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742A -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1742A KR20150131742A KR1020140058911A KR20140058911A KR20150131742A KR 20150131742 A KR20150131742 A KR 20150131742A KR 1020140058911 A KR1020140058911 A KR 1020140058911A KR 20140058911 A KR20140058911 A KR 20140058911A KR 20150131742 A KR20150131742 A KR 201501317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hedule
- point
- delivery
- information
- cli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이동경로의 소정 반경 내에서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취인의 일정 및 현재위치에 따라 주문한 물품을 수령하는 장소가 가변되며, 다른 주문자의 수령장소를 이용하여 물류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특정 물품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물품을 직접 가지고 가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이 위치한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거나, 전달할 물품의 규모가 커서 직접 전달하는데 무리가 있거나, 발송인의 여건상 직접 물품을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 등의 경우 배송 전문 업체를 이용하게 된다.
배송 전문 업체는 배송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업체로서, 다량의 배송 인력 및 차량 등을 보유하고 조직적이고 신속하게 배송을 수행한다.
최근 들어 산업 및 교통이 발전하고 복잡화됨에 따라 물건들을 이송시키는 물류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구매자의 요구는 더욱 다양해져서 물건을 구매자의 현위치에 배송받기를 원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 자에게 배송하는 문제가 중요한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종래의 물류 배송 방법은 배송담당자의 배송 스케줄을 기초로 물품이 배송되었다. 예를 들어, 배송기사가 일정 지역에 대한 배송리스트를 기초로 효율적인 동선을 계획하고, 이에 따라 물품이 배송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배송 담당자와 수취인 모두에게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수취인은, 물품 주문시 정해진 배송지로만 물품을 수령해야 하며, 수취인이 근무 또는 기타 일정으로 해당 배송지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경우 물품을 직접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해당 물품이 식품과 같이 유통기한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 물품을 신속하게 수령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배송담당기사는 복수의 수취인 각각에 대한 배송지를 방문해야 물품을 전달 할 수 있는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취인의 스케줄 및 현재위치를 기초로 수취인의 이동경로 근방에 위치한 장소에서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배송지의 위치가 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물품 주문시 수취인이 요청한 수령지의 인근에 유사한 시간대의 다른 수령지가 있을 경우 다른 수령지로 수취인의 수령지를 변경하여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라 수취인의 부담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물류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재생시점 기반의 스크립트 동기화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이동경로의 소정 반경 내에서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이동경로를 기초로 소정 시점에 대응되는 예상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예상위치의 소정 반경내에 포함된 배송가능지점을 검색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상기 배송가능지점을 기초로 기준 시간 내에 상기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송지점의 배송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령수케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소정반경 내에 위치하는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존재하면,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을 제2 수령지점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의 수령지점 후보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령지점 후보군에 포함된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령지점을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의 실시간 위치 및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예상이동경로의 주변에 위치한 수령지에서 물품을 수령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물류 유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클라이언트의 배송지를 자신의 배송지로 설정하여 자신의 물품을 수령할 경우, 유통비 및 유통경로의 단순화로 비용 및 시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거시적으로는 물품 구입의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이 도시된다.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PC,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등의 고정장치 또는 모바일장치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과 같은 웹페이지에서 물품을 구매하면,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배송업체의 서버로 물품의 구매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배송업체의 서버가 수신한 이러한 구매정보는 수취인은 기본적인 인적사항, 배송시 요청사항, 배송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쇼핑몰 서버와 배송업체 서버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합된 서버일 수도 있다.
서버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하면(S11),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정보와 스케줄정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S12).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정보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포함된 GPS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 장치의 IP주소, MAC주소 등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일 경우, 단말기 근처의 기지국의 위치정보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측정된 거리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스케줄정보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된 스케줄 입력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구현된 스케줄 관리 앱 등에 자신의 스케줄을 입력하면, 클라이언트 장치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스케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형태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클라이언트의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S13). 즉,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클라이언트의 예상 이동 지역을 유추할 수 있다. 만약, 위치정보만을 기초로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할 경우, 클라이언트의 과거 이동경로는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클라이언트의 다음 위치는 대략적으로 유추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케줄정보만으로 예상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스케줄 정보로 입력되지 않은 시간 구간에 대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정보와 스케줄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클라이언트의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부가적인 정보를 더 기초로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하거나 위치정보 또는 스케줄정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예상이동경로가 생성되면(S13), 소정 시점에 대응되는 예상위치를 예상이동경로상에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대한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정보를 더욱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배송담당자의 효율적인 물류배송경로를 계획할 수 있다.
