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356A -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3356A KR20200053356A KR1020180136882A KR20180136882A KR20200053356A KR 20200053356 A KR20200053356 A KR 20200053356A KR 1020180136882 A KR1020180136882 A KR 1020180136882A KR 20180136882 A KR20180136882 A KR 20180136882A KR 20200053356 A KR20200053356 A KR 202000533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hook
- wedge
- hook
- coupling pin
- safety 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잠금식 퀵커플러(1)에 관한 것으로, 외부몸체(3); 작업기구의 제1 결합핀(P1)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훅(5); 고정위치로 회동한 때 상기 작업기구의 제2 결합핀(P2)을 물어 고정하고, 고정 해제위치로 회동한 때 상기 제2 결합핀(P2)을 풀어 고정 해제하는 가동훅(7); 상기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가동훅(7)을 작동시키는 작동실린더(9); 및 상기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가동훅(7)의 회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안전잠금뭉치(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커터나 버킷과 같은 작업기구를 붐에 작업기구의 결합핀을 퀵커플러에 물린 때, 결합핀에 고정되는 가동훅이 작동실린더 등의 고장으로 인해 결합핀에 대한 고정력을 상실하더라도, 안전잠금뭉치에 의해 가동훅을 고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커플러에서 분리되는 작업기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잠금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절단기나 굴삭기 등 각종 건설기계장비의 붐 선단에 장착되어 작업 종류에 따라 작업기구를 착탈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퀵커플러에 있어서, 커터나 버킷 등의 결합핀을 고정하는 가동훅을 고정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안전잠금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절단기나 굴삭기 등과 같이 붐을 사용하는 건설기계장비는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붐 말단의 작업기구가 교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건설기계장비를 위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기구의 교체가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바, 이를 위해 붐 선단에 채용되는 것이 퀵 커플러이다.
퀵 커플러는 위와 같이 작업기구의 호환을 가능하게 해야 할 뿐 아니라, 최근에는 작업기구의 교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하나로 본 출원인은 퀵 커플러용 안전 잠금장치(등록특허 제10-1542226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잠금장치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103)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훅(105), 가동훅(107), 고정훅 걸쇠(109), 가동훅 걸쇠(111), 작동실린더(113), 및 훅 연동링키지(115) 등에 의해 버킷과 같은 작업기구의 결합핀(P1,P2)을 파지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기구를 착탈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잠금장치(101)는 작업기구를 분리할 때, 가동훅(107)의 회동을 고정훅 걸쇠(109)의 회동과 연계시키기 위해, 훅 연동링키지(115)를 채용하는 바, 작동실린더(113)가 축소되어 가동훅(107)을 피벗핀(133)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은선으로 표시된 고정 해제위치까지 개방하는 과정에서 가동훅(107)이 훅 연동링키지(115)의 작동롤러(141)를 가압하여 작동바(143)를 통해 고정훅 걸쇠(10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훅 걸쇠(109)는 가동훅(107)의 회동과 연동하여 은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개방됨으로써 제1 결합핀(P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게 되며, 걸쇠 연동링키지(117)에 의해 가동훅 걸쇠(111)도 개방된다. 반대로, 작업기구를 연결할 때는 작동실린더(113)를 신장시켜 가동훅(107)에 의해 제2 결합핀(P2)을 고정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롤러(141)에 대한 가동훅(107)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고정훅 걸쇠(109)가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잠금위치로 복귀하여 제1 결합핀(P1)을 파지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퀵 커플러용 안전 잠금장치(101)는 가동훅(107)의 회동에 고정훅 걸쇠(109)와 가동훅 걸쇠(111)의 회동을 연동시키기 위해 훅 연동링키지(115)와 걸쇠 연동링키지(117)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기구물을 사용하는 바, 부품의 마모나 손상 등 고장의 가능성이 높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작동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상대적으로 높고, 유지관리가 상대적으로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이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생산 시 조립공수와 시간이 늘어나고, 따라서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등 생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작동실린더나 가동훅, 가동훅 걸쇠, 또는 고정훅 걸쇠 등 각 부품들의 연동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들 상호 간의 연동을 피할 수 없고, 따라서 부품들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퀵커플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업기구를 착탈식으로 신속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동실린더 등 내부 부품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작업기구의 분리를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작업기구의 분리 방지를 위한 