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240A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6240A KR20140076240A KR1020120144572A KR20120144572A KR20140076240A KR 20140076240 A KR20140076240 A KR 20140076240A KR 1020120144572 A KR1020120144572 A KR 1020120144572A KR 20120144572 A KR20120144572 A KR 20120144572A KR 20140076240 A KR20140076240 A KR 201400762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id
- lotion
- herbal extract
- cream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허브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음식물이나 흡입성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아토피성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외에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이 있다.
이 중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피부 병변의 특징적인 모양 및 분포와 개인 또는 가족의 아토피 병력을 가지는 아토피성 체질(유전적인 소인)을 타고난 경우에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영ㆍ유아기, 특히 생후 2개월 전후에 시작되는데 이 중 약 50%가 생후 2세 이전에 발생하고 거의 5세 이전에 증상이 나타난다. 현재 일반인의 0.7%, 5세 이하 소아의 35%가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매년 그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과 인설로 시작하여 심해지면 수포 및 장액성 삼출액과 가피를 보이는 급성 증상으로 진행한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인 소양증은 그 정도가 매우 심해서 피가 날 정도로 긁게 되며, 가려움 긁기 가려움의 악순환으로 계속 악화되며, 더 지속되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뚜렷해지는 태선화 현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긁거나 문지른 결과에 의해 발생하며 밤에는 소양증이 더욱 심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허브(herb)는 잎이나 줄기가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거나 향과 향미로 이용되는 식물이다. 허브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는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아미노산, 정유(essential oil), 지방산, 글리세롤, 사포닌, 탄닌, 알칼로이드, 배당체, 테르펜, 수지, 펙틴, 쓴맛 성분 등이 있다. 이들 성분 중 정유는 향이 좋으며 피부에 바르면 2∼3초 안에 스며들어 깊이 흡수되는 특성이 있다. 정유는 신체의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방부제, 소독살균제, 소화제, 강장제, 거담제, 소염제, 항암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허브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해내어 부작용 적은 화장료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62214호에는 한방추출물, 허브추출물, 곡물추출물을 알칼리수로 농축하고 발효시켜 제공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98182호에는 알로에, 어성초, 산국, 감잎, 민들레, 당귀를 발효시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조성물들은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허브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허브 추출물이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습효과가 있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 허브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 허브 추출물은 허브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비티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및 락토코커스 속(屬)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브 추출물은 허브를 추출용매로 추출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브는 블루베리, 크랜베리, 야생딸기, 아사이베리, 타임, 로즈마리, 빌베리. 레몬그라스, 로즈힙, 라즈베리 및 케이프카모마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항염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이 뛰어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촉촉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 허브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허브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미만이면 자유라디칼 소거 효능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능이 미비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화장료 제형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한 발효 허브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5 중량%이며, 보다 더 바람직한 함량은 5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 허브 추출물은 허브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분리 균주 또는 시판 중인 유산균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락토바실러스, 비티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및 락토코커스 속(屬)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데, 그 구체적 예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mtum), 락토바실러스 블가리쿠스(L.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락티스(L. delbruekii subsp. lacti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등이 있다.
유산균 배양 배지는 각각의 유산균에 맞게 선택될 수 있으며 MRS(Man Rogosa Sharpe), 락토오스, M17 또는 ART(Asparagine Enrichment Broth) 배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허브 추출물은 허브를 추출용매로 추출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용매는 물 및/또는 유기용매가 사용된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단독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이외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허브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물에 희석시키고 여기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용매의 사용량은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추출용매가 물 단독일 경우에는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150 내지 250 중량%의 용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20 중량%의 용매가 사용된다.
추출용매가 유기용매 단독일 경우에는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용매가 사용된다.
추출용매로 물과 유기용매가 함께 사용될 경우에는,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130 중량%의 용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중량%의 용매가 사용된다.
또한, 추출용매로 물과 유기용매가 함께 사용될 때에는 혼합비가 중량 기준으로 95:5 ~ 8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건조 허브를 추출용매에 넣고 50 내지 100℃에서 4 내지 20 시간 동안 추출하거나 또는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추출물을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류되어 나오는 증류액을 회수하고 이를 전체 증류액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농축한 후 이 농축물에 유산균을 접종한다. 이때 사용되는 유산균은 상기 농축물 중량의 0.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이다. 유산균 접종 후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8℃에서 24 내지 52 시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 시간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허브 추출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허브는 블루베리, 크랜베리, 야생딸기, 아사이베리, 타임, 로즈마리, 빌베리, 레몬그라스, 로즈힙, 라즈베리 및 케이프카모마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브 군에서 4개 이상 선택되는 것이다.
