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206A - 하우징리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하우징리스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0206A KR20130030206A KR1020120097206A KR20120097206A KR20130030206A KR 20130030206 A KR20130030206 A KR 20130030206A KR 1020120097206 A KR1020120097206 A KR 1020120097206A KR 20120097206 A KR20120097206 A KR 20120097206A KR 20130030206 A KR20130030206 A KR 201300302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ptacle
- connector
- substrate
- cantilevers
- top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가 거의 손상을 입지 않는 하우징리스 커넥터를 제공한다. 리셉터클 커넥터(3)(하우징리스 커넥터)는 단일 금속판(g)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어 이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6) 및, 이 외팔보(6)를 둘러싸는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바깥틀체(7)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외팔보(6)를 개재하는 한 쌍의 측판(9) 및, 외팔보(6)를 개재하여 리셉터클측 기판(2)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천판(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징리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당해 분야의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142183호(특허문헌 1)에 콘택트 모듈 및 하우징으로 구성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모듈(100)은 스트립(strip)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01)와, 베이스(101)를 개재(interpose)하여, 베이스(10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빗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102)를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트(102)는 SUS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 폴리 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 필름 및 귀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도금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cantilever)를 포함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하우징이 없는 커넥터: housingless connector)를 개발했다. 이 하우징리스 커넥터는, 외팔보가 하우징에 의해서 보유 지지(holding)되지 않기 때문에 외팔보가 손상 받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하우징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커넥터는 상술한 문제점이 없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은 특허문헌 1에 의해서 해결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가 거의 손상을 입지 않는 하우징리스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단일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기판상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하우징리스 커넥터는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와, 이 복수의 외팔보를 둘러싸는 바깥틀체를 포함한다.
바깥틀체는, 기판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의 외팔보를 개재하는 한 쌍의 측판 및, 복수의 외팔보를 개재하여 기판의 반대측에 배치된 천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깥틀체는 측판에 연결되고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기판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깥틀체는 천판에 연결되고 기판을 향하여 연장되어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기판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판은 대응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판은 삽입 개구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는 경사면과 만곡면 중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외팔보는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천판은 기판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각 외팔보의 정점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외팔보는 기판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외팔보는, 금속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절연층 상에 소원하는 도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는 바깥틀체에 의해서 둘러싸이기 때문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주어지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닌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것이다.
도 1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부터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2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4는 도 2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1 실시예).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1 실시예).
도 7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함께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제 1 실시예).
도 8a 내지 도 8d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제 1 실시예).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1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
도 11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
도 12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4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5는 도 13의 선 ⅩⅤ-Ⅹ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6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7은 도 16의 선 ⅩⅤⅠⅠ-ⅩⅤ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8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9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20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1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2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3은 도 21의 선 ⅩⅩⅠⅠⅠ-ⅩⅩⅠ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4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5는 도 24의 선 ⅩⅩⅤ-ⅩⅩ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6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7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28은 특허문헌 1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부터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2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4는 도 2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1 실시예).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1 실시예).
도 7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함께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제 1 실시예).
도 8a 내지 도 8d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제 1 실시예).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1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
도 11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
도 12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4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5는 도 13의 선 ⅩⅤ-Ⅹ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6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7은 도 16의 선 ⅩⅤⅠⅠ-ⅩⅤ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8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제 2 실시예).
도 19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20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1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2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3은 도 21의 선 ⅩⅩⅠⅠⅠ-ⅩⅩⅠ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4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5는 도 24의 선 ⅩⅩⅤ-ⅩⅩ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6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제 3 실시예).
도 27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 3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28은 특허문헌 1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단면 이외의 영역에서의 미세 해칭(hatching)은 도전 패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커넥터 유닛;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1)은, 리셉터클측 기판(2)(하나의 기판; 제 1 기판)상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하우징리스 커넥터; 제 1 하우징리스 커넥터) 및 플러그측 기판(4)(제 2 기판; 도 6 참조)상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5)(대응하는 반대측 커넥터(counterpart connector); 제 2 하우징리스 커넥터)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3)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이 없는 소위 하우징리스 타입 커넥터이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어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6)와, 복수의 외팔보(6)를 둘러싸는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용어 "피치 방향", "피치 직교 방향" 및 "높이 방향"을 정의한다. 용어 "피치 방향"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포함되는 방향으로서 복수의 외팔보(6)가 배열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피치 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은 "피치 중앙 방향(pitch center direction)"으로 정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3)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피치 반(反) 중앙 방향(pitch anti-center direction)"으로 정의된다. 용어 "피치 직교 방향"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포함되는 방향으로서 피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피치 직교 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은 "피치 직교 중앙 방향(pitch orthogonal center direction)"으로 정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3)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피치 직교 반(反) 중앙 방향(pitch orthogonal anti-center direction)"으로 정의된다. 용어 "높이 방향"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높이 방향"에서,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근접하는 방향은 "기판 근접 방향(substrate approaching direction)"으로 정의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기판 이간 방향(substrate separating direction)"으로 정의된다.
