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2957A -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957A
KR20110062957A KR1020090119854A KR20090119854A KR20110062957A KR 20110062957 A KR20110062957 A KR 20110062957A KR 1020090119854 A KR1020090119854 A KR 1020090119854A KR 20090119854 A KR20090119854 A KR 20090119854A KR 20110062957 A KR20110062957 A KR 20110062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eating
space
cool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678B1 (ko
Inventor
강부선
Original Assignee
(주)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1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6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19Foaming between a movable mould part and the preform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금형 및 이동금형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스팀 및 냉각수의 소비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는, 고정측 금형베이스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의 각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고정금형의 후면을 포위하고, 상기 이동측 금형베이스는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이동측 백플레이트, 이동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이동금형의 후면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고정, 이동, 구획벽, 가열, 냉각

Description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FOAM ARTICLE MOLDING APPARATUS WITH INNER PARTITION SPACE}
본 발명은 발포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정금형 및 이동금형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스팀 및 냉각수의 소비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라 부름) 또는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라 부름) 등과 같은 발포성수지성형물은 포장용기, 자동차 범퍼 등과 같이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금형(3) 및 이동금형(4)을 포함하고, 고정금형(3)은 고정측 금형베이스(1)측에 설치되며, 이동금형(4)은 이동측 금형베이스(2)측에 설치되고, 이동측 금형베이스(2)은 고정측 금형베이스(1)에 대해 이동한다.
고정측 금형베이스(1)는 고정금형(3)의 주변에 배치된 캐비티플레이트(1a), 캐비티플레이트(1a)의 후면에 배치된 고정측 백플레이트(1c), 캐비티플레이트(1a)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1c)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고정측 프레임(1b)을 가진다. 고정측 백플레이트(1c)와 캐비티 플레이트(1a) 사이에는 스팀 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가열 및 냉각공간(1d)이 형성되고, 고정측 프레임(1b)에는 스팀, 냉각수를 개별적으로 주입하는 주입구(1e) 등이 설치된다. 고정측 백플레이트(1c) 및 고정금형(1)에는 피더(1f) 및 이젝터핀(1g) 등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피더(1f)는 발포성수지의 원료를 주입하고, 이젝터핀(1g)은 성형된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취출시킨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는 이동금형(4)의 주변에 배치된 코어 플레이트(2a), 코어 플레이트(2a)의 후면에 배치된 이동측 백플레이트(2c), 코어플레이트(2a)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2c)의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되는 이동측 프레임(2b)을 가진다. 이동측 백플레이트(2c)와 코어 플레이트(2a) 사이에는 스팀 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가열 및 냉각공간(2d)이 형성되고, 이동측 프레임(2b)에는 스팀, 냉각수를 개별적으로 주입하는 주입구(2e) 등이 설치된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가 고정측 금형베이스(1)측으로 이동하여 고정금형(3) 및 이동금형(4)이 서로 밀착되어 닫히면, 고정금형(3)과 이동금형(4) 사이에서 성형공간(5)이 조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금형장치는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 2)의 각 가열 및 냉각공간(1d, 2d)이 고정금형(3) 및 이동금형(4)의 주변영역으로까지 확장됨에 따라 그 전체 체적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금형(3) 및 이동금형(4)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여 처짐이 발생하였고, 또한 가열 및 냉각공간(1d, 2d)으로 주입하는 스팀 내지 냉각수의 소비량이 매우 증대되어 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정금형 및 이동금형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스팀 및 냉각수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발포성형물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형장치는,
하나 이상의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측 프레임을 가지는 고정측 금형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이동금형, 상기 이동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이동측 백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이동측 프레임을 가지는 이동측 금형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금형베이스는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고정측 백플레이트, 고정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 간은 상기 고정금형의 후면을 포위하고,
상기 이동측 금형베이스는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이동측 백플레이트, 이동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이동금형의 후면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측 금형베이스의 구획벽은 상기 고정측 프레임에 연결벽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측 금형베이스의 구획벽은 상기 이동측 프레임에 연결벽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벽은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 각각은 가열 및 냉각 공간과 소통하는 스팀주입관, 냉각수 주입관,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 내에는 상기 냉각수 주입관과 소통하는 냉각수 분사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및 이동측 지지플레이트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제1 및 제2 가이드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 및 제1가이드홈은 폭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홈은 길이 보다 폭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의 각 내부를 구획리브를 통해 구획함으로써 고정금형 및 이동금형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구획리브에 의해 가열 및 냉각 공간이 컴팩트하게 구성됨에 따라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스팀 및 냉각수의 소비량을 줄이고, 이에 발포성형물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형장치는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을 포함하고, 고정금형(30)은 고정측 금형베이스(10)측에 설치되며, 이동금형(40)은 이동측 금형베이스(20)측에 설치되고, 이동측 금형베이스(20)은 고정측 금형베이스(10)에 대해 이동한다.
