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93169A -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69A
KR20110093169A KR1020100013049A KR20100013049A KR20110093169A KR 20110093169 A KR20110093169 A KR 20110093169A KR 1020100013049 A KR1020100013049 A KR 1020100013049A KR 20100013049 A KR20100013049 A KR 20100013049A KR 20110093169 A KR20110093169 A KR 20110093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dication information
rule
cfi
componen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권
박경민
서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1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3169A/ko
Priority to PCT/KR2011/000719 priority patent/WO2011099724A2/ko
Publication of KR2011009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e.g.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에 규칙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규칙 정보에 따라 요소 반송파의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DICATION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에서 제어 형식 지시자(Control Format Information, 이하 CFI라 한다)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어 형식 지시자를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설정하여 송신하고, 수신한 제어 형식 지시자를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송파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시 송, 수신측은 제어 정보를 공유하거나 혹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여 정확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정확한 송수신이 필요한 제어 정보로는 어느 영역에 어떤 자원이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송수신된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응답 정보, 송수신할 데이터의 변조(modulation, 모듈레이션)의 방식을 알려주는 정보 등이다. 이러한 정보들이 송수신측에 공유되어야 송수신측이 오류 없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정보는 정확하게 송수신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제어 정보의 정확한 송수신을 위해 변조의 정도를 낮추거나, 반복하여 보내는 등의 과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상황이 다양해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어 정보의 효율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수신되는 제어 정보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도 오류를 치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송의 안정성을 높이고자 한다. 전송의 안전성은 재전송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 효율의 감소를 줄이므로, 제어 정보의 정확한 전송은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에 규칙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규칙 정보에 따라 요소 반송파의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를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규칙 정보와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여,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에서 지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지시 정보에 따라 요소 반송파의 데이터를 복호한다.
도 1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서 제어 정보의 전달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로부터 PDCCH 지시를 받는 경우 CFI의 값을 설정하는 데 있어 특정 요소 반송파의 값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간에 서로 PDCCH 지시를 받는 경우 CFI의 값을 설정하는 데 있어 특정 요소 반송파의 값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기지국 또는 eNB와 같은 장치에서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기지국 또는 eNB와 같은 장치에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여 제어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정보를 해석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규칙 정보가 함수로 구성된 경우 제어 정보의 설정값을 연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FI 부분 집합에서 CF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소 반송파의 제어 정보의 값을 변환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 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통신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는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별하기 위하여 CC로 표시하고 CC0, CC1과 같이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숫자가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LTE 제어채널의 구성 중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채널에서 eNB가 결정한 자원할당정보를 서브프레임 별로 UE에게 알려준다. 반송파 집합화에 있어서 PDCCH가 알려주는 이러한 스케쥴링 정보는 PDCCH가 속한 반송파내의 제어정보(예를 들면 자원할당, 통신방식)뿐만 아니라 다른 반송파의 자원에 대해서도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을 반송파간 스케쥴링(cross-carrier scheduling)이라고 한다.
도 1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서 제어 정보의 전달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두 개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실시예로, 3GPP LTE-A(Long Tern Evolution-Advanced)에서는 LTE에서 단일반송파에 의한 규격이 기본을 이루고 20MHz보다 작은 대역을 가진 몇 개의 대역의 결합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20MHz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성분 반송파 대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LTE-A에서 다중반송파 집합화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LTE의 기본규격을 근거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최대한 고려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반송파 집합화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항 중 중요사항은 반송파의 수가 늘어남에 따른 제어채널의 확장을 어떻게 구성하고 데이터 채널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이다.
도 1은 반송파 CC1(101)에서 CC2(102)에 대한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한 제어정보지시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와 PDCCH가 지시하는 제어정보가 한 반송파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CC1에서 PDCCH 112) PCFICH의 오류율은 PDCCH의 오류율보다 낮은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같은 한 반송파내에서는 PCFICH의 오류에 의해서 제어정보가 잘못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오류를 야기시키는 경우는 드문 경우이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은 반송파간 스케쥴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성립되지 않는다. 도 1에서 CC2(102)의 채널상황이 CC1(101)의 채널상황보다 열악한 경우 CC2(102)의 PCFICH(120)의 오류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경우 이것은 직접적으로 CC1(101)의 PDCCH에 의해 할당된 CC2(102)의 PDSCH(126)에 대해서도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PCFICH(120)의 오류는 CC1(101)의 PDCCH(114)에 오류가 없는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에서 야기되는 PDSCH(126)의 오류는 CC2(102)에서 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상황을 만들고 재전송을 유도해 추가적인 자원낭비를 하게 만든다. 즉, HARQ 버퍼 오류(Buffer corruption)을 야기한다.
도 1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 제어정보가 전달되어지는 반송파의 제어형식지사자(Control Format Indicator, CFI, 이하 실질적인 값을 지칭할 경우에는 CFI로 나타내고자 한다)와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지시하는 물리데이터제어채널(PDCCH)이 있는 반송파와 제어형식 지시자를 같은 값을 갖게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CC2(102)의 CFI의 값을 CC1(101)의 CFI 값으로 설정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요소 반송파가 다수의 요소반송파를 지시하게 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 제어정보를 제공받는 반송파의 제어형식지사자와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지시하는 물리데이터제어채널(PDCCH)이 있는 반송파와 제어형식 지시자를 같은 값을 갖게 하는 방식은 도 2, 3에 나타난 상황에 대해서 어떤 요소반송파의 반송파 지시자의 값을 선택할 것인지의 결정이 필요하다.
