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3982A - 동축 케이블 하네스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982A
KR20120053982A KR1020117001440A KR20117001440A KR20120053982A KR 20120053982 A KR20120053982 A KR 20120053982A KR 1020117001440 A KR1020117001440 A KR 1020117001440A KR 20117001440 A KR20117001440 A KR 20117001440A KR 20120053982 A KR20120053982 A KR 2012005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coaxial cable
relay board
center conductor
cable har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234B1 (ko
Inventor
다카키 엔도우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2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20Cables having a multiplicity of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92Flat or ribbon cables incorporated in a cable of non-fla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부분의 각 선의 피치보다 직경이 굵은 전선을 사용하고, 또한 양호한 전기적 특성이 확보된 동축 케이블 하네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이 접속된 중계 기판(21)을 구비하며, 중계 기판(21)의 표면 및 이면에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이 접속되고, 그 접속면(31, 41)은 중심 도체(12)가 접속된 복수의 신호선부(32, 42)와, 외부 도체(14)가 접속된 그라운드부(34, 44)와, 그라운드부(34, 44)부터 신호선부(32, 42)의 사이로 연장된 가드 그라운드부(35, 45)를 구비하며, 신호선부(32, 42)의 배열 위치가 중계 기판(21)의 앞뒤로 반 피치정도 어긋나서, 중계 기판(21)의 표면에서 신호선부(32)가 중계 기판(21)의 일단부에서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신호선부(32)간에 커넥터의 단자와 도통 가능한 복수의 접점(36)이 배열되며, 중계 기판(21)의 이면에 있어서의 신호선(42)부는 관통 구멍(37)을 거쳐서 접점(36)과 도통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하네스{COAXIAL CABLE HARNESS}
본 발명은 중계 기판에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접속된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나 경량화 외에 고속화나 고화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기기 본체와 표시부의 접속이나 기기내의 배선 등에 매우 가는 동축 케이블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배선의 용이성 때문에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을 집합 일체화시킨 동축 케이블 하네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단자나 기판 등에 납땜, 도전성 접착재를 사용한 접착, 용접 등으로 접속 고정된다.
그리고, 기판에의 접속 고정의 형태로서 심선이나 쉴드부에 접속되는 회로 패턴을 앞뒤 대향면에서 교대로 어긋나게 배열한 커넥터 기판에 단위 케이블을 그 단부로부터, 예를 들면 커넥터 기판의 앞쪽, 뒤쪽, 앞쪽, 뒤쪽의 순서로 교대로 배열 접속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25971 호 공보
상기의 기술에 의하면, 커넥터 부분에서의 각 선의 피치(pitch)를 각 선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고밀도 실장이 가능하지만, 각 동축 케이블의 신호선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인접하는 신호선 간의 혼선(crosstalk) 등의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부분의 각 선의 피치보다 직경이 큰 전선을 사용하고 또한 양호한 전기적 특성이 확보된 동축 케이블 하네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는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내부 절연체, 상기 내부 절연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피를 갖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단측이 접속된 중계 기판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복수의 상기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은,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 도체가 접속된 복수의 신호선부와, 상기 외부 도체가 접속된 그라운드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로부터 상기 신호선부 사이에 연장된 가드 그라운드부를 가지며,
상기 신호선부의 배열 위치가 상기 중계 기판의 앞뒤로 반 피치정도 어긋나고, 각각의 접속면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선부의 반대면측에 상기 가드 그라운드부가 배치되며,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에서 상기 신호선부가 상기 중계 기판의 일단부에서 상기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신호선부끼리의 사이에 커넥터의 단자와 도통(導通) 가능한 복수의 접점이 배열되며, 상기 중계 기판의 이면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선부는 관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접점과 도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판의 이면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선부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의 길이만큼 상기 중심 도체의 접속 위치가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 도체의 접속 위치보다 상기 관통 구멍쪽으로 인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복수의 동축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다. 중계 기판의 앞뒤로 신호선부 사이에 가드 그라운드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신호선부간의 혼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드 그라운드부만큼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굵게 할 수 있다. 