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7273A - 와치 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273A
KR20160047273A KR1020140143508A KR20140143508A KR20160047273A KR 20160047273 A KR20160047273 A KR 20160047273A KR 1020140143508 A KR1020140143508 A KR 1020140143508A KR 20140143508 A KR20140143508 A KR 20140143508A KR 20160047273 A KR20160047273 A KR 2016004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external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touch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욱
오경인
김나영
정모세
신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273A/ko
Priority to EP15164406.9A priority patent/EP3012693B1/en
Priority to US14/703,143 priority patent/US10168978B2/en
Priority to CN201510561232.9A priority patent/CN105549869B/zh
Publication of KR2016004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08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f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e.g. watches, p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는, 외부단말과 접속하도록 이루어진 무선 통신부와,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각 시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와, 외부단말에서 카피(copy)영역의 선택이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에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본체에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치 타입 단말기{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최근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나로, 와치 타입 단말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와치 타입 단말기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여, 다른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가 다른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이 필요해졌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거나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단말에 제공하는 클립보드(clipboard)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단말에서 가져온 컨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컨텐츠의 저장공간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는, 외부단말과 접속하도록 이루어진 무선 통신부와;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각 시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외부단말에서 카피(copy)영역의 선택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본체에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는, 상기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입력이 해제된 시점에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영역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 저장된 다른 컨텐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의 개수 정보가 상기 아이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수 정보가 표시된 아이콘에 제3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개수 정보가 표시된 아이콘을 이동가능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을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터치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카피영역의 선택에 대응되는 터치 제스처가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피영역 및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외부단말에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가능한 상태는,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영역들에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이고, 상기 아이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전송할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아이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터치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외부단말에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가해지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방향의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페이스트 영역에 페이스트하고,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되면 상기 페이스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외부단말이 위치한 방향 또는 처음 터치가 가해진 지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의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페이스트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단말에서 기 실행중이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중이 아닌 경우이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단말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 여부를 문의하는 시각정보를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외부단말에 제1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상기 제1프리뷰 화면이 제2프리뷰 화면으로 전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 제1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2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고 있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상기 외부단말에 페이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수신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래그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영역에 가해지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사용가능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가능한 시간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한 드래그입력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서 상기 카피(copy)영역의 선택이 유지됨에 따라 상기 외부단말과 연결된 기기들의 리스트가 상기 외부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가 사라지고,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단말의 연결에 따라 상기 카피(copy)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카피(copy)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피영역이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에 실행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on) 상태 및 오프(off)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가해지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외부단말에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가해지면, 상기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근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단말에서 카피영역의 선택이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입력을 가하여,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할 때,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 단말에서 가져온 컨텐츠 정보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할당되고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시각과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시각이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되므로, 컨텐츠 정보가 언제 저장되었는지를 직관할 수 있고,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한 번의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최근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바로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페이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가 외부단말과 연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가 외부단말에 출력된 컨텐츠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가 외부단말에 출력된 컨텐츠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예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외부단말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카피할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의 저장공간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카피영역에 포함된 객체에 따라서 다른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다중 선택하여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저장된 컨텐츠 정보와 외부단말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외부단말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모드에 진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에 대한 듀레이션(duration)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외부단말의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근접 터치를 이용하여 외부단말로부터 개인 정보를 가져오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외부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외부단말(200)과 연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 개념도이다. 여기에서, 외부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거나, 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외부단말(200)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은 주변에 통신 가능한 외부단말(200)을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외부단말(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은 주변에 통신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외부단말(200)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나아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 또는 외부단말(200)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단말(200)로 전송되거나, 또는 외부단말(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단말(200)에서 호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통하여 호연결을 수행하거나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외부단말(200)이 근접 거리내에 위치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적어도 즉시 연결가능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겠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와치 타입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 단말기 내 정보, 와치 타입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와치 타입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와치 타입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와치 타입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 단말기 내 정보, 와치 타입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와치 타입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방식은 터치센서의 활성화 주기와 관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주기를 가지면서, 터치센서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센서가 기 설정된 특정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주기는, 0보다 큰 시간(time)에 대응되는 주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센서가 항상 활성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터치센서의 활성화 주기는 0 또는, 0에 매우 가까운 정도의 시간을 갖는 주기일 수 있다.
터치센서의 활성화 여부는, 터치센서의 전력 소모량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터치센서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터치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 초과이면, 활성화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active mode, 이하 '액티브 모드'로 호칭), 상기 터치센서는 계속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입력의 인가를 대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dose mode, 이하 '도즈 모드'로 호칭), 터치센서는 기 설정된 특정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특정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터치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터치입력을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기는 터치센서가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1초에 20번(1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 동안에는, 터치센서도 함께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센서의 활성화 주기(T)는 0이거나, 0에 매우 가까울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의 주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특정 주기보다 몇 배로 짧을 수 있다. 즉,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터치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즈 모드(doze mode)에서, 터치센서에 의하여 기 설정된 터치입력(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을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제1 및 제2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주기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닫힘상태에 있는 경우, 도즈 모드를 실행하고,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와치 타입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와치 타입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와치 타입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와치 타입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 보드(clipboard) 기능'을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클립 보드에 저장할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는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객체 및 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예, 애플리케애이션의 명칭, 최근 실행된 화면정보, 및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컨텐츠들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립 보드 기능'의 실행에 따라 저장된 정보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된 시간동안만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술한 '클립 보드(clipboard) 기능'의 운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나 외부 단말에서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객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호출하여 본체나 외부단말에 페이스트(paste)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일 예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도 2a의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a) 및 제2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외부단말(200)에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카피영역을 선택한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또는 상기 카피영역을 선택하고 기준 시간 이내(예, 수초 이내)에 외부단말(200) 화면의 온(on)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가져와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음을 외부단말(200)에 알려줄 수 있다.