도 2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로부터 PDCCH 지시를 받는 경우 CFI의 값을 설정하는 데 있어 특정 요소 반송파의 값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CC1(201)에 대해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 자원을 할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CC0(200)와 CC2(202) 두 개가 존재한다. 이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원을 할당하는 요소 반송파의 CFI 값을 CC1의 CFI(CFI1)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CFI0와 CFI2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도 3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간에 서로 PDCCH 지시를 받는 경우 CFI의 값을 설정하는 데 있어 특정 요소 반송파의 값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CC1(301)의 CFI(CFI1)값을 설정하고자 하나, CC0(300), CC2(302)로부터 지시를 받고 있으며, 또한 CC1(301)에서도 CC0(300), CC2(302)를 지시하고 있어서 CC1(301)의 CFI(CFI1)값을 CC0(300)의 CFI(CFI0)값으로도 정하기 어려우며 CC2(302)의 CFI(CFI2)값으로도 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도 1, 2, 3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반송파간 스케쥴링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대해 제어 형식 지시자와 같은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이를 구현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어 형식 지시자를 제어 정보인 지시 정보의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이 제어 형식 지시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제어 형식 지시자와 유사한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게 되는 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
제어 형식 지시자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제어 형식 지시자는 총 2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 형식 지시자의 값은 구현하게 되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 형식 지시자인 CFI의 값은 하향링크(Downlink)의 전체 대역의 자원 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의 개수가 10보다 큰 경우에는 1~3의 값을 가지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2~4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 형식 지시자는 2bit의 정보를 32bit 크기의 코드워드(codeword)로 변환한다. 그 변환의 실시예는 표 1과 같다. 코드워드로 변환하게 되면 제어 형식 지시자의 각각의 정보들 간의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가 커져서,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 제어 형식 지시자의 코드워드 매핑
Figure pat00001
제어 형식 지시자는 PCFICH 채널에 포함되어 기지국, eNB와 같은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송신된다. 제어 형식 지시자는 1~3 또는 2~4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2bit의 정보로 표시하며 제어 형식 지시자의 값에 대한 범위가 다운링크 자원 할당 블록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2bit를 기준으로 수학적 편의성을 고려하여 0~2의 값을 가지는 경우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2bit의 0~2의 값은 하향링크(Downlink)의 전체 대역의 자원 블록 그룹(Resource Block)의 개수가 10보다 큰 경우에는 1을 더할 수 있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2를 더하여 CFI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기지국과 단말의 소정의 규약에 따라 1~3 또는 2~4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기지국 또는 eNB와 같은 장치에서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 정보의 일 실시예로 지시 정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시 정보의 일 실시예는 요소 반송파 내에서 제어 정보가 차지하는 제어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지시 정보의 다른 실시예는 요소 반송파 내에서 데이터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지시 정보는 제어 정보를 의미하며, 제어 정보가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보다 명확히 알려주기 위하여 지시 정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지시 정보는 하나의 파라메터 또는 하나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값을 가지는 행렬 또는 함수의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규칙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S410). 기지국은 규칙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어떤 규칙에 따라 지시 정보를 생성할 것인지를 미리 정할 수 있다. 규칙 정보의 송신은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즉, RRC(Radio Resource Control) 영역에서 규칙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생성하여, 기지국에서 무선을 제어하는 데이터로 송신하면,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한 후, 해당 데이터가 규칙 정보인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규칙 정보의 송신은 소정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과 규칙 정보를 공유하면 해당 규칙에 따라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S431~S435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가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S420).
규칙 정보가 소정의 고정값을 가지는 경우, 규칙 정보에 포함된 고정된 값으로 지시 정보의 값을 설정한다(S433). 소정의 고정값이란 지시 정보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범위 내에서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시정보가 도 2, 3의 CFI와 같은 경우 CFI가 가질 수 있는 값(1~3, 2~4) 중에서 1과 같이 특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2, 3에서 특정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혹은 지시 정보가 한번 정해지면 거의 변경되지 않는 경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규칙 정보가 함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함수 연산을 통해 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33). 함수를 통한 지시정보란, 도 2와 같이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다른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함수의 입력 파라메터로 하여 함수 연산을 수행하여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규칙 정보는 어떤 함수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함수의 일 실시예는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 최다빈도수값 등 입력된 값들에서 대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함수가 될 수 있다. 규칙 정보가 함수인 경우의 실시예는 도 8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규칙 정보가 부분 집합 정보를 포함할 경우에는 부분 집합 내에서 가장 적절한 요소를 선택하여 이를 지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S435). 부분 집합은 미리 산출된 집합에서 전부 또는 일부 요소(집합의 원소)만을 포함하는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분집합을 선택하는 정보가 규칙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규칙정보는 이와 같이 부분집합의 구성(임의의 선택 또는 수학적인 유도에 의한), permutation(아래에서 설명되는 채널상황 및 사용자요구에 따라 선택되는), 부분집합에서 원소(지시정보의 조합)의 선택방법(가장 가까운 조합 또는 각 반송파의 초기지시정보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지면서 가장 가까운 값을 갖는 조합의 선택), 전체조합을 구성하는 반송파의 구성(어떤 반송파들이 이러한 조합에 포함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정보는 상위계층시그널링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전체 집합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지시 정보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가 0~(L-1)이며, 요소 반송파가 총 N개인 경우 전체 집합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표 2] 전체 집합의 실시예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는 N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가질 수 있는 지시정보들을 모두 나열하고 있는 집합이다. 집합 요소의 인덱스는 N개의 요소 반송파들에 할당되는 지시 정보들로 집합 내에서의 특정 요소를 가리키는 인덱스가 된다. 예를 들어 인덱스가 2인 경우 제 1 요소반송파의 지시정보가 2이고, 제 2, 제 3, ... , 제 N 요소 반송파의 지시정보는 모두 0으로 설정하는 거을 나타낸다.