즉, 커넥터 부분의 각 선의 피치보다 직경이 굵은 전선을 사용하고, 또한 양호한 전기적 특성이 확보된 동축 케이블 하네스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이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일단측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의 (a)는 중계 기판의 표면측, 도 2의 (b)는 중계 기판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일단측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3의 (a)는 중계 기판의 표면측, 도 3의 (b)는 중계 기판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일단측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의 (a)는 도 3의 (a)의 A-A단면도, 도 4의 (b)는 도 3(a)의 B-B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는, 양단측이 각각 중계 기판에 접속되는 경우나, 일단측만 중계 기판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커넥터가 부착되는 경우 등 여러가지 형태를 채택할 수 있지만, 일단측이 중계 기판에 접속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하네스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11)은 중심 도체(12), 중심 도체(12)의 외주에 배설된 내부 절연체(13), 내부 절연체(13)의 외주에 배설된 외부 도체(14) 및 외부 도체(14)의 외주에 배설된 절연성의 외피(15)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동축 형상으로 배설되게 구성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11)은, 예를 들면 AWG(American Wire Gauge)의 규격에 의한 AWG32보다 가는 케이블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AWG32보다 가는 AWG42의 동축 케이블(11)에서는 중심 도체(12)가 외경 0.025mm의 주석 도금 구리 합금 또는 은 도금 구리 합금의 소선(素線)(12a)을 7가닥을 꼬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절연체(13)는 중심 도체(12)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예를 들면 PFA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외경 0.17mm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도체(14)는 외경 0.03mm의, 예를 들면 주석 도금 구리 합금의 소선(14a)을 내부 절연체(13)의 외주면에 횡방향으로 감거나 또는 편조(編組)로 감음으로써 외경 0.23mm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피(15)는 외부 도체(14)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예를 들면 PFA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AWG40의 경우는 외경 0.31mm로, AWG32의 경우는 외경 약 1.0mm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11)의 단부는 입구 노출 처리되어 있고,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중심 도체(12), 내부 절연체(13) 및 외부 도체(14)가 각각 단계적으로 소정 길이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입구 노출 처리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이 중계 기판(21)에 접속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11)은, 그 단부에서는 중계 기판(21)에 접속하기 용이하게 평면상에 배열된 집합체로 되어 있지만, 단부 이외는 묶여 있어도 좋다.
중계 기판(21)은 그 표면과 이면이 각각 접속면(31, 41)으로서 형성되고 있고, 이러한 접속면(31, 41)에 각각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이 접속되어 있다. 이 중계 기판(21)은, 예를 들면 금속박 등의 배선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이나 경질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a) 및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측의 접속면(31)에는 소정의 병렬 피치(P)로 복수의 띠 형상의 배선 패턴을 구성하는 신호선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신호선부(32)는 각각 중계 기판(21)의 선단부(접속 방향의 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접점(32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신호선부(32)의 배열 피치(P)는, 예를 들면 0.3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면(31)에는 그라운드 패턴(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패턴(33)은 신호선부(32)보다 후단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라운드부(34)와, 이 그라운드부(34)로부터 중계 기판(21)의 선단을 향해 신호선부(32) 사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띠 형상의 가드 그라운드부(35)를 갖고 있다. 가드 그라운드부(35)도 중계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피치(P)로 배치되어 있다. 신호선부(32)와 가드 그라운드부(35)는 서로 근소한 간극을 두고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면(31)에는 각각의 가드 그라운드부(35)의 선단 측에 가드 그라운드부(35)와 간극을 두고 접점(36)이 마련되어 있다. 접점(36)은 관통 구멍(37)에 의해서 이면측의 접속면(41)에 형성된 신호선부(42)와 도통하고 있다. 이러한 접점(36)도 중계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피치(P)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면(3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1)은 중계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피치(P)로 배치되고, 그 외부 도체(14)가 그라운드부(34)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각 신호선부(32)의 후단 측에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부(32)와 중심 도체(12)의 접속은 납땜이 아닌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또한, 접속면(31)에는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도체(14)를 거쳐서 그라운드 바(38)가 장착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도체(14)는 그라운드 바(38)와 중계 기판(21)에 의해서 협지(挾持)된다.
