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690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8690A KR20160048690A KR1020150148195A KR20150148195A KR20160048690A KR 20160048690 A KR20160048690 A KR 20160048690A KR 1020150148195 A KR1020150148195 A KR 1020150148195A KR 20150148195 A KR20150148195 A KR 20150148195A KR 20160048690 A KR20160048690 A KR 201600486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silver
- flexible battery
- pattern
- flexib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FOIXSVOLVBLSDH-UHFFFAOYSA-N Silver ion Chemical compound [Ag+] FOIXSVOLVBLSD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3378 silver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SQGYOTSLMSWVJD-UHFFFAOYSA-N silver(1+) nitrate Chemical compound [Ag+].[O-]N(=O)=O SQGYOTSLMSWV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042 Silver nanowi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1710134784 Agnoprote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961 silver nit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YPNVIBVEFVRZPJ-UHFFFAOYSA-L silver sulfate Chemical compound [Ag+].[Ag+].[O-]S([O-])(=O)=O YPNVIBVEFVRZPJ-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367 silver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071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YEJRWHAVMIAJKC-UHFFFAOYSA-N 4-Buty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O1 YEJRWHAVMIAJ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56 non-aqueous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CEJCSULJQNRQQ-UHFFFAOYSA-N 2-methylbut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C#N RCEJCSULJQNR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93 poly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ZXUZKXVROWEIF-UHFFFAOYSA-N 1,2-but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1COC(=O)O1 ZZXUZKXVROWE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RIBMENBGGCKPD-UHFFFAOYSA-N 3-(2,3-dimethoxyphenyl)prop-2-enal Chemical compound COC1=CC=CC(C=CC=O)=C1OC FRIBMENBGGCK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ZJPLYNZGCXSJM-UHFFFAOYSA-N 5-vale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CO1 OZJPLYNZGCXS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42 Benzoyl pe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00 benzoyl pe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8620 butyrolacto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ZQMIGQNCOMNODD-UHFFFAOYSA-N diacetyl peroxide Chemical compound CC(=O)OOC(C)=O ZQMIGQNCOMNO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UPKGFBOKBGHFZ-UHFFFAOYSA-N di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CC VUPKGFBOKBGH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YEDOLFRAIXARV-UHFFFAOYSA-N ethyl 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C CYEDOLFRAIXA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KQAVHGECIBFRQ-UHFFFAOYSA-N methyl 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 KKQAVHGECIBF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NGIFLGASWRNHJ-UHFFFAOYSA-L 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3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3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KYONYBAUNKHLG-UHFFFAOYSA-N prop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COC(C)=O YKYONYBAUNKH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19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YVXNLLUYHCIIH-UHFFFAOYSA-N (+/-)-mevalonolactone Natural products CC1(O)CCOC(=O)C1 JYVXNLLUYHCI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URPTKYDGMDSBL-UHFFFAOYSA-N 1-butoxybutane Chemical compound CCCCOCCCC DURPTKYDGMDS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GJCFVYMIJLQJO-UHFFFAOYSA-N 1-dodecylperoxydo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OCCCCCCCCCCCC LGJCFVYMIJLQ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MPJBNCRMGITSC-UHFFFAOYSA-N Benzoylperox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OC(=O)C1=CC=CC=C1 OMPJBNCRMGIT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8347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70 Cupro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7925 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ECTF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68 Li 2 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33 L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38 LiAlCl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093 LiAl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090 LiA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15 LiAs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689 LiM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131 L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716 LiN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30 LiNiCo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90 LiN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424 LiS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513 LiSb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0126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YVXNLLUYHCIIH-ZCFIWIBFSA-N R-mevalonolactone, (-)- Chemical compound C[C@@]1(O)CCOC(=O)C1 JYVXNLLUYHCIIH-ZCFIWIBF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OXUFMZTHZXOGC-UHFFFAOYSA-N [Li].[Mn].[Co].[Ni] Chemical compound [Li].[Mn].[Co].[Ni] SOXUFMZTHZXO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ZLJNVMRJXHARQ-UHFFFAOYSA-N [Zr].[Cr].[Cu] Chemical compound [Zr].[Cr].[Cu] QZLJNVMRJXHA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MFGNRRURHSENX-UHFFFAOYSA-N beryllium copper Chemical compound [Be].[Cu] DMFGNRRURHSE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411 cell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17 cellulose acetate butyr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TXONRUJVYXVTJ-UHFFFAOYSA-N chromium copper Chemical compound [Cr][Cu][Cr] ZTXONRUJVYXVT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QHLDYVWEZKEOX-UHFFFAOYSA-N cumene hydroperoxide Chemical compound OOC(C)(C)C1=CC=CC=C1 YQHLDYVWEZKE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UREBDLICKHMUKA-CXSFZGCWSA-N dexametha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F)[C@@H]1[C@@H]1C[C@@H](C)[C@@](C(=O)CO)(O)[C@@]1(C)C[C@@H]2O UREBDLICKHMUKA-CXSFZGCWSA-N 0.000 description 1
- LSXWFXONGKSEMY-UHFFFAOYSA-N di-tert-butyl peroxid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 LSXWFXONGKSE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83 dialkyl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0 dry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TVZJERGLQHEKB-UHFFFAOYSA-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C(=O)C(C)=C STVZJERGLQHE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5 gel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4 glyc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4 inorgan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7 interca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89 lithium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CFSQHQYDZIPRL-UHFFFAOYSA-N lithium;bis(1,1,2,2,2-pentafluoroethylsulfonyl)azanide Chemical compound [Li+].FC(F)(F)C(F)(F)S(=O)(=O)[N-]S(=O)(=O)C(F)(F)C(F)(F)F ACFSQHQYDZIP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061 mevalonolact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93 optoelectronic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HZRKQCHJFHJPX-UHFFFAOYSA-N oxacycloundeca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O1 GHZRKQCHJFHJP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48 perfluor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43 poly(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35 poly(methyl vinyl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69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15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61 region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ZTYEUCBTNJJIW-UHFFFAOYSA-K silver;zirconium(4+);phosphate Chemical compound [Zr+4].[Ag+].[O-]P([O-])([O-])=O RZTYEUCBTNJJIW-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73 ureth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APBSGBWRJIAAV-UHFFFAOYSA-N ε-Cap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O1 PAPBSGBWRJI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에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추고 감겨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본체에 플렉서블 배터리가 구비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디지털화와 고성능화 등으로 소비자의 요구가 바뀜에 따라 시장 요구도 박형 및 경량화와 고에너지 밀도에 의한 고용량을 지니는 전원 공급 장치의 개발로 흐름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에너지 밀도 및 대용량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슈퍼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및 수도 커패시터(Pseudo capacitor)) 등과 같은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전자기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전자종이(flexible e-paper),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flexible-LCD),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flexible-OLED) 등이 적용된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를 위한 전원 공급 장치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중 하나로 플랙서블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플랙서블 배터리는 플랙서블한 성질을 지닌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납 축전지와,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니켈-아연 배터리 등 다른 배터리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갖는다.