블루베리(Vaccinium spp.)에는 미네랄, 칼슘, 철분, 망간 등이 들어 있으며 식이섬유가 100g 당 4.5g 함유되어 있다. 블루베리의 색소는 사람의 눈 망막에 로돕신이라는 자색 색소체의 생리활성화를 일으켜 시력 향상에 좋고 또한 모세혈관 보호 작용, 항산화 작용, 비타민 P와 같은 작용, 항궤양 활성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랜베리(Vaccinium macrocarpom Aiton)는 선명한 적색을 띄는데 이 적색은 안토시아닌(Anthocyanin) 색소로 넓게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색소에 속한다. 크랜베리는 베조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천연보존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타민 C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야생딸기(Fragaria vesca)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과실은 철분과 칼륨이 풍부하고, 잎은 방향성(芳香性)이 있어 건조시켜 차로 마시며 뿌리는 설사나 비뇨기병의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아사이베리(Euterpe Oleracea)는 올레산(oleic acid),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 및 프로안소시아니딘(proanthocyanidin)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사이베리에는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파이토스테롤, 알파토코페롤, 미량무기질, 섬유질, 단백질, 글루코사민, 셀라드린, 퀴닌산,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항산화물질과 필수 영양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아사이베리 속의 항산화 성분과 비타민 A, C, E, K, 무기질, 아미노산, 필수지방산은 젊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주고, 피부 노화를 지연시킨다. 또한 아사이베리는 단백질 수치를 높여주는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다.
타임(Thymus spp.)은 꽃의 향기가 백리를 간다고 해서 백리향이라고 하며 페놀계(thymol: 40~60%), 알코올계(carvacrol, borneal), 옥사이드계(cineole), 케톤계(menthone), 탄화수소계(pinene)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타임은 강한 방부작용과 항통증, 소독, 살균, 배뇨 촉진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예로부터 향수, 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역한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제 역할, 부향제 역할, 살균 작용과 항균 작용 및 항산화 기능 등이 있어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빌베리(Vaccinium myrtillus L.)는 진달래과(family Ericaceae)의 월귤나무속(genus Vaccinium)에 속하는 식물로 오래 전부터 발열, 흥분, 초조, 기침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신장 결석과 요로 감염, 장과 간 질환, 치질 그리고 야맹증, 백내장, 근시, 눈의 피로 등 안구 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레몬그라스(Cymbopogon citratus)는 살균 효과가 있으며 발한(發汗), 해열(解熱), 복통(腹痛)에 효과가 있고 피부 질환에도 좋으며 피부의 분비를 조절하고 항균 효과도 있다.
로즈힙(Rosa canina L.)은 베타-카로텐, 베툴린, 카테친, 에피카테친, 플라보노이드, 이소케르시트린, 리코펜, 말산, 펙틴, 바닐린, 제아잔틴,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셀렌, 아연, 탄수화물, 타닌 등을 함유하고 있고 특히 비타민 C를 오렌지의 20배, 레몬의 60배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A, B, E, P가 풍부하다.
라즈베리(Rubus strigosus)는 향기를 맡으면 지방이 분해되고 식욕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으며, 블랙 라즈베리의 경우 식도암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케이프 카모마일(Eriocephalus Punctulatus)은 부종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위장장애 치료, 발한제, 지혈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허브는 블루베리, 크랜베리, 아사이베리 및 레몬그라스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혼합 비율은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블루베리 20 내지 40 중량%, 크랜베리 20 내지 40 중량%, 아사이베리 20 내지 40 중량% 및 레몬그라스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또는 해초 엑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와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이 배합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制汗劑),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 허브 추출물 제조
블루베리 500 g, 크랜베리 500 g, 야생딸기 500 g, 아사이베리 500 g, 타임 500 g, 로즈마리 500 g, 빌베리 500 g, 레몬그라스 500 g, 로즈힙 500 g, 라즈베리 500 g 및 케이프카모마일 500 g을 혼합한 허브 혼합물에 물 11,000 g을 투여한 후 20~25℃에서 3일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 증류되어 나오는 증류액을 회수하고 상기 증류액을 농축시켜 허브 추출 농축액 1.0 kg을 제조하였다. 상기 허브 추출 농축액을 발효조에 넣고 이온수 15 L를 첨가하고 100℃에서 3분간 살균처리한 후 37℃까지 온도를 낮추었다. 이어, MRS 배지에서 37℃, 2일간 정치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KCCM10912P) 200 mL(1 X 1008 cell/mL)를 상기 발효조에 넣고, 0.5 bar, 37℃, 100 rpm의 발효 조건에서 2일간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액을 100℃에서 30분간 살균하고, 냉각한 후 0.45um 여과 필터를 이용, 여과하여 발효 허브 추출액(발효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이용하여 하기의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시험 및 보습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예 1>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
푸지타 등(Fujita, et al)의 방법을 개선한 방법으로 안정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실시하였다(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9, p1199-1200, 1958).
