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64978A -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978A
KR20160064978A KR1020150162559A KR20150162559A KR20160064978A KR 20160064978 A KR20160064978 A KR 20160064978A KR 1020150162559 A KR1020150162559 A KR 1020150162559A KR 20150162559 A KR20150162559 A KR 20150162559A KR 20160064978 A KR20160064978 A KR 2016006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observer
layer
light emitting
displa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6006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61B3/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표시부, 검출부, 및 제어부를 갖는 표시 시스템이고, 표시부는 가요성을 갖고, 검출부는 표시 시스템의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제어부는 검출 정보로부터 관찰자의 피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과 피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표시 시스템이다.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부는 이 곡면의 중심각이 20° 이상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MODULE,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특히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 이하에서 EL이라고도 함) 현상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기술 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 분야로서는,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축전 장치, 기억 장치, 전자 기기, 조명 장치, 입력 장치(예를 들어, 터치 센서 등), 입출력 장치(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 이들의 구동 방법, 또는 이들의 제조 방법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대형 표시 장치부터 휴대 전화 등의 소형 표시 장치까지 다양한 표시 장치가 시장에 보급되고 있다. 부가 가치가 더 높은 제품 중 하나로서, 더 임장감 있는 화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입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사람이 물체를 입체로서 인식하는 생리적 요인으로서는, 양안 시차, 폭주(convergence), 핀트 조절, 운동 시차, 상(像)의 크기, 공간적 배치(spatial layout), 콘트라스트, 음영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동일 화면에 왼쪽 눈의 위치에서 보이는 화상(왼쪽 눈용 화상)과 오른쪽 눈의 위치에서 보이는 화상(오른쪽 눈용 화상)을 표시하고, 관찰자는 왼쪽 눈으로 왼쪽 눈용 화상을, 오른쪽 눈으로 오른쪽 눈용 화상을 관찰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관찰한다.
예를 들어, 안경 방식이 사용되는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왼쪽 눈용 화상과 오른쪽 눈용 화상을, 안경에 제공된 셔터와 동기하여 화면에 교대로 표시하는 장치가 있다. 이로써, 관찰자는 왼쪽 눈으로 왼쪽 눈용 화상을, 오른쪽 눈으로 오른쪽 눈용 화상을 각각 관찰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관찰한다.
또한, 나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시차 배리어 방식이 사용되는 표시 장치는, 좌우로 배열된 복수의 왼쪽 눈용 영역과 오른쪽 눈용 영역(예를 들어, 스트립 라이크(strip-like) 영역)으로 화면이 분할되고, 그 경계와 중첩하여 시차 배리어가 제공된다. 분할된 화면에는, 왼쪽 눈용 화상과 오른쪽 눈용 화상이 동시에 표시된다. 시차 배리어는 오른쪽 눈용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왼쪽 눈에 보이지 않게 하고, 왼쪽 눈용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오른쪽 눈에 보이지 않게 한다. 이 결과, 왼쪽 눈은 왼쪽 눈용 화상만을 관찰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 눈용 화상만을 관찰하게 되어 입체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시차 배리어를 전환 가능하게 하여, 평면 화상의 표시 모드와 입체 화상의 표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EL 현상을 이용한 발광 소자가 알려져 있다. 이 발광 소자는 자발광(自發光)형이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높고,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이 발광 소자가 응용된 표시 장치로서, 소비 전력이 저감되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며 고정밀도화 및 기판의 대형화에 대응하기 쉬운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국제 공개 제 2004/003630호 일본국 특개 2011-238908호 공보
셔터를 이용한 안경 방식이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서는, 화면에서 왼쪽 눈용 화상과 오른쪽 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기 때문에, 1프레임 기간에 화소부에 화상을 기록하는 횟수가 이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증가된다. 따라서, 고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 회로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이 높아진다.
시차 배리어 방식이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부의 수평 방향에서 왼쪽 눈용 화상 및 오른쪽 눈용 화상 각각의 화상 표시에 기여하는 화소수가 실제의 화소수의 절반이 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화상의 표시가 방해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는, 왼쪽 눈용 화상 및 오른쪽 눈용 화상과 같은 양안 시차를 포함한 화상을 사용하지 않고 이차원 화상을 사용하여 관찰자가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 입체 화상을 보면, 관찰자가 안정(眼精) 피로, 불쾌감, 두통, 멀미 등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끼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끼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이들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과제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명세서, 도면, 청구항의 기재로부터 이들 외의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갖고, 곡면의 중심각이 20° 이상 90° 미만인 표시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서, 표시부의 정밀도가 220ppi 이상 2000ppi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표시부의 콘트라스트비가 1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 중 어느 것이 적용된 발광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의 장치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이다. 이들 장치는 각각 표시부에 포함되는 기능 소자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능 소자로서 표시 소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능 소자로서 발광 소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입출력 장치는, 기능 소자로서 발광 소자 또는 표시 소자, 및 터치 센서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구성 중 어느 것이 적용된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및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갖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부, 검출부, 및 제어부를 갖는 표시 시스템이고, 표시부는 가요성을 갖고, 검출부는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검출 정보를 제어부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제어부는 검출 정보로부터 관찰자의 피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과 피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표시 시스템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 중 어느 것이 포함된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한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구성 중 어느 것이 포함된 발광 장치, 표시 장치, 입출력 장치, 모듈, 또는 표시 시스템과 안테나, 배터리, 하우징,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작 스위치, 또는 조작 버튼을 갖는 전자 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기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효과 모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명세서, 도면, 청구항의 기재로부터 이들 외의 효과가 추출될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중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표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발광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발광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발광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발광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입출력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입출력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입출력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입출력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실시예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실시예 1의 감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실시예 1의 감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실시예 1의 감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실시예 1의 감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실시예 1의 감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실시예 1의 감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실시예 2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실시예 2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서, 동일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상이한 도면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해치 패턴을 동일하게 하고, 특별히 부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의 위치, 크기, 범위 등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실제의 위치, 크기, 범위 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재하는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 크기, 범위 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이라는 말과 "층"이라는 말은 경우 또는 상황에 따라 서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이라는 용어를 "도전막"이라는 용어로 바꿀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절연막"이라는 용어를 "절연층"이라는 용어로 바꿀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도 1~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장치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발광 장치 및 입출력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에서 시차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현상(natural3D(등록 상표), n3D(등록 상표))이 확인되는 경우가 있다.
표시부가 평활(平滑)한 경우에 비하여, 휘어져 있는 경우(만곡되어 있는 경우)에, 관찰자는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표시부는, 좌우 방향으로 휘어져 있어도 좋고, 상하 방향으로 휘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부는 표시면 측(또는 관찰자 측)에 볼록면(볼록곡면)을 가져도 좋고, 표시면 측에 오목면(오목곡면)을 가져도 좋다.
표시부는, 가요성을 가져도 좋고, 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 휠 수 있어도 좋고, 상하 방향으로 휠 수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부는 표시면 측에 볼록면을 가질 수 있어도 좋고, 표시면 측에 오목면을 가질 수 있어도 좋다. 표시부가 가요성을 갖는 경우, 표시부를 휘지 않는 상태(표시부가 평활한 상태)에서 표시를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끼고 싶을 때는, 표시부가 곡면을 갖도록 휘어서 사용하고, 표시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낄 필요가 없을 때는, 표시부를 평활한 상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제어는 관찰자 자신이 수행하는 방법, 및 표시 장치 또는 표시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화상의 재생 중에 휠 수 있어도 좋다. 또는, 화상의 재생 중에는 표시부의 형상이 일정하고, 화상을 재생하지 않을 때에 표시부를 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의 (A2), (B2), (C2), 및 (D2) 각각에서 관찰자(오른쪽 눈(30R) 및 왼쪽 눈(30L)) 측에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A1) 및 (A2)에 도시된 표시 장치(110)는, 표시부(101) 및 비(非)표시부(102)를 갖는다. 표시부(101)는 좌우 방향(여기서는, 표시부(101)의 장축(長軸)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볼록면(볼록곡면)을 갖는다.
도 1의 (B1) 및 (B2)에 도시된 표시 장치(111)는, 표시부(101) 및 비표시부(102)를 갖는다. 표시부(101)는, 좌우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오목면(오목곡면)을 갖는다.
도 1의 (C1) 및 (C2)에 도시된 표시 장치(112)는, 표시부(101) 및 비표시부(102)를 갖는다. 표시부(101)는 상하 방향(여기서는, 표시부(101)의 단축(短軸)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볼록면을 갖는다.
도 1의 (D1) 및 (D2)에 도시된 표시 장치(113)는, 표시부(101) 및 비표시부(102)를 갖는다. 표시부(101)는 상하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오목면을 갖는다.
도 1의 (A1), (B1), (C1), 및 (D1) 중 어느 구성이어도,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휘는 것이 더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면에 비하여, 볼록면을 관찰자 측에 갖는 것이 더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갖고, 곡면의 중심각이 20° 이상 145° 이하인 표시 장치이다. 관찰자는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갖고, 곡면의 중심각이 20° 이상 90° 미만인 표시 장치이다. 중심각은 25° 이상 65°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이상 55°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관찰자는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관찰자는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낀 경우에도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다.
도 2의 (A) 및 (B)를 사용하여 곡면의 중심각을 설명한다. 도 2의 (A)에는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볼록면을 갖는 경우의 중심각을 도시하고, 도 2의 (B)에는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오목면을 갖는 경우의 중심각을 도시하였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곡면을 갖는다. 본 명세서 등에서, 곡면의 중심각이란, 곡면이 그리는 활 모양에 대한 중심각 θ를 말한다. 또한, 표시 장치, 표시부, 또는 곡면이 원의 일부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들의 형상과 가장 근사한 형상을 갖는 호(弧)의 중심각 θ를 곡면의 중심각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2의 (A)의 오른쪽에 있는 틀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의 중심각이 클수록 곡률 반경이 작다, 즉 곡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곡면의 중심각이 지나치게 크면, 관찰자는 피로감을 느끼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고, 곡면의 중심각이 지나치게 작으면,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끼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중심각은 45°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도 3의 (A1) 및 (A2)에 도시된 표시 장치(11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부(101)를 가져도 좋다. 표시부(101)는 좌우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표시면 측에 볼록면 및 오목면을 갖는다.
도 3의 (B)에 도시된 표시 장치(115)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밴드 라인(bend line)이 표시 장치 또는 표시부의 변에 대하여 평행 또는 수직이 아니어도 되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휘어져 있어도 좋다.
다음에,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느끼는 입체감을, 주관 평가 실험으로 조사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험의 피험자는 10명 이상이다.
예를 들어, 고정밀도의 표시부를 사용하면,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의 정밀도가 220ppi 이상이면,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관찰자가 느낄 수 있는 입체감과 정밀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실험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3.93인치, 정밀도가 458ppi인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였다. 시거리는 30cm이고, 실험 환경은 어두운 곳이다. 실험에 의하여, 정밀도가 114.5ppi인 동영상을 관찰한 경우와 정밀도가 229ppi인 동영상을 관찰한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의 경우에, 화상에 대하여 느낄 수 있는 입체감이 더 강하였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정밀도가 229ppi인 동영상을 관찰한 경우와 정밀도가 458ppi인 동영상을 관찰한 경우를 비교하면, 화상에 대하여 느낄 수 있는 입체감은 같은 정도인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화상의 정밀도가 충분히 높으면,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의 정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화상에 대하여 느낄 수 있는 입체감이 강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부의 정밀도는 220ppi 이상 2000ppi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따라서는 정밀도가 2000ppi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시력이 1.0인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각(角)해상도가 20cpd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30cpd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고, 60cpd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라스트가 높은 표시부를 사용하면,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의 콘트라스트비가 1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찰에 사용한 표시 장치에서의 흑색의 휘도를 가장 낮은 값으로부터 높은 값으로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관찰자가 화상에 대하여 느낄 수 있는 입체감이 약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로부터,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높을수록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표시 장치에서, 표시부를 휘는 정도가 일정하면,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마다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끼는 정도가 상이하고, 표시부를 휘는 적절한 범위에 개인차가 있는 경우가 있다. 표시부를 휘는 정도가 관찰자에게 적절하지 않으면, 표시부를 관찰하여도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반대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이 지나치게 강하면 뇌 및 눈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져 관찰자의 피로감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에 따라, 관찰자가 느낄 수 있는 입체감 또는 깊이감의 강약(强弱)이 의도하지 않게 변화되거나, 또는 변화시키려고 하여도 변화를 줄 수 없는 경우 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가변(可變)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관찰자가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게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피로감의 정도에 따라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에 따라,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입체감 또는 깊이감의 강약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의 강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다.