상기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데, 주로 금속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캔을 용기로 사용하는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형태가 고정되므로 전기 제품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단점이 있고 부피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앞서 언급했듯이 모바일 전자기기는 발전되어 박막화되고 소형화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하여, 기존의 금속캔을 사용한 리튬이온 배터리나, 각형 구조의 배터리는 상기와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전해질을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파우치에 넣고 실링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질량당 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과도한 밴딩이 일어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내장된 전극조립체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으로 상기 전극조립체가 파손되어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 중에 송곳이나 바늘 등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나 각종 물체의 모서리에 파우치형 배터리가 찍히는 경우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 파우치형 배터리에 내장된 전극조립체가 손상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서로 일치된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롤링이 일어나더라도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롤링시 지지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배터리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배터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지지체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플렉서블 배터리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가 은 나노 성분을 포함하는 패브릭층에 의해 감싸짐으로써 은 성분을 통하여 인체에 이로운 효과 및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에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추고 감겨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외부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감겨지는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2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외부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내장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제2단자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3단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롤링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본체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의 지지체가 배치될 수 있다.되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상면과 하면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는 은(Ag)나노 성분을 포함하는 선재를 통해 감겨져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 성분은 은염류(silver salts), 은나노체(nano silver), 은이온 담지체(silver ion exchangers)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염류는 질산은(AgNO3), 황산은(Ag2NO4) 및 염화은(AgC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체는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은나노입자(silver nanoparticle), 은나노튜브(silver nanotube) 및 은나노클러스터(silver nanocluster)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롤링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롤링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본체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의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되는 패턴과 서로 일치하는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상기 외장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상기 제1패턴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산부 및 골부는 호형단면, 다각단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은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등간격과 부등간격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집전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은 겔 폴리머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의 외부면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와 외부간의 열이동을 차단시키는 단열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 및 단열필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섬유웹,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은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웹이며,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복합나노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장재 및 전극조립에 서로 일치된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롤링이 일어나더라도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롤링시 지지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본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본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터리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통해 보호됨으로써 관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가 관통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지지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가 은 나노 성분을 포함하는 패브릭층에 의해 감싸짐으로써 은 성분을 통하여 인체에 이로운 효과 및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접이선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도 8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지지체 및 선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5에서 선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체에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장재, 전극조립체 및 지지체에 형성되는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장재, 전극조립체 및 지지체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패턴이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선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지체가 플렉서블 배터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배터리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지지체와의 적층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밴딩 전후 배터리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접힌 부분에 순간적인 외력을 가했을 경우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접이선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도 8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지지체 및 선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5에서 선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체에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장재, 전극조립체 및 지지체에 형성되는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장재, 전극조립체 및 지지체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패턴이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선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지체가 플렉서블 배터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배터리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지지체와의 적층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밴딩 전후 배터리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접힌 부분에 순간적인 외력을 가했을 경우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110,210) 및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문자나 숫자, 도형 또는 다양한 영상과 같은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1)가 일면에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광투과성 또는 광반사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화소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소는 유기재료, 무기재료 또는 이들 유기 및 무기 재료가 조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형광소자를 사용하는 고효율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형광 이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공지의 플렉서블 액정 또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플렉서블 OLED 백라이트는 플렉서블 LCD를 조명하여 플렉서블 백라이트된 LCD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스플레이를 위해 막에 처리되는 일렉트로닉 잉크와 같은 플렉서블 광전 디스플레이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내부에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기판(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110,210)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유연한 가요성의 기판 위에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와 발광소자 및 그들을 덮어서 보호해주는 봉지층 등이 적층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는 미사용시 롤링을 통해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 용이하게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본체는 공지의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술한 구조 이외에 플렉서블한 방식으로 구현되어 롤링이 가능한 형태라면 모두 채용될 수 있으며, 정전기 방식 또는 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일측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1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112)는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양극과 음극이 통합된 공지의 USB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단자(112)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단자(138,139)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단자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112)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나 메모리 카드 등이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송신받아 상기 표시부(111) 측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112)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내장되는 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로부(160)는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표시부(111) 측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직접 재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단자(1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단자(114)는 공지의 충전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전원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상기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별도의 외부 충전기기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재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단자(114)는 상기 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단자(112) 및 충전단자(114)는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재충전하는 브릿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작동을 온/오프 하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를 통한 동영상의 재생시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스피커 및 외부로부터의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 등도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로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내장(도 1b 참조)되거나 지지바(170) 측에 내장(도 2b 참조)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부(16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1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164)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로부(160)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무선 신호의 프로세싱을 위한 성능을 제공하며, 데이터 암호화를 포함하는 임의 개수의 신호 처리 기술을 포함하여 제3자의 간섭, 잡음 감쇄, 백그라운드 잡음 소멸, 에코 소멸 및 음질 향상 등과 같은 기타 기술로부터 안전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160)는 혼합 무선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의 특성에 따라 단거리, 적외선 신호 또는 중단거리 및 장거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성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부(160)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16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210)가 수신하거나 입력받은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제어 데이터의 표시 또는 저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거나 동시에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회로부(160)는 출력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입력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같은 무선 트랜시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160)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기판상에 상기 회로부가 실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10)가 감겨지는 지지바(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170)는 일정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10)의 롤링시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170)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 본체(210)로부터 돌출되는 단자(2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17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172) 측으로 단자(212)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170) 및 디스플레이 본체(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10)는 지지바(170)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10)의 일측에 지지바(17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로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10)에 내장될 수도 있지만(도 1b 참조),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70) 측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수용홈(172)은 상기 단자(212)의 삽입시 상기 단자(212)를 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단자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단자(212)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및 디스플레이 본체(210)를 상기 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212)를 통해 상기 회로부(160)로부터 디스플레이 본체 측으로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1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로부(160)가 지지바(170)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지지바(170)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17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176)는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양극과 음극이 통합된 USB 타입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176)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나 메모리 카드 등이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상기 표시부(111) 측에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170)의 일측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직접 재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단자(17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단자(174)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전원이 일부 또는 전부 소진된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단자(174)는 상기 충전기기와 직접연결될 수도 있고 공지의 충전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174)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상기 회로부(160) 및 단자(212)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재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단자(174) 역시 상기 지지바(170)에 내장되는 상기 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부(160)를 통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일면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디스플레이 본체(110,210)가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를 보조하는 보조배터리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롤링시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와 함께 롤링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0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와 마찬가지로 롤링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대략 동일한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면적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음으로써 고용량의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전극조립체(130) 및 외장재(121,122)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130)가 전해액과 함께 외장재(121,122)의 내부에 봉지된다.
