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812A -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0812A KR20120080812A KR20110002236A KR20110002236A KR20120080812A KR 20120080812 A KR20120080812 A KR 20120080812A KR 20110002236 A KR20110002236 A KR 20110002236A KR 20110002236 A KR20110002236 A KR 20110002236A KR 20120080812 A KR20120080812 A KR 201200808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ment
- shotcrete
- powder
- fineness
- qui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04B28/08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우수하고, 리바운드율이 적은 숏크리트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숏크리트 1m3 당, 치수가 7~15mm이며, 500~700kg 중량의 굵은 골재; 900~1,200kg의 잔골재; 37 내지 55 중량 %의 물-분체비를 갖는 물; 및 시멘트를 포함하되,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고분말도 시멘트 및 급결성 시멘트로 이루어진 급결성 고분말도 시템트이고,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는 4,500 내지 6,5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다. 여기서, 고분말도 시멘트의 분말도는 4,500 내지 5,500 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시멘트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이 혼합된 시멘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시멘트는 30 내지 95중량%의 고분말도 시멘트, 2 내지 25%의 급결성 시멘트 그리고 5 내지 20%의 고로 슬래그 미분말 혼합된 시멘트, 나머지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숏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틀랜드 시멘트와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급결제와 함께 사용하여 급결성 향상과 압축 강도 증진 효과를 갖는 숏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등을 시공하는 토목 공사에 있어서,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터널 또는 절토 등을 통하여 지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숏크리트는 터널/지하 공간의 굴착 직후 굴착 단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임시 지보재(support member)임과 동시에 터널/지하 공간의 완공 후에도 영구 지보재로서 사용되는, 터널/지하 공간의 건설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보재이다.
그러나, 숏크리트 시공 방법에 있어서는 공기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숏크리트 공정을 짧은 시간 내에 진행한 후, 다음 과정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숏크리트가 단시간에 급결되어 다음 공정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 인하여 숏크리트 타설 공정 중 급결제를 투입하여 짧은 시간 안에 터널이나 법면의 슬로프 면에 타설된 숏크리트를 경화(양생)시키며, 이후 다음의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상 또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거푸집을 사용할 수 없는 터널이나 법면 등에 적용하는 숏크리트 공법에 있어서, 살포된 숏크리트를 급속하게 경화(양생)시켜 주기 위하여 다량의 급결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숏크리트 급결 방식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액상의 급결재 또는 분말상의 급결재가 투입된다.
한편, 국내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숏크리트는 그 기본재료로서 3,000내지 3,500cm2/g의 분말도를 갖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터널/지하공간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숏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특수 시멘트를 사용하거나 실리카 흄 등의 혼합재를 첨가하여 보완하고 있으나, 고가의 특수 시멘트 및 혼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시공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함께, 두꺼운 두께의 숏크리트가 경화되는 속도가 느려 장시간의 시공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숏크리트 공정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리바운드(rebound)율, 즉 터널 벽면에 숏크리트를 분사한 후, 전체 숏크리트 양에 대하여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숏크리트 양의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즉, 터널 벽면에 타설되지 않고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숏크리트의 양이 많을수록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숏크리트의 양이 많아질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시공비가 급증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사용하여 숏크리트 타설시 강도가 우수하고, 급결성이 향상되며, 리바운드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숏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숏크리트 1m3 당, 치수가 7~15mm이며, 500~700kg 중량의 굵은 골재; 900~1,200kg의 잔골재; 37 내지 55 중량 %의 물-분체비를 갖는 물; 및 시멘트를 포함하되,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고분말도 시멘트 및 급결성 시멘트로 이루어진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이고,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는 4,500 내지 6,5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다.
