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82777A -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777A
KR20120082777A KR1020110004274A KR20110004274A KR20120082777A KR 20120082777 A KR20120082777 A KR 20120082777A KR 1020110004274 A KR1020110004274 A KR 1020110004274A KR 20110004274 A KR20110004274 A KR 20110004274A KR 20120082777 A KR20120082777 A KR 2012008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ntent
icon
ui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578B1 (ko
Inventor
배주윤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578B1/ko
Priority to US13/323,188 priority patent/US20120185790A1/en
Priority to AU2012205931A priority patent/AU2012205931B2/en
Priority to PCT/KR2012/000239 priority patent/WO2012096498A2/en
Priority to EP12734613.8A priority patent/EP2663918A4/en
Publication of KR2012008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은 복수의 외부 기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를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복수의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동 및 편집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이용하여 수많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계속하여 발전되고 있다. 또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에 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하나의 기기에 다량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관리하기 위해, 해당 기기를 PC에 연결하고 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후, 사용자들은 해당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PC에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변경되면 해당 기기에 이를 반영하기 위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한다.
이러한, 종래의 컨텐츠 관리 프로그램들은 해당 기기 무관하게 일정한 탐색기 창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복수의 탐색기 창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어떠한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동 또는 편집하는지 명확히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컨텐츠의 이동 및 편집에 여러 차례 명령을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번거러움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 사이에서 켄텐츠를 이동하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은 복수의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를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UI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2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UI 중 제1 UI 상에서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에 해당 편집 내용이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1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UI를 상기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외부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를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UI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가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UI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2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가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제1 UI 상에서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에 해당 편집 내용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1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의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UI를 상기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UI 상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 사이에서 켄텐츠를 이동하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를 직접 조작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으며, 어떠한 외부 기기에 대한 컨텐츠를 관리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된 UI 상에서 컨텐츠를 편집하는 사용자 조작이 해당 기기에 직접 반영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 보다 편리하게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UI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컨테츠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외부 기기(200) 및 제2 외부 기기(300)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외부 기기(200, 300)에 저장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외부 기기(200, 300) 각각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외부 기기(200)와 제2 외부 기기(300) 사이에서 컨텐츠 이동을 제어하며, 제1 및 제2 외부 기기(200, 300)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편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이란 컨텐츠의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컨텐츠를 송수신하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써 PC로 구현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기기든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TV,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외부 기기(200, 300)는 컨텐츠를 저장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써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디지털 카메라, PDP, 네비게이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기기 자체(200, 300)의 특성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어플리케이션, 사운드 데이터, 사진의 슬라이드 쇼, 메모, 메시지, 전화번호부 등 다양한 데이터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기기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어플리케이션, 사운드 데이터, 사진의 슬라이드 쇼, 메모, 메시지, 전화번호부 등 다양한 데이터 형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기기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종 정보에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 외부 기기의 제품 기종 정보 및 제조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UI 상에 포함된 아이콘 또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 및 선택된 아이콘 및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 또는 다른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UI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및 터치 스크린, 리모콘 수신부 등의 단말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따라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120)와 일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를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하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기기 각각의 형상을 UI로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기기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어플리케이션, 사운드 데이터, 사진의 슬라이드 쇼, 메모, 메시지, 전화번호부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아이콘 및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UI, 아이콘 및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기기 사이의 컨텐츠 이동 및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의 편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가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UI는 각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복수의 UI 중 하나의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UI 상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복수의 UI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가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UI 상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제2 UI로 이동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썸네일 이미지가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가 다른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제1 외부 기기에서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면, 제2 외부 기기에 