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7133A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133A
KR20170047133A KR1020150147633A KR20150147633A KR20170047133A KR 20170047133 A KR20170047133 A KR 20170047133A KR 1020150147633 A KR1020150147633 A KR 1020150147633A KR 20150147633 A KR20150147633 A KR 20150147633A KR 20170047133 A KR20170047133 A KR 20170047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oupled
plug assembly
device array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133A/ko
Publication of KR2017004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4Rotary joints allowing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opposing fibre or fibre bund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리드프레임, 일측이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의 타측에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홈에 위치하는 광전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가 상기 결합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가 벤딩(Bending)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위치 및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 간에 이동되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 기술분야에서는 전자기기 내 또는 전자기기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기술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는 구리 배선 기반의 리드로 구현된 커넥터를 이용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상술한 기술적 이슈를 충족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커넥터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커넥터에 대해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7007호(2015년 6월 17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에 대한 분해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100)는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200)이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110),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가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120),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에 결합되는 광전소자 어레이(130)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는 기판(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130)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121)을 포함한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130)는 상기 결합홈(1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에 결합된다. 그 후,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가 상기 결합홈(1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100)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130)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공정,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100)는 제조 공정에 어려움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130)는 서로 간에 광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광정렬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100)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13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 각각을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120)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킬 때 개별 공정마다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10)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130) 간의 광정렬이 어긋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조 공정에 대한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광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 어셈블리 및 광전소자 어레이 간의 광정렬이 어긋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광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리드프레임; 일측이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의 타측에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홈에 위치하는 광전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는 상기 결합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가 벤딩(Bending)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위치 및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 간에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전소자 어레이를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공정을 벤딩부를 벤딩시키는 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제조 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연결되기 위한 광전소자 어레이의 위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플러그 어셈블리 및 광전소가 어레이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에 대한 분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광전소자 어레이가 대기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광전소자 어레이가 결합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광전소자 어레이가 대기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광전소자 어레이가 결합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제1상태인 경우의 벤딩부 및 광전소자 어레이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제2상태인 경우의 벤딩부 및 광전소자 어레이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제1상태인 경우의 벤딩부 및 광전소자 어레이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있어서 도 1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서 고정부재가 위치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전자기기 내에서 또는 전자기기 간에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유에스비 케이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기판(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된 결합홈(21)에 위치하는 광전소자 어레이(3),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 리드프레임(20a)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각각에 결합되는 벤딩부(4,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5)를 포함한다.
상기 벤딩부(4)는 일측이 상기 리드프레임(20a)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벤딩부(4)를 통해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결합위치(CP, 도 5에 도시됨) 및 대기위치(WP, 도 4에 도시됨) 간에 이동된다. 상기 결합위치(CP)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대기위치(WP)는 상기 결합위치(CP)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4)가 벤딩(Bending)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 및 상기 대기위치(WP) 간에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4)가 벤딩됨에 따라 대기위치(WP)에 위치한 광전소자 어레이(3)가 결합위치(CP)로 이동된 후에,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공정을 상기 벤딩부(4)를 벤딩시키는 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에 대한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오차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및 상기 광전소가 어레이(3) 간의 광정렬이 어긋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지지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기판에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은 리셉터클본체(2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결합홈(21)에 의해 일면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는 상기 리드프레임(20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프레임(20a)은 일측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리드프레임(20a)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는 상기 리드프레임(20a)이 복수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는 제어소자(20b, 도 3에 도시됨)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소자(20b)는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소자(20b)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제어소자(20b)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어소자(20b)는 Driver-IC로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갖는 광소자(미도시)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제어소자(20b)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벤딩부(4)에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한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수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광소자가 결합되는 광전소자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광소자가 결합될 수 있으면서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가이드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상기 광전소자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에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가이드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3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4)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 도 5에 도시됨) 및 상기 대기위치(WP, 