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39294A -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294A
KR20160139294A KR1020150073921A KR20150073921A KR20160139294A KR 20160139294 A KR20160139294 A KR 20160139294A KR 1020150073921 A KR1020150073921 A KR 1020150073921A KR 20150073921 A KR20150073921 A KR 20150073921A KR 20160139294 A KR20160139294 A KR 20160139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absorbed dose
dose distribution
distribution diagram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영
토시히로 리후
이창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294A/ko
Priority to US15/150,866 priority patent/US10383593B2/en
Priority to CN201680030848.6A priority patent/CN107683110A/zh
Priority to PCT/KR2016/004841 priority patent/WO2016190568A1/en
Priority to EP16171532.1A priority patent/EP3097855B1/en
Publication of KR2016013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는 엑스선을 방출하는 X-ray 생성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MEDICAL IMAGE}
본 발명은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사체의 위치가 의료 영상 장치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져있는지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다양한 의료 영상을 생성 및 처리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으로 획득하기 위한 장비이다. 의료 영상 장치는 신체 내의 구조적 세부사항, 내부 조직 및 유체의 흐름 등을 촬영 및/또는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의료 영상 장치에서 출력되는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 중에서, 엑스선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 장치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omputed tomography; C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엑스선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엑스선을 신체에 조사하여야 한다. 엑스선은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 물질이다. 따라서, 엑스선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를 조작하는 방사선사,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의 사용자는 엑스선에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 영상 장치의 엑스선 조사 지점에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엑스선의 양은 엑스선 조사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료 영상 장치를 조작 하지 않고 있을 때에, 엑스선에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엑스선 조사 지점으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져서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의료 영상 장치를 이용하면서 엑스선에 노출되는 정도를 인식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의료 영상 장치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사용자가 이동형 의료 영상 장치를 사용할 때에 의료 영상 장치를 이용하는 장소가 변경되는 경우, 자신의 위치가 의료 영상 장치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가 더욱 어렵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위치가 의료 영상 장치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져있는지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는 엑스선을 방출하는 X-ray 생성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흡수선량 분포도는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단층 촬영 장치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흡수선량 분포도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레이저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제어부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제1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복수의 곡선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복수의 피사체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납치마를 착용한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방사선 차폐물은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촬영 조건은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단층 촬영 장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는 이동식 CT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 조사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에 대응되는 제1 값을 결정하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흡수선량 분포도는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엑스선 촬영 장치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흡수선량 분포도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레이저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제어부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제1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복수의 곡선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복수의 피사체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납치마를 착용한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 차폐물은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촬영 조건은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표시부는 단층 촬영 장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이동식 엑스선 촬영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를 위한 방법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는 단계;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X-ray 생성부로부터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하는 단계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를 위한 방법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는 단계;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 조사부로부터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를 위한 방법의 생성하는 단계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방법은 엑스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성하는 단계는 엑스선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엑스선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성하는 단계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조건은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는 엑스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엑스선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엑스선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조건은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시스템은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 조사부; 엑스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엑스선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엑스선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위치가 의료 영상 장치로부터 안전 거리만큼 떨어져있는지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CT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시스템(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엑스선 시스템(2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1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이동식 엑스선 장치(1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10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1420)의 위치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은 이산적인 영상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의 예로는 엑스선 장치, CT 장치, MRI 장치, 초음파 장치 및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CT(Computed Tomography) 영상"란 대상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대상체를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복수개의 엑스레이 영상들의 합성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 또는 전부일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및 혈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일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인체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이다. 엑스선 장치는 MRI 장치, CT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짧은 시간 내에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엑스선 장치는 단순 흉부 촬영, 단순 복부 촬영, 단순 골격 촬영, 단순 부비동 촬영, 단순 경부 연조직(neck soft tissue) 촬영 및 유방 촬영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CT 시스템은 대상체에 대하여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엑스선 장치에 비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예컨대, 신장, 폐 등의 장기 등)가 겹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T 시스템은, 예를 들어, 2mm 두께 이하의 영상데이터를 초당 수십, 수백 회 획득하여 가공함으로써 대상체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대상체의 가로 단면만으로 표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영상 재구성 기법의 등장에 의하여 극복되었다. 3차원 재구성 영상기법들로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있다.
- SSD(Shade surface display): 초기 3차원 영상기법으로 일정 HU값을 가지는 복셀들만 나타내도록 하는 기법.
-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MinIP(minimum intensity projection): 영상을 구성하는 복셀 중에서 가장 높은 또는 낮은 HU값을 가지는 것들만 나타내는 3D 기법.
- VR(volume rendering): 영상을 구성하는 복셀들을 관심영역별로 색 및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법.
- 가상내시경(Virtual endoscopy): VR 또는 SSD 기법으로 재구성한 3차원 영상에서 내시경적 관찰이 가능한 기법.
- MPR(multi planar reformation): 다른 단면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영상 기법.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자유자제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 Editing: VR에서 관심부위를 보다 쉽게 관찰하도록 주변 복셀들을 정리하는 여러 가지 기법.
- VOI(voxel of interest): 선택 영역만을 VR로 표현하는 기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층촬영(CT) 시스템(100)은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시스템(100)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CT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T 시스템(100)은 갠트리(102), 테이블(105)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102)는 X-ray 생성부(106) 및 X-ray 검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10)는 테이블(10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테이블(105)은 CT 촬영 과정에서 소정의 방향(예컨대,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05)은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거나(tilting) 또는 회전(rotating)될 수 있다.
