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587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7587A KR20180047587A KR1020160143899A KR20160143899A KR20180047587A KR 20180047587 A KR20180047587 A KR 20180047587A KR 1020160143899 A KR1020160143899 A KR 1020160143899A KR 20160143899 A KR20160143899 A KR 20160143899A KR 20180047587 A KR20180047587 A KR 201800475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array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display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943 off-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9 therm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01L51/524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 H01L27/323—
-
- H01L27/3258—
-
- H01L27/3262—
-
- H01L27/3276—
-
- H01L51/5203—
-
- H01L51/5253—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스크린 합착 시에 패드부와 표시 영역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제거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유기 발광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합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 개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패드부가 구비되며, 터치 전극 어레이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패드부가 구비되며, 상부 패드부와 하부 패드부는 도전볼을 포함하는 씰재에 의해 합착되며, 상기 씰재의 일측은 접착층과 접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씰재와 상기 접착층이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구비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 개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패드부가 구비되며, 터치 전극 어레이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패드부가 구비되며, 상부 패드부와 하부 패드부는 도전볼을 포함하는 씰재에 의해 합착되며, 상기 씰재의 일측은 접착층과 접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씰재와 상기 접착층이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스크린 합착 시에 패드부와 표시 영역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제거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벼우며,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의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형이 가능하므로, 근래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고, 발광 셀 내부에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인-셀 터치 구조(In-Cell Touch)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인 셀 터치 구조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가 구비된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스크린이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접착층(Adhesive layer)에 의해 합착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패드부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패드부 측에 대향되고, 도전성 볼을 포함한 이방성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ACF)에 의해 본딩(bonding)된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스크린을 합착하는 합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및 이방성 도전성 필름은 열 경화 공정에 의해 경화된다. 그런데,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합착 공정을 위한 열 경화 시간 또한 증가한다. 이같이 합착 공정에서 열을 가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접착층 등으로부터의 아웃개싱(outgassing) 현상이 발생하며, 이 때 발생한 아웃개스는 접착층의 이방성 도전성 필름 사이 공간에 트랩됨으로써 접착층과 이방성 도전성 필름 사이 공간이 채워지지 않은 공극이 발생한다. 이같은 공극이 발생하는 영역 상측에는 터치 스크린용 배선들이 위치하며, 상기 공극들은 터치 스크린용 배선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스크린 합착 시에 패드부와 표시 영역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제거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유기 발광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합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 개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패드부가 구비되며, 터치 전극 어레이의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패드부가 구비되며, 상부 패드부와 하부 패드부는 도전볼을 포함하는 씰재에 의해 합착되며, 상기 씰재의 일측은 접착층과 접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씰재와 상기 접착층이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구비된다.
홈은 장축을 수평 방향으로 하는 선형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 전극들을 지나 상기 하부 패드부 외곽부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홈은 터치 전극 어레이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홈은 상기 접착층과 씰재가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터치 전극 어레이에 구비된 터치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라우팅 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착층 및 패드부를 외부로 노출한다.