도 4에 도시됨) 간에 이동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대기위치(WP)에 위치하도록 상기 벤딩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대기위치(WP)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가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측 방향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서 상기 결합홈(21)에 의해 개방되게 형성된 쪽이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벤딩부(4)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결합위치(CP)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가 후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측 방향은 상기 리드프레임(20a)에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향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도 2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광전소자본체(30), 상기 리드프레임(20a),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소자본체(30)는 상기 결합홈(21)에서 상기 대기위치(WP, 도 6에 도시됨)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본체(30), 상기 리드프레임(20a),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인서트 몰딩을 통해 형성된 후에,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벤딩부(4)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대기위치(WP)에서 상기 결합위치(CP, 도 7에 도시됨)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결합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4)를 벤딩시키는 공정을 통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결합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오차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및 상기 광전소가 어레이(3) 간의 광정렬이 어긋날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벤딩부(4)는 상기 리드프레임(20a)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각각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벤딩부(4)는 일측이 상기 리드프레임(20a)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4)는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리드프레임(20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소자본체(30), 상기 리드프레임(20a),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인서트 몰딩을 통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리드프레임(20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드프레임(20a), 상기 벤딩부(4), 및 상기 광전소자본체(3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있어서 광전소자본체(30)를 별도로 제조하여 리셉터클본체(20)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제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작업 공수를 줄임으로써, 제조 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제조 공정에 걸리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4)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벤딩부(4)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광전소자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4)들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소자본체(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벤딩부(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벤딩부(4)는 제1벤딩부재(41, 도 8에 도시됨), 제2벤딩부재(42, 도 8에 도시됨), 및 연결부재(43,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부재(41)는 상기 리드프레임(20a, 도 7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제1벤딩부재(41)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도 7에 도시됨)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프레임(2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부재(42)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결합된다. 상기 제2벤딩부재(42)는 일부가 상기 광전소자본체(3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가 제1상태 및 제2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가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1벤딩부재(41) 및 상기 제2벤딩부재(42)가 사잇각(Included Angle)(43a)을 갖도록 배치되는 상태이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사잇각(43a)이 90도로 되도록 벤딩됨으로써,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결합위치(CP) 및 상기 대기위치(WP) 간에 회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3)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대기위치(WP)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3)가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도록 벤딩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회전하여 상기 결합위치(CP)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43)에서 벤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벤딩부(4)는 벤딩홈(44,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홈(44)은 상기 연결부재(43)에 형성된다. 상기 벤딩홈(44)은 상기 연결부재(43)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에서 상기 벤딩홈(44)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폭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43)가 상기 벤딩홈(44)이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벤딩되도록 유도되므로, 상기 연결부재(43)에서 벤딩되는 부분에 대한 위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연결부재(43)에 상기 벤딩홈(44)이 없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벤딩장치(미도시)가 상기 벤딩부(4)를 벤딩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43)에서 벤딩되는 부분에 대해 큰 위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 상기 연결부재(43)에 상기 벤딩홈(44)이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홈(44)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므로,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벤딩장치가 상기 벤딩부(4)를 벤딩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43)에서 상기 벤딩홈(44)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이 벤딩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벤딩홈(44)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43)에서 벤딩되는 부분에 대한 위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43)를 벤딩시켜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상기 대기위치(WP) 및 상기 결합위치(CP) 간에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에서 상기 벤딩홈(44)이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결합위치(CP) 및 상기 대기위치(WP) 간에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에 위치되는 광전소자 어레이(3)에 대한 위치 편차를 줄임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및 상기 광전소가 어레이(3) 간의 광정렬이 어긋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벤딩부(4)는 상기 벤딩홈(44)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벤딩홈(44)들은 상기 연결부재(43)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벤딩부(4)가 2개의 벤딩홈(44)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벤딩홈(4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3)의 양단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벤딩부(4)는 연결홈(45,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45)은 상기 벤딩홈(44)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3)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에서 상기 연결홈(45)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벤딩장치가 상기 벤딩부(4)를 벤딩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43)에서 상기 연결홈(45)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이 벤딩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연결홈(45)이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43)에 상기 벤딩홈(44)만 형성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벤딩홈(44) 및 상기 연결홈(45)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에 위치되는 광전소자 어레이(3)에 대한 위치 편차를 더 줄임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및 상기 광전소가 어레이(3)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홈(4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상기 연결부재(43)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홈(45)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벤딩홈(44)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회전할 때, 상기 연결홈(45)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대한 회전축(RA, 도 4에 도시됨)으로 기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43)에서 벤딩되는 부분에 대한 위치 편차를 더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에 위치되는 광전소자 어레이(3)에 대한 위치 편차를 더 줄임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홈(45)은 상기 연결부재(4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의 일면은,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사잇각(43a)을 이루게 되는 타면에 대해 반대되는 면이다. 