도 2의 (b) 및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면측의 접속면(41)에는 소정 피치(P)로 복수의 띠 형상의 배선 패턴을 구성하는 신호선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신호선부(42)는 각각 중계 기판(21)의 선단부(접속 방향의 전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관통 구멍(37)에 의해서 접속면(31)의 접점(36)에 도통되어 있다.
또한, 접속면(41)에는 그라운드 패턴(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패턴(43)은 신호선부(42)보다 후단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라운드부(44)와, 이 그라운드부(44)로부터 신호선부(42) 사이로 중계 기판(21)의 선단부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띠 형상의 가드 그라운드부(45)를 갖고 있다. 가드 그라운드부(45)도 중계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피치(P)로 배치되어 있다. 신호선부(42)와 가드 그라운드부(45)는 서로 근소한 간극을 두고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면(4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1)은, 중계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피치(P)로 배치되고, 그 외부 도체(14)가 그라운드부(44)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각 신호선부(42)의 후단 측에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부(42)와 중심 도체(12)의 접속은 납땜이 아닌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또한, 접속면(41)에는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도체(14)를 거쳐서 그라운드 바(48)가 장착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도체(14)는 그라운드 바(48)와 중계 기판(21)에 의해서 협지된다.
접속면(31)의 신호선부(32)의 이면측에 접속면(41)의 가드 그라운드부(45)가 배치된다. 또한, 접속면(41)의 신호선부(42)의 이면측에 접속면(31)의 가드 그라운드부(3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중계 기판(21)에서는, 접속면(3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1)과 접속면(4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1)은 중계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반 피치(P/2)씩 어긋나게 교대로 배치된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면(4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1)은 접속면(31)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1)보다 중계 기판(21)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면(31)의 신호선부(32)로의 중심 도체(12)의 접속 위치(A)에 대해서, 접속면(41)의 신호선부(42)로의 중심 도체의 접속 위치(B)가 중계 기판(21)의 판두께(T)에 상당하는 치수(X)만큼 중계 기판(21)의 전방측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위치(A)부터 접점(32a)까지의 통전(通電) 경로의 거리와, 접속 위치(B)부터 접점(36)까지의 통전 경로의 거리가 동일 거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기판(21)은 전자기기 등의 회로 기판에 마련된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그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중계 기판(21)의 접점(32a, 36)이 리셉터클 측의 단자에 도통 접촉되어 리셉터클이 마련된 회로 기판측의 배선과 도통된다.
또한, 이 중계 기판(21)의 선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하여 전자기기 등의 회로 기판측에 마련된 커넥터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회로 기판으로의 접속 방향은 회로 기판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회로 기판의 면을 따르는 방향 중 어느 쪽이어도 좋다.
또한,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는, 중계 기판(21)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11)의 접속 위치의 배열이 동축 케이블(11)의 길이 방향에 따른 L형 구조여도 좋고, 중계 기판(21)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11)의 접속 위치의 배열이 동축 케이블(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T형 구조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10)에 의하면, 중계 기판(21)의 표면 및 이면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이 접속 가능한 접속면(31, 4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부분의 각 선의 피치는 신호선부(32)의 접점(32a)과 거기에 인접하는 접점(36)(이면의 신호선부(42)의 접점)과의 피치 P/2로 되지만, 동축 케이블(11)의 외경을 그보다 굵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계 기판(21)의 앞뒤의 접속면(31, 41)에 배열되어 중심 도체(12)가 접속되는 복수의 신호선부(32, 42)의 사이에, 외부 도체(14)가 접속되는 그라운드부(34, 44)로부터 연장되는 가드 그라운드부(35, 4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인접하는 신호선부(32, 42)간의 혼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부(34, 44)를 거쳐서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도체(14)와 접속된 가드 그라운드부(35, 45)에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도체(14)와 접속된 귀환 경로용의 배선으로서의 기능을 병용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속면(31, 41)의 신호선부(32, 42)의 배치가, 앞뒤로 피치(P)의 반 피치정도 어긋나서, 각각의 접속면(31, 41)의 신호선부(32, 42)의 이면측에 반대면측의 접속면(41, 31)의 가드 그라운드부(45, 3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앞뒤의 신호선부(32, 42) 사이에서의 혼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간섭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점(32a, 36)의 피치를 변경하지 않고 