여기서, 고분말도 시멘트의 분말도는 4,500 내지 5,500 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시멘트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이 혼합된 시멘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시멘트는 30 내지 95중량%의 고분말도 시멘트, 2 내지 25%의 급결성 시멘트 그리고 5 내지 20%의 고로 슬래그 미분말 혼합된 시멘트, 나머지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급결로 인한 숏크리트 공정에서의 리바운드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며, 또한 경화된 후 우수한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급결제 및 시멘트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는 각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공정시의 리바운드 율 및 압축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 굵은 골재, 세골재, 혼화재, 급결재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굵은 골재는 치수가 7.0~15 mm로서, 비중이 약 2.66이다. 숏크리트 1 루베(1㎥)당 500~700kg 중량의 굵은 골재가 사용하며, 이 양은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굵은 골재의 양이 너무 많으면, 숏크리트 시공시에 리바운드량이 많고 또한 공급 호스를 폐쇄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위의 범위 내에 있는 굵은 골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골재는 숏크리트 1㎥당 900~1,200kg을 사용하며, 잔골재의 양 또한 설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급결제는 터널 공사에서 시멘트의 급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급결제를 분체대비 3~8%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물-분체 중량비는 설계에 따라 37 내지 6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다양한 종류의 급결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칼리프리 액상형 급결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시멘트로서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 (고분말도 시멘트, 급결성 시멘트 그리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이 혼합된 시멘트)가 이용되며, 특히 약 4,000 내지 6,000cm2/g의 분말도를 갖는 고분말도 시멘트와 평균 입경 4.5um(10um 이하의 입자가 80% 이상)인 급결성시멘트(BF Dust)가 이용된다.
급결성 시멘트는 시멘트 분쇄 과정에서 분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백 필터(bag filter)에 포집된 시멘트로서, 시멘트 밀(cement mill), 사일로(silo) 저장 및 이송 과정 중에 포집된다. 또한 급결성 시멘트는 알칼리, Al2O3, 및 SO3가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높게 나타나고 4,000~10,000cm2/g의 분말도 그리고 2.7~3.0의 낮은 비중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시멘트의 화학 조성은 표 1과 같다.
구분 | LOI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SO3 | K2O | 전체 | 비중 |
포틀랜드 시멘트 | 1.44 | 21.36 | 5.03 | 3.31 | 63.18 | 2.89 | 2.15 | 0.90 | 100.5 | 3.15 |
고분말도 시멘트 | 1.97 | 21.30 | 4.95 | 3.33 | 63.16 | 2.90 | 2.15 | 0.88 | 100.7 | 3.14 |
급결성 시멘트 | 5.16 | 20.23 | 5.12 | 3.37 | 58.69 | 2.43 | 3.30 | 1.56 | 100.0 | 2.91 |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입도가 낮은 시멘트(높은 분말도)를 사용하여 수화 반응 계면의 증가(큰 비표면적)와 알칼리 및 C3A (3CaOㆍAl2O3) 성분 등의 반응으로 수화 반응을 촉진시켜 급결을 가져오며, 또한 숏크리트 조성물의 공극에 미립분이 치밀한 수화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압축 강도의 증진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분쇄 공정과 포집된 시멘트를 활용하는 제조 과정을 사용하고 있어 특수 시멘트나 특수 혼합제에 비해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숏크리트는 초기 강도의 발현을 위하여 급결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공정과 달리 분사 형식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숏크리트 공정에서는 상당한 양의 숏크리트가 터널 벽면에 타설되지 않고 탈락(rebound)되어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를 포함함으로써 위와 같은 숏크리트의 탈락을 방지하여 리바운드율을 낮출 수 있다는 이점도 함께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분 |
분말도(cm2/g) |
응결시험 |
압축강도(MPa) | ||||
초결 | 종결 | 3일 | 7일 | 28일 | |||
포틀랜드 시멘트 |
BF O% | 3466 | 272 | 6:30 | 24.7 | 38.1 | 53.8 |
BF 2% | 3625 | 258 | 5:33 | 26.2 | 39.4 | 54.4 | |
BF 4% | 3729 | 236 | 4:53 | 25.8 | 38.3 | 52.7 | |
BF 8% | 3857 | 242 | 5:03 | 25.7 | 38.8 | 52.2 | |
BF 10% | 4104 | 244 | 5:04 | 26.4 | 39.7 | 53.6 | |
BF 30% | 5284 | 212 | 4:03 | 31.7 | 42.2 | 54.5 | |
고분말 시멘트 (4500) |
BF O% | 4479 | 267 | 5.22 | 27.1 | 40.4 | 55.8 |
BF 2% | 4583 | 255 | 4:58 | 27.5 | 41.1 | 55.4 | |
BF 4% | 4653 | 220 | 4:37 | 28.9 | 42.2 | 56.6 | |
BF 8% | 4732 | 210 | 4:40 | 29.7 | 42.0 | 57.9 | |
BF 10% | 4859 | 208 | 4:16 | 30.8 | 43.4 | 58.4 | |
BF 30% | 6061 | 194 | 3:46 | 33.5 | 43.0 | 58.2 |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의 배합 조건은 하기 표 3과 같다.