(바깥틀체; 7)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틀체(7)는 천판(top plate)(8)과 한 쌍의 측판(side plate)(9)을 포함한다.
(바깥틀체; 7, 천판; 8)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판(8)은,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여 리셉터클측 기판(2)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다. 천판(8)은,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 유닛(10)을 포함한다. 삽입 개구 유닛(10)은 한 쌍의 삽입 개구(11)로 형성된다. 즉, 천판(8)은 한 쌍의 삽입 개구(11)를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삽입 개구(11)는 피치 직교 방향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삽입 개구(11)는 피치 방향으로 길게 늘어서도록 형성된다.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seamless peripheral edge)(12)를 포함한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늘어지도록 만곡되는 제 1 만곡부(13) 및 한 쌍의 제 2 만곡부(14)가,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다. 제1 만곡부(13)는, 삽입 개구(11)로부터 보았을 때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 측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만곡부(14)는 삽입 개구(11)로부터 보았을 때 피치 반 중앙 방향 측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 1 만곡부(13)는 제 1 만곡면(13a)(굽어진 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 2 만곡부(14)는 제 2 만곡면(14a)(굽어진 면)을 갖는다.
(바깥틀체; 7, 측판; 9)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9)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외팔보(6)를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열된다. 한 쌍의 측판(9)은 천판(8)의 피치 직교 방향의 단부(end)에 접속되고, 기판 근접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측판(9)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대략 직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측 기판(2)에 리셉터클 커넥터(3)를 납땜(soldering)하기 위해 사용되는 홀드 다운(hold-down: 꺾쇠)(15)(제 1 기판 고정부)이, 측판(9)의 피치 방향의 단부(end portions)의 하단(lower end)에 형성된다. 홀드 다운(15)은 각 측판(9)에 연결되고 측판(9)으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절곡(bending)되도록 형성된다.
(외팔보; 6)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각 외팔보(6)는, 바깥틀체(7)의 대응하는 측판(9)의 하단(9a)에 연결되고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linear portion)(6a)와, 직선부(6a)에 연결되고, 기판 이간 방향,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 및 기판 근접 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향하도록 만곡되는 만곡부(6b)를 포함한다. 각각의 외팔보(6)는 만곡부(6b)의 존재에 기인하여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정점(apex)(6c)은 각 외팔보(6) 중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부분이다. 이 정점(6c)은 천판(8)에 의해서 덮여 있다. 구체적으로, 각 외팔보(6)의 정점(6c)은 천판 중앙부(8a)에 의해서 덮인다. 이 천판 중앙부(8a)는 한 쌍의 삽입 개구(11)를 구획하는 천판(8)의 일부이다.
(도전 패턴; c)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 패턴(c)을 갖는다. 이 도전 패턴(c)은 각 외팔보(6)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전 패턴(c)의 수는 외팔보(6)의 수와 동일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패턴(c)은 외팔보(6), 측판(9) 및 천판(8) 상에 걸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전 패턴(c)은 각 외팔보(6)의 만곡부(6b)로부터 천판(8)의 각 제 1 만곡부(13)에 까지 이르는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도전 패턴(c)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각 전극 패드(2b)에 납땜된다.
(홀드 다운 패턴; 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복수의 홀드 다운 패턴(d)을 갖는다. 홀드 다운 패턴(d)은 홀드 다운(15) 및 측판(9) 상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홀드 다운 패턴(d)이 리셉터클측 기판(2)의 각 홀드 다운 패드(2c)에 납땜됨으로써, 홀드 다운(15)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는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3)와 마찬가지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이 없는 소위 하우징리스 타입 커넥터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는,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한 쌍의 U자 형상부(20) 및 한 쌍의 U자 형상부(20)에 연결된 연결판(connecting plate)(21)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6은 플러그측 기판(4)이 도시되어 있다.