여기에서,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란,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와 그러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카피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로는 텍스트와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조합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 단말로부터 가져와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각 시각에 대응되는 가상의 영역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의하면, 한 번 또는 연속된 터치입력을 통하여 외부 단말에서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와치 타입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시각과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시각이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되므로, 사용자는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언제쯤 저장한 것인지를 직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단말에 대한 클립 보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가 외부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카피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개념도이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는, 소정의 데이터를 복사(copy)하여 붙여넣기(paste)할 수 있는 클립보드(clipboard) 기능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단말(200)에서 출력되는 화면정보 중 일부를 카피(copy)하거나 또는 컷(cut)하는 동작을 '클립(clip) 한다'고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clip) 한다'라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단말(또는 복수의 다른 외부단말들)의 디스플레이에 붙여넣기 하는 동작을 '페이스트(paste) 한다'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touch) 기반의 입력을 사용하여서, 외부단말 및 와치 타입 단말기 간에 '클립 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호버(hover) 기반의 입력을 사용하여 클립 보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사용자의 촉각적인 접촉을 수행함이 없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가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예, 5mm~10mm) 떨어진 상태가 기준 시간(예, 2~3초)을 경과하면, 전기장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패널에 전달됨으로써, 호버(hover)기반의 입력이 수행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웹 페이지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투 핑거(two finger)(또는 쓰리 핑거(three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서 카피하고 싶은 부분을 카피영역(301)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 핑거(two finger)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카피영역의 사이즈가 증가한다. 그리고, 투 핑거(two finger)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카피영역의 사이즈가 감소된다.
선택된 카피영역(301) 주변에는 선택된 영역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박스 형태의 이미지(예, 점선 박스 이미지)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카피영역(301)에는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카피영역(301)이 선택된 상태에서, 카피영역(301)을 선택한 손가락을 고정한 채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도 3의 (b)와 같이, 선택된 카피영역(301)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들의 리스트(302)가 카피영역(301)에 오버랩된다. 이때, 사용자의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는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스트(302)가 출력되고 전술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도 3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입력(예, 싱글 터치, 롱 프레스 등)을 가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카피영역(301)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음을 외부 단말(200)에 알려준다. 그에 따라, 팝업된 리스트(302)가 사라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의 (d)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터치입력(예, 싱글 터치, 롱 프레스 등)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연속하는 다른 터치입력(예, 플리킹 터치입력, 스와이프 입력)(303a)을 가하거나, 상기 터치입력(예, 싱글 터치, 롱 프레스 등)을 해제하고 기준시간이내에 다른 터치입력을 가한 경우, 카피영역(301)에 포함된 데이터들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즉, 선택된 카피영역(301)에 포함된 데이터들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 된다. 선택된 카피영역(301)에 포함된 데이터들이 전송되는 동안, 외부단말(200)및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데이터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된 카피영역(301)에 포함된 데이터들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 여기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이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현재 시각을 가리키는 방향에 위치한 표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된다는 것은, 현재 시각을 가리키는 방향에 위치한 표시 영역에 입력을 가하여, 저장된 데이터들을 호출하거나, 편집하거나, 이동하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들의 전송이 완료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전송된 데이터들이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창(304)이 팝업된다. 메시지창(3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들이 저장된 영역(예, 4시 방향)을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각(예, 4시)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데이터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305)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i' 가 표시된 원 이미지 객체가 4시 방향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그에 따라, 상기 아이콘(305)을 통해 4시쯤에 클립된 데이터가 있음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콘(305)을 통해 클립된 데이터가 있는 영역과 클립된 데이터가 없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된다. 제어부(180)는, 아이콘(305)에 가해지는 입력을 감지하여, 저장된 데이터들을 호출하거나, 편집하거나, 이동하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외부단말(200)에서 출력되는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카피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외부단말(200)에서 카피영역의 선택이 유지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410).
여기에서, 카피영역의 선택은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투 핑거(two finger) 기반 또는 쓰리 핑거(three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예, 홈 스크린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가 출력된 상태에서, 카피(copy) 또는 컷(cut) 하고 싶은 객체를 포함하도록 투 핑거(two finger) 기반 또는 쓰리 핑거(three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인가함으로써, 카피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에 대하여, 상기 터치 제스처가 유효하게 지속되는 것을 조건으로 제1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단말(200)에서 사용자가 손 등으로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카피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예, 투 핑거(two finger) 기반 또는 쓰리 핑거(three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가해지면, 외부단말(200)은 외부단말(200)과 연결된 기기들에 카피영역의 생성 및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의 전송 준비가 완료되었음 알려주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외부단말(200)은 연결된 기기들에 상기 생성된 카피영역의 유효 시간을 함께 전송할 수 있고, 그 유효 시간내에 연결된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락(accept)하는 신호가 외부단말(200)에 수신되면, 외부단말(200)은 수락(accept) 신호를 보낸 기기로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를 전송할 준비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효시간은 카피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유효시간은 카피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그래픽객체(또는, LED, 소리, 진동 등)를 출력하거나 또는 그러한 터치 제스처가 해제되었음을 알려주는 그래픽객체(또는, LED, 소리, 진동 등)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카피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를 유지하고, 유효시간 내에,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외부단말(200)에 수락(accept) 신호가 전송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를 가져올 준비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카피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를 지속하는 동안, 다른 손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를 가한 경우 제1터치입력(예, 싱글 터치, 롱 프레스 등)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터치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지점에 터치-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상태임을 외부단말(200)에 알려준다(S420).
여기에서,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는, 상기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카피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에는 객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조합, 등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최근 실행된 화면정보, 및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들과, 컨텐츠의 설정 정보 (예, 폰트나 크기, 배치 등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실행 중인 메뉴나 상태, 최근 실행된 작업, 버전 정보, 및 그 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부가적으로 저장하는 정보 등이 모두 포함된다.
즉,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상태란, 카피영역에 포함된 객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조합한 데이터들 및 그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최근 실행된 화면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들, 및 최근 실행된 작업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가 외부단말(200)에 알려지면, 외부단말(200)은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에서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려주는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430).
