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336A -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7336A KR20200007336A KR1020180081335A KR20180081335A KR20200007336A KR 20200007336 A KR20200007336 A KR 20200007336A KR 1020180081335 A KR1020180081335 A KR 1020180081335A KR 20180081335 A KR20180081335 A KR 20180081335A KR 20200007336 A KR20200007336 A KR 20200007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auxiliary sheet
- lifting
- gear
- passeng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 B60N2/02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용 시트에 승용차에 승차한 임산부, 노약자 등의 승차자가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는 하차 편의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승차자가 탑승하는 좌석부에 수용홀을 마련하고, 그 수용홀에 보조시트를 매립한 후 보조시트가 승강장치와 회전장치에 의하여 구동토록 하며, 승강장치는 승강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웜샤프트, 그 웜샤프트와 외치합하여 연동하는 승강기어, 그 승강기어와 동일축으로 회전하는 승강캠이 형성되어 보조시트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회전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가동기어, 그 가동기어와 외치합하여 연동하는 회전기어, 그 회전기어와 동일축으로 회전되는 조향판이 형성되고, 그 조향판에 보조시트와 승강장치가 장착되어 보조시트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엉덩이가 닫는 부분인 보조시트만을 상승되게 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임산부, 노약자 등의 승차자가 몸을 돌리지 않고 쉽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 작동하는 보조시트를 이용하여 유아 및 어린이용 부스터 시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용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용차에 승차한 임산부, 노약자 등의 승차자가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유아가 승차하는 경우에는 보조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는 실내에는 앞쪽에 운전자와 동승자가 앉을 수 있는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뒤쪽에 통상 세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뒷좌석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승용차의 좌석은 승차자가 착석할 경우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엉덩이 부분의 좌판부가 아래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임산부나 다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 등은 하차할 때 승용차의 전방으로 향해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 몸을 도어쪽으로 돌린 다음 굽혀져 있는 무릎을 펴면서 몸을 일으켜 세워서 하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07567호(참고문헌 1),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9-0025311호(참고문헌 2),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2500호(참고문헌 3),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54110호(참고문헌 4), 특허 등록번호 제10-1799685호(참고문헌 5) 등이 제안된 바 있고, 어린이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으로는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053242호(참고문헌 6)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차자가 도어를 개방함과 동시에 시트가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시트 위쪽에 설치된 썬루프가 개방되어 승차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 승차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참고문헌 2는 장애자용 자동차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가 도어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참고문헌 3은 자동차 회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부분과 방석 부분이 분리되어, 방석 부분이 도어 방향으로 실외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참고문헌 4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 쿠션의 일부를 분리시키고, 그 내부에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를 설치하여, 시트 쿠션의 일부를 도어쪽으로 회전시켜 간편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참고문헌 5는 자동차 리어시트용 하차 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시트에 틸팅좌석을 내장하여 엉덩이와 허리 부분을 경사지게 들어올려 편안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참고문헌 6은 보조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의 내부에 상승 가능한 보조시트를 장착한 다음, 어린이가 승차한 경우에는 보조시트를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 참고문헌 1, 5는 시트를 단순히 상승시키는 것에 불과하여, 승차자가 도어쪽으로 몸을 돌려서 하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고, 위 참고문헌 2 내지 4는 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전시켜서 승차자가 하차할 때 몸을 도어 쪽으로 돌리지 않고 하차할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시트 또는 그 일부를 단순히 회전시킬 뿐, 상승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임산부나 다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하차를 위해 시트에서 일어설 때, 자기의 체중으로 인해 굽혀져 있는 무릎을 펴서 일어서기가 힘드는 문제가 있다.