도 4의 (A)~(C)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다. 도 4의 (A)는 표시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4의 (B)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의 (C)는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C)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101) 및 비표시부(102), 및 복수의 구동부(104)를 포함한다. 구동부(104)는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조체(20)에 장착된 구동부(104)의 길이 또는 위치에 따라 표시부(101)를 휘는 정도 또는 방향 등을 조정할 수 있다. 구동부(104)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체(20)의 표면 위를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어도 좋다. 또한, 구조체(20)의 표면과 수직인 방향의 길이가 가변이어도 좋다. 표시부(101) 또는 비표시부(102)와 구동부(104)와의 접점이 이동하여도 좋다.
구동부의 개수는 불문한다. 구동부가 복수 있는 경우, 이 복수의 구동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거나, 또는 일부 또는 모두가 동기하여 구동한다.
또한, 구동부(104)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에 장착되어도 좋고,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벽면 또는 바닥면에 장착되어도 좋다. 즉, 구조체(20)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 5의 (A)에 도시하였다.
도 5의 (A)에 도시된 표시 시스템(15)은 표시부(151), 검출부(152), 및 제어부(153)를 갖는다.
표시부(151)는 가요성을 갖는다. 표시부(151)는 휜 상태에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각이 20° 이상 145° 이하의 범위인 곡면을 표시부(151)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1)가 평활한 상태에서 표시 시스템(15)을 사용할 수 있다.
검출부(152)는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검출 정보를 제어부(153)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검출부(152)는 검출기와 컨트롤러를 갖는다.
검출기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된다. 검출기는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하여, 그 눈의 상태의 정보(검출 정보)를 컨트롤러에 출력할 수 있다.
관찰자의 눈의 상태에는, 관찰자의 안구의 움직임, 안구를 구성하는 부분(눈알의 흰자위, 홍채, 동공 등)의 색깔 또는 형상, 또는 눈꺼풀의 움직임 등이 포함된다.
검출기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관찰자의 안구의 영상을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영상을 검출 정보로서 컨트롤러에 출력한다.
검출기는, 예를 들어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과, 관찰자의 안구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부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적외선을 사용하면, 관찰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정밀하게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52)는 표시부를 관찰하고 있을 때의 관찰자의 초점 거리 또는 시선의 방향 등을 검출하여도 좋다.
컨트롤러는 검출기로부터 공급된 검출 정보를 제어부(153)에 공급한다.
제어부(153)는 검출 정보로부터 관찰자의 피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과, 피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는 곡률, 곡률 반경, 또는 곡면의 중심각, 또는 표시부(151)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3)는 기억부(161), 연산부(162), 및 구동 제어부(163)를 갖는다.
기억부(161)에는, 검출부(152)로부터 검출 정보가 공급된다. 기억부(161)는 검출 정보, 연산부(162)가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룩업 테이블, 또는 연산 결과 등을 기억하는 각종 기억 회로를 갖는다.
기억부(161)는 예를 들어, 연산부(162)의 처리를 규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피로 상태에 의거하여 표시부(151)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51)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정도, 피로 상태의 검출 빈도, 피로 상태의 판정의 임계값 등을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의 정보는 표시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산부(162)에는, 기억부(161)로부터 검출 정보가 공급된다. 연산부(162)는 공급된 검출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연산부(162)는 검출 정보로부터 관찰자의 피로 정보를 추출하여, 이 피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를 변화시키도록 구동 제어부(163)의 동작을 제어한다.
관찰자의 피로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관찰자의 주시 기간의 길이, 소정 시간당의 눈 깜박임의 횟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안구의 진동(안진(眼振), 안구 진탕(
Figure pat00001
)이라고도 함)의 진폭 또는 진동수, 안구의 충혈의 정도, 동공의 면적, 또는 눈꺼풀 등의 경련의 빈도 등을 피로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가 장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눈꺼풀을 닫는 동작, 또는 손가락 등으로 눈을 누르는 동작 등, 피로감으로 인해 생리적으로 하게 되기 쉬운 동작, 또는 그 빈도를 피로 정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산부(162)는 검출 정보에 포함되는 이와 같은 피로 정보를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또한, 연산부(162)는 기억부(161)에 기억된 연산부(162)의 처리를 규정하기 위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어도 좋다. 이 때, 이들 정보와 검출 정보로부터 추출된 피로 정보 모두에 의거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산부(162)가 추출하는 피로 정보는 관찰자의 피로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레벨(피로 레벨)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각 피로 레벨에 대응하여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피로감이 경미한 경우보다 심각한 경우에, 중심각이 더 작게 되도록("곡률 반경이 커진다", 또는 "곡률이 작아진다"라고도 함) 한다.
또한, 관찰자의 피로 상태가 일정한 기간 계속된 경우에, 단계적으로 피로 레벨을 갱신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피로가 개선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한 기간 계속된 경우에 중심각이 더 작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찰자의 피로 레벨, 또는 피로 상태가 계속되는 기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보정이 강해지도록 동작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여도 관찰자의 피로감이 축적되는 것을 완화하거나, 게다가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로부터 피로감이 검출된 경우에,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과 함께, 관찰자가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려도 좋다. 예를 들어, 표시부(151)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로부터 소리를 내는 등에 의하여, 관찰자가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관찰자에게 표시 장치의 사용의 휴지 등을 촉구할 수 있어, 안정 피로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63)에는 연산부(162)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이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51)를 직접 움직여도 좋고, 도 4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부를 움직임으로써 간접적으로 표시부(151)를 움직여도 좋다.
표시 시스템(15)의 동작에 따른 절차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표시부(151)에서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검출부(152)가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정보를 취득한다. 검출부(152)는 표시부(151)가 표시를 행하는 기간 내에, 계속하여 검출을 수행하거나, 일정한 시간마다 검출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152)는 검출 정보를 제어부(153)에 공급한다.
제어부(153)는 검출 정보로부터 피로 정보를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제어부(153)는 피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151)의 곡률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부(151)의 곡률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53)는 표시부(151)의 곡률을 변화시킨다.
또한, 제어부(153)는 검출부(152)가 검출한 정보 외의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 또는 방향 등을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내용에 따라, 표시부(151)를 휘는 정도 또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더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동체가 관찰자 측에 다가오는 듯한 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관찰자 측에 볼록면을 갖도록 표시부(151)를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53)에는, 표시부(151)에서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어도 좋다. 연산부(162)는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화상 데이터의 해석으로서는 스펙트럼 해석(내용 분석 등), 퍼짐 또는 움직임의 검출(줌인·줌아웃, 팬 틸트(팬닝), 동작 속도, 동작 방향 등의 검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연산부(162)에 음성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모두의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데이터의 해석으로서는, 스펙트럼 해석(내용 분석 등), 음원 분석, 음악 또는 사람의 목소리 등의 분리 추출 등을 들 수 있다.
감성 평가의 결과(입체감, 피로감 등) 등의 데이터가 연산부(162)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이들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어떤 곡면을 갖는 표시부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을 느끼기 쉬운지 사전의 감성 평가에서 알아봐 둔다. 각 사용자는 표시 시스템을 사용할 때에, 감성 평가에서 나온 자신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러면, 연산부(162)에서 상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가 연산부(162)로부터 제어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곡면이 되도록 구동 제어부가 표시부를 변형시킨다.
또한, 관찰자가 입체감의 강약, 유무, 또는 표시부를 휘는 정도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선택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153)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산부(162)에서는, 상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도 좋다.
<표시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면 형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화상은 정지 화상 및 동영상(영상)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표시부는 곡면을 갖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가 가요성을 가지면, 곡면의 형상 또는 곡률 등을 가변으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표시부는, 표시 소자를 가져도 좋다. 표시부가 갖는 표시 소자, 또는 표시부의 일례로서는, EL 소자(유기물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EL 소자, 유기 EL 소자, 무기 EL 소자), LED(백색 LED, 적색 LED, 녹색 LED, 청색 LED 등), 트랜지스터(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트랜지스터), 전자 방출 소자, 액정 소자, 전자 잉크, 전기 영동 소자,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를 사용한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EL 소자를 사용한 표시부의 일례로서는 EL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액정 소자를 사용한 표시부의 일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직시형 액정 디스플레이,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잉크 또는 전기 영동 소자를 사용한 표시부의 일례로서는, 전자 페이퍼 등이 있다.
또한, 표시부가 액정 디스플레이인 경우보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경우에 관찰자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더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특히 가요성을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는 예를 들어, FHD(1920×1080), 4K2K(3840×2048 또는 4096×2180 등), 또는 8K4K(7680×4320 또는 8192×4320 등)와 같은 높은 해상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가 갖는 비표시부는 예를 들어, 표시 소자 또는 발광 소자의 구동 회로 또는 밀봉 영역을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어뮤즈먼트 시설(놀이공원, 오락실, 테마파크 등), 극장 또는 영화관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트랙션(attraction)의 내용에 따라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 곡면을 가짐으로써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인차 또는 표시 내용에 상관없이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관찰자에게 적합한 곡률이 되도록 관찰자 또는 표시 시스템에 의하여 표시부를 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휘는 정도가 관찰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표시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관찰자에 주는 피로감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발광 장치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발광 장치를 휘었을 때, 발광 장치에서의 곡률 반경의 최소값은 1mm 이상 150mm 이하, 1mm 이상 100mm 이하, 1mm 이상 50mm 이하, 1mm 이상 10mm 이하, 또는 2mm 이상 5mm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작은 곡률 반경(예를 들어, 2mm 이상 5mm 이하)으로 휘어도 소자가 파괴되지 않고, 신뢰성이 높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를 휘는 방향은 불문한다. 또한, 휘는 개소는 1군데라도 좋고, 2군데 이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다.
<구체적인 예 1>
도 6의 (A)는 발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를 일점 쇄선 D1-D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의 일례이다. 구체적인 예 1에서 설명하는 발광 장치는 컬러 필터 방식을 사용한 톱 이미션형 발광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광 장치는 예를 들어, R(적색), G(녹색), B(청색)의 3가지 색깔의 부화소로 하나의 색깔을 표현하는 구성, R, G, B, W(백색)의 4가지 색깔의 부화소로 하나의 색깔을 표현하는 구성, 또는 R, G, B, Y(황색)의 4가지 색깔의 부화소로 하나의 색깔을 표현하는 구성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색 요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RGBWY 외의 색깔을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어 시안 또는 마젠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발광부(804), 구동 회로부(806), 및 FPC(808)를 갖는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제 1 기능층(복수의 트랜지스터, 도전층(857), 절연층(815), 절연층(817),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절연층(821)), 제 3 접착층(822), 제 2 기능층(착색층(845) 및 차광층(847)), 제 2 절연층(715),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을 갖는다. 제 3 접착층(822), 제 2 절연층(715),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은 가시광을 투과한다. 발광부(804) 및 구동 회로부(806)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 및 트랜지스터는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2 가요성 기판(711), 및 제 3 접착층(822)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발광부(804)는 제 1 접착층(703) 및 제 1 절연층(705)을 개재(介在)하여 제 1 가요성 기판(701) 위에 트랜지스터(820) 및 발광 소자(830)를 갖는다. 발광 소자(830)는, 절연층(817) 위의 하부 전극(831)과, 하부 전극(831) 위의 EL층(833)과, EL층(833) 위의 상부 전극(835)을 갖는다. 하부 전극(831)은, 트랜지스터(82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부 전극(831)의 단부는 절연층(821)으로 덮여 있다. 하부 전극(831)은, 가시광을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835)은, 가시광을 투과한다.