여기에서, 제2터치입력은 전술한 제1터치입력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하여 감지되는 다른 터치입력(예, 플리킹 터치입력, 스와이프 입력, 정해진 터치 패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터치입력은 제1터치입력이 해제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연속하여 인가되는 터치입력(예, 싱글 터치, 롱 프레스, 플리킹 터치입력, 스와이프 입력, 정해진 터치 패턴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에서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외부단말은 전송된 제어명령을 기초로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전송을 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터치입력이 해제된 시점에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것임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위치 또는 영역과 매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는, 도 3의 (e)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Web page 에서 copy한 아이템이 4시방향에 저장됩니다'와 같은 메시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설정에 따라, 컨텐츠 정보가 전송되는 동안, 외부단말(200)에 인가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정보가 전송되는 중에, 외부단말(200)에 인가된 터치 제스처가 해제되거나, 외부단말(200)에 인가된 터치 제스처와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인가된 제2터치입력이 모두 해제되면, 데이터 전송은 중단될 수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2터치입력이 발생된 이후에는 외부단말에 인가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를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440).
여기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현재 시각을 가리키는 방향에 위치한 표시 영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시간정보를 알려주는 본연의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에 시각을 나타내는 방향에 구분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점들은, 예를 들어 1 ~ 12로 이루어진 숫자나 로마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표시되거나 또는 그에 대응되는 눈금 이미지로 표시되거나 또는 가상의 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이러한 구분점들이 12 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초의 구분점이 생성되고, 착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구분점들이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된다는 것은, 현재 시각을 가리키는 방향에 위치한 표시 영역에 입력을 가하여, 저장된 데이터들을 호출하거나, 편집하거나, 이동하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 어디인지를 알 필요 없이, 데이터가 저장된 시각에 대응되는 구분점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을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한다(S450).
이때, 상기 아이콘은 상기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단말(200)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피영역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이콘은 단순히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있음을 알려주는 이미지 객체(예, 'i'가 표시된 이미지)이거나 또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구분되는 표시를 포함하는 다른 이미지 객체일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컨텐츠가 저장되는 시각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콘은 컨텐츠가 저장되는 시각이 오전인 경우와 오후인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이미지(예, 서로 다른 색상, 형상 등)로 출력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9시에 저장된 컨텐츠는 밝은 색상(예, 노랑)의 이미지객체(예, 'i'가 표시된 이미지)로 9시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되고, 오후 10시에 저장된 컨텐츠는 어두운 색상(예, 회색)의 이미지객체(예, 'i'가 표시된 이미지)로 10시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될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오전 9시에 저장된 컨텐츠는 9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안쪽에 출력되고, 오후 9시에 저장된 컨텐츠는 9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바깥쪽(오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 대비)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은, 컨텐츠가 저장되는 시각과 분을 고려하여 현재 시각과 다음 시각의 사이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저장된 시각이 10시 30분인 경우, 상기 아이콘은 10시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11시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시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클립된 데이터가 몇시에 저장되었는지를 기본 화면에서 즉각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외부단말(200)에서 패치된 데이터들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외부단말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200)로 가져올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의 일 실시 예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외부단말(200)에 출력된 웹 페이지의 일부가 카피영역(501)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지점을 터치하면(즉, 제1터치입력을 가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카피영역(501)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상태임을 인식한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제1터치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인가한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변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투 핑거(two finger)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터치지점들만 변경되도록 드래그하면,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객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가 변경된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투 핑거(two finger)간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드래그하면, 카피영역의 크기와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가 모두 변경된다.
이와 같이,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지점을 변경하여 터치영역(501)을 둘러싸는 제1이미지객체(즉, 테두리 형태의 점선 이미지)가 제2이미지객체로 변경되면, 상기 외부단말(200)는 변경된 터치영역(501")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터치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카피영역의 선택에 대응되는 터치 제스처가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카피영역 및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2터치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최종 변경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된다.
그 결과, 도 5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web page에서 copy한 아이템이 4시방향에 수정되었습니다'와 같음 메시지(502)가 팝업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에서 4시 방향에 위치한 표시 영역에는 변경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50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메시지(502)가 팝업된 후 또는 아이콘(503)이 디스플레이된 후,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다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단말(200)에 동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에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카피영역을 다시 선택하고, 그런 다음 상기 아이콘(503)에 롱 프레스 입력을 가하면, 아이콘(503)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다시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로 변경된다. 이때, 상기 아이콘(503)에 롱 프레스 입력을 가해짐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변경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팝업될 수 있다. 이때, 외부단말(200)에 동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경우가 아니면, 새로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기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추가된다.
이하, 도 6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가 클립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공간을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립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된다. 이에, 동일 시각에 복수의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이 동일 영역(또는 동일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일부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a)와 같이, 하나의 아이콘만을 표시하고, 해당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들을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 이미지를 아이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시에는 3개의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제1아이콘(601)이 표시되고, 2시에는 2개의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제2아이콘(602)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는 간단해지지만, 각각의 아이콘을 통하여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제어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에, 도 6의 (b)와 같이, 제2아이콘(602)에 롱 프레스 입력을 가하면, 제2아이콘(602)이 이동가능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602a, 602b)로 전환된다.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602a, 602b)은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며, 제2아이콘(602)과는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미지는 색상, 크기, 입체감, 및 표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602a, 602b)이 펼쳐지면, 이동하고 싶은 서브 아이콘(602b)을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회전하는 드래그 입력을 서브 아이콘(602b)에 가하여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서브 아이콘(602b)을 배치한다. 그리고, 서브 아이콘(602b)이 이동됨에 따라,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저장을 알려주는 배치도 변경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정보의 저장을 알려주는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면, 도 6의 (c)와 같이 변경된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60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팝업된다. 그리고, 도 6의 (d)와 같이, 상기 제2아이콘(602)은 각각 3시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602a")과 4시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602b")으로 대체된다.
