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466A - 하드 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 코트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9466A KR20190039466A KR1020187024967A KR20187024967A KR20190039466A KR 20190039466 A KR20190039466 A KR 20190039466A KR 1020187024967 A KR1020187024967 A KR 1020187024967A KR 20187024967 A KR20187024967 A KR 20187024967A KR 20190039466 A KR20190039466 A KR 201900394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d coat
- coat layer
- film
- less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6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6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1 acryloxyeth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TXBCBTDQIULDIA-UHFFFAOYSA-N 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CC(CO)(CO)CO TXBCBTDQIULD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JHIVVAPYMSGYDF-UHFFFAOYSA-N cyclohex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1 JHIVVAPYMSGY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956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252 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MQDJYUACMFCOFT-UHFFFAOYSA-N bis[2-(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O)C=2C(=CC=CC=2)C2(O)CCCCC2)C=1C1(O)CCCCC1 MQDJYUACMFCO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UHESRSKEBRADOO-UHFFFAOYSA-N ethyl carbam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N)=O UHESRSKEBRAD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575 poly(am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FDIJRYMOXRFFG-UHFFFAOYSA-N Acet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CC(=O)OC(C)=O WFDIJRYMOXRF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MPIAGWXWVAHQBB-UHFFFAOYSA-N [3-prop-2-enoyloxy-2-[[3-prop-2-enoyloxy-2,2-bis(prop-2-enoyloxymethyl)propoxy]methyl]-2-(prop-2-enoyloxy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OC(=O)C=C)(COC(=O)C=C)COCC(COC(=O)C=C)(COC(=O)C=C)COC(=O)C=C MPIAGWXWVAHQ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TDPSWPPOUPBNX-UHFFFAOYSA-N ac1mqpva Chemical compound CC12C(=O)OC(=O)C1(C)C1(C)C2(C)C(=O)OC1=O GTDPSWPPOUPB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ZNQVEEAIQZEUHB-UHFFFAOYSA-N 2-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OCCO ZNQVEEAIQZEU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JWGQARXZDRHCD-UHFFFAOYSA-N 2-methylanthra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3C(=O)C2=C1 NJWGQARXZDRHC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OLFJPFCHCOCG-UHFFFAOYSA-N Acetophenone Chemical compound CC(=O)C1=CC=CC=C1 KWOLFJPFCHCO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8 aliph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ISAOCJYIOMOJEB-UHFFFAOYSA-N benzoin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O)C1=CC=CC=C1 ISAOCJYIOMOJ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ERYXYBDKMZEQL-UHFFFAOYSA-N butane-1,4-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WERYXYBDKMZE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99 coat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BDQKXXYIPTUBI-UHFFFAOYSA-N dimethylselenoniopropionate Natural products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ZFSLODLOARCGLH-UHFFFAOYSA-N isocyanu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NC(O)=NC(O)=N1 ZFSLODLOARCG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JOVHMDZYOCNQW-UHFFFAOYSA-N isophorone Chemical compound CC1=CC(=O)CC(C)(C)C1 HJOVHMDZYOCN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99 nitroge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66 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XZMFSXDPGVJKK-UHFFFAOYSA-N penta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 WXZMFSXDPGVJ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NLICIUVMPYHGG-UHFFFAOYSA-N pentan-2-one Chemical compound CCCC(C)=O XNLICIUVMPYH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KCTAWXVAICEBSD-UHFFFAOYSA-N prop-2-enoyloxy prop-2-e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O)OOOC(=O)C=C KCTAWXVAICEB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372 silano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PUZPDOWCWNUUKD-UHFFFAOYSA-M sod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Na+] PUZPDOWCWNUUK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0000 tetra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33 zeta-potential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LUFBDIRFJGKLY-UHFFFAOYSA-N (2,3-dichlorophen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O)C=2C=CC=CC=2)=C1Cl RLUFBDIRFJGK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VBWTNHDKVVFMI-LBPRGKRZSA-N (2s)-1-[4-[2-[6-amino-8-[(6-bromo-1,3-benzodioxol-5-yl)sulfanyl]purin-9-yl]ethyl]piperidin-1-yl]-2-hydroxy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1CN(C(=O)[C@@H](O)C)CCC1CCN1C2=NC=NC(N)=C2N=C1SC(C(=C1)Br)=CC2=C1OCO2 CVBWTNHDKVVFMI-LBPRGKRZSA-N 0.000 description 1
- XKSUVRWJZCEYQQ-UHFFFAOYSA-N 1,1-dimethoxy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OC(C)(OC)C1=CC=CC=C1 XKSUVRWJZCEY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YWOJODOMFBVCB-UHFFFAOYSA-N 1,2,6-trimethylphenanthrene Chemical compound CC1=CC=C2C3=CC(C)=CC=C3C=CC2=C1C MYWOJODOMFBV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SLDOOZREJYCGB-UHFFFAOYSA-N 1,2-Di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Cl WSLDOOZREJYC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SAHTMIQULFMRG-UHFFFAOYSA-N 1,2-diphenyl-2-propan-2-yloxy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C)C(=O)C1=CC=CC=C1 MSAHTMIQULFMR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TKCEEWUXHVZQI-UHFFFAOYSA-N 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1=CC=CC=C1 OTKCEEWUXHVZQ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EGCUDAFWNSSO-UHFFFAOYSA-N 1,8-dibromooctane Chemical compound BrCCCCCCCCBr DKEGCUDAFWNSS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RXJGSRGQADJSQ-UHFFFAOYSA-N 1-methoxypropan-2-ol Chemical compound COCC(C)O ARXJGSRGQADJ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IMQKKFOOYOQGB-UHFFFAOYSA-N 2,2-dieth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OCC)C(=O)C1=CC=CC=C1 GIMQKKFOOYOQ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ZZVAVMGKRNEAT-UHFFFAOYSA-N 2,2-dimethylpropane-1,3-diol;3-hydroxy-2,2-dimeth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C)CO.OCC(C)(C)C(O)=O CZZVAVMGKRNE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TJPUDCSZVCXFQ-UHFFFAOYSA-N 2,4-diethyl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CC)=C3SC2=C1 BTJPUDCSZVCX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HAFMWSFCONOO-UHFFFAOYSA-N 2,4-dimethyl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C3SC2=C1 LCHAFMWSFCON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OGPDSATLSAZEK-UHFFFAOYSA-N 2-Aminoanthra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N)=CC=C3C(=O)C2=C1 XOGPDSATLSAZ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ZZAHLOABNWIFA-UHFFFAOYSA-N 2-but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CC)C(=O)C1=CC=CC=C1 DZZAHLOABNWIF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DADJXRUCOCJE-UHFFFAOYSA-N 2-chloro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l)=CC=C3SC2=C1 ZCDADJXRUCOC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MNCBSZOIQAUFX-UHFFFAOYSA-N 2-eth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C(=O)C1=CC=CC=C1 KMNCBSZOIQAU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JEBAWHUJDUKQK-UHFFFAOYSA-N 2-ethylanthra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C3C(=O)C2=C1 SJEBAWHUJDUKQ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JQMXVDKXSQCDI-UHFFFAOYSA-N 2-ethyl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C3SC2=C1 YJQMXVDKXSQC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ZJOQXSCSZQPS-UHFFFAOYSA-N 2-meth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O)C1=CC=CC=C1 BQZJOQXSCSZQ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YISVPVWAQRUTL-UHFFFAOYSA-N 2-methyl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3SC2=C1 MYISVPVWAQRU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TPSFXZMJKMUJE-UHFFFAOYSA-N 2-tert-butylanthracene-9,10-di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C)=CC=C3C(=O)C2=C1 YTPSFXZMJKMU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208 3-hydroxyphenyl group Chemical group [H]OC1=C([H])C([H])=C([H])C(*)=C1[H] 0.000 description 1
