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08182A - 단일면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단일면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82A
KR20160108182A KR1020160025117A KR20160025117A KR20160108182A KR 20160108182 A KR20160108182 A KR 20160108182A KR 1020160025117 A KR1020160025117 A KR 1020160025117A KR 20160025117 A KR20160025117 A KR 20160025117A KR 20160108182 A KR20160108182 A KR 2016010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ntity
folding device
single fac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원
Original Assignee
임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원 filed Critical 임경원
Publication of KR2016010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in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제1 개체(310) 및 제2 개체(320)와, 제1 개체와 조합되며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단일면(340)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블록(350)과, 제2 개체와 조합되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블록(360), 및 제1 개체 및 제2 개체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 개체 및 제2 개체가 서로 간에 펼쳐진 상태에서 단일면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회전모듈(330)을 포함하며, 제1 블록은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모듈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1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1 개체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펼칠 경우 그 하부 쪽을 회전모듈 및 그 구속요소가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일면 폴딩장치{One side folding apparatus}
이 발명은 단일면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폴딩하는 단일면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100)은 몸체 역할을 하며 숫자버튼과 통화 및 파워버튼 등이 다수 형성된 조작부와 충전지가 결합되는 하측폴더(120)와, 커버역할을 하며 액정화면이 설치되는 상측폴더(110)로 구성된다. 한편, 하측폴더(120)에는 발신부인 마이크가 마련되고, 상측폴더(110)에는 수신부인 스피커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측폴더(120)와 상측폴더(110)의 사이에는 힌지부재(1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측폴더(110)는 힌지부재(130)를 축으로 하측폴더(120)에 대해 개폐가 가능하다. 즉,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측폴더(110)를 하측폴더(120)에 대해 개방하고,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측폴더(110)를 하측폴더(120)에 대해 폐쇄하면 된다. 따라서, 휴대시에는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지만, 사용시에 액정화면이 작아 사용이 불편하다.
한편, 최근에는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서, 휴대전화(휴대폰)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두께가 얇고 내부에 각종 전자시스템(장치)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면 중앙부에는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재생시켜 주는 디스플레이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210)의 상측과 하측에는 수화부(220)와 송화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스마트폰(200)은 대면적의 디스플레이부(210)를 이용해 문자를 전송하거나 각종 정보 검색 등이 가능하다. 이렇듯, 스마트폰(200)은 디스플레이부(210)가 스마트폰(200)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짐에 따라 사용은 편리하지만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381호 한국 특허등록 제0826611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펼칠 경우 그 하부 쪽(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하부 결합체)을 회전모듈 및 그 구속요소가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배면에서 지지하여 측벽의 베젤폭을 줄임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접었을 때나 펴졌을 때 단일면과 밀착상태가 유지되는 신축 가능한 패드를 디스플레이부의 하부 쪽에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빈 공간을 별도의 커튼 등을 이용해 제거함으로써 동일 케이스 대비 길이방향의 베젤부를 줄임으로써 폴딩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는, 제1 개체 및 제2 개체와, 상기 제1 개체와 조합되며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개체와 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가 서로 간에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일면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모듈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1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개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치합되는 2개 이상의 기어와, 상기 회전축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 이상의 가이드 부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에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일면과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일면의 하부 쪽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 또는 제2 블록의 하부 쪽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일면의 단부 쪽에 부착하여 연장되는 커튼과, 상기 제1 개체의 단부 쪽에 고정되어 상기 커튼이 면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커튼에 결합되어 상기 커튼이 상기 가이드 블록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일면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1 블록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캠과, 상기 제1 개체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캠과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골과 산의 형상을 갖는 캠 드라이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1 개체와 조합되는 제1 지지 블록과,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제1 지지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개체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개체와 조합되는 제2 지지 블록과,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과 제2 지지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축 가능한 패드는 상기 단일면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펼칠 경우 그 하부 쪽(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하부 결합체)을 회전모듈 및 그 구속요소가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부를 배면에서 지지하여 측벽의 베젤폭을 줄임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디스플레이부의 하부 쪽에 접었을 때나 펴졌을 때 단일면과 밀착상태가 유지되는 신축 가능한 패드를 구성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빈 공간을 별도의 커튼 등을 이용해 제거함으로써 동일 케이스 대비 길이방향의 베젤부를 줄임으로써 폴딩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C-C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D-D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6은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0 및 도 31은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탄성체의 배치 또는 구성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E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일정 각도로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5 및 도 36은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캠의 변형례를 각각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쓰거나 볼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단일면(340) 또는 단일면(340)과 조합된 모듈을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기구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일면(340)은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의 역할을 한다.