이때, 상기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37)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외장재(121,122)에 형성되는 제1패턴(126)과 상기 전극조립체(130)에 형성되는 제2패턴(139)이 서로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패턴(126,137)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롤링시 휘어지는 부분에서 곡률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길이변화량을 상쇄하여 줌으로써 기재 자체가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를 구성하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므로 사용과정에서 반복적인 밴딩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더라도 휘어지는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가 롤링시 국부적으로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패턴(126) 및 제2패턴(139)은 서로 동일한 방향성뿐만 아니라 제1패턴(126)과 제2패턴(139)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패턴(126)과 제2패턴(139)이 항상 동일한 거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링 상태에서 펼쳐진 평판 상태로 변경되거나 평판 상태에서 롤링 상태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항상 제1패턴(126)과 제2패턴(139)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23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양 단부측에 힘을 가하여 굽혀진 부분에서의 곡률이 25mm가 되도록 밴딩시키고 120회의 충방전을 수행하게 되면,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경우 밴딩하지 않았을 때의 용량(130mAh)에 비하여 대략 15% 감소된 용량(110mAh)을 나타내었고 120회가 수행되더라도 성능이 유지되었으나(실시예), 외장재 측에만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 플렉서블 배터리의 경우 최초대비 대략 60% 감소된 용량(52mAh)에서 서서히 떨어지는 성능을 나타내었고 50회가 넘어갈 경우 충방전이 불가능 하였으며(비교예 1),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경우 최초대비 대략 80% 감소된 용량(26mAh)의 저하가 발생하였고 30회가 넘어갈 경우 충방전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교예 2).
한편,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길이 중간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 시간에 따른 배터리에서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경우에는 전압값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나(실시예), 외장재 측에만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 플렉서블 배터리와(비교예 1),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비교예 2)는 전압값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달리 말하면,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37)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성능의 저하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외장재 측에만 패턴을 형성하거나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모두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밴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하여 배터리로서의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상기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에 롤링시 발생되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37)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롤링에 의한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전극조립체(130)와 외장재(121,122)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항상 균일한 간격 또는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전극조립체(130)와 함께 봉지되는 전해액이 전체 길이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배터리로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패턴(126) 및 제2패턴(139)은 각각의 산부 및 골부가 상기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1패턴(126) 및 제2패턴(139)을 구성하는 산부 및 골부는 산부는 산부끼리, 골부는 골부끼리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패턴(126) 및 제2패턴(139)이 서로 합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패턴(126) 및 제2패턴(139)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산부 및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상기 패턴(126,137)은 상기 전극조립체(130) 및 외장재(121,122)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14 참조), 상기 전극조립체(130) 및 외장재(121,122)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길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5 참조).
여기서, 상기 산부 및 골부는 반원을 포함하는 호형단면, 삼각이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단면 및 호형단면과 다각단면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동일한 피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피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도 16 내지 도 19 참조).
이를 통해, 외장재(121,122) 및 전극조립체(130)가 반복적인 밴딩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더라도 상기 패턴(126,137)을 통해 수축 및 이완의 변화량이 상쇄됨으로써 기재 자체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패턴(126) 및 제2패턴(139)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외장재(121,122)에 형성되는 제1패턴(126)은 상기 외장재(121,122)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상기 제1패턴(126)이 상기 전극조립체(130) 및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3)를 형성하는 제1영역(S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전해액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124)를 구성하는 제2영역(S2) 측에는 상기 제1패턴(126)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패턴(126)을 따라 전해액이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고 제1외장재(121)와 제2외장재(122)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패턴(126)이 제1영역(S1)에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패턴(126)은 제1영역(S1)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130)의 면적과 일치하는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외장재(121,122)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130) 및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3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장재(121,122)는 한 쌍의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로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는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영역(S1)과, 상기 제1영역(S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전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를 형성하는 제2영역(S2)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장재(121,122)는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상기 밀봉부를 구성하는 테두리측이 모두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나머지 부분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외장재(121,122)는 제1수지층(121a,122a)과 제2수지층(121c,122c)의 사이에 금속층(121b,122b)이 개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장재(121,122)는 제1수지층(121a,122a), 금속층(121b,122b) 및 제2수지층(121c,122c)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지층(121a,122a)은 내측에 배치되어 전해액과 접하고 상기 제2수지층(121c,122c)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지층(121a,122a)은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lyp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 중 하나의 단일층 구조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CPP (casting polyprolyp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중 2종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지층(121a,122a)은 평균두께가 20㎛ ~ 8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가 20㎛ ~ 6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수지층(121a,122a)의 평균두께가 20㎛ 미만이면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의 테두리 측을 밀봉하는 과정에서 서로 맞접하는 제1수지층(121a,122a)간의 접합력 이 떨어지거나 전해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을 확보하는데 불리할 수 있고, 평균두께가 80㎛를 초과하게 되면 비경제적이며 박형화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금속층(121b,122b)은 제1수지층(121a,122a)과 제2수지층(121c,122c)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수용부 측으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해액이 수용부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층(121b,122b)은 습기 및 전해액이 통과할 수 없도록 밀도가 조밀한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층(121b,122b)은 포일(foil)류의 금속박판이나 후술할 제2수지층(121c,122c) 상에 통상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금속증착막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턴 형성시 금속층의 크랙이 방지되어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층(121b,122b)은 알루미늄, 구리,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백동, 베릴륨-구리(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철-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층(121b,122b)은 선팽창 계수가 1.0 ~ 1.7×10-7/℃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 ~ 1.5×10-7/℃일 수 있다. 이는, 선팽창 계수가 1.0 ×10-7/℃ 미만이면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어 밴딩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고, 선팽창 계수가 1.7 ×10-7/℃을 초과하게 되면 강성이 저하되어 형태의 변형이 심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금속층(121b,122b)은 평균두께는 5㎛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12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0㎛일 수 있다.
