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1531A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531A
KR20150101531A KR1020140022882A KR20140022882A KR20150101531A KR 20150101531 A KR20150101531 A KR 20150101531A KR 1020140022882 A KR1020140022882 A KR 1020140022882A KR 20140022882 A KR20140022882 A KR 20140022882A KR 20150101531 A KR20150101531 A KR 20150101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xel
layer
electrodes
pixel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531A/ko
Publication of KR2015010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위치하는 화소전극들과, 상기 화소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되 상기 화소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주변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이 상기 화소전극들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화소전극들에 대응하며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하는 대향전극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이 개재된 유기발광소자를 각 (부)화소로 갖는다. 이러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각 화소의 발광여부나 발광정도를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제어하고, 대향전극은 복수개의 (부)화소들에 있어서 일체(一體)인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면적화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대향전극의 전압강하에 의해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위치하는 화소전극들과, 상기 화소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되 상기 화소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주변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이 상기 화소전극들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화소전극들에 대응하며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하는 대향전극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개구들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기 보조전극이 노출되도록 하는 보조개구들을 갖는, 화소정의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화소정의막을 덮으며,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보조개구들을 통해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위치하는 화소전극들과, 상기 화소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되 상기 화소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주변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상기 보조전극과 동일층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하는 복수개의 가지전극들과, 상기 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이 상기 화소전극들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화소전극들에 대응하며 상기 가지전극에 컨택하는 대향전극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개구들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 각각이 노출되도록 하는 보조개구들을 갖는, 화소정의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화소정의막을 덮으며,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보조개구들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에 컨택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개구들은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 각각의 타측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은 상기 보조전극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소전극들은 세 개씩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고, 상기 가지전극의 타측 선단부는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화소전극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영역(DA)과,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영역인 주변영역(PA)을 갖는 기판(110)을 구비한다. 기판(110)은 글라스재,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이 배치되는데,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 외에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200)들도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00)들이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복수개의 화소전극(210)들이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기판(110)의 주변영역(PA)에도 박막트랜지스터(TFT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FT2)는 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FT1)나 박막트랜지스터(TFT2)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30), 게이트전극(150) 및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을 포함한다. 기판(110) 상에는 기판(110)의 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또는 반도체층(130)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120)이 배치되고, 이 버퍼층(120) 상에 반도체층(130)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도체층(130)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50)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15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전극(150)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130)과 게이트전극(150)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140)이 반도체층(130)과 게이트전극(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50)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16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160)의 상부에는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이 배치된다.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은 층간절연막(160)과 게이트절연막(140)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1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FT1) 등의 보호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FT1)를 덮는 보호층(181)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181)은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보호층(181)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보호층(181) 상에는 필요에 따라 평탄화층(182)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TFT1) 상부에 유기발광소자(200)가 배치될 경우, 평탄화층(182)은 화소전극(210)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82)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BCB(Benzocyclobut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탄화층(182) 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층(181)이 생략될 수도 있고, 평탄화층(182)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보호층(181)과 평탄화층(182)이 일체화될 수도 있다.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있어서, 평탄화층(182) 상에는, 화소전극(210), 대향전극(2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20, 도 10 참조)을 갖는 유기발광소자(200)가 배치된다.
보호층(181)과 평탄화층(182)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1)의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존재하며, 이 개구부를 통해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210)이 평탄화층(182) 상에 배치된다. 화소전극(21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예컨대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유기발광소자(200)의 중간층(22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20)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2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중간층(2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대향전극(2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상부에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향전극(230)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200)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전극(210)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대향전극(230)은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30)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30)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화소정의막(190)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메인개구(190a)들, 즉 화소전극(210)들 각각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개구(190a)들을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대향전극(230)이 화소정의막을 덮음에 따라, 화소정의막(190)은 화소전극(210)들의 단부와 화소전극(210)들 상부의 대향전극(23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전극(210)들의 단부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에는 전극전원공급라인(191)과, 이 전극전원공급라인(191)에 컨택하는 연결라인(193)이 배치된다. 대향전극(230)은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어, 주변영역(PA)의 전극전원공급라인(191) 및/또는 연결라인(193)에 컨택한다. 이를 통해 대향전극(230)은 전극전원공급라인(191)으로부터 전극전원, 즉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영역(DA)에서 주변영역(PA)으로 연장되어 전극전원공급라인(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195)이 배치된다. 이 보조전극(195)은 예컨대 화소전극(210) 형성 시 동일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전극(195)은 화소전극(210)과 마찬가지로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화소전극(210)이 평탄화층(182)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므로 보조전극(195) 역시 평탄화층(18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국 보조전극(195)은 연결전극(193)과 일체(一體)일 수 있다.