U자 형상부(20)의 각각은, 연결판(21)의 피치 직교 방향에서 단부(end)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리셉터클측 기판(2)에 근접하는 방향: 이하 동일)으로 연장되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만곡되고, 기판 이간 방향(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이하 동일)으로 더 연장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전 패턴; e)
플러그 커넥터(5)는 복수의 도전 패턴(e)을 갖는다. 도전 패턴(e)은 각 외팔보(6)(도전 패턴(c))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전 패턴(e)의 수는 외팔보(6)(도전 패턴(c))의 수와 동일하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패턴(e)은 U자 형상부(20) 및 연결판(21) 상에 걸쳐 형성된다. 각 도전 패턴(e)은 플러그측 기판(4)의 전극 패트(4d)에 납땜된다.
(작동)
다음으로, 커넥터 유닛(1)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6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고, 플러그 커넥터(5)는 플러그측 기판(4) 상에 탑재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는 리셉터클 커넥터(3)의 각 삽입 개구(11)에 삽입된다. 삽입 개구(11)의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제 1 만곡부(13) 및 제 2 만곡부(14)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각 삽입 개구(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각 삽입 개구(11)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는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각 외팔보(6)의 만곡부(6b)를 민다. 따라서, 외팔보(6)는 자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의 각 U자 형상부(20)와 강하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 접촉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각 도전 패턴(c)과 플러그 커넥터(5)의 각 도전 패턴(e) 사이에서 연속성을 성취한다.
(제조 방법)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단일 금속판(g)으로 형성된다. 먼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h)이 금속판(g)의 일 표면상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원하는 도전 패턴(c)과 홀드 다운 패턴(d)이 절연층(h) 상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필요한 부분이 펀치 프로세스 등에 의해서 제거된다. 도 8d에 도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절곡 프로세스(bending process)가 수행되고, 이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3)가 완성된다.
플러그 커넥터(5)를 제조하는 방법은 리셉터클 커넥터(3)를 제조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요약하면, 제 1 실시예는 다음 특징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하우징리스 커넥터)는 단일 금속판(g)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어 이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어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6) 및 복수의 외팔보(6)를 둘러싸는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6)는 바깥틀체(7)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이에 의해서 외팔보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바깥틀체(7)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는 한 쌍의 측판(9) 및,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여 리셉터클측 기판(2)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천판(9)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6)는 바깥틀체(7)에 의해서 덮이도록 둘러싸이고, 이에 의해서 외팔보가 손상으로부터 더욱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바깥틀체(7)는 측판(9)에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되는 홀드 다운(15)(제 1 기판 고정부)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홀드 다운(15)이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되는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3)가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된다.
천판(8)은 플러그 커넥터(5)(대응하는 반대측 커넥터(counterpart connector))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1)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와 플러그 커넥터(5)가 함께 고정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5)는 삽입 개구(11)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가 복수의 외팔보(6)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삽입 동안, 천판(8) 그 자체는 플러그 커넥터(5)를 복수의 외팔보(6)로 안내하는 안내 기능을 행한다.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안내 기능은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가 컷(cut)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 더 원활하게 성취될 수 있다.
각각의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는 제 1 만곡면(13a)(만곡된 표면) 및 제 2 만곡면(14a)(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안내 기능이 더 원활하게 성취될 수 있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제 1 만곡면(13a)과 제 2 만곡면(14a) 대신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천판(8)은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각 외팔보(6)의 일부인 정점(6c)을 덮는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5)를 삽입 개구(11)에 삽입하는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5)는 각 외팔보(6)가 변형되어 풀리(buckle)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리셉터클 커넥터(3)의 높이 방향에서의 크기는 예를 들면 0.8mm이고, 피치 직교 방향에서의 크기는 예를 들면 2.5mm이고, 외팔보(6)의 피치는 예를 들면 0.2mm이다.
<제 1 실시예: 제 1 변형예>
도 9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측 기판(2)상에 리셉터클 커넥터(3)를 탑재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9)의 피치 방향으로 단부의 하단에서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홀드 다운(15)을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형성된 관통홀(30)에 삽입되고 측판(9)의 피치 방향으로 단부의 하단에서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핀(31)(제 1 기판 고정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바깥틀체(7)는 각 측판(9)에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는 핀(3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핀(31)이 존재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3)를 리셉터클측 기판(2)에 탑재하는 강도가 향상된다.
