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20262A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262A
KR20150020262A KR1020147029905A KR20147029905A KR20150020262A KR 20150020262 A KR20150020262 A KR 20150020262A KR 1020147029905 A KR1020147029905 A KR 1020147029905A KR 20147029905 A KR20147029905 A KR 20147029905A KR 20150020262 A KR20150020262 A KR 2015002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eal
layer
seal layer
laminated fil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컬성 및 투명성, 광택이 뛰어난 적층 필름 및 바닥재가 제공된다. 그러한 적층 필름은 표면층과 중간층과 히트씰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히트씰층이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이고, 본 발명에 관한 바닥재는 상기 적층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이다.

Description

적층 필름{LAYERED FILM}
본 발명은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5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2-11613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로부터 식품 및 음료 등의 내용물을 보존하기 위한 포장 용기로서 플라스틱제의 포장체가 이용된다. 이 포장체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닥재와 바닥재에 씰(seal)되는 덮개재로 구성된다. 이 바닥재는 예를 들면, 적층 필름을 진공 성형 혹은 압공(壓空) 성형에 의해 내용물에 적합한 형태로 성형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포장체에 이용되는 필름에의 요구 성능으로서는 일반적으로 가스 배리어(barrier)성이나 내(耐)핀홀(pinhole)성 등을 들 수 있다. 또, 근년 이들 내용물 보호에 관한 기능 이외에도 내용물에 적합한 성능이 요구되게 되고, 그러한 요구 특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내용물에 대한 인식 및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투명성, 상품의 미관을 좋게 하는 광택성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외의 요구 특성의 하나로서 컬(curl)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컬성이란 바닥재와 덮개재를 씰했을 때에 포장체의 플랜지(flange)부에 발생하는 컬이 얼마나 적은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컬성이 나쁘면, 즉 포장체의 플랜지부에 발생하는 컬이 크면, 제조시의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에서의 반송시에 불량이 생기거나, 포장체에 인쇄된 라벨을 붙일 필요가 있을 때에 정상적으로 첩부(貼付)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컬성이 뛰어난 적층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있는 것 같은 가스 배리어성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가 개발되어 있지만, 이것은 컬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는 이르지 못하여, 상술한 요구 특성을 더 만족하는 포장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234718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컬성, 투명성, 및 광택성이 뛰어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이하의 (1)~(13)에 기재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표면층과 중간층과 히트씰(heat seal)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히트씰층이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상기 히트씰층이 다른 히트씰층(B)을 더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 상기 히트씰층(B)이 에틸렌과 탄소수가 8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필름.
(4) 상기 히트씰층(A)의 두께가 3㎛ 이상 100㎛ 이하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5) 상기 히트씰층(B)의 두께가 3㎛ 이상 100㎛ 이하인 상기 (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6) 상기 히트씰층(A)의 두께를 H(A), 상기 히트씰층(B)의 두께를 H(B)로 했을 때, H(A)/H(B)로 표시되는 두께의 비율이 1.0 이상 5.0 이하인 상기 (2)~(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7) 상기 표면층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8) 상기 중간층이 폴리아미드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9) 상기 표면층과 상기 중간층 사이 또는/및 상기 중간층과 상기 히트씰층(A) 사이에, 접착성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층을 가지는 상기 (1)~(8)에 기재된 적층 필름.
(10) 상기 적층 필름의 두께가 50㎛ 이상 250㎛ 이하인 상기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1) 상기 적층 필름의 흐림도가 15% 이하이고, 또한 표면 광택도(글로스(gloss)치)가 100 이상인 상기 (1)~(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2) 상기 (1)~(11)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재.
(13) 상기 (12)에 기재된 바닥재에 의해 구성되는 포장체.
본 발명에 의하면 컬성 및 투명성, 광택이 뛰어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구비하는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이하에 나타내는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1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100)은 표면층(1)과 중간층(2)과 히트씰층(3)이 이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히트씰층(3)은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A)(31)과, 히트씰층(B)(32)을 함유하고 있다.