0.2 mM의 DPPH 용액(SIGMA, D9132) 1 mL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 2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구하였다. 이때 블랑크(Blank)는 DPPH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시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아스코르브산 2 mL를 첨가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값(Scavenging activity, 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하는데 요구되는 발효 허브 추출액의 농도(㎍/㎖)로 표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을 사용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계산식 1]
실시예 1의 발효 허브 추출액 농도 (㎍/㎖) |
자유라디칼 소거율(%) | SC50 (㎍/㎖) |
0.5 | 12.8 | 2.36 |
1 | 15.2 | |
1.5 | 32.6 | |
2 | 42.9 | |
2.5 | 51.6 | |
3 | 65.3 | |
대조군(L-ascorbic acid) | 5.3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허브 추출액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값(SC50)이 2.36 ㎍/㎖를 나타낸 반면,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은 5.3 ㎍/㎖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발효 허브 추출액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2>
리폭시게나아제
(
Lipoxygenase
) 활성 억제 시험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의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하는 리놀레익애씨드(Linoleic acid), 티오바르비툴산(Thiobarbitulic acid)은 시그마사(社)의 것을 사용하였다. 1 mM 리놀레익애씨드 1 ml에 실시예 1의 여러 농도(0.1, 0.5, 1.0, 2.0, 3.0 ㎎/㎖)의 발효 허브 추출액을 첨가하고 리폭시게나아제 0.95 ml를 투여 후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0.5 ml를 투여하고 티오바르비툴산 1 ml 첨가한 후 10분간 열을 가한 후 얼음물에 2분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액에 부탄올 2 ml를 넣고 5분간 원심분리한 후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 2를 이용하여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실시예 1의 발효 허브 추출액 농도(㎎/㎖) |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율(%) |
0.1 | 4.37 |
0.5 | 16.32 |
1.0 | 30.55 |
2.0 | 55.77 |
3.0 | 55.41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보습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물에 대하여 수분측정기[Cornemeter CM 825, Courage + Khazaka 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X 2 Cm2, 8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없이 수분을 제거하였다. 5분 경과 후, 정제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각각 2구획에 대하여 10 ul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하였다. 10분 후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당 5회 측정하였다. 1구획에 대하여 5분 간격으로 6회 다음 계산식 3에 의하여 함수량(Water contents)을 구하고, 데이터 값은 20명에 대한 평균치로 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실내온도는 20℃, 상대습도는 20%였다.
[계산식 3]
시간 (분) |
함수량(Water contents) | |
정제수 | 실시예 1 | |
10 | 24 | 29 |
15 | 13 | 20 |
20 | 8 | 15 |
25 | 2 | 10 |
30 | 2 | 9 |
35 | 0 | 8 |
40 | 0 | 8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도포한 피부가 정제수를 도포한 피부보다 일정시간 후 함수량이 높게 나타나 보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제조예 1> 유연화장수(스킨)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함유한 유연화장수를 표 4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에탄올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메칠파라벤 및 조합항료를 용해시키고, 이를 나머지 성분을 용해한 정제수에 투입,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로 발효 허브 추출물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제조예 1 (중량%) |
비교예 1 (중량%) |
1 | 발효 허브 혼합 추출액 | 10.0 | - |
2 | 프로필렌글리콜 | 5.00 | 5.00 |
3 | 에탄올 | 5.00 | 5.00 |
4 | 부틸렌글리콜 | 5.00 | 5.00 |
5 | 글리세린 | 3.00 | 3.00 |
6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0.10 |
7 | PEG12 노닐페닐에테르 | 0.20 | 0.20 |
8 | 폴리솔베이트 80 | 0.30 | 0.30 |
9 | 트리에탄올아민 | 0.10 | 0.10 |
10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 0.10 | 0.10 |
11 | 메칠파라벤 | 0.10 | 0.10 |
12 | 조합향료 | 0.10 | 0.10 |
13 | 정제수 | 총합이 100 | 총합이 100 |
<화장품
제조예
2>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함유한 영양화장수를 표 5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스테아린산,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바셀린, 폴리솔베이트 60,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를 가온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칠파라벤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80∼85℃에서 일반 호모믹서로 혼합하여 유화공정을 거쳐 냉각시켰다. 이어 조합향료를 첨가하여 부향하고, 발효 허브 추출액을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로 발효 허브 추출액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번호 | 원 료 | 제조예 2 (중량%) |
비교예 2 (중량%) |
1 | 발효 허브 혼합 추출액 | 10.0 | - |
2 | 스테아린산 | 0.40 | 0.40 |
3 | 1,3-부틸렌글리콜 | 6.00 | 6.00 |
4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1.20 | 1.20 |
5 | 글리세린 | 4.00 | 4.00 |
6 |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1.00 | 1.00 |
