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134A - A test probe and test socket - Google Patents
A test probe and test soc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0134A KR20180090134A KR1020170015153A KR20170015153A KR20180090134A KR 20180090134 A KR20180090134 A KR 20180090134A KR 1020170015153 A KR1020170015153 A KR 1020170015153A KR 20170015153 A KR20170015153 A KR 20170015153A KR 20180090134 A KR20180090134 A KR 20180090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tact member
- probe
- inspection
- insp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기기에 적용되는 초소형카메라 모듈과 같은 곡면 형상의 피검사단자를 가진 피검사체를 검사하는 검사 프로브 및 검사 소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probe and an inspection socket for inspect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having curved inspection terminals such as an ultra-small camera module applied to a small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카메라모듈(1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곡면 통 형상의 피검사접촉단자(12)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모듈(10)의 피검사접촉단자(12)는 금속 스트립을 부분 곡면 통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0)의 검사는 일반적인 포고핀(20)의 플런저(22)를 피검사접촉단자(12)에 접촉시켜 수행하였다. 포고핀(20)의 플런저(22)는 검사 시에 납으로 된 범프 단자를 찍을 수 있도록 뾰족한 하나 또는 다수의 팁(24)을 가진다. 검사 시에 플런저(22)의 날카로운 팁(24)이 부분 곡면 통형상의 피검사접촉단자(12)에 접촉한다. The
카메라모듈(10)의 피검사접촉단자(12)는 통상적으로 단단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플런저(22)의 팁(24)이 볼록한 곡면 형상의 피검사접촉단자(12)에 접촉할 때, 플런저(22)의 팁(24)이 미끄러지는 접촉에러에 의한 검사 에러가 발생한다. 또한, 다양한 공차나 정렬 오차 등에 의해 검사에러가 발생한다. 또한, 많은 횟수의 반복 테스트에 따른 불순물 전이 현상이 발생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카메라 모듈을 불량으로 오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브와 카메라모듈의 단자 사이의 불안정한 접촉은 장비정지, 크리닝 작업, 오류판독 등을 야기해 양산 수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The inspect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모듈과 같은 부분 곡면 통형상의 피검사접촉단자를 가진 피검사체를 안정적으로 검사하기에 적합한 검사 프로브 및 검사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pection probe and an inspection socket suitable for stably inspect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having a partly curved cylindrical contact terminal to be inspected such as a camera modul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곡면 형상의 피검사접촉면을 갖는 피검사체의 검사용 프로브가 제공된다. 검사용 프로브는 V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접촉단자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가진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일체 연장하는 연장부를 갖는 제1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곡면 통형상의 피검사단자를 감싸면서 접촉하여 두 접촉점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오염에 의한 접촉 저항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 is provided an inspection probe for an inspection object having a curved contact surface to be inspec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obe for inspection has a contact portion having a pair of contact surfaces which are arranged in a V-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mutually spaced positions of the contact terminals to be inspected and a first contact having an extension extending integrally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ntact portion, Memb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urved tube-like inspecting terminal is wrapped around and connected to the two contact points,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contact failure but also to prevent the contact resistance from rising due to foreign matter contamination.
검사용 프로브는 검사회로의 검사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1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robe for inspection has a second contact member which contacts the inspection contact of the inspection circuit,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may include elastomers which are sexually biased.
검사용 프로브는 검사회로의 검사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재, 상기 제1접촉부재의 하단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재, 및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가진 프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pection probe includes a second contact member which contacts the inspection contact of the inspection circuit, a third contact member which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emb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And a probe having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bias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소켓은 V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접촉단자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가진 제1접촉부재를 지지하는 접촉부재지지체와, 검사회로의 검사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1접촉부재의 하단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가진 프로브를 지지하는 프로브지지체를 포함한다.The inspection probe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member support body arranged in a V shape and supporting a first contact member having a pair of contact surfaces that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mutually spaced positions of the contact terminals to be inspected, A third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And a probe support for supporting a probe having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bias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contact members.
상기 접촉부재지지체는 상기 프로브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오염에 의한 장비정비, 크리닝, 및 오류판독 등의 작업 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The contact member supporter is detachably supported on the probe supporter and can effectively cope with work such as equipment maintenance, cleaning, and error reading due to contamination.