본 발명의 홈은, 접착층과 씰재가 합착될 때 발생하는 아웃개스로 인한 기포를 트랩하거나, 접착층과 씰재의 합착시 상기 아웃개스를 접착층 및 씰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면, 접착층 등으로부터 발생한 아웃개스는 상기 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접착층과 씰재의 경계부에는 접착층이 완전히 채워지게 되고,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접착층과 씰재의 경계부에는 라우팅 라인들이 위치하게 되는데, 공극 없이 채워진 접착층에 의해 라우팅 라인들의 하부가 지지되므로, 라우팅 라인의 단선 불량이 예방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홈이 형성되는 위치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 부분 및 B 영역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홈이 형성되는 영역을 따라 세로로 자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8은 상기 홈이 형성된 부분 및 B 영역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홈이 형성되는 위치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 부분 및 B 영역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홈이 형성되는 영역을 따라 세로로 자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8은 상기 홈이 형성된 부분 및 B 영역의 단면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될 경우, '바로' 또는 '직접' 이 사용되지 않은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하부 기판(1000)과 상부 기판(3000)의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0)와 터치 전극 어레이(230)가 접착층(400)에 의해 합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어레이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 하부 기판(1000)이나 상부 기판(3000)에 형성한 후, 레이저 조사 또는 식각 등에 방법에 의해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도면의 하부 기판(1000) 및 상부 기판(3000)은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 기판(1000) 상에는 제 1 기재(120), 제 1 버퍼층(130),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 및 유기 발광 어레이(150)가 차례로 위치하고,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150)를 덮도록 보호층(160)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상부 기판((3000) 상에는 제 2 기재(210), 제 2 버퍼층(220) 및 터치 전극 어레이(2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30)가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150)를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 때, 상기 접착층(400)에 의해 직접 접하는 면은 각각 하부에서는 보호층(160)이며, 상부에서는 터치 전극 어레이(230)이다.
상기 제 1 버퍼층(130) 및 제 2 버퍼층(220)은 각각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어 있으며, 터치 전극 어레이(230), 유기 발광 어레이(150) 및 패드부를 제외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 내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된다. 그리고, 비표시 영역 중 일부에 상부 패드부(2350)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하부 패드부가 정의된다.
여기서, 제 1 기재(120) 및 제 2 식각 기재(210)는 레이저 조사나 식각 공정에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글래스 소재 외에 내부 어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1 기재(120) 및 제 2 기재(210)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의 특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기재(120, 210)는 하부 기판(1000) 및 상부 기판(3000)을 대체할 수도 있고, 이 때 하부 기판(1000) 및 상부 기판(3000)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기재(120, 210)가 삭제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재(120, 210)는 폴리 이미드(polyimide) 또는 포토 아크릴(photo acryl) 등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버퍼층(130) 및 제 2 버퍼층(220)은 각각 산화막(SiO2) 또는 질화막(SiNx)과 같은 무기막을 동일 종류로 적층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무기막을 교번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제 2 버퍼층(130, 210)은, 상기 하부 기판(300) 상에 상기 상부 기판(350)을 합착하는 이후의 공정에서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150)로 수분이나 외기가 투습됨을 방지하는 배리어로 기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30)와 함께 상부 패드부(235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드부(2350)는 상기 접착층(400)에 의한 상하 합착 과정에서, 도전성 볼(455)을 포함한 씰재(450)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의 하부 패드부에 접속된다. 상기 접착층(400)은 투습 방지 기능을 갖고,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150)를 덮는 보호층(160)과 직접 대면하여 접하여, 상기 보호층(160)이 갖는 기능에 더하여 유기 발광 어레이(150)로 외기가 들어감을 방지하고 수분 투습을 보다 확실하게 막아준다. 또한 씰재(450)는 도전볼(455)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or Film;ACF)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를 포함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는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30)보다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부분에서는,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유기 발광 어레이를 함께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IC(5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IC(500)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구동 패드, 하부 패드들은 복수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IC(500)와 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IC(500)는, 글래스 제거 후,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와 본딩되어 연결되어, FPCB에 구비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패드는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 중 상기 상부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게이트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을 이루는 금속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드부(2350)는, 상기 제 2 버퍼층(2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100)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과 인접한 변의 양 외곽에 나누어 형성된다. 