- DHRKBGDIJSRWIP-UHFFFAOYSA-N 4-(4-aminophenyl)-2,3-bis(trifluoromethyl)aniline Chemical group C1=CC(N)=CC=C1C1=CC=C(N)C(C(F)(F)F)=C1C(F)(F)F DHRKBGDIJSRW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VERADGGGBYHNP-UHFFFAOYSA-N 5-phenylbenzene-1,2,3,4-tetra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O)C(C(=O)O)=CC(C=2C=CC=CC=2)=C1C(O)=O JVERADGGGBYH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OOHAUXETOMSMM-UHFFFAOYSA-N Prop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C1CO1 GOOHAUXETOM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872198 Serjania poly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126 Styrax benzo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8419 Styrax benzoi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11 Sumatra benzointr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JCCRDAZUWHFQH-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Chemical compound CCC(CO)(CO)CO ZJCCRDAZUWHF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6 acid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10 antimony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4 aromatic di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1 bar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30 benz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DVNNDYBCWZVTI-UHFFFAOYSA-N bis[4-(ethylamino)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NCC)=CC=C1C(=O)C1=CC=C(NCC)C=C1 QDVNNDYBCWZV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0 cer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85 chemical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RVSOGSZCMJSLX-UHFFFAOYSA-L chromic acid Substances O[Cr](O)(=O)=O KRVSOGSZCMJSL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5 di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7 die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FHVQBAGLAREND-UHFFFAOYSA-N diphenylphosphoryl-(2,4,6-trimeth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O)P(=O)(C=1C=CC=CC=1)C1=CC=CC=C1 VFHVQBAGLAREN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050 ester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MKUUQIKLRGIBF-UHFFFAOYSA-N fluoro 2,2,3,3,3-pentafluoropropanoate Chemical compound FOC(=O)C(F)(F)C(F)(F)F ZMKUUQIKLRGI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WJWCTOOIBYHON-UHFFFAOYSA-N furo[3,4-b]pyrazine-5,7-dione Chemical compound C1=CN=C2C(=O)OC(=O)C2=N1 AWJWCTOOIBYHO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YBMRDBCBODYGJE-UHFFFAOYSA-N germ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Ge]=O YBMRDBCBODYG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82 gum benzo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282 hal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XMIOPMDWAUFGU-UHFFFAOYSA-N hexane-1,6-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O XXMIOPMDWAUF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RUIBWPALBXDOA-UHFFFAOYSA-L magnes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F-].[Mg+2] ORUIBWPALBXDO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5 magnes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12 metal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SLCVBVWXLSEKPL-UHFFFAOYSA-N neopentyl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C)CO SLCVBVWXLSEK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66 oxira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BMMGVYCKOGBVEV-UHFFFAOYSA-N oxo(oxoceriooxy)cerium Chemical compound [Ce]=O.O=[Ce]=O BMMGVYCKOGBV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TRUBDSFZJNXHI-UHFFFAOYSA-N oxoantimony Chemical compound [Sb]=O VTRUBDSFZJNX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VADDRMAFCOOPC-UHFFFAOYSA-N oxogermanium Chemical compound [Ge]=O PVADDRMAFCOO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LYXOWKPVTCPORE-UHFFFAOYSA-N phenyl-(4-phen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2)C=CC=1C(=O)C1=CC=CC=C1 LYXOWKPVTCPOR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06 polyester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8 polyisocya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6 poly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4 primary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0 propi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UVKMZGDUIUOCP-BTNSXGMBSA-N quinbolone Chemical compound O([C@H]1CC[C@H]2[C@H]3[C@@H]([C@]4(C=CC(=O)C=C4CC3)C)CC[C@@]21C)C1=CCCC1 IUVKMZGDUIUOCP-BTNSXGMB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85 reflecta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5 sodium flu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024 sodium flu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5 tap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89 vacuum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67 vinyl 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기재 필름 (2) 과, 기재 필름 (2) 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제 1 하드 코트층 (3) 과,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제 2 하드 코트층 (4) 을 구비하고, 기재 필름 (2) 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과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가, 7 ㎛ 이상 35 ㎛ 이하인 하드 코트 필름 (1). 이러한 하드 코트 필름 (1) 은,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렵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의 사용에 바람직한 하드 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OELD), 나아가서는 터치 패널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각종 디스플레이의 표면에는, 흠집 발생 방지를 위해서, 기재 필름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하드 코트 필름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최근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로서, 굴곡 가능한 디스플레이, 이른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만곡시켜 원기둥상의 기둥에 설치하는 거치형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혹은 절곡하거나 말거나 하여 운반할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폭넓은 용도가 기대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의 하드 코트 필름으로는, 특허문헌 1 및 2 에 개시되어 있는 하드 코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1 회만 곡면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문헌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복 굴곡시키는 (절곡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도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종래의 하드 코트 필름을 사용하면, 반복 굴곡시킨 부분에 굴곡 자국이 생기거나 백화하거나 하여, 외관이 저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상기와 같은 반복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추구하는 경우, 사용하는 기재 필름의 종류 등에 따라, 황색감 등의 착색이나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이 문제가 된다. 그리고,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기재 필름의 막두께를 저감하는 경우, 하드 코트 필름 전체에서 차지하는 하드 코트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져, 하드 코트 필름 형성 시에 컬 발생의 문제가 생긴다.
한편, 하드 코트 필름에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간섭 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하드 코트 필름에 간섭 무늬가 생기면, 역시 외관이 저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복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려운 하드 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로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제 1 하드 코트층과,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제 2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이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 및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7 ㎛ 이상 3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을 제공한다 (발명 1).