본 발명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 및 프로브소켓에 의하면, 곡면 통형상의 피검사접촉단자는 프로브의 V형 접촉부로 2 지점에서 접촉시키기 때문에,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V형 접촉부의 접촉점으로 전이되는 이물질을 축적을 줄여 오염에 의한 접촉 저항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spection probe and the probe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ved cylindrical contact terminal to be inspect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shaped contact portion of the probe at two points, not only can the contact failure be prevented, but also the contact point of the V-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rease of the contact resistance due to contamination by reducing accumulation of the foreign matter to be transfer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 소켓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 소켓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 소켓의 부분단면도,
도 5 내지 7은 다양한 접촉부재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 소켓의 부분단면도, 및
도 9는 종래의 검사용 프로브 소켓의 부분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st probe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st probe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socket for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socket for insp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contact member shapes,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socket for insp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robe socket for inspec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소켓(1)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소켓(1)은 다수의 접촉부재들(110)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접촉부재 지지체(100,120), 접촉부재 지지체(100,120)를 플로팅 상태로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의 하부에 수용되어 지지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부재들(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프로브들(200)을 지지하는 프로브지지체(400)를 포함한다.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예를 들면 카메라모듈과 같은 피검사체(10)는 금속 판재를 'U'자형으로 절곡한 부분 곡면 통형상의 피검사단자(12)를 포함하고 있다.For example, a
접촉부재(110)는 도 1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V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접촉면(112,114)을 가진 접촉부(111) 및 상기 접촉부(111)로부터 반경이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접촉면(112, 114)은 부분 곡면 통형상의 피검사단자(12)를 수용하여 접촉할 때 이격된 2지점(P1,P2)에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접촉부재(110)는 정렬 오차 및 공차에 따른 2 접촉점(P1,P2)의 위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피검사단자(12)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테스트에 의해 이물질이 접촉면(112,114)에 전이되더라도 접촉 시에 전이된 이물질이 경사면을 따라 V형 그루브 아래로 밀려 축적됨으로써 접촉지점(P1,P2)에 누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재(110)는 프로브의 플런저 자체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피검사체(10)는 다수의 피검사단자(12)의 피치가 매우 좁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부(111)는 다수의 피검사단자(12)의 피치를 고려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한 제1판부(115) 및 강도 향상을 위해 제1판부(115)보다 더 넓은 폭의 제2판부(116)를 포함한다. 접촉부재(1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의 판재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강도 및 내구도가 낮기 때문에 인접한 피검사단자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 제1판부(115)로 하고, 나머지는 더 넓은 폭의 제2판부(116) 또는 연장부(113)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접촉부재 지지체(100,120)는 접촉부(111)의 단부가 부분돌출하도록 삽입된 제1접촉부재 지지체(110)와 이 제1접촉부재 지지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촉부재 지지체(120)를 포함한다. 제1접촉부재 지지체(100)는 접촉부(111)가 삽입되는 제1개공(102)을 포함한다. 제2접촉부재 지지체(120)는 연장부(113)가 삽입되는 제2개공(122)를 포함한다. 접촉부재 지지체(100,120)는 4개의 스프링(320)에 의해 하우징(300)의 제1수용부(302) 내에서 플로팅으로 지지된다.The contact member supports 100 and 120 include a first
하우징(300)은 상부에 접촉부재 지지체(100,120)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302)와 하부에 프로브지지체(400)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가 격벽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격벽에는 후술하는 프로브(200)의 제1플런저(210)가 수용되는 제3개공(330)들을 포함한다.The
프로브(200)는 원통형의 배럴(220), 일단이 배럴(220)의 일측에 부분 수용되고 타단이 접촉부재(110)의 하단에 접촉하는 제1플런저(210), 배럴(220)의 타측에 부분 삽입되는 제2플런저(230), 및 상기 배럴(220) 내에서 제1플런저(210)와 제2플런저(2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플런저(210)와 제2플런저(23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시킨다.The
프로브지지체(400)는 하우징(300)의 저면에 있는 제2수용부 내에 삽입고정되고, 제2플런저(230)가 외부로 부분 돌출하도록 프로브(200)를 수용하는 제4개공(430)를 포함한다. 프로브지지체(400)는 고정핀(410)을 통해 하우징(300)의 하부에 고정한다.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재(110)를 지지하는 접촉부재 지지체(100,120)는 하우징(300)의 제1수용부(30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접촉부재(110)의 불량이나 수명이 끝났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2, the contact