<제 1 실시예: 제 2 변형예>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홀드 다운(32)(제 2 기판 고정부)을, 천판(8)의 천판 중앙부(8a)의 피치 방향의 단부에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바깥틀체(7)는 천판(8)의 천판 중앙부(8a)에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을 향하여 연장되어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는 홀드 다운(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드 다운(32)이 존재함으로써 천판(8)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홀드 다운(32)이 존재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3)를 리셉터클측 기판(2)에 탑재하는 강도가 향상된다.
<제 1 실시예: 제 3 변형예>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천판(8)의 천판 중앙부(8a)의 피치 방향의 단부에 핀(34)(제 2 기판 고정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핀(34)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형성된 각 관통홀(33)에 삽입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된다. 즉, 바깥틀체(7)는 천판(8)의 천판 중앙부(8a)에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을 향하여 연장되어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는 핀(3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핀(34)이 존재함으로써 천판(8)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핀(34)이 존재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3)를 리셉터클측 기판(2)에 탑재하는 강도가 향상된다.
<제 2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본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마찬가지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커넥터 유닛;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11)은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 및 플러그측 기판(4) 상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플러그 커넥터(5)를 포함한다(또한 도 17 참조).
(리셉터클 커넥터; 3)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복수의 외팔보(6) 및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바깥틀체; 7)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틀체(7)는 천판(8), 한 쌍의 측판(9) 및 한 쌍의 베이스판(40)(제 1 기판 고정부)을 포함한다.
(바깥틀체; 7, 천판; 8)
천판(8)은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 유닛(10)을 포함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개구 유닛(10)은 단일 삽입 개구(11)로 형성된다. 즉, 천판(8)은 단일 삽입 개구(11)를 포함한다. 다른 말로, 천판(8)은 단일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annularly) 형성된다.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만곡부(14)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만곡부(14)는 삽입 개구(11)로부터 보았을 때 피치 반 중앙 방향 측 상에 형성된다. 각 제 2 만곡부(14)는 제 2 만곡면(14a)(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바깥틀체; 7, 베이스판; 40)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40)은 측판(9)의 하단(9a)에 각각 연결되고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외팔보; 6)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팔보(6)는 바깥틀체(7)의 천판(8)의 삽입 개구(11)의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연결되고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linear portion)(6h) 및 직선부(6h)에 연결되고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기판 근접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bent portion)(6i)를 포함한다. 절곡부(6i)가 존재함으로써 리셉터클측 기판(2)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팔보(6)의 형태가 가능해진다고 말할 수 있다.
(도전 패턴; c)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패턴(c)은 외팔보(6), 천판(8), 측판(9), 및 베이스판(40) 상에 걸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전 패턴(c)은 각 외팔보(6)의 절곡부(6i)로부터 각 베이스판(40)에 까지 이르는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도전 패턴(c)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각 전극 패드(2b)에 납땜된다.
(홀드 다운 패턴; 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한 쌍의 홀드 다운 패턴(d)을 갖는다. 홀드 다운 패턴(d)은 바깥틀체(7)의 피치 반 중앙 방향의 단부에서 베이스판(40), 측판(9), 천판(8), 측판(9) 및 베이스판(40) 상에 걸쳐 형성된다. 홀드 다운 패턴(d)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각 홀드 다운 패드(2c)에 납땜된다.
(플러그 커넥터; 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는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한 쌍의 U자 형상부(20) 및 한 쌍의 U자 형상부(20)와 접촉하는 접촉판(21)을 포함한다.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펄러그측 기판(4)이 도시되어 있다.
(도전 패턴; e)
플러그 커넥터(5)는 복수의 도전 패턴(e)을 갖는다. 도전 패턴(e)은 U자 형상부(20) 및 연결판(21) 상에 걸쳐 형성된다. 도전 패턴(e)은 플러그측 기판(4)의 전극 패드(4a)에 납땜된다.