이하 적층 필름(100)의 각 구성에 대해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면층>
표면층(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이하 「EVOH 수지」라 한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품, 음료 또는 공업용 부재 등의 내용물을 포장한 후의 포장체에 가열 멸균 처리를 행하는 경우, 표면층(1)은 열수 및 고온의 증기에 노출된다. 그 때문에 표면층(1)의 재료로서 내열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융점이 높은 폴리에스터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특히 취급이 쉬운 것, 원료 단가가 염가인 것, 보일(boil) 후의 컬성이 양호한 것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적어도 일방과 프로필렌의 결정성 블록 공중합체 등이 이용된다. 상기의 α-올레핀으로서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등의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이 이용된다. 또한, 이들 α-올레핀은 임의의 비율로 공중합되어도 좋다.
표면층(1)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8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 7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표면층(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광택성이 뛰어난 양호한 외관의 적층 필름(100)을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다.
<중간층>
중간층(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 수지, EVOH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과 내핀홀성을 겸비한 적층 필름(10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6, 6, 나일론-6, 10,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6T,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6I, 노난디아민과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9T, 메틸펜타디아민과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M5T, 카프롤락탐과 라우릴락탐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6, 1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와 나일론-6, 나일론-11 및 나일론-12 중 적어도 1종의 공중합체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또,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의 중축합 반응에서 얻어지는 비정성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모퍼스 나일론)를 이용해도 좋다.
중간층(2)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간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내핀홀성이 뛰어난 적층 필름(100)을 얻을 수 있다.
<히트씰층>
히트씰층(3)은 히트씰층(A)(31)과 또한 다른 히트씰층(B)(3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내(耐)내용물성의 기능과 씰하는 상대재와의 씰 적성(適性)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내내용물성이란 내용물이 약품이나 유분을 많이 포함하는 식료 등인 경우, 이 약품이나 유분에 의해 히트씰층이 상대재와의 씰 적성에 관한 기능을 잃지 않는 성질을 나타낸다.
히트씰층(3)은 히트씰층(A)(31)을 함유한다. 또, 히트씰층(A)(31)은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히트씰층(A)(31)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투명성 및 씰 강도 등이 뛰어난 히트씰층(3)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에서도,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쿠션성 및 가공성도 뛰어난 히트씰층(3)을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컬성이 뛰어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히트씰층(A)(31)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히트씰층(A)(3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양호한 외관의 적층 필름(1)을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다.
히트씰층(3)은 다른 히트씰층(B)(32)을 더 함유한다. 히트씰층(B)(3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밀도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및 씰 강도, 보일 후의 컬 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 쿠션성, 가공성 및 강도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에틸렌과 탄소수가 8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씰층(3)은 필요에 따라 히트씰층(B)(32)을 함유하지 않아도 좋다.
히트씰층(B)(32)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히트씰층(B)(3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양호한 외관의 적층 필름을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다.
히트씰층(3)은 예를 들면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A)(31)과, 에틸렌과 탄소수가 8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B)(32)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씰층(3)이 히트씰층(A)(31)과 히트씰층(B)(32)을 함유함으로써 보다 컬성이 뛰어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히트씰층(A)(31)의 두께를 H(A), 히트씰층(B)(32)의 두께를 H(B)로 했을 때, H(A)/H(B)로 표시되는 두께의 비율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4.2 이하이다. H(A)/H(B)로 표시되는 두께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보일 후의 컬을 억제할 수가 있다.
히트씰층(3)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3㎛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5㎛ 이상 5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히트씰층(3)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양호한 외관의 적층 필름을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2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적층 필름(100)은 표면층(1)과 접착층(X)(41)과 중간층(2)과 접착층(Y)(42)과 히트씰층(3)이 이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히트씰층(3)은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A)(31)과, 히트씰층(B)(32)을 함유하고 있다.