No. | 분체량 (kg) |
시멘트 | 치환율 (%) |
물 (kg) |
잔골재율 (%) |
골재 | 혼화제 (kg) |
||
포틀랜드시멘트 (kg) |
고분말도 시멘트 (kg) |
잔골재 (kg) |
굵은 골재 (kg) |
||||||
비교예1 | 480 | 480 | 0 | 0 | 190.0 | 63 | 1028 | 608 | 4.8 |
비교예2 | 440 | 440 | 0 | 0 | 174.2 | 64 | 1092 | 619 | 4.8 |
비교예3 | 400 | 400 | 0 | 0 | 158.4 | 65 | 1157 | 628 | 4.8 |
실시예1 | 480 | 432 | 48 | 10 | 190.0 | 63 | 1028 | 608 | 4.8 |
실시예2 | 440 | 396 | 44 | 10 | 174.2 | 64 | 1092 | 619 | 4.8 |
실시예3 | 400 | 360 | 40 | 10 | 158.4 | 65 | 1157 | 628 | 4.8 |
실시예4 | 480 | 336 | 144 | 30 | 190.0 | 63 | 1028 | 608 | 5.0 |
실시예5 | 440 | 308 | 132 | 30 | 174.2 | 64 | 1092 | 619 | 5.0 |
실시예6 | 400 | 280 | 120 | 30 | 158.4 | 65 | 1157 | 628 | 5.0 |
실시예7 | 480 | 240 | 240 | 50 | 190.0 | 63 | 1028 | 608 | 5.2 |
실시예8 | 440 | 220 | 220 | 50 | 174.2 | 64 | 1092 | 619 | 5.2 |
실시예9 | 400 | 200 | 200 | 50 | 158.4 | 65 | 1157 | 628 | 5.2 |
실시예10 | 480 | 144 | 336 | 70 | 190.0 | 63 | 1028 | 608 | 5.4 |
실시예11 | 440 | 132 | 308 | 70 | 174.2 | 64 | 1092 | 619 | 5.4 |
실시예12 | 400 | 120 | 280 | 70 | 158.4 | 65 | 1157 | 628 | 5.4 |
실시예13 | 480 | 0 | 480 | 100 | 190.0 | 63 | 1028 | 608 | 5.6 |
실시예14 | 440 | 0 | 440 | 100 | 174.2 | 64 | 1092 | 619 | 5.6 |
실시예15 | 400 | 0 | 400 | 100 | 158.4 | 65 | 1157 | 628 | 5.6 |
여기서, 각 실시예에서의 물/분체비는 39.6%이다.
위의 표에 기재된 용어들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 분체량 : 숏크리트 1루베(1㎥)의 중 시멘트와 혼합재를 합한 무게 (kg);
- 치환률 : 숏크리트를 구성하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고분말도 시멘트의 비율(%)로서, 일반 시멘트만 사용된 경우, 치환률을 0 %로, 그리고 고분말도 시멘트만 사용된 경우, 치환률을 100%라 정의함.