부분 집합은 상기 표 2의 집합에서 일부를 추출한 것으로 표 3과 같다. N개의 요소 반송파 중에서 3개의 요소 반송파만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표 3] 부분 집합의 실시예
Figure pat00003
표 3의 전체 집합에서 5개의 요소들을 선택하여 부분 집합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S435 단계는 상기 부분 집합에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 초기에 설정된 초기 지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값을 포함하는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을 위해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의 초기 지시 정보가 필요하다. 초기 지시 정보란, 지시 정보를 설정하기 전에, 해당 요소 반송파에서 설정될 수 있는 특정 요건을 만족하는 초기 값을 의미한다. 지시 정보의 일 실시예로 요소 반송파 내에서 제어 정보가 차지하는 제어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요소 반송파 내에 제어 영역이 차지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혹은 계산된 값이 초기 지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본래의 반송파집합에서 고려되는 각 반송파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제어영역을 나타내는 지시정보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지시 정보의 다른 실시예로 요소 반송파 내에서 데이터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해당 요소 반송파 내에 데이터 정보가 차지하는 것으로 예상되거나 혹은 계산된 값이 초기 지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표 에서 제 1, 2, 3요소 반송파의 초기 지시 정보가 2, 2, 1 인 경우 집합 인덱스 2에 가장 유사하므로, 실제 생성되는 지시 정보는 제 1, 2, 3요소 반송파에 대해 2, 1, 1의 값으로 생성된다. 물론, 이 부분 집합의 값은 논리적인 지시 정보이므로, 이 정보가 실제로 지시 정보로 생성되는 경우 1 또는 2와 같이 특정한 기준이 되는 수가 더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부분 집합에서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가 교환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표 3의 경우 제 1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로 할당하게 되는 값과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로 할당하게 되는 값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분 집합이므로, 요소 반송파의 모든 지시 정보의 경우의 수를 나타낼 수 없으므로, 보다 유사하도록 부분 집합 내에서의 설정값을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만약 초기의 지시 정보가 (2, 2, 1)인데, 이에 대해 실제 생성하는 지시 정보가 (2, 1, 1)인 경우,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는 더 작은 값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별도의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부분 집합의 생성 및 부분 집합에서 지시 정보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9내지 12에서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S431, S433, S435에서 지시 정보를 생성하여 지시 정보의 특성에 따라 반송파 스케쥴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438). 지시 정보가 제어 영역 또는 데이터 정보가 포함될 영역을 설정하는 정보이고, 원래 할당할 영역보다 적게 할당되도록 설정되면, 감소된 영역의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가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되도록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S440).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거나, 반송파간 스케쥴링이 완료된 경우 생성된 지시 정보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S450).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에 따라 요소 반송파의 제어 정보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요소 반송파를 송신한다는 것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요소 반송파에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요소 반송파의 송신은 무선 신호로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 4에서의 지시 정보의 예로 CFI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PDSCH가 설정되는 영역에 대한 지시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기지국 또는 eNB와 같은 장치에서 설정한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여 제어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정보의 특성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지시 정보라는 명칭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규칙 정보를 수신한다(S510). 기지국은 규칙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어떤 규칙에 따라 지시 정보를 생성할 것인지를 미리 정할 수 있다. 규칙 정보의 수신은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즉, RRC 영역에서 기지국이 규칙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생성하여 무선을 제어하는 데이터로 송신하면,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한 후, 해당 데이터가 규칙 정보인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규칙 정보의 수신은 소정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기지국과 공유한 후, 요소 반송파를 수신한다(S514). 수신한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복호화하게 되는데, 규칙 정보를 이용하면 조인트복호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있게 지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과정은 S531~S535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지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가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S520).
규칙 정보가 소정의 고정값을 가지는 경우, 규칙 정보에 포함된 고정된 값으로 지시 정보의 값을 추출한다(S533). 소정의 고정값이란 지시 정보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범위 내에서 규칙 정보를 통해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시정보가 도 2, 3의 CFI와 같은 경우 CFI가 가질 수 있는 값(1~3, 2~4) 중에서 1과 같이 특정된 값으로 설정된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2, 3에서 특정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혹은 지시 정보가 한번 정해지면 거의 변경되지 않는 경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규칙 정보가 함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함수 연산을 통해 지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533). 함수를 통한 지시 정보란, 도 2와 같이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다른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함수의 입력 파라메터로 하여 함수 연산을 수행하여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규칙 정보는 어떤 함수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함수의 일 실시예는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 최다빈도수값 등 입력된 값들에서 대표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함수가 될 수 있다. 규칙 정보가 함수인 경우의 실시예는 도 8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규칙 정보가 부분 집합 정보를 포함할 경우에는 부분 집합 내에서 가장 적절한 요소를 선택하여 이를 지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S535). 부분 집합은 미리 산출된 집합에서 전부 또는 일부 요소(집합의 원소)만을 포함하는 집합을 의미한다. 전체 집합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지시 정보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가 0~(L-1)이며, 요소 반송파가 총 N개인 경우 전체 집합의 실시예는 전술한 표 2와 같고, 이에 대한 부분 집합의 실시예는 표 3과 같다.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사용자 단말은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지시 정보를 추출하고, 이 지시 정보에 따라 요소 반송파의 데이터를 복호한다(S540).
지시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도 5의 과정에 의해, 이미 기지국과 공유하고 있는 규칙 정보를 사용하여 지시 정보를 새로이 추출할 수 있다. 오류가 발생한 요소 반송파 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조인트 복호(joint decoding)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정보의 일 실시예로 PCFICH의 CFI를 가정하여 살펴본다. CC0, CC1, CC2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며, 복호한 요소 반송파 CC1의 지시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한편 CC0, CC2의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는 오류 없이 수신하였다. 이 경우, 규칙 정보가 특정 고정값이라면, 해당 고정값을 CC1의 지시 정보로 추출할수 있다. 해당 고정값이 모든 요소 반송파에 동일한 고정값으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다른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지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규칙 정보가 함수인 경우, CC0, CC2의 지시 정보를 함수의 입력값으로 하여 함수의 결과를 CC1의 지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규칙 정보가 부분 집합인 경우, CC0, CC2의 지시 정보의 값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서 CC1의 지시 정보로 설정한 값을 지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규칙 정보와 다른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오류가 발생한 지시 정보를 새로이 추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의 지시 정보의 오류 수정 가능성이 높아지가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eNB, 기지국과 같은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규칙 정보 생성부(601), 반송파간 스케쥴링부(602), 지시정보 생성부(603), 그리고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690) 및 송신부(695)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의 모듈들은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어 기능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듈로 결합되어 기능할 수 있다.
