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101A -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이식된 면역 세포 조성물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이식된 면역 세포 조성물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7101A KR20210097101A KR1020217011380A KR20217011380A KR20210097101A KR 20210097101 A KR20210097101 A KR 20210097101A KR 1020217011380 A KR1020217011380 A KR 1020217011380A KR 20217011380 A KR20217011380 A KR 20217011380A KR 20210097101 A KR20210097101 A KR 20210097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ibody
- cells
- targeting moiety
- composition
-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04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6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101001012157 Homo sapiens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02100030086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2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27455 bi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60000575 trastuzumab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60005558 mertans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1342 chemoimmunothera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4698 lymph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NEZDNQCXEZDCBI-WJOKGBTCSA-N (2-aminoethoxy)[(2r)-2,3-bis(tetradecanoyloxy)propoxy]phosphi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O)OC[C@H](COP(O)(=O)OCCN)OC(=O)CCCCCCCCCCCCC NEZDNQCXEZDCBI-WJOKGBTC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1539 phag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SLKDGVPOSSLUAI-PGUFJCEWSA-N 1,2-dihexadeca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zwitterio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OC(=O)CCCCCCCCCCCCCCC SLKDGVPOSSLUAI-PGUFJCEW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25323 Lymphoma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0548 alemtuzumab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0397 bevacizumab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2087 pertuzumab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60004641 rituximab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RJAVPSFFCBXDT-HUESYALOSA-N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NRJAVPSFFCBXDT-HUESYALO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000576802 Homo sapiens Mesothelin Proteins 0.000 claims 2
- 102100025096 Mesothelin Human genes 0.000 claims 2
- 230000000349 chemoimmuno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0822 natural killer cell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9
- 229940127089 cytotoxic agent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246 antineoplastic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169 immunothera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60001612 trastuzumab emtansine Drugs 0.000 description 179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29940049595 antibody-drug conjugate Drug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0611 antibody drug conju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1278 co-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4611 cancer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684 flow cy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9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108010021625 Immunoglobulin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8394 Immunoglobulin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636 eff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VIEYMVWPECAOCY-UHFFFAOYSA-N 7-amino-4-(chloromethyl)chromen-2-one Chemical compound ClCC1=CC(=O)OC2=CC(N)=CC=C21 VIEYMVWPECAOC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461 cyt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32 Lipid Bi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XJMOSONTPMZWPB-UHFFFAOYSA-M propidium iodide Chemical compound [I-].[I-].C12=CC(N)=CC=C2C2=CC=C(N)C=C2[N+](CCC[N+](C)(CC)CC)=C1C1=CC=CC=C1 XJMOSONTPMZWP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614 tumo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03 Alexa Fluor 488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72 Annexin A5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21 Annexin A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52 Bonferroni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1 cell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cofac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MHMNJMPURVTYEJ-UHFFFAOYSA-N fluorescein-5-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O1C(=O)C2=CC(N=C=S)=CC=C2C21C1=CC=C(O)C=C1OC1=CC(O)=CC=C21 MHMNJMPURVT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87819 Fc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9109 Fc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001023379 Homo sapiens Lysosome-associated membrane glyco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581981 Homo sapiens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5133 Lysosome-associated membrane glycoprotei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7347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5 allogene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5829 chemical entiti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24 confocal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MJZJYWCQPMNPRM-UHFFFAOYSA-N 6,6-dimethyl-1-[3-(2,4,5-trichlorophenoxy)propoxy]-1,6-dihydro-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CC1(C)N=C(N)N=C(N)N1OCCCOC1=CC(Cl)=C(Cl)C=C1Cl MJZJYWCQPMNP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0412 Annex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50008874 Annex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9670 Chimeric Antigen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2068 Glyco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5899 Glyco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43121 Green Fluoresce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44 Green Fluorescent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8877 NK cell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0648 Natural Killer Cell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056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4 cytotox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90 green fluorescent prot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16 hear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05 induce cancer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47 ki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46 lig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239 protecting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70 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KZNICNPSHKQLFF-UHFFFAOYSA-N succinimide Chemical compound O=C1CCC(=O)N1 KZNICNPSHKQL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2 two-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824 ustekinumab Drugs 0.000 description 2
- MFZSNESUTRVBQX-XEURHVNRSA-N (2S)-2-amino-6-[4-[[3-[[(2S)-1-[[(1S,2R,3S,5S,6S,16E,18E,20R,21S)-11-chloro-21-hydroxy-12,20-dimethoxy-2,5,9,16-tetramethyl-8,23-dioxo-4,24-dioxa-9,22-diazatetracyclo[19.3.1.110,14.03,5]hexacosa-10,12,14(26),16,18-pentaen-6-yl]oxy]-1-oxopropan-2-yl]-methylamino]-3-oxopropyl]disulfanyl]pentanoylamin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H]1\C=C\C=C(C)\Cc2cc(OC)c(Cl)c(c2)N(C)C(=O)C[C@H](OC(=O)[C@H](C)N(C)C(=O)CCSSC(C)CCC(=O)NCCCC[C@H](N)C(O)=O)[C@]2(C)O[C@H]2[C@H](C)[C@@H]2C[C@@]1(O)NC(=O)O2 MFZSNESUTRVBQX-XEURHVNR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0400 1-phosphatidylinositol-3-kinase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YVCVYCSAAZQOJI-JHQYFNNDSA-N 4'-demethylepipodophyllotoxin Chemical compound COC1=C(O)C(OC)=CC([C@@H]2C3=CC=4OCOC=4C=C3[C@@H](O)[C@@H]3[C@@H]2C(OC3)=O)=C1 YVCVYCSAAZQOJI-JHQYFNND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39 CD8-positive, alpha-beta cytotoxic T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446 Cardia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98 Cav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443 Circulating Neoplastic Cell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800 Cricet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38605 Crocody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826 Genetic Predisposition to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41003 Glutamate carboxypeptid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6122 High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ceptor 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000892862 Homo sapiens Glutamate carboxypeptid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3074 Homo sapiens High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ceptor I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7826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7824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7858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I-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7839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I-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807 IgG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490 IgG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7727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7060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9204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9185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I-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PEEHTFAAVSWFBL-UHFFFAOYSA-N Maleimide Chemical compound O=C1NC(=O)C=C1 PEEHTFAAVSWF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29749 Microtubul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2875 Microtubul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960 PI3K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7230 Sincal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NVMUORYQLCPJZ-UHFFFAOYSA-M Thiocarbamate Chemical compound NC([S-])=O GNVMUORYQLCPJ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539 Vertebrata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IEDXPSOJFSVCKU-HOKPPMCLSA-N [4-[[(2S)-5-(carbamoylamino)-2-[[(2S)-2-[6-(2,5-dioxopyrrolidin-1-yl)hexanoylamino]-3-methylbutanoyl]amino]pentanoyl]amino]phenyl]methyl N-[(2S)-1-[[(2S)-1-[[(3R,4S,5S)-1-[(2S)-2-[(1R,2R)-3-[[(1S,2R)-1-hydroxy-1-phenylpropan-2-yl]amino]-1-methoxy-2-methyl-3-oxopropyl]pyrrolidin-1-yl]-3-methoxy-5-methyl-1-oxoheptan-4-yl]-methylamino]-3-methyl-1-oxobutan-2-yl]amino]-3-methyl-1-oxobutan-2-yl]-N-methylcarbamate Chemical compound CC[C@H](C)[C@@H]([C@@H](CC(=O)N1CCC[C@H]1[C@H](OC)[C@@H](C)C(=O)N[C@H](C)[C@@H](O)c1ccccc1)OC)N(C)C(=O)[C@@H](NC(=O)[C@H](C(C)C)N(C)C(=O)OCc1ccc(NC(=O)[C@H](CCCNC(N)=O)NC(=O)[C@@H](NC(=O)CCCCCN2C(=O)CCC2=O)C(C)C)cc1)C(C)C IEDXPSOJFSVCKU-HOKPPMCL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46 abcixi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64 adalim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56 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59 alefacept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355 alki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40 analysis of vari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540 az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669 basilixi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70 belim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8086 bezlotox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38 canakin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80 cancer cell ki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164 cell adh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9 cell counting kit-8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5084 cell cycle arre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85 cell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07 cell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522 cellular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1 cellular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00 cellular up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15 certolizumab pe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95 cetuxi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01 co-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05 cytoplas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99 cyto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06 dac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9 deleter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51 denos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83 downstream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84 efa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07 engine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75 gamma-delta t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578 gemtu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9672 glembatumumab ved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743 golim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43 helper t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30 histam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42 immune eff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54 immunomodula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993 inflectr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4101 inotuzumab ozogami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92 intercellular junc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GHMRUGBZOYCAA-ADZNBVRBSA-N ionomycin Chemical compound O1[C@H](C[C@H](O)[C@H](C)[C@H](O)[C@H](C)/C=C/C[C@@H](C)C[C@@H](C)C(/O)=C/C(=O)[C@@H](C)C[C@@H](C)C[C@@H](CCC(O)=O)C)CC[C@@]1(C)[C@@H]1O[C@](C)([C@@H](C)O)CC1 PGHMRUGBZOYCAA-ADZNBVRBSA-N 0.000 description 1