예상이동경로 또는 예상위치의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배송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S14). 배송지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을 서비스하는 사업자와 물류 유통에 관한 계약관계를 맺은 가맹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점, 아파트 단지의 공동 경비실 또는 공동택배수령지, 무인택배함 등 다양한 배송가능장소를 포괄할 수 있다.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S14)에서, 배송지점은 클라이언트의 예상이동경로 또는 예상위치에 가장 근접한 배송지점이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복수의 배송지점 후보군을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의해 배송지점이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S14)는, 복수의 배송지점 후보군 중에서 배송지점을 선택하되, 기준시간 내에 배송지점을 선택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기준시간은 배송차량 등이 해당 물품을 적재하여 출발하기 전까지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구간 까지를 기준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의 현재위치 또는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예상이동경로 및 예상위치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갱신하고, 이를 기초로 배송지점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배송지점을 변경하되,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배송지점의 변경이 제한될 수 있다.
배송지점이 결정되면, 해당 배송지점의 배송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S15). 본 실시예에서, 배송스케줄은 클라이언트의 스케줄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상이동경로를 기초로 예상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상이동경로상 3월 1일 14시에 장소 A의 위치에 있을 것으로 예측하면, 해당 배송지점은 장소 A의 근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3월 1일 14시 이전에 클라이언트의 구매물품이 배송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송지점의 배송스케줄을 결정하고, 배송스케줄에 따라 해당 물품을 배송지점으로 배송할 수 있다(S16).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스케줄에 따라 장소를 이동하더라도, 이동경로의 근처에 위치한 수령 장소에서 구매한 물품을 시간지연없이 수령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의 위치 또는 스케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예상이동경로를 기초로 배송지점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 클라이언트의 5월 1일 스케줄이 서울내에서만 존재하는 경우, 서울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로로 예상이동경로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가 갑작스러운 외부일정이나 출장 등으로 같은 날 오후에 부산으로 이동해야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장치에 부산일정에 대한 스케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므로, 소정 시간 후 변경된 스케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변경된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예상이동경로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송지점 또한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5월 1일이 도래하여 클라이언트 및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동중이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되는 위치정보의 변화에 따라 예상이동경로가 다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서버는 변경된 예상이동경로를 기초로 소정 시점에 대응되는 예상위치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예상 위치 근방에 위치한 편의점, 우체국, 가맹점 등 클라이언트가 방문하여 물품을 수령할 수 있는 배송지점 후보군을 검색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가 후보군 중 배송지점을 직접 선택하거나 후보군 중 클라이언트의 예상위치에 가장 근접한 배송지점을 서버가 자동으로 선택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배송지점이 변경되면 배송지점의 배송스케줄 또한 변경될 수 있으며, 기존의 서울에 위치하는 배송지점의 배송스케줄이 삭제되고, 부산 근방의 배송지점에 새로운 배송스케줄이 추가될 수도 있다. 공급대행자(배송업체)는 이러한 배송스케줄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변경되는 배송스케줄에 대응하여 유연한 물류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구매가 결정된 물품을 클라이언트의 이동경로에 따라 배송하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도 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물품을 구매할 때 물품을 수령할 장소를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 클라이언트가 물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하여 구매희망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해당 물품을 수령할 장소를 결정하는 과정을 클라이언트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구매정보를 수신하면(S21), 구매정보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다(S22).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복수의 서적을 구매하는 경우, 서적을 수령할 희망장소가 포함된 구매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는 수신된 희망장소, 즉 제1 수령지점에 대한 수령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다. 전술한 배송지점과 유사하게, 수령지점은 클라이언트가 구매를 희망한 물품을 수령받을 장소일 수 있으며, 가맹점, 편의점, 무인택배함 등 다양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수령스케줄은 이러한 수령장소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예정 수령물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령지점이 편의점인 경우, 편의점을 수령지점을 신청한 다른 클라이언트의 수령품목 및 수령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수령스케줄로 관리할 수 있다.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존재할 경우, 구매정보를 기초로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갱신할 수 있다(S23). 즉, 기존에 생성된 수령스케줄에 클라이언트의 물품에 대한 배송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에 포함된 복수의 물품이 동일한 배송담당자에 의해 동일한 차량으로 배송될 수 있으므로 유통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배송담당자 또한 서로 다른 배송지를 경유하지 않고 동일한 수령지에 복수의 물품을 배송하면 되므로 효율적으로 배송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생성할 수는 있으나, 수령스케줄이 이미 존재하는 다른 수령지점을 선택하여 배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수령스케줄이 존재하지않는 제1 수령지점 대신 다른 수령지점을 선택하고자 하면, 제1 수령지점의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다(S24).