이는, 금속층의 평균두께가 5㎛ 미만이면 수용부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거나 수용부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수지층(121c,122c)은 외장재(121,122)의 노출면 측에 위치하여 외장재의 강도를 보강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하여 외장재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2수지층(121c,122c)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PI(polyimide) 및 불소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또는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PTFE(polytetra fluoroethylene), PFA(perfluorinated acid), FEP(fluorinated ethelene propylene copolymer), ETFE(polyethylene tetra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ECTFE(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및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수지층(121c,122c)은 평균두께가 10㎛ ~ 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가 15㎛ ~ 4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5㎛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수지층(121c,122c)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50㎛를 초과하는 것은 기계적 물성의 확보에는 유리하나 비경제적이고 박형화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상기 금속층(121b,122b)과 제1수지층(121a,122a)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금속층(121b,122b)과 제1수지층(121c,122c) 간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역할과 함께, 외장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액이 외장재의 금속층(121b,122b)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산성의 전해액으로 금속층(121b,122b)이 부식되거나 제1수지층(121a,122a)과 금속층(121b,122b)이 박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사용과정 중에 이상 과열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플렉서블 배터리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수지층(121a,122a)과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층은 실리콘, 폴리프탈레이트,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PPa, acid modified polypropylene) 및 산 변성 폴리에틸렌(Pea, acid modified 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층은 금속층(121b,122b)과 제2수지층(121c,122c) 간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역할과 함께,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사용과정 중에 이상 과열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는 경우 안전성 및 내부 단락 등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은 평균두께가 5㎛ ~ 3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2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착층의 평균두께가 5㎛를 초과하면 안정적인 접착력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박형화에 불리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상기 금속층(121b,122b)과 제2수지층(121c,122c) 사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층(dry lamination layer)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금속층(121b,122b)과 제2수지층(121c,122c)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공지의 수성 및/또는 유성의 유기용제형 접착제를 건조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은 평균두께 1㎛ ~ 7㎛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 5㎛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5㎛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의 평균두께가 1㎛ 미만이면 접착력이 너무 약해서 금속층(121b,122b)과 제2수지층(121c,122c)간의 박리가 발생할 수 있고, 7㎛를 초과하면 불필요하게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220)는 실링부(124)를 포함하는 양 측단 측이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이선(125)을 매개로 상기 수용부(123)의 상면측 또는 하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130)가 수용되는 수용부(123)를 제외한 불필요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여기서, 상기 접이선(125)은 상기 외장재(121,122)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220)는 상기 수용부(12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부(124)의 폭이 외장재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접혀지는 해당 폭만큼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수용부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링부의 폭을 최소화하여 데드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상기 수용부(123)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20)의 전체적인 크기가 동일하더라도 넓어진 수용부(123)의 면적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전극조립체(130)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음으로써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고용량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23)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양극(132) 및 음극(1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전극단자(138,139)가 포함되지 않는 실링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20)에서 수용부(123)의 상면 측 또는 하면 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수용부(123)의 동일면 상으로 접이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면 상으로 각각 접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이선(125)은 상기 실링부(124) 상에 배치되어 실링부(124) 중 일부의 폭이 접이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123)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도 10 참조). 다시 말하면, 상기 접이선(125)은 상기 수용부(123)와 실링부(124)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수용부(123)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부(123)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130)의 측단과 상기 수용부(123) 및 실링부(124)를 구획하는 경계선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외장재(121,122)가 접이되는 지점을 가이드하는 접이선(125)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12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121,122)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실링부(124) 중 일부를 접이하는 과정에서 구부러지는 부분이 항상 수용부(123)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외장재를 구성하는 상기 제1수지층(121a,122a)이 접착제에 의해 경화가 일어나면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접이과정에서 상기 접이선(125)이 접착제와 직접 접촉되는 실링부(124)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제1수지층(121a,122a)이 경화되어 접이 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크랙을 통해 수용부(123)에 수용된 전해액이 누설되고, 누설된 전해액이 제1수지층(121a,122a)에 적층된 금속층(121b,122b)을 통해 이동됨으로써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이선(125)이 접착제가 배치되지 않는 수용부(123) 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한 제1수지층(121a,122a)의 경화를 방지함으로써 접이에 의해 상기 제1수지층(121a,122a)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달리 말하면, 데드스페이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링부(124)를 포함한 테두리측을 상기 수용부(123)의 일면 측으로 접이하게 되는 경우, 접이되는 부분이 상기 접이선(1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접이됨으로써 상기 접이선(125)과 일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이선(125)이 상기 수용부(123)와 연결되는 실링부(124)의 경계선에 위치하거나 실링부(124)측에 치우치도록 위치하게 되면, 접이되는 부분이 실링부(124)에 위치하거나 실링부(124) 및 수용부(123)의 경계선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수지층(121a,122a)이 상기 실링부(124)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한 경화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접이과정에서 접착제에 의해 경화된 제1수지층(121a,122a)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수용부(123)에 수용된 전해액은 상기 크랙을 통해 누수되어 제1수지층(121a,122a)에 적층된 금속층(121b,122b)으로 이동됨으로써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이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상기 접이선(125)이 실링부(124)의 내측영역, 즉 상기 수용부(123) 및 실링부(124)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수용부(123)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한 경화를 방지하여 접이되는 부분에서의 크랙 발생을 없애줌으로써 전해액의 누설에 의한 전기적인 쇼트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장재(121,122)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전극조립체(130)는 상기 외장재(121,122)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32), 음극(136) 및 분리막(134)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132)은 양극집전체(132a) 및 양극 활물질(132b)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36)은 음극집전체(136a) 및 음극 활물질(136b)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집전체(132a) 및 음극집전체(136a)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시트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132) 및 음극(136)은 각각의 집전체(132a,136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활물질(132b,136b)이 압착 또는 증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물질(132b,136b)은 집전체(132a,136a)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일부 면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집전체(136a) 및 양극집전체(132a)는 박형의 금속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티타늄, 크롬, 망간, 철, 코발트, 아연, 몰리브덴, 텅스텐, 은, 금 및 이들이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극집전체(132a) 및 음극집전체(136a)는 각각의 몸체로부터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음극단자(138) 및 