또한, 발광부(804)는, 발광 소자(830)와 중첩되는 착색층(845), 및 절연층(821)과 중첩되는 차광층(847)을 갖는다. 발광 소자(830)와 착색층(845) 사이는 제 3 접착층(822)으로 충전되어 있다.
절연층(815)은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반도체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절연층(817)은, 트랜지스터에 기인한 표면 요철을 저감하기 위하여 평탄화 기능을 갖는 절연층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회로부(806)는, 제 1 접착층(703) 및 제 1 절연층(705)을 개재하여 제 1 가요성 기판(701) 위에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도 6의 (B)에서는, 구동 회로부(806)가 갖는 트랜지스터 중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도시하였다.
제 1 절연층(705)과 제 1 가요성 기판(701)은 제 1 접착층(703)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절연층(715)과 제 2 가요성 기판(711)은 제 2 접착층(713)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제 1 절연층(705) 및 제 2 절연층(715) 중 적어도 한쪽에 방습성이 높은 막을 사용하면, 발광 소자(830) 및 트랜지스터(820)에 물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전층(857)은 구동 회로부(806)에 외부로부터의 신호 또는 전위를 전달하는 외부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는, 외부 입력 단자로서 FPC(808)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공정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층(857)은 발광부 및 구동 회로부에 사용하는 전극 또는 배선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도전층(857)을 트랜지스터(820)를 구성하는 전극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에서는, FPC(808)가 제 2 가요성 기판(711) 위에 위치한다. 접속체(825)는, 제 2 가요성 기판(711), 제 2 접착층(713), 제 2 절연층(715), 제 3 접착층(822), 절연층(817), 및 절연층(815)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도전층(857)과 접속된다. 또한, 접속체(825)는 FPC(808)에 접속된다. 접속체(825)를 통하여 FPC(808)와 도전층(857)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전층(857)과 제 2 가요성 기판(711)이 중첩되는 경우에는, 제 2 가요성 기판(711)을 개구함으로써(또는 개구부를 갖는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도전층(857), 접속체(825), 및 FPC(808)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도 7의 (A)는 발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를 일점 쇄선 D3-D4를 따라 자른 단면도의 일례이다. 또한, 도 8의 (A)는 도 7의 (A)를 일점 쇄선 D5-D6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제 1 가요성 기판(701)과 제 2 가요성 기판(711)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의 예이다. FPC(808)는 제 2 절연층(715) 위에 위치하고, 제 2 가요성 기판(711)과 중첩되지 않는다. 접속체(825)는, 제 2 절연층(715), 제 3 접착층(822), 절연층(817), 및 절연층(815)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도전층(857)과 접속된다. 제 2 가요성 기판(711)에 개구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가요성 기판(711)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스 배리어성 또는 방습성이 낮은 유기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은, 발광 장치의 단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장치의 단부에 절연층(817)을 제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발광부(804)의 변형예를 도 8의 (B)에 도시하였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절연층(817a) 및 절연층(817b)을 갖고, 절연층(817a) 위에 도전층(856)을 갖는다. 트랜지스터(82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발광 소자(830)의 하부 전극이 도전층(856)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절연층(821) 위에 스페이서(823)를 갖는다. 스페이서(823)를 제공함으로써, 제 1 가요성 기판(701)과 제 2 가요성 기판(71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착색층(845) 및 차광층(847)을 덮는 오버코트(849)를 갖는다. 발광 소자(830)와 오버코트(849) 사이는 접착층(822)으로 충전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830)의 변형예를 도 8의 (C)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830)는 하부 전극(831)과 EL층(833) 사이에 광학 조정층(832)을 가져도 좋다. 광학 조정층(832)에는,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필터(착색층)와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광학 조정층)를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로부터 색 순도가 높은 광을 추출할 수 있다. 광학 조정층의 두께는 각 부화소의 발광색에 따라 변화시킨다.
<구체적인 예 2>
도 8의 (D)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제 1 기능층(도전층(814), 도전층(857a), 도전층(857b), 발광 소자(830), 및 절연층(821)),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을 갖는다.
도전층(857a) 및 도전층(857b)은, 발광 장치의 외부 접속 전극이고, FPC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발광 소자(830)는, 하부 전극(831), EL층(833), 및 상부 전극(835)을 갖는다. 하부 전극(831)의 단부는, 절연층(821)으로 덮여 있다. 발광 소자(830)는, 보텀 이미션형, 톱 이미션형, 또는 듀얼 이미션형이다. 광이 추출되는 측의 전극, 기판, 절연층 등 각각은 가시광을 투과한다. 도전층(814)은 하부 전극(8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광이 추출되는 측의 기판은, 광 추출 구조로서, 반구 렌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요철 구조가 제공된 필름, 광 확산 필름 등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어, 수지 기판 위에 상기 렌즈 또는 필름을, 상기 기판, 상기 렌즈, 또는 필름과 동일한 정도의 굴절률을 갖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함으로써, 광 추출 구조를 갖는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층(814)은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지만, 하부 전극(831)의 저항으로 인하여 전압이 강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목적으로 상부 전극(83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층을 절연층(821) 위, EL층(833) 위, 또는 상부 전극(835) 위 등에 제공하여도 좋다.
도전층(814)은, 구리, 타이타늄, 탄탈럼, 텅스텐, 몰리브데넘, 크로뮴, 네오디뮴, 스칸듐, 니켈,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된 재료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재료 등을 사용하여 단층 또는 적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전층(814)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μm 이상 3μm 이하로 할 수 있고, 0.1μm 이상 0.5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 3>
도 7의 (A)는 발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의 (A)는 도 7의 (A)를 일점 쇄선 D3-D4를 따라 자른 단면도의 일례이다. 구체적인 예 3에서 설명하는 발광 장치는, 컬러 필터 방식을 사용한 보텀 이미션형 발광 장치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제 1 기능층(복수의 트랜지스터, 도전층(857), 절연층(815), 착색층(845), 절연층(817a), 절연층(817b), 도전층(856),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절연층(821)),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을 갖는다.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절연층(815), 절연층(817a), 및 절연층(817b)은 가시광을 투과한다.
발광부(804)는, 제 1 접착층(703) 및 제 1 절연층(705)을 개재하여 제 1 가요성 기판(701) 위에 트랜지스터(820), 트랜지스터(824), 및 발광 소자(830)를 갖는다. 발광 소자(830)는, 절연층(817b) 위의 하부 전극(831), 하부 전극(831) 위의 EL층(833), 및 EL층(833) 위의 상부 전극(835)을 갖는다. 하부 전극(831)은, 트랜지스터(82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부 전극(831)의 단부는, 절연층(821)으로 덮여 있다. 상부 전극(835)은 가시광을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전극(831)은 가시광을 투과한다. 발광 소자(830)와 중첩되는 착색층(845)을 제공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절연층(817a)과 절연층(817b) 사이, 또는 절연층(815)과 절연층(817a) 사이 등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806)는, 제 1 접착층(703) 및 제 1 절연층(705)을 개재하여 제 1 가요성 기판(701) 위에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도 9의 (A)에서는, 구동 회로부(806)가 갖는 트랜지스터 중, 2개의 트랜지스터를 도시하였다.
제 1 절연층(705)과 제 1 가요성 기판(701)은 제 1 접착층(703)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제 1 절연층(705)에 방습성이 높은 막을 사용하면, 발광 소자(830), 트랜지스터(820), 또는 트랜지스터(824)에 물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전층(857)은, 구동 회로부(806)에 외부로부터의 신호 또는 전위를 전달하는 외부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는, 외부 입력 단자로서 FPC(808)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여기서는 도전층(857)을 도전층(856)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한 예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인 예 4>
도 7의 (A)는 발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7의 (A)를 일점 쇄선 D3-D4를 따라 자른 단면도의 일례이다. 구체적인 예 4에서 설명하는 발광 장치는 독립 화소 방식(separate coloring method)을 사용한 톱 이미션형 발광 장치이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는,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제 1 기능층(복수의 트랜지스터, 도전층(857), 절연층(815), 절연층(817), 복수의 발광 소자, 절연층(821), 및 스페이서(823)),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을 갖는다.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은 가시광을 투과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에서는, 접속체(825)가 절연층(815) 위에 위치한다. 접속체(825)는 절연층(815)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도전층(857)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체(825)는 FPC(808)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체(825)를 통하여 FPC(808)와 도전층(857)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재료의 일례>
다음에, 발광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 등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기판에는 유리, 석영, 유기 수지, 금속, 합금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추출되는 측의 기판은 이 광을 투과하는 재료를 사용한다.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기 수지, 또는 가요성을 가질 정도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금속, 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기판의 두께는 1μm 이상 2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μm 이상 10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μm 이상 5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μm 이상 25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 수지는 유리에 비하여 비중이 작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에 유기 수지를 사용하면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발광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기판에는, 인성(靭性)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파손되기 어려운 발광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수지 기판, 또는 두께가 얇은 금속 기판 또는 합금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량이며 파손되기 어려운 발광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금속 재료 및 합금 재료 각각은 열 전도성이 높아, 기판 전체에 열을 용이하게 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장치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금속 재료 또는 합금 재료를 사용한 기판의 두께는, 10μm 이상 2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μm 이상 5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금속 기판 및 합금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의 합금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에 열 방사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면 발광 장치의 표면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발광 장치가 파괴되거나 또는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을 금속 기판과 열 방사율이 높은 층(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또는 세라믹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의 적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가요성 및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터설폰(PES)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나일론, 아라미드 등),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선 팽창 계수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PET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체에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기판(프리프레그라고도 함)이나, 무기 필러(filler)를 유기 수지에 섞어서 선 팽창 계수를 낮춘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요성 기판으로서는, 상기 재료를 사용한 층이, 장치의 표면을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하드 코트층(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층 등), 또는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재질의 층(예를 들어, 아라미드 수지층 등) 등과 적층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가요성 기판은, 복수의 층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유리층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물 또는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이 향상되어 신뢰성이 높은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유리층, 접착층, 및 유기 수지층을 적층한 가요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층의 두께는 2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μm 이상 100μ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유리층은, 물 또는 산소에 대한 높은 배리어성과 가요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수지층의 두께는 1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50μ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은 유기 수지층을 제공함으로써, 유리층의 깨짐 또는 크랙을 억제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리 재료와 유기 수지의 복합 재료를 기판에 적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매우 높은 플렉시블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접착층에는, 자외선 경화형 등의 광 경화형 접착제, 반응 경화형 접착제, 열 경화형 접착제, 혐기형 접착제 등 각종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로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silicone)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미드 수지, PVC(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 수지, PVB(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 EVA(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 등의 투습성(透濕性)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2액 혼합형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 시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에 건조제가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산화 칼슘 또는 산화 바륨 등)과 같이, 화학 흡착에 의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 또는 실리카 겔 등과 같이 물리 흡착에 의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건조제가 포함되면, 수분 등의 불순물이 기능 소자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에 굴절률이 높은 필러 또는 광 산란 부재를 혼합시킴으로써,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타이타늄, 산화 바륨, 제올라이트, 지르코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절연층(705) 및 제 2 절연층(715)으로서는, 각각 방습성이 높은 절연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 1 절연층(705) 및 제 2 절연층(715) 각각은 발광 소자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습성이 높은 절연막으로서는, 질화 실리콘막, 질화 산화 실리콘막 등의 질소와 실리콘을 포함하는 막, 또는 질화 알루미늄막 등의 질소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산화 알루미늄막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방습성이 높은 절연막의 수증기 투과량은 1×10-5[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6[g/(m2·day)]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7[g/(m2·day)]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8[g/(m2·day)] 이하로 한다.