그리고, 나누어 형성된 상부 패드부(2350)들에 있어서, 양 외곽 중 하나는 터치 전극 어레이 중 X축 방향의 제 1 전극들의 전압 인가 또는 검출을 위한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Y축 방향의 방향의 제 2 전극들의 전압 인가 또는 검출을 위한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드부(2350)와 접속되는 도전성 볼(455)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의 외곽쪽에 형성된 더미 전극(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는 접착층(400)과 씰재(450)의 경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홈(2300)을 포함한다. 도 1의 홈(230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에 형성되나, 편의상 상부 기판(3000)측에서 바라볼 때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상의 홈(2300)의 형상이 투시되도록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홈(2300)이 형성되는 위치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전극 어레이(230)는 서로 교차하는 형상의 제 1 터치 전극(2331) 및 제 2 터치 전극(2332)과,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2331, 2332)에 각각 신호를 전달하는 상부 전극(2351b)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2351b)은 상부 패드부(2350)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전극(2351b)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하부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과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터치 전극은 제 1 방향으로, 각각이 물리적으로 이격한 섬상(island shape)의 제 1 전극 패턴(2331)과, 상기 제 1 전극 패턴(2331)과 다른 층에 인접한 제 1 전극 패턴(23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브리지(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터치 전극은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극 패턴(2331)과 동일 형상의 제 2 전극 패턴(2332)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2332)과 일체형으로 인접한 제 2 전극 패턴들(2332)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233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외측에는, y 축 방향으로 구비되어 터치 전극 어레이(230)에 구비된 터치 전극들과 상부 패드부(2350)를 연결하는 라우팅 라인들(231b, 231c)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의하면, 접착층(450)과 씰재(450)의 경계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홈(23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홈(2300)은 장축을 수평 방향으로 하는 선형으로 형성된다. 이 때 홈(2300)은 씰재(450)의 외곽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홈(2300) 장축의 길이는 씰재(450)가 형성된 영역의 가로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홈(2300)은 씰재(450)와 접착층(400)의 경계부로부터 연장되어 표시 패널의 측면, 즉 씰재(450)와 접착층(400)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까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홈(2300)은 씰재(450)와 접착층(400)의 엣지부근처까지 연장되어 홈(2300)의 일측 단부가 씰재(450) 및 접착층(400)에 의해 덮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Ⅱ-Ⅱ' 및 B 영역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B 로 표시된 단면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A/A)의 버퍼층(130)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는 소스 영역(109a), 드레인 영역(109b)을 포함하는 활성층(104)과, 활성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106)과,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02)과, 게이트 전극(102)을 덮도록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112)과, 상기 층간 절연막(112) 및 게이트 절연막(106)을 패터닝하여 소스/드레인 영역(109a, 10b)을 노출하는 콘택홀과,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109a, 109b)과 접속되는 소스 전극(108) 및 드레인 전극(110)을 포함한다. 소스 전극(108) 및 드레인 전극(110)은 하부 패시베이션층(114)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때 층간 절연막(112) 및 하부 패시베이션층(114)은 단층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두 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 상에는 유기 발광 어레이(150)가 위치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패시베이션층(114)을 패터닝하여 드레인 전극(110)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110)과 접속된 제 1 전극(116)과, 상기 제 1 전극(116) 및 상기 하부 패시베이션층(114) 상에 위치하여 각 화소 개구부를 정의하는 뱅크 절연막(124)과, 상기 뱅크 절연막(124) 상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26)와, 상기 제 1 전극(116)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118)과, 상기 유기층(118)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128)을 포함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유기 발광 어레이(160)는 보호층(16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터치 전극 어레이(230)는 버퍼층(220) 상에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2331, 233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기 제 1 터치 전극(2331)의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구비한 제 1 상부 패시베이션층(232)이 형성된 다음, 상기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 1 터치 전극(2331)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231)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2 상부 패시베이션층(23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터치 전극 어레이(230)는 상기 보호층(160)과 접착층(400)을 통해 마주보며 합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실제 표시 장치에서는 앞서 설명한 터치 전극 어레이(230)는 상하 반전된 구조를 갖게 된다.