7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0.20 |
8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3.00 | 3.00 |
9 | 유동파라핀 | 5.00 | 5.00 |
10 | 스쿠알란 | 3.00 | 3.00 |
11 | 바셀린 | 2.00 | 2.00 |
12 | 폴리솔베이트 60 | 1.50 | 1.50 |
13 |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 5.00 | 0.50 |
14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0.10 |
15 | 메칠파라벤 | 0.10 | 0.10 |
16 | 조합향료 | 0.10 | 0.10 |
17 | 정제수 | 총합이 100 | 총합이 100 |
<화장품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표 6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밀랍, 폴리솔베이트 6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온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칠파라벤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80∼85℃에서 일반 호모믹서로 혼합하여 유화공정을 거쳐 냉각시켰다. 이어 조합향료를 첨가하여 부향하고, 발효 허브 추출액을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로 발효 허브 추출액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실시예 3 | 비교예 3 |
1 | 발효 허브 혼합 추출액 | 10.0 | - |
2 | 유동파라핀 | 6.00 | 6.00 |
3 | 스쿠알란 | 6.00 | 6.00 |
4 | 밀랍 | 10.0 | 10.0 |
5 | 글리세린 | 6.00 | 6.00 |
6 | 폴리솔베이트 60 | 1.50 | 1.50 |
7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0 | 0.50 |
8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0 | 5.00 |
9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3.00 |
10 | 부틸렌글리콜 | 2.00 | 2.00 |
11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0.20 |
12 | 메칠파라벤 | 0.20 | 0.20 |
13 | 조합향료 | 0.10 | 0.10 |
14 | 정제수 | 총합이 100 | 총합이 100 |
<화장품
제조예
4> 에센스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함유한 에센스를 표 7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7의 원료 성분 중 2~11 및 정제수를 80∼85℃에서 통상적 방법으로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시켰다. 이어 조합향료를 첨가하여 부향하고, 발효 허브 추출액을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 량(중량%) |
1 | 발효 허브 혼합 추출액 | 10.0 |
2 | 에탄올 | 5.00 |
3 | 프로필렌글리콜 | 5.00 |
4 |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 5.00 |
5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50 |
6 |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 0.50 |
7 | 글리세린 | 5.00 |
8 | 1.3-부틸렌글리콜 | 5.00 |
9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50 |
1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11 | 메칠파라벤 | 0.20 |
12 | 조합향료 | 0.10 |
13 | 정제수 | 총합이 100 |
<화장품
제조예
5> 마사지크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액을 함유한 마사지크림을 표 8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유동파라핀, 밀랍, 프로필렌글리콜, 스쿠알란,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을 가온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글리세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리콜, 시트릭애씨드, 메칠파라벤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80∼85℃에서 일반 호모믹서로 혼합하여 유화공정을 거친 후 냉각시켰다. 이어 조합향료를 첨가하여 부향하고, 발효 허브 추출액을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 량(중량%) |
1 | 발효 허브 혼합 추출액 | 10.0 |
2 | 유동파라핀 | 30.0 |
3 | 밀랍 | 10.0 |
4 | 프로필렌글리콜 | 2.00 |
5 | 스쿠알란 | 5.00 |
6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0 |
7 | 폴리솔베이트 60 | 1.50 |
8 | 글리세린 | 5.00 |
9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0 |
10 | 부틸렌글리콜 | 5.00 |
11 | 시트릭애씨드 | 0.10 |
12 | 메칠파라벤 | 0.20 |
13 | 조합향료 | 0.10 |
14 | 정제수 | 총합이 100 |
<
시험예
4> 아토피 치유 개선 효과 확인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년 이상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5~30세) 20명을 피험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매일 저녁 세정 후, 피험자 왼쪽 손등에 제조예 3의 영양크림을, 또한 피험자 오른쪽 손등에 비교예 3의 영양크림을 1일 1회 60일간 도포한 후 아토피에 대한 효과를 설문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 아토피 상태 개선 | ||
(명) | (%) | ||
제조예 3 | 매우 좋다 | 13 | 65.0 |
좋다 | 6 | 30.0 | |
보통이다 | 1 | 5.0 | |
그저 그렇다 | - | - | |
비교예 3 | 매우 좋다 | - | - |
좋다 | 3 | 15.0 | |
보통이다 | 5 | 25.0 | |
그저 그렇다 | 12 | 60.0 |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시험자 90% 이상이 본 발명의 제조예 3의 영양크림에 대하여 아토피 상태 개선에 있어 긍정적 반응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3의 영양크림에 대하여는 긍정적 반응은 15%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허브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허브 추출물은 허브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비티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및 락토코커스 속(屬)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추출물은 허브를 추출용매로 추출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블루베리, 크랜베리, 야생딸기, 아사이베리, 타임, 로즈마리, 빌베리, 레몬그라스, 로즈힙, 라즈베리 및 케이프카모마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572A KR20140076240A (ko) | 2012-12-12 | 2012-12-12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572A KR20140076240A (ko) | 2012-12-12 | 2012-12-12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240A true KR20140076240A (ko) | 2014-06-20 |