이상에서는 설명한 실시 예들은, 외부단말(200)에서 멀티-터치 제스처를 수행하여 카피영역을 선택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싱글 터치를 인가하여 외부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단말(200)에 싱글 터치를 인가하여 카피영역을 선택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멀티-터치 제스처를 수행하여 외부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터치 패턴을 사용하여, 카피대상을 선택할 기기와 카피된 데이터를 가져올 기기를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어느 경우에나 카피할 대상이 먼저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외부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외부단말(200)에서 전술한 멀티-터치 제스처 또는 싱글 터치가 먼저 입력되어야 한다. 즉, 서로 다른 터치 순서에 의하여, 카피대상을 선택할 기기와 카피된 데이터를 가져올 기기를 구분할 수 있다.
도 3의 흐름도의 일 실시 예로서,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객체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예시들을 보인 것이다.
도 7a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전체를 카피 대상으로 선택한 경우이고, 도 7b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일부 객체를 카피 대상으로 선택한 경우이고, 도 7c는 외부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카피 대상으로 선택한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카피영역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같이 독립적인 객체만을 하나씩 카피하는 것이 아니라, 카피영역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URL, 컨텐츠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와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을 원본 데이터 형식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카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현재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또는, 최근 실행화면), 및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컨텐츠들(예, 이미지, 파일, 메모 등), 작성중이었던 임시 데이터(예, 작성중인 이메일 주소, 제목 등) 등과 같은 정보들을 메모리(160)에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먼저, 도 7a의 (a)를 참조하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51)의 일 지점에 싱글 터치(70a)를 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을 가하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작성중이었던 임시 데이터(예, 이메일 수신자 주소, 제목, 내용 등)뿐만 아니라,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선에 관한 정보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옮겨진다.
상기 정보가 전송되는 동안, 외부단말(200)과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도 7a의 (b)와 같이, 데이터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들(701, 702)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설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적어도 외부단말에 가한 싱글 터치(70a)는 계속 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외부단말에 가한 싱글 터치(70a)를 해제하더라도 데이터의 전송이 유효하게 수수행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외부 단말에는 데이터들이 와치 타입 단말기에 카피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703)이 출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704)이 출력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된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부단말(200)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폐곡선 형태의 터치궤적을 그려서, 선택가능한 일부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상의 카피영역과 구별하기 위해, 폐곡선(또는, 라소( lasso)) 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선택가능한 일부 오브젝트란, 카피가 가능한 객체로, 예를 들어, 이미지, 사운드, 파일,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7b의 (a)와 같이, 이메일의 제목과 내용이 라소(lasso) 영역으로 선택된 상태에서(705), 터치를 해제하고 않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을 가하면, 라소(lasso) 영역에 포함된 텍스트들이 블록(block)으로 표시된다(705"). 한편, 라소(lasso) 영역에 이미지들이 포함된 경우에는 각 이미지들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체크 박스에 'x' 또는 'v'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블록(block)으로 표시된 데이터들을 카피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707)가 팝업된다. 'O'표시가 선택된 경우, 블록(block)으로 표시된 데이터들의 전송이 개시되며,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외부단말(200)과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도 7b의 (c)와 같이, 데이터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들(708, 709)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라소(lasso) 영역의 선택은 블록(block)으로 계속 표시되므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에도 외부단말에 가한 터치가 유지될 필요가 없다.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외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는 데이터들이 와치 타입 단말기에 카피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710)이 출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711)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아이콘(711)은 일부 정보만 저장되어 있음을 알수 있도록 특정 표시(예, 'L'표시)(711a)가 인접되게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의 (a)와 같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고, 여기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712)에 싱글 터치가 인가된 상태에서, 기준시간내에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을 가하면, 도 7c의 (c)와 같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된다.
이때,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712)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에 실행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또는, 최근 실행화면), 및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컨텐츠들(예, 이미지, 파일, 메모 등), 작성중이었던 임시 데이터(예, 작성중인 이메일 주소, 제목 등) 등과 같은 데이터들이 수신되어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된다. 그에 따라, 외부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정보 및 최근 실행 상태까지 카피(copy)되므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데이터들이 카피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715)이 출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716)이 나타난다.
이상에서는 외부단말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와치 타입 단말기에 클립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와치 타입 단말기에 클립된 데이터들을 외부단말 또는 다른 기기에 페이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같이 외부단말에서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되는 동작을 '클립(clip) 이벤트'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와치 타입 다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들을 다른 기기에 페이스트하는 동작을 '페이스트(paste) 이벤트'로 정의하기로 한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단말에 대한 터치 제스처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입력 중, 터치가 가해지는 순서에 의하여 클립 이벤트와 페이스트 이벤트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에 싱글 터치가 가해진 다음, 싱글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이 가해지면, 클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이 먼저 가해진 상태에서, 외부단말(200)에 싱글 터치가 이어서 가해지면, 페이스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된 터치패턴의 종류에 따라, 전술한 클립 이벤트와 페이스트 이벤트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가 숏 프레스(short press)이거나 그리고/또는 시각을 나타내는 영역(즉,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으로 밀어넣는 스와이프 터치입력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클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가 롱 프레스(long press)이거나 그리고/또는 시각을 나타내는 영역(즉,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에서 빼내는 스와이프 터치입력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페이스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저장된(또는 클립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 즉 페이스트 이벤트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음에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시침 및 분침을 통해 표시되는 시간정보와 클립된 데이터들이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영역(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도 3의 (e) 참조). 그 다음,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도 8a의 (a)와 같이, 주변의 외부단말과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예, 2~3초),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었던 연결화면(801)이, 도 8a의 (c)와 같이, 클립된 데이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803)으로 전환된다. 선택화면(803)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들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출력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클립된 데이터들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클립된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전송가능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전송가능한 형태란,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연결된 외부단말로 전송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처음의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입력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도록 유지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예,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803a)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 정보가 선택된다. 그리고, 전술한 드래그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도 8a의 (d)와 같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가 가해지면(804a, 804b),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804)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페이스트를 실행하기 위한 메뉴(805)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다른 예에서, 도 8a의 (a)에서 주변의 외부단말과 자동 연결된 후 처음 롱 프레스 터치입력이 기준 시간 내에 해제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었던 연결화면(801)이 도 8a의 (b)와 같이, 클립된 데이터들이 저장된 카피앤페이스트(copy&paste) 화면(802)으로 전환된다. 이때, 카피앤페이스트(copy&paste) 화면(802)에서 외부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정보 항목("paste")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도 8a의 (c)로 넘어간다. 또는, 도 8a의 (b)와 같이, 카피앤페이스트(copy&paste) 화면(802)이 출력된 상태에서, 도 8a의 (d)에 도시된 외부단말(100)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먼저 수행한 후 도 8a의 (c)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카피앤페이스트(copy&paste) 화면(802)에서 카피("copy")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예, 맨 왼쪽 아이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외부단말(200)에서 카피("copy")영역 또는 카피대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나 선택된 카피대상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카피된다.