또한, 갠트리(102)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대상체(10)에 대한 CT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CT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사용자로부터 CT 시스템(100)의 조작을 위한 명령 및 CT 촬영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8)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인가 받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는 입력부(128)가 키보드인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시스템(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시스템(100)은 갠트리(102), 테이블(105), 제어부(118), 저장부(124), 영상 처리부(126), 입력부(128),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10)는 테이블(10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5)은 소정의 방향(예컨대,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어부(118)에 의하여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102)는 회전 프레임(104), X-ray 생성부(106), X-ray 검출부(108), 회전 구동부(110), 데이터 획득 회로(116), 데이터 송신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102)는 소정의 회전축(RA; Rotation Axis)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고리 형태의 회전 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04)는 디스크의 형태일 수도 있다.
회전 프레임(104)은 소정의 시야 범위(FOV; Field Of View)를 갖도록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 X-ray 생성부(106) 및 X-ray 검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04)은 산란 방지 그리드(anti-scatter grid,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산란 방지 그리드(114)는 X-ray 생성부(106)와 X-ray 검출부(108)의 사이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의료용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기(또는 감광성 필름)에 도달하는 X-선 방사선에는, 유용한 영상을 형성하는 감쇠된 주 방사선 (attenuated primary radiation) 뿐만 아니라 영상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산란 방사선(scattered radia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 방사선은 대부분 투과시키고 산란 방사선은 감쇠시키기 위해, 환자와 검출기(또는 감광성 필름)와의 사이에 산란 방지 그리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방지 그리드는, 납 박편의 스트립(strips of lead foil)과, 중공이 없는 폴리머 물질(solid polymer material)이나 중공이 없는 폴리머(solid polymer) 및 섬유 합성 물질(fiber composite material) 등의 공간 충전 물질(interspace material)을 교대로 적층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산란 방지 그리드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프레임(104)은 회전 구동부(11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X-ray 생성부(106)와 X-ray 검출부(108)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프레임(104)은 슬립 링(미도시)을 통하여 접촉 방식으로 회전 구동부(110)로부터 구동 신호, 파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04)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회전 구동부(110)로부터 구동 신호, 파워를 수신할 수 있다.
X-ray 생성부(106)는 파워 분배부(PDU; Power Distribution Unit, 미도시)에서 슬립 링(미도시)을 거쳐 고전압 생성부(미도시)를 통하여 전압, 전류를 인가 받아 X선을 생성하여 방출할 수 있다. 고전압 생성부가 소정의 전압(이하에서 튜브 전압으로 지칭함)을 인가할 때, X-ray 생성부(106)는 이러한 소정의 튜브 전압에 상응하게 복수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갖는 X-ray들을 생성할 수 있다.
X-ray 생성부(106)에 의하여 생성되는 X-ray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112)에 의하여 소정의 형태로 방출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는 X-ray 생성부(106)와 마주하여 위치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는 복수의 X-ray 검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엑스선 검출 소자는 단일 채널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X-ray 검출부(108)는 X-ray 생성부(106)로부터 생성되고 대상체(10)를 통하여 전송된 X 선을 감지하고, 감지된 X선의 강도에 상응하게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는 방사선을 광으로 전환하여 검출하는 간접방식과 방사선을 직접 전하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직접방식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간접방식의 X-ray 검출부는 Scintill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접방식의 X-ray 검출부는 photon counting detector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회로(DAS; Data Acquisitino System)(116)는 X-ray 검출부(108)와 연결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는 DAS(116)에서 수집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DAS(116)에서 수집될 수 있다.또한, X-ray 검출부(108)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는 증폭기(미도시)를 거쳐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나 슬라이스 개수에 따라 X-ray 검출부(108)로부터 수집된 일부 데이터만이 영상 처리부(126)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영상 처리부(126)에서 일부 데이터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 송신부(120)를 통하여 영상 처리부(126)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 송신부(12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 처리부(126)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8)는 CT 시스템(100)의 각각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8)는 테이블(105), 회전 구동부(110), 콜리메이터(112), DAS(116), 저장부(124), 영상 처리부(126), 입력부(128),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32) 등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6)는 DAS(116)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예컨대, 가공 전인 로 데이터(raw data))를 데이터 송신부(120)을 통하여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는, 예를 들면, 채널들 사이의 감도 불균일 정정 프로세스, 신호 세기의 급격한 감소 또는 금속 같은 X선 흡수재로 인한 신호의 유실 정정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6)의 출력 데이터는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션 데이터는 데이터 획득시의 촬영 조건(예컨대, 튜브 전압, 촬영 각도 등)등과 함께 저장부(124)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젝션 데이터는 대상체를 통과한 X선의 세기에 상응하는 데이터 값의 집합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채널들에 대하여 동일한 촬영 각도로 동시에 획득된 프로젝션 데이터의 집합을 프로젝션 데이터 세트로 지칭한다.
저장부(12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26)는 획득된 프로젝션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단면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영상은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처리부(126)는 획득된 프로젝션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콘 빔 재구성(cone beam reconstruction) 방법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8)를 통하여 X선 단층 촬영 조건, 영상 처리 조건 등에 대한 외부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단층 촬영 조건은, 복수의 튜브 전압, 복수의 X선들의 에너지 값 설정, 촬영 프로토콜 선택, 영상재구성 방법 선택, FOV 영역 설정, 슬라이스 개수,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 영상 후처리 파라미터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조건은 영상의 해상도, 영상에 대한 감쇠 계수 설정, 영상의 조합비율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인가 받기 위한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8)는 마이크로폰,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패드, 터치팬, 음성, 제스처 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처리부(126)에 의해 재구성된 X선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엘리먼트들 사이의 데이터, 파워 등의 송수신은 유선, 무선 및 광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32)는 서버(134) 등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 외부 의료 장치 등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엑스선 시스템(2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엑스선 시스템(2000)은 엑스선 장치(1100) 및 워크스테이션(111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100)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 또는 이동식 엑스선 장치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장치(1100)는 엑스선 조사부(1120), 고전압 발생부(1121), 검출부(1130), 조작부(1140) 및 제어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0)는 엑스선 장치(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전압 발생부(1121)는 엑스선의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켜 엑스선 소스(1122)에 인가한다.