양극단자(13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139) 및 음극단자(138)는 상기 양극집전체(132a) 및 음극집전체(136a)로부터 연장되어 외장재(121,122)의 일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외장재(121,122)의 표면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양극 활물질(132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LiCoO2, LiNiO2, LiNiCoO2, LiMnO2, LiMn2O4, V2O5, V6O13, LiNi1 -x- yCoxMyO2(0 ≤ x≤ 1, 0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 금속 산화물, NCM(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계 활물질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이 1종 이상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136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음극 활물질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섬유,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 활물질, 주석 산화물, 이들을 리튬화한 것, 리튬, 리튬합금 및 이들이 1종 이상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탄소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와이어, 탄소나노섬유, 흑연, 활성탄, 그래핀 및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양극 활물질(132b) 및 음극 활물질(136b)에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는, 밴딩시 상기 양극 활물질(132b) 및 음극 활물질(136b)이 각각의 집전체(132a,136a)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PTFE 성분은 양극 활물질(132b) 및 음극 활물질(136b) 각각의 총중량에서 0.5 ~ 20 wt%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wt%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132)과 음극(136)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134)은 부직포층(134a)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층(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34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층(134b)은 방사성 및 균일한 기공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아크릴니트릴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는 평균직경 0.1 ~ 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 미만이면 분리막이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면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분리막의 탄성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리막(134)은 전해액으로 겔 폴리머 전해액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겔 폴리머 전해액의 함침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복합 다공성 분리막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matrix)로서 사용되며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와, 방사 가능한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전해액을 함침하고 있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PP 부직포, PE 부직포, 코어로서 PP 섬유의 외주에 PE가 코팅된 이중 구조의 PP/PE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PP/PE/PP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PE에 의해 셧다운 기능을 갖는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섬유로 이루어진 PET 부직포, 또는 셀룰로즈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E 부직포는 융점이 120 ~ 120℃ 일 수 있고, PP 부직포는 융점이 130 ~ 150℃ 일 수 있으며, PET 부직포는 융점이 230 ~ 25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두께가 10 내지 40㎛ 범위로 설정되고, 기공도가 5 내지 55%, 걸리값(Gurley value)은 1 내지 1200 sec/120c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각각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는 팽윤성 고분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팽윤성 고분자에 내열성을 강화할 수 있는 내열성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단일 또는 혼합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형성한 후, 방사용액을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방사하면 방사된 나노섬유가 콜렉터에 축적되어 3차원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용매에 용해되어 방사용액을 형성한 후 전기방사방법으로 방사되어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머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폴리머는 단일 폴리머 또는 혼합 폴리머일 수 있으며, 팽윤성 폴리머, 비팽윤성 폴리머, 내열성 폴리머,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가 혼합된 혼합 폴리머, 팽윤성 폴리머와 내열성 폴리머가 혼합된 혼합 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이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또는 내열성 폴리머)의 혼합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는 9:1 내지 1:9 범위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5:5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비팽윤성 폴리머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열성 폴리머인 것이 많으며 팽윤성 폴리머와 비교할 때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융점도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비팽윤성 폴리머는 융점이 180℃ 이상인 내열성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팽윤성 폴리머는 융점이 150℃이하, 바람직하게는 120~150℃ 범위 내의 융점을 가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팽윤성 폴리머는 전해액에 팽윤이 일어나는 수지로서 전기 방사법에 의하여 초극세 나노섬유로 형성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팽윤성 폴리머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 중 1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성 폴리머 또는 비팽윤성 폴리머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유기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에 의해 팽윤성 폴리머보다 팽윤이 더디게 일어나거나 팽윤이 일어나지 않으며, 융점이 180℃ 이상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열성 폴리머 또는 비팽윤성 폴리머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층(134a)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methacrylate)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층은 무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첨가제는 SiO, SnO, SnO2, PbO2, ZnO, P2O5, CuO, MoO, V2O5, B2O3, Si3N4, CeO2, Mn3O4, Sn2P2O7, Sn2B2O5, Sn2BPO6,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iO2, Al2O3 및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첨가제인 무기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 5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30 n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nm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리막의 평균두께는 10 ~ 1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50㎛일 수 있다. 이는, 분리막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분리막이 너무 얇아서 배터리의 반복적인 구부러짐 및/또는 펴짐에 의한 분리막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을 수 있고, 120㎛를 초과하면 플렉서블 배터리의 박육화에 불리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층은 평균두께 10 ~ 30㎛으로, 바람직하게는 15~ 30㎛로 형성시키고, 상기 나노섬유웹층은 평균두께 1 ~ 5㎛를 갖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130)와 함께 수용부에 봉지되는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의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와 리튬염의 용질이 포함된 유기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로는 부티로락톤(BL),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테르로는 디부틸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케톤이 있으나, 본 발명은 비수성 유기용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튬염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N(CF3SO2)2, LiN(C2F5SO2)2, LiAlO4, LiAlCl4, LiN(CxF2x + 1SO2)(CyF2x + 1SO2)(여기서, x 및 y는 유리수이다.) 및 LiSO3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액상의 전해액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겔 폴리머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전해액으로서 겔 상태의 폴리머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해액으로 액상을 사용하는 경우 밴딩시 발생할 수 있는 누액 및 누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비수성 유기용매와 리튬염의 용질,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을 겔화 열처리시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겔 폴리머 전해질은 상기 유기 전해액을 단독으로 열처리할 수도 있지만,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에서 구비된 분리막에 상기 유기 전해액을 함침시킨 상태에서 열처리하여 모노머를 in-situ 중합하여 겔 상태의 겔 폴리머가 분리막(134)의 기공에 함습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배터리내에서 in-situ 중합 반응은 열 중합을 통해 진행되며, 중합 시간은 대략 20분 내지 12시간 정도 소요되고, 열 중합은 40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는 중합 개시제에 의해 중합 반응이 이루어지면서 중합체가 겔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라면 어떤 것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메타크릴레이트(P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그 중합체에 대한 모노머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와 같은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터트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peroxide),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등의 유기과산화물류나 히드로과산화물류와,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2,2-Azobis(2-cyanobutane)),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나이트릴)(2,2-Azobis(Methylbutyronitrile)) 등의 아조화합물류 등이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형성하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모노머와 반응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즉 겔 폴리머를 형성한다.
