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173A - 기화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기화식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3173A KR20160083173A KR1020140193026A KR20140193026A KR20160083173A KR 20160083173 A KR20160083173 A KR 20160083173A KR 1020140193026 A KR1020140193026 A KR 1020140193026A KR 20140193026 A KR20140193026 A KR 20140193026A KR 20160083173 A KR20160083173 A KR 20160083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water
- thermoelectric module
- support bar
- rotation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수조에 침지되는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기화식 가습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및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가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에 의하면, 가습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개시되는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및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가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에 의하면, 가습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에 침지되는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용 물이 저장된 수조에 가습필터의 하단 일부가 침지되어 가습필터가 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가습필터에 흡수된 수분은 송풍부에서 발생시키는 유동 공기에 포함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필터가 흡수하는 물로서 상온수보다 온도가 높은 물을 사용하면 온도가 높은 물이 기화작용이 잘 일어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가습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가습용 물로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자연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및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상기 수조가 장착되는 수조장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장착부에 슬라이드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열전모듈이 상기 수조에 침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조장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열전모듈이 상기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서 슬라이드 분리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열전모듈이 상기 수조의 내측공간에서 이탈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조장착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열전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열전모듈을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에 노출시키는 물소통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수조의 슬라이드 분리동작 및 장착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케이스를 승강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연장된 회전지지바 및 상기 회전지지바를 상기 수조장착부의 일측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바는 상기 수조가 슬라이드 장착될 때 상기 수조의 몸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케이스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상기 케이스가 상승된 위치로 원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지지바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장착부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동안 상기 회전지지바를 눌러서 회전시키고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바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물통, 수조 및 가습필터가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포함되는 수조와 가열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포함되는 수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조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포함되는 가열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열유닛의 측단면도.
도 7은 수조에 가열유닛이 침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포함되는 수조와 가열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포함되는 수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조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포함되는 가열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열유닛의 측단면도.
도 7은 수조에 가열유닛이 침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100)는 하우징(110), 수조(120), 가습필터(130), 가습물통(140), 설치브래킷(150) 및 가열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 후술할 수조(12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인 수조장착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되어 후술할 가습필터(130)를 통과한 후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하는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120)는 가습용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부재로서, 하우징(110)의 수조장착부(112)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조(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장착부(122) 및 회전제한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통장착부(122)는 후술할 가습물통(14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가습물통(140)이 장착되면 가습물통(140)에 저장된 물이 수조(120)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부(124)는 수조(120)의 일측 상단에 수조(12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후술할 가동부(167)의 회전지지바(167a)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제한부(124)는 수조장착부(112)에 수조(120)가 슬라이드 장착되는 동안 회전지지바(167a)를 눌러서 회전시킬 수 있고, 수조장착부(112)에 