고정측 금형베이스(10)는 고정금형(30)의 주변에 설치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의 후방에 배치된 고정측 백플레이트(13),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1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측 프레임(14)을 가진다. 고정측 금형베이스(10)는 그 내부에 고정측 백플레이트(13),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 고정측 프레임(14)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고정측 금형베이스(10)의 내부공간 내에는 구획벽(51)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획벽(51)에 의해 공간은 가열 및 냉각 공간(15a), 이 가열 및 냉각 공간(15a)의 주변에 배치되는 주변 공간(15b, 15c, 15d, 15e)으로 구획된다. 가열 및 냉각 공간(15a)에는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고, 가열 및 냉각 공간(15a)은 고정금형(3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금형(30) 내의 발포성수지에 대한 가열 및 냉각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구획벽(51)은 고정금형(30)의 후방측을 포위하는 형태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의 후면과 고정측 백플레이트(1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가열 및 냉각 공간(15a)이 고정금형(3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고정금형(30) 및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는 구획벽(5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그 처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벽(51)은 고정측 프레임(14)의 내측면에 연결벽(51a)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구획벽(51)의 일측면은 고정금형(30) 또는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에 기밀하게 밀착되며, 구획벽(51)의 타측면은 고정측 백플레이트(13)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구획벽(51a)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밀봉부재(71)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구획벽(51) 내의 가열 및 냉각 공간(15a)은 그 주변공간(15b, 15c, 15d, 15e)에 대해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주변공간(15b, 15c, 15d, 15e)에는 가열 및 냉각 공간(15a)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단열재(16) 등이 내장될 수도 있다.
고정측 금형베이스(10)에는 스팀주입관(14a), 냉각수 주입관(14b), 배출 관(14c) 등이 가열 및 냉각 공간(15a)과 소통하도록 설치된다. 스팀주입관(14a)은 고정측 프레임(14) 및 구획벽(51)을 관통하여 가열 및 냉각 공간(15a)과 소통한다. 냉각수 주입관(14b)은 고정측 프레임(14) 및 구획벽(51)을 관통하고, 이 냉가수 주입관(14b)에는 냉각수 분사배관(14d)이 소통되게 연결되며, 냉각수 분사배관(14d)은 구획벽(5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냉각수 분사배관(14d)은 가열 및 냉각 공간(15a) 내에 위치하고, 냉각수 분사배관(14d)에는 복수의 분사노즐(미도시)이 구비되며,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가열 및 냉각 공간(15a) 내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출관(14c)은 구획벽(51) 및 고정측 프레임(14)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하도록 형성되고, 이 배출관(14c)은 가열 및 냉각 공간(15a) 내의 스팀 및 냉각수 등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측 백플레이트(13) 및 고정금형(10)에는 피더(미도시) 및 이젝터핀(미도시) 등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피더(미도시)는 발포성수지의 원료를 주입하고, 이젝터핀(미도시)은 성형된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취출시킨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0)는 이동금형(40)의 주변에 배치된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의 후면에 배치된 이동측 백플레이트(23),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23)의 가장자리가 각각 고정되는 이동측 프레임(24)을 가진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0)는 그 내부에 이동측 백플레이트(23),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 이동측 프레임(23)에 의해 내부공간(25)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공간(25)에는 구획벽(5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획벽(52)에 의해 이동측 프레임(23)의 내부공간(25)은 가열 및 냉 각 공간(25a), 이 가열 및 냉각 공간(25a)의 주변에 배치되는 주변 공간(25b, 25c, 25d, 25e)으로 구획된다. 