상기 발명 (발명 1) 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임과 함께,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내굴곡성이 우수하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의 차가 상기 범위에 있음과 함께,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및 제 2 하드 코트층이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다.
상기 발명 (발명 1) 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보다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2).
상기 발명 (발명 1, 2) 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이,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되어 있지 않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3).
상기 발명 (발명 2, 3) 에 있어서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이,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4).
상기 발명 (발명 1 ∼ 4) 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5).
상기 발명 (발명 1 ∼ 5) 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6).
상기 발명 (발명 1 ∼ 6) 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3㎛ 이상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7).
상기 발명 (발명 1 ∼ 7) 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75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8).
상기 발명 (발명 1 ∼ 8) 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5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9).
상기 발명 (발명 1 ∼ 9) 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0).
상기 발명 (발명 1 ∼ 10) 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1).
본 발명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은,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반복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렵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기재 필름 (2) 과, 기재 필름의 일방의 주면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에 적층된 제 1 하드 코트층 (3) 과,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측과는 반대의 주면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에 적층된 제 2 하드 코트층 (4)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은,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 기재 필름 (2) 은,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기재 필름 (2) 이 폴리이미드 필름임으로써, 당해 하드 코트 필름 (1) 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반복 굴곡했을 때에, 기재 필름 (2) 에 굴곡 자국이 생기거나 백화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어, 내굴곡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을 사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부분에서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 당해 굴곡 부분에서 외관이 저하하거나, 시인성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과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차는,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는, 7 ㎛ 이상 35 ㎛ 이하이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과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임으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과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가 억제되어,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의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가 7 ㎛ 이상임으로써, 당해 두께가 광의 파장보다 상당히 커져, 제 1 하드 코트층 (3) 과 기재 필름 (2) 의 계면에서 반사한 광과,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3) 과 기재 필름 (2) 의 계면에서 반사한 광의 강도 (반사 강도) 가,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을 통과할 때에 약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으로부터도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의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측정 파장은 589 nm, 측정 온도는 25 ℃ 로 한다. 굴절률의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간섭 무늬의 발생 억제의 관점에서,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과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차는, 절대값으로 0.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가 7 ㎛ 이상임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 의 내찰상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간섭 무늬의 발생 억제 및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는, 9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가 35 ㎛ 이하임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 은 절곡하기 쉬운 것이 되어, 내굴곡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합계가 상기 범위에 있고,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 특히 제 1 하드 코트층 (3) 이, 제 2 하드 코트층 (4) 보다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당해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조 시에 컬이 발생하기 어렵다.
(1) 하드 코트 필름의 구성 부재
(1-1) 기재 필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의 기재 필름 (2) 은,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디스플레이용인 경우에는, 투명하고 또한 황색감이 적은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클리어 또한 색재현성이 높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는, 투명성의 관점에서,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는, 황색감을 적게 하는 관점에서, 투과 측정법에 의한 L*a*b* 표색계의 b* 의 절대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b* 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이란, 폴리이미드, 즉 주사슬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머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함유하는 필름을 말한다. 또한,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는, 주사슬에 이미드 결합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폴리이미드가 아니고, 이와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필름을 반복 굴곡시키면, 백화해 버린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통상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과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아민) 을 용액 중에서 중합하여 폴리아미드산을 생성한 후, 그 폴리아미드산을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폴리아미드산 부위를 탈수 폐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는,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에 통상 포함되는 방향 고리는, 지방족 탄화수소로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것에 의해 기재 필름 (2) 은, 제 2 하드 코트층 (4) 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통상 1.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또,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통상 1.8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이하이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형성되는 층 (제 2 하드 코트층 (4) 이나, 후술하는 점착제층 등) 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는,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상임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 은,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발휘하여,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도 파단하거나 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한편,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착색하기 쉽기 때문에,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하임으로써, 투명성이 확보되고, 또한 상기 b* 값도 낮게 억제되어, 광학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 (1) 은, 소정의 유연성을 발휘하여, 굴곡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1-2) 제 1 하드 코트층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 1 하드 코트층 (3) 은,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에 적층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하드 코트층 (4) 과 함께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 및 내찰상성을 발휘한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재료는,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과의 굴절률차가 전술한 범위에 있고, 제 2 하드 코트층 (4) 과 함께 원하는 내찰상성을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1 하드 코트층 (3)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제 2 하드 코트층 (4) 보다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을 제 2 하드 코트층 (4) 보다 유연한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내굴곡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경화 수축량이 작아져,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합계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도,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조 시에 발생하는 컬을 억제할 수 있다.