패드 영역(P/A)의 제 1 버퍼층(130) 상에는 하부 전극(1081)이 형성된다. 제 1 하부 전극(1081)은 제 1 하부 패시베이션층(106) 상에 형성되며, 제 2 합 패시베이션층(114)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하부 전극(1081)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전극(1081)은 표시 영역(A/A)의 게이트 전극(102)과 동일 물질로 동시에 형성되거나, 또는 소스/드레인 전극(108, 110)과 동일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의 제 2 버퍼층(220) 상에는 상부 전극(2351)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2351)은 제 1 상부 패시베이션층(232) 상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2351) 상에 위치하는 제 2 상부 패시베이션층(234)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상부 전극(2351)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패드 영역(P/A) 또한 상기 상부 전극(2351) 또한 상하 반전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합착된 구조에서 상부 전극(2351)은 제 1 상부 패시베이션층(232) 하부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제 2 상부 패시베이션층(234)은 상부 전극(2311)의 하측에 위치하고, 그 일부가 제거되어 상부 전극(2311)을 노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 전극(1081)과 상부 전극(2351)은 도전볼(455)을 포함하는 씰재(4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부 전극(2351)은 하부 전극(1081)로부터의 터치 신호를 라우팅 라인(231b)을 통해 각 터치 전극(2331, 233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라우팅 라인(231b)과 터치 전극(2331, 2332)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2300)은 표시 영역(A/A)과 패드 영역(P/A) 사이, 접착층(400)과 씰재(450)가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에 위치한다. 이 때 홈(2300)은 적어도 한 층의 층간 절연막(112) 및 하부 패시베이션층(114)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홈(2300)은, 접착층(400)과 씰재(450)가 합착될 때 발생하는 아웃개스(outgas)로 인한 기포를 트랩(trap)하거나, 특히 접착층(400)과 씰재(450)의 합착시 상기 아웃개스를 접착층(400) 및 씰재(45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면, 접착층(400) 등으로부터 발생한 아웃개스는 상기 홈(2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접착층(400)과 씰재(450)의 경계부에는 접착층(400)이 완전히 채워지게 되고,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접착층(400)과 씰재(450)의 경계부에는 라우팅 라인들(231b)이 위치하게 되는데, 공극 없이 채워진 접착층(400)에 의해 라우팅 라인들(231b)의 하부가 지지되므로, 라우팅 라인(231b)의 단선 불량이 예방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홈(2300)은 접착층(400)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함으로써 아웃개스를 외부로 완전히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홈(2300)의 적어도 일측 단부는, 접착층(400)과 씰재(450)가 형성된 영역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홈(2300)은 합착 과정에서 발생한 아웃개스를 외부로 방출하고, 공극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홈(2300)은 접착층(400)의 라우팅 라인(231b)등의 배선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됨으로써 홈(2300)의 적어도 일측 단부를 접착층(400) 및 씰재(450)가 덮도록 형성되고, 공극이 발생하여도 무방한 영역에 아웃개스가 모여 공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홈(230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 버퍼층(130) 및 제 1 기재(120) 등을 완전히 관통하여 접착층(400)을 외부로 노출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어레이(150)는 보호층(160)에 의해 외기 및 투습으로부터 차단되므로, 접착층(400)이 노출된다 하더라도 유기 발광 어레이(150)는 보호된다. 또한 유기 발광 어레이(150)와 터치 전극 어레이(230)의 합착시 접착층(400) 및 씰재(450)로부터 발생하는 아웃개스는 상기 홈(230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33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3300)은 접착층(400)과 씰재(450)가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y 축 방향, 즉 하부 패드 전극(1081)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홈(3300)은 하부 패드 전극(1081) 사이의 영역을 지나 하부 패드부의 외곽까지 연장되며, 표시 패널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부 패드 전극(1081)을 관통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에 따라 홈(3300)의 일측 단부는 접착층(400)과 씰재(450)가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홈(3300)의 타측 단부는 하부 패드부를 관통하여 씰재(450)의 외곽에 대응하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홈(3300)은 씰재(450)에 의해 덮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전극 어레이(230)의 합착시 홈(3300)을 통해 방출된 아웃개스는 씰재(450) 내부 배선 등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모여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공극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홈(3300)의 일부가 씰재(450) 외곽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아웃개스는 홈(3300)을 통해 표시 패널 외부로 완전히 방출됨으로써 공극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도 5의 홈(3300)이 형성되는 영역을 따라 세로로 자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표시 영역(A/A)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홈(3300) 또한 패시베이선층(114) 및 적어도 하나의 층간 절연막(112)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서 형성된다. 