규칙 정보 생성부(601)는 규칙 정보를 생성한다. 규칙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값, 함수, 부분 집합과 관련한 정보들이다. 생성된 규칙 정보를 토대로 지시 정보 생성부(603)는 요소 반송파의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 생성부(690)는 상기 지시 정보 생성부(603)가 생성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요소 반송파의 제어 정보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제어 정보 영역이 포함된 요소 반송파를 신호로 생성한다. 생성된 신호, 즉 요소 반송파는 송신부(695)에서 송신한다. 반송파간 스케쥴링부(602)는 지시 정보 생성부(603)에서 생성한 지시 정보가 요소 반송파간의 스케쥴링이 필요한 경우, 요소반송파들 사이의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규칙 정보가 소정의 고정값으로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경우, 지시 정보 생성부(603)는 규칙 정보에 포함된 값으로 상기 지시 정보의 값을 설정한다. 상기 규칙 정보는 둘 이상의 입력값으로부터 하나의 결과를 연산하는 함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지시 정보 생성부(603)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자원을 할당하는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규칙 정보가 부분 집합에 대한 내용인 경우, 전체 또는 일부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함께 설정할 수 있는데, 요소 반송파가 제 1 요소 반송파와 제 2 요소 반송파로 구성되며,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의 집합 중 부분 집합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지시 정보 생성부(603)는 부분 집합에서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의 초기 지시 정보인 제 1 지시 정보와 제 2 지시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선택하여 지시 정보로 설정한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분 집합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규칙 정보에 제 1 요소 반송파와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된 지시 정보는 신호 생성부(690)에서 소정의 신호로 생성되어 송신된다.
신호 생성부(69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시 정보 생성부(603)가 생성한 값은 코드 워드 생성부(605)를 통해 소정의 코드 워드로 변환된다. 이 과정에서 다른 제어 정보들도 코드워드 생성부(605)에서 코드 워드로 생성될 수 있다.
지시 정보가 CFI 를 예로 할 경우, CFI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PCFICH로 포함된다. 따라서, 요소반송파 내에 CFI의 코드워드가 포함되며, 이 CFI는 앞서 지시 정보 생성부(603)이 소정의 규칙 정보에 의해 생성한 지시 정보의 일 실시예이다.
코드워드(codeword) 생성부(605)에서 코드워드로 생성되고, 생성된 정보는 스크램블링부(scrambling)(610, ..., 619)에서 스크램블 된다. 스크램블된 비트들의 블록들은 모듈레이션 맵퍼(modulation mapper)(620,..., 629) 소정의 모듈레이션 방식에 따라 심볼로 모듈레이션 된다. 모듈레이션은 BPSK, QPSK 등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지시 정보가 CFI이며, PCFICH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QPSK로 모듈레이션할 수 있다.
모듈레이션 된 심볼은 레이어 매퍼(layer mapper, 630)에서 여러 레이어에 매핑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할 경우 하나의 레이어(single layer)에 매핑하여 송신한다. 반면, 다수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할 경우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스페이셜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 또는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와 같이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을 적용하여 레이어 매핑을 진행할 수 있다.
레이어 매핑이 완료되면 프리코딩부(precoding, 640)에서 안테나 포트의 매핑 방식에 따라 리소스로 매핑되도록 백터 블록을 생성한다. 앞서 레이어 매핑에서 결정된 안테나의 수 및 다중 안테나에서 매핑되는 방식에 따라 프리코딩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프리코딩이 완료되면 RE매퍼(resource element mapper)(650,..., 659)에서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매핑이 이루어진다. 이때, 지시 정보 생성부(603)가 생성한 지시 정보가 요소 반송파 내에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영역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의 범위를 지시하는 정보인 경우, RE 매퍼(650,..., 659)에서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을 지시 정보에 따라 매핑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매핑이 완료되면 OFDM신호 생성부(660, ..., 669)을 통해 생성된 OFDM은 송신부(1195)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된다.
한편, 규칙정보 생성부(601)에서 생성한 규칙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는 PDSCH 등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역을 통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즉, 규칙정보 생성부(601)는 UE의 수, UE별 요구사항(데이터 요구량, QoS 등), 채널 상황,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하여 규칙을 생성하고 이를 필드로 구성하여 상위계층(예를 들어RRC시그널링) 시그널링을 진행한다. 이러한 상위계층(RRC 시그널링)은 물리 채널 형식으로(예를 들어 PDSCH와 같은 데이터 채널)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신호 생성 과정은 하나의 모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생성부(690)내에 코드워드 생성부(605), 스크램블링부(scrambling)(610, ..., 619), 모듈레이션 맵퍼(modulation mapper)(620,..., 629), 레이어 매퍼(layer mapper, 630), 프리코딩부(precoding, 640), RE매퍼(resource element mapper)(650,..., 659), OFDM신호 생성부(660, ..., 669) 가 개별 모듈로 존재할 수 있고, 둘 이상이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정보를 해석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장치는 UE와 같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전체 구성은 수신부(710), 신호 복호화부(790), 제어정보 추출부(770), 규칙정보 저장부(750), 지시정보 추출부(76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71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에는 하나의 안테나가 존재할 수 있고, 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 안테나 수신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한 신호는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가 포함될 수 있다.
디모듈레이션부(720)는 수신한 신호를 디모듈레이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기지국이 OFDM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OFDM 방식에 의해 디모듈레이션을 진행하며, 이외에도 기지국이 생성한 신호가 FDD 방식인지, 혹은 TDD 방식인지에 따라 해당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 할 수 있다.