(1-2-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동일하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그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변성물 등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의 내굴곡성 및 컬 억제의 관점에서,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는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가교점 간 거리가 길어져, 경화 후에 비교적 유연한 물성을 나타내고, 경화 수축량이 작은 것이 된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이 이러한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합계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도,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조 시에 발생하는 컬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알킬렌옥사이드의 도입량은, 다관능성(메트)아크릴레이트 1 몰에 대해 2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도입량은, 5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의 도입량이 2 몰 이상임으로써, 당해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경화 수축량이 보다 작은 것이 된다. 또, 알킬렌옥사이드의 도입량이 50 몰 이하임으로써, 당해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경화시켰을 때에, 원하는 경도가 얻어진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중에 있어서의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내굴곡성과 컬 억제의 관점에서, 3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비율은, 100 질량% 여도 상관없다.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고리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상의 프리폴리머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2-2) 광 중합 개시제
제 1 하드 코트층 (3)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조성물은,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중합시킬 수 있고, 또 중합 경화 시간 및 자외선의 조사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광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하한값으로서 0.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한값으로서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2-3) 실리카 나노 입자
제 1 하드 코트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실리카 나노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이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경화 수축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실리카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하한값으로서 2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8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한값으로서 3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이 2 nm 이상이면,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경화 수축량을 작게 하는 효과가 보다 얻어지기 쉽다. 또, 실리카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이 300 nm 이하이면, 얻어지는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있어서 광의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또한, 실리카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한다.
실리카 나노 입자는, 통상은 표면에 실란올기를 가지고 있고, 당해 실란올기에 의해, 극성이 낮은 유기 용제나 수지에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실리카 나노 입자는, 분산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유기물에 의해 수식되어도 된다. 또, 실리카 나노 입자는, 오르가노졸 (콜로이드상) 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르가노졸의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실리카 나노 입자의 분산성이 양호해져, 얻어지는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균질성 및 광 투과성이 향상된다.
유기물에 의한 수식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H2=C(CH3)COO(CH2)3Si(OCH3)3 과 같은 구조의 실란 커플링제를 실리카 나노 입자의 오르가노졸에 첨가하고, 50 ℃ 정도로 가온하여 수시간 교반함으로써, 실리카 입자의 표면을 수식할 수 있다. 사용하는 실란 커플링제의 구조나 양은, 실리카 나노 입자의 분산성의 요구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오르가노졸에서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의 상용성 및 제 1 하드 코트층 (3) 형성 시의 휘발성이 우수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실리카 나노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있어서, 하한값으로서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3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나노 입자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임으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경화 수축량을 보다 작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실리카 나노 입자의 함유량은,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있어서, 상한값으로서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나노 입자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하임으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을,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과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기 쉬워짐과 함께,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층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실리카 나노 입자의 함유량은, 배합 비율로부터 구할 수 있지만, 배합 비율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즉,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일부를 기재 필름 (2) 으로부터 단편 등으로서 분리하고, 분리한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단편을 JIS 7250-1 에 따라 유기 성분을 연소시킨다. 그리고, 얻어지는 회분으로부터 실리카 나노 입자의 질량% 를 구할 수 있다.
(1-2-4) 기타 성분
본 실시형태의 제 1 하드 코트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열중합 금지제, 착색제, 계면 활성제, 보존 안정제, 가소제, 활제, 소포제, 유기계 충전재, 젖음성 개량제, 도면 (塗面)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1-2-5) 물성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1.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과의 굴절률차를 전술한 범위로 설정하기 쉬워진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가 3 ㎛ 이상임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조 시에 발생하는 컬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내찰상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가 30 ㎛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 (1) 이 굴곡하기 쉬운 것이 되어, 내굴곡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1-3) 제 2 하드 코트층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의 제 2 하드 코트층 (4) 은, 하드 코트 필름 (1) 에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여, 내찰상성을 우수한 것으로 한다. 이 제 2 하드 코트층 (4) 은,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과 전술한 관계를 만족하고, 소정의 경도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2 하드 코트층 (4)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보다 우수한 내찰상성을 얻는 관점에서,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되어 있지 않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사용되는 전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되어 있지 않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되어 있지 않은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그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내찰상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내굴곡성을 얻는 관점에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방족계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제 2 하드 코트층 (4) 에 사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전체 중에 있어서의,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한값으로는, 0 질량% 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의 경화를 위해서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은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제 1 하드 코트층 (3) 에 사용되는 전술한 광 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하드 코트층 (4) 은, 필러를 함유해도 된다. 이로써, 제 2 하드 코트층 (4) 에 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여, 내찰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필러로는, 유기계 필러, 무기계 필러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제 2 하드 코트층 (4) 에 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무기계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하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화학 수식된 무기계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게르마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주석산화물 (ITO),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 불화마그네슘, 불화나트륨 등의 금속 불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러를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광학 특성에 대한 영향이 적은 점에서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필러, 특히 실리카 필러의 표면은 화학 수식되어 있어도 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하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화학 수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 수식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일례로서 실란 커플링제 등을 개재하여, 중합성 관능기가 부가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필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이 화학 결합하여, 그것들 양자 사이에 박리가 생기기 어려워지고,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경도가 높아지기 쉽다. 이와 같이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화학 수식된 필러를 반응성 필러라고 하고, 예를 들어 필러의 종류가 실리카이면, 반응성 실리카 필러라고 한다.