즉,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회전모듈(330)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2개의 개체(310, 320)를 구비한다. 2개의 개체(310, 320)는 케이스로서,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한편, 2개의 개체(310, 320)는 내측 부분이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쪽을 향해 상향 경사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개체(310, 320)를 서로 간에 접을 경우,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쪽의 두께가 두껍고 2개의 개체(310, 320)의 단부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된다.
상기 2개의 개체(310, 320) 중에서, 제1 개체(310)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1 블록(350)이 삽입 조합된다. 한편, 제1 블록(350)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개체(310) 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지지 블록(351)과, 제1 지지 블록(35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355)으로 구성된다.
제1 지지 블록(351)은 단일면(340)이 펴졌을 때에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1 개체(3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 경사각으로 제1 개체(310)의 내외측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제1 개체(310) 내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개체(310)에는 제1 지지 블록(351)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좌우 가이드홈(311)이 일측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1 지지 블록(351)이 상하방향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이동하는 제1 경사 가이드홈(312)이 타측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 블록(351)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좌우 가이드홈(311) 및 제1 경사 가이드홈(312)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가이드핀(352, 353)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좌우 가이드홈(311)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지지 블록(351)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1 슬라이딩 블록(355)이 조합된다. 여기서, 제1 슬라이딩 블록(355)은 인서트 사출이나 접착, 조립 등의 방식으로 단일면(340)의 하부 일부분을 일체화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슬라이딩 블록(355)은 단일면(340)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1 개체(3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1 지지 블록(351)의 상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1 지지 블록(35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된다.
한편, 제2 개체(320)에는 제2 블록(360)이 삽입 조합된다. 조합된 제2 블록(360)은 접었을 때 경사진 상태의 단일면(340)이 펴졌을 때 기준구멍을 중심축으로 평행화 될 수 있도록 길이나 각도를 가진 구멍이나 홈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록(360)은 인서트 사출이나 접착, 조립 등의 방식으로 단일면(340)의 하부 다른 일부분을 일체화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블록(360)을 제2 개체(320)에 조합하지 않고, 제2 개체(320) 내의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개체(320)에 조합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블록(360)은 단일면(340)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2 개체(320)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개체(320) 내에 삽입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개체(320)의 양측에는 제2 블록(36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도시안됨)을 각각 형성하고, 제2 블록(360)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도시안됨)을 형성하면 된다.
이 실시예의 회전모듈(330)은 제1 개체(310) 및 제2 개체(320)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 개체(310) 및 제2 개체(320)에 각각 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331, 332)과, 한 쌍의 회전축(331, 332)과 치합되는 2개 이상의 기어(333, 334)와, 한 쌍의 회전축(331, 332)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 이상의 가이드 부시(335), 및 제1 개체(310) 및 제2 개체(320)가 서로 간에 펼쳐진 상태에서 단일면(340)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면은 2개 이상의 가이드 부시(335)의 표면을 평면으로 구성함으로써 형성하거나, 가이드 부시(335) 등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받침판(337)을 가이드 부시(335) 등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형성하면 된다. 이때, 받침판(337)은 고무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회전축(331, 332)은 제1 개체(310) 및 제2 개체(320)에 직접 스크루 등으로 결합되거나 별도의 프레임(336)을 통해 결합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제1 슬라이딩 블록(355)이 제1 지지 블록(351)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370)를 제1 슬라이딩 블록(355)과 제1 지지 블록(351)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370)를 설치할 경우에는,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펼칠 경우 단일면(340)을 팽팽하게 펼칠 수가 있고,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접을 경우 단일면(34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단일면(340)을 편리하게 접을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펼칠 경우에는 제1 지지 블록(351)의 가이드핀(352)이 제1 개체(310)의 제1 좌우 가이드홈(311)을 따라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중앙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제1 슬라이딩 블록(355)이 평행을 이루도록 제1 지지 블록(351)의 가이드핀(353)이 제1 개체(310)의 제1 경사 가이드홈(312)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 슬라이딩 블록(355) 및 제2 블록(360)에 일체화된 단일면(340)을 평행하면서 팽팽하게 펼칠 수 있어서, 단일면(340)을 대면적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시(335) 또는 받침판(337) 등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이 단일면(340)의 하부 쪽을 지지함에 따라 단일면(340)을 더욱 평행하면서 팽팽하게 펼칠 수가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단일면(340)을 디스플레이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접을 경우에는 제1 지지 블록(351)의 가이드핀(352)이 제1 개체(310)의 제1 좌우 가이드홈(311)을 따라 제1 개체(3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제1 지지 블록(351)의 가이드핀(353)이 제1 개체(310)의 제1 경사 가이드홈(312)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단일면(340)이 회전모듈(330)이 위치하는 중앙부분에서 접히게 된다. 