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597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42597A KR20170142597A KR1020160076341A KR20160076341A KR20170142597A KR 20170142597 A KR20170142597 A KR 20170142597A KR 1020160076341 A KR1020160076341 A KR 1020160076341A KR 20160076341 A KR20160076341 A KR 20160076341A KR 20170142597 A KR20170142597 A KR 20170142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display
- display module
- bellows
- blocks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단일면(340)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그 후면에 일체화된 신축 가능한 패드(370)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일부분씩과 각각 일체화되는 제1, 제2 블록(350, 360)과, 제1, 제2 블록의 일부분과 각각 조합되는 제1, 제2 개체(310, 320), 및 제1, 제2 개체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331)를 갖는 회전모듈(330)을 포함하며,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측면 외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간의 맞물림 구조의 돌출부를 각각 구비하며, 돌출부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립축 또는 중립면 위치에서 서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32)이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폴딩하되 디스플레이에서의 평탄도 유지, 손상 예방, 원활한 휘어짐, 터치감성 및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후면에 신축 가능한 패드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100)은 몸체 역할을 하며 숫자버튼과 통화 및 파워버튼 등이 다수 형성된 조작부와 충전지가 결합되는 하측폴더(120)와, 커버역할을 하며 액정화면이 설치되는 상측폴더(110)로 구성된다. 한편, 하측폴더(120)에는 발신부인 마이크가 마련되고, 상측폴더(110)에는 수신부인 스피커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측폴더(120)와 상측폴더(110)의 사이에는 힌지부재(1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측폴더(110)는 힌지부재(130)를 축으로 하측폴더(120)에 대해 개폐가 가능하다. 즉,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측폴더(110)를 하측폴더(120)에 대해 개방하고,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측폴더(110)를 하측폴더(120)에 대해 폐쇄하면 된다. 따라서, 휴대시에는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지만, 사용시에 액정화면이 작아 사용이 불편하다.
한편, 최근에는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서, 휴대전화(휴대폰)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두께가 얇고 내부에 각종 전자시스템(장치)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면 중앙부에는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재생시켜 주는 디스플레이(210)가 형성되어 있고, 디스플레이(210)의 상측과 하측에는 수화부(220)와 송화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스마트폰(200)은 대면적의 디스플레이(210)를 이용해 문자를 전송하거나 각종 정보 검색 등이 가능하다. 이렇듯, 스마트폰(200)은 디스플레이(210)가 스마트폰(200)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짐에 따라 사용은 편리하지만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신축 가능한 패드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서의 평탄도 유지, 손상 예방, 원활한 휘어짐, 터치감성 및 필기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그 후면에 일체화된 신축 가능한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는,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그 후면에 일체화된 신축 가능한 패드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일부분씩과 각각 일체화되는 제1, 제2 블록과, 상기 제1, 제2 블록의 일부분과 각각 조합되는 제1, 제2 개체, 및 상기 제1, 제2 개체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 블록과 상기 제1, 제2 개체의 연결은 제3 매개체(제1, 제2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를 갖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측면 외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간의 맞물림 구조의 돌출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립축 또는 중립면 위치에서 서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는 인접하는 자바라 부재와 겹쳐지는 형태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바라 부재의 일측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의 단부 근처에서 상기 삽입공간에 걸쳐지게 구성해 상기 자바라 부재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서로 간에 맞물리기 위한 단차진 형태를 갖되, 회전하는 돌출부의 단차진 부분의 형상과 그 곳에 맞물리는 단차진 부분의 형상을 다르게 구성해 상기 자바라 부재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개체 또는 상기 제1, 제2 블록을 서로 간에 연결하되, 상기 단일면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리스탑 링크모듈은 링크 연결부재와, 상기 링크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어느 한 쪽의 제1, 제2 개체 또는 제1, 제2 블록에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링크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 및 다른 쪽의 제1, 제2 개체 또는 제1, 제2 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신축 가능한 패드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서의 평탄도 유지, 손상 예방, 원활한 휘어짐, 터치감성 및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A-A, B-B, C-C 및 D-D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E-E, F-F, G-G, H-H 및 I-I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X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Y부분 및 Z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선 J-J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선 K-K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27 및 도 28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변형례에 대한 접힌 상태 및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A-A, B-B, C-C 및 D-D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E-E, F-F, G-G, H-H 및 I-I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X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Y부분 및 Z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선 J-J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선 K-K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27 및 도 28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변형례에 대한 접힌 상태 및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A-A, B-B, C-C 및 D-D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E-E, F-F, G-G, H-H 및 I-I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X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Y부분 및 Z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쓰거나 볼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단일면(340) 또는 단일면(340)과 조합된 모듈을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기구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일면(340)은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한다.