한편, 이 때 홈(3300)도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버퍼층(130) 및 제 1 기재(120)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홈(3300)이 버퍼층(130) 및 제 1 기재(120), 하부 기판(100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부 기판(1000)까지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결국 홈(3300)은 접착층(400) 및 씰재(450)를 외부로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같이 홈(3300)이 버퍼층(130) 및 제 1 기재(120)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면, 접착층(400) 및 씰재(450)에서 발생하는 아웃개스가 홈(3300)을 통해 표시 패널의 외부로 바로 방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4300)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8은 상기 홈(4300)이 형성된 부분 및 도 7의 B 영역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표시 영역(A/A)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의한 홈(4300)은 터치 전극 어레이(230), 즉 상부 기판(3000)측에 형성된다. 이 때 각 홈(4300)은 씰재(450)와 접착층(400)이 접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라우팅 라인(231b)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홈(4300)은 터치 전극 어레이(230), 제 2 버퍼층(220) 및 제 2 기재(210)를 관통하여 접착층(400) 및 씰재(450)를 외부로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터치 전극 어레이(230)가 형성된 측에 홈(4300)을 형성하는 경우,상부 패드부(2350) 및 그 주변에는 라우팅 라인(231b)들이 위치하므로, 홈(4300) 형성에 제약이 따른다. 그에 따라 터치 전극 어레이(230)측에 홈(4300)을 형성할 때에는 라우팅 라인(231b)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라우팅 라인(231b)들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홈(4300)이 상부 패드부(2350)의 외부로 연장될 공간이 부족하므로, 홈(4300)은 제 1, 2 상부 패시베이션층(232, 234), 제 2 버퍼층(220), 제 2 기재(210) 및 상부 기판(3000)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부 기판(30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홈(4300)은 접착층(400) 및 씰재(450)를 외부로 노출하며, 터치 전극 어레이(230)와 유기 발광 어레이(150) 합착시 발생하는 아웃개스들이 상기 홈(430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접착층(400)과 씰재(450)는 공극 없이 패드 영역(P/A)과 표시 영역(A/A) 사이를 채우게 되므로, 라우팅 라인(231b, 231c)들의 단선 불량이 예방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0: 하부 기판
120: 제 1 기재
130: 제 1 버퍼층 140: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150: 유기 발광 어레이 160: 보호층
400: 접착층 230: 유기 발광 어레이
2300, 3300, 4300: 홈 231b, 231c:라우팅 라인
450: 씰재 455: 도전볼
2351: 상부 전극 1081: 하부 전극
104: 반도체층 106: 게이트 절연막
102: 게이트 전극 109a, 109b: 소스/드레인 영역
108, 110: 소스/드레인 전극 112: 층간 절연막
114: 하부 패시베이션층 232,234: 상부 패시베이션층
231: 브리지 2331, 2332: 제 1, 2 터치 전극
116: 제 1 전극 118: 유기층
128: 제 2 전극 126: 스페이서
130: 제 1 버퍼층 140: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150: 유기 발광 어레이 160: 보호층
400: 접착층 230: 유기 발광 어레이
2300, 3300, 4300: 홈 231b, 231c:라우팅 라인
450: 씰재 455: 도전볼
2351: 상부 전극 1081: 하부 전극
104: 반도체층 106: 게이트 절연막
102: 게이트 전극 109a, 109b: 소스/드레인 영역
108, 110: 소스/드레인 전극 112: 층간 절연막
114: 하부 패시베이션층 232,234: 상부 패시베이션층
231: 브리지 2331, 2332: 제 1, 2 터치 전극
116: 제 1 전극 118: 유기층
128: 제 2 전극 126: 스페이서
Claims (14)
-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하부 패드부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어레이,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상부 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 전극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합착하는 접착층, 및
복수 개의 도전볼을 구비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상부 패드부와 상기 하부 패드부를 합착하고, 일측이 상기 접착층과 접하는 씰재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상기 씰재와 상기 접착층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장축을 수평 방향으로 하는 선형으로 구비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장축 길이는, 상기 씰재의 가로폭과 동일하거나, 더 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적어도 일측 단부는, 상기 씰재 및 상기 접착부의 외곽 방향으로 돌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적어도 일측 단부는, 상기 씰재 및 상기 접착부에 의해 덮이는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드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하부 패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하부 패드부의 상기 씰재와 상기 접착층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하부 전극들 사이를 지나 상기 하부 패드부의 외곽까지 연장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 패드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씰재에 의해 덮이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 패드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씰재가 형성되는 영역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된 하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하부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버퍼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층간 절연막 및 상기 하부 패시베이션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관통하여 상기 접착층을 외부로 노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하부 패드부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어레이,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상부 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 전극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합착하는 접착층, 및