발광 장치에서, 제 1 절연층(705) 및 제 2 절연층(715) 중 적어도 한쪽은, 발광 소자의 발광을 투과할 필요가 있다. 제 1 절연층(705) 또는 제 2 절연층(715) 중 발광 소자의 발광을 투과하는 측의 절연층은, 다른 측의 절연층보다도 파장 400nm 이상 800nm 이하에서의 광의 투과율의 평균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장치가 갖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태거형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고, 역 스태거형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톱 게이트형 또는 보텀 게이트형 중 어느 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 저마늄, 유기 반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In-Ga-Zn계 금속 산화물 등의 인듐, 갈륨,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의 결정성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정질 반도체, 결정성을 갖는 반도체(미결정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단결정 반도체, 또는 일부에 결정 영역을 갖는 반도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결정성을 갖는 반도체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로서 CAAC-OS(C Axis 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AC-OS는 비정질과는 상이하고, 결함 준위가 적어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CAAC-OS는 결정 입계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안정적이며 균일한 막을 대면적에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발광 장치를 휘었을 때의 응력에 의하여 크랙이 CAAC-OS막에 생기기 어렵다.
CAAC-OS는 막 면에 대하여 결정의 c축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결정성 산화물 반도체를 말한다. CAAC-OS 외에, 산화물 반도체의 결정 구조로서는 나노 스케일의 미결정 집합체인 nano-crystal(nc) 등, 단결정과는 상이한 다양한 구조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CAAC-OS는 단결정보다도 결정성이 낮으며 nc보다 결정성이 높다.
트랜지스터 특성의 안정화 등을 위하여 하지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막은 산화 실리콘막, 질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질화 산화 실리콘막 등의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여 단층 또는 적층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막은 스퍼터링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플라즈마 CVD법, 열 CVD법, MOCVD(Metal Organic CVD)법 등),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 도포법, 인쇄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지막은 불필요하면 제공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 제 1 절연층(705)이 트랜지스터의 하지막을 겸할 수 있다.
발광 소자로서는, 자발광이 가능한 소자를 사용할 수 있고, 전류 또는 전압으로 휘도가 제어되는 소자를 그 범주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소자, 또는 무기 EL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톱 이미션형, 보텀 이미션형, 듀얼 이미션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광을 추출하는 측의 전극에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도전막을 사용한다. 또한, 광을 추출하지 않는 측의 전극에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을 투과하는 도전막은 예를 들어,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ZnO), 또는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 은, 백금, 마그네슘,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팔라듐, 또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재료, 이들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이들 금속 재료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등도 투광성을 가질 정도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막을 도전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ITO의 적층막 등을 사용하면, 도전성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그래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백금, 은,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재료 또는 합금에 란타넘, 네오디뮴, 또는 저마늄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알루미늄과 타이타늄의 합금, 알루미늄과 니켈의 합금, 알루미늄과 네오디뮴의 합금, 알루미늄과 니켈과 란타넘의 합금(Al-Ni-La) 등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알루미늄 합금), 은과 구리의 합금, 은과 팔라듐과 구리의 합금(Ag-Pd-Cu, APC라고도 함), 또는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 등의 은을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은과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은,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막에 접촉하는 금속막 또는 금속 산화물막을 적층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막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막, 금속 산화물막의 재료로서는, 타이타늄, 산화 타이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을 투과하는 도전막과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을 적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은과 ITO의 적층막,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ITO의 적층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은 각각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잉크젯법 등의 토출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 또는 도금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전극(831) 및 상부 전극(835) 사이에, 발광 소자의 문턱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EL층(833)에 양극 측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 측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L층(833)에서 재결합하여 EL층(833)에 포함되는 발광 물질이 발광한다.
EL층(833)은 적어도 발광층을 갖는다. EL층(833)은, 발광층 외의 층으로서,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정공 블록 재료,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 또는 양극(bipolar)성 물질(전자 수송성 및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등을 포함하는 층을 더 가져도 좋다.
EL층(833)에는, 저분자계 화합물 및 고분자계 화합물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EL층(833)을 구성하는 층은 각각 증착법(진공 증착법을 포함함), 전사(轉寫)법, 인쇄법, 잉크젯법, 도포법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830)는 2개 이상의 발광 물질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로써, 예를 들어 백색 발광의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발광 물질 각각의 발광이 보색의 관계가 되도록 발광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적색), G(녹색), B(청색), Y(황색), 또는 O(주황색) 등의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 또는 R, G, B 중 2개 이상의 색깔의 스펙트럼 성분을 포함하는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과 황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때, 황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의 발광 스펙트럼은, 녹색 및 적색의 스펙트럼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소자(830)의 발광 스펙트럼은, 가시 영역(예를 들어 350nm 이상 750nm 이하, 또는 400nm 이상 800nm 이하 등)의 범위 내에 피크를 2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EL층(833)은, 복수의 발광층을 가져도 좋다. EL층(833)에서 복수의 발광층은 서로 접촉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형광 발광층과 인광 발광층 사이에 분리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분리층은 예를 들어, 인광 발광층 내에서 생성되는 들뜬 상태의 인광 재료로부터 형광 발광층 내의 형광 재료 등으로 덱스터 기구(Dexter Mechanism)에 의하여 에너지가 이동되는 것(특히 삼중항 에너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분리층은 수 n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1nm 이상 20nm 이하, 또는 1nm 이상 10nm 이하, 또는 1nm 이상 5nm 이하이다. 분리층은 단일 재료(바람직하게는 양극성 물질), 또는 복수의 재료(바람직하게는 정공 수송성 재료 및 전자 수송성 재료)를 포함한다.
분리층은, 이 분리층과 접촉하는 발광층에 포함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로써, 발광 소자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또한 구동 전압이 저감된다. 예를 들어, 인광 발광층이 호스트 재료, 어시스트 재료, 및 인광 재료(게스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분리층을 상기 호스트 재료 및 어시스트 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구성을 바꿔 말하면, 분리층은 인광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갖고, 인광 발광층은 인광 재료를 포함하는 영역을 갖는다. 이로써, 분리층과 인광 발광층을 인광 재료의 유무에 따라 증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리층과 인광 발광층을 같은 체임버에서 성막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830)는 하나의 EL층을 갖는 싱글 소자이어도 좋고, 전하 발생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복수의 EL층을 갖는 탠덤 소자이어도 좋다.
발광 소자는, 방습성이 높은 한 쌍의 절연막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광 소자에 물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절연층(705) 및 제 2 절연층(715)으로서, 방습성이 높은 절연막을 사용하면, 발광 소자가 방습성이 높은 한 쌍의 절연막 사이에 위치되어,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층(815)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산화 알루미늄막 등의 무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817), 절연층(817a), 및 절연층(817b)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아마이드, 벤조사이클로뷰텐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유전율 재료(low-k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연막을 적층시킴으로써, 각 절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절연층(821)으로서는, 유기 절연 재료 또는 무기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감광성의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하부 전극(831) 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의 측벽이 연속된 곡률을 갖는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821)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법, 스퍼터링법, 증착법, 액적 토출법(잉크젯법 등), 인쇄법(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823)는, 무기 절연 재료, 유기 절연 재료, 또는 금속 재료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절연 재료 또는 유기 절연 재료로서는, 상기 절연층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재료를 들 수 있다. 금속 재료로서는, 타이타늄,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스페이서(823)와 상부 전극(835)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부 전극(835)의 저항으로 인하여 전위가 강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823)는 순 테이퍼 형상 및 역 테이퍼 형상 중 어느 쪽을 가져도 좋다.
트랜지스터의 전극 또는 배선, 또는 발광 소자의 보조 전극 등으로서 기능하는, 발광 장치에 사용하는 도전층은, 예를 들어 몰리브데넘, 타이타늄, 크로뮴, 탄탈럼,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네오디뮴, 스칸듐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하여, 단층 또는 적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은 도전성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 인듐(In2O3 등), 산화 주석(SnO2 등), ZnO,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2O3-ZnO 등) 또는 이들 금속 산화물 재료에 산화 실리콘이 포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층은 특정한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유색층이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또는 황색의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착색층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인쇄법, 잉크젯법, 또는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한 에칭법 등으로 각각 원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또한, 백색의 부화소에서는 발광 소자와 중첩시켜 투명 등의 수지를 배치하여도 좋다.
차광층은 인접한 착색층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차광층은 인접한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차광하여, 인접한 발광 소자 사이에서의 혼색을 억제한다. 여기서, 착색층의 단부를 차광층과 중첩되도록 제공함으로써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차광층으로서는, 발광 소자로부터의 발광을 차단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또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은 구동 회로부 등의 발광부 외의 영역에 제공하면, 도파광 등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층 및 차광층을 덮는 오버코트를 제공하여도 좋다. 오버코트를 제공함으로써, 착색층에 함유된 불순물 등이 발광 소자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코트는 발광 소자로부터의 발광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막, 산화 실리콘막 등의 무기 절연막, 또는 아크릴막, 및 폴리이미드막 등의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 절연막과 무기 절연막과의 적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층의 재료를 착색층 및 차광층 위에 도포하는 경우, 오버코트의 재료로서, 접착층의 재료에 대하여 습윤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오버코트로서, ITO막 등의 산화물 도전막, 또는 투광성을 가질 정도로 얇은 Ag막 등의 금속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코트의 재료로서, 접착층의 재료에 대하여 습윤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층의 재료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한 쌍의 기판을 접합시켰을 때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표시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접속체로서는, 다양한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또는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CP: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백 라이트 또는 프런트 라이트 등의 광원, 즉 표시 장치를 위한 조명 장치로서 활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입출력 장치인 터치 패널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터치 패널이 갖는 구성 요소 중 실시형태2에서 설명한 발광 장치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재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를 사용한 터치 패널을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입출력 장치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입출력 장치는,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다.
<구성예 1>
도 10의 (A)는 입출력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를 일점 쇄선 A-B 및 일점 쇄선 C-D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의 (C)는 도 10의 (A)를 일점 쇄선 E-F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터치 패널(390)은 표시부(301)(입력부도 겸함), 주사선 구동 회로(303g(1)), 촬상 화소 구동 회로(303g(2)),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 및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2))를 갖는다.
표시부(301)는 복수의 화소(302)와 복수의 촬상 화소(308)를 갖는다.
화소(302)는 복수의 부화소를 갖는다. 각 부화소는 발광 소자 및 화소 회로를 갖는다.
화소 회로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선택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화소 회로는, 화상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303g(1))는, 선택 신호를 화소(302)에 공급할 수 있다.
화소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는 화상 신호를 화소(302)에 공급할 수 있다.
촬상 화소(308)를 사용하여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화소(308)는 표시부(301)를 터치하는 손가락 등을 검지할 수 있다.
촬상 화소(308)는, 광전 변환 소자 및 촬상 화소 회로를 갖는다.