도 3은 테스트를 위해 피검사체(10)를 가압한 상태로서 스프링(240)은 압축된 상태이다. 테스트가 완료되어 피검사체(10)의 누름을 중단하면 스프링(240)에 의해 제1플런저(240)가 상향 돌출하면서 접촉부재(110)를 밀어 올린다. 결과적으로, 테스트가 완료되면 접촉부재(110)의 접촉부(111)가 외부로 돌출한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소켓(1)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110)는 제1플런저로서 배럴(220)의 일측에 부분삽입되어 있다. 접촉부재(110)는 V형인 한 쌍의 접촉면(212,214)을 가진 접촉부(211) 및 상기 접촉부(211)로부터 반경이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접촉면(212, 214)은 부분 곡면 통 형상의 피검사단자(12)를 수용하여 접촉할 때 이격된 2지점(P1,P2)에서 접촉한다. 접촉부(211)는 다수의 피검사단자(12)의 피치를 고려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한 제1판부(215) 및 강도 향상을 위해 제1판부(215)보다 더 넓은 폭의 제2판부(216)를 포함한다. 접촉부재(1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의 판재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강도 및 내구도가 낮기 때문에 인접한 피검사단자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 제1판부(215)로 하고, 나머지는 더 넓은 폭의 제2판부(216) 또는 연장부(213)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럴(220)의 타측에는 제2플런저(230)가 부분 삽입되어 검사회로의 패드단자(미도시)에 접촉한다. 배럴(220) 내에서 접촉부재(110)와 제2플런저(230) 사이에는 스프링(240)이 개재되어 접촉부재(110) 및 제2플런저(230)를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 바이어스시킨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재(510)를 나타낸다. 여기서, 접촉부재(510)는 별도로 분리 제조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200)의 제1플런저(210)에 접촉된다. 접촉부재(5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플런저(110)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접촉부재(510)는 배럴에 삽입되거나 프로브의 플런저에 접촉하는 본체부(511), 본체부(511)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플랜지부(512), 좁은 폭으로 V형 접촉면을 가진 접촉부(516)가 형성된 제1판부(514) 및 제1판부(514)와 본체부(511) 사이에서 제1판부(514)보다 더 넓은 폭의 제2판부(513)를 포함한다. 본체부(511)는 원기둥 형상으로, 플랜지부(512)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평면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5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평면부(515)는 다수의 접촉부재(510)를 배치할 때 다수의 제1판부(514)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판부(514)는 인접하는 피검사단자(12)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 플랜지부(512)와 제2판부(513) 사이의 본체부(511)는 생략 가능하다. 즉, 제2판부(513)가 바로 플랜지부(512)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판부(513)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제1판부(514)는 플랜지부(512) 또는 본체부(511)로부터 바로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폭이 좁은 제1부(514)는 길이가 길어지면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5 shows a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재(610)를 나타낸다. 여기서, 접촉부재(610)는 별도로 분리 제조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200)의 제1플런저(210)에 접촉된다. 접촉부재(6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플런저(110)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접촉부재(610)는 배럴에 삽입되거나 프로브의 플런저에 접촉하는 본체부(611), 본체부(611)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플랜지부(612), 좁은 폭으로 V형 접촉면을 가진 접촉부(616)가 형성된 제1판부(614) 및 제1판부(614)와 본체부(611) 사이에서 제1판부(614)보다 더 넓은 폭의 제2판부(613)를 포함한다. 본체부(61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플랜지부(612)는 본체부(611)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연장한다. 플랜지부(612)는 4각 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4각 기둥형상의 플랜지부(612)는 다수의 접촉부재(610)를 배치할 때 다수의 제1판부(614)가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판부(614)는 인접하는 피검사단자(12)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도 6에서, 플랜지부(612)와 제2판부(613) 사이의 본체부(611)는 생략 가능하다. 즉, 제2판부(613)가 바로 플랜지부(612)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판부(613)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제1판부(614)는 플랜지부(612) 또는 본체부(611)로부터 바로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폭이 좁은 제1부(614)는 길이가 길어지면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6 shows a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재(710)를 나타낸다. 여기서, 접촉부재(710)는 별도로 분리 제조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200)의 제1플런저(210)에 접촉된다. 접촉부재(7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플런저(110)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접촉부재(710)는 배럴에 삽입되거나 프로브의 플런저에 접촉하는 본체부(711), 본체부(711)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플랜지부(712), 좁은 폭으로 V형 접촉면을 가진 접촉부(716)가 형성된 제1판부(714) 및 제1판부(714)와 본체부(711) 사이에서 제1판부(714)보다 더 넓은 폭의 제2판부(713)를 포함한다. 본체부(711)는 4각 기둥 형상을 가진다. 플랜지부(712)는 본체부(711)를 중심으로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연장한다. 플랜지부(712)는 4각 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4각 기둥형상의 플랜지부(712)는 다수의 접촉부재(710)를 배치할 때 다수의 제1판부(714)가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판부(714)는 인접하는 피검사단자(12)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도 7에서, 플랜지부(712)와 제2판부(713) 사이의 본체부(711)는 생략 가능하다. 즉, 제2판부(713)가 바로 플랜지부(712)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판부(713)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제1판부(714)는 플랜지부(712) 또는 본체부(711)로부터 바로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폭이 좁은 제1부(714)는 길이가 길어지면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7 shows a
도 7에서, 본체부(711), 플랜지부(712), 제1판부(714) 및 제2판부(713)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두께의 판상 기재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접촉부재(710)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7, the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프로브소켓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사단자(12)의 부분 곡면 통 형상 부분에 접촉하는 제1프로브(110,200)외에, 피검사단자(12)의 평면 부분에 접촉하는 제2프로브(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프로브(800)는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프로브(800)는 제한되지 않는 포고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프로브(800)를 적용하는 것은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st probe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프로브소켓
100: 제1접촉부재 지지체
110,510,610,710: 접촉부재
120: 제2접촉부재 지지체
200: 프로브
210: 제1플런저
220: 배럴
230: 제2플런저
240: 스프링
300: 하우징
400: 프로브지지체1: Probe socket
100: first contact member support body
110, 510, 610, 710:
120: second contact member support body
200: probe
210: first plunger
220: Barrel
230: second plunger
240: spring
300: housing
400: probe support
Claims (5)
V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접촉단자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가진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일체 연장하는 연장부를 갖는 제1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프로브.