또 다른 예로, 카피앤페이스트(copy&paste) 화면(802)에서 컨텐츠 정보 항목("paste")을 선택 또는 카피("copy")의 선택 없이, 즉 터치입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단말(200)에서 터치입력 기반의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페이스트(paste)가 수행된다.
도 8b의 (a)는 외부단말(100)에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가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804)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단말(100)에서 가져온 데이터의 저장시에, 이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을 함께 생성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클립된 데이터의 저장시, 클립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프리뷰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전술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프리뷰 화면을 먼저 제공하고, 프리뷰 화면이 최종 선택되면, 그에 연결된 클립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페이스트(paste)한다. 이때, 사용자가 외부단말에 가한 투 핑거(two-finger) 기반의 터치입력에서 한 손가락은 떼고 한 손가락은 유지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예, 스와이프 터치입력), 현재 프리뷰 화면이 클립된 다음 컨텐츠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현재 컨텐츠 화면이 클립된 다음 컨텐츠 화면으로 바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b의 (a)와 같이 프리뷰 화면(804)이 출력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프리뷰 화면(804)과 관련된 제어명령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단말에 프리뷰 화면(804)이 출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방향의 터치입력(예, 외부단말이 위치한 방향을 향하는 플리킹 터치입력)(805a)이 가해지면, 프리뷰 화면(804)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페이스트 영역에 페이스트한다. 이때, 페이스트 영역이란,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전송된 컨텐츠 정보가 표시될 영역을 의미한다.
페이스트 영역은 도 8b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를 움직여서 전송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편집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 핑거의 간격을 벌리거나/모아서 전송된 컨텐츠 정보를 줌-인/줌-아웃시키거나, 또는 투 핑거를 좌/우로 회전하여서 전송된 컨텐츠 정보를 회전시켜서 표시할 수 있다.
편집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페이스트 영역이 조절중임을 알려주는 테두리 이미지(807, 807")가 출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조절된 페이스트 영역에 대응되는 텍스트 표시(806, 806")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8b의 (b) 및 (c)와 같이, 페이스트 영역이 감소한 경우이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텍스트 크기가 감소되어 표시된다.
이때,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이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단말(100)에서 실행중이면, 컨텐츠 정보만 페이스트한다. 또한,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이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단말(100)에서 실행 중이 아니면, 먼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다음에 컨텐츠 정보를 페이스트한다.
또한,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이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단말(1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컨텐츠 정보만 페이스트한다.
다음, 외부단말(200)에 인가된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가 해제되면 페이스트가 종료된다. 그 결과, 도 8b의 (d)와 같이, 최종 선택된 페이스트영역에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가 종료된 경우이면, 전송된 데이터들의 일부가 손실되거나 재전송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팝업될 수 있다.
이때, 외부단말(200)에 투 핑거(two-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거나 또는 투 핑거(two-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에서 한 손가락을 운지한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외부 단말기(200) 방향으로 스와이프입력을 가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 명령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투 핑거(two-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나 한 손가락이 운지된 상태가 해제되더라도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나 이미지에 일 방향으로 스와치프 입력(예, 우측 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을 가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이 취소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면, 외부단말에 프리뷰 화면(804)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2방향의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출력된 프리뷰 화면(804)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페이스트를 취소한다. 그 결과, 출력된 프리뷰 화면(804)이 사라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다중 선택하여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803)이 출력된다. 이때, 선택화면(803)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복수 개 선택되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래그 입력이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901a, 901b, 901c, 901d)에 가해지면, 외부단말(100)로 보내질 컨텐츠 정보가 복수 개 선택된다. 그 결과, 도 9의 (b)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에 'x' 또는 'v' 표시가 된 체크 박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멀티 터치(multi-touch) 기반의 입력방식을 이용하거나 투-핑거(two-finger) 기반의 터치입력에서 한 손을 운지한 상태로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선택화면(803)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다중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복수의 컨텐츠 정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처음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프리뷰 화면(903)이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페이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제1 프리뷰 화면(903)의 우측에는 다음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프리뷰 화면(905)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1 프리뷰 화면(903)의 상단에는 현재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의 위치를 알려주는 아이콘 영역(903a)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입력 중 원 핑커(one finger)는 유지하고 다른 원 핑(another finger)를 이용하여 넘기고 싶은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다음 프리뷰 화면/이전 프리뷰 화면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화면이 넘겨지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9의 (c) 및 (d)와 같이, 이메일 프리뷰 화면(903)이 갤러리 프리뷰 화면(9050으로 전환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도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904)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906)으로 넘겨진다. 이와 같이 프리뷰 화면이 넘겨지는 동안,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인가된 터치입력은 도 9의 (c)와 같이 유지될 수 있고 도 9의 (d)와 같이 해제될 수도 있다. 이때, 프리뷰 화면(903)에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향(예, 위/아래 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을 가하면, 페이스트 대상이 삭제될 수 있다. 즉, 프리뷰 화면(903)이 사라지고, 클립된 다음 컨텐츠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905)이 출력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외부단말에서 기 실행중이면,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중이 아니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한다.
한편,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외부단말에서 기 실행중인 경우에도, 외부단말에 작성중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라면, 정보 손실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페이스트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a 및 도 10b는, 외부단말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저장되는 않은 데이터(temporary data)가 작성된 경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보인 실시 예이다. 도 10a와 도 10b 모두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최근 클립된 데이터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것을 가정하였다.