상기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는 유기 전해액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의 함량이 1 미만이면 겔형의 전해질이 형성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명 열화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에 대하여 0.0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사용과정 중에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층(121d,122d)이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단열층(121d,122d)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구성하는 외장재(121,122)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재(121,122)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111)와 인접하는 어느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표시부(111)가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와 인접배치 되는 전자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층(121d,122d)은 박막으로 구현될 수 있고, 고열, 예를 들어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에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갖춘 공지된 단열부재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열층(121d,122d)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 및/또는 단열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상기 다공성 기재는 섬유웹,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 및 편물은 섬유가 방향성 및/또는 규칙성을 가지고 배열된 통상의 원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섬유웹 및 부직포는 섬유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집합되어 형성된 기재를 의미하며, 상기 섬유웹은 방사와 동시에 별도의 접착공정이나 접착제의 투입 없이도 섬유간 융착에 의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기재를 의미하며, 상기 부직포는 단섬유 간을 별도의 접착제나 열 등을 통해 부착시켜 제조하는 통상의 부직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다공성 기재를 형성하는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단백질, 폴리에스테르계(PET, PBT 등), 폴리아미드계(나일론6, 나일론66 등), 아크릴계(폴리아크릴로니트릴, 모다아크릴 등), 올레핀계(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비닐계(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등) 및 불소계(PVDF, PCTFE, PTFE 등)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유기섬유 및/또는 유리섬유, 암면섬유 등의 무기섬유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열층(121d,122d)은 섬유웹일 수 있으며, 일예로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웹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고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추기 위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 자체가 접착성을 발현하여 내구성,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복합나노섬유일 수 있다. 이는, 내열성 및 접착성을 통한 내구성, 기계적강도를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복합나노섬유는 모노사 내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6:4 ~ 8.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나노섬유일 수 있다. 이는, PAN과 PVDF가 6:4 비율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어 단열효과를 발현하는 도중에 나노섬유웹의 용융이 발생함에 따라 나노섬유웹의 기공이 현저히 감소하여 단열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AN과 PVDF가 8.5:1.5 비율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기계적 강도, 내구성을 발현시키기 어려우며, PAN의 비율이 높아 전기방사시에 방사성이 현저히 떨어져 생산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목적하는 수준의 기공도와 공경 등을 구현하기 어려워 충분한 단열효과를 발현하는 나노섬유웹을 제조하기 어렵다. 나아가 나노섬유웹과 인서트몰딩으로 제조되는 외부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의 부착력이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0.1㎛ ~ 2㎛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다. 이는,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 미만이면 충분한 다공성을 확보하지 못해서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는 경우, 나노섬유에 의해 형성된 공극이 너무 커서 오히려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량이 2 ~ 6 g/㎡이며, 기공도가 40%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일 수 있고, 또한, 평균공경은 300 ~ 40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나노섬유웹의 기공도가 80% 초과 및/또는 평균공경 400㎛ 초과하는 경우 나노섬유웹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 단열층으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단열층(121d,122d)은 복수 개의 단열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나노섬유웹층과 부직포층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웹의 두께는 3 ~ 10㎛일 수 있고, 부직포의 두께는 10 ~ 4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는 그 자체가 단열층의 기능을 하는 동시에 적층되는 나노섬유웹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시켜 단열층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면과 설명에는 상기 외장재(121,122)의 표면에 단열층(121d,122d)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조립체(130)로부터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단자(139) 및 음극단자(138)의 표면에도 상기 단열층(121d,122d)이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0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적어도 일면에 판상의 지지체(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14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지지하여 롤링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는 사선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지지체(14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상기 패턴(126,137)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비틀림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롤링시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 형성된 상기 패턴(126,137)에 의해 항상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롤링을 허용할 수 있는 적절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14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체(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양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200)가 송곳이나 바늘 등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 또는 가구나 가전제품 등의 모서리 측에 찍히더라도 판상의 지지체(140)를 통해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140)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140)가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일면에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체(14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경계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표시부(111)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양면에 한 쌍의 지지체(140)가 각각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지지체(140)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표시부(111)와 가장 먼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체(140)의 두께가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표시부(111)와 가까운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체(14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21 및 도 22 참조).
이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체(140)에 의해 탄성력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일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탄성력을 갖는 판상의 지지체(140)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롤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 및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롤링 방향에 대하여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 형성된 패턴(126,137)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과도한 롤링에 의해 파손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140)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판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 형성된 패턴(126,137)과 서로 동일한 패턴(144)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40')에 형성된 패턴(144)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 형성된 패턴(126,137)과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140')에 형성되는 패턴(144)은 상기 지지체의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와 접하는 일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전체적인 용량을 증가시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시간을 더욱 늘릴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적층되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10,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고, 복수 개가 적층된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최상층과 최하층에는 한 쌍의 지지체(140)가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하나의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상부측에 다른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가 직접 적층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사이에 상기 지지체(140)가 각각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는 회로부(160) 또는 단자(112) 측에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길이가 동일하더라도 적층되는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개수만큼 전체적인 배터리의 용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지지체(14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및 지지체(140)는 선재(150)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선재(150)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및 지지체(140)를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및 지지체(140)를 일체화하게 된다.