A probe for inspection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having curved contact terminals to be inspected,
And a first contact member which is arranged in a V shape and has a pair of contact surfaces each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mutually spaced position of the inspecting contact terminals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probe is a probe.
검사회로의 검사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1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inspection contact of the inspection circuit;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elastically bia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검사회로의 검사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재, 상기 제1접촉부재의 하단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재, 및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가진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inspection contact of the inspection circuit, a third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And a probe having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bia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V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접촉단자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가진 제1접촉부재를 지지하는 접촉부재지지체와;
검사회로의 검사접점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1접촉부재의 하단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접촉부재와 상기 제3접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체를 가진 프로브를 지지하는 프로브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프로브소켓.
1. A probe socket for supporting probes for inspection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having curved contact terminals to be inspected,
A contact member support body arranged in a V shape and supporting a first contact member having a pair of contact surfaces that are in contact with mutually spaced positions of the inspecting contact terminals;
A second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inspection contact of the inspection circuit, a third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And a probe support for supporting a probe having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bia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third contact member.
상기 접촉부재지지체는 상기 프로브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프로브소켓.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act member support is detachably supported on the probe support.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5153A KR101920824B1 (en) | 2017-02-02 | 2017-02-02 | A test probe and test socket |
JP2019536173A JP6873247B2 (en) | 2017-02-02 | 2018-01-11 | Inspection probe and socket |
CN201880009787.4A CN110249229B (en) | 2017-02-02 | 2018-01-11 | Test probe and test socket for supporting the same |
PCT/KR2018/000521 WO2018143577A1 (en) | 2017-02-02 | 2018-01-11 | Test probe and test socket using the same |
TW107101726A TWI665449B (en) | 2017-02-02 | 2018-01-17 | Test probe and test socket suppor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5153A KR101920824B1 (en) | 2017-02-02 | 2017-02-02 | A test probe and test sock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134A true KR20180090134A (en) | 2018-08-10 |
KR101920824B1 KR101920824B1 (en) | 2018-11-21 |
Family
ID=6304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5153A KR101920824B1 (en) | 2017-02-02 | 2017-02-02 | A test probe and test socket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873247B2 (en) |
KR (1) | KR101920824B1 (en) |
CN (1) | CN110249229B (en) |
TW (1) | TWI665449B (en) |
WO (1) | WO2018143577A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521B1 (en) * | 2019-01-17 | 2019-07-12 |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 pin breakage prevention type multi contact socket |
KR20200109516A (en) * | 2019-03-13 | 2020-09-23 | 퀄맥스시험기술 주식회사 | Probe for the test device |
KR102171289B1 (en) * | 2019-05-17 | 2020-10-28 | (주)티에스이 | Contact probe and test socket including the same |
KR20210124365A (en) * | 2019-11-12 | 2021-10-14 | 쑤저우 에이치와이씨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probe module |
KR102409029B1 (en) * | 2022-04-12 | 2022-06-14 | 이시훈 | Probe p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73499B (en) * | 2018-09-10 | 2019-10-01 | 范劉文玲 | Integrated circuit socket |
CN112213533A (en) * | 2019-07-10 | 2021-01-12 |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 Needle stand structure and test fixture adopting same |