위 참고문헌 2 내지 4 중에서, 참고문헌 2는 시트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어서, 뒷좌석 시트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앞좌석 시트에 이용할 경우에도 회전하는 과정에서 등받이 부분 등이 승용차의 다른 부분에 걸릴 수 있어서 회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참고문헌 3은 등받이 부분을 제외한 방석 부분만 실외로 회전하도록 된 것인데, 참고문헌 2와 마찬가지로 뒷좌석 시트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참고문헌 4는 시트 전체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 쿠션의 일부가 회전하도록 한 것인데, 시트 전체가 회전하는 것에 비해서 회전이 원활한 이점은 있으나, 이것 역시 시트가 상승하는 것이 아니어서, 임산부나 노약자가 하차를 위해 시트에서 일어서기가 힘든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고, 시트 쿠션의 일부가 승용차의 외부로 회전되는 것이어서, 좁은 주차 공간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위 참고문헌 6은 보조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의 내부에 보조시트를 장착하여 어린이가 승차할 경우에 보조시트를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보조시트가 회전하도록 된 것이 아니어서, 이것을 임산부, 노약자 등을 위한 하차 편의 장치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보조시트가 회전이 되지 않는 것이어서, 위 참고문헌 1, 5와 마찬가지로, 승차자가 도어쪽으로 몸을 돌려서 하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가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용차에 승차한 임산부, 노약자 등의 승차자가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승용차 앞좌석 또는 뒷좌석 시트의 엉덩이가 닫는 부분만을 상승되게 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임산부, 노약자 등의 승차자가 몸을 돌리지 않고 쉽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하차하기 위해서 시트에서 일어설 때 별로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뒷좌석 시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엉덩이가 닫는 부분이 승용차의 실내에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좁은 주차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아울러 어린이나 유아가 승차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엉덩이가 닫는 부분을 상승시켜 어린이용 보조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승용차의 시트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에 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에 맞는 크기와 형상의 보조시트를 승강장치 및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서 보조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어린이용 보조시트로 사용하거나, 또는 보조시트를 높낮이 조절함과 동시에 회전기능을 활용하여 하차 편의 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승차자가 탑승하는 좌석부에 수용홀을 마련하고, 그 수용홀에 보조시트를 매립한 후 보조시트가 승강장치와 회전장치에 의하여 구동토록 하며, 승강장치는 승강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웜샤프트, 그 웜샤프트와 외치합하여 연동하는 승강기어, 그 승강기어와 동일축으로 회전하는 승강캠이 형성되어 보조시트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회전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가동기어, 그 가동기어와 외치합하여 연동하는 회전기어, 그 회전기어와 동일축으로 회전되는 조향판이 형성되고, 그 조향판에 보조시트와 승강장치가 장착되어 보조시트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에 의하면, 임산부 및 노약자가 하차할 때 엉덩이를 밀어올리고 도어측으로 신체를 돌려서 허리에 가중되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승차자의 하차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이고, 이 작동이 컨트롤러에 의하여 간편하게 조작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구조를 매우 간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구조의 간소화로 인하여 고장발생률이 매우 낮아 제품의 신뢰성에 기여할 수 있고, 기어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어린이나 유아가 승차하는 경우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사용할 필요없이 유아나 어린이의 체격에 맞추어 보조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어린이용 보조시트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부스터 시트를 상시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부피가 지나치게 큰 부스터 시트를 보관할 공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차량 내부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승차하고 있는 유아나 어린이를 보호자가 안고 내려야 할 때 또는 노약자를 보호자가 부축하여야 하는 경우, 보호자가 상체를 차량 내부로 숙인 상태로 안거나 부축할 필요가 없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유아를 안거나 노약자를 부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착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시트와 승강장치와 회전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절개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시트의 탈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시트와 승강장치와 회전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절개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시트의 탈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는, 승차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부(100)와 승차자의 등이 받쳐지는 등받이부(150)로 이루어지는 시트에 있어서, 임산부나 노인, 환자 등과 같이 다리 힘이 약한 노약자가 하차하는 경우 다리와 허리에 무리가 가는 것을 줄여줄 수 있도록 엉덩이를 들어올리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석부에는 수용홀(110)이 형성되고, 그 수용홀에는 보조시트(200)가 설치되어 엉덩이를 들어 올리는 승강작동 및 엉덩이를 회전시키는 회전작동을 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시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보조시트에 결합되어 보조시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장치(300)와, 상승된 보조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400)와, 이 승강장치 및 회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보조시트의 높낮이 및 회동각도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석부(100) 및 등받이부(150)는 시트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이 구비되어 전,후방을 틸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외측에는 쿠션이 덧씌워져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시트(200)를 작동하기 위한 승강장치(300)와 회전장치(400)는 자동차 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좌석부(100)를 구성하는 쿠션에는 프레임에 장착된 승강장치와 회전장치에 의하여 승강 작동 및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때 좌석부의 상부로 보조시트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조시트(200) 및 그 보조시트(200)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자동차 시트의 종류에 따라서 운전석이나 조수석과 같은 독립시트 또는 승용차의 뒷자석과 같은 3열식의 리어시트에 구성될 수 있으며, 리어시트에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될 경우 좌,우 양측의 각 도어측에 수용홀(110)이 형성되어 그 수용홀에 하차 편의 장치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시트(200)는 승강장치 및 회전장치에 의하여 승강작동 및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는 시트장착대(210)가 구비되고, 그 상단에 쿠션재(220)가 구비되어 경질의 시트장착대와 연질의 쿠션재가 이형재질로 이중 구성될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보조시트(20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조시트(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승강구동모터(310)와, 웜샤프트(320)와, 승강기어(330)와, 승강캠(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모터(310)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기동력을 받아 구동되는 것으로, 이 승강구동모터(310)의 축에는 웜샤프트(320)가 연결되어 승강기어(330)의 회전을 유도한다.