디모듈레이션된 신호는 디스크램블링부(730)에서 디스크램블되어 소정 길이의 코드워드를 생성하며, 코드워드 디코딩부(740)는 코드워드를 다시 소정의 정보로 복원한다. 이 기능은 신호 복호화부(790)에서 한번에 진행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모듈에서 독립적으로 혹은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복호화된 신호에서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제어 정보에서 데이터 복호화부(780)는 소정의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한편,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송신되는 규칙 정보 역시 물리 채널의 형식으로 수신되어 복호될 수 있다. 그리고 필드에서 생성된 규칙 정보가 추출되며 이 규칙은 규칙 정보 저장부(750)에 저장한다. 이는 차후 지시 정보 추출부(780)에서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데 규칙 정보 저장부(750)의 규칙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송신되는 규칙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PDSCH의 영역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규칙 정보 저장부(750)는 코드워드 디코딩부(740)에서 지시 정보 추출부(760)가 지시 정보를 조인트 복호를 통해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수신부(710)에서 수신한 신호가 신호 복호화부(790)를 통해 복호되고, 제어 정보 추출부(770)에서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지시 정보 추출부(760)는 지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제어 정보 추출부(770)의 제어 정보 추출과 지시 정보 추출부(760)의 지시 정보 추출은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 질 수 있다. 지시 정보 추출부(760)의 지시 정보 추출과정에서 지시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여 지시 정보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서 규칙 정보 저장부(750)의 규칙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규칙 정보의 예로는 고정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고정값으로 지시 정보를 추출하고, 함수인 경우, 다른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함수의 입력 값으로 하여 지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5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규칙 정보가 소정의 부분 집합과 관련된 정보인 경우, 지시 정보 추출부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요소 반송파들의 지시 정보들과 규칙 정보에서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지시 정보를 가지는 요소를 선택하여 지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요소 반송파의 제어 정보 영역의 할당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시정보가 CFI이며, PCFICH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CFI의 값을 복원할 수 있다. CFI를 새로이 추출하면, 데이터 영역(PDSCH)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또한, 지시 정보가 데이터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경우, 해당 경계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데이터 영역이 포함될 수 있는 경계 또는 제어 영역이 포함될 수 있는 경계를 선택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7의 각각의 모듈들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규칙 정보가 함수로 구성된 경우 제어 정보의 설정값을 연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와 같이 다수의 요소 반송파로부터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 자원 할당을 받고 있는 요소 반송파의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어 정보의 일 실시예로 제어형식지시자인 CFI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총 N개의 요소 반송파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 다른 요소 반송파에 자원을 할당하는, 즉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 예를 들어 PDCCH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를 CCy1, CCy2, ..., CCyM(M<N)이라고 하며, 도 2의 CC0(200), CC2(202)가 이에 포함된다. 이들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의 CFI 값을 CFIy1, CFIy2, ..., CFIyM 라 한다. 이들 요소 반송파들에 의해 자원을 할당받는 요소 반송파, 예를 들어 도 2의 CC1(201)과 같은 요소 반송파를 CCx라고 하며, CCx의 CFI 값을 CFIx라 한다. 도 2의 경우, 이 경우, 요소 반송파 CCx의 CFIx값을 설정하기 위해 수식 1과 같이 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수식 1]
CFIx = f(CFIy1, CFIy2, ..., CFIyM)
도 8에서는 함수 연산부(810)에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의 CFI 값을 수신하여 소정의 연산을 통해 CCx에 할당될 제어 정보의 하나인 제어 형식 지시자 정보의 값 CFIx를 산출한다.
함수 연산부(810)에서 사용하게 되는 함수의 예로는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최대 빈도값 등 다양한 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함수 연산부에서 구현하는 함수는 [수식 2]를 포함한다.
[수식 2]
Figure pat00004

각각의 함수에 대해 살펴보면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요소 반송파들의 CFI 값들 중에서 Max는 최대 값을, Min은 최소값을, Ave는 평균값을, 그리고 MostFreq는 가장 많이 나타난 값(최다 빈도값)을 선택하는 함수들이다. 이중, Ave는 함수의 특성상, 그 결과가 정수가 아닌 경우가 있으므로, [수식 3]과 같이 반올림, 올림, 내림 등을 수행하는 정수화 함수(int)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at0000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FIy1, CFIy2, ..., CFIyM , CFIx 값은 2bit에 맞추어 0~2의 값으로 계산하고 이를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 1을 더하거나 2를 더할 수 있다. 또는 미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1~3을 사용할 것인지, 2~4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여 해당 값을 함수 연산부(810)의 입력값과 그에 대해 산출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1 또는 2를 더하는 과정이 필요한지, 혹은 필요하지 않은지를 선택하는 CFI 보정부(812, 814)가 필요하다. CFI 보정부는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함수 연산부(8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함수 연산부(810)에서 산출하는 CFI값(CFIx)의 값이 커질 경우, 제어영역의 자원할당의 범위가 커져 자원의 효율성은 감소하지만 실제 CCx가 요구하는 제어영역 자원영역을 보장해줄 수 있다. 반면, CFI값(CFIx)이 작아질수록 제어영역의 자원할당의 범위가 작아져서 자원효율은 좋아지지만 원래 CCx가 요구하는 제어영역의 자원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워질 가능성은 발생한다. 예를 들어 CCx에 원래 할당되어야 하는 CFI의 값이 2인데, 함수 연산부(810)에서 연산한 결과 1이 나올 경우, 제어 영역의 자원 할당이 원할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함수연산부(810)에서 어떤 함수를 사용하여 CFI값을 연산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하여 자원 할당의 효율성과 네트워크의 상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함수는 일정기간 고정(semi-static)되어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RRC와 같은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에 의해 변화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8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 CFIx가 만약 CCx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을 위한 CFI값보다 작은 경우, 이는 CCx에 충분히 제어 채널이 할당될 수 없으므로, CCy1, CCy2, ..., CCyM에서 추가적으로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FI 부분 집합에서 CFI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소정의 함수 연산부를 통해 요소 반송파의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다른 요소 반송파들의 CFI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함수 연산을 수행하여 구성한다. 도 9에서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의 CFI 값을 미리 정한 집합에서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CFI 값의 집합에서 가장 적합한 CFI 값을 선택하여 각각의 요소 반송파의 CFI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도 9에서는 미리 CFI 값의 집합을 구하여 테이블과 같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도 2, 3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bit와 이에 의해 산출되는 숫자를 그대로 매칭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도 9의 연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2bit는 표 3과 같이 매칭될 수 있다.