가열 및 냉각 공간(25a)에는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고, 가열 및 냉각 공간(25a)은 이동금형(4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동금형(40) 내의 발포성수지에 대한 가열 및 냉각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구획벽(52)은 이동금형(40)의 후방측을 포위하는 형태로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의 후면과 이동측 백플레이트(2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가열 및 냉각 공간(25a)이 이동금형(4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동금형(40)은 구획벽(5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그 처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벽(52)은 이동측 프레임(24)의 내측면에 연결벽(52a)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구획벽(52)의 일측면은 이동금형(40) 또는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에 기밀하게 밀착되며, 구획벽(52)의 타측면은 이동측 백플레이트(23)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구획벽(52)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밀봉부재(72)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구획벽(52) 내의 가열 및 냉각 공간(25a)은 그 주변공간(25b, 25c, 25d, 25e)에 대해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주변공간(25b, 25c, 25d, 25e)에는 가열 및 냉각 공간(25a)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단열재(26) 등이 내장될 수도 있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0)에는 스팀 주입관(24a), 냉각수 주입관(24b), 배출관(24c) 등이 가열 및 냉각 공간(25a)과 소통하도록 설치된다. 스팀 주입관(24a)은 이동측 프레임(24) 및 구획벽(52)을 관통하여 가열 및 냉각 공간(25a)과 소통한다. 냉각수 주입관(24b)은 이동측 프레임(24) 및 구획벽(52)을 관통하고, 이 냉가수 주입관(24b)에는 냉각수 분사배관(24d)이 소통되게 연결되며, 냉각수 분사배관(24d)은 구획벽(52)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냉각수 분사배관(24d)은 가열 및 냉각 공간(25a) 내에 위치하고, 냉각수 분사배관(24d)에는 복수의 분사노즐(미도시)이 구비되며,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가열 및 냉각 공간(25a) 내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출관(24c)은 제2구획벽(52) 및 이동측 프레임(24)을 관통하여 가열 및 냉각 공간(25a) 내의 스팀 및 냉각수 등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61, 63)이 형성되고,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61, 63)에는 후술하는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62, 64)가 안내됨으로써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와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는 상호 정밀하게 맞춰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62, 64)가 형성되고,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62, 64)는 상술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61, 63) 내로 안내됨으로써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와 고정측 지지플레이트(11)는 상호 정밀하게 맞춰질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가이드돌기(62)는 그 폭(W1) 보다 길이(L1)가 길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가이드홈(61) 또한 그 폭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돌기(64)는 그 길이(L2) 보다 그 폭(W2)이 길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가이드홈(63) 또한 그 폭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제1가이드돌기(62) 및 제1가이드홈(61)는 폭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길이방향의 이동을 정밀하게 안내할 수 있고, 제2가이드돌기(64) 및 제2가이드홈(62)이 길이 보다 폭이 길게 형성됨으로써 폭방향의 이동을 정밀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측 지지플레이트(21)의 이동성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정밀하게 안내됨으로써 그 이동 정밀성을 대폭 향상시켜 고정금형(30)과 이동금형(40)의 정밀한 맞춤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금형장치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측 금형베이스(20)가 고정측 금형베이스(10)측으로 이동하면, 고정측 금형베이스(10)의 고정금형(30)과 이동측 금형베이스(20)의 이동금형(40)이 서로 인접하여 소정의 성형공간(50)이 형성된다. 이 성형공간(50)으로 구형의 비드수지(1차 발포된 고체형태)를 주입한다.