엑스선 조사부(1120)는 고전압 발생부(1121)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122) 및 엑스선 소스(1122)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여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22)는 엑스선관(X-ray tube)을 포함하며, 엑스선관은 양극과 음극으로 된 2극 진공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엑스선관 내부를 약 10mmHg 정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음극의 필라멘트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킨다. 필라멘트로는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고 필라멘트에 연결된 전기도선에 10V의 전압과 3-5A 정도의 전류를 가하여 필라멘트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10-300kVp 정도의 고전압을 걸어주면 열전자가 가속되어 양극의 타겟 물질에 충돌하면서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엑스선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며, 윈도우의 재료로는 베륨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물질에 충돌하는 전자의 에너지 중 대부분은 열로 소비되며 열로 소비되고 남은 나머지 에너지가 엑스선으로 변환된다.
양극은 주로 구리로 구성되고, 음극과 마주보는 쪽에 타겟 물질이 배치되며, 타겟 물질로는 Cr, Fe, Co, Ni, W, Mo 등의 고저항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물질은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타겟 물질이 회전하게 되면 전자 충격 면적이 증대되고 고정된 경우에 비해 열 축적율이 단위 면적당 10배 이상 증대될 수 있다.
엑스선관의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을 관전압이라 하며, 이는 고전압 발생부(1121)에서 인가되고, 그 크기는 파고치 kVp로 표시할 수 있다. 관전압이 증가하면 열전자의 속도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에너지(광자의 에너지)가 증가된다. 엑스선관에 흐르는 전류는 관전류라 하며 평균치 mA로 표시할 수 있고, 관전류가 증가하면 필라멘트에서 방출되는 열전자의 수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선량(엑스선 광자의 수)이 증가된다.
따라서,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세기 또는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검출부(1130)는 엑스선 조사부(112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검출부(1130)는 디지털 검출부일 수 있다. 검출부(1130)는 TFT를 사용하여 구현되거나, CCD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검출부(1130)가 엑스선 장치(1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검출부(1130)는 엑스선 장치(1100)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별개의 장치인 엑스선 디텍터일 수도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1100)는 엑스선 장치(11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140)는 출력부(1141) 및 입력부(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42)는 사용자로부터 엑스선 장치(1300)의 조작을 위한 명령 및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50)는 입력부(1142)에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엑스선 장치(1100)를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출력부(1141)는 제어부(1150)의 제어 하에 엑스선의 조사 등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10) 및 엑스선 장치(110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서로 간의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10)은 엑스선 장치(1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존재할 수도 있다.
워크스테이션(1110)은 출력부(1111), 입력부(1112) 및 제어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11) 및 입력부(1112)는 사용자에게 워크스테이션(1110) 및 엑스선 장치(11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113)는 워크스테이션(1110) 및 엑스선 장치(1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1100)는 워크스테이션(1110)을 통해 제어될 수 있고, 엑스선 장치(1100)에 포함되는 제어부(1150)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110)을 통해 엑스선 장치(1100)를 제어하거나, 엑스선 장치(1100)에 포함되는 조작부(1140) 및 제어부(1150)를 통해 엑스선 장치(1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110)을 통해 원격으로 엑스선 장치(11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엑스선 장치(1100)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워크스테이션(1110)의 제어부(1113)과 엑스선 장치(1100)의 제어부(1150)를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도 3은 예시일 뿐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들(1113, 1150)은 하나의 통합된 제어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통합된 제어부는 워크스테이션(1110) 및 엑스선 장치(1100) 중 하나에만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제어부(1113, 1150)는 워크스테이션(1110)의 제어부(1113) 및 엑스선 장치(1100)의 제어부(1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1110)의 출력부(1111) 및 입력부(1112)와 엑스선 장치(1100)의 출력부(1141) 및 입력부(1142)는 각각 사용자에게 엑스선 장치(11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워크스테이션(1110) 및 엑스선 장치(1100) 각각이 출력부(1111, 1141) 및 입력부(1112, 1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 또는 입력부는 워크스테이션(1110) 및 엑스선 장치(1100) 중 하나에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입력부(1112, 1142)는 워크스테이션(1110)의 입력부(1112) 및 엑스선 장치(1100)의 입력부(114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고, 출력부(1111, 1141)는 워크스테이션(1110)의 출력부(1111) 및 엑스선 장치(1100)의 출력부(1141)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입력부(1112, 1142)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12, 1142)를 통해 엑스선 조사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부(1112, 1142)에는 이러한 명령 입력을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는 두 번에 걸쳐 눌러야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치는 엑스선 조사를 위한 예열을 지시하는 준비명령이 입력되고, 그 상태에서 스위치를 더 깊게 누르면 실질적인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1113, 1150)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 즉, 준비신호를 생성하여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부(1121)로 전달한다.
고전압 발생부(1121)는 제어부(1113, 1150)로부터 전달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여 예열을 시작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1113, 11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엑스선 검출을 위해 검출부(1130) 또한 엑스선 검출준비가 필요한데, 제어부(1113, 1150)는 고전압 발생부(1121)의 예열과 함께 검출부(1130)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검출부(1130)로 준비신호를 전달한다. 검출부(1130)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검출준비가 완료되면 검출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1113, 1150)로 전달한다.
고전압 발생부(1121)의 예열이 완료되고, 검출부(1130)의 엑스선 검출준비가 완료되며, 제어부(1113, 1150)는 고전압 발생부(1121)로 조사신호를 전달하고, 고전압 발생부(1121)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엑스선 소스(1122)로 인가하고, 엑스선 소스(1122)는 엑스선을 조사하게 된다.