이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10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 제1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층(1)과 중간층(2)과 히트씰층(A)(31)과 히트씰층(B)(32)은 각각, 제1실시형태의 표면층(1)과 중간층(2)과 히트씰층(A)(31)과 히트씰층(B)(32)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접착층>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100)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듯이, 표면층(1)과 중간층(2) 사이 또는/및 중간층(2)과 히트씰층(A)(31) 사이에 접착성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층(4)을 가지고 있다. 표면층(1)과 중간층(2)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접착층(X)(41), 중간층(2)과 히트씰층(A)(31)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접착층(Y)(42)으로 했을 때, 접착층(X)(41) 및 접착층(Y)(42)은 접착층의 양면에 위치하는 피접착층 사이(여기서 말하는 표면층(1)과 중간층(2) 사이, 또는 중간층(2)과 히트씰층(A)(31)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적층 필름(100)의 허리의 강도, 내핀홀성, 유연성 또는 성형성 등을 향상시킨다.
접착층(X)(41) 및 접착층(Y)(42)의 재료로서는 공지의 접착성 수지, 예를 들면 접착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접착층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 또는 각종 폴리올레핀에 1염기성 불포화 지방산, 2염기성 불포화 지방산, 혹은 이들의 무수물을 그래프트(graft)시킨 것(말레산 그래프트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말레산 그래프트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 등이 이용된다. 1염기성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이 이용된다. 2염기성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이 이용된다. 또한, 접착층(X)(41) 및 접착층(Y)(42)의 재료는 동일한 것이라도 다른 것이라도 상관없다.
접착층(X)(41)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2㎛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X)(4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양호한 접착 강도를 부여한 적층 필름(100)을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다.
접착층(Y)(42)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2㎛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Y)(4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양호한 접착 강도를 부여한 적층 필름(100)을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다.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적층 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것 같은 적층 필름(100)은 예를 들면 접착층(X)(41)을 가지는 표면층(1)과, 중간층(3)과, 접착층(Y)(42)을 가지는 히트씰층(3)을 따로따로 제조하고 나서, 이들을 라미네이터(laminator)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적층 필름(100)은 접착층(X)(41)을 가지는 표면층(1)과, 중간층(3)과, 접착층(Y)(42)을 가지는 히트씰층(3)을 공랭식 혹은 수랭식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또는 공압출 T 다이법으로 제막함으로써도 얻어진다. 특히, 공압출 T 다이법으로 제막하는 방법은 적층 필름(100)의 두께의 제어 및 투명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적절한 피드블록(feed block)과 다이(die)를 사용함으로써 제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100)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180㎛ 이하이다. 적층 필름(10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적당한 내강도와 유연성을 가지는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적층 필름의 흐림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의 흐림도가 상기 기재의 범위인 것에 의해 내용물을 선명히 인식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흐림도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JIS K 7136에 준하여, 시트 중앙부로부터 세로 50mm×가로 50mm의 정방형의 시트상 샘플을 잘라, 일본전식공업(주)제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을 흐림도로 하였다.
상기 적층 필름의 표면 광택도(글로스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의 표면 광택도(글로스치)가 상기 기재의 범위인 것에 의해 내용물의 미관을 좋게 할 수가 있다.
상기 표면 광택도(글로스치)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JIS Z 8741에 기초하여, 일본전식(주)제 핸디 광택계 PG-1을 이용하여 입출 각도 60о의 조건하에서 필름의 표면에 대해 표면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샘플에 대해 마찬가지의 측정을 5회 행하고, 얻어진 표면 광택도의 평균치를 당해 샘플의 표면 광택도로 하였다.
<바닥재>
다음에, 본 발명의 바닥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재(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바닥재(200)는 상술한 적층 필름(10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닥재(200)는 적층 필름(100)에 오목부(포켓)(201)가 성형됨으로써 얻어진다. 오목부(201)에는 식료, 음료 또는 공업용 부품 등의 내용물이 수납된다.
또한, 바닥재(200)는 적층 필름(100)을 표면층(1)이 외측, 히트씰층(3)이 내측으로 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덮개재>
상기 덮개재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2축 연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 산화물을 증착한 2축 연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적층한 필름 등이 이용된다.