따라서, 대면적의 단일면(340)을 접은 상태로 작은 사이즈로 휴대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단일면(340)을 펼칠 경우 그 하부 쪽을 회전모듈(330) 및 그 구속요소인 받침판(337)이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단일면(340)을 배면에서 지지하여 측벽의 베젤폭을 줄임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A)는 제2 블록(360A)을 제2 개체(320A)에 고정하지 않고, 제2 개체(320A) 내의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개체(320A)에 조합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C-C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투영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선 D-D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제2 블록(360A)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개체(320A) 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지지 블록(361A)과, 제2 지지 블록(361A)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딩 블록(365A)으로 구성된다.
제2 지지 블록(361A)은 단일면(340A)이 펴졌을 때에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모듈(330A)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2 개체(320A)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 경사각으로 제2 개체(320A)의 내외측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제2 개체(320A)에 조합된다.
따라서, 제2 개체(320A)에는 제2 지지 블록(361A)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좌우 가이드홈(321A)이 일측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2 지지 블록(361A)이 상하방향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이동하는 제2 경사 가이드홈(322A)이 타측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 블록(361A)의 양측에는 상기 제2 좌우 가이드홈(321A) 및 제2 경사 가이드홈(322A)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가이드핀(362A, 363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좌우 가이드홈(321A)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지지 블록(361A)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 블록(365A)이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 블록(365A)은 인서트 사출이나 접착, 조립 등의 방식으로 단일면(340A)의 하부 일부분을 일체화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슬라이딩 블록(365A)은 단일면(340A)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모듈(330A)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2 개체(320A)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지지 블록(361A)의 상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2 지지 블록(36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A)는 제2 슬라이딩 블록(365A)이 제2 지지 블록(361A)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370A)를 제2 슬라이딩 블록(365A)과 제2 지지 블록(361A)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B)는 외부창을 갖도록 단일면(340B)을 배치 구성하고, 접었을 때나 펴졌을 때 단일면(340B)의 하부 쪽에 밀착되는 신축 가능한 패드(380B)를 더 갖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B)는 외부창을 갖도록 단일면(340B)을 배치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일면(340B)을 제1 슬라이딩 블록(355B)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단일면 폴딩장치(300B)를 접을 경우 단일면(340B)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창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B)는 접었을 때나 펴졌을 때 단일면(340B)의 하부 쪽에 밀착되는 신축 가능한 패드(380B)를 더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신축 가능한 패드(380B)는 단일면(340B)과 제1 블록(350B)의 제1 슬라이딩 블록(355B) 및 제2 블록(360B)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일면(340B)의 하부 쪽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블록(350B)의 제1 슬라이딩 블록(355B) 및 제2 블록(360B)을 서로 간에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신축 가능한 패드(380B)로는 실리콘, 우레탄 등의 러버류, 라텍스, 엘라스토머, 포론테이프, 폼테이프, 스폰지, 가죽,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단일면(340B)의 하부 쪽에 신축 가능한 패드(380B)를 밀착시켜 구성할 경우에는 단일면(340B)을 더욱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단일면(340B)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신축 가능한 패드(380B)는 단일면(340B)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형태, 예를 들어 단일면(340B)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는 벽을 갖거나, 패드(380B)에 상기 벽의 기능을 하도록 신축 가능한 부재를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신축 가능한 패드(380B)를 구성하는 것은 단일면(340B)인 디스플레이부의 외곽이 반복동작 또는 손톱 등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 등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동작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슬라이딩 블록(355B)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도록 구성하지 않았지만, 탄성부재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B)는 제2 블록(360B)의 하부 쪽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스프링(381B)을 더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프링(381B)은 단일면 폴딩장치(300B)가 펼쳐져 단일면(340B)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블록(360B)의 하부 쪽에 탄성력을 제공해 단일면(340B)이 더욱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4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C)는 접었을 때나 펼쳤을 때 단일면(340C)의 하부 쪽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패드(380C)를 더 갖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A)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C)는 단일면(340C)의 하부 쪽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는 신축 가능한 패드(380C)를 더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신축 가능한 패드(380C)는 단일면(340C)과 제1 블록(350C) 및 제2 블록(360C)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일면(340C)의 하부 쪽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블록(350C) 