제어부(1113, 1150)는 조사신호를 전달할 때, 엑스선 조사를 대상체가 알 수 있도록, 출력부(1111, 1141)로 사운드 출력신호를 전달하여 출력부(1111, 1141)에서 소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111, 1141)에서는 엑스선 조사 이외에 다른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출력부(1141)가 조작부(114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부(1141) 또는 출력부(1141)의 일부는 조작부(1140)가 위치하는 지점과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실 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113, 11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엑스선 조사부(1120)와 검출부(1130)의 위치, 촬영 타이밍 및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13, 1150)는 입력부(1112, 1142)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고전압 발생부(1121) 및 검출부(1130)를 제어하여 엑스선의 조사 타이밍, 엑스선의 세기 및 엑스선의 조사 영역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13, 1150)는 소정의 촬영 조건에 따라 검출부(1130)의 위치를 조절하고, 검출부(1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13, 1150)는 검출부(1130)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13, 1150)는 검출부(113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조절하여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111, 1141)는 제어부(1113, 1150)에 의해 생성된 의료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111, 1141)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대상체 정보 등 사용자가 엑스선 장치(11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111, 1141)의 예로서 스피커, 프린터,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FPD 디스플레이, 1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워크스테이션(1110)은 네트워크(15)를 통해 서버(1162), 의료 장치(1164) 및 휴대용 단말(1166) 등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5)와 연결되어 서버(1162), 의료 장치(1164), 또는 휴대용 단말(1166)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15)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MRI, 엑스선 장치 등 다른 의료 장치(1164)에서 촬영한 의료 이미지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1162)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대상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병원 내의 서버(1162)나 의료 장치(1164)뿐만 아니라, 의사나 고객의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1166)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100)는, 다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초소형 연산 처리 장치 및 특수 용도용(예를 들면, 고속 A/D 변환, 고속 푸리에 변환, 어레이 처리용 등)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워크스테이션(1110)과 엑스선 장치(1100) 사이의 통신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의 비동기 시리얼 통신, 과오 동기 시리얼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저지연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1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엑스선 장치(1200)는 도 3의 엑스선 장치(1100)의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의 엑스선 장치(12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 3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장치(1200)는 엑스선 장치(12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140),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1120),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1130), 엑스선 조사부(1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제2 및 제3 모터(1211,212,213), 제1, 제2 및 제3 모터(1211, 1212, 1213)의 구동력에 의해 엑스선 조사부(11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가이드레일(1220), 이동캐리지(1230) 및 포스트 프레임(1240)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1221)과 제2가이드레일(1222)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1221)과 제2가이드레일(122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레일(1221)은 엑스선 장치(1200)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레일(1222)은 제1가이드레일(122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레일(12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레일(1221)에는 제1가이드레일(12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122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레일(1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122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방향(D1)이 정의되고, 제2가이드레일(12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1230)는 제2가이드레일(12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레일(12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1230)에는 제2가이드레일(122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1230)는 제2가이드레일(1222)과 함께 제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가이드레일(1222)을 따라 제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포스트프레임(1240)은 이동캐리지(1230)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1230)의 하측에 위치한다. 포스트프레임(1240)은 복수 개의 포스트(1241, 1242, 1243, 1244, 1245)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트(1241, 1242, 1243, 1244, 1245)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스트프레임(1240)은 이동캐리지(123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124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3방향(D3)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검출부(113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데, 테이블 타입 리셉터(1290)나 스탠드 타입 리셉터(1280)에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1120)와 포스트프레임(124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1250)가 배치된다. 회전조인트(1250)는 엑스선 조사부(1120)를 포스트프레임(1240)에 결합시키고 엑스선 조사부(1120)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한다.
회전조인트(1250)에 연결된 엑스선 조사부(1120)는 제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엑스선 조사부(1120)의 회전방향을 제4방향(D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부(1120)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부(1120)는 회전조인트(1250)에 대해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인 제5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터(1211, 1212, 1213)는 엑스선 조사부(1120)를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터(1211, 1212, 1213)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에는 엔코더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터(1211, 1212, 1213)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레일(1222)을 제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1모터(1211)는 제1가이드레일(122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1230)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제2모터(1212)는 제2가이드레일(122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1240)의 길이를 제3방향(D3)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3모터(1213)는 이동캐리지(12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제2 및 제3 모터(1211, 1212, 1213)는 엑스선 조사부(1120)를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으로 직선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 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엑스선 조사부(1120)를 제4방향(D4) 및 제5방향(D5)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인트(1250)와 포스트 프레임(1240) 사이 및 회전조인트(1250)와 엑스선 조사부(1120) 사이에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1120)의 일 측면에는 조작부(11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고정식 엑스선 장치(120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200)는 단지 이해의 편의를 위함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고정식 엑스선 장치(1200)뿐만 아니라 C-암(arm) 타입 엑스선 장치, 혈관 조영(angiography) 엑스선 장치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촬영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엑스선 장치(1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엑스선 장치(1300)는 도 3의 엑스선 장치(1100)의 실시예일 수 있다. 도 5의 엑스선 장치(13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 3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300)는 엑스선 장치(1300)의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는 이동부(1370)와, 엑스선 장치(13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140), 엑스선 소스(1122)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부(1121), 엑스선 장치(1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50)를 포함하는 메인부(1305)와,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소스(1122), 엑스선 소스(1122)에서 발생되어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여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1123)를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부(1120)와, 엑스선 조사부(112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10)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1130)를 포함한다.