(작동)
다음으로, 커넥터 유닛(1)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고, 플러그 커넥터(5)는 플러그측 기판(4) 상에 탑재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5)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삽입 개구(11)에 삽입된다. 삽입 개구(11)의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 제 2 만곡부(14)는 리셉터클 커넥터(3)의 삽입 개구(11)에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플러그 커넥터(5)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삽입 개구(11)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는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으로 외팔보(6)의 절곡부(6i)를 민다. 따라서, 외팔보(6)는 자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와 강력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 접촉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각 도전 패턴(c)과 플러그 커넥터(5)의 각 도전 패턴(e) 사이의 연속성을 성취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했다. 요약하면, 제 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하우징리스 커넥터)는 단일 금속판(g)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어 이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6) 및 복수의 외팔보(6)를 둘러싸는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6)는 바깥틀체(7)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이에 의해서 외팔보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바깥틀체(7)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는 한 쌍의 측판(9) 및,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여 리셉터클측 기판(2)의 반대측에 배치된 천판(8)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6)는 바깥틀체(7)에 의해서 덮이도록 둘러싸이고, 이에 의해서 외팔보는 손상으로부터 더욱 보호된다.
바깥틀체(7)는, 측판(9)에 각각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되는 베이스판(40)(제 1 기판 고정부)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베이스판(40)이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되는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된다.
천판(8)은 플러그 커넥터(5)(대응하는 반대측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1)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 및 플러그 커넥터(5)가 서로 고정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 개구(11)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가 복수의 외팔보(6)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삽입 동안, 천판(8) 그 자체는 플러그 커넥터(5)를 복수의 외팔보(6)로 안내하는 안내 기능을 행한다.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안내 기능은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가 컷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비해 더 원활하게 성취될 수 있다.
제 2 만곡면(14a)은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안내 기능이 더 원활하게 성취될 수 있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제 2 만곡면(14a) 대신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5)를 삽입 개구(11)에 삽입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5)는 각 외팔보(6)가 변형되어 풀리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변형예>
도 1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리셉터클 커넥터(3)를 탑재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베이스판(40)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9)의 하단(9a)에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형성된 관통홀(30)에 삽입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핀(31)(제 1 기판 고정부)을, 측판(9)의 피치 방향의 단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바깥틀체(7)는 측판(9)에 각각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는 핀(3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핀(31)의 존재로 인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를 리셉터클측 기판(2)에 탑재하는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서와 같이, 홀드 다운(32)(제 2 기판 고정부)이 천판(8)의 피치 방향의 단부에서 피치 직교 방향의 중앙에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에서와 같이, 리셉터클측 기판(2)에 형성된 각 관통홀(33)에 삽입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핀(34)(제 2 기판 고정부)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와 본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하고 반복되는 부분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마찬가지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커넥터 유닛; 1)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1)은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 및, 플러그측 기판(4) 상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플러그 커넥터(5)를 포함한다(또한 도 25 참조).
(리셉터클 커넥터; 3)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복수의 외팔보(6) 및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바깥틀체; 7)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틀체(7)는 천판(8) 및 한 쌍의 측판(9)을 포함한다.
(바깥틀체; 7, 천판; 8)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판(8)은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 유닛(10)을 포함한다. 삽입 개구 유닛(10)은 단일 삽입 개구(11)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천판(8)은 단일 삽입 개구(11)를 포함한다. 즉, 천판(8)은 단일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된다.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1 만곡부(13) 및 한 쌍의 제 2 만곡부(14)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 1 만곡부(13)는 삽입 개구(11)로부터 보았을 때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 측 상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만곡부(14)는 삽입 개구(11)로부터 보았을 때 피치 반 중앙 방향 측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 1 만곡부(13)는 제 1 만곡면(13a)(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 2 만곡부(14)는 제 2 만곡면(14a)(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바깥틀체; 7, 홀드 다운; 15)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를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하는데 사용되는 홀드 다운(15)(제 1 기판 고정부)은, 측판(9)의 피치 방향의 단부의 하단에 형성된다. 홀드 다운(15)의 각각은 측판(9)으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외팔보; 6)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팔보(6)는 대응하는 측판(9)의 하단(9a)에 연결되고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6p)와, 직선부(6p)에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경사부(6q) 및, 경사부(6q)에 연결되고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만곡부(6r)를 포함한다. 경사부(6q)가 존재함으로 인해서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외팔보(6)의 형태가 가능해진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각 외팔보(6)의 일부인 정점(6s)은 천판(8)에 의해서 덮인다. 구체적으로, 각 외팔보(6)의 정점(6s)은 천판(8)의 일부인 대응하는 제 1 만곡부(13)에 의해서 덮인다.