수조(1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바(167a)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130)는 하단 일부가 수조(120)에 침지되어 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필터(1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가습용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물통(140)은 가습용 물을 저장하고, 수조(120)의 물통장착부(122)에 장착되어 수조(1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수조장착부(112) 상부에는 가습물통(14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래킷(150)은 후술할 가열유닛(160)을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설치브래킷(150)은 수조장착부(112)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부 프레임이나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브래킷(150)에는 후술할 가동부(167)의 회전축(167b)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열유닛(160)은 수조(120)에 침지되어 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열전모듈(162)을 구비하여 열전모듈(162)을 통해 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유닛(160)은 수조(120)가 수조장착부(112)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열전모듈(162)이 수조(120)의 내측에 침지되고, 수조(120)가 수조장착부(112)에서 슬라이드 분리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열전모듈(162)이 수조(120)의 내측공간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가열유닛(160)은 케이스(164) 및 가동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64)는 수조장착부(112)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열전모듈(162)이 수납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케이스(164)에는 내부에 수납된 열전모듈(162)을 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노출시키는 물소통구(1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케이스(164)가 수조(120)의 내측에 배치되면, 케이스(164)에 수납된 열전모듈(162)이 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게 되고, 이때, 열전모듈(162)은 케이스(164)의 물소통구(165)를 통해 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노출됨으로써 전기 인가시 수조(120)에 물소통구(165)를 통해 유동하는 물과 열교환하여 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167)는 수조(120)의 슬라이드 분리동작 및 장착동작에 연동하여 케이스(164)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16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바(167a), 회전축(167b) 및 탄성부재(167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바(167a)는 케이스(164)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64)와 일체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67b)은 회전지지바(167a)를 설치브래킷(15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167b)은 회전지지바(167a)의 중앙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지지바(167a)에서 회전지지바(167a)의 끝단과 회전축(167b)까지의 부분에는 눌림부(167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눌림부(167c)는 수조(120)가 수조장착부(112)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경우에 수조(120)의 회전제한부(124)에 의해 눌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때, 회전제한부(124)는 눌림부(167c)를 누름으로써, 회전지지바(167a)를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지지바(167a)에 결합된 케이스(164)가 하방으로 선회하여 하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67d)는 회전지지바(167a)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케이스(164)가 상승된 위치로 원위치하도록 회전지지바(167a)에 탄성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서, 탄성부재(167d)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설치브래킷(150)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지지바(167a)의 눌림부(167c)에 고정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167b)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 등 회전지지바(167a)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요소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100)는 수조(120)에 침지되는 열전모듈(162)을 통해 수조(120)에 저장되는 가습용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온수를 가습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가습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100)는 수조(120)의 장착 및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수조(120)에 침지 및 이탈되는 가열유닛(160)을 통해, 고열이 발생하는 가열기기의 사용상 안전성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기화식 가습기
110: 하우징
112: 수조장착부 120: 수조
122: 물통장착부 124: 회전제한부
130: 가습필터 140: 가습물통
150: 설치브래킷 160: 가열유닛
162: 열전모듈 164: 케이스
165: 물소통구 167: 가동부
167a: 회전지지바 167b: 회전축
167c: 눌림부 167d: 탄성부재
112: 수조장착부 120: 수조
122: 물통장착부 124: 회전제한부
130: 가습필터 140: 가습물통
150: 설치브래킷 160: 가열유닛
162: 열전모듈 164: 케이스
165: 물소통구 167: 가동부
167a: 회전지지바 167b: 회전축
167c: 눌림부 167d: 탄성부재
Claims (7)
-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및
상기 수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가열유닛;
을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수조가 장착되는 수조장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장착부에 슬라이드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열전모듈이 상기 수조에 침지되도록 구성되는 기화식 가습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조장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열전모듈이 상기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서 슬라이드 분리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열전모듈이 상기 수조의 내측공간에서 이탈되도록 동작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조장착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열전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열전모듈을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에 노출시키는 물소통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수조의 슬라이드 분리동작 및 장착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케이스를 승강시키는 가동부;