도 5에서의 검출부(1130)는 어떤 리셉터에도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포터블(portable) 검출부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조작부(1140)가 메인부(1305)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엑스선 장치(1300)의 조작부(1140)는 엑스선 조사부(1120)의 일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의료 영상 장치(600)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투과시켜 대상체에 대한 단면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600)는 단층 영상(Tomography image)을 처리하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영상을 처리하는 엑스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는 고정식 단층 촬영 장치 및 이동식 단층 촬영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600)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 및 이동식 엑스선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층 촬영 장치는 대상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단면 영상을 복원하는 의료 영상 장치가 될 수 있다. 단층 촬영 장치는 예를 들어, CT(computed Tomography) 장치,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또는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인체 내부 구조물을 나타내는 영상을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Digital Radiography; DR) 및 디지털 유방 엑스선 촬영장비 (FFDM; full-field digital mammograph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는 엑스선 조사부(610), 제어부(620) 및 표시부(6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조사부(610)는 대상체를 향하여 엑스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엑스선 조사부(610)는 도 1 및 2의 X-ray 생성부(106)에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가 엑스선 장치인 경우 엑스선 조사부(610)는 도 3 내지 5의 엑스선 조사부(1120)에 포함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610)에서 대상체를 향하여 방출되는 엑스선은 대상체뿐 만 아니라,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 촬영 시에 의료 영상 장치(600)의 근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의 근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엑스선의 양이 일정 한도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엑스선량이 사용자에게 조사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의료 영상 장치(600)의 근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피사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엑스선 조사부(610)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즉, 의료 영상 장치(600)는 엑스선 조사부(6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620)는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은 피사체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의 엑스선량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은 엑스선 유효선량 한도값 및 엑스선 등가선량 한도값이 있을 수 있다. 유효선량 한도값은, 인체의 여러 조직이 엑스선에 조사된 경우, 엑스선에 의한 인체의 전체적 영향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엑스선량의 한도값일 수 있다. 또한, 등가선량 한도값은 엑스선에 노출된 조직 및 기관의 평균 흡수선량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엑스선량의 한도값일 수 있다.
한편,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은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지 일반인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방사선산업 종사자인 경우, ICRP-60 권고의 규정에 의하면 유효선량 한도는 연간 50m㏜(밀리 시버트)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5년간 100m㏜이다. ICRP-60 권고에 의하면 일반인의 경우 유효선량 한도는 1년에 1m㏜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값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 흡수선량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엑스선 흡수선량은 조사 물질의 단위 질량당 흡수되는 엑스선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제1 값은 엑스선 흡수선량의 최대값 외에도, 엑스선 유효선량 한도값 및 엑스선 등가선량 한도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값이 엑스선 흡수선량의 최대값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값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 은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지 일반인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값은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지 일반인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은 촬영 당시 피사체에 누적된 방사선 피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값은 촬영 당시 피사체에 누적된 방사선 피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방사선 작업 종사자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600)는 피사체가 1년간 노출된 엑스선의 유효선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는 피사체가 1년간 노출된 엑스선의 유효선량에 대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 은 피사체가 차폐 물질을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값은 피사체가 차폐 물질을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62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선량 분포도(도 8 참조)의 위치 범위는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지점을 이은 곡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선량 분포도(도 8 참조)는 엑스선 조사부(61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선량 분포도(도 8 참조)의 위치 범위는 제1 값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위 면적당 조사되는 엑스선량의 크기는 엑스선이 조사되는 위치로부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제1 값의 크기가 작은 경우 흡수선량 분포도는, 엑스선 조사부(6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 경우의 제1 값은 피사체가 일반인인 경우의 제1 값보다 클 수 있다. 즉, 피사체가 일반인인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도 8의 805 참조)는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도 8의 803 참조)보다 엑스선 조사부(6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다른 예를 들면, 제 1 값은 피사체가 차폐물질을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피사체가 납치마를 착용한 경우에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도 8의 801 참조)는 피사체가 납치마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도 8의 803 참조)보다 엑스선 조사부(61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표시되는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한편, 흡수선량 분포도(도 8 참조)의 위치 범위는 촬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조건은, 촬영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600)를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자 할 때, 질병의 종류에 따라 촬영 프로토콜이 상이할 수 있다.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600)에서 피사체로 조사되는 엑스선의 유효선량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서, 한번의 촬영으로 인해 의료 영상 장치(60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시간, 엑스선의 관전압(kvp) 및 엑스선의 관전류(mAs)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촬영 조건은 엑스선의 관전압(kvp), 관전류(mAs), 빔폭(beam width), 반가층 및 엑스선의 조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20)는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촬영 조건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20)는 촬영 프로토콜이 변경됨에 따라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촬영 프로토콜이 변경됨에 따라, 상이한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포함하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만약, 촬영 프로토콜의 변화에 따라, 엑스선의 관전압 및 관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되면 제어부(620)는 이에 따라 변경된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의료 영상 장치(600)의 이동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흡수선량 분포도가 표시되는 위치가 변경된 의료 영상 장치(6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20)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피사체의 근방만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엑스선의 흡수선량에 따라, 피사체의 위치 범위 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20)는 1회의 촬영에 의해 조사되는 엑스선의 흡수선량이 10mSv가 되는 위치 범위, 20mSv가 되는 위치 범위, 30mSv가 되는 위치 범위 등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제어부(620)는 도 2의 제어부(118)에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가 엑스선 장치인 경우 제어부(620)는 도 3 및 5의 제어부(115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630)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630)는 의료 영상 장치(600)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흡수선량 분포도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레이저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630)는 제어부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630)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들을 함께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630)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함께 