[표4]
Figure pat00006
물론, 조합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CFI값을 미리 1 또는 2를 더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기능을 도 8과 같이 CFI 보정부와 같은 모듈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9의 전체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FI 조합집합 생성부(920)은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이 가질 수 있는 CFI값들의 모든 조합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N개의 요소 반송파가 있으며, CFI 값이 L가지 종류의 값(0~L-1)의 값을 가질 경우, N 개의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CFI의 조합의 개수는 LN이다. 현재 CFI는 3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L은 3이 될 수 있다. 따라서 CFI 조합집합 생성부(920)은 LN개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조합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할당되는 CFI는 완전한 자유도를 가지게 되며, 각각의 요소반송파는 CFI의 모든 범위에서 PCFICH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소반송파 간의 PCFICH간에 연관성이 없으므로 독립적으로 복호가 이루어지게 되며, 다른 요소반송파의 복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요소 반송파의 복호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도 이를 정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요소반송파들 사이에 연관성을 가지도록 LN개의 조합 중에서 소정의 부분 집합을 선택하고, 그 결과 각각의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CFI의 값에 일정 정도의 제한이 가해질 경우, 이러한 연관성을 토대로 복호할 수 있으므로,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 CFI의 값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다른 요소 반송파의 CFI 값을 토대로 복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복호 과정을 조인트 복호(joint decoding)이라고 한다. 조인트 복호 과정에서 자원 할당의 범위가 해당 요소 반송파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스케쥴링 조정부(980)에서는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각각의 반송파의 CFI에 맞추도록 자원을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조합 부분 집합 추출부(9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N개의 조합에서 부분 집합을 추출한다. 부분 집합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에 대한 정보는 규칙 선택부(910)에서 설정하고,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990)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이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규칙 선택부(910)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정보로는 전체 집합중 몇 개의 요소들로 부분 집합을 만들 것인지, 또는 어떤 요소를 부분 집합에 포함시킬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부분 집합을 산출하기 위한 수식이 존재할 경우, 해당 수식의 파라메터가 하나의 규칙 정보가 될 수 있다. 조합 부분 집합 추출부(930)가 추출한 부분 집합의 구성을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표 5] 추출한 부분 집합의 구성 예
Figure pat00007
조합 부분집합 요소 선택부(940)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가 요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들어가는 CFI 값(CFI0, CFI1, ..., CFIN -1)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값을 조합 부분집합 추출부(930)에서 추출한 요소들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값을 가지는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한 요소(j)에 따라 각 요소 반송파의 CFI 값을 설정하여 PCFICH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할당되어야 하는 CFI 값과 실제 선택하게 되는 CFI 부분 조합 집합의 요소값에서 발생하는 차이는 스케쥴링 조정부(980)에서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이용하여 보정 또는 보상할 수 있다.
한편, 조합 부분집합 요소 선택부(94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CFI 값을 선택하게 될 경우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CFI 값을 선택하도록 조합 부분집합 요소 선택부(94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 할당되어야 하는 초기 CFI값인 CFIi에 대하여 조합 부분집합 요소 선택부(940)에서 j번째 요소(CFIi,j)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조합 부분집합 요소 선택부(940)에서
Figure pat00008
를 만족하는 요소(CFIi,j)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 경우, CFIi,j는 항상 해당 요소 반송파가 필요로 하는 CFIi 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제어 영역의 공간이 줄어들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요소 반송파간의 스케쥴링 조정을 진행없이 구현될 수 있다.
CFI부분집합을 선택하는 규칙정보는 CFI 부분 집합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이 다양해 지며, 그러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가 상위계층 시그널링부(990)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부분 집합의 구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개의 요소 반송파의 CFI 값을 포함하도록 추출하고자 한다. CFI는 총 3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L은 3(CFI의 값은 0~2)이 된다.
CFI 조합 집합 생성부(920)는 3가지의 값을 가지는 5개의 요소 반송파의 조합으로 243가지(LN, 즉 35)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에 대해 0~242와 같이 결합값(CFIg)을 할당할 수 있고, 해당 요소에 대해 5개의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CFI 값(CFI0, CFI1, CFI2, CFI3, CFI4)도 설정할 수 있다.
0~242의 결합값(CFIg)과 각각의 요소 반송파의 CFI의 값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수식 4와 같다.
[수식 4]
Figure pat00009
CFIg는 각 요소반송파에서 가능한 모든 조합의 경우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이 되고 0~ LN -1의 값을 가진다. 또한 CFIg에서는 CFIi를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환원할 수 있다.
[수식 5]
Figure pat00010

L이 3, N이 5인 경우, 다음의 수식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식 6]
CFI0 = (CFIg/1)%3
CFI1 = (CFIg/3)%3
CFI2 = (CFIg/9)%3
CFI3 = (CFIg/27)%3
CFI4 = (CFIg/81)%3
그 결과 CFI 조합 집합 생성부(920)에서 산출할 수 있는 값의 일부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6]
Figure pat00011
상기 테이블에서 조합 부분 집합 추출부(930)는 일부의 CFIg를 추출할 수 있다. 특정 CFIg를 추출하기 위해 다음의 수식을 적용할 수 있다. CFIg중에서 일부 추출되는 사항들을 ECFI라 한다. ECFI를 추출하는 방식 중 하나로 균일 추출이 있다. 즉 추출된 CFIg(즉 ECFI)들이 균일한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출을 위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수식 7]
Figure pat00012
예를 들어 L=3이고 N=5인 경우의 예를 들면, CFIg는 0~242의 값을 가지고 여기서, 3(P=3)개의 값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위에서 N'는 N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다. N'가 N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체의 요소반송파집합에서 일부분에 대해서 위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N'가 N과 같은 경우에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일부분에 대해서 위의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서 제어정보를 지시받거나 지시하거나 하지 않고 자기 요소반송파 내부에서만 제어정보를 지시받는 요소반송파는 위의 과정에서 배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가 3인 경우를 계산해보면, ECFI0, ECFI1, ECFI2,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8]
Figure pat00013
위 수식에 의해 산출되는 부분 집합은 다음의 표와 같이 구성된다.
[표 7]
Figure pat00014
부분 집합은 ECFI0, ECFI1, ECFI2에 의해 3개의 요소를 가지도록 선택되며, 도 9의 조합 부분 집합 요소 선택부(940)는 입력된 CFI 값들과 j=0, 1, 2의 요소들의 값을 비교하여 같거나 가장 유사한 값을 선택하여 PCFICH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CFI 값(CFI0, CFI1, CFI2, CFI3, CFI4)이 각각 2, 1, 1, 0, 1 인 경우, 조합 부분 집합 요소 선택부(940)는 가장 근접한 값을 가지는 j=1을 선택하여 (CFI0 , j , CFI1 , j , CFI2 , j , CFI3 , j , CFI4 , j )의 값을 (1, 1, 1, 1, 1)로 설정하여 PCFICH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조정할 수 있다.
