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76625A - 가습청정기용 물통 - Google Patents

가습청정기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625A
KR20180076625A KR1020160180984A KR20160180984A KR20180076625A KR 20180076625 A KR20180076625 A KR 20180076625A KR 1020160180984 A KR1020160180984 A KR 1020160180984A KR 20160180984 A KR20160180984 A KR 20160180984A KR 20180076625 A KR20180076625 A KR 20180076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humidifying
fixing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김진민
김봉석
김효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625A/ko
Publication of KR2018007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7Integral handle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s, cavitie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청정기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물통부와, 상기 물통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홀에 안내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용 물통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습청정기용 물통{water bottle for 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가습청정기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청정기에는 가습용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가습물통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습물통은 가습청정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형태의 가습청정기는 가습용 물 보충이나 세척 등의 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가습물통을 가습청정기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최근 가습청정기의 미관을 위해 가습청정기의 외형이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습물통도 가습청정기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가습물통이 평탄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결국, 가습물통이 직립한 상태에서 물을 가습물통에 채워 넣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더하여 안정적으로 가습물통이 직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습물통에 물을 채워 넣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5-76990호
사용이 편리한 가습청정기용 물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은 가습청정기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물통부와, 상기 물통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홀에 안내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회전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용 돌기를 구비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받침부재의 직립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용 홈은 상기 고정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가습청정기용 물통은 상기 손잡이홈의 내부로 일단이 돌출되며 타단이 고정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손잡이홈의 내부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후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부에 물을 채워 넣는 경우 직립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이 장착되는 가습청정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이 장착되는 가습청정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은 일예로서, 플레이트부(110), 물통부(120), 고정부(130), 받침부재(140) 및 후크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은 가습청정기(10)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가습청정기(10)에 구비되는 가습유닛(미도시)에 물을 공급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은 가습청정기(10) 뿐만 아니라 가습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플레이트부(110)는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가습청정기(10)에 설치되는 경우 가습청정기 본체(20)의 일부를 형성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110)의 일면에는 물통부(120)의 고정 설치를 위한 나사결합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물통부(120)는 플레이트부(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112)에 나사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또한, 플레이트부(112)의 타면에는 손잡이홈(114)이 형성되며, 손잡이홈(114)은 플레이트부(112)의 타면으로부터 만입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홈(114)을 통해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을 집어서 가습청정기(10)에 착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10)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물통부(12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16)이 형성될 수 있다.
물통부(120)는 플레이트부(11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통부(120)는 플레이트부(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112)에 나사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물통부(12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이 내부공간에 물이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물통부(120)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캡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물통부(120)는 저장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 또는 흰색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30)는 물통부(12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플레이트부(11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130)의 양측면에는 받침부재(140)의 설치 및 회전을 위한 설치홀(132) 및 가이드홀(134)이 구비될 수 있다.
설치홀(132)은 고정부(13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134)은 고정부(130)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홀(134)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홀(134)의 주위에 설치홀(132)이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140)는 고정부(130)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홀(134)에 안내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예로서, 받침부재(140)는 고정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며 가이드홀(13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42a)와, 회전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용 돌기(142b)를 구비하는 받침부(142) 및 받침부(142)를 연결하는 연결바(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받침부(142)는 적어도 일면이 받침부재(140)의 직립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된다.
즉, 받침부재(140)는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직립하여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가습청정기(10)에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설치되는 경우 받침부재(140)에 의한 설치가 방해받지 않을 수 있도록 받침부재(140)는 고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을 가습청정기(10)로부터 분리시킨 후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넣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받침부재(14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140)를 회전시켜 받침부(142)의 측면 중 평평하게 형성되는 일측면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바닥면에 직립한 상태에서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후크부재(150)는 손잡이홈(114)의 내부로 일단이 돌출되며, 고정부(130)의 상부로 타단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후크부재(150)는 손잡이홈(114)의 내부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부(152)와, 고정부(130)의 상부로 돌출되는 후크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홈(114)에 배치되는 누름부(152)를 누르면 후크부(154)가 고정부(130) 측으로 삽입되어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가습청정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재(150)에는 원위치로 후크부재(150)가 복귀할 수 있도록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140)를 통해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직립된 상태에서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물을 물통부(120)에 채워 넣을 수 있다.
나아가, 받침부재(140)가 고정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는 받침부(142)와 받침부(142)를 연결하는 연결바(144)를 구비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을 받침부재(140)가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가습청정기용 물통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가습청정기(10, 도 1 참조)에 설치되는 경우 받침부재(140)는 고정부(130)에 밀착 배치된다. 그리고, 이 때 받침부재(140)의 연결바(144)가 고정부(130)의 모서리 측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후, 사용자가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가습청정기(10)로부터 분리되어 물통부(120) 내에 물을 채워 넣고자 하는 경우 받침부재(140)를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40)를 통해 가습청정기용 물통(100)가 바닥면에 직립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140)를 통해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이 직립된 상태에서 물통부(12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물을 물통부(120)에 채워 넣을 수 있다.
나아가, 받침부재(140)가 고정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는 받침부(142)와 받침부(142)를 연결하는 연결바(144)를 구비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가습청정기용 물통(100)을 받침부재(140)가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가습청정기용 물통
110 : 플레이트부
120 : 물통부
130 : 고정부
140 : 받침부재
150 : 후크부재

Claims (5)

  1. 가습청정기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물통부;
    상기 물통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홀에 안내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용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회전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용 돌기를 구비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를 구비하는 가습청정기용 물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받침부재의 직립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는 가습청정기용 물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용 홈은 상기 고정부 내에 삽입 배치되는 가습청정기용 물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홈의 내부로 일단이 돌출되며 타단이 고정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손잡이홈의 내부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후크부로 이루어지는 가습청정기용 물통.
KR1020160180984A 2016-12-28 2016-12-28 가습청정기용 물통 KR20180076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84A KR20180076625A (ko) 2016-12-28 2016-12-28 가습청정기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84A KR20180076625A (ko) 2016-12-28 2016-12-28 가습청정기용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25A true KR20180076625A (ko) 2018-07-06

Family

ID=6292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84A KR20180076625A (ko) 2016-12-28 2016-12-28 가습청정기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6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640B2 (en) Floating type humidifier
JP4907567B2 (ja) 分配装置およびその充填方法
DE602006002092D1 (de) Tragbarer Flüssigkeitsspender
US20090266848A1 (en) Soap dispensing apparatus
US20100243758A1 (en) Liquid storage container for a painting device
KR101306631B1 (ko) 가습기
JPH035793Y2 (ko)
US10005658B2 (en) Water dispenser and detachable water container with lateral connector connected thereto
KR20180076625A (ko) 가습청정기용 물통
KR20160083173A (ko) 기화식 가습기
KR102353450B1 (ko) 가습 필터 어셈블리
KR20160144675A (ko) 모듈형 가습 공기청정기
US20070062975A1 (en) Soap dispensing apparatus
US1004443A (en) Chalk-line holder.
KR20150058966A (ko) 가습기
JP2018138833A (ja) 加湿装置
KR101304113B1 (ko) 가습기 및 그의 탱크
KR20120004374U (ko) 이중 바닥 먹줄기
US20180139936A1 (en) Aquarium with water change system
US4276241A (en) Dispenser-liquid water treatment for room humidifier
JP631836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4200310A (ja) 美顔器具収納箱
JPH0211827B2 (ko)
US6540118B1 (en) Cleaning solution dispensing device
KR20150004205U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