즉,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회전모듈(330)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2개의 개체(310, 320)를 구비한다. 2개의 개체(310, 320)는 케이스로서,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상기 2개의 개체(310, 320) 중에서, 제1 개체(310)에는 제1 블록(350)이 삽입 고정되고, 제2 개체(320)에는 제2 블록(360)이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제2 블록(350, 360)은 인서트 사출이나 접착, 조립 등의 방식으로 단일면(340)의 하부 일부분씩을 각각 일체화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단일면(340)의 일부분씩을 제1, 제2 블록(350, 360)에 일체화하여 고정하되, 단일면(340)과 제1, 제2 블록(350, 360)의 사이에 신축 가능한 패드(370)가 배치된 상태에서 일체화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단일면(340)과 신축 가능한 패드(370)는 서로가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이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단일면(340)이 제1, 제2 블록(350, 360)에 결합되어 일체화되지 않고, 단일면(340)과 일체화된 신축 가능한 패드(370)가 제1, 제2 블록(350, 360)에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신축 가능한 패드(370)로는 실리콘, 우레탄 등의 러버류, 라텍스, 엘라스토머, 포론테이프, 폼테이프, 스폰지, 가죽,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단일면(340)의 하부 쪽에 신축 가능한 패드(370)를 밀착시켜 구성할 경우에는 단일면(340)을 더욱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단일면(340B)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신축 가능한 패드(370)는 단일면(340)으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탄도를 유지하고, 딱딱한 촉으로 이루어진 터치펜 등 고체의 물질에 의해 가해질 외부충격을 완화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신축 가능한 패드(370)는 회전모듈(330)을 중심으로 제1, 제2 개체(310, 320)를 접었다 폈다할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원활한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의 터치감성 및 필기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축 가능한 패드(370)는 제1 블록(350)과 제2 블록(360)을 서로 간에 연결해 회전모듈(330)을 덮으면서 단일면(340)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은 단일면(340)을 구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신축 가능한 패드(370)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탄도 유지, 손상 예방, 원활한 휘어짐, 터치감성 및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제2 개체(310, 320)를 회전모듈(330)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 두께방향으로의 내외측 호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모듈(330)의 구성관계를 통해 상기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회전모듈(330)은 제1, 제2 개체(310, 320) 또는 제1, 제2 블록(350, 360)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제2 연결부재(도시안됨)와, 제1, 제2 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331)로 구성된다. 한편,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331)는 서로 간에 거의 밀착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자바라 부재(33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쪽을 지지하기 위한 일정 길이 및 폭의 지지면을 갖되, 이러한 지지면의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부를 각각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는 지지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지지면에 대해 벽을 형성하여 지지면에 밀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면을 보호하게 된다. 즉, 돌출부로 인한 벽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면 외곽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는 폭방향으로 단차진 형태를 갖되 다른 자바라 부재(331)의 돌출부의 단차진 부분과 서로 간에 맞물림이 가능한 형태로 단차진다. 또한, 돌출부 중에서 인접하는 돌출부와 맞물리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홀에 회전축(332)이 삽입되어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3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립축 또는 중립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단일면(340)이 좌우방향으로 동작하지 않고 원활한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축(332)이 설치될 중립축 또는 중립면의 위치는 각 구성부품의 누적공차 또는 끼워맞춤 공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단일면(340)이 회전모듈(330)의 동작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접었다 폈다를 반복할 때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를 일컬으며, 또한 반복동작에 의해 단일면(340)이 일정부분 늘어나더라도 단일면(340)의 화면 동작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를 말하기도 한다.