<포장체>
도 4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포장체(300)는 바닥재(200)와 덮개재(202)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재의 오목부(201)에 내용물이 수용된 후, 덮개재(202)가 바닥재(200)에 씰되어 바닥재(200)의 오목부(201)가 밀봉된다. 바닥재(200)는 전술한 적층 필름(10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장체(300)는 양호한 내핀홀성 및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고, 또한 컬성, 투명성, 및 광택성도 뛰어난 포장체로 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층 필름의 제조>
적층 필름(100)을 얻기 위해, 표면층(1)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토모화학주식회사사제, 상품명: 노브렌 FL8115)를 준비하였다. 접착층(41)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접착성 수지(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상품명: QF551)를 준비하였다. 중간층(2)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우베흥산주식회사제, 상품명: 1030B2)를 준비하였다. 접착층(42)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접착성 수지(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상품명: NF536)를 준비하였다. 히트씰층(A)(31)으로서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다우케미컬사제, 상품명: 다우렉스 XUS60901.07)를 준비하였다.
표면층(1)으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접착층(41)으로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중간층(2)으로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접착층(42)으로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히트씰층(A)(31)으로서 상기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피드블록 및 다이를 이용하여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100)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의 적층 필름(100) 전체의 두께는 150㎛이고, 표면층(1)의 두께는 40㎛, 접착층(41)의 두께는 8㎛, 중간층(2)의 두께는 40㎛, 접착층(42)의 두께는 8㎛, 히트씰층(A)(31)의 두께는 54㎛였다. 
<바닥재의 제조>
얻어진 적층 필름에 딥드로잉(deep drawing)형 전자동 진공포장기(멀티박사제, 제품번호: R530)를 이용하여, 성형 온도 95℃의 조건으로 장변 155mm, 단변 112mm, 드로잉 깊이 65mm의 오목부(포켓)를 성형함으로써 바닥재(200)를 얻었다. 
<포장체의 제조>
덮개재(202)로서 ONy/LL(볼록판인쇄(주)사제, 상품명: , 두께 65㎛)과 상술의 오목부를 형성한 바닥재를 씰 온도 140℃의 조건으로 씰하여 포장체(300)를 얻었다.
(실시예 2)
히트씰층(B)(32)으로서 에틸렌과 탄소수가 8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다우케미컬(주)사제, 상품명: 다우렉스 2032)를 준비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준비하였다.
표면층(1)으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접착층(41)으로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중간층(2)으로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접착층(42)으로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히트씰층(A)(31)으로서 상기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히트씰층(B)(32)으로서 상기 에틸렌과 탄소수가 8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피드블록 및 다이를 이용하여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100)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의 적층 필름(100) 전체의 두께는 150㎛이고, 표면층(1)의 두께는 40㎛, 접착층(41)의 두께는 8㎛, 중간층(2)의 두께는 40㎛, 접착층(42)의 두께는 8㎛, 히트씰층(A)(31)의 두께는 36㎛, 히트씰층(B)의 두께는 18㎛였다. 
(실시예 3)
히트씰층(B)(32)으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프라임폴리머(주)사제, 상품명: 모어텍 0438CN)를 준비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준비하였다.
표면층(1)으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접착층(41)으로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중간층(2)으로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접착층(42)으로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히트씰층(A)(31)으로서 상기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히트씰층(B)(32)으로서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프라임폴리머(주)사제, 상품명: 모어텍 0438CN)를 피드블록 및 멀티매니폴드 다이(multi-manifold die)를 이용하여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100)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의 적층 필름(100) 전체의 두께는 150㎛이고, 표면층(1)의 두께는 40㎛, 접착층(41)의 두께는 8㎛, 중간층(2)의 두께는 40㎛, 접착층(42)의 두께는 8㎛, 히트씰층(A)(31)의 두께는 36㎛, 히트씰층(B)의 두께는 18㎛였다.