촬상 화소 회로는, 광전 변환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촬상 화소 회로는,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촬상 화소 회로는, 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기록된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촬상 화소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신호, 촬상 화소 회로를 초기화할 수 있는 신호, 및 촬상 화소 회로가 광을 검지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촬상 화소 구동 회로(303g(2))는, 제어 신호를 촬상 화소(308)에 공급할 수 있다.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2))는 촬상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도 10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390)은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제 2 가요성 기판(711),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절연층(715)을 갖는다. 또한, 제 1 가요성 기판(701)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은, 제 3 접착층(360)으로 접합되어 있다.
제 1 가요성 기판(701)과 제 1 절연층(705)은 제 1 접착층(703)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요성 기판(711)과 제 2 절연층(715)은 제 2 접착층(713)으로 접합되어 있다. 기판, 접착층, 및 절연층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2를 참조할 수 있다.
화소(302)는, 부화소(302R), 부화소(302G), 및 부화소(302B)를 갖는다(도 10의 (C) 참조).
예를 들어, 부화소(302R)는, 발광 소자(350R) 및 화소 회로를 갖는다. 화소 회로는, 발광 소자(350R)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302t)를 포함한다. 또한, 부화소(302R)는 광학 소자(예를 들어 적색의 광을 투과하는 착색층(367R))를 더 갖는다.
발광 소자(350R)는, 하부 전극(351R), EL층(353), 및 상부 전극(352)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다(도 10의 (C) 참조).
EL층(353)은, 제 1 EL층(353a), 중간층(354), 및 제 2 EL층(353b)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다.
또한, 특정한 파장의 광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발광 소자(350R)에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배치된 가시광을 반사하는 막, 및 가시광을 반반사·반투과시키는 막 사이에 EL층을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부화소(302R)는 발광 소자(350R)와 착색층(367R)에 접촉하는 제 3 접착층(360)을 갖는다. 착색층(367R)은 발광 소자(350R)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이로써, 발광 소자(350R)가 발하는 광의 일부는, 제 3 접착층(360) 및 착색층(367R)을 투과하여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화소(302R)의 외부로 사출된다.
터치 패널(390)은, 차광층(367BM)을 갖는다. 차광층(367BM)은, 착색층(예를 들어, 착색층(367R))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터치 패널(390)은, 표시부(301)와 중첩되는 위치에 반사 방지층(367p)을 갖는다. 반사 방지층(367p)에는, 예를 들어 원 편광판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390)은, 절연층(321)을 갖는다. 절연층(321)은 트랜지스터(302t) 등을 덮고 있다. 또한, 절연층(321)은 화소 회로 또는 촬상 화소 회로에 기인하는 요철을 평탄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302t) 등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절연층으로 트랜지스터(302t)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390)은, 하부 전극(351R)의 단부와 중첩되는 격벽(328)을 갖는다. 또한, 격벽(328) 위에 제 1 가요성 기판(701)과 제 2 가요성 기판(711)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스페이서(329)를 갖는다.
화소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는, 트랜지스터(303t) 및 용량(303c)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 회로는 화소 회로와 동일한 공정으로 동일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303t)는 절연층(321) 위에 제 2 게이트(304)를 가져도 좋다. 제 2 게이트(304)는 트랜지스터(303t)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고, 이들에 상이한 전위가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2 게이트(304)를 트랜지스터(308t) 또는 트랜지스터(302t) 등에 각각 제공하여도 좋다.
촬상 화소(308)는, 광전 변환 소자(308p) 및 촬상 화소 회로를 갖는다. 촬상 화소 회로는, 광전 변환 소자(308p)에 조사된 광을 검지할 수 있다. 촬상 화소 회로는, 트랜지스터(308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in형 포토다이오드를 광전 변환 소자(308p)에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390)은,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311)을 갖고, 단자(319)가 배선(311)에 제공되어 있다. 화상 신호 및 동기 신호 등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FPC(309)가 단자(3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FPC(309)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PWB)이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302t), 트랜지스터(303t), 및 트랜지스터(308t) 등의 트랜지스터는,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각각 상이한 공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구성예 2>
도 11의 (A) 및 (B)는 터치 패널(505)의 사시도이다. 또한, 명료화를 위하여 대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였다. 도 12는, 도 11의 (A)를 일점 쇄선 X1-X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505)은 표시부(501), 주사선 구동 회로(303g(1)), 및 터치 센서(595) 등을 갖는다. 또한, 터치 패널(505)은,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2 가요성 기판(711), 및 가요성 기판(590)을 갖는다.
터치 패널(505)은,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배선(311)을 갖는다. 복수의 배선(311)은 화소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배선(311)은, 제 1 가요성 기판(701)의 외주부까지 리드되고, 그 일부가 단자(319)를 구성한다. 단자(319)는, FPC(509(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터치 패널(505)은, 터치 센서(595) 및 복수의 배선(598)을 갖는다. 복수의 배선(598)은, 터치 센서(59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배선(598)은 가요성 기판(590)의 외주부까지 리드되고, 그 일부는 단자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는 FPC(509(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11의 (B)에서는, 명료화를 위하여 가요성 기판(590)의 뒷면 측(제 1 가요성 기판(701)과 대향하는 면 측)에 제공되는 터치 센서(595)의 전극 및 배선 등을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터치 센서(595)에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에는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는,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자기 용량 방식, 상호 용량 방식 등이 있다. 상호 용량 방식을 사용하면, 동시에 여러 지점을 검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 센서(595)에는, 손가락 등의 검지 대상이 근접 또는 접촉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595)는, 전극(591) 및 전극(592)을 갖는다. 전극(591)은 복수의 배선(598) 중 어느 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극(592)은 복수의 배선(598) 중 다른 어느 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592)은,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사변형이 서로의 모서리부에서 접속된 형상을 갖는다.
전극(591)은 사변형이고, 전극(592)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591)은, 하나의 전극(592)과 반드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고,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배선(594)은, 전극(592)과 교차하여 제공되어 있다. 배선(594)은, 전극(592) 중 하나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전극(59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 전극(592)과 배선(594)의 교차부의 면적이 가능한 한 작게 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극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어, 광의 투과율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터치 센서(595)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591) 및 전극(59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505)은 제 1 가요성 기판(701), 제 1 접착층(703), 제 1 절연층(705), 제 2 가요성 기판(711), 제 2 접착층(713), 및 제 2 절연층(715)을 갖는다. 또한, 제 1 가요성 기판(701)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은, 제 3 접착층(360)에 의하여 접합된다.
접착층(597)은, 터치 센서(595)가 표시부(501)에 중첩되도록 가요성 기판(590)을 제 2 가요성 기판(711)에 접합한다. 접착층(597)은 투광성을 갖는다.
전극(591) 및 전극(592)은 투광성을 갖는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에는,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또는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 등의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은, 예를 들어 막 형상으로 형성된 산화 그래핀을 포함하는 막을 환원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환원하는 방법으로서는, 열을 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극(591), 전극(592), 및 배선(594) 등의 도전막, 즉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배선 및 전극에 사용하는 재료로서,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산화 아연 등을 갖는 투명 도전막(예를 들어, IT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배선 및 전극에 사용하는 재료는, 저항값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카본 나노 튜브, 그래핀, 할로젠화 금속(할로젠화 은 등)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매우 가늘게 한(예를 들어, 직경이 수 nm) 복수의 도전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금속 나노 와이어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도전체를 그물 형상으로 한 금속 메시를 사용하여도 좋다. 일례로서, Ag 나노 와이어, Cu 나노 와이어, Al 나노 와이어, Ag 메시, Cu 메시, Al 메시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배선 또는 전극에 Ag 나노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가시광 투과율을 89% 이상, 시트 저항값을 40Ω/sq. 이상 100Ω/sq.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배선 또는 전극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일례인 금속 나노 와이어, 금속 메시, 카본 나노 튜브, 그래핀 등은, 가시광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표시 소자에 사용하는 전극(예를 들어, 화소 전극 또는 공통 전극 등)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를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가요성 기판(590) 위에 성막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의 다양한 패터닝 기술에 의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전극(591) 및 전극(592)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591) 및 전극(592)은 절연층(593)으로 덮여 있다. 또한, 전극(591)에 도달되는 개구가 절연층(593)에 제공되고, 배선(594)이 인접한 전극(59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는 터치 패널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배선(594)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591) 및 전극(592)보다 도전성이 높은 재료는,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594)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593) 및 배선(594)을 덮는 절연층을 제공하여 터치 센서(595)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접속층(599)은 배선(598)과 FPC(509(2))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표시부(501)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다. 화소는, 구성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590)을 사용하지 않고 2장의 기판(제 1 가요성 기판(701) 및 제 2 가요성 기판(711))으로 터치 패널을 구성하여도 좋다. 제 2 가요성 기판(711)과 제 2 절연층(715)이 제 2 접착층(713)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고, 제 2 절연층(715)에 접촉하여 터치 센서(595)가 제공되어 있다. 터치 센서(595)를 덮는 절연층(589)에 접촉하여, 착색층(367R) 및 차광층(367BM)이 제공되어 있다. 절연층(589)을 제공하지 않고, 착색층(367R) 또는 차광층(367BM)을 배선(594)에 접촉하여 제공하여도 좋다.
<구성예 3>
도 13은 터치 패널(505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터치 패널(505B)은, 공급된 화상 정보를 트랜지스터가 제공되어 있는 측에 표시하는 점, 및 터치 센서가 표시부의 제 1 가요성 기판(701) 측에 제공되어 있는 점이 구성예 2의 터치 패널(505)과 상이하다. 여기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같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원용한다.
착색층(367R)은 발광 소자(350R)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또한, 도 13의 (A)에 도시된 발광 소자(350R)는, 트랜지스터(302t)가 제공되어 있는 측에 광을 사출한다. 이로써, 발광 소자(350R)가 발하는 광의 일부는 착색층(367R)을 투과하여, 도면 중에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터치 패널(505B)의 외부로 사출된다.
터치 패널(505B)은 광을 사출하는 방향으로 차광층(367BM)을 갖는다. 차광층(367BM)은 착색층(예를 들어, 착색층(367R))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터치 센서(595)는, 제 2 가요성 기판(711) 측이 아니라 제 1 가요성 기판(701) 측에 제공되어 있다(도 13의 (A) 참조).
접착층(597)은 터치 센서(595)가 표시부에 중첩되도록 가요성 기판(590)을 제 1 가요성 기판(701)에 접합한다. 접착층(597)은 투광성을 갖는다.
또한,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를 표시부(501)에 적용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 비정질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층을 도 13의 (A)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층을 도 13의 (B)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를 적용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 13의 (C)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 기판 등으로부터 전치된 단결정 실리콘막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층을 도 13의 (C)에 도시된 트랜지스터(302t) 및 트랜지스터(303t)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곡면 또는 가요성을 갖는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함), 컴퓨터용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포토 프레임, 휴대 전화기(휴대 전화, 휴대 전화 장치라고도 함),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음향 재생 장치, 파친코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는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집 또는 빌딩의 내벽 또는 외벽, 또는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의 곡면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차 전지를 가져도 좋고, 비접촉 전력 전송을 사용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차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겔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유기 라디칼 전지, 납 축전지, 공기 이차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및 은 아연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안테나를 가져도 좋다.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표시부에서 영상 또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안테나 및 이차 전지를 갖는 경우, 안테나를 비접촉 전력 전송에 사용하여도 좋다.
도 14의 (A), (B), (C1), (C2), (D), 및 (E)에 휘어진 표시부(7000)를 갖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표시부(7000)는, 그 표시면이 휘어져 제공되고, 이 휘어진 표시면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0)는 가요성을 가져도 좋다.