한편, 자바라 부재(331)는 대부분의 구간에 걸쳐 인접하는 다른 자바라 부재(331)와 겹쳐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자바라 부재(331)의 일측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331)를 회전축(332)으로 서로 간에 연결할 경우, 그 내측면에는 단일면(340)의 하부 쪽을 지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지지면이 형성된다.
또한, 자바라 부재(331)는 서로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서로 간의 회전축(332) 연결을 위한 돌출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회전하는 돌출부의 단차진 부분의 형상과 그 곳에 맞물리는 단차진 부분의 형상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스토퍼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자바라 부재(331)의 삽입부 단부 근처에서 삽입공간에 걸쳐지게 구성함으로써 자바라 부재(331)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이 가능하다. 이렇게 자바라 부재(331)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도 자바라 부재(331)가 서로 간에 겹쳐진 상태를 가짐에 따라, 자바라 부재(331)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에도 견딜 수가 있다. 또한, 자바라 부재(331)의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제2 연결부재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자바라 부재(331)와 각각 회전축 결합되고 서로 간에 겹쳐지는 형태로 맞물린다. 따라서, 제1,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자바라 부재(331)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서는 자바라 부재(331)의 삽입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제1, 제2 개체(310. 320) 또는 제1, 제2 블록(350, 360)을 서로 간에 연결하되, 단일면(340)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프리스탑 링크모듈(380)을 더 갖도록 구성된다.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선 J-J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선 K-K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 도 2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리스탑 링크모듈(38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링크 연결부재(381)와, 링크 연결부재(38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어느 한 쪽의 제1, 제2 개체(310, 320) 또는 제1, 제2 블록(350, 360)에 고정되는 고정블록(382)과, 링크 연결부재(38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383)와, 다른 쪽의 제1, 제2 개체(310, 320) 또는 제1, 제2 블록(350, 3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부재(383)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38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링크 연결부재(381)는 다수개의 링크를 상호 연결하여 일정 길이로 구성한 것으로서, 링크 상호간의 마찰력을 통해 제1, 제2 개체(310, 320)를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링크 연결부재(381)는 프리스탑 링크모듈(38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링크들 간의 사이에 와셔를 삽입해 마찰력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부재(383)는 제1, 제2 개체(310, 320)를 열고 닫음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립축 원호와의 길이차이 만큼 가이드블록(384)을 따라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블록(384)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383)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되, 슬라이드 이동부재(383)와의 마찰력을 통해 제1, 제2 개체(310, 320)를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역할 등을 한다.
이렇듯,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단일면(340)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일면(340)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도 12에 도시된 프리스탑 링크모듈의 변형례에 대한 접힌 상태 및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리스탑 링크모듈은 링크 연결부재, 슬라이드 이동부재 및 가이드블록 등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해 구성할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펼칠 경우에는 회전모듈(330)의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331)가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펼쳐지면서 단일면(340)을 팽팽하게 펼칠 수 있어서, 단일면(340)을 대면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단일면(340)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단일면(340)으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신축 가능한 패드(370)가 위치함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탄도 유지, 손상 예방, 원활한 휘어짐, 터치감성 및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접을 경우에는 회전모듈(330)의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331)가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대면적의 단일면(340)을 접은 상태로 작은 사이즈로 휴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펼치거나 접음에 있어서, 그에 따라 프리스탑 링크모듈(380)의 링크 연결부재(381) 및 슬라이드 이동부재(383) 또한 동작하게 되며, 단일면(340)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구성요소들 간의 마찰력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그 동작이 정지함에 따라 단일면(340)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300 : 단일면 폴딩장치
310 : 제1 개체
320 : 제2 개체 330 : 회전모듈
331 : 자바라 부재 332 : 회전축
340 : 단일면 350 : 제1 블록
360 : 제2 블록 370 : 신축 가능한 패드
380 : 프리스탑 링크모듈 381 : 링크 연결부재
382 : 고정블록 383 : 슬라이드 이동부재
384 : 가이드블록
320 : 제2 개체 330 : 회전모듈
331 : 자바라 부재 332 : 회전축
340 : 단일면 350 : 제1 블록