화소정의막(190)은 전술한 것과 같은 메인개구(190a)들 외에, 디스플레이영역(DA)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보조전극(195)이 노출되도록 하는 보조개구(190b)들을 갖는다. 이에 따라 대향전극(230)은 화소정의막(190)의 보조개구(190b)를 통해 보조전극(195)에 컨택할 수 있다.
전극전원공급라인(191)은 기판(110)의 주변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전원공급라인(191)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들(TFT1, TFT2)의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을 형성할 시 동일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전극/드레인전극(170)과 마찬가지로 전극전원공급라인(191)은 층간절연막(16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대향기판(300)은 대향기판(300)은 층간절연막(160), 전극전원공급라인(191) 및 유기발광소자(200) 등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기판(11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대향기판(300)과 기판(110)은 실링부(400)에 의해 접합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기판(110) 상의 층간절연막(160)은 홈 또는 홀(160a)을 가지며, 실링부(400)는 이 홈 또는 홀(160a)을 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링부(400)와 기판(110) 사이의 접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대향전극(230)은 연결라인(193)을 통해 전극전원공급라인(191)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는다. 아울러 대향전극(230)은 보조전극(195)에도 컨택할 수 있는데, 따라서 대향전극(230)은 전극전원공급라인(191)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보조전극(195)을 통해서도 인가받을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일체, 즉 디스플레이영역(DA)에 있어서 일체이며, 이상적으로는 대향전극(250)의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지점들에 있어서 동일한 전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전극(230)의 저항이 크기에, 실제로는 전압강하에 의해 대향전극(230)의 각 지점들에 있어서 전위가 상이하게 된다. 그 결과,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의도된 휘도와 상이한 휘도의 광이 방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즉,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전극전원공급라인(191)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와 상이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대향전극(230)은 연결라인(193) 뿐만 아니라 컨택하고 있는 보조전극(195)을 통해서도 전극전원공급라인(191)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극(195)은 디스플레이영역(DA)에서 주변영역(PA)으로 연장되어 전극전원공급라인(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바, 이에 따라 보조전극(195)이 대향전극(230)을 보조하는 보조전극층의 역할을 하여,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대향전극(230)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가 비교적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서 보조전극(195)과 동일층에 형성되며 일측이 이 보조전극(195)에 컨택하는 복수개의 가지전극(197)들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화소정의막(190)의 보조개구(190b)들은 디스플레이영역(DA)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복수개의 가지전극(197)들 각각이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화소정의막(190)을 덮는 대향전극(230)은 화소정의막(190)의 보조개구(190b)를 통해 복수개의 가지전극(197)들에 컨택한다. 이러한 가지전극(197)은 보조전극(195)과 동일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가지전극(197)은 보조전극(195)과 일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대향전극(230)은 연결라인(193) 뿐만 아니라 컨택하고 있는 가지전극(197)을 통해서도 전극전원공급라인(191)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가지전극(197)은 디스플레이영역(DA)에서 주변영역(PA)으로 연장된 보조전극(195)에 일측이 컨택하는바, 결과적으로 가지전극(197)은 전극전원공급라인(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가지전극(197)이 대향전극(230)을 보조하는 보조전극층의 역할을 하여,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대향전극(230)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가 비교적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보조전극(195)이 도시된 것과 같이 +x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전극(210)들의 일 행(row)과 그 인접한 화소전극(210)들의 다른 일 행(row) 사이로만 연장되는바, 가지전극(197)은 보조전극(195)으로부터 상기 일 행의 화소전극(210)들 사이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대향전극(230)이 보조전극(195)에 컨택하는 경우보다 대향전극(230)이 가지전극(197)에 컨택하는 경우에, 화소전극(210)과 더 가까운 위치에서 대향전극(230)과 가지전극(197)이 컨택한다. 이는 결국 화소전극(210)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대향전극(230)에 전극전원공급라인(191)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각 화소에 사전설정된 정확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정의막(190)의 보조개구(190b)들은 복수개의 가지전극(197)들 각각의 타측 선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가지전극(197)들 각각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복수개의 가지전극(197)들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전극(195)을 중심으로 일측(+y 방향)과 타측(-y 방향)으로 교번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라인의 보조전극(195) 상하의 화소들에 있어서 균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화소는 세 개의 부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세 개의 화소전극들(210a, 210b, 210c) 각각이 부화소로서 한 개의 화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때 화소전극들(210a, 210b, 210c) 중 화소전극(210a)의 면적이 다른 화소전극들(210b, 210c) 각각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전극(210a)의 양쪽에 상하로(y축 방향으로) 화소전극들(210b, 210c)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지전극(197)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화소전극들(210a, 210b, 210c) 사이로 연장되어, 가지전극(197)의 선단부 즉 화소정의막(190)의 보조개구(190b)에 의해 노출되는 가지전극(197)의 부분이 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즉 가지전극(197)의 타측 선단부가 화소전극들(210a, 210b, 210c)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지전극(197)의 선단부가 화소전극들(210a, 210b, 210c)로부터 대략 등거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가지전극(197)에 의해 화소를 형성하는 부화소들에 균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DA: 디스플레이영역 PA: 주변영역