(도전 패턴; c)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패턴(c)은 외팔보(6) 및 측판(9) 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전 패턴(c)은, 외팔보(6)의 각각의 만곡부(6r)로부터 각 측판(9)에 까지 이르는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도전 패턴(c)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각 전극 패드(2b)에 납땜된다.
(홀드 다운 패턴; d)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한 쌍의 홀드 다운 패턴(d)을 갖는다. 홀드 다운 패턴(d)은 하나의 홀드 다운(15), 측판(9), 천판(8), 및 다른 하나의 홀드 다운(15) 상에 걸쳐 형성된다. 홀드 다운 패턴(d)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홀드 다운 패드(2c)에 납땜된다.
(플러그 커넥터; 5)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는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한 쌍의 U자 형상부(20) 및, 한 쌍의 U자 형상부(20)와 연결되는 연결판(21)을 포함한다. 도 2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러그측 기판(4)을 나타내고 있다.
(도전 패턴; e)
플러그 커넥터(5)는 복수의 도전 패턴(e)을 갖는다. 도전 패턴(e)은 U자 형상 패턴(20) 및 연결판(21) 상에 걸쳐 형성된다. 도전 패턴(e)은 플러그측 기판(4)의 전극 패드(4a)에 납땜된다.
(작동)
다음으로, 커넥터 유닛(1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고, 플러그 커넥터(5)는 플러그측 기판(4) 상에 탑재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5)는 리셉터클 커넥터(3)의 삽입 개구(11)에 삽입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개구(11)의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 제 1 만곡부(13) 및 제 2 만곡부(14)는, 리셉터클 커넥터(3)의 삽입 개구(11)에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26으로 돌아가서, 플러그 커넥터(5)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삽입 개구(11)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가 각 외팔보(6)의 만곡부(6r)를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외팔보(6)는 자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의 U자 형상부(20)와 강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 접촉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각 도전 패턴(c)과 플러그 커넥터(5)의 각 도전 패턴(e) 사이에서 연속성을 성취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요약하면, 상술한 제 3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하우징리스 커넥터)는 단일 금속판(g)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탑재되어 이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6) 및, 복수의 외팔보(6)를 둘러싸는 바깥틀체(7)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6)는 바깥틀체(7)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이에 의해서 외팔보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더욱이, 바깥틀체(7)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는 한 쌍의 측판(9) 및, 복수의 외팔보(6)를 개재하여 리셉터클측 기판(2)의 반대측에 배치된 천판(8)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외팔보(6)는 바깥틀체(7)에 의해서 덮이도록 둘러싸이고, 이에 의해서 외팔보는 손상으로부터 더욱 보호된다.
바깥틀체(7)는 측판(9)에 각각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되는 홀드 다운(15)(제 1 기판 고정부)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홀드 다운(15)이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되는 경우에,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된다.
천판(8)은 플러그 커넥터(5)(대응하는 반대측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1)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 및 플러그 커넥터(5)가 함께 고정될 때, 플러그 커넥터(5)는 삽입 개구(11)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5)가 복수의 외팔보(6)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삽입 동안, 천판(8) 그 자체는 플러그 커넥터(5)를 복수의 외팔보(6)에 안내하는 안내 기능을 행한다.