균일 추출시 P의 값이 9인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8]
Figure pat00015

P의 값이 증가하면 부분 집합의 요소의 개수가 증가하며, 보다 적절한 CFI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조인트 복호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는 효과는 줄어든다. 예를 들어 P가 3이고 CFI0, CFI1, CFI2, CFI3, CFI4의 값이 (2, 1, 2, 2, 2)인 경우, CFI1이 오류가 발생했으며 이를 2로 수정하는 조인트 복호가 가능하다. 그러나, P가 9인 경우, CFI0, CFI1, CFI2, CFI3, CFI4의 값이 (2, 1, 2, 2, 2)인 경우, j가 7이며 CFI3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인지, j가 8이며 CFI1 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인지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P가 증가할수록 선택할 수 있는 CFI의 값의 조합은 다양해지지만, 조인트 복호로 인해 오류를 수정하기는 어려워진다. 조인트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수신한 신호에서 CFI 값을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복호된 값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고, 그 결과 데이터의 정확성 또한 높일 수 있다. 즉 3개를 균일하게 추출한 표 8의 경우 조인트 복호에 의한 PCFICH의 해밍 거리는 105가 되며, 균일하게 9개를 추출한 경우의 해밍 거리는 42가 된다.
한편 임의의 추출로도 부분 집합을 구할 수 있다. 임의추출의 예로는 해당 요소 반송파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CFI의 조합을 부분 집합의 요소로 설정할 수 있고, 조인트 복호의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임의추출은 시스템의 성능에 보다 적합하게 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즉, 현재의 네트워크의 채널 상황과 대역폭, 사용자 단말의 요구 사항등을 고려하여 비균일 추출을 진행할 수 있다. 임의 추출의 경우를 살펴보면 표 9와 같다.
[표 9]
Figure pat00016
임의 추출 과정을 통해 조인트 복호로 인한 오류 개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앞서 균일 추출인 경우 P가 증가할수록 선택할 수 있는 요소의 범위는 넓어지지만 조인트 복호로 인한 오류 정정 가능성이 낮아지는데, 다음의 수식을 통해 변형된 추출을 진행할 경우, 조인트 복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식 9]
Figure pat00017

a는 임의의 실수가 되어 추출하고자 하는 요소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a=5/3이고, P=27인 경우 다음의 표와 같이 산출된다. 아래의 표에서 해밍 거리는 42로 증가할 수 있다.
[표 10]
Figure pat00018

한편 앞서 살펴본 표 5, 6, 7, 8, 9, 10에서 산출한 CFI0, CFI1, CFI2, CFI3, CFI4는 각각 특정 요소 반송파에 적용되지만, 이러한 적용이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CFI0, CFI1, CFI2, CFI3, CFI4는 대칭적으로 CC0, CC1, CC2, CC3, CC4의 CFI값이 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의 상황 또는 단말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매핑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FI1가 CC3의 CFI 값이 되도록 하고, CFI3이 CC1의 CFI 값이 되도록 변환하는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반송파에서 가질 수 있는 제어형식정보의 열의 순서를 바꿔 반송파가 가지는 값의 변화를 줄 수 있다. 요소 반송파의 특성이 다른 요소반송파에 할당되는 CFI 값에 더 적합한 경우 이러한 열의 교환을 진행할 수 있다.
앞서 3 개의 비균일 추출의 경우 열(column)이 변경된 예를 살펴보면 도 10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소 반송파의 제어 정보의 값을 변환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의 1001은 열을 변화시키기 전에 산출한 부분 집합이다. 사용자 단말의 자원 요구,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채널 상황등을 고려하여 CC4에 할당되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CFI가 CC1에 할당되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1001의 CC1의 CFI의 값에 더 적합하며, 반대로 CC1에 할당되는 제어정보의 특성이 CC4에 기 할당된 1001의 CFI 값에 더 적합한 경우 CC1, CC4의 제어 정보의 값을 변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1002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
열의 변화 여부에 대한 판단은 eNB와 같은 기지국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고, UE(사용자 단말)들의 자원요구, QoS요구, 채널상황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채널에서 요구하는 자원요구량을 예측하고 그러한 예측에 적합한 집합이 구성되도록 순열(permutation)을 구성할 있다.
또한 1002와 같이 반송파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이러한 변경된 사실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그 결과 사용자 단말은 변경된 사항에 따라 조인트 복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한정된 조합의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값의 변화를 줄 수 있다.
규칙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분 집합에 대한 정보 또는 부분 집합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수식의 파라메터 등과 같은 정보 이외에도 반송파의 위치 변경에 대한 조합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반송파의 위치의 변경에 따른 정보는 반송파의 개수가 N인 경우, log2(N!)이 될 수 있다. 규칙에 의한 부분 집합이 재조정되거나 반송파의 위치가 변경되는 부분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이루어지는 것(semi-static)이므로, 주기적으로 또는 기지국의 판단, 단말의 요청 사항등에 따라 변경/재조정 되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알려진다.