접속면(31, 41)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11)의 배열 피치를 접점(32a. 36)의 약 2배로 확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11)으로서 중심 도체(12)가 대경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고밀도 실장화를 도모하면서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로서 굵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송 특성이나 노이즈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한 쪽의 접속면(31)에 커넥터의 단자와 도통 가능한 복수의 접점(32a, 36)이 배열되고, 한 쪽의 접속면(31)의 신호선부(32)는 그 일부가 접점(32a)이 되며, 다른 쪽의 접속면(41)의 신호선부(42)는 관통 구멍(37)을 거쳐서 접점(36)과 도통하고 있으므로, 중계 기판(21)의 한 쪽의 접속면(31)측으로부터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며,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부(32, 42)로의 중심 도체(12)의 접속 위치(A, B)와 접점(32a, 36)과의 통전 경로의 거리가 각각의 접속면(31, 41)에 대해 동일 거리로 되어 있으므로, 앞뒤의 접속면(31, 41)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11)간에 있어서의 신호의 지연 시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축 케이블 하네스(10)에 의하면,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면서 고밀도 실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축 케이블(11)을 정렬시켜 고정하기 위해서도 그라운드 바(38, 48)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라운드 바(38, 48) 없이 동축 케이블(11)이 양호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 그라운드 바(38, 48)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21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제 2009-169931 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인용한다.
10 : 동축 케이블 하네스 11 : 동축 케이블
12 : 중심 도체 13 : 내부 절연체
14 : 외부 도체 15 : 외피
21 : 중계 기판 31, 41 : 접속면
32, 42 : 신호선부 32a, 36 : 접점
34, 44 : 그라운드부 35, 45 : 가드 그라운드부
37 : 관통 구멍 A, B : 접속위치
P : 피치

Claims (2)

  1.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내부 절연체, 상기 내부 절연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피를 갖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단측이 접속된 중계 기판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복수의 상기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은,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 도체가 접속된 복수의 신호선부와, 상기 외부 도체가 접속된 그라운드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로부터 상기 신호선부의 사이로 연장된 가드 그라운드부를 가지며,
    상기 신호선부의 배열 위치가 상기 중계 기판의 앞뒤로 반 피치정도 어긋나서, 각각의 접속면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부의 반대면측에 상기 가드 그라운드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에서 상기 신호선부가 상기 중계 기판의 일단부에서 상기 소정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신호선부끼리의 사이에, 커넥터의 단자와 도통 가능한 복수의 접점이 배열되고, 상기 중계 기판의 이면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선부는 관통 구멍을 거쳐서 상기 접점과 도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판의 이면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선부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의 길이만큼 상기 중심 도체의 접속 위치가 상기 중계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 도체의 접속 위치보다 상기 관통 구멍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
KR1020117001440A 2009-07-21 2010-07-16 동축 케이블 하네스 Active KR101678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9931 2009-07-21
JP2009169931A JP5365389B2 (ja) 2009-07-21 2009-07-21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
PCT/JP2010/062112 WO2011010621A1 (ja) 2009-07-21 2010-07-16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82A true KR20120053982A (ko) 2012-05-29
KR101678234B1 KR101678234B1 (ko) 2016-11-21

Family

ID=4349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40A Active KR101678234B1 (ko) 2009-07-21 2010-07-16 동축 케이블 하네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65389B2 (ko)
KR (1) KR101678234B1 (ko)
CN (1) CN102099873B (ko)
TW (1) TWI390809B (ko)
WO (1) WO20110106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86B1 (ko) * 2014-02-13 2014-07-2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유에스비 커넥터
WO2022270821A1 (ko) * 2021-06-23 2022-12-29 삼원액트 주식회사 고 내굴곡성 케이블하네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6181A (ja) * 2011-07-26 2013-02-04 Sumitomo Electric Ind Ltd 細径ケーブルハーネス
CN102760518B (zh) * 2011-04-25 2015-09-30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多层同轴电缆束及其制造方法
JP5794142B2 (ja) * 2011-12-27 2015-10-1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続構造、接続方法及び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
