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843A -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8843A KR20190128843A KR1020180053072A KR20180053072A KR20190128843A KR 20190128843 A KR20190128843 A KR 20190128843A KR 1020180053072 A KR1020180053072 A KR 1020180053072A KR 20180053072 A KR20180053072 A KR 20180053072A KR 20190128843 A KR20190128843 A KR 201901288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area
- electronic device
- sidewall
- proc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AOD 상태 설정과 관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 판단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 상태의 전자 장치의 AOD 오브젝트 출력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쇄 상태의 전자 장치의 AOD 오브젝트 출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AOD 오브젝트 출력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AOD 오브젝트 전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AOD 오브젝트 운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AOD 오브젝트 전환 및 운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다른 AOD 오브젝트 전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또 다른 AOD 오브젝트 전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또 다른 AOD 오브젝트 전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확장된 화면 영역에 대한 제1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확장된 화면 영역에 대한 제2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확장된 화면 영역에 대한 제3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확장된 화면 영역에 대한 제4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전자 장치의 확장된 화면 영역에 대한 제5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Claims (21)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구조물;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에 대면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한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하고 상기 제2 측벽에 평행한 제3 측벽을 포함하는 제2 구조물로써,
상기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3 측벽은 상기 제1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벽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구조물에 대하여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하는,
제2 구조물;
플렉시블(flexible)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로써,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면에 실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2 구조물의 제1 측벽과 상기 제1 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연장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바라보는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제2 구조물의 제1 측벽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구조물의 제1 측벽과 상기 제1 구조물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당겨지는,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비활성인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평면부의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의 제2 영역 또는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절곡 가능부의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구조물의 제1 측벽 사이에 있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구조물의 제1 측벽 사이에 있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구조물의 제1 측벽 사이에 해당하는 제4 영역에 상기 제1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4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제2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 시간 정보 또는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 구조물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비활성인 동안 상기 센서 회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더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활성인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 표시와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활성인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비활성인 동안, 상기 폐쇄 상태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에 지정된 표시 효과 또는 표시 객체를 부여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비활성인 동안,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평면부 또는 절곡 가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 표시를 제어하는 제1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 표시를 제어하는 제2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서브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서브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로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는 롤러블 모듈;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부로부터 상기 롤러블 모듈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로 연장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러블 모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개방 상태에서 화면 영역이 확장되는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 및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비활성 및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면 영역 중 지정된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비활성 및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된 화면 영역 중 상기 지정된 제1 영역의 상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 또는 상기 지정된 제1 영역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구조적 변형에 따라 화면 영역이 확장되는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 및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비활성 및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면 영역 중 지정된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비활성 및 상기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된 화면 영역 중 상기 지정된 제1 영역의 상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 또는 상기 지정된 제1 영역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비활성으로 구동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비활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면 영역 중 지정된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비활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된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3 영역에 상기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 확장을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검출하는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 표시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 하향된 제4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와 관계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에 지정된 표시 효과 또는 표시 객체를 부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확장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 또는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3072A KR102246777B1 (ko) | 2018-05-09 | 2018-05-09 |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16/407,855 US10990208B2 (en) | 2018-05-09 | 2019-05-09 |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 expandable screen area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US17/197,972 US11449119B2 (en) | 2018-05-09 | 2021-03-10 |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 expandable screen area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3072A KR102246777B1 (ko) | 2018-05-09 | 2018-05-09 |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843A true KR20190128843A (ko) | 2019-11-19 |