천판(8)은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안내 기능은,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가 컷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비해 더 원활하게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만곡면(13a) 및 제 2 만곡면(14a)이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12)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안내 기능은 더 원활하게 성취될 수 있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제 1 만곡면(13a) 및 제 2 만곡면(14a) 대신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외팔보(6)는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멀어져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천판(8)은 리셉터클측 기판(2)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각 외팔보(6)의 일부인 정점(6s)을 덮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5)가 삽입 개구(11)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5)는 외팔보(6)가 변형되어 풀리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1 변형예>
도 27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3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리셉터클 커넥터(3)를 탑재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홀드 다운(15)을, 측판(9)의 피치 방향의 단부의 하단에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형성된 관통홀(30)에 삽입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핀(31)(제 1 기판 고정부)을, 측판(9)의 피치 방향의 단부의 하단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바깥틀체(7)는 측판(9)에 연결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는 핀(3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핀(31)의 존재로 인해서 리셉터클 커넥터(3)를 리셉터클측 기판(2)에 탑재하는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홀드 다운(32)(제 2 기판 고정부)이, 천판(8)의 피치 방향의 단부에서 피치 직교 방향의 중앙에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측 기판(2)에 형성된 각 관통홀(33)에 삽입되고 리셉터클측 기판(2)에 납땜되는 핀(34)(제 2 기판 고정부)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발명으로부터, 발명의 실시예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 되지 않고, 이러한 모든 변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고 이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1 : 커넥터 유닛
2 : 리셉터클측 기판
2a : 커넥터 탑재면
2b : 전극 패드
2c : 홀드 다운 패드
3 : 리셉터클 커넥터
4 : 플러그측 기판
4a : 전극 패드
5 : 플러그 커넥터
6 : 외팔보
6a : 직선부
6b : 만곡부
6c : 정점(apex)
7 : 바깥틀체
8 : 천판
9 : 측판
10 : 삽입 개구 유닛
11 : 삽입 개구
12 :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
13 : 제 1 만곡부
13a : 제 1 만곡면
14 : 제 2 만곡부
14a : 제 2 만곡면
15 : 홀드 다운
20 : U자 형상부
21 : 연결판
c : 도전 패턴
d : 홀드 다운 패턴
e : 도전 패턴
g : 금속판
2 : 리셉터클측 기판
2a : 커넥터 탑재면
2b : 전극 패드
2c : 홀드 다운 패드
3 : 리셉터클 커넥터
4 : 플러그측 기판
4a : 전극 패드
5 : 플러그 커넥터
6 : 외팔보
6a : 직선부
6b : 만곡부
6c : 정점(apex)
7 : 바깥틀체
8 : 천판
9 : 측판
10 : 삽입 개구 유닛
11 : 삽입 개구
12 :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
13 : 제 1 만곡부
13a : 제 1 만곡면
14 : 제 2 만곡부
14a : 제 2 만곡면
15 : 홀드 다운
20 : U자 형상부
21 : 연결판
c : 도전 패턴
d : 홀드 다운 패턴
e : 도전 패턴
g : 금속판
Claims (10)
- 단일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기판상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housingless connector)로서,
빗살 형상으로 배열되고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외팔보(cantilever)와,
상기 복수의 외팔보를 둘러싸는 바깥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틀체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외팔보를 개재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복수의 외팔보를 개재하여 상기 기판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천판(top pl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틀체는, 상기 측판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기판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틀체는, 상기 천판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기판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대응하는 반대측 커넥터(counterpart connector)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삽입 개구를 둘러싸는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seamless peripheral ed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없는 주변 에지는 경사면과 만곡면 중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팔보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어져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천판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각 상기 외팔보의 정점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팔보는 상기 기판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팔보는, 금속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 상에 소원하는 도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트로서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리스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03457 | 2011-09-16 | ||
JP2011203457A JP5845029B2 (ja) | 2011-09-16 | 2011-09-16 |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0206A true KR20130030206A (ko) | 2013-03-26 |
KR101402180B1 KR101402180B1 (ko) | 2014-05-30 |
Family
ID=4788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7206A KR101402180B1 (ko) | 2011-09-16 | 2012-09-03 | 하우징리스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647129B2 (ko) |
JP (1) | JP5845029B2 (ko) |
KR (1) | KR101402180B1 (ko) |
CN (1) | CN103001033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393B1 (ko) * | 2012-06-28 | 2014-10-22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하우징리스 커넥터 |
KR102209153B1 (ko) | 2019-11-06 | 2021-01-28 | 한화토탈 주식회사 |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KR20220050035A (ko) | 2020-10-15 | 2022-04-22 | 한화토탈 주식회사 |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30278B2 (ja) * | 2010-03-30 | 2014-06-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JP5845029B2 (ja) * | 2011-09-16 | 2016-01-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