- PGHMRUGBZOYCAA-UHFFFAOYSA-N ionomycin Natural products O1C(CC(O)C(C)C(O)C(C)C=CCC(C)CC(C)C(O)=CC(=O)C(C)CC(C)CC(CCC(O)=O)C)CCC1(C)C1OC(C)(C(C)O)CC1 PGHMRUGBZOYC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86 ipilim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40 isothi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35 ixek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CBNAAKBWBABMBY-LQCKLLCCSA-N labetuzumab-sn38 Chemical compound N([C@@H](CCCN)C(=O)NC1=CC=C(C=C1)COC(=O)O[C@]1(CC)C(=O)OCC2=C1C=C1N(C2=O)CC2=C(C3=CC(O)=CC=C3N=C21)CC)C(=O)COCC(=O)NCCOCCOCCOCCOCCOCCOCCOCCOCCN(N=N1)C=C1CNC(=O)C(CC1)CCC1CN1C(=O)CC(SC[C@H](N)C(O)=O)C1=O CBNAAKBWBABMBY-LQCKLLCC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526 lorvotuzumab mertans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2 lys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68 lysoso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62 mammalia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10082117 matrige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19 metastat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75 metastatic malignan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88 micr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17 mig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645 monoclonal antibody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16 mo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27 nata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01 nivol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8516 olarat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70 oma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75 oncology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02 paliv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972 panitum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21 pembro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81 poly(stear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837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40 secukin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IZTQOLKUZKXIRV-YRVFCXMDSA-N sincal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CSC)C(=O)NCC(=O)N[C@@H](CC=1C2=CC=CC=C2NC=1)C(=O)N[C@@H](CCSC)C(=O)N[C@@H](CC(O)=O)C(=O)N[C@@H](CC=1C=CC=CC=1)C(N)=O)NC(=O)[C@@H](N)CC(O)=O)C1=CC=C(OS(O)(=O)=O)C=C1 IZTQOLKUZKXIRV-YRVFCXMD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30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317 succini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6 targeted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36 tetr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96 thiol group Chemical group [H]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73 th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89 toci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683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61 trans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52 tri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09 tumor ki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translation products of oncoge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03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maytans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receptor, a cell surface antigen or a cell surface determin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61K47/68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the tumour determinant being from breast cancer ce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1—Conjugates being cells, cell fragments, viruses, ghosts, red blood cells or viral v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6—Natural killers cells [NK], NKT c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7—Internalization into the cell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이식된 표면-조작된 면역 세포, 예컨대 자연 살해 세포. 본 발명은 항원 인식을 통해 특정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고 강력한 화학요법제를 전달하여 종양 세포를 파괴하도록 면역 세포를 조작함으로써 면역요법 및 화학요법을 조합한다. 상기 표면-조작된 면역 세포는 일-단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표면-조작된 면역 세포를 제조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정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암 요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을 조합한 방법 및 조성물, 예컨대 특정 암세포를 표적화 및 파괴하기 위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또는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이식된 면역 세포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면역 세포막 상에 및/또는 면역 세포막 내에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임베딩 (embedding)함으로써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이식된 면역 세포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이식된 면역 세포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효과적인 화학면역요법 (chemoimmunotherapy)은 화학요법제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면역조절을 촉진하며, 표적화 화학요법이 면역 세포에 대한 유해 효과를 최소화하고, 면역 이펙터 세포가 암세포에 대한 이의 세포용해 활성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표적화 암 화학면역요법의 개발을 위해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을 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합 접근법에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항체-약물 접합체 (antibody-drug conjugates: ADC))가 면역 세포의 표면에 도입된다. 면역 세포 표면 상에 및/또는 면역 세포 표면 내에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ADC)를 임베딩하는 방법은 폴리머 지질 사슬과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 사이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지질-접합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소수화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세포막의 완전성을 파괴하지 않고 지질 이중층으로 통합될 수 있고, 상기 표면-조작된 세포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원의 표면-조작된 면역 세포,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ADC)를 특징으로 하는 면역 세포가 강력한 화학요법제를 표적 종양에 전달하는 동시에, 이의 세포독성 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종양 부위를 향한 입양 전달된 면역 세포 (adoptively transferred immune cells)의 귀소 (homing)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표적화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부착이 줄기세포에 시도된 바 있지만, 그 기술의 목표는 재생 목적으로 특정 영역에 세포를 동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세포, 예컨대 암세포를 사멸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면역 세포, 예컨대 자연 살해 (natural killer: NK) 세포에 부착시킨다. 또한, 표적화하고, 세포를 표적 세포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엔티티 (entities)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암세포 마커를 표적화 목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표적화 암 화학면역요법의 개발을 위해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을 조합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조성물은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포함하고, 이는 면역 세포에 인지질-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링커를 통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의 지질 이중층으로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임의의 이론 또는 기전으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발명의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 (예: 면역 세포의 표면 상에 및/또는 표면 내에 통합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하기를 수행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1) 표적 세포, 예컨대 암세포를 향한 변형된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의 귀소를 증진시켜서, 종양 환경과 같은 환경에서 면역 세포의 밀도를 증가시킴; 및 (2) 종양 성장을 차단하고 및/또는 암세포를 사멸시킴. 이러한 2가지 이벤트는 암세포 사멸을 상승적으로 유발하고, 면역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후자는 전이성 암세포 및/또는 순환하는 종양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또는 ADC), 예컨대 T-DM1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시판되고 개발 중인 것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항체-약물 접합체 또는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면역 세포 (예: 임의의 면역 세포)의 표면에 통합될 수 있다.
간단하게, 본 발명은 세포, 예컨대 암세포를 표적화하기 위한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관심 세포 상의 표적에 대해 특이적이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표적화 모이어티 (targeting moiety);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접합되어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형성하는 약물 (drug);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에 연결되어 인지질-PEG 링커를 형성하는 인지질 (phospholipid)로서, 상기 인지질-PEG 링커는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부착되는 인지질; 및 면역 세포 (immune cell)로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에 상기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소수성으로 (hydrophobically) 결합되는 면역 세포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를 관심 세포로 유도하고, 상기 약물은 관심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효과를 갖는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PEG는 2 kDa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PEG는 4.5 kDa 내지 5.5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관심 세포는 유방암 세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연 살해 (NK) 세포, 림프구, 백혈구 및 식세포 (phagocyt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연 살해 (NK) 세포, 림프구, 백혈구 및 식세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2개 이상의 세포들의 조합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림프구는 자연 살해 (NK) 세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은 HER2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HER2 항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알렘투주맙 (alemtuzumab), 페르투주맙 (pertuzumab), 베바시주맙 (bevacizumab) 또는 리툭시맙 (rituximab)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CD53 항체, 항-CD30 항체, 항-CD20 항체, 항-Ep-CAM 항체, 항-VEGF 항체, 항-VEGFR 항체, 항-MSLN 항체, 항-CD319 항체, 항-포스파티딜세린 항체, 항-FGFR 항체, 항-CD44 항체, 항-Notch1 항체, 항-뮤신 항체, 항-MCP-1 항체, 항-Lewis-Y 항원 항체, 항-PCDC1 항체, 항-IL2 항체, 항-EGFR 항체, 항-CEACAM5 항체, 항-MUC1 항체, 항-글리피칸 3 항체, 항-PTK7 항체, 항-CD19 항체, 항-RANKL 항체, 항-B 림프종 세포 항체, 항-DR5 항체, 항-CLDN19 항체, 항-HER3 항체, 항-HER1 항체, 항-CD4 항체 또는 항-CD70 항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약물은 엠탄신 (emtansine) (DM1)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종양 세포 상의 표적에 대해 특이적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약물은 종양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효과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임의의 이러한 조합에 포함된 특징들이 상기 문맥, 본 명세서 및 당업자의 지식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호 불일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및 양상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명백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제시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비변형된 NK 세포와 50, 100 또는 200 μg의 DMPE-PEG-T-DM1으로 생성된 SE-NK/T-DM1 세포 사이의 세포 생존율 (cell viabilities) 비교를 나타낸다. 데이터 = 평균 ± SD.
도 1b는 10%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인큐베이션된 SE-NK/T-DM1 세포의 표면에서 T-DM1의 표면 체류 시간 (surface retention time)을 나타낸다. SE-NK/T-DM1 세포를 완전 성장 배지에서 인큐베이션하고, 세포의 일부를 48시간까지 각 시점에서 샘플링하였다. SE-NK/T-DM1 세포의 표면에 T-DM1의 존재를 Alexa 488-접합된 염소 항-인간 IgG (H+L)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플롯은 2개의 독립적 인 실험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1c는 SE-NK/T-DM1-FITC 세포의 세포막에서 CD56 및 2B4의 이용가능성이 유세포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음을 나타낸다. SE-NK/T-DM1-FITC 세포가 제조된 후에, APC-접합된 항-CD56 항체 또는 APC-접합된 항-2B4 항체들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체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였다. 모든 이미지 및 플롯은 2개의 독립적인 실험들 중 하나로부터 유래된다.
도 2는 SE-NK/T-DM1 세포의 HER2-양성 암세포에의 결합을 나타낸다. 암세포를 NK 세포, SE-NK/T-DM1 세포 또는 T-DM1 + NK 공동처리와 10:1의 E:T 비율로 공동-인큐베이션하였다. 30분 후에, 비결합된 세포를 철저히 세척하고, 남은 NK 세포를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계수하여 남은 E:T 비율을 계산하였다. 암세포는 CellTracker Red CMTPX로 적색으로 표지하고, NK 세포는 CellTracker Blue CMAC로 청색으로 표지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ns, not significant; **** P < 0.0001, by one-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3a는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SK-BR-3 세포와 공동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유도된 암세포 사멸을 나타낸다. CMAC (청색) 염료로 표지된 암세포를 비변형된 NK 세포, T-DM1,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와 비결합된 NK 세포를 제거하지 않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도 3b는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Calu-3 세포와 공동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유도된 암세포 사멸을 나타낸다. 실험 세부 사항은 상기 도 3a에서와 동일하다.
도 3c는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MDA-MB-231 세포와 공동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유도된 암세포 사멸을 나타낸다. 실험 세부 사항은 상기 도 3a에서와 동일하다.
도 3d는 SE-NK/T-DM1 세포의 표적화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비결합된 NK 세포는 SE-NK/T-DM1 세포와 SK-BR-3 세포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다. 비결합된 NK 세포는 2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고, 나머지 세포 혼합물은 추가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암세포 사멸은 아넥신 V Alexa Fluor 488 (annexin V Alexa Fluor 488)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propidium iodide) 키트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ns, not significant, * P < 0.05, ** P < 0.01, **** P < 0.0001, by two-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3e는 SE-NK/T-DM1 세포의 표적화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비결합된 NK 세포는 SE-NK/T-DM1 세포와 SK-Calu-3 세포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다.
도 3f는 SE-NK/T-DM1 세포의 표적화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비결합된 NK 세포는 SE-NK/T-DM1 세포와 MDA-MB-231 세포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다.