즉, 웜샤프트(320)와 승강기어(330)의 기어산이 외치합되어 서로 연동되며, 이때 승강기어(330)에는 축샤프트(332)가 구비되어 축샤프트(332)에는 승강캠(340)이 장착되어 승강기어와 승강캠이 함께 회전작동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트(200)가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구동모터(3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웜샤프트(320)를 회전시켜 이에 연동되는 승강기어(330)와 승강캠(340)을 회전시켜 승강캠의 돌출된 부위가 보조시트의 시트장착대(210) 하부를 견인하여 보조시트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트(200)가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구동모터(3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웜샤프트(320)를 회전시켜 이에 연동되는 승강기어(330)와 승강캠(340)을 회전시켜 승강캠의 돌출된 부위가 보조시트의 시트장착대(210) 하부로부터 이탈하면서 보조시트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승강캠(340)의 회전반경을 제어함으로써 보조시트(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승강구동모터(310)로 스탭모터를 사용하면 승강캠의 회전반경을 다단계로 설정하여 1단, 2단, 3단 등으로 보조시트의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300)는 보조시트(200)가 승강 작동할 때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유지수단(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수평유지수단은 시트장착대(210)의 하단에 하부로 길게 형성된 승강축(352)을 구비하고, 조향판(440)의 상단에는 승강축이 수용될 수 있도록 실린더가이드(354)가 구비되어 보조시트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질 때 승강축이 실린더가이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보조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시트(200)의 원활한 회전 작동을 위해서는 보조시트가 장착되는 좌석부(100)의 수용홀(110) 및 보조시트(200)의 상부 구조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수평유지수단(350)은 보조시트(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승강축 및 실린더가이드를 구비하여 보조시트의 기울어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승강축(352)의 외경과 실린더가이드(354)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게 원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비틀림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장치(400)는 승강장치(30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조시트(200) 및 승강장치(300)를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회전구동모터(410)와, 가동기어(420)와, 회전기어(430)와, 조향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모터(410)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기동력을 받아 구동되는 것으로, 이 회전구동모터(410)의 축에는 가동기어(420)가 연결되어 회전기어(430)의 회전을 유도한다.
즉, 가동기어(420)와 회전기어(430)의 기어산이 외치합되어 서로 연동되며, 이때 회전기어(430)에는 회동축(432)이 구비되어 회동축(432)에는 조향판(440)이 장착되어 회전기어와 조향판이 함께 회전작동 된다.
따라서 승차가가 보조시트에 의하여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가동기어(420)를 회전시켜 이에 연동되는 회전기어(430)와 조향판(440)을 회전시켜 보조시트(200)가 차량의 하차를 위한 도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보조시트(200)에 승차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회전구동모터(4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가동기어(420)를 회전시켜 이에 연동되는 회전기어(430)와 조향판(440)을 회전시켜 보조시트(200)가 차량의 상차를 위한 방향으로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기어와 회전기어의 기어비를 높게 할 수록 광역 각도에서 높은 정밀도로 보조시트(200)의 조향각을 조절하고 보조시트의 회전작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임산부, 노약자 등의 승차자가 몸을 돌리지 않고 쉽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하차하기 위해서 시트에서 일어설 때 별로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보조시트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장치(400)에는 조향판의 하단에 베이스판(450)이 구비되고 베이스판과 조향판의 사이에는 조향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작동을 유도토록 베어링(452)이 장착될 수 있다.