나타내는 복수의 곡선들(도 8의 801, 803, 805 참조)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피사체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납치마를 착용한 사용자, 및 일반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는 촬영 조건의 변화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630)는 촬영 프로토콜이 변경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는 의료 영상 장치(600)의 이동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의료 영상 장치(6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표시부(630)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가 엑스선 장치인 경우 표시부(630)는 도 3 및 5의 표시부(1141)에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6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CT 시스템(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600)는 CT 시스템(100)과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 장치 또는 휴대용 장치 내에 포함되어, CT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의료 영상 장치(600)가 엑스선 장치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6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엑스선 장치(1100, 1200, 13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600)는 엑스선 장치(1100, 1200, 1300)와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 장치 또는 휴대용 장치 내에 포함되어, 엑스선 장치(1100, 1200, 130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 영상 장치(600)가 제어부(620) 및 표시부(630)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를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로 칭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의료 영상 장치(700)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투과시켜 대상체에 대한 단면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700)는 단층 영상을 처리하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영상을 처리하는 엑스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700)는 고정식 단층 촬영 장치 및 이동식 단층 촬영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700)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 및 이동식 엑스선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700)는 엑스선 조사부(710), 제어부(720), 표시부(73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엑스선 조사부(710), 제어부(720) 및 표시부(730)는 도 6의 엑스선 조사부(610), 제어부(620) 및 표시부(630)에 동일 대응된다. 이하, 도 7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700)는 엑스선 조사부(710), 제어부(720) 및 표시부(7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의료 영상 장치(700)는 저장부(740) 및 통신부(7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740)는 복수의 피사체에 마다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 복수의 피사체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 및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위치 범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7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저장부(740)는 도 2의 저장부(124)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750)는 서버(도 2 및 도 3의 162 참조)로부터 복수의 피사체 마다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 복수의 피사체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 및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위치 범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750)는 피사체가 1년간 노출된 엑스선의 유효선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50)는 서버(도 2 및 도 3의 162 참조)로부터 의료 영상 장치(700)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750)는 서버로 부터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50)는 의료 영상 장치(700)의 이동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50)는 의료 영상 장치(700)에 대한 피사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750)는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방사선 차폐물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7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통신부(750)는 도 2의 통신부(126)에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700)가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7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CT 시스템(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700)는 CT 시스템(100)과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 장치 또는 휴대용 장치 내에 포함되어, CT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도 있다.
한편, 의료 영상 장치(700)가 엑스선 장치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7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엑스선 장치(1100, 1200, 13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700)는 엑스선 장치(1100, 1200, 1300)와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 장치 또는 휴대용 장치 내에 포함되어, 엑스선 장치(1100, 1200, 130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 영상 장치(700)가 제어부(720) 및 표시부(730)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를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로 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1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할 수 있다(S110).
단계 S12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조건은 촬영 프로토콜, 엑스선의 관전압(kvp), 관전류(mAs), 빔폭(beam width), 반가층 및 조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S130).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피사체는 예를 들어, 납치마를 착용한 피사체 및 납치마를 착용하지 않은 피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곡선들(910, 920)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피사체가 방사선 작업 종사자이고 납치마를 착용한 경우에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910),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 납치마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920)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곡선들(910, 920)은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910, 920)이 표시될 때, 그에 각각 대응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곡선들(910, 920)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의료 영상 장치(910)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레이저 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910, 920)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의료 영상 장치(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도 1의 130 참조) 또는 의료 영상 장치(91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곡선들(901, 903, 905)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이고 납치마를 착용한 경우에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901),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903) 및 피사체가 일반인인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805)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곡선들(901, 903, 905)은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901, 903, 905)이 표시될 때, 그에 각각 대응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곡선들(901, 903, 905)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의료 영상 장치(910)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레이저 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901, 903, 905)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의료 영상 장치(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도 1의 130 참조) 또는 의료 영상 장치(91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910)는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촬영 조건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의료 영상 장치(910)는 촬영 조건의 변화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영상 장치(9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가 엑스선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한 위치인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영상 장치(910)의 사용자는 촬영 조건의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에 기초하여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의료 영상 장치(910)가 이동식 의료 영상 장치(910)인 경우, 변경된 촬영 장소내의 자신의 위치가 안전한 위치인지 여부를 흡수선량 분포도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21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할 수 있다(S210).
단계 S22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엑스선을 방출하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S220).
단계 S23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할 수 있다(S230).