도 4a는 HER2-양성 Calu-3 암의 상대 종양 부피 변화를 나타낸다. 암컷 NOD scid 감마 (NOD scid Gamma: NSG) 마우스의 왼쪽 옆구리에 종양을 접종하였다. 종양-보유 마우스를 매주 치료 없음, 0.21 mg의 T-DM1, 1 × 107 NK 세포, 0.21 mg의 T-DM1 + 1 × 107 NK 공동처리 또는 1 × 107 SE-NK/T-DM1 세포를, 14일 동안 꼬리 정맥 주입을 통해 치료하였다. 모든 제제는 250 μL의 PBS에서 새로 제조하였고, 주입은 1분 동안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 P < 0.0001,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4b는 HER2-음성 MDA-MB-231 암의 상대 종양 부피 변화를 나타낸다. 실험 세부 사항은 상기 도 4a에서와 동일하다.
도 4c는 Calu-3 종양-보유 NSG 마우스에서 SE-NK/T-DM1 세포의 생체분포를 나타낸다 (n = 3). 동물을 치료 없음, 1 × 107 NK 세포, 0.21 mg의 T-DM1 + 1 × 107 NK 공동처리, 또는 1 × 107 SE-NK/T-DM1 세포를 꼬리 정맥 주입을 통해 치료하였다. 모든 제제는 250 μL의 PBS에서 새로 제조하였고, 주입은 1분 동안 수행하였다. 종양 및 기타 중요 장기를 치료 24시간 후에 수확하였다. 상기 수확된 조직으로부터 단일-세포 50 현탁액을 제조하고, APC-접합된 항-CD56 항체를 적용하여 NK 세포를 검출하였다.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1 × 105개의 총 세포 중 NK 세포를 계수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ns, not significant; *** P < 0.001; **** P < 0.0001; two-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1a는 비변형된 NK 세포와 50, 100 또는 200 μg의 DMPE-PEG-T-DM1으로 생성된 SE-NK/T-DM1 세포 사이의 세포 생존율 (cell viabilities) 비교를 나타낸다. 데이터 = 평균 ± SD.
도 1b는 10%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인큐베이션된 SE-NK/T-DM1 세포의 표면에서 T-DM1의 표면 체류 시간 (surface retention time)을 나타낸다. SE-NK/T-DM1 세포를 완전 성장 배지에서 인큐베이션하고, 세포의 일부를 48시간까지 각 시점에서 샘플링하였다. SE-NK/T-DM1 세포의 표면에 T-DM1의 존재를 Alexa 488-접합된 염소 항-인간 IgG (H+L)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플롯은 2개의 독립적 인 실험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1c는 SE-NK/T-DM1-FITC 세포의 세포막에서 CD56 및 2B4의 이용가능성이 유세포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음을 나타낸다. SE-NK/T-DM1-FITC 세포가 제조된 후에, APC-접합된 항-CD56 항체 또는 APC-접합된 항-2B4 항체들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체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였다. 모든 이미지 및 플롯은 2개의 독립적인 실험들 중 하나로부터 유래된다.
도 2는 SE-NK/T-DM1 세포의 HER2-양성 암세포에의 결합을 나타낸다. 암세포를 NK 세포, SE-NK/T-DM1 세포 또는 T-DM1 + NK 공동처리와 10:1의 E:T 비율로 공동-인큐베이션하였다. 30분 후에, 비결합된 세포를 철저히 세척하고, 남은 NK 세포를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계수하여 남은 E:T 비율을 계산하였다. 암세포는 CellTracker Red CMTPX로 적색으로 표지하고, NK 세포는 CellTracker Blue CMAC로 청색으로 표지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ns, not significant; **** P < 0.0001, by one-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3a는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SK-BR-3 세포와 공동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유도된 암세포 사멸을 나타낸다. CMAC (청색) 염료로 표지된 암세포를 비변형된 NK 세포, T-DM1,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와 비결합된 NK 세포를 제거하지 않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도 3b는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Calu-3 세포와 공동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유도된 암세포 사멸을 나타낸다. 실험 세부 사항은 상기 도 3a에서와 동일하다.
도 3c는 T-DM1 + 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MDA-MB-231 세포와 공동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유도된 암세포 사멸을 나타낸다. 실험 세부 사항은 상기 도 3a에서와 동일하다.
도 3d는 SE-NK/T-DM1 세포의 표적화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비결합된 NK 세포는 SE-NK/T-DM1 세포와 SK-BR-3 세포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다. 비결합된 NK 세포는 2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고, 나머지 세포 혼합물은 추가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암세포 사멸은 아넥신 V Alexa Fluor 488 (annexin V Alexa Fluor 488)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propidium iodide) 키트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ns, not significant, * P < 0.05, ** P < 0.01, **** P < 0.0001, by two-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3e는 SE-NK/T-DM1 세포의 표적화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비결합된 NK 세포는 SE-NK/T-DM1 세포와 SK-Calu-3 세포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다.
도 3f는 SE-NK/T-DM1 세포의 표적화된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비결합된 NK 세포는 SE-NK/T-DM1 세포와 MDA-MB-231 세포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제거하였다.
도 4a는 HER2-양성 Calu-3 암의 상대 종양 부피 변화를 나타낸다. 암컷 NOD scid 감마 (NOD scid Gamma: NSG) 마우스의 왼쪽 옆구리에 종양을 접종하였다. 종양-보유 마우스를 매주 치료 없음, 0.21 mg의 T-DM1, 1 × 107 NK 세포, 0.21 mg의 T-DM1 + 1 × 107 NK 공동처리 또는 1 × 107 SE-NK/T-DM1 세포를, 14일 동안 꼬리 정맥 주입을 통해 치료하였다. 모든 제제는 250 μL의 PBS에서 새로 제조하였고, 주입은 1분 동안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 P < 0.0001,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도 4b는 HER2-음성 MDA-MB-231 암의 상대 종양 부피 변화를 나타낸다. 실험 세부 사항은 상기 도 4a에서와 동일하다.
도 4c는 Calu-3 종양-보유 NSG 마우스에서 SE-NK/T-DM1 세포의 생체분포를 나타낸다 (n = 3). 동물을 치료 없음, 1 × 107 NK 세포, 0.21 mg의 T-DM1 + 1 × 107 NK 공동처리, 또는 1 × 107 SE-NK/T-DM1 세포를 꼬리 정맥 주입을 통해 치료하였다. 모든 제제는 250 μL의 PBS에서 새로 제조하였고, 주입은 1분 동안 수행하였다. 종양 및 기타 중요 장기를 치료 24시간 후에 수확하였다. 상기 수확된 조직으로부터 단일-세포 50 현탁액을 제조하고, APC-접합된 항-CD56 항체를 적용하여 NK 세포를 검출하였다.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1 × 105개의 총 세포 중 NK 세포를 계수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D를 나타낸다 (ns, not significant; *** P < 0.001; **** P < 0.0001; two-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tests).
용어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수 용어 "a", "an" 및 "the"는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칭어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단어 "또는"은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는"은 제시된 정의된 요소에 추가하여 다른 요소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포함하는"의 사용은 제한이 아닌 포함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용어 "포함하는"은 "주로 포함하지만, 전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또한, 단어 "포함하는"의 변형어, 예컨대 "포함하다" 및 "포함한다"는 상응하게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 양상에서, 본원에 기재된 기술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방법 및 이의 각각의 성분(들)과 관련되지만, 필수 여부와 관계없이 불특정 요소의 포함에 개방되어 있다 ("포함하는").
본원에 개시된 모든 구체예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다른 구체예와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구체예의 실시 및/또는 시험에 적합한 방법 및 물질이 하기에 기재된다. 이러한 방법 및 물질은 예시일 뿐이며,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등한 다른 방법 및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특허 및 기타 참고문헌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의 전문이 참고로 통합된다. 상충되는 경우에, 용어 설명을 포함한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등한 방법 및 물질이 개시된 기술을 실시하거나 또는 시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물질이 하기에 기재된다. 물질, 방법 및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며,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구체예의 검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용어에 대한 하기 설명이 제공된다:
항체 및 항체 단편 (Antibody and Antibody Fragment): 본원에서 용어 "항체"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고,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예: 이중특이적 항체) 및 항체 단편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항체 구조체를 포괄한다. "항체"는 적어도 경쇄 또는 중쇄 면역글로불린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항원의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예: 폴리펩티드)를 지칭할 수 있다. 항체는 접합될 수 있다. 항체는 검출 가능한 표지, 예컨대 효소, 합텐 또는 형광단으로 표지될 수 있다. "항체 단편"은 온전한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에 결합하는 온전한 항체의 일부를 포함하는 온전한 항체 이외의 분자를 지칭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Fv, Fab, Fab', Fab'-SH, F(ab')2; 디아바디; 선형 항체; 단일-사슬 항체 분자 (예: scFv); 및 항체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체 약물 접합체 (Antibody Drug Conjugate: ADC): "항체-약물 접합체"는 약물에 화학적으로 연결된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물질, 예컨대 세포독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는 소정의 타입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특정 표적, 예컨대 단백질 또는 수용체에 결합한다. 상기 연결된 약물은 표적 세포에 진입하여 파괴할 수 있다. ADC는 전형적으로 암 치료를 위한 표적화 요법으로 사용된다.
유효한 양 (Effective Amount):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한 양"은 원하는 효과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투여량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는 또한 동물, 포유동물 또는 인간에서 원하는 인 비보 효과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양을 지칭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 및 폴리클로날 항체 (Monoclonal Antibody and Polyclonal Antibody): 용어 "모노클로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종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를 지칭하고, 즉 상기 집단을 포함하는 개별 항체들은 동일하고 및/또는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고, 예컨대 자연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하거나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 제제의 생성 중에 발생하는 가능한 변이체 항체를 제외하고, 이러한 변이체는 일반적으로 소량으로 존재한다. 용어 "폴리클로날 항체"는 상이한 결정인자 (에피토프)에 대한 상이한 항체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항체 제제를 지칭한다. 폴리클로날 항체와 달리, 모노클로날 항체 제제의 각 모노클로날 항체는 항원의 단일 결정인자에 대해 유도된다. 따라서,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실질적으로 동종의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고,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 생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모노클로날 항체 (mAbs)는 세포독성제의 표적화 전달을 위한 비히클뿐만 아니라 면역요법의 주류 모드로 수립되었다.