필러의 형상은 구상이어도 되고, 비구상이어도 된다. 비구상인 경우에는, 부정형이어도 되고, 침상, 인편상과 같은 어스펙트비가 높은 형상이어도 된다.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필러는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은, 하한값으로서 1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1 nm 이상임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된다. 또, 필러의 평균 입경은, 상한값으로서 5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500 nm 이하임으로써, 얻어지는 제 2 하드 코트층 (4) 에 있어서 광의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또한, 필러의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 측정법에 의해 일차 입경을 측정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필러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하한값으로서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임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필러의 함유량은, 제 2 하드 코트층 (4) 에 있어서, 상한값으로서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90 질량% 이하임으로써, 층 형성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제 2 하드 코트층 (4) 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전술한 제 1 하드 코트층 (3) 에서 사용하는 각종 첨가제와 동일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1.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굴절률과의 굴절률차를 전술한 범위로 설정하기 쉬워진다.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는, 0.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가 0.75 ㎛ 이상임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내찰상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가 10 ㎛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 (1) 이 컬 발생이 보다 억제된 것이 된다.
제 1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와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의 비는, 10 : 90 ∼ 90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 : 60 ∼ 80 : 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 50 ∼ 80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내찰상성 및 내굴곡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됨과 함께, 컬의 발생이 보다 억제된 것이 된다.
(2)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서는, 일례로서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형성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처음으로, 제 1 하드 코트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 (제 1 하드 코트층 (3) 용 조성물) 과,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용매를 함유하는 제 1 하드 코트층 (3)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조제한다. 또 동일하게, 제 2 하드 코트층 (4) 을 구성하는 조성물 (제 2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 과,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용매를 함유하는 제 2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조제한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도공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에, 제 1 하드 코트층 (3)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후술하는 조건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이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용 조성물의 도막이 경화하여, 제 1 하드 코트층 (3) 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얻어진 제 1 하드 코트층 상에 제 2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후술하는 조건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이로써, 제 2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막이 경화하여,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 층의 도공액을 순차 도포·건조시키고, 한 번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공액의 도포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하면 되고,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마이어 바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에 의해 실시하면 된다. 도막의 건조는, 예를 들어 40 ∼ 180 ℃ 에서 30 초 ∼ 5 분 정도 가열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 50 ∼ 1000 mW/㎠, 광량 50 ∼ 1000 mJ/㎠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 ∼ 1000 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하드 코트층 (3) 용 조성물의 도막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막이 산소로부터 차단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받는 일 없이,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또한 표면 경도가 높은 하드 코트 필름이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 (3) 용 조성물의 도막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막을 산소로부터 차단하려면, 커버 시트를 상기 도막에 적층하거나, 산소 농도가 낮은 분위기하,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하드 코트 필름의 물성
(3-1) 최대 반사율차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는,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것은, 육안에 의한 평가 이외에, 최대 반사율차의 측정값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최대 반사율차를 측정하려면, 먼저 필름 법선 방향을 0°로 하여, 입사각 8°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한 광을 적분구에 의해 집광함으로써 반사광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광의 조사는, 파장을 변화시켜 실시하고, 각각의 파장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반사광은, 황산바륨 결정에 의한 반사광을 100 으로 한 상대값 (이하, 이것을 「반사율」이라고 한다) 으로서 각 측정 파장에 대응하여 검출된다. 즉, 가로축이 측정 파장이고, 세로축이 반사율인 차트를 얻을 수 있다. 당해 차트는, 복수의 극소값과 극대값을 갖는 물결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여기서, 측정 파장 500 ∼ 600 nm 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트에 있어서, 인접하는 극대값과 극소값의 차 중, 가장 큰 차를 「최대 반사율차」로서 측정한다. 당해 최대 반사율차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1.5 이하임으로써,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2) 이미지 선명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간섭 무늬 방지를, 마이크로오더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굴절률차 및 두께를 갖는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을 형성함으로써 해결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마이크로오더의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써 간섭 무늬를 방지하는 경우보다, 이미지 선명도가 우수한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미지 선명도가 우수한 하드 코트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경우,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미지 선명도는, 4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3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50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선명도는, JIS K7374 에 준거하여, 5 종류의 슬릿 (슬릿폭 : 0.125 mm, 0.25 mm, 0.5 mm, 1 mm 및 2 mm) 에서 측정되는 각 이미지 선명도의 합계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3-3) 헤이즈값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보다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관점에서, JIS K7136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하드 코트 필름 (1) 의 헤이즈값을 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8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4) 60°광택도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보다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3) 의 JIS Z8741-1997 에 준거한 60°광택도 (글로스값) 를, 100 %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 %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 %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4) 다른 실시형태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측)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5) 이 적층되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하드 코트 필름의 부호를 「1A」로 기재한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 (5) 이 적층됨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A) 을 원하는 피착체에 간이하게 첩부 (貼付) 할 수 있다.