KR102246777B1 KR102246777B1 (ko) | 2021-04-30 |
Family
ID=6846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3072A Active KR102246777B1 (ko) | 2018-05-09 | 2018-05-09 |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10990208B2 (ko) |
KR (1) | KR102246777B1 (ko) |
Cited B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43191B1 (en) | 2020-07-31 | 2021-06-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
CN113037899A (zh) * | 2019-12-24 | 2021-06-25 | Lg电子株式会社 | 柔性显示设备 |
WO2021132743A1 (ko) * | 2019-12-23 | 2021-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1221184A1 (ko) * | 2020-04-27 | 2021-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22014907A1 (en) * | 2020-07-14 | 2022-0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
WO2022025681A1 (ko) * | 2020-07-29 | 2022-02-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또는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1244658B1 (en) | 2020-11-05 | 2022-0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panding display reg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
WO2022065979A1 (ko) * | 2020-09-28 | 2022-03-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085933A1 (ko) * | 2020-10-22 | 2022-04-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097857A1 (en) * | 2020-11-05 | 2022-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n flexible display |
WO2022103156A1 (ko) * | 2020-11-11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WO2022102959A1 (ko) * | 2020-11-16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전자 장치 |
WO2022103084A1 (ko) * | 2020-11-12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WO2022114548A1 (ko) * | 2020-11-27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WO2022114416A1 (ko) * | 2020-11-26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확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WO2022119237A1 (ko) * | 2020-12-03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WO2022119395A1 (ko) * | 2020-12-04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211307A1 (ko) * | 2021-03-31 | 2022-10-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 컨텐트를 표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US11609660B2 (en) | 2020-11-11 | 2023-03-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using the same |
US11860694B2 (en) | 2020-07-14 | 2024-01-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
US11907494B2 (en) | 2020-12-03 | 2024-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xpandable display,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f electronic device |
US11983355B2 (en) | 2020-11-18 | 2024-05-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US12026010B2 (en) | 2020-07-14 | 2024-07-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ing structure |
US12181917B2 (en) | 2020-07-14 | 2024-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
US12279388B2 (en) | 2020-12-04 | 2025-04-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US12284301B2 (en) | 2021-05-13 | 2025-04-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lid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US12292765B2 (en) | 2020-12-03 | 2025-05-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screen control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19225B2 (ja) | 2004-12-13 | 2011-07-06 | ジャイラス エーシーエムアイ インク | 内視鏡把持部及び内視鏡並びにその製造方法 |
USD912045S1 (en) | 2018-12-19 | 2021-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JP7237681B2 (ja) * | 2019-03-25 | 2023-03-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1646028S (ko) * | 2019-04-10 | 2021-11-08 | ||
CN110491289B (zh) * | 2019-07-29 | 2024-03-15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装置 |
US11106833B2 (en) * | 2019-09-06 | 2021-08-3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ntext aware sensitive data display |
US12081691B2 (en) * | 2019-11-14 | 2024-09-0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1112272A1 (ko) * | 2019-12-03 | 2021-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11061406B (zh) * | 2019-12-16 | 2022-04-01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
KR20220087476A (ko) * | 2019-12-19 | 2022-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
WO2021132744A1 (ko) * | 2019-12-23 | 2021-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WO2021141146A1 (ko) | 2020-01-06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711153B1 (ko) * | 2020-01-20 | 2024-09-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콘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1177482A1 (ko) * | 2020-03-03 | 2021-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13391694A (zh) * | 2020-03-13 | 2021-09-14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显示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
WO2021241774A1 (ko) * | 2020-05-27 | 2021-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220000270A (ko) * | 2020-06-25 | 2022-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014740A1 (ko) * | 2020-07-15 | 2022-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220016372A (ko) | 2020-07-30 | 2022-02-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기기 |
KR102224096B1 (ko) * | 2020-08-07 | 2021-03-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WO2022039294A1 (ko) * | 2020-08-19 | 2022-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WO2022065529A1 (ko) * | 2020-09-22 | 2022-03-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D973649S1 (en) * | 2020-09-25 | 2022-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D966259S1 (en) * | 2020-09-25 | 2022-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D973648S1 (en) * | 2020-09-25 | 2022-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KR102256681B1 (ko) * | 2020-10-19 | 2021-05-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D979548S1 (en) * | 2020-10-30 | 2023-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D973650S1 (en) * | 2020-10-30 | 2022-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WO2022098125A1 (en) * | 2020-11-06 | 2022-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20067325A (ko) | 2020-11-17 | 2022-05-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22119388A1 (ko) * | 2020-12-03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EP4184501A4 (en) * | 2020-12-04 | 2023-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compensating for residual image of display |