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나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몸체; 상기 외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기구의 제1 결합핀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훅; 상기 고정훅의 대향측에서 상기 외부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위치로 회동한 때 상기 작업기구의 제2 결합핀을 물어 고정하고, 고정 해제위치로 회동한 때 상기 제2 결합핀을 풀어 고정 해제하는 가동훅; 일단이 상기 외부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훅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결합핀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가동훅을 작동시키는 작동실린더; 및 상기 제2 결합핀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가동훅의 회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안전잠금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잠금뭉치는 상기 가동훅의 힘점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외부몸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동훅의 회동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잠금뭉치는, 상기 가동훅에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된 쐐기; 및 상기 쐐기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쐐기가 상기 가동훅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쐐기를 삽입하도록 상기 가동훅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쐐기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가동훅을 구속할 때 상기 쐐기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외부몸체 일측에 형성된 쐐기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쐐기구멍은, 내측 개방구를 마감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지지되도록 내장되어, 상기 쐐기의 왕복 운동에 대해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반발하도록 되어 있는 반발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전잠금식 퀵커플러에 따르면, 커터나 버킷과 같은 작업기구의 결합핀을 퀵커플러에 물린 때, 결합핀에 고정되는 가동훅이 작동실린더 등의 고장으로 인해 작동 불능이 되어 결합핀에 대한 고정력을 상실하더라도, 안전잠금뭉치에 의해 가동훅을 고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커플러에서 분리되는 작업기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안전잠금뭉치가 쐐기와 작동수단에 의해 간단히 구현되므로, 커플러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나 생산 효율성을 배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성이나 가용수명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수단에 의해 운동하는 쐐기가 작동수단이 작동 정지된 상태에서 가동훅을 고정위치에 구속하도록 하고 있므로, 만일의 경우 작동실린더와 작동수단이 동시에 고장을 일으키더라도, 가동훅이 가동 불능하여 회동은 못하지만, 고정위치를 유지하여 결합핀과의 연결을 고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퀵커플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잠금식 퀵커플러를 작업기구 조립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안전잠금뭉치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쐐기에 의한 가동훅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잠금식 퀵커플러를 작업기구 조립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안전잠금뭉치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쐐기에 의한 가동훅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잠금식 퀵커플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커플러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몸체(3), 고정훅(5), 가동훅(7), 작동실린더(9), 및 안전잠금뭉치(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외부몸체(3)는 퀵커플러(1)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재로 이루어진 전면판(21)과 후면판(23)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25)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외부몸체(3)는 연결봉(25) 등을 통해 굴삭기 등의 붐대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훅(5)이나 가동훅(7) 등의 파지수단에 의해 버킷이나 집게, 브레이커, 커터 등의 작업기구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훅(5)은 위에서 언급한 버킷이나 커터와 같은 작업기구의 결합핀 중 제1 결합핀(P1)을 끼워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구의 제1 결합핀(P1)을 끼워 고정하도록 외부몸체(3)의 일측에 즉, 도 2의 우측 하단에 우측방으로 개방된 갈고리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동훅(7)은 고정훅(5)의 대향측에서 작업기구의 제2 결합핀(P2)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갈고리 손잡이 위치에 해당하는 일단이 외부몸체(3)의 일측에 즉, 고정훅(5)과 대향하는 도면 상 좌측 하단에 제1 회동핀(3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동훅(7)은 작동실린더(9)에 의해 제1 회동핀(3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며, 회동 위치에 따라 작업기구의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 해제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고정위치에서는 제2 결합핀(P2)을 물어 고정하고, 반대로 도 3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한 고정 해제위치에서는 제2 결합핀(P2)을 풀어 고정 7한다. 이와 같이 가동훅(7)의 작용점측단(L)이 외부몸체(3)의 중심을 향하여 오므라들어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므로, 이러한 퀵커플러(1)를 풀(pull) 타입이라고 한다.