표시부(7000)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휘어진 표시부를 구비하며,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휴대 전화기(7100)는 하우징(7101), 표시부(7000), 조작 버튼(7103), 외부 접속 포트(7104), 스피커(7105), 및 마이크로폰(7106) 등을 갖는다.
도 14의 (A)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7100)는, 표시부(7000)에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전화를 걸거나,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모든 조작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7000)를 터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7103)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의 ON/OFF 동작, 또는 표시부(70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작성 화면으로부터 메인 메뉴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텔레비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텔레비전 장치(7200)는, 하우징(7201)에 표시부(7000)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는, 스탠드(7203)에 의하여 하우징(7201)을 지지한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14의 (B)에 도시된 텔레비전 장치(7200)의 조작은, 하우징(7201)이 구비한 조작 스위치 또는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러(7211)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7000)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도 좋고,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7000)를 터치함으로써 조작하여도 좋다. 리모트 컨트롤러(7211)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211)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져도 좋다. 리모트 컨트롤러(7211)가 구비한 조작 키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하여 채널을 조작하거나 또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부(70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7200)는 수신기 또는 모뎀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수신기에 의하여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뎀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한 방향(송신자로부터 수신자) 또는 쌍방향(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또는 수신자들 사이 등)의 정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의 (C1), (C2), (D), 및 (E)에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각 휴대 정보 단말은, 하우징(7301) 및 표시부(7000)를 갖는다. 또한, 조작 버튼, 외부 접속 포트, 스피커, 마이크로폰, 안테나, 또는 배터리 등을 가져도 좋다. 표시부(700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휴대 정보 단말의 조작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7000)를 터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도 14의 (C1)는,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사시도이고, 도 14의 (C2)는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상면도이다. 도 14의 (D)는 휴대 정보 단말(7310)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E)는 휴대 정보 단말(732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휴대 정보 단말은, 예를 들어 전화기, 수첩 또는 정보 열람 장치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으로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휴대 정보 단말은, 예를 들어 이동 전화, 전자 메일, 문장 열람 및 작성, 음악 재생, 인터넷 통신, 및 컴퓨터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7300), 휴대 정보 단말(7310), 및 휴대 정보 단말(7320)은 문자 또는 화상 정보를 그 복수의 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C1)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조작 버튼(7302)을 하나의 면에 표시하고, 직사각형으로 나타낸 정보(7303)를 다른 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C1) 및 (C2)에서는 휴대 정보 단말의 위쪽에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도 14의 (D)에서는 휴대 정보 단말의 옆쪽에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의 3개 이상의 면에 정보를 표시하여도 좋고, 도 14의 (E)에서는 정보(7304), 정보(7305), 및 정보(7306)가 각각 상이한 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정보의 예로서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통지, 전자 메일 또는 전화 등의 착신을 알리는 표시, 전자 메일 등의 제목 또는 송신자명, 일시, 시각, 배터리 잔량, 및 안테나의 수신 강도 등이 있다. 또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정보 대신, 조작 버튼,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사용자는, 옷의 가슴 포켓에 휴대 정보 단말(7300)을 넣은 채 그 표시(여기서는 정보(7303))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신한 전화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 또는 이름 등을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상방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휴대 정보 단말(7300)을 가슴 포켓에서 꺼내지 않아도 표시를 확인하여 전화를 받을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의 (F)~(H)에 휘어진 발광부를 갖는 조명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14의 (F)~(H)에 도시된 각 조명 장치가 갖는 발광부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휘어진 발광부를 구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의 (F)에 도시된 조명 장치(7400)는, 파상(波狀)의 발광면을 갖는 발광부(7402)를 구비한다. 따라서, 디자인성이 높은 조명 장치이다.
도 14의 (G)에 도시된 조명 장치(7410)가 구비한 발광부(7412)는, 볼록하게 휘어진 2개의 발광부가 대칭적으로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조명 장치(7410)를 중심으로 하여 전(全) 방향을 비출 수 있다.
도 14의 (H)에 도시된 조명 장치(7420)는, 오목하게 휘어진 발광부(7422)를 구비한다. 따라서, 발광부(7422)로부터의 발광을, 조명 장치(7420)의 앞쪽에 집광하기 때문에, 특정한 범위를 밝게 비추기에 적합하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그늘이 생기기 어렵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명 장치(7400), 조명 장치(7410), 및 조명 장치(7420)가 구비한 발광부 각각은 가요성을 가져도 좋다. 발광부는 가소성 부재 또는 움직일 수 있는 프레임 등의 부재로 고정하고, 용도에 따라 발광부의 발광면을 자유롭게 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조명 장치(7400), 조명 장치(7410), 및 조명 장치(7420)는 각각 조작 스위치(7403)를 구비한 받침대부(7401)와, 받침대부(7401)에 지지되는 발광부를 갖는다.
또한, 여기서는 받침대부에 의하여 발광부가 지지된 조명 장치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발광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천장에 고정하거나 또는 천장에서 매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발광면을 휘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면을 오목하게 휘어 특정의 영역을 밝게 비추거나, 또는 발광면을 볼록하게 휘어 방 전체를 밝게 비출 수도 있다.
도 15의 (A1), (A2), 및 (B)~(I)에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7001)를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표시부(7001)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 0.01mm 이상 150mm 이하로 휠 수 있는 발광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1)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도 좋고,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7001)를 터치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강한 입체감 또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A1)은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의 (A2)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휴대 정보 단말(7500)은, 하우징(7501), 표시부(7001), 인출 부재(7502), 및 조작 버튼(7503) 등을 갖는다.
휴대 정보 단말(7500)은, 하우징(7501) 내에 롤상으로 말린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7001)를 갖는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500)은 내장된 제어부에 의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영상을 표시부(700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500)에는 배터리가 내장된다. 또한, 하우징(7501)에 커넥터를 접속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영상 신호 또는 전력을 유선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직접 공급받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조작 버튼(7503)에 의하여, 전원의 ON/OFF 동작 또는 표시하는 영상의 전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A1), (A2), 및 (B)에서는 휴대 정보 단말(7500)의 측면에 조작 버튼(7503)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정보 단말(7500)의 표시면과 같은 면(앞면) 또는 뒷면에 배치하여도 좋다.
도 15의 (B)에는, 표시부(7001)를 꺼낸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7500)을 도시하였다. 이 상태에서 표시부(700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7001)는 인출 부재(7502)를 사용하여 꺼낼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1)의 일부가 롤상으로 말린 도 15의 (A1)의 상태와, 표시부(7001)를 꺼낸 도 15의 (B)의 상태에서, 휴대 정보 단말(7500)이 상이한 표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5의 (A1)에 도시된 상태에서 표시부(7001)의 롤상으로 말린 부분을 비표시로 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7500)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1)를 꺼냈을 때 표시부(7001)의 표시면이 평면상이 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표시부(7001)의 측부에 보강을 위한 프레임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도 하우징에 스피커를 제공하여, 영상 신호와 함께 수신한 음성 신호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5의 (C)~(E)에 폴더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15의 (C)에서는 펼쳐진 상태, 도 15의 (D)에서는 펼쳐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 한쪽으로 변화하는 도중의 상태, 및 도 15의 (E)에서는 접힌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7600)을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600)은 접힌 상태에서는 가반성이 우수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이음매가 없고 넓은 표시 영역에 의하여 일람성이 우수하다.
표시부(7001)는 힌지(7602)에 의하여 연결된 3개의 하우징(7601)으로 지지된다. 힌지(7602)를 개재하여 2개의 하우징(7601) 사이를 굴곡시킴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7600)을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5의 (F) 및 (G)에 폴더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15의 (F)에서는 표시부(7001)가 내측이 되도록 접힌 상태, 도 15의 (G)에서는 표시부(7001)가 외측이 되도록 접힌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7650)을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650)은 표시부(7001) 및 비표시부(7651)를 갖는다. 휴대 정보 단말(7650)을 사용하지 않을 때 표시부(7001)가 내측이 되도록 접으면 표시부(7001)가 더러워지거나 또는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의 (H)에 가요성을 갖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700)은 하우징(7701) 및 표시부(7001)를 갖는다. 또한, 입력 수단인 버튼(7703a), 버튼(7703b), 음성 출력 수단인 스피커(7704a), 스피커(7704b), 외부 접속 포트(7705), 및 마이크로폰(7706) 등을 가져도 좋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700)은 가요성을 갖는 배터리(7709)를 탑재할 수 있다. 배터리(7709)는 예를 들어, 표시부(7001)와 중첩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하우징(7701), 표시부(7001), 및 배터리(7709)는 가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휴대 정보 단말(7700)을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휘거나, 또는 휴대 정보 단말(7700)을 쉽게 비틀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7700)은 표시부(7001)가 내측 또는 외측이 되도록 접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휴대 정보 단말(7700)을 롤상으로 말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7701) 및 표시부(7001)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정보 단말(7700)은 떨어뜨리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700)은 경량이기 때문에, 하우징(7701)의 상부를 클립 등에 꼭 집어 매달아서 사용하거나, 또는 하우징(7701)을 자석 등으로 벽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높은 편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의 (I)에 손목시계형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800)은 밴드(7801), 표시부(7001), 입출력 단자(7802), 조작 버튼(7803) 등을 갖는다. 밴드(7801)는 하우징으로 기능한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800)은, 가요성을 갖는 배터리(7805)를 탑재할 수 있다. 배터리(7805)는 예를 들어, 표시부(7001) 또는 밴드(7801)와 중첩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밴드(7801), 표시부(7001), 및 배터리(7805)는 가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휴대 정보 단말(7800)을 원하는 형상으로 휠 수 있다.
조작 버튼(7803)은 시각 설정 외에도, 전원의 ON/OFF 동작, 무선 통신의 ON/OFF 동작, 매너 모드의 실행 및 해제, 전력 절약 모드의 실행 및 해제 등, 다양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7800)에 제공된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에 의하여, 조작 버튼(7803)의 기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7001)에 표시된 아이콘(7804)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800)은, 통신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헤드세트와 상호 통신함으로써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800)은 입출력 단자(7802)를 가져도 좋다. 입출력 단자(7802)를 갖는 경우, 다른 정보 단말과 커넥터를 통하여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단자(7802)를 통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휴대 정보 단말의 충전 동작은, 입출력 단자를 통하지 않고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하여 수행하여도 좋다.
도 16의 (A)에 자동차(9700)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도 16의 (B)는 자동차(9700)의 운전석을 도시한 것이다. 자동차(9700)는 차체(9701), 차륜(9702), 대시보드(9703), 및 라이트(9704)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은 자동차(9700)의 표시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B)에 도시된 표시부(9710)~표시부(9715)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9710) 및 표시부(9711)는 자동차의 프런트 글라스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은 전극 및 배선을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반대 측이 들여다보이는, 소위 시스루 상태로 할 수 있다. 표시부(9710) 또는 표시부(9711)가 시스루 상태이면, 자동차(9700)를 운전할 때 시계(視界)가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자동차(9700)의 프런트 글라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유기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유기 트랜지스터,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 등, 투광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좋다.