점착제층 (5) 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5)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 100 ㎛, 바람직하게는 10 ∼ 60 ㎛ 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A) 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하드 코트 필름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 (5) 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또한, 점착제층 (5) 의 노출면 (기재 필름 (2) 측과는 반대측의 면) 에는,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5) 다른 실시형태-2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1A) 에는, 다른 층, 예를 들어 점접착제층, 배리어층, 도전층, 저반사층, 이인쇄층 (易印刷層), 방오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6) 하드 코트 필름의 용도
이상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1A) 은, 예를 들어 각종 전자기기, 특히 모바일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OELD), 전자 페이퍼 모듈 (필름상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층 (보호 필름) 의 플렉시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1A)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절곡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트 필름 (1, 1A) 에 있어서의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이 존재하는 측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하드 코트층 (3) 및 제 2 하드 코트층 (4) 에 크랙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어, 하드 코트 필름 (1, 1A) 에 있어서의 각 층 사이에는,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기재 필름의 제작)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매 중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산 2 무수물을, 냉각하에서 혼합 용해하고, 그 후 상온에서 10 시간 교반함으로써,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아미드산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 및 피리딘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유리판 상에 도공하고, 상온으로부터 180 ℃ 까지 천천히 승온하였다. 180 ℃ 도달 후, 일정 시간 가열하고, 그 후 진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휘발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진공하에서 상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막두께 25 ㎛ 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얻었다. 당해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해 측정한 바, b* 는 0.61, 굴절률은 1.62,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90 % 였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막두께는, JIS K7130 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 (텍록사 제조, 제품명 「PG-02」)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b* 에 대해서는, JIS Z8722 에 따라, 측정 장치로서 동시 측정 방식 분광식 색차계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SQ-2000」), 광원으로서 C 광원 2°시야 (C/2) 를 이용하고, 투과 측정법에 의해 L*a*b* 표색계의 b* 를 측정하였다.
상기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자외선 가시 근적외 분광 투과율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제품명 「UV36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의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12 몰 도입) 100 질량부 (고형분 환산 ; 이하 동일) 와,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5 질량부를,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산온을 1 : 1 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서 교반 혼합하여, 제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얻었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40 질량부와, 필러로서의 반응성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15 nm) 60 질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0 질량부의 혼합물을,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산온을 1 : 1 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서 교반하여, 제 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얻었다.
이어서,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기재 필름으로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의 편면에, 마이어 바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 ℃ 에서 1 분간 가열 건조시켜, 제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측으로부터, 이하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5 ㎛ 의 제 1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제 1 하드 코트층 상에,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 ℃ 에서 1 분간 가열 건조시켜, 제 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 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측으로부터, 이하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 조성물의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5 ㎛ 의 제 2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기재 필름으로서의 폴리이미드 필름 (두께 25 ㎛) 상에, 제 1 하드 코트층 (두께 : 5 ㎛) 및 제 2 하드 코트층 (두께 : 5 ㎛) 이 순서대로 형성된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자외선 조사 조건>
·자외선 조사 장치 : 지에스유아사 코포레이션사 제조 자외선 조사 장치
·광원 : 고압 수은등
·램프 전력 : 1.4 kW
·조도 : 100 mW/㎠
·광량 : 240 mJ/㎠
·컨베이어 스피드 : 1.2 m/min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조사 (산소 농도 1 % 이하)
〔실시예 2 ∼ 5, 비교예 1 ∼ 6〕
제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및 제 2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배합비, 제 1 하드 코트층 및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 그리고 기재 필름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 및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합계 두께를 계산하고, 표 1 에 나타냈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약호 등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A :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12 몰 도입)
B :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6 몰 도입)
C :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35 몰 도입)
D : 비닐에스테르 수지 (히타치 화성사 제조, 제품명 「히탈로이드 7663」)
E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F : 실리카 나노 입자 (실리카졸)(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제품명 「MIBK-ST」, 평균 입경 : 10 nm)
G :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H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40 질량부, 반응성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15 nm) 60 질량부 및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0 질량부의 혼합물
I : 6 관능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50 질량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50 질량부 및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0 질량부의 혼합물
또, 표 2 에 기재된 약호 등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PI : 폴리이미드 필름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제품명 「다이아포일 T-60」, 두께 : 50 ㎛)
〔시험예 1〕(굴절률의 측정)
(1) 기재 필름의 굴절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기재 필름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nm, 측정 온도 25 ℃ 의 조건으로, 아베 굴절률계 (아타고사 제조, 제품명 「다파장 아베 굴절률계 DR-M2」) 를 사용하여, JIS K7142 (2008) 에 준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
편면이 이접착 (易接着)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토요보사 제조,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 50 ㎛) 의 미처리면에,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200 nm 의 제 1 하드 코트층 또는 제 2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접착 처리면을 사포로 문지르고, 유성 펜 (제브라사 제조, 제품명 「맥키흑」) 으로 흑색으로 전체면 칠하였다.
그 후,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 및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nm, 측정 온도 25 ℃ 의 조건으로, 분광 엘립소미터 (J. A. WOOLLAM 사 제조, 제품명 「M-2000」」) 를 사용하고, JIS K7142 (2008) 에 준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3) 굴절률차의 산출
상기에서 측정한 제 1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로부터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을 빼, 굴절률차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2〕(간섭 무늬의 평가)
(1) 육안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을, 양면 점착 시트 (린텍사 제조, 제품명 「OPTERIA MO-3006C」, 두께 : 25 ㎛) 를 개재하여 흑색의 아크릴판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 제품명 「아크릴라이트 L502」) 에 첩부하였다. 이때,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이 아크릴판에 접촉하도록 첩부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3 파장 형광등 하에서 하드 코트층측으로부터 육안에 의해 간섭 무늬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양호 (◎) : 간섭 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대체로 양호 (○) : 간섭 무늬가 잘 보이지 않는다
약간 불량 (△) : 간섭 무늬가 보인다
불량 (×) : 간섭 무늬가 분명히 보인다
(2) 최대 반사율차의 측정
(1) 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이하의 조건으로, 분광 광도계로 반사율 스펙트럼의 파장 500 ∼ 600 nm 사이에서의 최대 반사율차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분광 광도계 :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V-3600」
·시료 폴더 :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대형 시료실 MPC-3100」
·적분구 :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적분구 부속 장치 ISR-3100」
·입사각 : 8°
〔시험예 3〕(내찰상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대해, #0000 의 스틸울을 사용하여, 125 g중/㎠ 의 하중으로 10 왕복 문지르고, 길이 100 mm, 폭 20 mm 의 범위를 시험 범위로 하였다. 그 시험 범위에 있어서의 흠집 갯수를, 3 파장 형광등 하에서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찰상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흠집 갯수 20 개 미만이었다.