상기 작동실린더(9)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동훅(7)을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도면 상 우측단 즉, 실린더 몸체(51)의 고정단이 외부몸체(3)에 제2 회동핀(3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면 상 좌측단 즉, 푸시로드(53)의 말단이 가동훅(7)의 힘점측단(E)에 푸시로드핀(3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실린더(9)는 신축 동작에 의해 가동훅(7)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위치로 회동시키는 바, 신장될 때는 가동훅(7)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위치에 위치시키고, 반대로 수축될 때는 가동훅(7)을 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2와 같이 고정 해제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안전잠금뭉치(11)는 퀵커플러(1) 특히 작동실린더(9)의 고장을 대비하여 가동훅(7)을 고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안전수단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위치에서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는 가동훅(7)을 구속하여 회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며, 그 외의 위치에서는 가동훅(7)의 회동을 허용한다. 이때, 안전잠금뭉치(11)는 물론, 작동된 상태에서 가동훅(7)의 회동을 구속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이 정지한 때 가동훅(7)의 회동을 구속하여 가동훅(7)을 고정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당연히 안전잠금뭉치(11)는 작동된 때, 가동훅(7)의 회동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안전잠금뭉치(11)는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훅(7)의 힘점측단(E)에 장착되어, 작동 시 외부몸체(3)에 끼워짐으로써 고정위치에서 가동훅(7)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잠금뭉치(11)는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쐐기(37)와 작동수단(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쐐기(37)는 직접적으로 가동훅(7)의 회동을 구속하는 부재로서,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몸체(3)의 두께 방향으로 즉,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로 가동훅(7) 또는 그 외의 부분에 장착된다. 즉, 쐐기(37)는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안전잠금뭉치(11)의 작동 또는 작동정지에 따라, 어느 부위든 가동훅(7)의 일부분을 걸어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위치에 장착되면 된다. 그러나, 쐐기(37)는 되도록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훅(7) 일측에 쐐기(37)를 삽입하도록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공(41)에 끼워져 안내공(41)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이웃한 부재에 걸림으로써 가동훅(7)의 회동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동훅(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점측단(L)을 이루는 갈고리모양의 고리부(71)와 힘점측단(E)을 이루면서 고리부(71)를 샌드위치 형태로 개재하고 있는 한 쌍의 힌지부(73,74)로 이루어지는 바, 힌지부(73,74)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두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쐐기(37)를 전후 왕복 가능한 상태로 안내공(41)에 장착하기 위해, 안내공(41)이 형성된 전방 힌지부(73)보다 후방 힌지부(74)의 폭이 더 좁게 되어 있다. 즉, 힌지부(73,74)는 푸시로드핀(36) 양단을 끼울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며, 전방 힌지부(73)는 안내공(41)을 형성할 정도의 폭을 더 가진다. 또한, 고리부(71)는 후술하는 작동수단(39)을 지지하도록 상면에 지지블록(75)이 부착된다.
물론, 쐐기(37)는 안내공(41)에 삽입되더라도, 두께방향으로 전후진하면서 이웃한 부재에 걸려 가동훅(7)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훅(7)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때 쐐기구멍(43)에 끼워짐으로써, 가동훅(7)의 회동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쐐기구멍(43)은 가동훅(7) 고정위치에서 안내공(41)과 정렬되도록 전면판(21)에 형성된다.