해당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이동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UI 상에 표시된 아이콘 및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해당 편집 내용이 외부 기기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30) 및 외부 기기의 화면 상에 OS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기기 사이의 컨텐츠 이동 및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의 편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컨텐츠의 파일 사이즈, 파일 포맷 등을 변환할 수 있는 변환부(미도시), 메시지를 OSD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처리부(미도시), 외부 기기의 제품 기종 정보 및 제조사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기기 사이의 컨텐츠 이동에 대해서만 상술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하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 사이의 컨텐츠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UI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는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입력부(220), 에뮬레이터 구동부(230), UI 처리부(240), 에영상 처리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기기와 유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 통신으로 유선 랜, USB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으로 무선 랜,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에뮬레이터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220)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커서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의 아이콘 또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콘 또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다른 하나의 제2 UI로 드래그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UI 상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에뮬레이터 구동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를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에뮬레이터 구동부(230)는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해당 외부 기기와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뮬레이터는 저장부(27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외부 기기 연결시 네트워크를 통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에뮬레이터는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동 및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뮬레이터 구동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외부 기기의 제품 기종 정보 또는 제조사 정보에 기초하여, 각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UI 처리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다양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처리부(240)는 각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를 외부 기기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의 UI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240)는 각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각 외부 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UI에 부가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은 각 외부 기기에 표시된 아이콘과 동일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50)는 입력된 또는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포맷 분석,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자체에서 제공가능한 다양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6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영상 처리부(250)에서 처리된 영상 또는 UI 처리부(240)에서 생성된 다양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60)는 에뮬레이터 구동부(230)에 의해 각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가 구동되고, UI 처리부(240)에서 구동된 에뮬레이터에 대응되는 UI를 생성되면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60)는 각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각 외부 기기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제어부(28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28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7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 및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다양한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가 구동되도록 에뮬레이터 구동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품 기종 정보 또는 제조사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에뮬레이터 구동부(230)에 의해 에뮬레이터가 구동되면, 제어부(280)는 대응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에뮬레이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에뮬레이터 데이터란 해당 외부 기기에 대한 에뮬레이터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써, 예를 들어, 해당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컨텐츠 표시 형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 표시 형태 및 해당 외부 기기의 형상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UI 처리부(240)는 변환된 데이터를 UI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처리부(24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에뮬레이터를 해당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UI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UI 처리부(240)는 UI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컨텐츠 표시 형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 표시 형태가 해당 외부 기기와 동일하도록 GUI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가 UI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UI를 통해 외부기기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된 복수의 UI 중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면,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해당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부(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제1 UI에서 선택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를 제2 UI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면,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해당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선택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선택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270)에 저장한 후, 저장된 컨텐츠를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외부 기기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사진, 동영상, 텍스트 파일 등의 데이터 크기(예를 들면, 해상도 등) 및 데이터 포맷을 제2 외부 기기에 적용되는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1 외부 기기에서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면, 제2 외부 기기에 해당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80)는 이동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를 통해 사진 아이콘이 선택하면, 제어부(280)는 사진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 즉,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에 저장된 사진 파일을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27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해당 사진 아이콘을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조작이 수행되면, 제어부(280)는 저장부(270)에 기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제2 UI에 대응하는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해당 사진 데이터의 포맷 또는 크기를 제2 외부 기기에 적용되는 포맷 또는 크기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된 사진 데이터가 제2 외부 기기에서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외부 기기는 이동된 사진 데이터를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되고, 저장된 컨텐츠가 제2 외부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지 않고 직접 제2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드래그 앤 드랍 동작에 의해 UI 상에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사용자 조작에 의해 UI 상에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버튼의 입력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UI 