KR102208381B1 (en) * | 2019-09-06 | 2021-01-28 | 리노공업주식회사 | Test probe and method manufacturing for the same, and test socket supporting the same |
CN114019354A (en) * | 2021-11-02 | 2022-02-08 | 环鸿电子(昆山)有限公司 | Circuit board testing device and circuit board testing method |
CN115308456B (en) * | 2022-09-29 | 2023-03-10 | 深圳市道格特科技有限公司 | Vertical probe and probe card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86414B2 (en) * | 2006-05-23 | 2011-10-05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KR100810044B1 (en) * | 2006-08-10 | 2008-03-05 | 리노공업주식회사 | A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ct probe |
KR20110076855A (en) * | 2011-05-25 | 2011-07-06 | 박상량 | Semiconductor test socket |
KR101282324B1 (en) * | 2011-10-14 | 2013-07-04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Probe pin |
KR101439342B1 (en) * | 2013-04-18 | 2014-09-16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Probe member for pogo pin |
KR101439343B1 (en) * | 2013-04-18 | 2014-09-16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Probe member for pogo pin |
JP5985447B2 (en) * | 2013-08-21 | 2016-09-06 | オムロン株式会社 | Probe pi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SG11201606516RA (en) * | 2014-02-13 | 2016-09-29 | Nhk Spring Co Ltd | Probe unit |
KR101552553B1 (en) * | 2014-09-23 | 2015-10-01 | 리노공업주식회사 | A contact probe for the test device |
KR101620541B1 (en) * | 2014-10-17 | 2016-05-12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
JP6317270B2 (en) * | 2015-02-03 | 2018-04-25 |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ogo pin |
CN205861733U (en) * | 2016-06-22 | 2017-01-04 | 深圳市斯纳达科技有限公司 | Spring probe and socket for integrated circuit testing |
-
2017
- 2017-02-02 KR KR1020170015153A patent/KR10192082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1-11 JP JP2019536173A patent/JP6873247B2/en active Active
- 2018-01-11 CN CN201880009787.4A patent/CN110249229B/en active Active
- 2018-01-11 WO PCT/KR2018/000521 patent/WO201814357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1-17 TW TW107101726A patent/TWI665449B/en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521B1 (en) * | 2019-01-17 | 2019-07-12 |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 pin breakage prevention type multi contact socket |
KR20200109516A (en) * | 2019-03-13 | 2020-09-23 | 퀄맥스시험기술 주식회사 | Probe for the test device |
KR102171289B1 (en) * | 2019-05-17 | 2020-10-28 | (주)티에스이 | Contact probe and test socket including the same |
KR20210124365A (en) * | 2019-11-12 | 2021-10-14 | 쑤저우 에이치와이씨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probe module |
KR102409029B1 (en) * | 2022-04-12 | 2022-06-14 | 이시훈 | Probe p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873247B2 (en) | 2021-05-19 |
CN110249229A (en) | 2019-09-17 |
TW201830027A (en) | 2018-08-16 |
JP2020504302A (en) | 2020-02-06 |
WO2018143577A1 (en) | 2018-08-09 |
TWI665449B (en) | 2019-07-11 |
CN110249229B (en) | 2022-05-31 |
KR101920824B1 (en) | 2018-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0824B1 (en) | A test probe and test socket | |
KR101958351B1 (en) | A test probe and test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769355B1 (en) | Vertical probe pin and probe pin assembly with the same | |
TWI697683B (en) | Test device | |
KR101422566B1 (en) | Probe and Probe Card | |
KR101770394B1 (en) | Integrated circuit (ic)test socket using kelvin bridge | |
WO2011096067A1 (en) |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JP2017223628A (en) | Probe pin | |
KR102208381B1 (en) | Test probe and method manufacturing for the same, and test socket supporting the same | |
KR102467671B1 (en) | Test socket | |
JP2014516158A (en) | Electrical interconnection assembly | |
KR101813006B1 (en) | Contactor for semiconductor test | |
KR100997635B1 (en) | Probe card for inspecting wafer | |
CN108627677B (en) | Elastic clamping pin and test socket with same | |
JP2019191196A (en) | Probe pin | |
KR101544499B1 (en) | A test device | |
JP2008292337A (en) | Metho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pherical external electrode | |
KR100899064B1 (en) | H-pin Block | |
KR101500609B1 (en) | A test device | |
JP2017058205A (en) | Probe pin and inspection jig using the same | |
KR101715744B1 (en) | Test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a curved interconnect plate | |
US20210336365A1 (en) | Contact probe and inspection socket provided with contact probe | |
JP2019207245A (en) | Probe pin | |
KR20170095449A (en) | A Test Socket | |
KR102212346B1 (en) | A probe p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