상기 작동수단(39)은 위와 같은 쐐기(37)를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수단으로, 위치나 구조에 관계없이 쐐기(37)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채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37) 일단을 직간접적으로 가압하여 왕복 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한다. 이때, 유압실린더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유압라인(44)을 통해 연결된 작동실린더(9) 유압원으로부터 또는 별도의 유압원으로부터 유압을 공급 받음으로써, 쐐기(37)가 가동훅(7)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동수단(39)으로 유압실린더를 채용하는 경우, 쐐기(37)는 물론, 유압실린더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작동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쐐기(37) 후단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결된 연계바(45)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압실린더를 작용시킬 수 있다. 이때, 연계바(45)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46)으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는 최소의 수압면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피스톤(46)과 접촉되는 연계바(45)의 위상을 유지하도록 예컨대, 쐐기(37)는 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또는 쐐기(37)의 자전에 관계없이 쐐기(37)와 항상 접촉을 유지하도록 연계바(45)를 쐐기(37)를 중심으로 하는 원판의 형태(미도시)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쐐기(37)는 위와 같이 작동수단(39)을 통해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됨에 있어, 작동수단(39)으로 채용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유압실린더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고 작동 정지 시에 원위치로 복원하면서 왕복 운동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쐐기구멍(43)은 캡부재(55)와 반발스프링(5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캡부재(55)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37)가 끼워진 안내공(41)의 쐐기구멍(43) 대향측단 후단의 개방구를 마감하는 수단으로, 안내공(41) 내부에 장착되는 반발스프링(57)의 일단 즉,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반발스프링(57)은 캡부재(55)에 의해 지지되도록 안내공(41) 내에서 쐐기(37)의 어깨부와 캡부재(55) 사이에 개재되는 바, 쐐기(37)의 왕복 운동에 대해 전후진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반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수단(39)이 작동한 때 쐐기(37)에 의해 압축되고, 작동수단(39)의 작동이 정지된 때 반발력에 의해 쐐기(37)를 원위치시킴으로써, 안내공(41)을 따라 쐐기(37)를 왕복 운동시킨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잠금식 퀵커플러(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퀵커플러(1)에 버킷이나 커터와 같은 작업기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기구의 제1 결합핀(P1)을 고정훅(5)에 끼우는 동시에 제2 결합핀(P2)이 가동훅(7)과 인접한 잠금바(28)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작동실린더(9)를 동작시키면, 푸시로드(53)가 도면 상 좌측으로 신장되면서 가동훅(7)을 화살표(A)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동훅(7)은 하단의 고리부(71)가 점차 제2 결합핀(P2) 쪽으로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도 2와 같이 제2 결합핀(P2)을 잠금바(28)와 사이에 고정하며, 그 결과 제2 결합핀(P2)은 고정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위치에서 안내공(41)과 쐐기구멍(43)이 정렬되며,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수단(39)의 작동이 정지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쐐기(37)는 반발스프링(57)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함으로써 쐐기구멍(43) 안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쐐기(37)가 안내공(41)과 쐐기구멍(43)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가동훅(7)은 전면판(21)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회동할 수 없도록 구속된다.
이후, 가동훅(7)을 고정위치에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작동수단(39) 즉, 유압실린더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신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동수단(39)이 신장되면, 연계바(45)가 작동수단(39)에 의해 후진하고, 따라서 쐐기(37)도 후진하게 되며, 쐐기(37)는 반발스프링(57)을 압축시키면서 후퇴하여 쐐기구멍(4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렇게 해서, 쐐기(37)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가동훅(7)은 작동실린더(9)의 수축에 의해 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2 결합핀(P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고정훅(5)으로부터 제1 결합핀(P1)을 빼내어 고정을 해제시키면 고정훅(5)과 가동훅(7)으로부터 제1 및 제2 결합핀(P1,P2)이 분리된 작업기구를 퀵커플러(1)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추후 작업 시 위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작업기구를 재차 착탈할 수 있게 된다.