제2 수령지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령지점으로부터 소정 반경내에 물리적으로 이격된 장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가 물품 구매시 지정한 복수의 수령지점 후보군에 포함된 지점일 수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가 물품 구매시 복수의 수령지점을 후보군을 선택하거나, 서버로부터 생성된 후보군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후보군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을 구매정보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령지점에 수령스케줄이 없는 경우, 후보군에 포함된 다른 수령지점, 즉 제2 수령지점의 스케줄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24).
제2 수령지점의 스케줄정보 또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버는 또 다른 후보군인 제3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으며(S27),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령스케줄이 존재할 때까지 후보군에 포함된 다른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다.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존재하면, 구매정보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을 제2 수령지점으로 수정할 수 있다(S25). 또한, 수정된 구매정보를 기초로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갱신할 수 있다(S26).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이미 배송이 결정된 다른 물품의 배송시 자신의 구매물품을 함께 배송토록 요청하고, 다른 물품의 배송지를 자신의 배송지로 변경하여 택배비 및 유류비와 같은 유통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거시적으로는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업체의 판매가격 또한 낮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 및 스케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상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이동경로의 소정 반경 내에서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이동경로를 기초로 소정 시점에 대응되는 예상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예상위치의 소정 반경내에 포함된 배송가능지점을 검색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상기 배송가능지점을 기초로 기준시간 내에 상기 배송지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송지점의 배송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배송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물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령수케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소정반경 내에 위치하는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령지점의 수령스케줄이 존재하면,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제1 수령지점을 제2 수령지점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수령지점 후보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령지점 후보군에 포함된 상기 제1 수령지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령지점을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911A KR20150131742A (ko) | 2014-05-16 | 2014-05-16 |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911A KR20150131742A (ko) | 2014-05-16 | 2014-05-16 |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1742A true KR20150131742A (ko) | 2015-11-25 |
Family
ID=5484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911A KR20150131742A (ko) | 2014-05-16 | 2014-05-16 |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1742A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44307A (zh) * | 2016-07-21 | 2018-01-30 |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 智能派件方法 |
KR20190019857A (ko) | 2017-08-17 | 2019-02-2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온디맨드 물류에서 tsp를 활용한 배송 경로 생성 장치 |
JP2020098573A (ja) * | 2018-10-15 | 2020-06-25 | アクセンチュア グローバル ソリュ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 継続的配達 |
KR20200137149A (ko) | 2019-05-29 | 2020-12-09 | 엠케이얼라이언스 주식회사 | 효율적인 물류를 위한 자동 배차 시스템 및 방법 |
WO2021084334A1 (en) * | 2019-10-28 | 2021-05-06 | Coupang Corp.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aptive delivery scheduling |
KR20220122436A (ko) | 2021-02-26 | 2022-09-02 | 주식회사 모비니티 | 도로명 주소에 기반한 자동 배송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
