux Corporation Stretch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1610543B2 (en) * 2019-03-07 2023-03-21 Stereyo Bvba Real-time deformable and transparent display
KR20210137340A (ko) * 2020-05-08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135583B2 (en) 2024-11-05
US11797048B2 (en) 2023-10-24
US20240045468A1 (en) 2024-02-08
US20210351241A1 (en) 2021-11-11
CN113629106A (zh)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35583B2 (en) Display device
US11950470B2 (en) Display device with hole surrounded by data lines in different layers
KR20210130893A (ko) 표시 장치
KR20210127283A (ko) 표시 장치
US1179713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ode patterns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18116A (ko) 터치 감지 장치,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00446A (ko) 표시 장치
KR20220102186A (ko) 표시 장치
US20240069658A1 (en) Display device
KR20210157925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US12105920B2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941204B2 (en) Display device
CN220476242U (zh) 显示装置
EP4333600A2 (en) Display device
US20230363212A1 (en) Display device
US20220415980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40349582A1 (en) Display device
US20230099550A1 (en) Display device
KR2023011164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10675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11218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11040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20014371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23000368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491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