표시부(9712)는 필러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12)에 표시시킴으로써, 필러로 차단된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표시부(9713)는 대시보드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13)에 표시시킴으로써, 대시보드로 차단된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외측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시킴으로써, 사각(死角)을 보완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는 영상을 표시시킴으로써, 더 자연스럽고 위화감이 없이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C)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벤치 시트를 채용한 자동차의 차내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부(9721)는 문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21)에 표시시킴으로써, 문으로 차단된 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722)는 핸들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표시부(9723)는 벤치 시트의 앉는 부분의 중앙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이다. 또한, 표시 장치를 벤치 시트의 앉는 부분 또는 등받이 부분 등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의 발열을 열원으로 한 시트 히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9714), 표시부(9715), 또는 표시부(9722)는 내비게이션 정보, 스피드미터, 태코미터(tachometer), 주행 거리, 급유량, 기어 상태, 및 에어컨디셔너의 설정 등,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 또는 레이아웃 등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표시부(9710)~표시부(9713), 표시부(9721), 및 표시부(97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9710)~표시부(9715), 표시부(9721)~표시부(9723)는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9710)~표시부(9715), 표시부(9721)~표시부(9723)는 가열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에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관찰자가 느끼는 입체감과, 표시부의 크기와, 표시부를 휘는 정도와의 상관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한 감성 평가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성 평가에는 3종류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들 표시 장치는 모두 가요성을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고, 표시부를 휜 상태에서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소자에는, 백색의 광을 나타내는 탠덤(적층)형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였다. 발광 소자는 톱 이미션 구조이고, 발광 소자의 광은 컬러 필터를 통하여 유기 EL 디스플레이 외부에 추출된다. 백색 표시(주광색(D65:x=0.31, y=0.33))의 휘도는 300cd/m2로 하였다.
세 종류 중 첫 번째 종류는, 정밀도가 326ppi, 해상도가 QHD(Quarter High Definition, 960×540×RGB)인, 3.4인치 유기 EL 디스플레이다.
두 번째 종류는, 정밀도가 249ppi, 해상도가 HD(High Definition, 1280×720×RGB)인, 5.9인치 유기 EL 디스플레이다.
세 번째 종류는, 정밀도가 238ppi, 해상도가 FHD(Full High Definition, 1920×1080×RGB)인, 9.2인치 유기 EL 디스플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종류의 표시 장치를 2개 사용하였다. 표시 장치 2개 중 하나는, 표시부를 휜 상태에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비교를 위하여 표시부를 휘지 않고, 평활한 상태에서 사용하였다.
관찰자는, 비교를 위한 평활한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휘어진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를 옆으로 나란히 하고 비교해 보면서 평가하였다.
관찰자는, 휘어진 표시부와, 비교를 위한 평활한 표시부에서 동일한 동영상을 관찰한 경우를 비교하여, "입체감", "다가오는 느낌", "깊이감", "피로감", "자연스러움", 및 "실제로 기기로서 사용하고 싶은지"에 대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상술한 "다가오는 느낌"이란, 영상이 관찰자 측에 다가오는 것처럼 느끼는 것을 말한다. 또한, "깊이감"이란, 표시부의 안쪽에 퍼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또한, "입체감"이란, 다가오는 느낌과 깊이감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natural3D에 가장 가까운 뜻을 갖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스러움"이란, 위화감이 없는지를 가리킨다.
평가에는, SD(semantic differential)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찰자는 평활한 표시부와 비교하여 휘어진 표시부를 관찰한 경우에, 동영상에 대하여 "입체감", "다가오는 느낌", "깊이감", "피로감", "자연스러움", 및 "실제로 기기로서 사용하고 싶은지"에 대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5단계(±2, ±1, 0)로 평가하였다. 예를 들어, "입체감", "다가오는 느낌", 및 "깊이감"은 각각 "매우 강함(+2)", "강함(+1)", "차이 없음(0)", "약함(-1)", 및 "매우 약함(-2)"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피로감"에 대해서는, 양의 값이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다는 경향을 나타내고, 음의 값이 피로감을 느끼기 쉽다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온 결과에 대하여, 통계적 유의차 검정을 수행하여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험에서, 피험자의 수는 통계적인 판단을 충분히 할 수 있는 20명 이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피험자의 수는, 3.4인치 표시 패널에 있어서는 28명, 5.9인치 표시 패널에 있어서는 23명, 또한 9.2인치 표시 패널에 있어서는 20명이었다. 또한, 시거리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모든 조건에서 30cm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를 표시부의 좌우 방향(표시부의 장축 방향)으로 휘었다. 휘는 방법은, 도 1의 (A1), 도 17의 (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볼록면(볼록곡면)이 형성되도록 휘는 경우와, 도 1의 (B1), 도 17의 (E)~(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 측(관찰자 측)에 오목면(오목곡면)이 형성되도록 휘는 경우의 2종류로 하였다. 휘는 크기는 중심각 θ가 약 21°, 약 42°, 약 85°, 및 약 140°의 4종류를 각각 사용하였다. 도 17의 (A)~(H)에, 각 중심각 θ의 볼록면 또는 오목면이 형성되도록 휜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다. 또한, 각 사이즈의 표시 패널에서의 중심각 θ와 곡률 반경 R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도 18~도 23에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는 볼록면(각 도면의 (A))과 오목면(각 도면의 (B))에 나누어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에서는, 모든 관찰자의 평가 득점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95% 이상의 확률로 유의차가 인정된 조건을 *로 나타내었다.
도 1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의 크기, 중심각의 크기, 및 휘는 방법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조건에서, 비교를 위한 평활한 표시부에 비하여, 입체감이 향상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19의 (A), (B), 및 도 20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면이 형성되도록 휘는 경우에는 다가오는 느낌이, 오목면이 형성되도록 휘는 경우에는, 깊이감이 특히 강해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중심각 θ는, 약 21°보다도 약 42°, 약 85°, 및 약 140°일 때에 입체감, 다가오는 느낌, 깊이감 각각이 더 강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3.4인치에서 θ가 약 42°, 5.9인치에서 θ가 약 85°, 및 9.2인치에서 θ가 약 140°일 때에, 입체감, 다가오는 느낌, 및 깊이감이 효과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곡률 반경으로 환산하면, 모두 약 100mm가 된다. 따라서, 입체감 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곡률 반경은 표시부의 크기와 상관없는 것이 시사된다.
도 21의 (A), (B), 도 22의 (A), (B), 및 도 23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감, 자연스러움, 실제로 기기로서 사용하고 싶은지에 대한 결과는 모두 비슷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는, θ가 약 21°, 약 42°인 각 경우는 θ가 약 85°, 약 140°인 각 경우에 비하여, 피로감 및 위화감이 적고, 더 사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총괄하면, θ가 42° 이하인 경우에, 평활한 표시부보다 자연스럽게 보이고, 피로감을 느끼기 어렵고, 사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5.9인치, 9.2인치와 같은 표시부가 비교적 큰 표시 장치에서, 피로감이 낮아지는 것에 통계적 유의차를 볼 수 있었다. 이것은, 표시부가 클수록 시야각이 좁아지기 어렵고, 눈 및 뇌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으로부터,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중심각은 약 42°이고, 이것이 본 실시예의 조건의 최적값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입체감이 강하다고 느끼는 조건, 및 피로감을 느끼기 어려운 조건 등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따라서, 표시부를 휘는 정도는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과 같이 휘는 정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관찰자가 느낀 입체감의 정량적인 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느끼기 위한 지표 중 하나로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있다는 것이 감성 평가의 결과로서 나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평활한 유기 EL 디스플레이(3.93인치, 458ppi, 콘트라스트비 100000:1 이상)와, 평활한 액정 디스플레이(3.5인치, 326ppi, 콘트라스트비 800:1)를 사용하여, 초점 거리를 바탕으로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느끼는 입체감의 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사전의 감성 평가에서, 각 관찰자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보다 상기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다고 회답하였다. 초점 거리를 측정한 결과, 동일한 동영상을 시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입체감을 강하게 느낀 유기 EL 디스플레이가, 액정 디스플레이보다도 초점 거리의 변동량이 더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로부터,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느끼는 입체감의 강도를 초점 거리로 평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의 콘트라스트와 관찰자가 느끼는 입체감과의 관계를 생리 반응량을 측정함으로써,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표시 장치로서는, 평활한 유기 EL 디스플레이(5.9인치, 249ppi, 해상도 HD(1280×720×RGB))를 사용하였다.
발광 소자에는 백색의 광을 나타내는 탠덤(적층)형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였다. 발광 소자는 톱 이미션 구조이고, 발광 소자의 광은 컬러 필터를 통하여 유기 EL 디스플레이 외부로 추출된다.
콘트라스트의 조건은 이하의 2가지와 같다. 먼저, 조건 1은, 전면 백색 표시 200cd/m2, 전면 흑색 표시 0cd/m2(측정 한계 이하)이며, 이것은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성능을 그대로 활용한 설정이다. 조건 2는, 전면 백색 표시 200cd/m2, 전면 흑색 표시 2cd/m2이다. 조건 2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이, 흑색의 표현력이 낮은 디스플레이를 상정한 조건이다. 두 개의 조건의 설정은, γ=2.2를 기반으로 하였다. 또한, γ값이란, 화상의 계조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조건 2에서, γ 커브를 변경하는 부분은 256계조 중 0~63계조로 하고, 64~255계조는 조건 1과 조건 2에서 모두 같은 γ 커브로 하였다.
또한, 사전의 감성 평가에서 관찰자 각각은, 조건 2에 비하여 조건 1에서, 표시된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더 강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고 회답하였다.
초점 거리의 측정에는, 양안 개방형 Auto Ref/Keratometer(WAM-5500, REXXAM Co., Ltd.제)를 사용하였다.
2가지의 콘트라스트 조건으로 표시하는 이차원 화상은 동일한 동영상이다. 50초 동안 동영상을 재생하였다. 관찰자가 영상을 눈으로 쫓는 방법은 2가지의 콘트라스트 조건에서 마찬가지로 하였다. 실험은, 암실에서 수행하고, 시거리는 52cm로 하였다.