및 제2 블록(360C)을 서로 간에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신축 가능한 패드(380C)는 제3 실시예의 신축 가능한 패드(380B)와 동일 재료 및 동일 구성관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단일면(340C)의 하부 쪽에 신축 가능한 패드(380C)를 밀착시켜 구성할 경우에는 단일면(340C)을 더욱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단일면(340C)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블록(350C) 및 제2 블록(360C)을 지지 블록과 슬라이딩 블록으로 구성하지 않았지만, 지지 블록과 슬라이딩 블록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5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단일면이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여부공간, 즉 빈공간이 필요해 제1 개체 및 제2 개체가 커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D)는 외부창을 갖지 않되 단일면(340D)이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빈공간을 별도의 커튼(390D) 등을 이용해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B)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은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D)는 단일면(340D)이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빈공간을 별도의 커튼(390D) 등을 이용해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일면(340D)의 단부 쪽에 커튼(390D)을 부착 연장하고, 적어도 커튼(390D)이 면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록(392D)을 제1 개체의 단부 쪽에 고정하며, 커튼(390D)의 단부 쪽에 커튼(390D)이 가이드 블록(392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95D)를 결합한 것이다. 이때, 탄성체(395D)의 일측은 커튼(390D)의 단부 쪽에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 블록(392D)에 고정된다. 여기서, 커튼(390D)은 휨이 가능한 소재를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단일면(340D)이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른 길이 차이를 가이드 블록(392D)을 따라 이동하는 커튼(390D)이 보상함에 따라 별도의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렇듯,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D)는 단일면(340D)이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빈 공간을 별도의 커튼 등을 이용해 제거함으로써 동일 케이스 대비 단일면(340D)을 최대한 확장해 이용하거나 길이방향의 베젤을 최소화함으로써 폴딩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탄성체의 배치 또는 구성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제1, 제2 개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탄성체(396D)는 그 일측이 커튼(390D)의 단부 쪽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1 개체에 고정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탄성체(397D)는 제1 개체 등에 고정되어 커튼(390D)을 감거나 푸는 태엽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일면(340D)이 접히거나 펴지기 위한 빈공간을 별도의 커튼(390D) 등을 이용해 제거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6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E)는 단일면(340E)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B)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는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의 E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일정 각도로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300E)는 단일면(340E)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일면(340E)의 단부 위치에서 제1 슬라이딩 블록(355E)에 결합되는 캠(385E)과, 제1 개체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캠(385E)과 맞물림이 가능한 캠 드라이브(386E)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캠(385E)은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 및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캠 드라이브(386E)는 캠(385E)과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골과 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캠(385E)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렇듯,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E)는 단일면(340E)이 펼쳐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일면(340E)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5 및 도 36은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캠의 변형례를 각각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캠(387E)은 제1 슬라이딩 블록(355E)에 수용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36에 도시된 캠(388E)은 제1 슬라이딩 블록(355E) 내에서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는 판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이 캠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300 : 단일면 폴딩장치 310 : 제1 개체
320 : 제2 개체 330 : 회전모듈
340 : 단일면 350 : 제1 블록
360 : 제2 블록 370 : 제1 탄성부재

Claims (13)

  1. 제1 개체 및 제2 개체와,
    상기 제1 개체와 조합되며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개체와 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를 서로 간에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가 서로 간에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일면의 하부 쪽을 지지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모듈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1 개체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개체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치합되는 2개 이상의 기어와, 상기 회전축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 이상의 가이드 부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개체 및 제2 개체에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일면과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일면의 하부 쪽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서로 간에 연결하고, 접었을 때나 펼쳤을 때 상기 단일면과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또는 제2 블록의 하부 쪽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면의 단부 쪽에 부착하여 연장되는 커튼과, 상기 제1 개체의 단부 쪽에 고정되어 상기 커튼이 선 또는 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커튼에 결합되어 상기 커튼이 상기 가이드 