도 10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말(100)에서 이메일을 작성중인 상태(1001)서 종료하지 않고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가 출력되도록 제어명령을 입력되면, 백 그라운드에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이 유지되고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1002)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을 유지하면서, 홈 스크린 페이지(1002)에 싱글 터치가 가해지지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인가된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이 일 방향(외부단말이 위치한 방향)(a)으로 플리킹되면, 페이스트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때, 외부단말(100)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화면에는 작성중이었던 데이터들이 존재하는 상태이므로, 외부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 대신, 이전에 출력되었던 최근 실행화면(1001)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함께, 최근 실행화면(1001)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를 페이스트할 수 없음을 알려주는 아이콘(1003)을 디스플레이부(251)의 하단에 출력된다. 이에 의하면, 페이스트로 인해 작성중이었던 데이터들이 유실되지 않는다. 이때, 작성중이었던 데이터를 자동 저장한 다음, 새로운 화면이 나타나도록 유도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팝업 창이 출력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도 10b의 (a)와 같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새 이메일 창(1004)이 출력되도록 제어명령을 가한 다음, 도 10b의 (b)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을 유지하면서, 새 이메일 창(1004)에 싱글 터치를 가한다. 그리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인가된 투 핑거 탭(two finger tap)가 일 방향(외부단말이 위치한 방향)(a)으로 플리킹되면, 최근 클립된 데이터가 페이스트가 실행된다. 즉, 와치 타이 단말기(100)에서 외부단말로 전송할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최근 클립된 데이터가 바로 페이스트된다.
그 결과, 도 10b의 (c)와 같이, 새 이메일 창(1004)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가 붙여넣기 되어 나타난다(1005). 그리고,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페이스트 종료를 알려주는 아이콘(1006)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를 외부단말에 바로 페이스트하는 것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기준범위 미만이여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간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은 비활성화된 상태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도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에서,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이를 위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활성화된 상태 및 비활성화된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터치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즈 모드(doze mode)에서, 터치센서에 의하여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시간 정보를 보여주는 동작이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3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제3터치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기준시간 내에 외부단말에서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터치입력은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터치입력으로, 예를 들어,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일 수 있다.
도 11a의 (a) 및 (b)와 같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15)에는 홈 스크린 페이지(1101)가 출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을 인가한 다음,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15)에 싱글 터치를 인가한다. 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한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을 외부단말(100)이 위치한 방향(a)으로 플리킹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최근 클립된 컨텐츠 정보가 외부단말(200)로 페이스트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한 입력이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이면, 추가적인 스와이프 입력을 수행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1a의 (c)와 같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15)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최근 클립된 컨텐츠 정보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함게 작성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1102). 이때,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아무런 화면정보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3터치입력(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이 가해지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클립된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다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이 가해진 상태에서 기준시간(예, 2초)이 경과하면, 도 11b의 (b)와 같이, 클립된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클립보드 (clip board) 화면으로 전환된다.
클립보드 (clip board) 화면에는 컨텐츠 정보가 클립된 순서대로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클립보드(clip board) 화면에 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클립보드(clip board) 화면에 출력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1103a)이 다음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1103b)으로 넘겨진다.
도 11b의 (b) 및 (c)와 같이, 원하는 컨텐츠 정보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1103b)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다시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이 가해진 상태에서, 외부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에 싱글 터치가 인가되고, 상기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이 외부단말(200)이 위치한 방향(a)으로 플리킹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1b의 (e)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예,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작성된 데이터들)가 외부단말(200)에 페이스트된다(1105).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외부단말(200)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 바로 진입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및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들이 순서대로 저장된 것을 가정하였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 같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예를 들어,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12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이 가해지면, 페이스트의 진입을 준비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가 가해지면, 프리뷰 모드에 진입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이 외부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된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또는 투 핑거 롱 탭(two finger long tap)이 가해진 후,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일 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예, 외부단말이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 또는 좌/우 스와이프 입력)이 가해지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바로 외부단말(200)에 페이스트된다.
그러면, 도 12의 (b)와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1201)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1202)으로 전환된다. 이때, 출력된 프리뷰 화면(1202)의 우측에는 다음 프리뷰 화면(1203)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며 상단에는 현재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의 위치를 알려주는 아이콘 영역(1202a)이 출력된다.
이때, 도 12의 (b)와 같이, 투 핑거(two finger) 기반의 터치 제스처 중 원 핑커(one finger)는 유지하고 다른 원 핑(another finger)를 이용하여 넘기고 싶은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도 12의 (c)와 같이, 다음 프리뷰 화면(1203)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되며, 아이콘 영역(1202a)도 대응되게 변경된다.
이때,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에 제1프리뷰 화면(1202)이 출력되는 동안,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프리뷰 화면(1202)에 대응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터치 제스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프리뷰 화면(1202)이 제2프리뷰 화면(1203)으로 전환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2프리뷰 화면(1203)에 대응되는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시킨다.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단말(200)에 인가된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고 있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100)로 페이스트(paste)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c)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1203)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제스처가 해제되면, 도 12의 (d)와 같이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페이스트된다(1203").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 제1프리뷰 화면(1202)이 출력되는 동안,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예, 우측 또는 가로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다음 클립된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2프리뷰 화면(1203)이 상기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외부단말에 인가된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외부단말에 출력되고 있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외부단말에 페이스트된다.