(실시예 4)
H(A)/H(B)의 비율(씰런트(sealant)의 두께)을 4.4로 한 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비교예 1)
히트씰층(A)(31)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약하여 「LDPE」라 한다)(우베마루젠주식회사제, 상품명: F222NH)을 준비한 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비교예 1의 적층 필름 전체의 두께는 150㎛이고, 표면층(1)의 두께는 40㎛, 접착층(41)의 두께는 8㎛, 중간층(2)의 두께는 40㎛, 접착층(42)의 두께는 8㎛, 히트씰층(A)(31)의 두께는 54㎛였다.
(비교예 2)
히트씰층(A)(31)으로서 LDPE(우베마루젠주식회사제, 상품명: Z322)를 준비한 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비교예 2의 적층 필름 전체의 두께는 150㎛이고, 표면층(1)의 두께는 40㎛, 접착층(41)의 두께는 8㎛, 중간층(2)의 두께는 40㎛, 접착층(42)의 두께는 8㎛, 히트씰층(A)(31)의 두께는 54㎛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 및 포장체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항목과 내용을 함께 나타낸다.
<컬성>
97℃ 40분 수조에 침지한 직후에, 수평으로 설치된 측정대 위에서 포장체의 바닥재측을 위로 해 두고, 포장체의 네 귀퉁이의 컬 높이를 측정하였다. 각 부호는 이하와 같다. 또한, 평가는 n=10으로 행하였다.
○: 네 귀퉁이의 컬 높이의 평균치가 10mm 이하였다.
×: 네 귀퉁이의 컬 높이의 평균치가 10mm를 초과해 있었다.
<흐림도 및 표면 광택도(글로스치)>
흐림도는 JIS K 7136에 준하여, 시트 중앙부로부터 세로 50mm×가로 50mm의 정방형의 시트상 샘플을 잘라, 일본전식공업(주)제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을 흐림도로 하였다.
표면 광택도(글로스치)는 JIS Z 8741에 기초하여, 일본전식(주)제 핸디 광택계 PG-1을 이용하여, 입출 각도 60о의 조건하에서 필름의 표면에 대해 표면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샘플에 대해 마찬가지의 측정을 5회 행하고, 얻어진 표면 광택도의 평균치를 당해 샘플의 표면 광택도로 하였다.
이상의 각 실시예,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로부터 분명하듯이, 실시예 1~4는 양호한 컬성, 흐림도, 및 표면 광택도를 나타내지만, 비교예 1 및 2는 실시예 1~4와 비교하면, 컬성, 흐림도, 또는 표면 광택도의 어느 것이 충분하지 않은 결과로 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가스 배리어성 및 내핀홀성이 요구되는 식품, 의약품, 공업용 부품 및 전자 재료의 포장 용도 등에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이 적층 필름은 예를 들면, 액체와 같은 유동성이 높은 것이 충전되는 경우가 많은 백인박스(bag-in-box)의 내대(內袋)용의 포장 필름, 또는 가공 식육, 수산 가공품 및 전자 재료의 포장으로서 이용되는 필로우(pillow) 포장, 진공 성형 포장 등의 포장 필름에 적용할 수가 있다. 특히, 이 적층 필름은 단단한 모서리를 가지는 콘덴서와 같은 전자 부품의 포장용 필름, 또는 뼈 딸린 고기, 향신료를 많이 포함하는 식품 및 패각 등의 부정형이고 단단한 부분을 가지는 식품의 포장용 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1 표면층 2 중간층
3 히트씰층  31 히트씰층(A)
32 히트씰층(B)  4 접착층
41 접착층(X)  42 접착층(Y)
100 적층 필름 200 바닥재
201 바닥재의 오목부  202 덮개재
300 포장체

Claims (13)

  1. 표면층과 중간층과 히트씰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히트씰층이 에틸렌과 탄소수가 6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히트씰층(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씰층이 다른 히트씰층(B)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씰층(B)이 에틸렌과 탄소수가 8개인 α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씰층(A)의 두께가 3㎛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씰층(B)의 두께가 3㎛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씰층(A)의 두께를 H(A), 상기 히트씰층(B)의 두께를 H(B)로 했을 때, H(A)/H(B)로 표시되는 두께의 비율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폴리아미드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상기 중간층 사이 또는/및 상기 중간층과 상기 히트씰층(A) 사이에, 접착성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두께가 50㎛ 이상 2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흐림도가 15% 이하이고, 또한 표면 광택도(글로스치)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재.