특이적 (Specific for): 본원에서 사용된, 문구 "특이적 결합",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또는 "특이적인"은 표적과 바이오마커-특이적 작용제 사이의 결합과 같은 측정 가능하고 재현 가능한 상호작용을 지칭하고, 이는 생물학적 분자를 포함한 이종의 분자 집단의 존재하에 표적의 존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적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엔티티는 다른 표적에 결합하는 것보다 더 큰 친화도, 결합력, 더 용이하게 및/또는 더 긴 기속기간으로 이러한 표적에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대상 (Subject):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대상"은 인간 및 비-인간 동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비-인간 동물"은 모든 척추동물, 예컨대 비-포유동물 (예: 닭,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동물, 예컨대 비-인간 영장류, 가축 및/또는 농업에 유용한 동물 (예: 양, 개, 고양이, 소, 돼지 등) 및 설치류 (예: 마우스, 래트, 햄스터, 기니피그 등)를 포함한다.
표적화 모이어티 (Targeting moiety): 용어 "표적화 모이어티"는 변형된 세포 (예: 면역 세포)를 특정 위치 또는 조합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표적화하거나 또는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임의의 화학적 엔티티를 지칭하고, 예를 들어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면역 세포를 표적 세포의 표면 상의 표적 예컨대 바이오마커에 결합시키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표적화 모이어티는 예를 들어 변형된 세포를 특정 단백질 또는 효소, 또는 특정 세포 위치, 또는 특정 세포 타입으로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적화 모이어티를 사용하면 변형된 세포의 축적을 선택적으로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적합한 표적화 모이어티는 단백질, 펩티드, 당단백질, 당펩티드, 스테로이드, 폴리사카라이드, 호르몬, 보조인자, 핵산, 항체,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약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료 (Treatment):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 또는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치료적 치료 및 예방적 또는 방지적 조치 모두를 지칭하고, 이는 질병의 발병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예컨대 심장 장애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병태, 질환 또는 장애의 적어도 하나의 유해 효과 또는 증상, 예컨대 불충분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장애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해당 용어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임상 마커가 감소되는 경우 치료는 "효과적"이다. 대안으로서, 치료로 질병의 진행이 감소되거나 또는 중단되는 경우 치료는 "효과적"이다. 즉, "치료"는 증상의 개선 또는 질병 마커의 감소뿐만 아니라 치료 부재시에 예상되는 증상의 진행 또는 악화의 중단 또는 지연을 포함한다. 유익하거나 또는 원하는 임상 결과로는 검출 가능 여부에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증상(들)의 완화, 질병 정도의 감소, 질병의 안정화된 (예: 악화되지 않는) 상태,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늦춤,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호전, 및 진정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치료"는 또한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예상되는 생존과 비교하여 생존의 연장을 의미할 수 있다. 치료가 필요한 대상은 병태로 이미 진단을 받은 대상뿐만 아니라, 유전적 감수성 또는 다른 요인 예컨대 체중, 식이 요법 및 건강 상태로 인해 병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대상을 포함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
본 발명은 표적화 암 화학면역요법의 개발을 위해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을 조합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조성물은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항체-약물 접합체 (ADC))를 포함하고, 이는 면역 세포에 인지질-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링커를 통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ADC)는 상기 인지질-PEG 링커를 면역 세포의 지질 이중층에 통합됨으로써 면역 세포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 ADC), 예컨대 T-DM1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시판되고 개발 중인 것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면역 세포 (예: 임의의 면역 세포)의 표면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연 살해 (NK) 세포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NK 세포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림프구, 예컨대 T 세포 (예: 킬러 T 세포, 헬퍼 T 세포, 감마 델타 T 세포 등), B 세포 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백혈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식세포, 예컨대 호중구, 마크로파지, 단핵구, 비만 세포 등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세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특정 세포 마커 또는 암세포에 특이적인 표적화 모이어티 (또는 결합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예를 들어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항체 또는 이의 단편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표적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학적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표적화 모이어티는 단백질, 펩티드, 당단백질, 당펩티드, 스테로이드, 폴리사카라이드, 호르몬, 보조인자, 핵산, 항체,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약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표적은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리간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HER2 표적화 모이어티 (예: 항-HER2 항체 예컨대 트라스투주맙), 예컨대 HER2에 대해 특이적인 표적화 모이어티이다. HER2는 소정의 타입의 암세포, 예컨대 유방암 세포의 표면에서 과발현되는 세포 마커이다. 표적화 모이어티는 알렘투주맙, 페르투주맙, 베바시주맙, 리툭시맙, 압식시맙 (abciximab), 아달리무맙 (adalimumab), 알레파셉트 (alefacept), 바실릭시맙 (basiliximab), 벨리무맙 (belimumab), 베즐로톡주맙 (bezlotoxumab), 카나키누맙 (canakinumab), 세르톨리주맙 페골 (certolizumab pegol), 세툭시맙 (cetuximab), 다클리주맙 (daclizumab), 데노수맙 (denosumab), 에팔리주맙 (efalizumab), 골리무맙 (golimumab), 인플렉트라 (inflectra), 이필리무맙 (ipilimumab), 익세키주맙 (ixekizumab), 나탈리주맙 (natalizumab), 니볼루맙 (nivolumab), 올라라투맙 (olaratumab), 오말리주맙 (omalizumab), 팔리비주맙 (palivizumab), 파니투무맙 (panitumumab),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토실리주맙 (tocilizumab),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세쿠키누맙 (secukinumab), 우스테키누맙 (ustekinumab)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가 표적으로 하는 세포 마커는 전술한 항체가 표적으로 하는 임의의 세포 마커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음).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CD53 항체, 항-CD30 항체, 항-CD20 항체, 항-Ep-CAM 항체, 항-VEGF 항체, 항-VEGFR 항체, 항-MSLN 항체, 항-CD319 항체, 항-포스파티딜세린 항체, 항-FGFR 항체 (예: 항-FGFR2 항체), 항-CD44 항체, 항-Notch1 항체, 항-뮤신 항체, 항-MCP-1 항체, 항-Lewis-Y 항원 항체, 항-PCDC1 항체, 항-IL2 항체, 항-EGFR 항체, 항-CEACAM5 항체, 항-MUC1 항체, 항-글리피칸 3 항체, 항-PTK7 항체, 항-CD19 항체, 항-RANKL 항체, 항-B 림프종 세포 항체, 항-DR5 항체, 항-CLDN19 항체, 항-HER3 항체, 항-HER1 항체, 항-CD4 항체, 항-CD70 항체 등일 수 있다.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약물, 예컨대 세포독성 약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약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엠탄신 (DM1), 브렌툭스맙 베도틴 (Brentuxmab vedotin),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Gemtuzumab oozogamicin),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 (Inotuzumab ozogamicin),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rastuzumab emtansine), BT-062, CDX-011, 밀라투주맙-독스 (Milatuzumab-dox), SAR3419, AGS-16M8F, ASG-22ME, ASG-5ME, BAY 79-4620, BAY 94-9343, BIIB015, IMGN529, IMMU-130, 로보투주맙 메르탄신 (Lorvotuzumab mertansine), MDX-1203, PSMA ADC, RG7593, SAR566658, SGC-75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에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된다. 상기 인지질-PEG 링커는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접합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PEG 링커는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 (예: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예컨대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사전-접합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와는 별개의 인지질-PEG 링커를 제공한다. 상기 인지질은 세포 표면에 소수성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인지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DMPE),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DMPE)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은 1 kDa 내지 20 kDa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PEG는 2 kDa 내지 10 kDa, 예컨대 2 kDa, 3 kDa, 4 kDa, 5 kDa, 6 kDa, 7 kDa, 8 kDa, 9 kDa,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PEG는 4.5 kDa 내지 5.5 kDa (예: 5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인지질-PEG 링커에 연결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및 상기 면역 세포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면역 세포 및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상기 면역 세포에 연결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예를 들어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세포 예컨대 면역 세포에 연결하는 방법 등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DMPE-PEG-ADC (예: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DMPE)를 항체-약물 접합체 (ADC)에 연결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는 즉시 사용 가능한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면역 세포, 예컨대 사전-확장된 (pre-expanded) 면역 세포는 면역 세포 및 DMPE-PEG-ADC를 함께 일정 기간 (예: 임의의 적절한 기간, 예컨대 15분) 동안 혼합함으로써 표적화된 형태의 화학면역요법으로 변환될 수 있다. ADC가 장착된 면역 세포는 ADC에 의한 표적 항원의 인식을 통해 표적 종양 부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표적 종양 조직에서, ADC는 표적 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 근접하게 존재하는 면역 세포는 손상-관련 분자 패턴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DAMP)을 발현한 죽어가는 암세포를 파괴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 방법, 예를 들어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와 표면-조작된 세포의 사용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표면 조작된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입양 전달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적화 화학면역요법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질병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 예를 들어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조성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재된 소정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다른 것은 합성 제조가 필요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인지질-PEG는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와의 커플링에 사용될 수 있는 PEG의 말단에 반응성 관능기를 운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성 관능기가 NHS인 경우, 중간체는 반응성 아미노기를 갖는 표적화 모이어티와 커플링하여 아미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가 아민인 경우, 중간체는 반응성 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커플링하여 티오카바메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가 아지드인 경우, 중간체는 반응성 니트릴 또는 반응성 알킨기를 갖는 표적화 모이어티와 커플링하여 테트라졸 또는 트리아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가 말레이미드인 경우, 중간체는 반응성 티올기를 갖는 표적화 모이어티와 커플링하여 티올의 황과 수득된 숙신이미드의 탄소 사이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추가적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합성 단계가 원하는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대안의 연속 또는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유용한 합성 화학 변환 및 보호기 방법 (보호 및 탈-보호)이 당 분야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R.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 (1989); T. W. Greene and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d. Ed., John Wiley and Sons (1991); L. Fieser and M. Fieser, Fieser and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94); and L. Paquette, ed., Encyclopedia of Reagents 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95), 및 이들의 후속판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면역 세포의 표면 변형과 관련하여, 소정의 구체예에서, 세포의 표면 변형은 세포의 지질 이중층 막과 상호작용하고 이에 결합하는 화합물의 인지질 부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 또는 변수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성분 및 세포 표면을 변형하는 이들의 능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G의 분자량이 다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지질과 세포막 사이의 상호작용에 바람직한 PEG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PEG의 말단에 부착된 반응성 관능기의 선택은 또한 부착되는 표적화 모이어티 및 포함되는 반응성 관능기의 적합성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세포 변형에 필요한 화합물의 최적의 양과 함께 세포와의 최소 인큐베이션 시간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표면 변형된 (또는 표면 조작된) 세포의 소정의 능력을 결정할 수 있는 실험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는 세포 부착, 독성, 증식 및 회수율에 초점을 둔 실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역학 실험 (kinetic experiments)은 상기 화합물이 세포 표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시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표적화 모이어티의 사용을 평가하여 상기 세포를 변형하는 능력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형광 화학적 엔티티, 예컨대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 및 녹색 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이 또한 세포를 변형하는 조성물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부착되거나 또는 대체될 수 있다.