JP6022855B2 (ja) * | 2012-08-24 | 2016-11-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
JP5970400B2 (ja) * | 2013-03-19 | 2016-08-17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導電パターン式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
JP6436350B2 (ja) * | 2015-03-18 | 2018-12-12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6635583B2 (ja) * | 2015-10-30 | 2020-01-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JP2018063875A (ja) * | 2016-10-13 | 2018-04-19 | 原田工業株式会社 | 車両用小型コネクタ |
JP6942038B2 (ja) * | 2017-12-05 | 2021-09-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086620B2 (ja) * | 2018-01-31 | 2022-06-2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
JP7366717B2 (ja) * | 2019-12-03 | 2023-10-2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US11715898B2 (en) | 2020-08-31 | 2023-08-01 | Molex, Llc | Highly reliable terminal and connector with a compact low profile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08153A (en) * | 1974-08-22 | 1975-09-23 | Ascon Corp | Ground clip for semi-conductor package |
US4516817A (en) * | 1983-04-25 | 1985-05-14 | Deters Paul M | Electrical jumper assembly |
US5562489A (en) * | 1994-07-20 | 1996-10-08 | Polaroid Corporation |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
JP3116300B2 (ja) * | 1996-06-21 | 2000-12-11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 |
JP2000260506A (ja) * | 1999-03-10 | 2000-09-22 |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FR2828590B1 (fr) * | 2001-08-08 | 2003-09-26 | Framatome Connectors Int | Barre de bus |
JP2003142183A (ja) * | 2001-11-01 | 2003-05-16 | Fujitsu Component Ltd | 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SG98467A1 (en) * | 2001-12-28 | 2003-09-19 | Fci Asia Technology Pte Ltd | Electrostatic protection cover |
JP4073879B2 (ja) * | 2004-02-26 | 2008-04-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079444B2 (ja) * | 2005-02-18 | 2008-04-2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240499B2 (ja) * | 2006-02-09 | 2009-03-1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接続部材 |
JP2007287394A (ja) * | 2006-04-13 | 2007-11-01 | Molex Inc | 基板コネクタ及び基板コネクタ対 |
JP2007299617A (ja) * | 2006-04-28 | 2007-11-15 | Kyocera Elco Corp | コネクタ |
JP4391555B2 (ja) * | 2007-09-14 | 2009-12-2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ソケット |
JP4452304B2 (ja) * | 2007-12-20 | 2010-04-2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接続部材 |
JP5108710B2 (ja) * | 2008-09-30 | 2012-12-26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電気コネクタ |
JP5845029B2 (ja) * | 2011-09-16 | 2016-01-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
JP5826620B2 (ja) * | 2011-11-30 | 2015-12-0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11
- 2011-09-16 JP JP2011203457A patent/JP584502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7-18 US US13/551,832 patent/US864712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8-31 CN CN201210320236.4A patent/CN10300103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9-03 KR KR1020120097206A patent/KR10140218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393B1 (ko) * | 2012-06-28 | 2014-10-22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하우징리스 커넥터 |
KR102209153B1 (ko) | 2019-11-06 | 2021-01-28 | 한화토탈 주식회사 |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KR20220050035A (ko) | 2020-10-15 | 2022-04-22 | 한화토탈 주식회사 |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001033B (zh) | 2016-03-09 |
US8647129B2 (en) | 2014-02-11 |
US20130072037A1 (en) | 2013-03-21 |
JP2013065459A (ja) | 2013-04-11 |
JP5845029B2 (ja) | 2016-01-20 |
KR101402180B1 (ko) | 2014-05-30 |
CN103001033A (zh) | 2013-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2180B1 (ko) | 하우징리스 커넥터 | |
US5921787A (en) |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 |
US7121837B2 (en) | Connector | |
JP6712794B2 (ja) |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 |
US8821174B2 (en) |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 |
JP4525699B2 (ja) | 基板間接続コネクタ | |
KR101453393B1 (ko) | 하우징리스 커넥터 | |
EP2341583B1 (en) | Female connector, male connector assembled thereto, and electric/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connectors | |
US9478902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 |
CN110061375A (zh) |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 |
KR101462523B1 (ko) | 커넥터 | |
JP6712799B2 (ja) |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 |
JP4100694B2 (ja) | コネクタ | |
US8591272B2 (en) | Lead fram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group, and connector | |
KR101326395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 |
TW201739121A (zh) | 連接器、頭座及插座 | |
FI124395B (en) | Coupling | |
US6893269B2 (en) | Connector efficiently forming a standoff region | |
JP6681577B2 (ja) |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 |
JP5642611B2 (ja) | コネクタ | |
JP2019185875A (ja) |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 |
JP2019129137A (ja) |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JP5845080B2 (ja) | コネクタ | |
KR20230038795A (ko) | 프로브 카드 | |
JP3931148B2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