360 : 제2 블록 370 : 신축 가능한 패드
380 : 프리스탑 링크모듈 381 : 링크 연결부재
382 : 고정블록 383 : 슬라이드 이동부재
384 : 가이드블록
Claims (8)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그 후면에 일체화된 신축 가능한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 단일면으로 구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그 후면에 일체화된 신축 가능한 패드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일부분씩과 각각 일체화되는 제1, 제2 블록과,
상기 제1, 제2 블록의 일부분과 각각 조합되는 제1, 제2 개체, 및
상기 제1, 제2 개체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를 갖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측면 외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간의 맞물림 구조의 돌출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립축 또는 중립면 위치에서 서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자바라 부재는 인접하는 자바라 부재와 겹쳐지는 형태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 부재의 일측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부 근처에서 상기 삽입공간에 걸쳐지게 구성해 상기 자바라 부재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간에 맞물리기 위한 단차진 형태를 갖되, 회전하는 돌출부의 단차진 부분의 형상과 그 곳에 맞물리는 단차진 부분의 형상을 다르게 구성해 상기 자바라 부재 간의 펼쳐짐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개체 또는 상기 제1, 제2 블록을 서로 간에 연결하되, 상기 단일면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프리스탑 링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탑 링크모듈은 링크 연결부재와, 상기 링크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어느 한 쪽의 제1, 제2 개체 또는 제1, 제2 블록에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링크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 및 다른 쪽의 제1, 제2 개체 또는 제1, 제2 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6341A KR20170142597A (ko) | 2016-06-20 | 2016-06-2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6341A KR20170142597A (ko) | 2016-06-20 | 2016-06-2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2597A true KR20170142597A (ko) | 2017-12-28 |
Family
ID=6094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6341A KR20170142597A (ko) | 2016-06-20 | 2016-06-2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4259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73468A (zh) * | 2018-05-09 | 2019-11-19 |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 弯折模块及折叠式显示装置 |
US10754377B2 (en) | 2017-04-05 | 2020-08-2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US10761572B1 (en) | 2019-03-25 | 2020-09-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
2016
- 2016-06-20 KR KR1020160076341A patent/KR20170142597A/ko unkno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54377B2 (en) | 2017-04-05 | 2020-08-2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CN110473468A (zh) * | 2018-05-09 | 2019-11-19 |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 弯折模块及折叠式显示装置 |
CN110473468B (zh) * | 2018-05-09 | 2022-02-08 |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 弯折模块及折叠式显示装置 |
US10761572B1 (en) | 2019-03-25 | 2020-09-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WO2020197582A1 (en) * | 2019-03-25 | 2020-10-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4584B1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 |
CN112019663B (zh) | 便携式通信设备 | |
EP3734945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astic member | |
KR101290267B1 (ko) | 표시영역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8196290A1 (zh) | 折叠式显示装置 | |
JP4994334B2 (ja) | 電子機器 | |
KR101027096B1 (ko) |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20160108182A (ko) | 단일면 폴딩장치 | |
KR20180071900A (ko) |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 |
CN117221428A (zh) | 便携式通信设备 | |
KR20020094587A (ko) |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 |
KR20170000309A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
KR101678498B1 (ko) |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 |
KR102353779B1 (ko) | 폴딩부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 |
KR20150099677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 |
JP4775373B2 (ja) | 携帯端末装置 | |
KR20170142597A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 |
KR100875857B1 (ko) |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 |
KR100875856B1 (ko) |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 |
KR20130015143A (ko) |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 | |
KR100796944B1 (ko) |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 |
JP2006019853A (ja) |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 |
KR20100120781A (ko) | 폴더형 휴대폰용 힌지모듈 | |
JP5073431B2 (ja) | 携帯端末装置 | |
KR20170102686A (ko) | 단일면 폴딩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