또한, 반송파들의 종류에 따라 부분 집합 내에서도 일부 열(일부 반송파에 대한 CFI 값)만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들을 반송파간 스케쥴링과 관련하여 나누어 보면 i)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지시하는 PDCCH만 들어있는 반송파, ii)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지시받는 반송파, ii)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지시하거나 받는 두가지 모두에 해당하는 반송파, iii) 반송파간 스케쥴링과 상관없이 자기 반송파내의 스케쥴링만이 이뤄지는 반송파 등으로 나눌 수 있고, i), ii), iii)의 경우에서는 반송파내부의 스케쥴링은 반송파간 스케쥴링과 상관없이 다른 PDCCH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앞서 균일 추출, 비균일 추출 등에 의해 제어집합조합의 부분 집합을 선택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범위가 전체 반송파에 대해서 이루어질수도 있고 반송파간 스케쥴링과 관계된 반송파들에 대해서만 한정될 수 있다. 즉, 본발명에서 제안되는 제어집합조합의 부분 집합을 선택함에 있어 그 범위는 i), ii), iii)의 반송파들에 대해서만 한정될 수도 있지만 i), ii), iii), iv) 모두를 고려하여 이뤄질수도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반송파간 스케쥴링과는 상관없이 특정기준에 따른(임의로도 구성될 수 있는) 그룹별로 나누어 이뤄질 수 있다. 즉, 전체 반송파의 개수가 N개인 경우 N'<N인 N'에 대하여
Figure pat00019
와 같이 k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이 가지는 반송파의 전체조합(Ni의 반송파개수를 가질 때)에 대하여 부분제어지시조합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를 통해 CFI와 같은 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은 도 3과 같이 반송파간 스케쥴링에 의해서 자원할당을 받는 반송파와 자원할당을 지시하는 PDCCH가 존재하는 반송파의 관계가 서로 겹치는(서로 지시하여 사이클을 형성하는) 관계를 가지고 전체 요소반송파 집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요소 송파 별로 존재하는 모든 CFI값의 조합에 대하여 일부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도 9의 방식은 도 2와 같이 다수의 요소 반송파로부터 자원 할당을 받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 10과 그리고 다수의 표에서 CFI의 값을 0~2로 설정한 것은 연산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 그룹의 수에 따라 1~3으로 되도록 1을 더하거나 2~4가 되도록 2를 더할 수 있다. 또한 CFI0는 논리적으로 CC0와 매칭되지만 CC0, CC1과 같은 숫자가 특정 요소 반송파를 의미하거나, 요소 반송파간의 순서, 주파수 대역폭 상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논리적으로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술들은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가 사용되는 시스템에서 제어형식 지시자와 같은 지시 정보가 전송시 오류가 발생하여도 이를 수신측인 사용자 단말이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CFI의 값을 사용자 단말이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정 값을 유지하거나,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다른 요소 반송파의 값을 사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지시 정보 집합을 이용하여 지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정된 규칙 정보를 일정 기간(semi-static)하게 유지되고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변동하도록 구현 가능하므로,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자원할당 요구에 의해 적절하게 구성가능한 CFI값이 규칙 정보에 의해 설정되는 값보다 작을 경우 CFI값이 과도하게 결정된 것이고 CFI값에 의해 결정되는 제어영역에 의한 자원낭비가 필요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막기 위하여 반송파간 스케쥴링이 전 반송파 범위에 걸쳐 이뤄질수록 할 수 있다. 또한, CFI의 값을 설정하는 규칙 정보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에 규칙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규칙 정보에서 요소 반송파의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지시 정보가 가지는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값으로 상기 지시 정보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둘 이상의 입력값으로부터 하나의 결과를 생성하는 함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자원을 할당하는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는 제 1 요소 반송파와 제 2 요소 반송파로 구성되며,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의 집합 중 부분 집합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분 집합에서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의 초기 지시 정보인 제 1 지시 정보와 제 2 지시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부분 집합에서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가 교환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의 범위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의 범위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반송파간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규칙 정보를 무선을 제어하는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11.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규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에서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요소 반송파의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둘 이상의 입력값으로부터 하나의 결과를 생성하는 함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자원을 할당하는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는 제 1 요소 반송파와 제 2 요소 반송파로 구성되며,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의 집합 중 부분 집합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분 집합에서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의 초기 지시 정보인 제 1 지시 정보와 제 2 지시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선택하여 상기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부분 집합에서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가 교환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6.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규칙 정보 생성부;
    상기 규칙 정보에서 요소 반송파의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지시 정보 생성부;
    상기 지시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지시 정보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를 신호로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둘 이상의 입력값으로부터 하나의 결과를 연산하는 함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자원을 할당하는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생성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는 제 1 요소 반송파와 제 2 요소 반송파로 구성되며,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의 집합 중 부분 집합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19.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규칙 정보 및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규칙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규칙 정보 저장부;
    상기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소 반송파에서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지시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요소 반송파의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둘 이상의 입력값으로부터 하나의 결과를 생성하는 함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 추출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에 자원을 할당하는 제 2 요소 반송파의 지시 정보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추출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1.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는 제 1 요소 반송파와 제 2 요소 반송파로 구성되며,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1, 제 2 요소 반송파가 가질 수 있는 지시 정보의 집합 중 부분 집합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KR1020100013049A 2010-02-11 2010-02-11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93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49A KR20110093169A (ko) 2010-02-11 2010-02-11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1/000719 WO2011099724A2 (ko) 2010-02-11 2011-02-01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49A KR20110093169A (ko) 2010-02-11 2010-02-11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9A true KR20110093169A (ko) 2011-08-18

Family

ID=4436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49A KR20110093169A (ko) 2010-02-11 2010-02-11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93169A (ko)
WO (1) WO201109972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908A1 (ko) * 2012-09-07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9024A4 (en) * 2017-03-29 2020-01-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MESS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800B1 (ko) * 2007-09-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83269A (ko) * 2008-01-29 2009-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검색 방법
KR101634384B1 (ko) * 2008-02-03 201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qi 전송 방법
KR20100011879A (ko) * 2008-07-25 2010-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908A1 (ko) * 2012-09-07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54372B2 (en) 2012-09-07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control channel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9907030B2 (en) 2012-09-07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control channel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390314B2 (en) 2012-09-07 2019-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control channel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548097B2 (en) 2012-09-07 2020-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control channel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827437B2 (en) 2012-09-0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control channel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724A3 (ko) 2012-01-05
WO2011099724A2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9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52227B1 (ko)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US101544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2814B2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CN103098398B (zh) 在多载波系统中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设备和方法
CN106464428B (zh) 利用蜂窝通信网络中256qam的有效tbs表设计的系统和方法
US10064161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89583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119886B (zh) 在无线系统中发送接收确认的方法和装置
KR1017900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용 기준 신호를 위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25570B1 (ko)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20110194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7803B2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1588750B1 (ko) 저비용 기계 타입 통신을 위한 제어정보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43918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799614B2 (en) Selection of waveform for uplink communications
US943918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4054292A (zh) 用于通过上行链路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US101590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93169A (ko) 반송파 집합화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80376A (ko) 하향링크 물리 채널 송수신방법 및 그 단말, 그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