이러한 선재(150)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및 지지체(140)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선재(150)는 은(Ag)나노 성분이 포함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수맥파 차단 및 전자파 차단에 우수한 효과를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에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재(150)는 순도 99.99%의 순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리와 같은 금속이 포함된 은합금으로 이루어진 은사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선재(150)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사(151)로 이루어진 한 가닥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120',220) 및 지지체(140)를 감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은사(151)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닥이 동시에 감기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선재(150')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 또는 은합금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은사(151)를 심사로 사용하고 상기 은사(151)에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사를 권취사(152)로 사용하여 상기 은사(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권취사(152)가 감겨지는 합연사(153)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재(150")는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 또는 은합금으로 이루어진 은사(151)를 제1심사로 사용하고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사(152)를 제2심사로 사용하여 합사한 후 연사기로 연사시켜 합연시킨 합연사(153)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선재(250)는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0c의 합연사(153)를 심사로 사용하고,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사를 권취사(152)로 사용하여 상기 합연사(1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권취사(152)가 감겨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선재(150)는 은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금속 또는 비금속을 상기 은사와 합연한 합연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한 가닥 또는 복수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원섬유는 예를 들어, 한지, PLA(poly lactic acid :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일 수 있으며, 상기 합성섬유는 일례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플로오르에틸렌계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상술한 섬유 재료 이외에도 공지의 다른 섬유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은나노 성분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650여 종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곰팡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은나노 성분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이 구성하는 단백질 시스테인의 -SH기에 부착하여 황화합물로 전환되어 번식을 억제하거나 산소와 작용하는 효소에 부착하여 산화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여 균을 살균하는 즉, 신진대사(소화, 호흡)에 관여하는 부분에 특수한 형태로 작용하여 항균력을 발휘하는 반영구적인 항균제일 수 있다.
한편, 원적외선은 주로 태양에 의해 공급을 받지만 여러가지 광물질을 조합하여 생체리듬에 알맞은 원적외선 세라믹을 만들 수도 있는데, 은(Ag)에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없고 원적외선 방사율도 높게 나오며, 은이온(델타이온)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은나노 성분이 선재(150)에 포함됨으로써 원적외선 및 은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의 세포활성화를 도와주며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은나노 성분은 상기 선재(15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 성분은 은염류(silver salts), 은나노체(nano silver), 은이온 담지체(silver ion exchangers)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염류는 질산은(AgNO3), 황산은(Ag2NO4) 및 염화은(AgC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법을 통해 은염류가 선재(15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은나노체는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은나노입자(silver nanoparticle), 은나노튜브(silver nanotube) 및 은나노클러스터(silver nanocluster)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이온 담지체는 다공성 담지체인 제올라이트(zeolite) 등에 은이온 교환 방식을 통해 은이온을 담지시킨 파우더이며, 상기 은이온 담지체로서 은지르코늄포스페이트(silver zirconium phosphate), 은제올라이트(silver zeolite), 은글라스(silver glass)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200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210 : 디스플레이 본체 111 : 표시부
112 : 단자 114 : 충전단자
212 : 단자 120,120',220 : 플렉서블 배터리
121 : 제1외장재 122 : 제2외장재
121a,122a : 제1수지층 121b,122b : 금속층
121c,122c : 제2수지층 121d,121d : 단열층
123 : 수용부 124 : 실링부
125 : 접이선 126 : 패턴
130 : 전극조립체 132 : 양극
132a : 양극집전체 132b : 양극 활물질
134 : 분리막 134a : 부직포층
134b : 나노섬유웹층 136 : 음극
136a : 음극집전체 136b : 음극 활물질
137 : 패턴 138 : 음극단자
139 : 양극단자 140,140' : 지지체
144 : 패턴 150,150',150",250 : 선재
151 : 은사 152 : 권취사
153 : 합연사 160 : 회로부
162 : 구동회로 164 : 통신회로
170 : 지지바 172 : 수용홈
110,210 : 디스플레이 본체 111 : 표시부
112 : 단자 114 : 충전단자
212 : 단자 120,120',220 : 플렉서블 배터리
121 : 제1외장재 122 : 제2외장재
121a,122a : 제1수지층 121b,122b : 금속층
121c,122c : 제2수지층 121d,121d : 단열층
123 : 수용부 124 : 실링부
125 : 접이선 126 : 패턴
130 : 전극조립체 132 : 양극
132a : 양극집전체 132b : 양극 활물질
134 : 분리막 134a : 부직포층
134b : 나노섬유웹층 136 : 음극
136a : 음극집전체 136b : 음극 활물질
137 : 패턴 138 : 음극단자
139 : 양극단자 140,140' : 지지체
144 : 패턴 150,150',150",250 : 선재
151 : 은사 152 : 권취사
153 : 합연사 160 : 회로부
162 : 구동회로 164 : 통신회로
170 : 지지바 172 : 수용홈
Claims (27)
- 일면에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추고 감겨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외부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단자가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감겨지는 지지바가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2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외부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내장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제2단자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3단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롤링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본체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의 지지체가 배치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상면과 하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는 은(Ag)나노 성분을 포함하는 선재를 통해 감겨져 일체화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 성분은 은염류(silver salts), 은나노체(nano silver), 은이온 담지체(silver ion exchangers)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은염류는 질산은(AgNO3), 황산은(Ag2NO4) 및 염화은(AgCl)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체는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은나노입자(silver nanoparticle), 은나노튜브(silver nanotube) 및 은나노클러스터(silver nanocluster)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롤링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롤링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본체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의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되는 패턴과 서로 일치하는 패턴이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외장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상기 제1패턴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산부 및 골부는 호형단면, 다각단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은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등간격과 부등간격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집전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겔 폴리머 전해액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외부면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와 외부간의 열이동을 차단시키는 단열층이 구비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 및 단열필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섬유웹,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은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웹이며,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복합나노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45528 | 2014-10-24 | ||
KR1020140145528 | 2014-10-24 | ||
KR20150061746 | 2015-04-30 | ||
KR1020150061746 | 2015-04-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8690A true KR20160048690A (ko) | 2016-05-04 |
KR101777099B1 KR101777099B1 (ko) | 2017-09-11 |
Family
ID=5576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8195A KR101777099B1 (ko) | 2014-10-24 | 2015-10-23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203726B2 (ko) |