이 베어링(452)은 조향판의 하면과 베이스판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조향판의 하면에는 원형홈테를 상부로 내입되게 형성하고, 베이스판의 상면에는 원형홈테를 하부로 내입되게 형성하여 여러 개의 볼베어링을 내입홈테에 장착함으로써 조향판이 기울어지지 않고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조향판이 회전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재(220)는 시트장착대(21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구성될 수 있으며, 쿠션재의 탈부착을 위하여 탈착수단(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착수단(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장착대의 상부 또는 쿠션재의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벨크로퍼스너를 부착하고, 타측은 벨크로퍼스너에 탈착가능하도록 접착면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시트를 탈거하고 사용자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차량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시트(200)는 시트장착대(210)가 평판의 테두리가 하부로 절곡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시트장착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 수용홀과의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쿠션재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시트장착대(210)에는 하단 외주연을 따라서 외측으로 절곡된 이물질 수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석부의 수용홀과 보조시트(200)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차량 내부로 분산되지 않고 이물질 수납부(212)로 낙하되어 모여질 수 있게 되며, 상기의 방식대로 쿠션재(220)를 탈거한 후 이물질 수납부(212)에 모여있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500)는 승강장치 및 회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차자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작동 및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 컨트롤러(500)는 좌석부(100)의 측면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전석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애인차량과 같은 특수차량에는 자동차 도어의 필러 부분 등에 독립적으로 장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500)의 구동방식은 상,하 승강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거나 회전작동을 위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작동을 위한 조작부의 경우 원형으로 이루어져 양방향으로 각 단계별 미세한 출력조절이 가능한 조그셔틀로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좌석부
110: 수용홀
150: 등받이부
200: 보조시트 210: 시트장착대
220: 쿠션재 230: 탈착수단
300: 승강장치 310: 승강구동모터
320: 웜샤프트 330: 승강기어
340: 승강캠 350: 수평유지수단
400: 회전장치 410: 회전구동모터
420: 가동기어 430: 회전기어
440: 조향판 450: 베이스판
500: 컨트롤러
150: 등받이부
200: 보조시트 210: 시트장착대
220: 쿠션재 230: 탈착수단
300: 승강장치 310: 승강구동모터
320: 웜샤프트 330: 승강기어
340: 승강캠 350: 수평유지수단
400: 회전장치 410: 회전구동모터
420: 가동기어 430: 회전기어
440: 조향판 450: 베이스판
500: 컨트롤러
Claims (6)
- 승차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부(100)와 승차자의 등이 받쳐지는 등받이부(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석부에는 수용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에는 보조시트(200)가 설치되어 구성된 공지의 승용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에 결합되어 보조시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장치(300)와, 상승된 보조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400)와, 승강장치 및 회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높낮이 및 회동각도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50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시트(200)는 시트장착대(210)의 상단에 쿠션재(22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장치(300)는 승강구동모터(3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웜샤프트(320), 그 웜샤프트와 외치합하여 연동하는 승강기어(330), 그 승강기어와 동일축으로 회전하는 승강캠(340)이 형성되어 보조시트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장치(400)는 회전구동모터(4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가동기어(420), 그 가동기어와 외치합하여 연동하는 회전기어(430), 그 회전기어와 동일축으로 회전되는 조향판(440)이 형성되고, 그 조향판에 보조시트와 승강장치가 장착되어 보조시트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시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승강축(352)과, 그 승강축이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하 작동이 이루이지도록 조향판에 장착되는 실린더가이드(354)를 포함하는 수평유지수단(3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장치(400)는 조향판의 하단에 베이스판(450)이 구비되고 베이스판과 조향판의 사이에는 조향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작동을 유도토록 베어링(45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시트장착대(210)가 평판의 테두리가 하부로 절곡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시트장착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재(220)는 시트장착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탈착수단(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장착대(210)는 회전시 수용홀과의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쿠션재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장착대(210)는 하단 외주연을 따라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용공간을 갖도록 이물질 수납부(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335A KR102107236B1 (ko) | 2018-07-12 | 2018-07-12 |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335A KR102107236B1 (ko) | 2018-07-12 | 2018-07-12 |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7336A true KR20200007336A (ko) | 2020-01-22 |