- 물/분체 : 물(kg)/분체(kg)*100 (여기서 "분체"는 시멘트 및 시멘트를 치
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합을 의미함)
- 잔골재율 : 잔골재/(잔골재+굵은 골재)/100(%)
위의 표 3에서, 실시예 1, 4, 7, 10 및 13은 비교예 1과는 치환률만을 제외
하고는 모든 조건이 동일하며, 실시예 2, 5, 8, 11 및 14는 비교예 2와 치환률만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3, 6, 9, 12 및 15은 비교예 3과는 치환률만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
한편, 표 3의 각 비교예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은 일반적인 포틀랜드 시멘트만을 이용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15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에는 BF 8% 및 고로 슬래그 미분말 5%가 첨가된 고분말도 시멘트를 이용하였다.
각 비교예와 실시예에서는, 굵은 골재로서는 직경이 13mm, 비중이 2.66인 골재를 이용하였으며, 잔골재로서는 흡수율이 0.90, 비중이 2.66인 해사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시멘트 량(분체량)이 감소되는 경우, 숏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배합으로 잔골재의 양을 증가시켰다. 즉, 단위 시멘트량이 감소되면, 굵은 골재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숏크리트 타설시 쿠션 효과가 떨어지며, 따라서 리바운드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잔골재량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의 초기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적절한 작업성과 압축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혼화제(감수제)량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배합 조건을 갖는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모의 부재에 대한 숏크리트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리바운드율 및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분체량 | 리바운드율 | 급결제 사용량 | 압축강도(MPa) | ||
1일 | 28일 | ||||
비교예 1 | 480 | 6.7 | 7.0 | 12.1 | 32.3 |
비교예 2 | 440 | 7.5 | 7.0 | 10.9 | 30.5 |
비교예 3 | 400 | 8.3 | 7.0 | 8.3 | 26.4 |
실시예 1 | 480 | 6.7 | 7.0 | 12.0 | 31.9 |
실시예 2 | 440 | 7.4 | 7.0 | 10.9 | 30.4 |
실시예 3 | 400 | 8.4 | 7.0 | 8.5 | 26.6 |
실시예 4 | 480 | 6.4 | 6.5 | 12.3 | 32.6 |
실시예 5 | 440 | 7.1 | 6.5 | 11.0 | 30.8 |
실시예 6 | 400 | 8.0 | 6.5 | 8.7 | 26.7 |
실시예 7 | 480 | 6.0 | 6.0 | 12.7 | 33.4 |
실시예 8 | 440 | 6.5 | 6.0 | 11.6 | 31.3 |
실시예 9 | 400 | 7.8 | 6.0 | 9.3 | 27.4 |
실시예 10 | 480 | 5.4 | 5.0 | 14.2 | 33.1 |
실시예 11 | 440 | 5.9 | 5.0 | 12.1 | 32.0 |
실시예 12 | 400 | 6.7 | 5.0 | 10.2 | 27.9 |
실시예 13 | 480 | 4.9 | 4.5 | 14.9 | 33.9 |
실시예 14 | 440 | 5.3 | 4.5 | 13.1 | 32.4 |
실시예 15 | 400 | 5.6 | 4.5 | 11.4 | 28.2 |
숏크리트의 리바운드율 및 압축 강도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 시멘트의 압축강도시험방법 : KS L ISO 679
- 시멘트의 응결시험방법 : KS L 5108
- 급결제를 사용한 시멘트의 응결시간 : ASTM C 1102에 준하여 W/C=0.3으로 시험