블록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면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1 블록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캠과, 상기 제1 개체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캠과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골과 산의 형상을 갖는 캠 드라이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1 개체와 조합되는 제1 지지 블록과,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제1 지지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개체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개체와 조합되는 제2 지지 블록과,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과 제2 지지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패드는 상기 단일면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KR1020160025117A 2015-03-05 2016-03-02 단일면 폴딩장치 KR20160108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006 2015-03-05
KR20150031006 2015-03-05
KR1020150089482 2015-06-24
KR20150089482 2015-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82A true KR20160108182A (ko) 2016-09-19

Family

ID=5684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117A KR20160108182A (ko) 2015-03-05 2016-03-02 단일면 폴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08182A (ko)
WO (1) WO20161405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4463A1 (zh) * 2017-11-28 2019-06-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装置
KR102133120B1 (ko) * 2019-03-26 2020-07-10 정혜원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918043U (zh) 2017-04-19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组件及可折叠终端
WO2019107854A1 (en) * 2017-11-28 2019-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09064895A (zh) * 2018-08-10 2018-12-2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
US11016541B2 (en) * 2018-12-04 2021-05-25 Compal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601837B1 (ko) 2019-02-19 202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2217921A (zh) * 2019-07-10 2021-01-12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外折式荧幕装置
CN111105714B (zh) * 2019-12-20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3805646B (zh) * 2020-06-15 2024-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US11720151B2 (en) 2020-08-03 2023-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1567543B2 (en) 2020-09-29 2023-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assembl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11669132B2 (en) 2020-09-29 2023-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assembl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11892883B2 (en) 2021-04-19 2024-0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evice with friction hin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1B1 (ko) 2007-07-20 2008-05-02 백태선 핸드폰 폴더
KR20140049381A (ko) 2012-10-17 2014-04-25 현 우 통화전용 보조스마트폰이 구비된 스마트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80B1 (ko) * 2010-11-09 2012-08-02 (주) 유원컴텍 접철식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329946B1 (ko) * 2012-05-14 2013-11-14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디바이스
JP5319825B1 (ja) * 2012-05-22 2013-10-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1911047B1 (ko) * 2012-07-25 2018-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KR101441081B1 (ko) * 2012-12-14 2014-09-23 이유구 가요성표시소자를 구비한 휴대용 모바일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1B1 (ko) 2007-07-20 2008-05-02 백태선 핸드폰 폴더
KR20140049381A (ko) 2012-10-17 2014-04-25 현 우 통화전용 보조스마트폰이 구비된 스마트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4463A1 (zh) * 2017-11-28 2019-06-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装置
KR102133120B1 (ko) * 2019-03-26 2020-07-10 정혜원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0524A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8182A (ko) 단일면 폴딩장치
KR101290267B1 (ko) 표시영역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091221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maintaining a folding angle by magnetic force
KR20190004618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US967853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US10310551B2 (en) Foldable device
KR102163739B1 (ko) 접철식 기기
WO2018196290A1 (zh) 折叠式显示装置
KR20230035010A (ko) 라운드 지지대를 가지는 인아웃폴딩용 힌지장치
KR20170081559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20180071900A (ko)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20170000309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2728433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2728432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2353779B1 (ko) 폴딩부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KR20220084549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075847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678498B1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JP2022518987A (ja) ディスプレイフォールディング型携帯端末機
US2022008310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80039027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20230087415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KR102442942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102686A (ko) 단일면 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