상에 표시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였지만,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아이콘 뿐만 아니라,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각각의 컨텐츠가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제1 UI 상에서 하나의 사진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하면,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에 저장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진만이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에뮬레이터가 UI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UI를 통해 외부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UI 상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면, 이에 따라 UI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컨텐츠의 편집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60) 및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OS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된 UI를 통해 전화번호부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되면, 제어부(280)는 해당 외부 기기에서도 해당 전화번호가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번호가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OS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UI를 통해 전화번호부가 편집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UI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된 UI 상에서 해당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삭제 또는 추가되면, 제어부(280)는 해당 외부 기기에서도 해당 아이콘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삭제 또는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된 UI를 통해 아이콘이 삭제되면, 제어부(280)는 해당 외부 기기에서도 삭제된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들가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UI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에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디지털 카메라의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각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UI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UI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디지털 카메라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이며, 각 UI에는 해당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따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에 대응되는 UI(410)에는 휴대폰에 저장된 컨텐츠,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메모, 사진, 음악 및 동영상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411, 412, 413, 414, 415, 416)이 표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MP3 플레이어에 대응되는 UI(420)에는 MP3 플레이어 저장된 컨텐츠, 예를 들어 음악, 동영상, 사진 및 텍스트 문서를 나타내는 아이콘(421, 422, 423, 424)이 표시되며,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되는 UI(430)에는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및 동영상을 나타내는 아이콘(431, 432)이 표시된다. 이 경우, 해당 아이콘은 특정한 컨텐츠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집합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아이콘이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집합을 나타내는 경우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휴대폰에 대응되는 UI(410) 상에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휴대폰에 대응되는 UI(200) 상에서 사진 아이콘(414)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 아이콘(414)에 포함된 컨텐츠들, 즉, 사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사진들이 썸네일 이미지(414-1 내지 414-9)로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UI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외부 기기를 조작하고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컨텐츠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진을 포함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그에 포함된 사진들이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다른 아이콘에도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동영상을 포함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동영상 내의 한 장면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음악을 포함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가수의 사진 또는 앨범 사진 등이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기기 간 컨텐츠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MP3 플레이어(510')와 휴대폰(520')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MP3 플레이어에 대응되는 UI(510)와 휴대폰에 대응되는 UI(520)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휴대폰에 대응되는 UI(520)에는 휴대폰(52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되며, MP3 플레이어에 대응되는 UI(510)에는 MP3 플레이어(51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된 커서(530)를 이용하여 휴대폰(520')에 대응되는 UI(520)에 포함된 아이콘 중 사진 아이콘(521)을 선택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아이콘(521)에 포함된 컨텐츠, 즉, 휴대폰(520')에 저장된 사진이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휴대폰(520')에 대응되는 UI(52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 즉, 휴대폰(520')에 저장된 사진 파일이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휴대폰에 저장된 사진 중 하나(521-1)를 MP3 플레이어(510')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520')에 대응되는 UI(520)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이동시키고자 하는 사진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521-1)를 선택하여 MP3 플레이어(510')에 대응되는 UI(510)로 드래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은 본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마우스, 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MP3 플레이어에 대응되는 UI(510)로 썸네일 이미지(521-1)의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이 완료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510')에 대응되는 UI(510)에 이동된 썸네일 이미지(511-1)가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저장된 사진 파일(521-1)이 MP3 플레이어(510')로 복사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MP3 플레이어(510')로 이동된 사진 파일에 대한 이미지(511')가 MP3 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휴대폰(520')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휴대폰(520')에 대응되는 UI(520)가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520')에 대응되는 UI(520)에는 사용자 조작(전화번호부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에 따라 휴대폰(52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621)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UI(520)를 통해 전화번호부(621)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수정하면, 휴대폰(520')에 저장된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동시에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폰(520')에 대응되는 UI(520)를 통해 홍길동의 전화번호를 "010-125-3047"에서 "010-125-7656"으로 수정하면, 휴대폰(520')에 저장된 대응되는 전화번호도 동시에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폰(520')에 저장된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수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세지가 휴대폰(52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컨테츠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710). 이 경우, 각 UI는 외부 기기의 에뮬레이터에 대한 UI를 의미하며, 외부 기기의 컨텐츠 표시 형태,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 표시 형태가 해당 외부 기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후, UI 상의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다(S720). 이러한 사용자 조작은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은 UI 상에 표시된 아이콘 및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 즉 수정, 변경, 추가 및 삭제하는 조작을 의미할 있다.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편집한다(S730).