USD1061492S1 (en) * | 2020-12-18 | 2025-0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D1036427S1 (en) * | 2020-12-18 | 2024-07-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D1080573S1 (en) * | 2020-12-30 | 2025-06-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CN114815971B (zh) * | 2021-01-28 | 2023-12-0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2905091A (zh) * | 2021-02-09 | 2021-06-0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应用程序的启动方法、装置和电子设备 |
CN115769182A (zh) * | 2021-06-25 | 2023-03-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交互平板及其亮度调节方法 |
US20230049945A1 (en) * | 2021-08-10 | 2023-02-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dicating occurrence of ev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WO2023146133A1 (ko) | 2022-01-26 | 2023-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US11874704B2 (en) | 2022-02-22 | 2024-01-16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Lid display areas |
EP4472187A4 (en) * | 2022-03-03 | 2025-05-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
USD1043600S1 (en) * | 2022-03-16 | 2024-09-2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WO2023182685A1 (ko) * | 2022-03-22 | 2023-09-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WO2023195681A1 (ko) * | 2022-04-08 | 2023-10-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그립 형태에 따라 한 손 모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4082102A1 (zh) * | 2022-10-17 | 2024-04-25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阵列基板、显示装置及驱动方法 |
WO2024174052A1 (en) * | 2023-02-20 | 2024-08-29 | Qualcomm Incorporated | Hardware wake for display panel |
CN117707449B (zh) * | 2023-05-19 | 2024-12-03 | 荣耀终端有限公司 | 显示控制方法及相关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8343A (ko) * | 2008-09-04 | 2010-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KR20160123201A (ko) * | 2015-04-15 | 2016-10-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콘텐트 표시 방법 |
KR20170000553A (ko) * | 2015-06-24 | 2017-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17208552A1 (ja) * | 2016-06-01 | 2017-12-07 | 株式会社Nttドコモ | 携帯端末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37933B2 (en) * | 2000-09-26 | 2010-06-15 |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 Display unit and drive system thereof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
JP2003029957A (ja) * | 2001-07-16 | 2003-01-31 | Seiko Epson Corp | 情報処理装置 |
KR100455999B1 (ko) | 2002-09-24 | 2004-11-08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휴대폰의 절전을 위한 화면일부 표시 기능 제공 방법 |
KR100618816B1 (ko) * | 2003-12-10 | 2006-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서브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1155529A (ja) * | 2010-01-27 | 2011-08-11 | Kyocera Corp | 携帯端末装置 |
US20120133484A1 (en) * | 2010-11-29 | 2012-05-31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ultiple-input device lock and unlock |
US9927839B2 (en) * | 2011-05-03 | 2018-03-27 | DISH Technologies L.L.C. |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
US8711566B2 (en) * | 2011-09-02 | 2014-04-29 | Microsoft Corporation | Expandable mobile device |
KR101515629B1 (ko) * | 2012-01-07 | 2015-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WO2013147333A1 (en) * | 2012-03-27 | 2013-10-03 | Lg Electronics Inc. |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
KR101916416B1 (ko) * | 2012-07-30 | 2018-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KR102070244B1 (ko) * | 2012-08-01 | 2020-0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JP2014153531A (ja) * | 2013-02-08 | 2014-08-25 |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 表示装置 |
US20150082255A1 (en) * | 2013-09-16 | 2015-03-19 | Motorola Mobility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
US9753527B2 (en) * | 2013-12-29 | 2017-09-05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graphics buffers for a processor in sleep mode |
KR20150132918A (ko) * | 2014-05-19 | 2015-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
WO2015178518A1 (ko) * | 2014-05-21 | 2015-11-26 | 임유섭 | 사용자의 펼침조작력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
EP3872599A1 (en) * | 2014-05-23 | 2021-09-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160013748A (ko) * | 2014-07-28 | 2016-0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CN107077191B (zh) * | 2014-09-03 | 2020-04-28 | Lg 电子株式会社 |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KR102276023B1 (ko) | 2014-09-19 | 2021-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움직임 기반의 저전력 구현 방법 |
KR102342555B1 (ko) * | 2014-11-10 | 2021-1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US10937393B2 (en) | 2015-04-15 | 2021-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
TWI708169B (zh) * | 2015-06-02 | 2020-10-21 |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
KR102434865B1 (ko) * | 2015-11-27 | 2022-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467382B1 (ko) * | 2016-05-04 | 2022-11-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표시장치 |
KR102470945B1 (ko) * | 2016-06-15 | 2022-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WO2018026155A1 (en) * | 2016-08-01 | 2018-0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ouch |
-
2018
- 2018-05-09 KR KR1020180053072A patent/KR102246777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5-09 US US16/407,855 patent/US10990208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3-10 US US17/197,972 patent/US1144911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8343A (ko) * | 2008-09-04 | 2010-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KR20160123201A (ko) * | 2015-04-15 | 2016-10-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콘텐트 표시 방법 |
KR20170000553A (ko) * | 2015-06-24 | 2017-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17208552A1 (ja) * | 2016-06-01 | 2017-12-07 | 株式会社Nttドコモ | 携帯端末 |
Cited B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32743A1 (ko) * | 2019-12-23 | 2021-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1815958B2 (en) | 2019-12-23 | 2023-11-14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related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1243577B2 (en) | 2019-12-24 | 2022-02-08 | Lg Electronics Inc | Flexible display device |