KR (1) | KR101777099B1 (ko) |
CN (1) | CN107077806B (ko) |
WO (1) | WO2016064240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06700A1 (de) | 2016-04-21 | 2017-10-26 | Hyundai Mobis Co., Ltd. | Elektrisches Servolenk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stimmen seiner Neutralstellung |
US10263216B2 (en) | 2016-11-07 | 2019-04-16 | Samsung Display Co., Ltd. | Rollable display apparatus |
CN112803063A (zh) * | 2021-03-19 | 2021-05-14 | 国家纳米科学中心 | 一种柔性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和应用 |
WO2022103096A1 (ko) * | 2020-11-11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1901631B2 (en) | 2020-11-11 | 2024-0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5363B2 (en) * | 2014-11-28 | 2019-01-22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Electronic device |
CA2923917A1 (en) * | 2015-03-17 | 2016-09-17 | Roel Vertegaal | Flexible display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
KR101848417B1 (ko) * | 2015-04-27 | 2018-04-12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웨어러블 장치 |
CN104851366B (zh) * | 2015-05-29 | 2018-02-0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USD835596S1 (en) * | 2015-08-31 | 2018-12-1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phone |
USD802554S1 (en) * | 2015-08-31 | 2017-11-14 | Lg Electronics Inc. | Mobile phone |
USD836076S1 (en) * | 2015-08-31 | 2018-12-18 | Lg Electronics Inc. | Mobile phone |
US10361385B2 (en) | 2016-02-12 | 2019-07-2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102536250B1 (ko) * | 2016-03-17 | 2023-05-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505879B1 (ko) | 2016-03-24 | 2023-03-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205487282U (zh) * | 2016-04-06 | 2016-08-17 |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显示模组、显示装置 |
KR102471116B1 (ko) * | 2016-05-12 | 2022-11-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 |
KR102605289B1 (ko) * | 2016-09-05 | 2023-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07452982B (zh) * | 2017-06-17 | 2019-05-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电池及其制备方法 |
KR102266152B1 (ko) * | 2018-02-22 | 2021-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08878487B (zh) * | 2018-06-26 | 2021-03-30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
KR102661698B1 (ko) * | 2018-11-29 | 2024-05-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CN111276044B (zh) * | 2018-12-04 | 2021-11-2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供电模组、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1326069A (zh) * | 2018-12-17 | 2020-06-23 |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
KR102657713B1 (ko) * | 2019-01-18 | 2024-04-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
KR20200109433A (ko) | 2019-03-12 | 2020-09-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이의 시스템, 및 이의 시스템 동작 방법 |
CN110071155A (zh) * | 2019-04-26 | 2019-07-30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
KR20210041156A (ko) | 2019-10-04 | 2021-04-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CN111564677A (zh) | 2020-05-25 | 2020-08-2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柔性显示装置 |
KR20220008586A (ko) | 2020-07-14 | 2022-01-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
CN113194181B (zh) * | 2021-05-08 | 2023-07-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N118476090A (zh) * | 2021-12-27 | 2024-08-09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二次电池 |
CN114495725A (zh) * | 2022-03-14 | 2022-05-13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CN114976208A (zh) * | 2022-07-01 | 2022-08-30 | 电子科技大学 | 一种波浪形柔性锂离子电池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14824B2 (ja) * | 2005-06-06 | 2011-01-19 | 大阪瓦斯株式会社 |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
EP1908047B1 (en) | 2005-06-30 | 2011-08-03 | Creator Technology B.V. | Bagged rollable display with improved lifetime |
JP2008148721A (ja) * | 2006-12-14 | 2008-07-03 | Aruze Corp | 携帯型ゲーム機 |
US9823833B2 (en) * | 2007-06-05 | 2017-11-21 | Immersi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
US8771078B2 (en) * | 2009-06-08 | 2014-07-08 | Cfph, Llc | Amusement device including means for processing electronic data in play of a game of chance |
JP5753258B2 (ja) * | 2011-04-11 | 2015-07-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US8929085B2 (en) * | 2011-09-30 | 2015-01-06 | Apple Inc. | Flexible electronic devices |
US8970455B2 (en) * | 2012-06-28 | 2015-03-03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ntent displayed on a flexible display |
WO2014047185A2 (en) * | 2012-09-18 | 2014-03-27 | Miller Resort Llc | Modifiable display devices and systems |
KR102066075B1 (ko) * | 2012-12-12 | 2020-01-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CN203786602U (zh) | 2014-01-04 | 2014-08-20 |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 一种可穿戴的电子终端设备 |
EP3190641B1 (en) * | 2014-09-04 | 2020-06-24 | Amogreentech Co., Ltd. | Flexible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auxiliary battery comprising flexible battery |
US9819907B2 (en) * | 2014-09-25 | 2017-11-14 | Steve H. McNelley | Communication stage and related systems |
-
2015
- 2015-10-23 US US15/521,549 patent/US10203726B2/en active Active
- 2015-10-23 WO PCT/KR2015/011264 patent/WO201606424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0-23 KR KR1020150148195A patent/KR1017770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0-23 CN CN201580057051.0A patent/CN107077806B/zh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06700A1 (de) | 2016-04-21 | 2017-10-26 | Hyundai Mobis Co., Ltd. | Elektrisches Servolenk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stimmen seiner Neutralstellung |
US10263216B2 (en) | 2016-11-07 | 2019-04-16 | Samsung Display Co., Ltd. | Rollable display apparatus |
WO2022103096A1 (ko) * | 2020-11-11 | 2022-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1901631B2 (en) | 2020-11-11 | 2024-0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
CN112803063A (zh) * | 2021-03-19 | 2021-05-14 | 国家纳米科学中心 | 一种柔性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和应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64240A1 (ko) | 2016-04-28 |
US10203726B2 (en) | 2019-02-12 |
US20170329368A1 (en) | 2017-11-16 |
CN107077806A (zh) | 2017-08-18 |
CN107077806B (zh) | 2019-11-05 |
KR101777099B1 (ko) | 2017-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7099B1 (ko)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80591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과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JP6667509B2 (ja) | 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そ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を含む補助バッテリー、及び、モバイル電子機器 | |
KR102422935B1 (ko) | 헬멧 | |
US20210028464A1 (en) | Battery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CN107112573B (zh) | 多层线缆型二次电池 | |
KR102535891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KR102406836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시계줄 | |
KR102497816B1 (ko) |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시계줄 | |
KR101736814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과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KR102108903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KR102497815B1 (ko) |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시계줄 | |
KR102045020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KR102455787B1 (ko) |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KR20160031441A (ko) |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
KR20160042794A (ko) | 플렉서블 배터리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