단계 S24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S240).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료 영상 장치(2110)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2110)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는 의료 영상 장치(2110)가 방사선 차폐물(2120)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110)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2110)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차폐물은 피사체(미도시)에 부착된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곡선들(2101, 2103, 21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이고 납치마를 착용한 경우에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2101), 피사체가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2103) 및 피사체가 일반인인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2105)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곡선들(2101, 2203, 2105)은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2101, 2203, 2105)이 표시될 때, 그에 각각 대응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곡선들(2101, 2203, 2105)은, 방사선 차폐물(2120)이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의료 영상 장치(91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영상 장치(2110)의 사용자는 차폐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위치가 엑스선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한 위치인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의료 영상 장치(2110)가 이동식 의료 영상 장치(2110)인 경우, 차폐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자신의 위치가 안전한 위치인지 여부를 흡수선량 분포도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의료 영상 장치(2200)는, 의료 영상 장치(2200)의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는 이동부(2201), 갠트리(2202) 및 테이블(2205)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200)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의료 영상 장치(2200)가 이동식 단층 촬영 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200)는 피사체가 방사선으로부터 안전한 위치에 있는 경우 알림을 통지하는 알림 통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통지부는, 천정(2220)에 부착된 카메라(2223) 및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는, 예를 들어, 피사체가 착용하고 있는 안경(2211) 및 피사체가 착용하고 있는 시계(2213)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통지부는, 피사체의 위치가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2200)가 흡수선량 분포도를 원으로 표시하는 경우, 알림 통지부는 피사체가 원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알림 통지부는 소리를 이용하여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알림 통지부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통지부는 엑스선 장치의 출력부(1141, 도 3 참조), 엑스선 시스템의 워크스테이션의 출력부(1111) 및 단층 촬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30, 도 1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31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조건은 촬영 프로토콜, 엑스선의 관전압(kvp), 관전류(mAs), 빔폭(beam width), 반가층 및 조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피사체의 근방만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피사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피사체의 근방만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1420)의 위치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료 영상 장치(1410)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의료 영상 장치(1410)는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1410)는 복수의 곡선들(1401, 1403)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곡선들(1401, 1403)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142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1410)는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위치 범위 중 피사체의 근방만 나타내도록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피사체가 2 이상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1410)는 복수의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들을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1410)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피사체는 납치마를 착용한 피사체 및 납치마를 착용하지 않은 피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곡선들(1401, 1403)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피사체가 방사선 작업 종사자이고 납치마를 착용한 경우에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1401), 피사체가 방사선작업 종사자인 납치마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흡수선량 분포도의 위치 범위(1403)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곡선들(1401, 1403)은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1401, 1403)이 표시될 때, 그에 각각 대응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곡선들(1401, 1403)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의료 영상 장치(1410)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레이저 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곡선들(1401, 1403)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는 의료 영상 장치(14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도 1의 130 참조) 또는 의료 영상 장치(141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의 변화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600, 700)를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제1 값이 되는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조건은 촬영 프로토콜, 엑스선의 관전압(kvp), 관전류(mAs), 빔폭(beam width), 반가층 및 조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에 변화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변화된 촬영 조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프로토콜이 변경되거나, 엑스선의 조사 시간 등의 변화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변화된 촬영 조건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만약, 촬영 프로토콜의 변화에 따라, 엑스선의 관전압 및 관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되면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이에 따라 변경된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촬영 조건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단계 S420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단계 S410를 수행한 후, 바로 단계 S4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다(S430).
도 16은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부(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5)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162), 의료 장치(164) 또는 휴대용 장치(166) 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휴대용 장치 (138)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네트워크(15)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는 MRI 장치, X-ray 장치 등 의료 장치(164)에서 획득된 의료 영상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70)는 서버(162)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환자의 임상적 진단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70)는 병원 내의 서버(162)나 의료 장치(164)뿐만 아니라, 사용자나 환자의 휴대용 장치(166)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장비의 이상유무 및 품질 관리현황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나 서비스 담당자에게 송신하고 그에 대한 feedback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의료 영상 장치(600) 및 도 7에 도시된 의료 영상 장치(700)는 네트워크(80)에 연결된 외부의 의료 장치(94) 또는 외부의 휴대용 장치(96)일 수 있다. 즉, 의료 영상 장치(600, 700)는 도 16에 도시된 통신부(70)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시스템
102: 갠트리
104: 회전 프레임
105: 테이블
106: X-ray 생성부
108: X-ray 검출부
110: 회전 구동부
112: 콜리메이터
114: 산란 방지 그리드
118: 제어부
120: 데이터 송신부
124: 저장부
126: 영상 처리부
128: 입력부
130: 디스플레이부
70: 통신부
162: 서버

Claims (44)

  1. 엑스선을 방출하는 X-ray 생성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엑스선이 상기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상기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는
    상기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곡선을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층 촬영 장치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레이저빔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층 촬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값을 결정하는 단층 촬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피사체의 상기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복수의 곡선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층 촬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사체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납치마를 착용한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층 촬영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층 촬영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은 상기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단층 촬영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층 촬영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단층 촬영 장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층 촬영 장치.
  14. 제1 항 내지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이동식 CT 장치인 단층 촬영 장치.
  15.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 조사부;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에 대응되는 제1 값을 결정하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엑스선이 상기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상기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는
    상기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곡선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엑스선 장치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레이저빔 조사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값을 결정하는 엑스선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제1 값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피사체의 상기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복수의 곡선을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사체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납치마를 착용한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22.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엑스선 장치.
  23.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엑스선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은 상기 피사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엑스선 장치.
  25.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2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피사체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2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엑스선 장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
  28. 제15 항 내지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장치는 이동식 엑스선 장치인 엑스선 장치.
  29.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는 단계;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X-ray 생성부로부터 엑스선이 상기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상기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위한 방법.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위한 방법.
  31. 피사체에 허용되는 엑스선량의 한계값에 근거하여 제1 값을 결정하는 단계;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 조사부로부터 엑스선이 상기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이 상기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를 위한 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를 위한 방법.
  33. 엑스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방법.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엑스선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상기 엑스선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방법.
  35.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방사선 차폐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방법.
  36.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방법.
  37. 엑스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
  38.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상기 엑스선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
  39.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
  40.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엑스선 흡수선량 분포도 표시 장치.
  41.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 조사부;
    엑스선 촬영 조건에 근거하여, 엑스선이 피사체로 조사될 때 상기 피사체의 엑스선 흡수선량(absorbed dose)이 제1 값이 되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선량 분포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시스템.
  42.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조건이 변화할 때, 상기 엑스선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엑스선 시스템.
  43.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위치 및 상기 방사선 차폐물의 차폐율에 근거하여 상기 흡수선량 분포도를 업데이트하는, 엑스선 시스템.
  44.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엑스선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 시간 및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엑스선 시스템.