이하, 도 13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를 페이스트할 때, 외부단말에서 정해진 시간동안에만 페이스트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3은, 페이스트할 컨텐츠 정보에 대한 듀레이션(duration)을 설정하는 방법이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페이스트할 컨텐츠 정보에 대한 듀레이션(duration)을 설정하는 방법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를 페이스트하는 시점에, 다른 터치 패턴을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터치 패턴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도 13에서는 와치 타입 단말기에 이메일 컨텐츠 정보가 클립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이 가해진 상태에서,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싱글 터치가 인가되거나 또는 싱글 터치가 인가된 후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의 투 핑거 탭(two finger tap)이 정해진 방향으로 플리킹되면, 도 13의 (b)와 같이, 이메일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1302)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의 투 핑거 탭(two finger tap) 중 적어도 원 핑거(one finger)를 유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 방항(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드래그 입력을 디스플레이부(251)의 가장자리영역에 가하면, 듀레이션(duration)을 설정모드에 진입한다. 그 결과 도 13의 (c)와 같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화면(1302)의 사용가능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정보나 사용가능한 시간의 설정 정보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드래그 입력을 동일방향으로 연장하면, 사용가능한 시간(예, 3시간 58분)이 연장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한 드래그 입력을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면, 사용가능한 시간(예, 3시간 58분)이 단축된다. 즉, 듀레이션(duration)을 설정모드에서 프리뷰 화면(1302)의 사용가능한 시간은 일 방향으로 회전한 드래그입력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이때, 상기 드래그입력의 길이 조절은, 이전에 가해진 원 핑거(one finger) 터치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전에 가해진 원 핑거(one finger) 터치입력을 해제한 다음, 기준 시간 내에(예, 1~2초내에) 추가적으로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입력을 해제하면, 듀레이션(duration)을 설정모드가 해제되면서 프리뷰 화면(1302)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외부단말(200)로 페이스트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1303"), 도 13의 (d)와 같이, 이메일 컨텐츠 정보(1302)가 이전 화면(예, 홈 스크린 페이지)으로 전환되고, 페이스트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음을 알려주는 아이콘(1304)이 디스플레이부(251)에 팝업된다.
이상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3자가 특정 시간동안만 페이스트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하고 자동으로 삭제되므로, 정보 관리 측면에서 편리하다. 이러한 실시 예는 잠금 화면의 해제 또는 로그인을 요구하는 화면정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외부단말의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페이스트할 컨텐츠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인 것이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특성상, 디스플레이부(151)는 크기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출력된 화면을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페이스트할 항목이나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작은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화면 제어가 더욱 어렵다.
이에, 도 14의 (a)와 같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의 상단에 이메일 화면정보가 출력되고(1401), 디스플레이부(251)의 하단에 이메일 작성을 위한 입력영역(예, 가상의 키보드 영역)(1402)이 출력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이메일 컨텐츠 정보가 클립된 것이 감지되면, 입력영역(1402)을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화면 제어 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1401a)이 상기 입력영역(1402)에 인접하여 또는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메뉴 아이콘(1401a)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 아이콘(1401a)은 현재 시각으로부터 역산하여 일정 시간 이내(예, 12시간 이내)에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컨텐츠가 존재하고, 외부단말(100)이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예, 텍스트 입력 커서가 활성화된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외부단말(200)의 클립보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존재하는 클립된 컨텐츠들이 외부단말(200)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가능될 수 있다.
메뉴 아이콘(1401a)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입력영역(1402)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화면 제어 영역(1402")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도 14의 (b)와 같이, 가상의 키보드가 사라지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화면 제어가 가능함을 알려주는 표시가 나타난다.
사용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가림 없이 확인하면서, 화면의 넘김, 이동 호출, 등의 제어가 화면 제어 영역(1402")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12의 (c)와 같이, 화면 제어 영역(1402")에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입력(c)의 감지되면, 다음 컨텐츠 정보(예, 우편번호)(1404)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그리고, 화면 제어 영역(1402")에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입력(a)의 감지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1404)가 페이스트된다(1404").
이에 의하면, 작은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리지 않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를 제어하거나 페이스트할 수 있다.
이하,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의 다른 실시 예로, 근접 터치를 이용하여 외부단말로부터 개인 정보를 가져오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외부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 3의 흐름도의 일 실시 예의 일부로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프라이빗 특성을 고려하여, 패스워드나 아이디(ID)와 같은 개인 정보를 카피하거나 페이스트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말의 디스플레이부(251)에 로그인 정보(15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디스플레이부(251)에 가까이 가져가면, 입력된 아이디정보와 마스크된(masked) 패스워드정보가 도 15의 (b)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언마스크 (unmasked)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의 (c)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예,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입력)을 가하면, 디스플레이된 로그인정보가 클립된다.
이후,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개인 정보 입력영역이 출력된 다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가까이 가져간 다음 일 방향(a)으로 플리킹하면, 도 15의 (d)와 같이, 아이디정보와 마스크된(masked) 패스워드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에 의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클립된 데이터를 키 체인(key chain)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외부단말에서 카피영역의 선택이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입력을 가하여,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정보를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할 때,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함께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또한, 외부 단말에서 가져온 컨텐츠 정보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할당되고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시각과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시각이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되므로, 컨텐츠 정보가 언제 저장되었는지를 직관할 수 있고,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한 번의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최근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바로 외부단말로 페이스트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페이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외부단말과 접속하도록 이루어진 무선 통신부;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각 시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단말에서 카피(copy)영역의 선택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본체에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는, 상기 카피영역에 포함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선택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영역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 저장된 다른 컨텐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의 개수 정보가 상기 아이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수 정보가 표시된 아이콘에 제3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개수 정보가 표시된 아이콘을 이동가능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을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터치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카피영역의 선택에 대응되는 터치 제스처가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피영역 및 상기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제2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카피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외부단말에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전송가능한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영역들에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이고, 상기 아이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전송할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아이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방향의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페이스트 영역에 페이스트하고,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되면 상기 페이스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외부단말이 위치한 방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의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페이스트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단말에서 기 실행중이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중이 아닌 경우이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단말에 페이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외부단말에 제1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상기 제1프리뷰 화면이 제2프리뷰 화면으로 전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 제1프리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2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고 있던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가 상기 외부단말에 페이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수신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영역에 가해지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사용가능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가능한 시간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한 드래그입력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서 상기 카피(copy)영역의 선택이 유지됨에 따라 상기 외부단말과 연결된 기기들의 리스트가 상기 외부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가 사라지고, 상기 본체와 상기 외부단말의 연결에 따라 상기 카피(copy)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의 카피(copy)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피영역이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에 실행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on) 상태 및 오프(off)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가해지는 동안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외부단말에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가해지면, 상기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근 저장된 컨텐츠 정보의 프리뷰 화면이 상기 외부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기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KR1020140143508A 2014-10-22 2014-10-22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60047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08A KR20160047273A (ko) 2014-10-22 2014-10-22 와치 타입 단말기