면역 세포의 표면에서 표적화 모이어티에 대한 표적 (예: 관심 세포의 수용체)의 결합 평가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구체예에서, 면역 세포의 표면에서 표적화 모이어티에 대한 표적의 결합 평가는 형광-표지된 표적화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본원의 조성물에 의해 변형된 세포와 형광-표지된 표적 리간드를 인큐베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표적 (예: 관심 세포의 수용체)의 구배에 대한 본원의 조성물로 변형된 세포의 이동은 변형된 면역 세포를 표적과 함께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된 세포의 이동 능력에 대한 평가는 적절한 세포 계수 분석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은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운반하도록 조작된 면역 세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특정 관심 세포에 대해 특이적이다. 또한, 본원에는 관심 세포의 표적으로 기재된 조성물의 인 비보 귀소를 촉진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관심 세포, 예컨대 특정 이환 조직과 관련된 세포의 표적과 결합하거나 또는 상호작용할 수 있고, 상기 변형된 세포는 상기 이환 조직으로 동원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의 적절한 투여량은 환자마다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최적의 투여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치료의 임의의 위험 또는 유해한 부작용에 대한 치료적 유익의 수준을 밸런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것이다. 선택된 투여량 수준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요인에 좌우될 것이다: 특정 조성물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조성물 (예: 약물 부분)의 배출 속도, 치료 기간, 병용되는 기타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및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병태, 일반적인 건강 상태 및 이전 병력. 화합물의 양 및 투여 경로는 의사의 재량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실질적으로 해롭거나 또는 유해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작용 부위에서 국소 농도를 달성하는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인 비보 투여는 치료 과정 동안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예: 적절한 간격으로 분할된 용량으로), 1회 용량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투여 수단 및 투여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치료에 사용되는 제제, 치료 목적, 치료할 표적 세포 및 치료할 대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치료 의사가 선택한 용량 수준 및 패턴으로 단일 또는 다회 투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세포를 변형하기 위한 키트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키트는 인지질-PEG 링커,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 및 상기 인지질-PEG 링커를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연결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키트는 인지질-PEG 링커와 이미 연결된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키트는 면역 세포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의 임의의 조합, 예컨대 세포, 표적화 모이어티, 링커, 약물, 시약 등이 조합되어 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HER2에 대해 특이적인 표면 조작된 자연 살해 세포의 생성 및 사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조성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간단히 말해서, ADC 모델인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DM1)은 먼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DMPE)이 접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을 부착시킴으로써 변형되었고, 수득된 소수성 T-DM1 (DMPE-PEG-T-DM1)을 사용하여 면역 세포 모델인 동종이형 자연 살해 (NK) 세포의 표면을 변형시켰다. 이러한 T-DM1 표면-조작된 NK (SE-NK/T-DM1) 세포는 T-DM1 및 NK 세포의 조합된 활성을 통해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HER2)-양성 암세포를 인식하고 파괴하였다. 이러한 단일-주사 제제의 화학면역요법인 SE-NK/T-DM1 세포는 NK 세포 및 T-DM1의 공동처리에 비해 표적 종양의 진행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면역 세포의 표면 조작: NK 세포 및 JK 세포를 DMPE-PEG-T-DM1 또는 DMPE-PEG-TZ로 3회 변형하여 SE-NK/T-DM1 세포, SE-NK/TZ 세포 및 SE-JK/T-DM1 세포를 생성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5 × 105개의 면역 세포를 100 μL의 PBS 중에 상이한 양의 DMPE-PEG-T-DM1 또는 DMPE-PEG-TZ와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변형 후에, 세포를 1 mL의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상기 일-단계 방법은 5 × 105개의 면역 세포 당 100 μg의 DMPE-PEG-T-DM1로 최적화되었다.
표면-조작된 세포의 특성 규명: SE-NK/T-DM1 세포를 상기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FITC-표지된 DMPE-PEG-T-DM1로 제조하였다. SE-NK/T-DM1-FITC 세포를 공초점 현미경 (Nikon A1R, Nikon; Ex/Em = 495/520 nm)으로 시각화하였다. 수집된 이미지를 ImageJ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다. 상기 변형 후에 세포 생존율 및 증식 기능의 변화는 CCK-8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상기 SE-NK/T-DM1 세포막에서 T-DM1의 표면 체류 시간은 Alexa 488-접합된 염소 항-인간 (H+L) 항체 (Ex/Em = 495/520 n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완전 성장 배지에서 인큐베이션된 SE-NK/T-DM1 세포를 각 시점에서 회수하고, 10 μg의 Alexa 488-접합된 염소 항-인간 (H+L) 항체로 표지하였다. 형광 신호는 유세포 분석으로 측정하고, FlowJo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표면 조작 후에 NK 세포 수용체의 이용 가능성은 APC-접합된 항-CD56 항체 (Ex/Em = 650/660nm) 또는 APC-접합된 항-2B4 항체 (Ex/Em = 650/660nm)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각 항체를 제조자의 권장량에 따라 SE-NK/T-DM1-FITC 세포에 적용하였다. SE-NK/T-DM1에서 CD56 및 2B4의 이용 가능성을 유세포 분석에 의해 검출하고, FlowJo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T-DM1의 선택적 결합, 전달 및 내재화: SK-BR-3 27 세포, Calu-3 세포 및 MDA-MB-231 세포를 2 × 10-6 m 28의 CellTracker Red CMTPX (Ex/Em = 577/602 nm)로 표지하였다. 암세포를 처리하기 24시간 전에 4 × 104 세포/웰의 밀도로 24-웰 플레이트에 시딩하였다. NK 세포를 DMEP-PEG-T-DM1로 표면 조작하기 전에 1 × 10-6 m의 CellTracker Blue CMAC (Ex/Em = 353/466 nm)로 표지하였다. 암세포를 비변형된 NK 세포, T-DM1 + NK 공동처리 및 SE-NK/T-DM1 세포와 10:1의 E:T 비율로 공동 인큐베이션하였다. 30분 후에, 비결합된 NK 세포를 제거하고, 모든 남은 세포를 수집하였다. NK 세포의 수는 유세포 분석으로 1 × 104개의 암세포에 대해 정량화하고, 남은 E:T 비율을 계산하였다. SE-NK/T-DM1 세포로부터 표적 암세포로의 T-DM1의 전달은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SK-BR-3 세포, Calu-3 세포 및 MDA-MB-231 세포를 2 × 10-6 m의 CellTracker Red CMTPX로 표지하고, Lab-Tek II 8-챔버 커버 유리 슬라이드에 1× 104 세포/웰의 밀도로 처리 24시간 전에 시딩하였다. 1 × 10-6 m CellTracker Blue CMAC로 표지된 NK 세포를 100 μg의 DMPE-PEG-T-DM1-FITC로 변형하였다. 상기 변형 후에, 1 × 105개의 SE-NK/T-DM1 세포를 암세포와 30분 동안 공동 인큐베이션하고, PBS로 세척하여 비결합된 이펙터 세포를 제거하였다. 공동 인큐베이션된 세포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이미지화하고, 수집된 이미지를 ImageJ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다. T-DM1의 내재화는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NucBlue Live ReadyProbe 시약 (Ex/Em = 360/460 nm)으로 표지된 암세포를 Lab-Tek II 8-챔버 커버 유리에 1 × 104 세포/웰의 밀도로 처리 24시간 전에 시딩하였다. 1 × 10-6 m의 CellTracker Red CMTPX로 표지된 NK 세포를 100 μg의 DMPE-PEG-T-DM1-FITC로 변형시켰다. 암세포를 10:1의 E:T 비율로 T-DM1-FITC 또는 CMPTX-표지된 SE-NK/T-DM1-FITC 세포로 처리하였다. 비결합된 T-DM1-FITC 및 SE-NK/T-DM1-FITC 세포를 30분 후에 완전히 제거하였다. T-DM1-FITC (Ex/Em = 495/520 nm)의 내재화는 초기 시점 및 6시간 후에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이미지화하였다. 수집된 이미지는 ImageJ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다.