- 시멘트의 화학분석 : KS L 5120
- 시멘트의 비중 시험 방법 : KS L 5110
-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방법 : 시험용 공시체는 90초간 혼합한 다음, 급결제를 투입하고 약 10초간 혼합한 후, Φ 75X150mm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
- 리바운드율 시험 : 간이로 제작한 모의 부재에 뿜칠을 하여 사용된 콘크리트의 양 대비 떨어진 콘크리트양으로 측정
한편, 분말도가 5.500cm2/g인 고분말도 시멘트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위
의 실시예 1 내지 15와 각각 동일한 배합 조건을 갖는 실시예 16 내지 30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의 부재에 대한 숏크리트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비교예와 실시예 16 내지 30에 따른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공정에서의 숏크리트의 리바운드율 및 압축 강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체량 | 리바운드율 | 급결제 사용량 | 압축강도(MPa) | ||
1일 | 28일 | ||||
비교예 1 | 480 | 6.7 | 7 | 12.1 | 32.3 |
비교예 2 | 440 | 7.5 | 7 | 10.9 | 30.5 |
비교예 3 | 400 | 8.3 | 7 | 8.3 | 26.4 |
실시예 16 | 480 | 6.5 | 7 | 12.2 | 32.4 |
실시예 17 | 440 | 7.4 | 7 | 11.0 | 31.3 |
실시예 18 | 400 | 8.3 | 7 | 8.5 | 26.8 |
실시예 19 | 480 | 6.2 | 6.5 | 12.4 | 33.0 |
실시예 20 | 440 | 6.9 | 6.5 | 11.1 | 31.0 |
실시예 21 | 400 | 7.9 | 6.5 | 8.9 | 27.2 |
실시예 22 | 480 | 5.5 | 6 | 14.5 | 33.0 |
실시예 23 | 440 | 5.9 | 6 | 12.2 | 31.9 |
실시예 24 | 400 | 7.3 | 6 | 10.3 | 27.7 |
실시예 25 | 480 | 5.0 | 5 | 16.1 | 33.4 |
실시예 26 | 440 | 5.2 | 5 | 14.8 | 32.2 |
실시예 27 | 400 | 5.7 | 5 | 11.6 | 28.3 |
실시예 28 | 480 | 4.5 | 4.5 | 16.8 | 34.1 |
실시예 29 | 440 | 4.8 | 4.5 | 14.8 | 32.7 |
실시예 30 | 400 | 5.1 | 4.5 | 12.6 | 28.4 |
위의 표 4 및 표 5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동일한 분체량의 조건 하에서, 치환율, 즉 전체 시멘트 중에서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의 양이 증가할수록 리바운드율이 감소하고 압축 강도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급결제의 사용양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물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표 4 및 5에 나타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그래프에서, 치환율 0%의 조성물은 일반 시멘트만을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비교예)을 나타낸다.
도 1은 치환율에 따른 리바운드 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에서 는, 분말도가 4,500cm2/g인 고분말도 시멘트가 포함된 분체량 480kg, 440kg 그리고400kg의 숏크리트 조성물 그리고 분말도가 5,500cm2/g인 고분말도 시멘트가 포함된 분체량 480kg, 440kg 그리고 400kg의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공정 후의 리바운드율을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치환율이 높을수록 리바운드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나타낸
다.