Family
ID=5112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4572A KR20140076240A (ko) | 2012-12-12 | 2012-12-12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76240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2021A (ko) | 2017-11-28 | 2019-06-05 | 조성희 | 포도 종초 및 허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20210001260A (ko) * | 2019-06-27 | 2021-01-06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KR102269842B1 (ko) * | 2020-02-27 | 2021-06-28 |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 비피더 발효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WO2021149860A1 (ko) * | 2020-01-23 | 2021-07-29 | (주)에스디생명공학 | 유산균 발효 타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
CN117717507A (zh) * | 2023-12-18 | 2024-03-19 | 广州优科生物科技有限公司 | 含植物提取物的乌发防脱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
CN118490598A (zh) * | 2024-05-09 | 2024-08-16 | 广州宾缇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退红修护因子的制备工艺与应用 |
-
2012
- 2012-12-12 KR KR1020120144572A patent/KR201400762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2021A (ko) | 2017-11-28 | 2019-06-05 | 조성희 | 포도 종초 및 허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20210001260A (ko) * | 2019-06-27 | 2021-01-06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WO2021149860A1 (ko) * | 2020-01-23 | 2021-07-29 | (주)에스디생명공학 | 유산균 발효 타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
KR20210095395A (ko) * | 2020-01-23 | 2021-08-02 | (주)에스디생명공학 | 유산균 발효 타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
CN113329732A (zh) * | 2020-01-23 | 2021-08-31 | 株式会社Sd生命工学 | 乳酸菌发酵麝香草提取物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特应性皮炎及皮肤皱纹的组合物 |
CN113329732B (zh) * | 2020-01-23 | 2023-02-10 | 株式会社Sd生命工学 | 乳酸菌发酵麝香草提取物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特应性皮炎及皮肤皱纹的组合物 |
KR102269842B1 (ko) * | 2020-02-27 | 2021-06-28 |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 비피더 발효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CN117717507A (zh) * | 2023-12-18 | 2024-03-19 | 广州优科生物科技有限公司 | 含植物提取物的乌发防脱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
CN118490598A (zh) * | 2024-05-09 | 2024-08-16 | 广州宾缇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退红修护因子的制备工艺与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9619B1 (ko) |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56812B1 (ko) |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800161B1 (ko) |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 |
KR20110108686A (ko) |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229045B1 (ko) |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9553B1 (ko) | 완두콩, 황금, 유근피 및 산자나무 열매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40076240A (ko)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11078B1 (ko) | 바다제비집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JP2012036128A (ja) |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用いた美肌用組成物 | |
KR101996732B1 (ko) |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658061B1 (ko) | 한방 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044869A (ko) |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98603A (ko) |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 |
KR101536224B1 (ko) |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 |
KR102171924B1 (ko) |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829831B1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267765B1 (ko) |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068015A (ko) |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라디에타 파인 및 구아바 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12097B1 (ko) |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1873244B1 (ko) |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 |
KR20130073040A (ko) |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KR100713030B1 (ko) |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 |
KR20130070107A (ko) |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녹차 발효물 추출방법 및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687254B1 (ko) |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 |
KR101498201B1 (ko) |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