SE- NK/T-DM1 세포의 암-표적 세포독성: SK-BR-3 세포, Calu-3 세포 및 MDA-MB-231 세포들을 2 × 10-6 m의 CellTracker Blue CMAC로 표지하고, 처리 24시간 전에 48-웰 플레이트에 1 × 104 세포/웰의 집단으로 시딩하였다. 암세포를 비변형된 JK 세포, 비변형된 NK 세포, TZ, T-DM1, T-DM1+JK 공동처리, T-DM1+NK 공동처리, SE-NK/T-DM1 세포, SE-NK/TZ 세포 또는 SE-JK/T-DM1 세포와 600 μL의 완전 배지에서 10:1의 E:T 비율로 공동 인큐베이션하였다. T-DM1 처리한 암세포에 10:1의 E:T 비율로 처리된 SE-NK/T-DM1에서 T-DM1 양에 해당하는 2.1 μg의 T-DM1을 투여하였다. 모든 처리를 공동 배양 2시간 후에 세척하였고, 남은 암-결합된 이펙터 세포를 24시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모든 세포를 수확하고, Annexin V Alexa Fluor 488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키트 (Annexin Ex/Em = 495/520 nm 및 프로피듐 Ex/Em = 535/617)로 공동 인큐베이션 24시간 후에 표지하였다. 암세포 사멸은 유세포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항체, 화학요법제 및 면역 세포의 효과를 구별하기 위해, CMAC로 표지된 암세포를 SE-NK/T-DM1 세포, SE-NK/TZ 세포, SE-JK/T-DM1 세포 또는 다른 상응하는 처리와 600 μL의 완전 배지에서 10:1의 E:T 비율로 공동 인큐베이션하였다. 비결합된 이펙터 세포는 초기 공동 인큐베이션 2시간 후에 제거하였고, 남은 세포 혼합물은 24시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T-DM1 처리한 암세포에 10:1의 E:T 비율로 처리된 ADC를 사용하여 표면-조작된 면역 세포에서 T-DM1 양에 해당하는 2.1 μg의 T-DM1을 투여하였다. 수득된 암세포 사멸은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Annexin V Alexa Fluor 488 및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키트 (Annexin Ex/Em = 495/520 nm 및 프로피듐 Ex/Em = 535/617)로 확인하고, FlowJo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인 비보 종양 효능 및 생체분포: 인 비보 연구는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로부터 구입한 6주령 암컷 NOD scid 감마 (NSG, NOD. Cg-Prkdcscid Il2rgtm1Wjl/SzJ)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각 마우스의 좌측 옆구리에 1 × 107개의 세포의 Calu-3 세포 또는 MDA-MB-231 세포를 피하로 접종하였다. 암세포를 10% (v/v) Matrigel (Fisher Scientific, Bedford, MA)이 보충된 PBS 중에 현탁하였다. 종양 부피는 캘리퍼로 종양의 길이와 너비를 측정하고 다음 공식에 따라 종양 부피를 계산하여 주 3회 기록하였다: V = 0.5ab2, 종양의 최장 (a) 및 최단 (b) 직경을 사용함. 상기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하면, 종양-접종된 마우스를 무작위로 실험 그룹에 배정하였다. 대조군 (Calu-3 모델의 경우 n = 4, MDA-MB-231 모델의 경우 n = 3)은 치료를 받지 않았지만, 연구 그룹 (그룹당 n = 4)에게는 매주 0.21 mg의 T-DM1, 1 × 107개의 NK 세포, 0.21 mg의 T-DM1+1 × 107개의 NK 공동처리, 또는 1 × 107개의 SE-NK/T-DM1 세포를 2주 동안 꼬리 정맥 주입을 통한 투여하였다 (0일차 및 7일차). 모든 제제는 250 μL의 PBS 중에 새로 제조하였고, 주입은 1분 내에 완료하였다. 종양 성장 및 체중을 14일 동안 모니터링하고, 기록된 부피를 초기 부피로 나누어 상대 종양 부피를 계산하였다. 생물학적 분포의 경우, Calu-3 종양 보유 NSG 마우스 (n = 3)에게는 치료 없음, 1 × 107개의 NK 세포, 0.21 mg의 T-DM1+1 × 107개의 NK 공동처리 또는 1 × 107개의 SE-NK/T-DM1 세포를 꼬리 정맥 주입을 통해 투여하였다. 모든 제제는 250 μL의 PBS 중에 새로 제조하였고, 1분 동안 주입하였다. 종양, 및 심장, 신장, 간, 폐 및 비장을 포함한 주요 장기를 처리 24시간 후에 수확하였다. 제조자가 제공한 지침에 따라 gentleMACS Dissociator 및 조직 해리 키트 (Miltenyi Biotec, Bergisch Gladbach, Germany)를 사용하여 각 수확된 장기의 단일-세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각 세포 혼합물의 절반을 30 μg의 APC-접합된 항-CD56 (Ex/Em = 650/660 nm) 항체와 4℃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수득된 세포 혼합물을 냉 PBS로 2회 세척하고, NK 세포의 존재를 유세포 분석에 의해 1 × 105개의 전체 세포를 계수하여 검출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FlowJo에 의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T-DM1은 포유동물 세포에서 트라스투주맙 (TZ)의 발현에 이어 DM1 접합을 통해 생성되었다. 후속하여 제조된 T-DM1은 DMPE-PEG-NHS를 부착하여 소수화하여, DMPE-PEG-T-DM1을 제조하였다. 합성된 T-DM1은 상용 제품인 Kadcyla에 비해 유사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양의 DMPE-PEG-T-DM1을 사용한 NK 세포의 표면 조작은 NK 세포의 생존율 (도 1a 참조) 또는 NK 세포의 증식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5 × 105개의 면역 세포의 신뢰할 수 있는 변형에는 100 μg의 DMPE-PEG-T-DM1이 필요하였고, 1 × 105개의 SE-NK/T-DM1 세포의 세포막에 임베딩된 2.1 μg의 T-DM1을 수득하였다. T-DM1은 완전 성장 배지에서 48시간 이상 동안 SE-NK/T-DM1 세포의 표면에서 검출되었고 (도 1b 참조), 주요 NK 세포-특이적 마커들 중 2개인 CD56 및 2B4는 SE-NK/T-DM1 세포의 표면에서 이용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T-DM1이 내재화 없이 NK 세포 표면에 임베딩되고, ADC를 사용한 NK 세포의 표면 조작이 NK 세포 수용체 접근성을 방해하지 않음을 보여주며, 이는 NK 세포의 고유 세포용해 활성이 표면 조작시에 유지됨을 시사한다. (도 1c 참조). 본 연구에 사용된 동종이형 NK 세포인 NK-92 세포는 항체 내재화 및 항체-의존적 세포 세포독성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을 개시할 수 있는 CD16, CD32 및 CD64 IgG 수용체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T-DM1을 사용한 표면 조작은 NK 세포 대사작용 및 생존율에 대한 최소 효과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암세포에서, T-DM1 내재화는 HER2 수용체-매개 세포내이입을 통해 발생한다. NK 세포는 이의 막에서 HER2를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SE-NK/T-DM1 세포 표면에 임베딩된 DMPE-PEG-T-DM1은 내재되지 않았고, 무시할 수 있는 세포독성을 보였다. 또한, DMEP 및 T-DM1 사이의 PEG 스페이서는 내재화를 위한 물리적 장벽을 제공한다. 연구에 따르면, 더 긴 PEG 스페이서는 생체분자의 내재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입체 장애를 증가시켜 막 삽입 효율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DMPE-PEG-T-DM1의 전술한 막 삽입 효율은 긴 PEG 스페이서의 존재로 인해 약 10%를 수득하였다.
SE-NK/T-DM1 세포의 이의 표적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 결합을 입증하기 위해, SE-NK/T-DM1 세포를 표적 암세포 또는 비-표적 암세포와 함께 공동 인큐베이션한 후에 남은 NK 세포의 수를 결정하였다. 비변형된 NK 세포, T-DM1 및 NK 세포 (T-DM1+NK) 공동처리, 또는 SE-NK/T-DM1 세포를 HER2-양성 SK-BR-3 세포, HER2-양성 Calu-3 세포, 또는 HER2-음성 MDA-MB-231 세포와, 10:1의 이펙터 대 표적 (E:T) 비율로 인큐베이션하였다 (도 2 참조). 30분의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비결합된 NK 세포를 철저히 세척하고, 남은 세포를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계수하였다. 암세포를 SE-NK/T-DM1 세포, T-DM1+NK 공동처리 및 비변형된 NK 세포로 처리한 경우 남은 E:T 비율은 각각 SK-BR-3 세포에서 3.8, 0.5 및 0.3이었고; Calu-3 세포에서 3.7, 0.8 및 0.3이었다. 무시할 수 있는 수의 NK 세포가 MDA-MB-231 세포에 결합된 채로 남아 있다. 이러한 결과는 SE-NK/T-DM1 세포가 HER2-양성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결합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T-DM1이 암세포에 대한 이의 항암 활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SE-NK/T-DM1 세포 상의 T-DM1이 표적 암세포로 전달되어야 한다. 비변형된 NK 세포 및 SE-NK/T-DM1-FITC 세포를 8-챔버 커버 유리면에서 SK-BR-3 세포, Calu-3 세포 또는 MDA-MB-231 세포들과 공동 인큐베이션하였다. 비결합된 NK 세포를 30분 후에 제거하고, T-DM1-FITC의 전달을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SE-NK/T-DM1 세포의 SK-BR-3 세포 및 Calu-3 세포에의 결합시에, T-DM1은 접촉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펙터 세포-대-암세포 접합부에 클러스터를 형성한 후에, 표적 암세포에 전달되었다. DMPE-PEG-T-DM1에 함유된 지질은 NK 세포막을 통해 T-DM1의 측면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DMPE-PEG-T-DM1은 HER2가 존재하는 암세포와 NK 세포 사이의 접촉점으로 양극화할 수 있었다. DMPE-PEG-T-DM1이 암세포 상의 HER2에 결합하면, 이러한 항원-항체 복합체는 암세포에서 HER2의 측면 이동에 따라 암세포막을 통해 확산되었다. SE-NK/T-DM1 세포를 HER2-음성 MDA-MB-231 세포로 처리한 경우, DMPE-PEG-T-DM1의 양극화,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 및 DMPE-PEG-T-DM1의 전달이 누락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NK 세포의 표면에 임베딩된 T-DM1이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한 후에 표적 암세포막에 재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T-DM1의 내재화는 DM1이 암세포의 세포내 표적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의 항암 효능에 중요하다. T-DM1의 세포 흡수, T-DM1의 리소좀으로의 트래피킹 (trafficking) 및 DM1의 방출에 대한 이전에 보고된 관찰에 따라, 표적 암세포에서 SE-NK/T-DM1 세포로부터 전달된 T-DM1의 내재화를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8-챔버 커버 유리 슬라이드에 플레이팅된 암세포를, SE-NK/T-DM1-FITC 세포 (적색)로부터 전달된 FITC-표지된 T-DM1 (녹색)의 위치를 관찰하기 위해 핵 표시 염료 (nuclear stating dye) (청색)로 표지하였다. 상기 연구와 동일하게, 비결합된 NK 세포를 공동 인큐베이션 30분 후에 완전히 제거하였다. 