TFT1, TFT2: 박막트랜지스터 110: 기판
120: 버퍼층 130: 반도체층
140: 게이트절연막 150: 게이트전극
160: 층간절연막 170: 소스전극/드레인전극
181: 보호층 182: 평탄화층
191: 전극전원공급라인 193: 연결전극
195: 보조전극 197: 가지전극
200: 유기발광소자 210: 화소전극
220: 중간층 230: 대향전극
300: 대향기판 400: 실링부

Claims (9)

  1.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위치하는 화소전극들;
    상기 화소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되 상기 화소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주변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
    상기 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이 상기 화소전극들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화소전극들에 대응하며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하는 대향전극;
    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개구들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기 보조전극이 노출되도록 하는 보조개구들을 갖는, 화소정의막을 더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화소정의막을 덮으며,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보조개구들을 통해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위치하는 화소전극들;
    상기 화소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되 상기 화소전극들과 이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주변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전원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 상기 보조전극과 동일층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보조전극에 컨택하는 복수개의 가지전극들;
    상기 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이 상기 화소전극들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화소전극들에 대응하며 상기 가지전극에 컨택하는 대향전극;
    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메인개구들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내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 각각이 노출되도록 하는 보조개구들을 갖는, 화소정의막을 더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화소정의막을 덮으며,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보조개구들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에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개구들은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 각각의 타측을 노출시키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지전극들은 상기 보조전극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교번하여 위치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들은 세 개씩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고, 상기 가지전극의 타측 선단부는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는 화소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22882A 2014-02-26 2014-02-26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1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882A KR20150101531A (ko) 2014-02-26 2014-02-26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882A KR20150101531A (ko) 2014-02-26 2014-02-26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31A true KR20150101531A (ko) 2015-09-04

Family

ID=5424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882A KR20150101531A (ko) 2014-02-26 2014-02-26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5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9098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887417B (zh) 显示装置
US1212092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14771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3478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nsulating dam
TWI565047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982511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41341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US1038141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229933B2 (en) Flexible display including metal layer formed in opening of insulating layer
KR201601471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981378B2 (en) Mother substrate for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40127630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4316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372534A1 (en) Display device
KR102199216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139854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onnective wirings within a display area thereof
KR1025900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307931A1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14004651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01531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05775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