이 경우, 상기 연결홈(45)은 상기 연결부재(43)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대기위치(WP)에서 상기 결합위치(CP)로 이동하도록 상기 벤딩부(4)를 벤딩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결합위치(CP, 도 5에 도시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200)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20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50)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5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20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결합홈(21, 도 12에 도시됨)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되는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1, 도 13에 도시됨)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에 광정렬이 이루어진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커버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소자(20b)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는 커버본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0)는 내부에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수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본체(60)에는 통과공(60a, 도 1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60a)은 상기 커버본체(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60)는 상기 통과공(60a)이 상기 결합홈(21)에 연통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커버본체(6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과공(60a)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60)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60a)은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커버본체(6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0)에는 식별공(60b, 도 1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공(60b)은 상기 커버본체(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60)는 상기 식별공(60b)이 상기 가이드부재(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결합위치(CP, 도 5에 도시됨)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60)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가이드부재(31)가 외부에서 식별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2위치(P2, 도 7에 도시됨)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가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광정렬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가이드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가이드부재(31)에 대응되는 개수의 식별공(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공(60b)은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커버본체(6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0)에는 걸림공(60c, 도 1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공(60c)은 상기 커버본체(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60c)은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커버본체(6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는 걸림부재(20c, 도 12에 도시됨)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0c)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6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면, 상기 걸림부재(20c)는 상기 걸림공(60c)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본체(6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60)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걸림공(60c)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걸림공(60c)에 대응되는 개수의 걸림부재(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결합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61)가 상기 기판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결합부재(61)가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커버부(6)가 각각 상기 기판에 결합되므로, 상기 기판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커버본체(6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커버본체(6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커버본체(6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결합부재(6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커버본체(6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부재(6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0)의 일면은, 상기 제2위치(P2)에서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한 면이다. 상기 커버본체(6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부재(61)들은, 그 사이에 상기 광전송케이블(200)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커버본체(60)의 타면에 형성된 결합부재(61)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본체(60)의 타면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본체(60)의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면이다. 상기 커버본체(60)의 타면에 형성된 결합부재(41)들은 그 사이에 상기 리드프레임(20a)들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고정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한 플러그 어셈블리(5)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제2위치(P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커버본체(6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통과공(60a, 도 12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고정위치(FP, 도 16에 도시됨) 및 해제위치(RP, 도 16에 도시됨) 간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본체(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고정위치(FP)에 위치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지지한다.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고정부재(62)가 상기 고정위치(FP)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가 상기 고정위치(FP)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에 지지되어 상기 제2위치(P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위치(FP)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 1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고정부재(62)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62)는 별도의 가압수단(10, 도 17에 도시됨)에 눌려져서 상기 해제위치(RP)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시키는 작업 및 상기 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커버본체(60)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압박부재(51), 및 지지홈(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51)는 상기 고정부재(62)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상기 압박부재(51)는 상기 고정부재(62)를 압박하여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은 도 14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이다. 상기 압박부재(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본체(5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압박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부재(51)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5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50)의 양측 각각에 상기 압박부재(51)가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홈(52)은 상기 압박부재(51)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52)은 상기 압박부재(51)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홈(52)에는 상기 고정부재(62)가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지지홈(52)에 상기 고정부재(62)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51)는 상기 고정부재(62)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5)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홈(52)은 상기 압박부재(5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51)의 일면은, 상기 제2위치(P2)에서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한 면(面)이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압박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압박부재(51)들 각각에 상기 지지홈(5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FP) 및 상기 해제위치(RP) 간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고정부재(62)에 자동으로 지지되도록 구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압박부재(51)에 압박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해제위치(RP, 도 16에 도시됨)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다.