평가된 SE-NK/T-DM1 세포로부터의 전달 후에 내재화된 T-DM1을 나타내는 구별되는 형광 도트를 표적 암세포의 세포질에서 검출하였고, 이는 T-DM1이 표적 암세포로 내재화되었음을 나타낸다. HER2-양성 암세포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된 MDA-MB-231 세포에서는 형광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이는 HER2-음성 암세포에서 T-DM1의 내재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T-DM1+NK 공동처리에 비해 SE-NK/T-DM1 세포의 치료적 이점을 검증하기 위해, 암세포를 먼저 SE-NK/T-DM1 세포 및 T-DM1+NK 공동처리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비결합된 면역 세포를 제거하지 않았다 (도 3a, 도 3b 참조). 상기 처리들 모두로부터 유사한 수준의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였고, 이는 상기 T-DM1+NK 공동처리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NK 세포가 한정된 웰 시스템에서 T-DM1에 의해 영향을 받은 죽어가는 암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MDA-MB-231 세포에서는 NK 세포의 항암 활성만이 처리 그룹들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도 3c 참조). 이후에, 암세포를 동일한 처리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비결합된 이펙터 세포를 제거하여 인 비보 암-표적 귀소 효과를 모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남은 암-결합된 이펙터 세포를 표적 세포와 24시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고, 그 결과로 인한 암세포 사멸을 기록하였다. SK-BR-3 세포 및 Calu-3 세포에서, SE-NK/T-DM1 세포에 의해 유도된 암세포 사멸 수준이 NK 세포 또는 T-DM1+NK 공동처리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더 높았지만, MDA-MB-231 세포에서 유의한 세포 사멸이 인식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도 3d, 도 3e, 도 3f 참조). 이는 더 많은 수의 SE-NK/T-DM1 세포가 SK-BR-3 세포 및 Calu-3 세포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어 항암 활성 수준이 증가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다음, 암세포 생존율에 대한, SE-NK/T-DM1 세포에 함유된 트라스투주맙, DM1 및 NK 세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DM1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트라스투주맙 표면-조작된 NK (SE-NK/TZ) 세포를 준비하고, SE-NK/TZ 세포 및 SE-NK/T-DM1 세포에 의해 유발된 암세포 사멸을 비교하였다. 암세포 사멸은 처리 2시간 후에 비결합된 NK 세포를 제거한 후에 24시간 동안 공동 인큐베이션 후에 분석하였다. 예상대로, T-DM1은 TZ보다 SK-BR-3 세포에 대해 더 큰 세포용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수득된 향상된 암세포 사멸은 DM1의 추가에 기인하였다. NK 세포 및 TZ (TZ+NK) 공동처리는 NK 세포 단독에 비해 약간 향상된 세포독성을 보였지만, T-DM1+NK 공동처리에 비해 훨씬 적었다. T-DM1을 포함하는 처리는 HER2-양성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추가로 향상시켰고, SE-NK/T-DM1 세포는 다른 모든 처리보다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T-DM1에 함유된 DM1이 HER2-양성 암세포의 사멸에서 20%의 증가를 유도하였다고 가정하였다. NK 세포의 비특이적 세포용해 활성을 제외하고는, 어떤 처리도 MDA-MB-231 세포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을 유도하지 않았다. NK 세포는 동일한 실험 설정에서 대용 (surrogate) 음성 T-세포주인 Jurkat (JK) 세포와 비교되었다. T-DM1 표면-조작된 JK (SE-JK/T-DM1) 세포 및 SE-NK/T-DM1 세포의 세포독성을 SK-BR-3 세포 및 MDA-MB-231 세포에 대해 시험하였다. 예상대로, NK 세포는 JK 세포에 비해 SK-BR-3 세포에서 더 높은 세포용해 활성을 보였다. T-DM1+NK 공동처리는 JK 세포를 사용한 T-DM1 공동처리 (T-DM1+JK)에 비해 거의 27% 더 많은 암세포 사멸을 유발하였다. 유사하게, SE-NK/T-DM1 세포는 SE-JK/T-DM1 세포에 비해 SK-BR-3 세포에서 58%의 더 큰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일관되게, MDA-MB-231 세포에서 NK 세포 활성을 넘어서는 세포 사멸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SE-NK/T-DM1 세포는 NK 세포 단독에 비해 HER2-음성 MDA-MB-231 세포에 대한 증가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SE-NK/T-DM1 세포의 개별 성분들은 조합 항암 효능을 발휘하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단계 방법을 사용하여 면역 세포에 ADC를 임베딩하면 ADC 단독, 면역 세포 단독 또는 ADC 및 면역 세포의 공동처리를 넘어서는 항암 효능이 증진된다. 표면에 DMPE-PEG-T-DM1의 통합시에 NK 세포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E-NK/T-DM1 세포 및 비변형된 NK 세포에서 우세한 탈과립화 마커 (degranulation marker)인 CD107a의 발현 수준을 표적 암세포에 결합시에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NK 세포 및 SE-NK/T-DM1 세포는 PMA/Ionomycin 자극을 통해 활성화되었다. NK 세포 및 T-DM1+NK 세포 공동처리 그룹에서, CD107a 발현 수준은 암세포와 인큐베이션된 경우에도 기본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CD107a의 발현은 표적 암세포, SK-BR-3 세포 및 Calu-3 세포와 접촉시에 SE-NK/T-DM1 세포에서 증폭되었다. 이러한 증가는 비-표적 MDA-MB-231 세포에서는 부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MPE-PEGT-DM1로 표면 변형시킨 후에 NK 세포의 비특이적 활성화가 부재함을 시사하고, SE-NK/T-DM1 세포의 표적-특이적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것을 시사한다. SE-NK/T-DM1 세포의 인 비보 항암 활성을 HER2-양성 Calu-3 모델 및 HER2-음성 MDA-MB-231 모델을 사용하여 T-DM1+NK 공동처리한 것과 비교하였다. 종양-보유 NOD scid 감마 (NSG, NOD.Cg-Prkdcscid Il2rgtm1Wjl/SzJ) 마우스에게 210 μg의 T-DM1이 투여된 1 × 107개의 SE-NK/T-DM1 세포를 투여하고, 이는 마우스 모델에 대한 문헌에서 밝혀진 권장 용량과 유사하다 (7-10 mg kg-1). 상기 HER2-양성 종양 모델에서, SE-NK/T-DM1 세포는 조합 효과를 통해 가장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내었다 (도 4a 참조). 상기 T-DM1+NK 공동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종양 성장을 억제하였다. SE-NK/T-DM1 세포의 처리는 T-DM1+NK 공동처리에 비해 종양 성장에서 상당한 억제를 보여주었다. 상기 HER2-음성 종양 모델에서, 종양 성장 억제의 유의한 차이가 모든 처리 그룹들 사이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도 4b 참조). 상기 Calu-3 모델 및 MDA-MB-231 모델은 연구 기간 중에 정상 (steady) 체중을 보였고, 이는 치료가 심각한 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Calu-3 종양 모델에서 SE-NK/T-DM1 세포의 생체분포를 위해, 심장, 신장 및 폐에서 NK 세포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축적이 관찰되었다 (도 4c 참조). 간 및 비장에서 NK 세포가 검출되었고, 처리 그룹들 간에 NK 세포의 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비변형된 NK 세포 및 T-DM1+NK 공동처리와 비교하여, SE-NK/T-DM1 세포를 받은 종양 조직에서 더 많은 수의 NK 세포가 발견되었다. 효능 및 생체분포 연구로부터의 인 비보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단계 방법에 의해 제조된 SE-NK/T-DM1 세포가 표적 종양 조직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DM1을 사용한 NK 세포의 표면 조작은 표적 종양 조직에서 T-DM1 및 NK 세포의 동시 축적을 가능하게 하였다. T-DM1의 HER2-양성 암세포로의 결합은 PI3K 및 AKT와 관련된 하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고, 화학요법제인 DM1은 표적 세포에서 미세관 네트워크 (microtubule networks)를 파괴하며, 이들 모두는 세포주기 정지 및 세포 아폽토시스로 이어진다. SE-NK/T-DM1 세포는 표적 암세포와의 물리적 접촉으로부터 항원-발현 암세포로 이동하였고, 이는 NK 세포의 세포용해 기능을 자극할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켰다. 이들 NK 세포가 표적 암세포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죽어가는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손상-관련 분자 패턴 (DAMP)을 인식하여 아폽토시스를 겪는 암세포를 근절시킨다. 본원의 일-단계 방법에 의해 무기화될 (weaponized) 관심 세포인 동종이형 면역 세포는 낮은 유해 효과 발생, 높은 종양-특이적 세포독성, 예측 가능한 항암 활성 및 거대 세포 집단의 엑스 비보 증식, 유지 및 활성화의 용이성으로 인해, 암 환자에서 감소하는 활성 면역 세포 집단을 강화하기 위한 적합한 해결책으로 주목을 받았다. 본원의 일-단계 방법을 사용하면, 화학면역요법에 기반한 특정 종양-귀소 능력 및 강력한 항암 활성을 가진 진보된 면역 세포를 침상 (bedside)에서 즉시 생성할 수 있어서, 충분한 종양-반응성 면역 세포를 수득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더 중요하게는, 본원에서 생성된 ADC를 사용하는 표면-조작된 면역 세포는 항체, 화학요법제 및 면역 세포가 모두 본 발명의 진보된 면역 세포를 포함하고, 표적 암을 근절하기 위해 협력하기 때문에 고형 종양에서도 향상된 효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소수화된 ADC의 다른 면역 세포로의 적용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한 한 가지 고려 사항은 Fc 수용체의 존재일 수 있다. DMPE-PEG의 ADC에의 접합은 상기 Fc 영역을 차단하여 면역 세포에 대한 Fc 수용체의 결합 친화성을 낮추는 입체 장애를 증가시킴으로써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단일 사슬 가변 단편 (scFv)을 사용하고 Fc 영역을 Fc 수용체 결합 친화도가 감소하도록 변경하는 것과 같은 다른 창조적인 항체 조작 방법이 표면 조작 목적을 위한 대체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것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은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에 인용된 각각의 참고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개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문구 "포함하는"을 사용하는 본원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은 "구성되는"으로 기재될 수 있는 구체예를 포함하고, 이와 같이 문구 "구성되는"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청구하기 위한 서면 기재 요건이 충족된다.