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연장된 회전지지바 및 상기 회전지지바를 상기 수조장착부의 일측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바는 상기 수조가 슬라이드 장착될 때 상기 수조의 몸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케이스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기화식 가습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상기 케이스가 상승된 위치로 원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지지바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장착부에 슬라이드 장착되는 동안 상기 회전지지바를 눌러서 회전시키고 상기 수조가 상기 수조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바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부를 구비하는 기화식 가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026A KR102347607B1 (ko) | 2014-12-30 | 2014-12-30 | 기화식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026A KR102347607B1 (ko) | 2014-12-30 | 2014-12-30 | 기화식 가습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173A true KR20160083173A (ko) | 2016-07-12 |
KR102347607B1 KR102347607B1 (ko) | 2022-01-11 |
Family
ID=5650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026A KR102347607B1 (ko) | 2014-12-30 | 2014-12-30 | 기화식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760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302A (ko) | 2018-06-24 | 2020-01-02 | 주식회사 디앤티 | 가습량을 증대하도록 개선된 기화식 가습장치 |
KR20200082061A (ko) | 2018-12-28 | 2020-07-08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
KR20200082060A (ko) | 2018-12-28 | 2020-07-08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
KR20200084723A (ko) | 2019-01-03 | 2020-07-13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기 |
KR20210067132A (ko) | 2019-11-29 | 2021-06-08 | 김상진 | 유도 전류를 활용한 무접점 무소음 자연 기화식 가습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7804A (ja) * | 1993-03-04 | 1994-09-16 | Sharp Corp | 加湿器 |
JP2006057995A (ja) * | 2004-07-21 | 2006-03-02 | Sanyo Electric Co Ltd | 加湿器 |
JP2008178828A (ja) * | 2007-01-25 | 2008-08-07 | Sanyo Electric Co Ltd | 電解水生成装置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3026A patent/KR1023476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7804A (ja) * | 1993-03-04 | 1994-09-16 | Sharp Corp | 加湿器 |
JP2006057995A (ja) * | 2004-07-21 | 2006-03-02 | Sanyo Electric Co Ltd | 加湿器 |
JP2008178828A (ja) * | 2007-01-25 | 2008-08-07 | Sanyo Electric Co Ltd | 電解水生成装置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302A (ko) | 2018-06-24 | 2020-01-02 | 주식회사 디앤티 | 가습량을 증대하도록 개선된 기화식 가습장치 |
KR20200082061A (ko) | 2018-12-28 | 2020-07-08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
KR20200082060A (ko) | 2018-12-28 | 2020-07-08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
KR20200084723A (ko) | 2019-01-03 | 2020-07-13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기 |
WO2020141796A3 (ko) * | 2019-01-03 | 2020-12-17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기 |
CN113272592A (zh) * | 2019-01-03 | 2021-08-17 | 熊津科唯怡株式会社 | 加湿器 |
CN113272592B (zh) * | 2019-01-03 | 2023-09-26 | 熊津科唯怡株式会社 | 加湿器 |
US11976845B2 (en) | 2019-01-03 | 2024-05-07 | Coway Co., Ltd. | Humidifier |
KR20210067132A (ko) | 2019-11-29 | 2021-06-08 | 김상진 | 유도 전류를 활용한 무접점 무소음 자연 기화식 가습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7607B1 (ko) | 2022-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83173A (ko) | 기화식 가습기 | |
KR102466276B1 (ko) | 가습기 및 가전기기 | |
US9031392B2 (en) | Angle-adjustable aroma diffuser | |
TWI646983B (zh) | Device for diffusing chemical substances | |
US20160010882A1 (en) | Dehumidifier | |
JP3204522U (ja) | 水タンクの出し入れを容易にする空調ファン | |
KR102340052B1 (ko) | 가습기 | |
US10098501B2 (en) | Grill | |
KR20140115491A (ko) | 가습기 | |
JP2013050290A (ja) |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 |
KR200263133Y1 (ko) | 필터 기화식 가습기 | |
JP2016092901A (ja) | 盤用除湿器 | |
JP2013032867A (ja) |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 |
JP2012255619A (ja) |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 |
KR101261157B1 (ko) |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 |
KR102284428B1 (ko) | 의류 관리 장치 | |
KR101304113B1 (ko) | 가습기 및 그의 탱크 | |
KR20160068115A (ko) | 제가습 장치 | |
KR101636959B1 (ko) | 빌트인 제습기 | |
CN210225937U (zh) | 一种核电暖通空调柜内自带防潮加热功能的控制柜 | |
CN204419630U (zh) | 一种具有加湿及驱蚊功能的新型风扇 | |
KR102237456B1 (ko) | 급수형 에어워셔 | |
JP2013032866A (ja) |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 |
JP2018138833A (ja) | 加湿装置 | |
KR20120113026A (ko) | 가습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