복수 개의 도전볼을 구비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상부 패드부와 상기 하부 패드부를 합착하는 씰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는, 상기 접착층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드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상부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을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라우팅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라우팅 라인들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를 관통하여 상기 접착층을 외부로 노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의 일측 전면에 위치하는 제 2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는, 상기 제 2 버퍼층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층간 절연막과, 상기 상부 층간 절연막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제 2 버퍼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상부 패시베이션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되어 구비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3899A KR20180047587A (ko) | 2016-10-31 | 2016-10-3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15/796,984 US10347863B2 (en) | 2016-10-31 | 2017-10-30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CN201711042731.2A CN108022956B (zh) | 2016-10-31 | 2017-10-30 | 发光显示装置 |
TW106137443A TWI644425B (zh) | 2016-10-31 | 2017-10-30 | 有機發光顯示裝置 |
DE102017125366.1A DE102017125366B4 (de) | 2016-10-31 | 2017-10-30 |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
JP2017210204A JP2018072841A (ja) | 2016-10-31 | 2017-10-31 | 有機発光表示装置 |
JP2019084837A JP6770129B2 (ja) | 2016-10-31 | 2019-04-26 | 有機発光表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3899A KR20180047587A (ko) | 2016-10-31 | 2016-10-3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7587A true KR20180047587A (ko) | 2018-05-10 |
Family
ID=6191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3899A KR20180047587A (ko) | 2016-10-31 | 2016-10-3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347863B2 (ko) |
JP (2) | JP2018072841A (ko) |
KR (1) | KR20180047587A (ko) |
CN (1) | CN108022956B (ko) |
DE (1) | DE102017125366B4 (ko) |
TW (1) | TWI64442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48352B2 (en) | 2019-09-04 | 2021-06-2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314B1 (ko) * | 2016-06-08 | 2023-08-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376502B1 (ko) * | 2017-04-19 | 2022-03-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
JP7083736B2 (ja) * | 2018-10-26 | 2022-06-13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KR102711136B1 (ko) * | 2019-01-21 | 2024-09-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143951A (ko) * | 2019-04-25 | 2021-11-29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낮은 굴절률 및 낮은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수분 배리어 막 |
KR20210011213A (ko) * | 2019-07-22 | 2021-02-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
CN110377184B (zh) * | 2019-07-30 | 2022-04-12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
CN110970477B (zh) * | 2019-10-31 | 2022-09-30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
KR102510120B1 (ko) * | 2019-11-06 | 2023-03-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
KR20210066181A (ko) | 2019-11-28 | 2021-06-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7427969B2 (ja) * | 2020-01-22 | 2024-02-0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
CN112542091A (zh) * | 2020-12-02 | 2021-03-23 |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99341A (ja) | 2006-01-26 | 2007-08-09 | Epson Imaging Devices Corp |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