구체적으로,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킨다. 또한, UI 상에 표시된 아이콘 및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편집 내용이 외부 기기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20 단계에서,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1 UI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730 단계에서,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는 사용자 명려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2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20 단계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S730 단계에서,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저장된 컨텐츠를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가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떠한 외부 기기에 대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것인지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외부 기기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외부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UI를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영상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200, 300 : 외부 기기
1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를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UI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2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 중 제1 UI 상에서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에 해당 편집 내용이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1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UI를 상기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복수의 외부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각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UI를 각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UI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가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UI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2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하나인 제1 UI 상에서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UI 중 다른 하나인 제2 UI로 이동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가 상기 제2 UI에 대응되는 제2 외부 기기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I 중 제1 UI 상에서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제1 외부 기기에 해당 편집 내용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1 외부 기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의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UI를 상기 외부 기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UI 상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04274A 2011-01-14 2011-01-14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74A KR101742578B1 (ko) 2011-01-14 2011-01-14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3/323,188 US20120185790A1 (en) 2011-01-14 2011-12-12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a display apparatus
AU2012205931A AU2012205931B2 (en) 2011-01-14 2012-01-10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a display apparatus
PCT/KR2012/000239 WO2012096498A2 (en) 2011-01-14 2012-01-10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a display apparatus
EP12734613.8A EP2663918A4 (en) 2011-01-14 2012-01-10 METHOD OF CONTINUOUS MANAGEMENT IN A VARIETY OF DEVICES USING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74A KR101742578B1 (ko) 2011-01-14 2011-01-14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77A true KR20120082777A (ko) 2012-07-24
KR101742578B1 KR101742578B1 (ko) 2017-06-01

Family

ID=4649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274A KR101742578B1 (ko) 2011-01-14 2011-01-14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85790A1 (ko)
EP (1) EP2663918A4 (ko)
KR (1) KR101742578B1 (ko)
AU (1) AU2012205931B2 (ko)
WO (1) WO201209649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9A1 (ko) * 2012-10-19 2014-04-24 Lee Sung H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6651B2 (en) * 2011-09-19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human input device commands over internet protocol
KR101936075B1 (ko) * 2012-09-21 201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상기 장치들
US9880727B2 (en) * 2013-05-29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manipulations for configuring system settings
USD810126S1 (en) * 2014-12-22 2018-02-13 Adtile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with motion-activ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7052502A1 (en) * 2015-09-22 2017-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s with virtual representations of electronic devices
US11853635B2 (en) * 2016-03-09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display devices including content curation
USD823340S1 (en) * 2016-07-29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D864228S1 (en) * 2017-09-20 2019-10-22 Adob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556289B (zh) * 2020-04-20 2024-05-17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图像分发方法和系统
CN112099716A (zh) * 2020-08-17 2020-12-18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远程计算机之间的文件复制系统
JP7345144B2 (ja) * 2021-03-31 2023-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214B2 (ja) * 1989-10-24 1995-05-24 株式会社沖ソフトウェア中国 データ編集システム
CA2121415A1 (en) 1993-04-28 1994-10-29 Mark A. Malamud Information cursors
US6035330A (en) * 1996-03-29 2000-03-07 British Telecommunications World wide web navigational mapping system and method
KR100316631B1 (ko) * 1997-06-25 2001-12-13 윤종용 홈 네트웍 자동 트리 생성기에 대한 방법 및 장치
US6138908A (en) 1997-09-19 2000-10-31 Ericsson Inc. Method for updating communications facilitation data
US7546353B2 (en) * 1999-12-02 2009-06-0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anaged peer-to-peer appl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data access and storage
US6446045B1 (en) * 2000-01-10 2002-09-03 Lucinda Stone Method for using computers to facilitate and control the creating of a plurality of functions
US7249059B2 (en) * 2000-01-10 2007-07-24 Dean Michael A Internet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20030075983A1 (en) * 2001-05-03 2003-04-2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JP4766294B2 (ja) 2001-09-11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304626A1 (en) * 2001-10-18 2003-04-23 Sun Microsystems, Inc. Managing modified documents