× : 흠집 갯수 20 개 이상이었다.
〔시험예 4〕(컬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을, 각 변이 MD 방향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 시의 라인 방향) 또는 TD 방향 (MD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에 평행이 되도록, 100 × 100 mm 로 재단한 후, 기재 필름이 유리판측이 되도록, 하드 코트 필름을 평탄한 유리판 상에 재치 (載置) 하였다. 이어서, 유리판의 상면으로부터 하드 코트 필름의 각 코너부 정점까지의 들뜸 높이를 측정하고, 이하의 판단 기준으로 컬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매우 양호 (◎) : 10 샘플 중 10 샘플 모두가 각 코너부의 들뜸 높이의 총합이 20 mm 미만
양호 (○) : 10 샘플 중 9 ∼ 6 샘플이 각 코너부의 들뜸 높이의 총합이 20 mm 미만
불량 (×) : 10 샘플 중 5 ∼ 0 샘플이 각 코너부의 들뜸 높이의 총합이 20 mm 미만
〔시험예 5〕(내굴곡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내구 시험기 (유아사시스템 기기사 제조, 제품명 「면상체 무부하 U 자 신축 시험기 DLDMLH-FS」) 를 이용하고, 하드 코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시험 속도 60 mm/s 로, 시험 횟수 (왕복수) 및 굴곡 직경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반복 굴곡시켰다. 그리고, 하드 코트층의 크랙·박리나, 하드 코트 필름의 백화·굴곡 자국의 발생 등의 불량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굴곡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굴곡 직경 5 mm 이하, 또한 시험 횟수 2 만회 이상에서도 불량의 발생이 없었다.
○ : 굴곡 직경 10 mm 이하, 또한 시험 횟수 2 만회 이상에서도 불량의 발생이 없었다.
× : ○ 의 기준에 미달이었다.
〔시험예 6〕(이미지 선명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사상성 (寫像性) 측정기 (스가 시험기사 제조, 제품명 「ICM-10P」) 를 사용하고, JIS K7374 에 준거하여, 5 종류의 슬릿 (슬릿폭 : 0.125 mm, 0.25 mm, 0.5 mm, 1 mm 및 2 mm) 의 합계값을 이미지 선명도 (%) 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이미지 선명도 400 % 미만을 ×, 400 % 이상 450 % 미만을 ○, 450 % 이상을 ◎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7〕(헤이즈값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헤이즈 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이용하고, JIS K7136 에 준거하여 헤이즈값 (%) 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헤이즈값 1 % 초과를 ×, 1 % 이하 0.5 % 초과를 ○, 0.5 % 이하를 ◎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8〕(60°광택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글로스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를 사용하고, JIS Z8741-1997 에 준거하여 60°광택도 (글로스값) 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60°광택도 100 % 미만을 ×, 100 % 이상 140 % 미만을 ○, 140 % 이상을 ◎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은,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간섭 무늬 및 컬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반복 굴곡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부재, 특히 표층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1, 1A : 하드 코트 필름
2 : 기재 필름
3 : 제 1 하드 코트층
4 : 제 2 하드 코트층
5 : 점착제층
2 : 기재 필름
3 : 제 1 하드 코트층
4 : 제 2 하드 코트층
5 : 점착제층
Claims (11)
-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제 1 하드 코트층과,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제 2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이, 서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 및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7 ㎛ 이상 3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보다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이, 알킬렌옥사이드에 의해 변성되어 있지 않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이,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3 ㎛ 이상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75 ㎛ 이상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5 ㎛ 이상 3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74567 WO2018037489A1 (ja) | 2016-08-23 | 2016-08-23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9466A true KR20190039466A (ko) | 2019-04-12 |
KR102619222B1 KR102619222B1 (ko) | 2023-12-28 |
Family
ID=6010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4967A KR102619222B1 (ko) | 2016-08-23 | 2016-08-23 | 하드 코트 필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216907B1 (ko) |
KR (1) | KR102619222B1 (ko) |
CN (2) | CN109073789B (ko) |
TW (1) | TWI759298B (ko) |
WO (1) | WO2018037489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85344B2 (en) | 2017-10-27 | 2021-04-20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cover lens films |
US11579339B2 (en) | 2018-05-10 | 2023-02-14 | Applied Materials, Inc. |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
US11789300B2 (en) | 2019-06-26 | 2023-10-17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
US11988810B2 (en) | 2018-08-14 | 2024-05-21 | Applied Materials, Inc. |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19424B2 (ja) * | 2017-03-02 | 2022-08-1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WO2018180304A1 (ja) * | 2017-03-29 | 2018-10-04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KR102638825B1 (ko) * | 2018-01-24 | 2024-02-21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JP7225767B2 (ja) * | 2018-12-18 | 2023-02-21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積層フィルム |
JP7295769B2 (ja) * | 2019-10-04 | 2023-06-21 | アイカ工業株式会社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CN114292541A (zh) * | 2021-12-23 | 2022-04-08 | 南通纳尔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光学透明抗污耐刮擦保护膜组合物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6298A (ja) * | 2003-09-25 | 2005-04-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の光学フィルムを具備する光学表示装置 |
JP2006058574A (ja) * | 2004-08-19 | 2006-03-02 | Nitto Denko Corp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JP2007046031A (ja) * | 2004-12-17 | 2007-02-22 | Nitto Denko Corp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116596A (ja) * | 2006-11-02 | 2008-05-22 | Riken Technos Corp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