KR1020150073921A 2015-05-27 2015-05-27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KR20160139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21A KR20160139294A (ko) 2015-05-27 2015-05-27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US15/150,866 US10383593B2 (en) 2015-05-27 2016-05-10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edical image
CN201680030848.6A CN107683110A (zh) 2015-05-27 2016-05-10 用于拍摄医疗图像的方法和装置
PCT/KR2016/004841 WO2016190568A1 (en) 2015-05-27 2016-05-10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edical image
EP16171532.1A EP3097855B1 (en) 2015-05-27 2016-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edic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21A KR20160139294A (ko) 2015-05-27 2015-05-27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294A true KR20160139294A (ko) 2016-12-07

Family

ID=5608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921A KR20160139294A (ko) 2015-05-27 2015-05-27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3593B2 (ko)
EP (1) EP3097855B1 (ko)
KR (1) KR20160139294A (ko)
CN (1) CN107683110A (ko)
WO (1) WO20161905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9666A (zh) * 2020-03-09 2020-07-28 北京东软医疗设备有限公司 距离监测方法、装置、血管机、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6572A1 (de) * 2017-04-24 2018-10-31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ildaufnahmeeinrichtung, bildaufnahmeeinrichtung, computerprogramm und elektronisch lesbarer datenträger
JP6885803B2 (ja) * 2017-06-27 2021-06-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放射線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WO2019036446A2 (en) * 2017-08-17 2019-02-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YBRID TOMODENSITOMETRY SYSTEM WITH ADDITIONAL DETECTORS IMMEDIATELY NEAR THE BODY
US10881362B2 (en) * 2018-11-20 2021-01-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for laser alignment
WO2021078304A1 (en) * 2019-10-24 2021-04-29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Radi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N110742641A (zh) * 2019-10-24 2020-02-04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防辐射预警方法、系统和装置
JP7344769B2 (ja) * 2019-11-22 2023-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検出装置及び出力方法
TWI774163B (zh) * 2020-12-23 2022-08-11 國立屏東科技大學 放射影像攝影設備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9561B2 (ja) * 1993-04-19 2003-09-22 東芝医用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X線ct装置
JP2001281340A (ja) 2000-03-29 2001-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放射線検出装置
US6983230B2 (en) * 2001-09-11 2006-01-03 Sterigenics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radiation dose delivered to an object
US6850588B2 (en) * 2002-07-25 2005-02-0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Radiation exposure limiting scheme
JP4387644B2 (ja) * 2002-08-05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被写体に照射されたx線の線量を求める方法及び装置
JP4309103B2 (ja) 2002-08-09 2009-08-05 東芝医用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放射線量推定装置および放射線診断装置
US7119903B1 (en) * 2002-11-25 2006-10-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differential scattering of light off of sample surfaces
JP4739738B2 (ja) * 2004-12-01 2011-08-03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線量評価方法およびx線ct装置
FR2897255B1 (fr) * 2006-02-10 2008-03-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stimation du rayonnement diffuse en tomographie par rayons x
EP2117649B1 (en) * 2007-02-27 2012-10-24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of scattered radiation
US7831016B2 (en) * 2007-03-01 2010-11-09 Best Medical Canada Radiation dosimetry apparatus and method, and dosimeter for use therein
JP5197025B2 (ja) * 2008-01-09 2013-05-15 株式会社東芝 放射線治療システム、放射線治療支援装置及び放射線治療支援プログラム
US8238516B2 (en) * 2008-01-09 2012-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therapy support apparatus
CN102576387B (zh) * 2009-10-22 2016-08-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扫描参数策略
KR101179540B1 (ko) 2010-05-13 2012-09-04 국방과학연구소 엑스선 단층 촬영을 이용한 재료 내부의 밀도 분석방법
EP2594317B1 (en) * 2010-07-15 2014-08-20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ation treat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724066B2 (en) * 2010-12-22 2017-08-08 Nucletron Operations B.V. Mobile X-ray unit
US8774361B2 (en) * 2011-06-09 2014-07-0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for identifying radiation zones in X-ray imaging
JP6129474B2 (ja) * 2012-02-09 2017-05-17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US9486647B2 (en) * 2012-04-27 2016-11-08 Elekta Ab (Publ) Vision system for radiotherapy machine control
US20150043712A1 (en) * 2013-08-07 2015-02-12 Carestream Health, In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stereoscopic tomography
WO2015044016A1 (en) * 2013-09-30 2015-04-02 Koninklijke Philips N.V. 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adiation exposure and arrangement including a radiation source and the system
CN106233357B (zh) * 2013-10-07 2020-09-04 曼帝斯有限公司 基于医疗程序模拟的辐射估算和防护
JP6523653B2 (ja) * 2014-10-22 2019-06-05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放射線照射装置及び線量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9666A (zh) * 2020-03-09 2020-07-28 北京东软医疗设备有限公司 距离监测方法、装置、血管机、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49666B (zh) * 2020-03-09 2023-07-04 北京东软医疗设备有限公司 距离监测方法、装置、血管机、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45928A1 (en) 2016-12-01
EP3097855B1 (en) 2020-05-06
US10383593B2 (en) 2019-08-20
WO2016190568A1 (en) 2016-12-01
EP3097855A1 (en) 2016-11-30
CN107683110A (zh)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35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edical image
KR101812658B1 (ko) 방사선 디텍터, 그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촬영 장치
US10628972B2 (en) Diagnost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823857B2 (en) Radiation detector, tomography imaging apparatus thereof, and radiation detecting apparatus thereof
KR101684448B1 (ko) 방사선 디텍터, 그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 및 x 선 촬영 장치
EP2871496B1 (en) Radiation detector and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052077B2 (en) Tomograph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60698A (ko)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05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US9836861B2 (en) Tomography apparatus and method of reconstructing tomography image
KR101534098B1 (ko) C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제어 방법
KR20160103482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20160125851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EP3182897B1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x-ray apparatus
JP5865641B2 (ja) X線ct装置、及び、放射線治療装置
KR20160062279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KR101934737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50008689A (ko) 유방 단층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