JP4770519B2 (ja) | 2006-03-01 | 2011-09-1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有機発光装置、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
JP4651580B2 (ja) | 2006-05-31 | 2011-03-16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液晶表示装置 |
JP2008009189A (ja) | 2006-06-29 | 2008-01-17 | Sharp Corp | 表示装置 |
JP2010085803A (ja) | 2008-10-01 | 2010-04-15 | Hitachi Displays Ltd | 液晶表示装置 |
KR101591476B1 (ko) | 2009-10-19 | 2016-02-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20120229736A1 (en) | 2009-11-20 | 2012-09-13 | Sharp Kabushiki Kaisha |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5370240B2 (ja) | 2010-03-30 | 2013-12-1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表示モジュール |
CN102792219B (zh) | 2010-04-16 | 2014-12-03 | 夏普株式会社 | 显示装置 |
WO2012133758A1 (ja) * | 2011-03-31 | 2012-10-04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高含有植物抽出物 |
KR101908501B1 (ko) | 2011-12-07 | 2018-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JP6042618B2 (ja) | 2012-02-02 | 2016-12-14 |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 画像表示媒体 |
KR101469485B1 (ko) | 2012-08-13 | 2014-12-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552994B1 (ko) * | 2012-08-31 | 2015-09-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469487B1 (ko) | 2012-09-18 | 2014-12-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1980766B1 (ko) * | 2012-12-27 | 2019-05-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JP6253923B2 (ja) | 2013-08-30 | 2017-12-27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センサ内蔵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
KR102239840B1 (ko) * | 2014-04-28 | 2021-04-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2016051527A (ja) | 2014-08-28 | 2016-04-11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有機el表示装置 |
KR102271659B1 (ko) * | 2014-08-29 | 2021-06-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20160143899A (ko) | 2015-06-04 | 2016-12-15 | 이수정 |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
TWI615952B (zh) * | 2015-08-07 | 2018-02-21 | Japan Display Inc |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
-
2016
- 2016-10-31 KR KR1020160143899A patent/KR201800475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
- 2017-10-30 US US15/796,984 patent/US10347863B2/en active Active
- 2017-10-30 DE DE102017125366.1A patent/DE102017125366B4/de active Active
- 2017-10-30 CN CN201711042731.2A patent/CN108022956B/zh active Active
- 2017-10-30 TW TW106137443A patent/TWI644425B/zh active
- 2017-10-31 JP JP2017210204A patent/JP2018072841A/ja active Pending
-
2019
- 2019-04-26 JP JP2019084837A patent/JP6770129B2/ja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48352B2 (en) | 2019-09-04 | 2021-06-2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23084A1 (en) | 2018-05-03 |
TWI644425B (zh) | 2018-12-11 |
DE102017125366A1 (de) | 2018-05-03 |
JP2018072841A (ja) | 2018-05-10 |
DE102017125366B4 (de) | 2021-03-18 |
JP2019169472A (ja) | 2019-10-03 |
CN108022956B (zh) | 2021-12-21 |
JP6770129B2 (ja) | 2020-10-14 |
CN108022956A (zh) | 2018-05-11 |
TW201828466A (zh) | 2018-08-01 |
US10347863B2 (en) | 2019-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70129B2 (ja) | 有機発光表示装置 | |
TWI681558B (zh) | 可折疊顯示裝置 | |
JP7357740B2 (ja) | 表示装置 | |
CN108281460B (zh) | 触摸有机发光显示装置 | |
CN107799550B (zh) | 柔性显示器 | |
CN108305889B (zh) | 触摸式有机发光显示装置 | |
US9196876B2 (en) | Touch screen integ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5676554B2 (ja) | 有機発光表示装置 | |
KR102626953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CN113078195A (zh) | 显示装置、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 |
KR20190084192A (ko) |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80047604A (ko) |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 |
KR102156765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80025058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1991892B1 (ko) |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 |
KR102467880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80036515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10109087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