JP2010121013A (ja) * | 2008-11-18 | 2010-06-03 | Mitsubishi Chemicals Corp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用硬化膜及び積層体 |
JP5468167B1 (ja) | 2013-05-20 | 2014-04-09 | 尾池工業株式会社 | 積層体 |
JP2015069197A (ja) | 2013-10-01 | 2015-04-13 | Dic株式会社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
JP2016002764A (ja) | 2014-06-19 | 2016-01-12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積層体及びその用途、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4922B2 (ja) * | 1995-12-27 | 2003-03-10 | 株式会社巴川製紙所 | 被膜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被膜成形物 |
JP4543441B2 (ja) * | 1998-09-01 | 2010-09-15 | 凸版印刷株式会社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 |
JP2010085501A (ja) * | 2008-09-29 | 2010-04-15 | Fujifilm Corp | 液晶表示装置 |
JP2011152681A (ja) * | 2010-01-26 | 2011-08-11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TWI541534B (zh) * | 2011-10-17 | 2016-07-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JP2013117584A (ja) * | 2011-12-01 | 2013-06-13 | Keiwa Inc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
JP6227321B2 (ja) * | 2013-08-05 | 2017-11-08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 |
WO2015076566A1 (ko) * | 2013-11-19 | 2015-05-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플라스틱 필름 |
JP6579110B2 (ja) * | 2014-10-17 | 2019-09-25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フィルム及び積層体 |
KR102382380B1 (ko) * | 2014-11-10 | 2022-04-08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수지 필름, 적층 필름, 광학 부재, 표시 부재, 전면판 및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
-
2016
- 2016-08-23 CN CN201680085288.4A patent/CN109073789B/zh active Active
- 2016-08-23 CN CN202110239725.6A patent/CN113009602B/zh active Active
- 2016-08-23 KR KR1020187024967A patent/KR102619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23 WO PCT/JP2016/074567 patent/WO201803748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8-23 JP JP2017507032A patent/JP6216907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05-04 TW TW106114771A patent/TWI759298B/zh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6298A (ja) * | 2003-09-25 | 2005-04-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の光学フィルムを具備する光学表示装置 |
JP2006058574A (ja) * | 2004-08-19 | 2006-03-02 | Nitto Denko Corp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JP2007046031A (ja) * | 2004-12-17 | 2007-02-22 | Nitto Denko Corp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116596A (ja) * | 2006-11-02 | 2008-05-22 | Riken Technos Corp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
JP2010121013A (ja) * | 2008-11-18 | 2010-06-03 | Mitsubishi Chemicals Corp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用硬化膜及び積層体 |
JP5468167B1 (ja) | 2013-05-20 | 2014-04-09 | 尾池工業株式会社 | 積層体 |
JP2015069197A (ja) | 2013-10-01 | 2015-04-13 | Dic株式会社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
JP2016002764A (ja) | 2014-06-19 | 2016-01-12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積層体及びその用途、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85344B2 (en) | 2017-10-27 | 2021-04-20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cover lens films |
US11758757B2 (en) | 2017-10-27 | 2023-09-12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cover lens films |
US12108622B2 (en) | 2017-10-27 | 2024-10-01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cover lens films |
US11579339B2 (en) | 2018-05-10 | 2023-02-14 | Applied Materials, Inc. |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
US11988810B2 (en) | 2018-08-14 | 2024-05-21 | Applied Materials, Inc. |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
US11789300B2 (en) | 2019-06-26 | 2023-10-17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
US11934056B2 (en) | 2019-06-26 | 2024-03-19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
US11940683B2 (en) | 2019-06-26 | 2024-03-26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
US11940682B2 (en) | 2019-06-26 | 2024-03-26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37489A1 (ja) | 2018-03-01 |
TW201808607A (zh) | 2018-03-16 |
CN109073789B (zh) | 2021-07-13 |
CN113009602A (zh) | 2021-06-22 |
CN113009602B (zh) | 2023-05-23 |
KR102619222B1 (ko) | 2023-12-28 |
JPWO2018037489A1 (ja) | 2018-08-23 |
TWI759298B (zh) | 2022-04-01 |
JP6216907B1 (ja) | 2017-10-18 |
CN109073789A (zh) | 2018-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39466A (ko) | 하드 코트 필름 | |
JP6345894B1 (ja) |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 |
KR102610371B1 (ko) | 하드 코트 필름 | |
JP6291128B1 (ja) |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 |
JP7331829B2 (ja) |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6532929B2 (ja) |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
JP7119424B2 (ja) |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KR101509266B1 (ko) |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 |
KR101463282B1 (ko) |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 |
CN115428058A (zh) | 显示装置用部件、光学层积体和显示装置 | |
JP2004086196A (ja) | 減反射材料用低屈折率層、それを備えた減反射材料及びその用途 | |
JP7572143B2 (ja) |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CN112339378A (zh) | 层叠体 | |
JP2007127823A (ja) |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 |
JP7547892B2 (ja) | 表示装置用部材、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TW202243897A (zh) | 顯示裝置用積層體及顯示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