JP2013225475A (ja) 2012-03-19 2013-10-31 Fujitsu Component Ltd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904107B2 (ja) * 2012-11-30 2016-04-13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ならび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5306552B1 (ja) * 2013-02-27 2013-10-02 株式会社東芝 配線基板と同軸ケーブルとの接続構造、配線基板と同軸ケーブルとの接続方法
JP5690455B1 (ja) * 2013-04-16 2015-03-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基板接続構造
JP6257618B2 (ja) 2013-06-10 2018-0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
CN103647127B (zh) 2013-12-09 2017-02-0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将同轴电缆耦接至带状线的连接器
JP5860917B2 (ja) 2014-04-08 2016-02-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
CN105098514B (zh) * 2014-04-30 2019-02-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2016018628A (ja) * 2014-07-07 2016-02-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信号伝送用ケーブル
JP6287788B2 (ja) * 2014-12-02 2018-03-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端末構造
EP3176877B1 (en) * 2015-12-02 2023-08-23 Alcatel- Lucent Shanghai Bell Co., Ltd A radiofrequency cable connector
TWM574807U (zh) 2018-11-28 2019-02-21 榮晶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線材焊接結構
JP7404938B2 (ja) * 2020-03-06 2023-1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630B2 (ja) * 1999-06-30 2003-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5025971A (ja) 2003-06-30 2005-01-27 Yoshiki Electronics Industrial Co Ltd コネクタ基板付き多芯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基板付き多芯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8792B (zh) * 2006-07-31 2011-07-1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同轴电缆组件和制造方法
JP2009170141A (ja) * 2008-01-11 2009-07-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630B2 (ja) * 1999-06-30 2003-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5025971A (ja) 2003-06-30 2005-01-27 Yoshiki Electronics Industrial Co Ltd コネクタ基板付き多芯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基板付き多芯ケーブ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86B1 (ko) * 2014-02-13 2014-07-2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유에스비 커넥터
WO2022270821A1 (ko) * 2021-06-23 2022-12-29 삼원액트 주식회사 고 내굴곡성 케이블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9873A (zh) 2011-06-15
JP2011023319A (ja) 2011-02-03
CN102099873B (zh) 2012-11-14
JP5365389B2 (ja) 2013-12-11
TW201112549A (en) 2011-04-01
TWI390809B (zh) 2013-03-21
KR101678234B1 (ko) 2016-11-21
WO2011010621A1 (ja)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3982A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
JP4825071B2 (ja) 同軸ケーブルのシールド処理構造及び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JP5817674B2 (ja) ノンドレイン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及びそのグランド接続構造
KR101173785B1 (ko) 동축 케이블 하니스
US8292655B1 (en) Innovative cable termination scheme
US8979576B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US20130264107A1 (en) Circuit board and wire assembly
TWI383553B (zh) 同軸電纜線束之連接構造及連接方法
KR20090077714A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JP4470935B2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87496B2 (en) Contact connecting of shielded data lines to a board and method for contacting a number of shielded data lines with a board
JP2011150848A (ja) シールド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6049211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JP2009117104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101541019B1 (ko) 땜납 습윤성을 제어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및, 콘택트의 도금 처리 방법
JP2000277218A (ja) ケーブル組立体
JP2011076811A (ja) 接続用コネクタ
WO2009114399A2 (en) Multiple electrode connector having coaxial cables
WO2017091932A1 (zh) 电线束
JP2011040209A (ja) 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および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11134539A (ja) 回路基板内蔵コネクタ
JP2016192271A (ja) 基板付き多心ケーブルおよび基板付き多心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713410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引廻し構造
JP2011090814A (ja) コネクタ
JP2013143276A (ja) 接続部材付き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