EP15164406.9A EP3012693B1 (en) 2014-10-22 2015-04-21 Watch type terminal
US14/703,143 US10168978B2 (en) 2014-10-22 2015-05-04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561232.9A CN105549869B (zh) 2014-10-22 2015-09-06 手表式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08A KR20160047273A (ko) 2014-10-22 2014-10-22 와치 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73A true KR20160047273A (ko) 2016-05-02

Family

ID=5301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508A KR20160047273A (ko) 2014-10-22 2014-10-22 와치 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8978B2 (ko)
EP (1) EP3012693B1 (ko)
KR (1) KR20160047273A (ko)
CN (1) CN1055498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8068A1 (ko) * 2020-02-07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클립 보드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8423911B2 (en) 2010-04-07 2013-04-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9727190B2 (en) * 2013-02-25 2017-08-08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5074633B (zh) * 2013-02-25 2018-01-02 夏普株式会社 输入设备和显示装置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20230024225A1 (en) * 2013-09-03 2023-01-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50735B2 (en) 2013-10-30 2019-04-02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KR102066226B1 (ko) * 2013-11-01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CN106662966B (zh) 2014-09-02 2020-08-18 苹果公司 多维对象重排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11797172B2 (en) * 2015-03-06 2023-10-2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through overlays
CN106293433A (zh) * 2015-05-26 2017-01-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70017572A (ko) * 2015-08-07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573071B2 (ja) * 2015-08-27 2019-09-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10481645B2 (en) *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USD791186S1 (en) * 2015-09-17 2017-07-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with icon
EP3425490B1 (en) * 2016-03-15 2023-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Human-machine interface method and device
CN105811560B (zh) * 2016-04-20 2018-08-03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自发电可穿戴电子设备
US10521009B2 (en) * 2016-05-17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virtual reality equipment
CN106055255B (zh) * 2016-05-31 2019-03-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智能手表及应用启动方法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KR102507744B1 (ko) * 2016-08-09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250774A (zh) * 2016-08-16 2016-12-2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主设备和辅助设备及其操作的处理方法
USD843398S1 (en) * 2016-10-26 2019-03-19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timeline-video relationship presentation for alert events
USD832291S1 (en) * 2016-10-28 2018-10-30 Outbrain Inc. Device display or portion thereof with a messag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132167B2 (en) * 2016-12-29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display of content on one or more secondary device by primary device
KR20180133138A (ko) * 2017-06-05 2018-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617869B1 (en) * 2017-06-13 2024-0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8093145A (zh) * 2018-01-04 2018-05-29 董平 一种功能选择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CN108829304A (zh) * 2018-05-29 2018-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US10438437B1 (en) * 2019-03-20 2019-10-08 Capital One Services, Llc Tap to copy data to clipboard via NFC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D948546S1 (en) * 2019-06-14 2022-04-12 Kai Os Technologies (hong Kong) Limited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231022B (zh) * 2019-07-15 2024-04-16 阿尔派株式会社 显示控制系统及显示控制方法
USD931889S1 (en) * 2019-07-31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EP3779612A1 (fr) * 2019-08-16 2021-02-17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édé et système de diffusion d'un message à un porteur d'une montre
TWI768327B (zh) * 2020-04-21 2022-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其資料傳輸方法
CN112083867A (zh) 2020-07-29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CN113589998B (zh) * 2020-04-30 2023-10-17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与其数据传输方法
US12026310B2 (en) * 2022-07-28 2024-07-02 Ntt Docomo, Inc.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with a trackpad and a smart watch
JP7560591B2 (ja) 2022-07-28 2024-10-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420A1 (en) * 2001-07-05 200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al face of watch graphically represents calendar
JP2003288141A (ja) * 2002-03-28 2003-10-10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4241066B2 (ja) * 2003-01-29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予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274505B2 (en) * 2008-12-19 2016-03-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dial display of time based information
US8312392B2 (en) * 2009-10-02 2012-11-1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gestures and methods for providing file sharing functionality
US20120030567A1 (en) * 2010-07-28 2012-02-02 Victor B Michael System with contextual dashboard and dropboard features
US8781398B2 (en) * 2010-09-23 2014-07-15 Kyoce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fer files between two touch screen interfaces
TWI441075B (zh) * 2011-09-02 2014-06-11 Asustek Comp Inc 資訊整合顯示方法及其應用之觸控顯示裝置
US20130235704A1 (en) * 2012-03-06 2013-09-12 Movado Llc Portable electronic timepiece with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
KR102077235B1 (ko) * 2012-08-23 2020-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디바이스와 그 기록 매체
US20140099614A1 (en) * 2012-10-08 2014-04-10 Lar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livering behavior change directives to a user
US20140160049A1 (en) * 2012-12-10 201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ipboard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KR102144763B1 (ko) * 2013-05-22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부가 장치를 통한 스케줄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50012861A1 (en) * 2013-07-02 2015-01-08 Dropbox, Inc. Syncing content clipboard
US20160070460A1 (en) * 2014-09-04 2016-03-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 situ assignment of image asset attribu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8068A1 (ko) * 2020-02-07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클립 보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2693B1 (en) 2019-01-16
US10168978B2 (en) 2019-01-01
CN105549869A (zh) 2016-05-04
CN105549869B (zh) 2020-10-02
US20160117141A1 (en) 2016-04-28
EP3012693A1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727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US1090157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using an extended region to display related content
KR20160001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8691A (ko)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60128120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99399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5014293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97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160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648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14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325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800678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77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16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9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85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44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58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41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2811A (ko) 손목착용형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의 제스처를 통해 필기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9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