WO2021132748A1 (ko) * | 2019-12-24 | 2021-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CN113037899B (zh) * | 2019-12-24 | 2023-10-20 | Lg电子株式会社 | 柔性显示设备 |
CN113037899A (zh) * | 2019-12-24 | 2021-06-25 | Lg电子株式会社 | 柔性显示设备 |
WO2021221184A1 (ko) * | 2020-04-27 | 2021-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11595505B2 (en) | 2020-04-27 | 2023-02-28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2181917B2 (en) | 2020-07-14 | 2024-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
WO2022014907A1 (en) * | 2020-07-14 | 2022-0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
US11493956B2 (en) | 2020-07-14 | 2022-11-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
US11860694B2 (en) | 2020-07-14 | 2024-01-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
US12026010B2 (en) | 2020-07-14 | 2024-07-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ing structure |
WO2022025681A1 (ko) * | 2020-07-29 | 2022-02-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또는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2014661B2 (en) | 2020-07-31 | 2024-06-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
KR20220016011A (ko) * | 2020-07-31 | 2022-0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
US11043191B1 (en) | 2020-07-31 | 2021-06-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
WO2022025374A1 (en) * | 2020-07-31 | 2022-02-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
US11574570B2 (en) | 2020-07-31 | 2023-02-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play burn-in |
KR102289274B1 (ko) * | 2020-07-31 | 2021-08-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
WO2022065979A1 (ko) * | 2020-09-28 | 2022-03-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085933A1 (ko) * | 2020-10-22 | 2022-04-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2314080B2 (en) | 2020-10-22 | 2025-05-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pport member |
US11410583B2 (en) | 2020-11-05 | 2022-08-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n flexible display |
KR20220060991A (ko) * | 2020-11-05 | 2022-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
US11244658B1 (en) | 2020-11-05 | 2022-0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panding display reg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
US12308001B2 (en) | 2020-11-05 | 2025-05-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panding display reg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
WO2022097857A1 (en) * | 2020-11-05 | 2022-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n flexible display |
US11609660B2 (en) | 2020-11-11 | 2023-03-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using the same |
WO2022103156A1 (ko) * | 2020-11-11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WO2022103084A1 (ko) * | 2020-11-12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WO2022102959A1 (ko) * | 2020-11-16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전자 장치 |
US11983355B2 (en) | 2020-11-18 | 2024-05-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WO2022114416A1 (ko) * | 2020-11-26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확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WO2022114548A1 (ko) * | 2020-11-27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US12292765B2 (en) | 2020-12-03 | 2025-05-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screen control method |
US11907494B2 (en) | 2020-12-03 | 2024-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xpandable display,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f electronic device |
WO2022119237A1 (ko) * | 2020-12-03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US12307064B2 (en) | 2020-12-03 | 2025-05-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xpandable display,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f electronic device |
WO2022119395A1 (ko) * | 2020-12-04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2279388B2 (en) | 2020-12-04 | 2025-04-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WO2022211307A1 (ko) * | 2021-03-31 | 2022-10-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 컨텐트를 표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US12284301B2 (en) | 2021-05-13 | 2025-04-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lid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6777B1 (ko) | 2021-04-30 |
US20190346954A1 (en) | 2019-11-14 |
US11449119B2 (en) | 2022-09-20 |
US10990208B2 (en) | 2021-04-27 |
US20210191558A1 (en) | 2021-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6777B1 (ko) |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US10955957B2 (en) | Electronic device for variably displaying display position of object on expansion area of display and method of displaying | |
US10509560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 |
KR102567543B1 (ko) | 전자 장치 및 생체 센서를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102582973B1 (ko) | 지문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604570B1 (ko) | 사용자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443069B1 (ko) |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10739994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ouch | |
KR102471672B1 (ko) | 표시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 |
US10268364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daptive touch us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 |
KR20180097384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
CN110622108B (zh) | 提供触觉反馈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 |
KR102365678B1 (ko) | 외부 장치를 이용한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US12288492B2 (en) | Method for reducing deterioration of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method | |
KR102264220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
CN110226163B (zh) | 电子装置及使用其控制与显示器连接的生物传感器的方法 | |
KR102536148B1 (ko) |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
KR102553558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 |
KR20190110690A (ko) | 복수의 입력 간에 매핑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544245B1 (ko) | 그래픽 효과 적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US11340781B2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2726964B1 (ko) | 비접촉 이벤트에 기반한 반응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513752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2482059B1 (ko) |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408032B1 (ko) |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