1 : 퀵커플러 3 : 외부몸체
5 : 고정훅 7 : 가동훅
9 : 작동실린더 11 : 안전잠금뭉치
21 : 전면판 23 : 후면판
37 : 쐐기 39 : 작동수단
41 : 안내공 43 : 쐐기구멍
45 : 연계바 55 : 캡부재
57 : 반동스프링 71 : 고리부
73, 74 : 전후방 힌지부 E : 힘점측단
L : 작용점측단 P1, P2 : 제1 및 제2 결합핀
5 : 고정훅 7 : 가동훅
9 : 작동실린더 11 : 안전잠금뭉치
21 : 전면판 23 : 후면판
37 : 쐐기 39 : 작동수단
41 : 안내공 43 : 쐐기구멍
45 : 연계바 55 : 캡부재
57 : 반동스프링 71 : 고리부
73, 74 : 전후방 힌지부 E : 힘점측단
L : 작용점측단 P1, P2 : 제1 및 제2 결합핀
Claims (6)
- 외부몸체(3);
상기 외부몸체(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기구의 제1 결합핀(P1)을 끼워 고정하는 고정훅(5);
상기 고정훅(5)의 대향측에서 상기 외부몸체(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위치로 회동한 때 상기 작업기구의 제2 결합핀(P2)을 물어 고정하고, 고정 해제위치로 회동한 때 상기 제2 결합핀(P2)을 풀어 고정 해제하는 가동훅(7);
일단이 상기 외부몸체(3)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훅(7)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가동훅(7)을 작동시키는 작동실린더(9); 및
상기 제2 결합핀(P2)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가동훅(7)의 회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안전잠금뭉치(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뭉치(11)는 상기 가동훅(7)의 힘점측단(E)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외부몸체(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동훅(7)의 회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뭉치(11)는,
상기 가동훅(7)에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된 쐐기(37); 및
상기 쐐기(37)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쐐기(37)가 상기 가동훅(7)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작동수단(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쐐기(37)를 삽입하도록 상기 가동훅(7)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쐐기(37)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가동훅(7)을 구속할 때 상기 쐐기(37)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외부몸체(3) 일측에 형성된 쐐기구멍(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쐐기구멍(43)은,
내측 개방구를 마감하는 캡부재(55); 및
상기 캡부재(55)에 지지되도록 내장되어, 상기 쐐기(37)의 왕복 운동에 대해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반발하도록 되어 있는 반발스프링(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882A KR20200053356A (ko) | 2018-11-08 | 2018-11-08 |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882A KR20200053356A (ko) | 2018-11-08 | 2018-11-08 |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356A true KR20200053356A (ko) | 2020-05-18 |
Family
ID=7091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882A Abandoned KR20200053356A (ko) | 2018-11-08 | 2018-11-08 |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5335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298742A1 (en) * | 2021-03-18 | 2022-09-22 | Acb Pume | Assembly for securely coupling a tool on a working arm of a public works machine with improved operation |
KR102674014B1 (ko) * | 2023-06-22 | 2024-06-11 | 주식회사 제이케이 | 퀵커플러용 분리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636B1 (ko) | 2009-07-24 | 2011-10-04 | 한병량 | 밀봉링이 수축되는 필터장치 |
-
2018
- 2018-11-08 KR KR1020180136882A patent/KR20200053356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636B1 (ko) | 2009-07-24 | 2011-10-04 | 한병량 | 밀봉링이 수축되는 필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298742A1 (en) * | 2021-03-18 | 2022-09-22 | Acb Pume | Assembly for securely coupling a tool on a working arm of a public works machine with improved operation |
KR102674014B1 (ko) * | 2023-06-22 | 2024-06-11 | 주식회사 제이케이 | 퀵커플러용 분리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76631B1 (en) | Coupler for excavators | |
US7707755B2 (en) | Removable device for attaching two mechanical parts | |
CN101688381B (zh) | 用于连接执行机构和机器臂的快速联接器组件 | |
US9670642B2 (en) | Coupler for coupling attachments to excavation machines | |
CN113557336B (zh) | 联接器 | |
US20130160268A1 (en) | Quick coupler | |
EP2055842B1 (en) | Device with safety block for connecting a tool to an operating means | |
KR20200053356A (ko) | 안전잠금식 퀵커플러 | |
JP4912280B2 (ja) | アタッチメントカプラ | |
KR101793948B1 (ko) | 안전잠금식 퀵 커플러 | |
US3769859A (en) | Sealing mechanism | |
KR20180042519A (ko) | 풀타입 이중잠금 퀵 커플러 | |
EP3567163B1 (en) |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 |
KR102353169B1 (ko) | 굴삭기용퀵커플러 | |
KR101785211B1 (ko) | 풀타입 이중잠금 퀵 커플러 | |
KR20180001622A (ko) | 푸시타입 이중잠금 퀵 커플러 | |
EP2832931B1 (en) | Quick coupler for connection of an implement to a work machine | |
KR102105629B1 (ko) | 퀵 커플러 | |
KR20240118745A (ko) | 커플러 | |
ZA200608905B (en) | Device for removably fixing two mechanical parts to one anot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4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