  13. 제12항에 기재된 바닥재에 의해 구성되는 포장체.
KR1020147029905A 2012-05-22 2013-05-15 적층 필름 KR20150020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6135 2012-05-22
JP2012116135A JP5915373B2 (ja) 2012-05-22 2012-05-22 積層フィルム
PCT/JP2013/063546 WO2013176017A1 (ja) 2012-05-22 2013-05-15 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262A true KR20150020262A (ko) 2015-02-25

Family

ID=4962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905A KR20150020262A (ko) 2012-05-22 2013-05-15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15373B2 (ko)
KR (1) KR20150020262A (ko)
CN (1) CN104321196B (ko)
TW (1) TWI569962B (ko)
WO (1) WO2013176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5345A (ja) * 2015-03-20 2016-10-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成形用包装体
JP6645019B2 (ja) * 2015-03-23 2020-02-1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6933242B2 (ja) * 2019-12-18 2021-09-0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1897B1 (en) * 1994-09-16 2001-04-18 Cryovac, Inc. Thermoplastic multilayer film for use in packaging water
ATE200648T1 (de) * 1994-09-16 2001-05-15 Cryovac Inc Thermoplastischer mehrschichtfilm zum verpacken von wasser
JP3643449B2 (ja) * 1995-07-31 2005-04-2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包装容器および包装製品
DE69606811T3 (de) * 1995-07-31 2012-01-12 Kureha Corp. Mehrschichtfolie
AU735827B2 (en) * 1996-04-12 2001-07-19 Cryovac, Inc. Heat sealable film
JP4132217B2 (ja) * 1998-04-28 2008-08-13 グンゼ株式会社 低温ヒートシール性を有する多層シート
KR20030019454A (ko) * 2000-06-22 2003-03-06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
JP2003154614A (ja) * 2001-11-20 2003-05-2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深絞り包装用共押出複合フィルム及び深絞り包装体
JP4005977B2 (ja) * 2004-04-09 2007-11-14 日本ポリオレフィン株式会社 フィルムおよびシーラント
JP4889075B2 (ja) * 2005-02-17 2012-02-29 株式会社クレハ 深絞り包装用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深絞り包装用容器
JP4588490B2 (ja) * 2005-02-28 2010-12-0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2010280391A (ja) * 2009-06-02 2010-1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型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6542A (zh) 2014-02-16
JP2013240941A (ja) 2013-12-05
JP5915373B2 (ja) 2016-05-11
CN104321196A (zh) 2015-01-28
CN104321196B (zh) 2017-11-28
TWI569962B (zh) 2017-02-11
WO2013176017A1 (ja)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8628B2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16005875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13111822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KR20150020262A (ko) 적층 필름
JP2015024593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5347419B2 (ja) 多層フィルム
JP6822447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よりなる包装体
JP2007136914A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よりなる包装体
JP2014208460A (ja) 医療用多層フィルムおよび医療品包装体
JP5549141B2 (ja) 多層フィルム
JP6763761B2 (ja) 食品包装用深絞り成形包装体
JP6562245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7115523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よりなる包装体
JP6410074B2 (ja) 包装用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WO2024143301A1 (ja) 転写フィルム
JPH1076616A (ja) 共押出複合フィルム
JP2024001555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4094222A (ja) 転写フィルム
JP2016016542A (ja) 包装用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3167822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3167821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WO2023069096A1 (en) Recyclable packaging film for retort applications
JP2011240977A (ja) 包装容器
JP2023074225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3167823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