US7502945B2 (en) * 2002-06-28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Using a flexible rights template to obtain a signed rights label (SRL) for digital content in a rights management system
US7171664B2 (en) * 2002-12-16 2007-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employing extensible workflow entities with user-defined attributes in an object-oriented framework
US7177881B2 (en) * 2003-06-23 2007-02-13 Sony Corporation Network media channels
WO2005043313A2 (en) * 2003-10-24 2005-05-12 Caringfamily, Llc Influencing communications among a social support network
US8756487B2 (en) * 2004-01-06 2014-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sensitive content management
US7131595B2 (en) * 2004-01-20 2006-11-07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Automatic drive icon assignment by media type in single slot USB card readers
US8639812B2 (en) * 2005-04-12 2014-01-28 Belkin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computers
KR101132611B1 (ko) * 2006-10-02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다운로드 방법, 메시지 포워딩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8072392B2 (en) * 2007-12-07 2011-12-06 Scenera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isplay system for a computer and a portable device
US20090178131A1 (en) * 2008-01-08 2009-07-09 Microsoft Corporation Globally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secure content management
US20090234902A1 (en) * 2008-03-11 2009-09-17 Pilosof Erez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 available over multiple devices
US8458363B2 (en) * 2008-06-08 2013-06-04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data transfer
JP4591567B2 (ja) * 2008-07-16 2010-1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506166B1 (ko) * 2008-09-24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37598B1 (ko) * 2008-10-20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5009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장치
US7870496B1 (en) * 2009-01-29 2011-01-11 Jahanzeb Ahmed Sherwani System using touchscreen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to remotely control a host computer
US20100241971A1 (en) * 2009-03-20 2010-09-23 Thomas Zuber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collaborating within a secure online social networking community
US8271868B2 (en) * 2009-03-25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Inserting web content into a destination website
US20100259464A1 (en) * 2009-04-14 2010-10-14 Jae Young Chang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00269093A1 (en) * 2009-04-17 2010-10-21 iBiz Framework, Inc.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ynamic Applications
TW201106639A (en) * 2009-08-05 2011-02-16 Jian-Meng Yang Auto-transmission method of multiple transmission interfaces and electronic product performing the same
US8112713B2 (en) * 2009-10-07 2012-02-07 Thomas Zuber Method for providing alias folders in a document management system
KR101685364B1 (ko) * 2010-01-05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559869B2 (en) * 2010-05-04 2017-01-3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Video call handling
KR101680344B1 (ko) * 2010-05-06 201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55326B2 (en) * 2010-05-28 2015-06-09 Lg Electronics Inc.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KR101750898B1 (ko) * 2010-12-06 201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RU2602354C2 (ru) * 2010-12-17 2016-11-20 Кони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ыдачи электрон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карты
KR101788060B1 (ko) * 2011-04-13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1774316B1 (ko) * 2011-04-18 201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US9367224B2 (en) * 2011-04-29 2016-06-14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drag-and-drop operations across the shared borders of adjacent touch screen-equipped devices
US20120290943A1 (en) * 2011-05-10 2012-11-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vely managing content between multiple users
KR101770207B1 (ko) * 2011-06-01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9A1 (ko) * 2012-10-19 2014-04-24 Lee Sung H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6498A2 (en) 2012-07-19
US20120185790A1 (en) 2012-07-19
KR101742578B1 (ko) 2017-06-01
WO2012096498A3 (en) 2012-10-18
EP2663918A2 (en) 2013-11-20
EP2663918A4 (en) 2016-09-28
AU2012205931A1 (en) 2013-05-09
AU2012205931B2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578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RU2693909C2 (ru) Командны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 масштабирования выбираемых органов управления и команд
US101758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48541B1 (ko) 리본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기법
TWI522889B (zh) 管理使用者介面中之工作空間
KR10213164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173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iewing video content
RU2675046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рганизации слайдов презентации
EP3605328B1 (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by using work group
CN102938158A (zh) 通过直接操纵来构建动画时间线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4762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53462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1606621A (zh) 具有無縫轉換之合併式閱讀及編輯體驗
TW201545042A (zh) 暫態使用者介面元素
JP4338210B2 (ja) 画像管理装置及び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
TW201601051A (zh) 智慧型及可縮放觸控使用者介面顯示器
TW201324312A (zh) 具有觸摸屏的電子設備及其頁面處理方法
JP5935456B2 (ja) 画像処理装置
TW201539298A (zh) 用於內容插入及修改之漸進式功能存取
US2019021556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US108243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AU201733078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6031744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2092156B1 (ko) 표시 장치의 영상 인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