KR102107236B1 KR102107236B1 (ko) | 2020-05-06 |
Family
ID=693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335A KR102107236B1 (ko) | 2018-07-12 | 2018-07-12 |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72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1966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KR102351965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3401B1 (ko) * | 2020-01-22 | 2024-09-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
US11654800B2 (en) | 2021-05-28 | 2023-05-23 |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 Easy entrance/exit system for a vehicl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3242U (ko)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보조 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
KR0140663Y1 (ko) * | 1996-08-05 | 1999-04-01 | 대우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
KR19990025311U (ko) | 1997-12-16 | 1999-07-05 | 양재신 | 장애자용 자동차 시트 구조 |
JP2001097081A (ja) * | 1999-09-29 | 2001-04-10 | Toyota Auto Body Co Ltd | 車両用回転座席 |
KR200222500Y1 (ko) | 2000-08-28 | 2001-05-02 | 강철주 | 자동차 회전의자 |
KR200254110Y1 (ko) | 2001-08-14 | 2001-11-23 | 김학근 | 자동차용 시트쿠션 회전장치 |
KR20100021715A (ko) * | 2008-08-18 | 2010-02-26 | 형제테크(주) |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
KR101799685B1 (ko) | 2016-07-06 | 2017-11-20 | 장은영 | 자동차 리어시트용 하차 편의 장치 |
-
2018
- 2018-07-12 KR KR1020180081335A patent/KR1021072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0663Y1 (ko) * | 1996-08-05 | 1999-04-01 | 대우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
KR19980053242U (ko)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보조 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
KR19990025311U (ko) | 1997-12-16 | 1999-07-05 | 양재신 | 장애자용 자동차 시트 구조 |
JP2001097081A (ja) * | 1999-09-29 | 2001-04-10 | Toyota Auto Body Co Ltd | 車両用回転座席 |
KR200222500Y1 (ko) | 2000-08-28 | 2001-05-02 | 강철주 | 자동차 회전의자 |
KR200254110Y1 (ko) | 2001-08-14 | 2001-11-23 | 김학근 | 자동차용 시트쿠션 회전장치 |
KR20100021715A (ko) * | 2008-08-18 | 2010-02-26 | 형제테크(주) |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
KR101799685B1 (ko) | 2016-07-06 | 2017-11-20 | 장은영 | 자동차 리어시트용 하차 편의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1966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KR102351965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7236B1 (ko) | 2020-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7236B1 (ko) |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 |
KR101047342B1 (ko) | 전동 휠체어 | |
WO2011007625A1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13530740A (ja) | 移動支援機器 | |
KR20160142548A (ko) |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 |
KR102235701B1 (ko) |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 |
KR102423485B1 (ko) |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 |
KR101545158B1 (ko) | 접이식 전동 휠체어 | |
US10213071B2 (en) | Foldable chair frame adapted for bedpan | |
JP2004321630A (ja) | 電動車椅子 | |
KR101237362B1 (ko) |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 |
JP4720416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H09183325A (ja) | 自動車の座席回転移動装置 | |
KR101447550B1 (ko) | 접철식 전동 휠체어 | |
JP2009106692A (ja) | 介護用椅子 | |
CN112386408A (zh) | 一种方便乘坐的坐具 | |
KR102450105B1 (ko) | 침대 가변형 차량시트 | |
CN207617558U (zh) | 客车用升降旋转座椅 | |
JP3058272B2 (ja) | 電動車椅子 | |
JPS6159734B2 (ko) | ||
KR200329505Y1 (ko) | 안락의자 | |
CN214647783U (zh) | 一种汽车座椅枕头调节结构 | |
CN220309308U (zh) | 一种可移动座椅 | |
JP3466528B2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JPH10295738A (ja) | 走行式座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