WO2023090734A1 (ko) * | 2021-11-22 | 2023-05-25 | 김병준 |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서버 |
WO2024039289A1 (en) * | 2022-08-19 | 2024-02-22 | Grabtaxi Holdings Pte. Ltd. | Ser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on-demand services |
WO2024123137A1 (ko) * | 2022-12-09 | 2024-06-13 | 주식회사 이엠지 | 택배 배송 시스템 |
-
2014
- 2014-05-16 KR KR1020140058911A patent/KR201501317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44307A (zh) * | 2016-07-21 | 2018-01-30 |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 智能派件方法 |
KR20190019857A (ko) | 2017-08-17 | 2019-02-2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온디맨드 물류에서 tsp를 활용한 배송 경로 생성 장치 |
JP2020098573A (ja) * | 2018-10-15 | 2020-06-25 | アクセンチュア グローバル ソリュ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 継続的配達 |
US11079243B2 (en) | 2018-10-15 | 2021-08-03 |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 Continuous delivery |
KR20200137149A (ko) | 2019-05-29 | 2020-12-09 | 엠케이얼라이언스 주식회사 | 효율적인 물류를 위한 자동 배차 시스템 및 방법 |
WO2021084334A1 (en) * | 2019-10-28 | 2021-05-06 | Coupang Corp.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aptive delivery scheduling |
JP2022500716A (ja) * | 2019-10-28 | 2022-01-04 | クーパン コーポレイション | 適応型の配達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TWI767347B (zh) * | 2019-10-28 | 2022-06-11 | 南韓商韓領有限公司 | 用於遞送排期的電腦化系統及電腦化系統及方法、以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媒體 |
KR20220122436A (ko) | 2021-02-26 | 2022-09-02 | 주식회사 모비니티 | 도로명 주소에 기반한 자동 배송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
WO2023090734A1 (ko) * | 2021-11-22 | 2023-05-25 | 김병준 | 제약 조건 기반의 배송 유형 분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서버 |
WO2024039289A1 (en) * | 2022-08-19 | 2024-02-22 | Grabtaxi Holdings Pte. Ltd. | Ser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on-demand services |
WO2024123137A1 (ko) * | 2022-12-09 | 2024-06-13 | 주식회사 이엠지 | 택배 배송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31742A (ko) | 물류 배송지 및 수령지의 동적 스케줄링 방법 | |
US20170124511A1 (en) | Automatic Integrated Routing and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Product Exchange | |
US10600095B2 (en) | Kiosk management system | |
US9141931B2 (en) | Inventory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 |
US9972046B2 (en) | Mobile transactions with a kiosk management system | |
US9984352B2 (en) | Kiosk network in a kiosk management system | |
US20160071050A1 (en) | Delivery Channel Management | |
JP6293908B2 (ja) | キオスク管理システムによるモバイル取引 | |
JP5307306B1 (ja) | 広告サーバ、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用プログラム | |
WO2015172583A1 (zh) | 一种数据处理系统及方法 | |
CN102124480B (zh) | 广告传送系统、广告传送装置及广告传送方法 | |
CN105378780A (zh) | 重定意图递送到照管递送/提取位置的包裹的路线的系统和方法 | |
JP6545321B1 (ja) |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 |
KR101933073B1 (ko) | 배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 |
JP2011221984A (ja) | 移動販売車検索システム | |
US11972475B2 (en) | Out-of-store purchase routing systems, methods, and media | |
JP2021168202A (ja) | 配送管理装置、配送管理方法およ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 |
JP5808713B2 (ja)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営業情報の提供方法 | |
KR101955707B1 (ko) | 비주기성 물품 및 구매대행 물품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 |
JP6653512B1 (ja) | 配送支援サーバ、配送支援方法及び配送支援プログラム | |
JP6884315B2 (ja) | 物流支援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20120026410A (ko) | 택배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서버 | |
JP7577801B2 (ja) |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管理装置、無人運転装置およびサーバ | |
US20200293993A1 (en) | Package delivery bid system and method | |
KR101731954B1 (ko) | 통신 모듈 임대의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