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지지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고정위치(FP, 도 16에 도시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위치(P2)에서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이동공(22, 도 1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공(22)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16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이동공(22)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고정부재(62)가 상기 이동공(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상기 고정부재(6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위치(FP) 및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재(6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본체(60) 및 상기 플러그본체(50)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200)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본체(6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도 13을 기준으로 할 때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하면, 상기 커버본체(60) 및 상기 플러그본체(50)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공간의 크기가 증대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삽입된 가압수단(10)에 눌려짐에 따라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로 이동한 후에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 어셈블리(5)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교체, 수리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커버본체(6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2위치(P2, 도 15에 도시됨)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커버본체(6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고정부재(6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6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62)들 사이에는 상기 플러그본체(50)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200)들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송케이블(200) 뿐만 아니라 전기케이블(3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이브리드 타입(Hybrid Type)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본체(50)는 상기 광전송케이블(200)을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홈(50a, 도 12에 도시됨), 및 상기 전기케이블(300)을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홈(50b, 도 1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200)은 상기 제1수용홈(50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5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케이블(300)은 상기 제2수용홈(50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5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50)는 상기 제1수용홈(50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수용홈(50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본체(50)는 상기 제2수용홈(50b)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용홈(50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홈(50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홈(50b)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송케이블(20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기케이블(300)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케이블(300)들은 각각 접지(Ground)를 위한 접지케이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케이블,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케이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광커넥터 2 : 리셉터클 어셈블리
3 : 광전소자 어레이 4 : 벤딩부
5 : 플러그 어셈블리 6 : 커버부
20 : 리셉터클본체 20a : 리드프레임
21 : 결합홈 22 : 이동공
30 : 광전소자본체 31 : 가이드부재
41 : 제1벤딩부재 42 : 제2벤딩부재
43 : 연결부재 44 : 벤딩홈
45 : 연결홈 50 : 플러그본체
51 : 압박부재 52 : 지지홈
60 : 커버본체 61 : 결합부재
62 : 고정부재 200 : 광전송케이블

Claims (9)

  1.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된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5);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고,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리드프레임(20a);
    일측이 상기 리드프레임(20a)에 결합되는 벤딩부(4); 및
    상기 벤딩부(4)의 타측에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하는 광전소자 어레이(3)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결합홈(2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4)가 벤딩(Bending)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위치(CP) 및 상기 결합위치(CP)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WP) 간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4)는 상기 리드프레임(20a)에 결합되는 제1벤딩부재(41),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결합되는 제2벤딩부재(42), 상기 제1벤딩부재(41)와 상기 제2벤딩부재(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3), 및 상기 연결부재(43)에 형성된 벤딩홈(44)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CP) 및 상기 대기위치(WP) 간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3)에는 상기 벤딩홈(44)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벤딩부(4)는 상기 벤딩홈(44)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3)에 형성된 연결홈(45)을 포함하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43)가 벤딩됨에 따라 상기 연결홈(45)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4)는 상기 리드프레임(20a)에 결합되는 제1벤딩부재(41),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결합되는 제2벤딩부재(42), 및 상기 제1벤딩부재(41)와 상기 제2벤딩부재(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제1벤딩부재(41)와 상기 제2벤딩부재(42)가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1상태, 및 상기 제1벤딩부재(41)와 상기 제2벤딩부재(42)가 사잇각(Included Angle)(43a)을 갖도록 배치된 제2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43)가 상기 제1상태이면 상기 대기위치(WP)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43)가 상기 제2상태이면 상기 결합위치(CP)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부재(31)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대기위치(WP)에 위치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결합위치(CP)에 위치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20a) 및 상기 벤딩부(4)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커버부(6)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상기 결합위치(CP)로 이동한 후에,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P1)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되는 제2위치(P2) 간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6)는 상기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6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제2위치(P2)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 어셈블리(5)를 지지하는 고정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재(51), 및 상기 압박부재(51)에 형성된 지지홈(5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상기 압박부재(51)에 압박됨에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홈(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박부재(5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는 상기 고정부재(62)를 압박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박부재(51), 및 상기 고정부재(62)를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압박부재(51)에 형성된 지지홈(52)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결합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5)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62)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여 형성된 이동공(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KR1020150147633A 2015-10-22 2015-10-22 광커넥터 KR20170047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33A KR20170047133A (ko) 2015-10-22 2015-10-22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33A KR20170047133A (ko) 2015-10-22 2015-10-22 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133A true KR20170047133A (ko) 2017-05-04

Family

ID=5874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633A KR20170047133A (ko) 2015-10-22 2015-10-22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1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335B2 (ja) 小さいフォーム・ファクタのプラグ式(sfp)光トランシーバ用モジュール及び方法
US6485192B1 (en) Optical device having an integral array interface
JP2020003797A (ja) 光学モジュールのラッチおよびemi遮蔽機構
US20080112707A1 (en) Connector assembly
JP6295138B2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使用した電子機器
JP2012009851A (ja) アクティブ光ケーブルで使用するための民生用入力/出力(cio)光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及び方法
US9011024B2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170003464A1 (en) Optical module
US9581773B2 (en) Cag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JPWO2016121173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セット
US10114184B2 (en) Optical connector
KR20170047133A (ko) 광커넥터
KR102137704B1 (ko)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US20150253524A1 (en) Optica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6772050U (zh) 一种光模块
KR102638551B1 (ko) 광커넥터
CN107111070A (zh) 光学连接器
US9804338B2 (en) Plug connector to couple a hybrid cable to a receptacle
KR102172653B1 (ko) 광커넥터
JP4299855B2 (ja)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453817B1 (ko) 광커넥터
KR102689444B1 (ko) 광커넥터
KR102602185B1 (ko) 광커넥터
KR102602186B1 (ko) 광커넥터
CN101017229A (zh) 光传输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