도 2 및 도 3은 분말도가 4,500cm2/g인 고분말도 시멘트가 포함된 분체량 480kg, 440kg 그리고 400kg의 숏크리트 조성물, 그리고 분말도가 5,500cm2/g인 고분말도 시멘트가 포함된 분체량 480kg, 440kg 그리고 400kg의 숏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공정 후의 치환율에 따른 압축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는 숏크리트 타설 후 1일이 경과된 상태의 숏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도 3은 숏크리트 타설 후 28일이 경과된 숏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고분말도 시멘트의 치환율이 높을수록 압축 강도가 현저하게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은 동일 조건 하에서 치환율이 클수록 압축 강도가 증가하고 리바운드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 숏크리트 1m3 당,
치수가 7~15mm이며, 500~700kg 중량의 굵은 골재;
900~1,200kg의 잔골재;
37 내지 55 중량 %의 물-분체비를 갖는 물; 및
시멘트를 포함하되,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고분말도 시멘트 및 급결성 시멘트로 이루어진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이고, 급결성 고분말도 시멘트는 4,500 내지 6,5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고분말도 시멘트의 분말도는 4,500 내지 5,500 cm2/g인 숏크리트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시멘트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이 혼합된 시멘트를 더 포함하는 숏크리트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시멘트는 30 내지 95중량%의 고분말도 시멘트, 2 내지 25%의 급결성 시멘트 그리고 5 내지 20%의 고로 슬래그 미분말 혼합된 시멘트, 나머지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이루어진 숏크리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2236A KR101252962B1 (ko) | 2011-01-10 | 2011-01-10 |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2236A KR101252962B1 (ko) | 2011-01-10 | 2011-01-10 |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0812A true KR20120080812A (ko) | 2012-07-18 |
KR101252962B1 KR101252962B1 (ko) | 2013-04-15 |
Family
ID=4671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002236A KR101252962B1 (ko) | 2011-01-10 | 2011-01-10 |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29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627A (ko) * | 2021-11-05 | 2023-05-12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는 초고강도 각형 pc부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6958B1 (ko) * | 2014-09-30 | 2016-10-17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숏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해저터널의 시공방법 |
KR101654568B1 (ko) * | 2015-11-16 | 2016-09-23 | 성신양회 주식회사 |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
KR101925817B1 (ko) | 2018-02-27 | 2019-02-2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차수용 뿜칠 멤브레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99929B1 (ko) | 2019-11-14 | 2021-01-07 | 아세아시멘트(주) |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7221B1 (ko) * | 2005-08-29 | 2007-03-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 |
KR100704869B1 (ko) * | 2005-09-27 | 2007-04-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메타카올린과 실리카흄이 혼합배합된 고성능 숏크리트조성물 |
KR101086980B1 (ko) * | 2009-06-09 | 2011-11-29 | (주)렉스콘 |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
-
2011
- 2011-01-10 KR KR20110002236A patent/KR10125296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627A (ko) * | 2021-11-05 | 2023-05-12 |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는 초고강도 각형 pc부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2962B1 (ko) | 2013-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54435B2 (ja) | グラウト用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グラウトモルタル | |
TWI409240B (zh) | Reinforcing Bar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Bar with Reinforcement | |
KR100873514B1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제조방법 | |
KR101654568B1 (ko) |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 |
KR20120048133A (ko) | 페로니켈 슬래그를 포함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용 혼합재 | |
KR101252962B1 (ko) | 급결성 고분말 시멘트를 포함한 숏크리트 조성물 | |
CN101633572A (zh) | 一种改性水泥砂浆 | |
JP4538438B2 (ja) | グラウ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グラウト材料 | |
KR100867250B1 (ko) |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 |
KR101243523B1 (ko) | 초고층 건축용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 |
KR101365684B1 (ko) | 고강도 드라이 콘크리트 믹스 조성물 | |
KR100874584B1 (ko) | 저발열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 |
KR20190050402A (ko) | 콘크리트 조성물 | |
JP5227161B2 (ja) |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 |
JP5811461B2 (ja) | プレミックスセメント用粉体状乾燥収縮低減剤 | |
KR101015066B1 (ko) | 고강도 경량 무수축 충진모르타르 | |
JP2015124132A (ja) | 吹付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730234B2 (ja) | 遮塩性に優れた高流動・高耐久性繊維補強充填モルタル | |
JP5782228B2 (ja) | 乾式吹付け用モルタル材料及び該吹付け材料の製造方法 | |
KR102619818B1 (ko) | 일액형 혼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무다짐 콘크리트 조성물 | |
KR101223161B1 (ko) | 지반 치환용 고유동 저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 |
KR101787374B1 (ko) | 고마모저항성을 갖는 자기수평 모르타르 조성물 | |
KR100686350B1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 |
JP2019210170A (ja) | 吹付け材料 | |
KR20220158896A (ko) | 탄소저감 복합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저감 복합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