Claims (25)
- 암세포를 표적화하기 위한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 (chemoimmunotherapeutic composition)로서, 상기 조성물은:
a. 관심 세포 상의 표적에 대해 특이적이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표적화 모이어티 (targeting moiety);
b.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접합되어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형성하는 약물 (drug);
c.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에 연결되어 인지질-PEG 링커를 형성하는 인지질 (phospholipid)로서, 상기 인지질-PEG 링커는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부착되는 인지질; 및
d. 면역 세포 (immune cell)로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에 상기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소수성으로 (hydrophobically) 결합되는 면역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를 관심 세포로 유도하고, 상기 약물은 관심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효과를 갖는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PEG는 2 kDa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세포는 유방암 세포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연 살해 (NK) 세포, 림프구, 백혈구 및 식세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림프구는 자연 살해 (NK) 세포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은 HER2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HER2 항체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트라스투주맙, 알렘투주맙, 페르투주맙, 베바시주맙 또는 리툭시맙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CD53 항체, 항-CD30 항체, 항-CD20 항체, 항-Ep-CAM 항체, 항-VEGF 항체, 항-VEGFR 항체, 항-MSLN 항체, 항-CD319 항체, 항-포스파티딜세린 항체, 항-FGFR 항체, 항-CD44 항체, 항-Notch1 항체, 항-뮤신 항체, 항-MCP-1 항체, 항-Lewis-Y 항원 항체, 항-PCDC1 항체, 항-IL2 항체, 항-EGFR 항체, 항-CEACAM5 항체, 항-MUC1 항체, 항-글리피칸 3 항체, 항-PTK7 항체, 항-CD19 항체, 항-RANKL 항체, 항-B 림프종 세포 항체, 항-DR5 항체, 항-CLDN19 항체, 항-HER3 항체, 항-HER1 항체, 항-CD4 항체 또는 항-CD70 항체인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엠탄신 (DM1)인 조성물.
- 종양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a. 관심 세포 상의 표적에 대해 특이적이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표적화 모이어티;
b.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접합되어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형성하는 약물;
c.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에 연결되어 인지질-PEG 링커를 형성하는 인지질로서, 상기 인지질-PEG 링커는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부착되는 인지질; 및
d. 면역 세포로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에 상기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소수성으로 결합되는 면역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를 관심 세포로 유도하고, 상기 약물은 관심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 - 암세포를 표적화하기 위한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a. 관심 세포 상의 표적에 대해 특이적이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표적화 모이어티;
b.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에 접합되어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를 형성하는 약물;
c.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에 연결되어 인지질-PEG 링커를 형성하는 인지질로서, 상기 인지질-PEG 링커는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에 부착되는 인지질; 및
d. 면역 세포로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에 상기 인지질-PEG 링커를 통해 소수성으로 결합되는 면역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이 대상에게 투여되고,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복합체는 상기 면역 세포를 관심 세포로 유도하며, 상기 약물은 관심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면역요법용 조성물. -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EG는 2 kDa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 청구항 13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세포는 유방암 세포인 조성물.
- 청구항 13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연 살해 (NK) 세포, 림프구, 백혈구 및 식세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림프구는 자연 살해 (NK) 세포인 조성물.
- 청구항 16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은 HER2인 조성물.
- 청구항 16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인 조성물.
- 청구항 16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HER2 항체인 조성물.
- 청구항 16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트라스투주맙, 알렘투주맙, 페르투주맙, 베바시주맙 또는 리툭시맙인 조성물.
- 청구항 16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CD53 항체, 항-CD30 항체, 항-CD20 항체, 항-Ep-CAM 항체, 항-VEGF 항체, 항-VEGFR 항체, 항-MSLN 항체, 항-CD319 항체, 항-포스파티딜세린 항체, 항-FGFR 항체, 항-CD44 항체, 항-Notch1 항체, 항-뮤신 항체, 항-MCP-1 항체, 항-Lewis-Y 항원 항체, 항-PCDC1 항체, 항-IL2 항체, 항-EGFR 항체, 항-CEACAM5 항체, 항-MUC1 항체, 항-글리피칸 3 항체, 항-PTK7 항체, 항-CD19 항체, 항-RANKL 항체, 항-B 림프종 세포 항체, 항-DR5 항체, 항-CLDN19 항체, 항-HER3 항체, 항-HER1 항체, 항-CD4 항체 또는 항-CD70 항체인 조성물.
- 청구항 16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엠탄신 (DM1)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33929P | 2018-09-20 | 2018-09-20 | |
US62/733,929 | 2018-09-20 | ||
PCT/US2019/052097 WO2020061419A1 (en) | 2018-09-20 | 2019-09-20 | Targeting moiety-drug grafted immune cel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7101A true KR20210097101A (ko) | 2021-08-06 |
Family
ID=6988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1380A KR20210097101A (ko) | 2018-09-20 | 2019-09-20 | 표적화 모이어티-약물 이식된 면역 세포 조성물 및 사용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2180300B2 (ko) |
EP (1) | EP3853258A4 (ko) |
JP (1) | JP7467429B2 (ko) |
KR (1) | KR20210097101A (ko) |
AU (1) | AU2019343965A1 (ko) |
CA (1) | CA3113645A1 (ko) |
WO (1) | WO202006141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60653A4 (en) | 2003-09-02 | 2007-10-03 | Univ North Carolina | BIODEGRADABLE CONJUGATES OF POLYMERS AND LIGANDS AND USE IN THE ISOLATION OF CELL SUBPOPULATIONS, CRYOPRESERVATION, CULTURE AND TRANSPLANTATION OF CELLS |
EP1877038B1 (en) * | 2005-04-29 | 2017-03-22 |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Cell-surface decoration with active agents |
KR100953917B1 (ko) * | 2009-04-30 | 2010-04-2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체의 Fc 영역에 특이적 결합능을 가지는 리포펩타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항원 인지형 지질 나노입자 |
JP6845691B2 (ja) | 2013-11-01 | 2021-03-24 | イェール ユニバーシティーYale University | 免疫療法のための調節粒子 |
WO2015109325A1 (en) * | 2014-01-20 | 2015-07-23 |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cells and methods of use |
MX2016012893A (es) * | 2014-04-03 | 2017-05-12 | Invictus Oncology Pvt Ltd | Sustancias terapéuticas combinadas supramoleculares. |
CA2957354A1 (en) * | 2014-09-12 | 2016-03-17 | Genentech, Inc. | Cysteine engineered antibodies and conjugates |
WO2016167809A1 (en) * | 2015-04-17 | 2016-10-20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Improved t-dm1 therapy |
CN107708741A (zh) | 2015-06-12 | 2018-02-16 | 免疫医疗公司 | 用嵌合抗原受体(car)构建体和表达car构建体的t细胞(car‑t)或nk细胞(car‑nk)进行的疾病疗法 |
CN109789190A (zh) | 2016-06-30 | 2019-05-21 | 河谷控股Ip有限责任公司 | Nant癌症疫苗 |
CN107789366A (zh) * | 2016-09-05 | 2018-03-13 | 拜西欧斯(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 细胞‑抗体复合物及其制备方法 |
-
2019
- 2019-09-20 CA CA3113645A patent/CA3113645A1/en active Pending
- 2019-09-20 KR KR1020217011380A patent/KR202100971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9-20 JP JP2021516606A patent/JP7467429B2/ja active Active
- 2019-09-20 US US17/277,828 patent/US12180300B2/en active Active
- 2019-09-20 EP EP19863403.2A patent/EP3853258A4/en active Pending
- 2019-09-20 WO PCT/US2019/052097 patent/WO2020061419A1/en unknown
- 2019-09-20 AU AU2019343965A patent/AU2019343965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53258A4 (en) | 2022-11-16 |
JP7467429B2 (ja) | 2024-04-15 |
CA3113645A1 (en) | 2020-03-26 |
AU2019343965A1 (en) | 2021-04-29 |
WO2020061419A1 (en) | 2020-03-26 |
JP2022502377A (ja) | 2022-01-11 |
US20210353768A1 (en) | 2021-11-18 |
EP3853258A1 (en) | 2021-07-28 |
US12180300B2 (en) | 2024-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16862B2 (ja) | 小細胞肺癌に対する標的療法 | |
DK2513146T3 (en) | Antibodies against ROR1 capable of inducing cell death by CLL | |
KR100386492B1 (ko) | 괴사유발물질과괴사에의해활성화되는물질을함유하는,종양및염증질환치료용배합제제로서의약제학적조성물 | |
KR20180123214A (ko) |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
JP2014500278A (ja) | 二重特異性scFvコンジュゲートの投薬量および投与 | |
US20230312745A1 (en) | Modular platform for targeted therapeutics | |
KR102578682B1 (ko) | Il8의 emt 경로 차단 및 암 줄기 세포 극복(il8 bloking emt pathway and overcoming cancer stem cells) | |
Capolla et al. | A new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LL using chlorambucil/hydroxychloroquine-loaded anti-CD20 nanoparticles | |
JP2020518639A (ja) | 有効性がより大きくかつ毒性がより少ない腫瘍標的指向方法及び試薬 | |
Lee et al. | One‐Step Method for Instant Generation of Advanced Allogeneic NK Cells | |
TW202134278A (zh) | 用於治療腫瘤之epha3導向car-t細胞 | |
US12180300B2 (en) | Targeting moiety-drug grafted immune cel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
US11623953B2 (en) | Antibody constructs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 |
US20200093789A1 (en) | Cancer Treatment with a CXCL12 Signaling Inhibitor and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 |
JP2022541765A (ja) | 抗grp78抗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7407452B2 (ja) | がんの治療及び/又は予防のための医薬 | |
Aniogo et al. | Targeting CEA in metastatic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with image-guided radiation followed by Fab-mediated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cell therapy | |
JP2022017358A (ja) | 癌の治療のための抗fugetactic剤の局所的送達 | |
EP4401779A1 (en) | Herv-k antibody therapeutics | |
JP2018531229A6 (ja) | 癌の治療のための抗fugetactic剤の局所的送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