도 24에 초점 거리의 측정 결과(관찰자 1인분의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도 24에서, 세로 축은 관찰자의 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고, 가로 축은 측정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 25에는, 도 24의 결과에 대하여 가로 축을 초점 거리, 세로 축을 발생 빈도로 하여 플롯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4 및 도 25로부터 같은 동영상을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건 1에서는 조건 2에 비하여 깊이 방향으로 초점이 변동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5의 조건 2에서는, 하나의 피크를 갖고 있지만, 조건 1에서는 2개의 피크를 갖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조건 1은 앞쪽과 안쪽을 지각(知覺)하고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디스플레이의 흑색의 표현력이 높은 것이 관찰자는 입체감을 더 강하게 느끼게 되고, 초점 거리의 변동량도 크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관찰자의 눈의 초점 거리의 변동량을 측정함으로써, 관찰자가 이차원 화상에 대하여 느낀 입체감의 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10: 표시 장치
15: 표시 시스템
20: 구조체
30L: 왼쪽 눈
30R: 오른쪽 눈
101: 표시부
102: 비표시부
104: 구동부
110: 표시 장치
111: 표시 장치
112: 표시 장치
113: 표시 장치
114: 표시 장치
115: 표시 장치
151: 표시부
152: 검출부
153: 제어부
161: 기억부
162: 연산부
163: 구동 제어부
301: 표시부
302: 화소
302B: 부화소
302G: 부화소
302R: 부화소
302t: 트랜지스터
303c: 용량
303g(1): 주사선 구동 회로
303g(2): 촬상 화소 구동 회로
303s(1):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
303s(2):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
303t: 트랜지스터
304: 게이트
308: 촬상 화소
308p: 광전 변환 소자
308t: 트랜지스터
309: FPC
311: 배선
319: 단자
321: 절연층
328: 격벽
329: 스페이서
350R: 발광 소자
351R: 하부 전극
352: 상부 전극
353: EL층
353a: EL층
353b: EL층
354: 중간층
360: 접착층
367BM: 차광층
367p: 반사 방지층
367R: 착색층
390: 터치 패널
501: 표시부
505: 터치 패널
505B: 터치 패널
509: FPC
589: 절연층
590: 가요성 기판
591: 전극
592: 전극
593: 절연층
594: 배선
595: 터치 센서
597: 접착층
598: 배선
599: 접속층
701: 가요성 기판
703: 접착층
705: 절연층
711: 가요성 기판
713: 접착층
715: 절연층
804: 발광부
806: 구동 회로부
808: FPC
814: 도전층
815: 절연층
817: 절연층
817a: 절연층
817b: 절연층
820: 트랜지스터
821: 절연층
822: 접착층
823: 스페이서
824: 트랜지스터
825: 접속체
830: 발광 소자
831: 하부 전극
832: 광학 조정층
833: EL층
835: 상부 전극
845: 착색층
847: 차광층
849: 오버코트
856: 도전층
857: 도전층
857a: 도전층
857b: 도전층
7000: 표시부
7001: 표시부
7100: 휴대 전화기
7101: 하우징
7103: 조작 버튼
7104: 외부 접속 포트
7105: 스피커
7106: 마이크로폰
7200: 텔레비전 장치
7201: 하우징
7203: 스탠드
7211: 리모트 컨트롤러
7300: 휴대 정보 단말
7301: 하우징
7302: 조작 버튼
7303: 정보
7304: 정보
7305: 정보
7306: 정보
7310: 휴대 정보 단말
7320: 휴대 정보 단말
7400: 조명 장치
7401: 받침대부
7402: 발광부
7403: 조작 스위치
7410: 조명 장치
7412: 발광부
7420: 조명 장치
7422: 발광부
7500: 휴대 정보 달말
7501: 하우징
7502: 부재
7503: 조작 버튼
7600: 휴대 정보 단말
7601: 하우징
7602: 힌지
7650: 휴대 정보 단말
7651: 비표시부
7700: 휴대 정보 단말
7701: 하우징
7703a: 버튼
7703b: 버튼
7704a: 스피커
7704b: 스피커
7705: 외부 접속 포트
7706: 마이크로폰
7709: 배터리
7800: 휴대 정보 단말
7801: 밴드
7802: 입출력 단말
7803: 조작 버튼
7804: 아이콘
7805: 배터리
9700: 자동차
9701: 차체
9702: 차륜
9703: 대시보드
9704: 라이트
9710: 표시부
9711: 표시부
9712: 표시부
9713: 표시부
9714: 표시부
9715: 표시부
9721: 표시부
9722: 표시부
9723: 표시부

Claims (14)

  1.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의 중심각은 20° 이상 90° 미만인,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정밀도는 220ppi 이상 2000ppi 이하인,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콘트라스트비는 1000:1 이상인, 표시 장치.
  4. 모듈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표시 장치; 및
    FPC를 포함하는, 모듈.
  5.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
    검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기 검출부는 관찰자의 눈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검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정보로부터 상기 관찰자의 피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관찰자의 피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부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표시 시스템.
  6.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5 항에 따른 표시 시스템; 및
    안테나, 배터리, 하우징,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작 스위치, 및 조작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과, 관찰자의 안구로부터 반사된 상기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정밀도는 220ppi 이상 2000ppi 이하인, 표시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콘트라스트비는 1000:1 이상인, 표시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찰자의 피로 정보를 추출할 때, 상기 관찰자의 주시 기간의 길이와 소정 시간당의 눈 깜박임의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피로가 심각한 경우, 상기 표시부의 곡률이 작게 되는, 표시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억부, 연산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는 안구의 움직임, 상기 관찰자의 눈알의 흰자위, 홍채, 동공의 색깔 또는 형상, 또는 눈꺼풀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KR1020150162559A 2014-11-28 2015-11-19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KR20160064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2112 2014-11-28
JP2014242112 2014-11-28
JPJP-P-2014-249194 2014-12-09
JP2014249194 2014-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978A true KR20160064978A (ko) 2016-06-08

Family

ID=5607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559A KR20160064978A (ko) 2014-11-28 2015-11-19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031554B2 (ko)
JP (3) JP2016110117A (ko)
KR (1) KR201600649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3911B1 (en) * 2014-04-11 2022-05-24 C3 Nano, Inc. Formabl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with metal nanowires
KR20160064978A (ko) * 2014-11-28 2016-06-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US10008167B2 (en) 2015-03-03 2018-06-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device, and program
US10311583B2 (en) * 2015-06-05 2019-06-04 Kiyoshi Hoshino Eye motion detection method, program, program storage medium, and eye motion detection device
US10485100B2 (en) 2015-09-30 2019-11-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ircuit board and display system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70574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911742B2 (en) * 2016-03-08 2021-02-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louvered filter,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CN106201392A (zh) * 2016-06-27 2016-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曲面屏幕的显示控制方法和装置
KR102643635B1 (ko) * 2016-12-06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984703B2 (en) 2017-03-24 2021-04-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system which corrects image data,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139159A1 (en) * 2017-03-27 2022-05-05 Incredible Technologies, Inc. Electronic gam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US20200264663A1 (en) * 2017-09-15 2020-08-20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An all-in-one integrated, inter-convertible fold-able cell phone, tablet and personal computer
KR102400712B1 (ko) * 2017-10-12 2022-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632405A (zh) * 2017-11-14 2018-01-26 苏州数艺网络科技有限公司 动态裸眼3d视觉影像装置
CN108563286B (zh) 2018-04-24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1402669B2 (en) 2018-04-27 2022-08-02 Apple Inc. Housing surface with tactile friction features
WO2019230652A1 (ja) * 2018-05-30 2019-12-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
US10885736B2 (en) * 2018-06-26 2021-01-05 Igt Configurable flexible displays for display devices
US11112827B2 (en) * 2018-07-20 2021-09-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10817016B2 (en) 2018-09-24 2020-10-27 Apple Inc. Hybrid coverlay/window structure for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US11691912B2 (en) 2018-12-18 2023-07-04 Apple Inc. Chemically strengthened and textured glass housing member
KR20200117638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굴곡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372137B2 (en) 2019-05-29 2022-06-28 Apple Inc. Textured cover assemblies for display applications
US10827635B1 (en) 2019-06-05 2020-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having a textured glass component
US11109500B2 (en) 2019-06-05 2021-08-31 Apple Inc. Textured glass component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63335B1 (en) * 2020-05-01 2021-11-02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aving a bendable integrated display
US11897809B2 (en) 2020-09-02 2024-02-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extured glass and glass ceramic components
CN112738944B (zh) * 2021-01-28 2024-07-19 北京阳明智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生理参数的光源配光系统
CN116847777A (zh) 2021-02-18 2023-10-0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KR20230004191A (ko) * 2021-06-30 2023-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향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CN117693781A (zh) * 2021-07-16 2024-03-12 索尼集团公司 显示系统
US20240289080A1 (en) * 2021-08-23 2024-08-29 Ntt Docomo, Inc. Display control device
WO2024116786A1 (ja) * 2022-11-29 2024-06-06 パナソニック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パネル体、表示装置、およびパネル体の製造方法
WO2024218628A1 (ja) * 2023-04-21 2024-10-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3630A1 (en) 2002-06-28 2004-01-08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evice and display operating in two dimensional and auto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modes
JP2011238908A (ja) 2010-04-16 2011-11-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347A (ja) * 1993-10-14 1995-05-02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05197A (ja) * 1995-01-27 1996-08-09 Hitachi Ltd 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6483484B1 (en) 1998-12-18 2002-11-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Goggle type display system
US6791462B2 (en) 2002-09-18 2004-09-14 Sang J. Choi Sleepy alarm system activated by heart pulse meter
US7138922B2 (en) 2003-03-18 2006-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owsy driver monitoring and prevention system
JP4316960B2 (ja) 2003-08-22 2009-08-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
JP2005195995A (ja) * 2004-01-09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046121B2 (ja) * 2005-03-24 2008-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US8564662B2 (en) * 2006-06-28 2013-10-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vision system
JP4715719B2 (ja) * 2006-10-25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US20080224951A1 (en) 2007-03-16 2008-09-18 Motorola, Inc. Visual interface with configurable viewing area for electronic device
US20100164860A1 (en) * 2007-06-06 2010-07-0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179113B2 (ja) * 2007-08-09 2013-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US7868770B2 (en) 2007-11-14 2011-01-11 Al-Mutairi Sami H Warning device for drivers and the like
US9047806B2 (en) * 2009-05-25 2015-06-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viewing angle thereof
JP2011027921A (ja) * 2009-07-23 2011-02-10 Videocon Global Ltd 可動焦点型凹面テレビ
JP5440136B2 (ja) 2009-12-04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2022150A (ja) * 2010-07-14 2012-02-02 Nikon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120075166A1 (en) 2010-09-29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ed adaptive display systems
US9962083B2 (en) * 2011-07-05 2018-05-08 Saudi Arabian Oil Company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biomechanical health of employees
JP5797956B2 (ja) * 2011-07-13 2015-10-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649117B1 (ko) 2011-11-08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JP2013114123A (ja) *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透過型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864185B1 (ko) * 2011-12-15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모드 변경 방법
KR101850718B1 (ko) 2011-12-15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US9711752B2 (en)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JP5842602B2 (ja) * 2011-12-26 2016-01-13 株式会社Joled 曲面ディスプレイ
JP5665241B2 (ja) * 2012-03-21 2015-0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眼球疲労判定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5229409B2 (ja) * 2012-04-03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US9793444B2 (en) 2012-04-06 2017-10-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61526B1 (ko) * 2012-04-08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JP2013251255A (ja) * 2012-05-04 2013-12-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の作製方法
TWI588540B (zh) * 2012-05-09 2017-06-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和電子裝置
US20140111558A1 (en) * 2012-10-23 2014-04-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102009724B1 (ko) 2012-10-29 2019-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휘도 보정 방법
KR102033618B1 (ko) * 2012-12-18 2019-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699433B2 (en) * 2013-01-24 2017-07-04 Yuchen Zhou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re-focusable vision with detecting re-focusing event from human eye
KR20140123420A (ko) 2013-04-12 2014-10-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2633904B1 (ko) 2013-04-24 2024-02-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20150109201A1 (en) 2013-10-22 2015-04-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315659B1 (ko) 2013-11-27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9804405B2 (en) 2013-11-27 2017-10-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rame
US9229481B2 (en) 2013-12-20 2016-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511325B1 (ko) 2014-04-18 2023-03-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56799B2 (en) 2014-05-02 2020-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68638A (ko) 2014-10-28 2021-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20160064978A (ko) * 2014-11-28 2016-06-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모듈, 표시 시스템, 및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3630A1 (en) 2002-06-28 2004-01-08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evice and display operating in two dimensional and auto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modes
JP2011238908A (ja) 2010-04-16 2011-11-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6011B2 (ja) 2022-01-17
JP2022058358A (ja) 2022-04-12
US20160154435A1 (en) 2016-06-02
JP2021064006A (ja) 2021-04-22
JP7200343B2 (ja) 2023-01-06
US10534401B2 (en) 2020-01-14
US20180307277A1 (en) 2018-10-25
US10031554B2 (en) 2018-07-24
JP2016110117A (ja)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6011B2 (ja) 表示システム
JP7499917B2 (ja) El表示装置、電子機器
JP6788711B2 (ja) 表示装置
JP7402373B2 (ja) 発光装置
JP2024125327A (ja) 表示装置
JP2023164868A (ja) El表示装置、電子機器
JP2024152830A (ja) タッチパネル
TW202234224A (zh) 觸控面板
JP7397957B2 (ja) 半導体装置
TW202439642A (zh) 半導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10001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122

Effective date: 2024040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