그런 다음,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의 스팀 주입관(14a, 24a)을 통해 가열 및 냉각 공간(15a, 25a) 내로 스팀을 주입하고, 이에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 사이의 성형공간(50) 내에 주입된 비드수지를 가열하여 체적팽창에 의해 발포성형물의 형상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가열 및 냉각 공간(15a, 25a)은 구획벽(51, 52)에 의해 구획되어 보다 컴패트하게 형성됨에 따라 스팀의 소비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어서,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의 냉각수 주입관(14b, 24b)을 통해 가열 및 냉각 공간(15, 25) 내로 냉각수를 주입하고, 냉각수는 냉각수 분사배관(14d, 24d)을 통해 가열 및 냉각 공간(15a, 25a) 내로 분사됨에 따라 성형공간(50) 내의 발포성형물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경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열 및 냉각 공간(15a, 25a)은 구획벽(51, 52)에 의해 구획되어 보다 컴패트하게 형성됨에 따라 냉각수의 소비량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에 의해 냉각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의 가열 및 냉각 공간(15a, 25a)이 구획벽(51, 52)에 의해 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형성됨에 따라 스팀의 소비량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에 의한 냉각시간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그 제조비용의 절감 및 제조공정의 단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획벽(51, 52)이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의 후면을 개별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의 처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가 서로 인접하는 각 지지플레이트(11, 21)의 가이드홈(61, 63) 및 가이드돌기(62, 64)에 의해 정밀한 맞춤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은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이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 구획벽(51, 52)이 격자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가열 및 냉각 공간(15a, 25a)이 복수개로 다양하게 구획된 구조를 예시한 도면으로, 이에 복수의 가열 및 냉각 공 간(15a, 25a)들은 복수의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의 후면을 개별적으로 포위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 내의 구획벽(51, 52)에는 보조 구획벽(53, 54)이 연결되고, 보조 구획벽(53, 54)은 구획벽(51, 52) 내에서 격자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 구획벽(53, 54)에 의해 가열 및 냉각 공간(15a)은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의 지지플레이트(11, 21) 각각에는 복수의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구획벽(53, 54)은 구획벽(51, 52)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결되어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10, 20)의 각 내부공간을 보다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고, 이에 복수의 고정금형(30) 및 이동금형(40)을 보다 다양하게 레이아웃할 수 있다.
그외에도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획벽(51, 52)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연장됨으로써 복수의 고정금형(10) 및 이동금형(20)을 보다 다양하게 레이아웃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금형장치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의 고정측 금형베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의 고정측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의 이동측 금형베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의 이동측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및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고정측 금형베이스와 이동측 금형베이스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측 및 이동측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고정측 금형베이스 15a: 가열 및 냉각 공간
20: 이동측 금형베이스 25a: 가열 및 냉각 공간
30: 고정금형 40: 이동금형
51, 52: 구획벽 61, 63: 제1 및 제2 가이드홈
62, 64: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

Claims (6)

  1. 하나 이상의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측 프레임을 가지는 고정측 금형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이동금형, 상기 이동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이동측 백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이동측 프레임을 가지는 이동측 금형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금형베이스는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고정측 백플레이트, 고정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고정금형의 후면을 포위하고,
    상기 이동측 금형베이스는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이동측 백플레이트, 이동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이동금형의 후면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금형베이스의 구획벽은 상기 고정측 프레임에 연결벽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측 금형베이스의 구획벽은 상기 이동측 프레임에 연결벽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및 이동측 금형베이스 각각은 가열 및 냉각 공간과 소통하는 스팀주입관, 냉각수 주입관,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 내에는 상기 냉각수 주입관과 소통하는 냉각수 분사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및 이동측 지지플레이트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제1 및 제2 가이드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 및 제1가이드홈은 폭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홈은 길이 보다 폭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20090119854A 2009-12-04 2009-12-04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16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54A KR101169678B1 (ko) 2009-12-04 2009-12-04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54A KR101169678B1 (ko) 2009-12-04 2009-12-04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957A true KR20110062957A (ko) 2011-06-10
KR101169678B1 KR101169678B1 (ko) 2012-08-06

Family

ID=4439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854A KR101169678B1 (ko) 2009-12-04 2009-12-04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6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961A1 (ko) * 2011-09-28 2013-04-04 (주)엠코리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434506B1 (ko) * 2013-02-21 2014-08-26 (주)엠코리아 발포체 성형장치의 코어 금형 프레임
KR101451326B1 (ko) * 2013-02-21 2014-10-15 (주)엠코리아 차단 칸막이를 갖는 발포체 성형장치의 코어 금형 구조
CN105751424A (zh) * 2016-05-19 2016-07-13 宁波方正汽车模具有限公司 全自动发泡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5520B (zh) * 2014-12-11 2016-07-06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汽车座椅头枕立式发泡模具
KR101905751B1 (ko) 2016-12-14 2018-10-11 김광식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101915147B1 (ko) 2016-12-14 2018-11-05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KR102212133B1 (ko) * 2018-11-13 2021-02-0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발포폼 성형용 광폭 공용 프레임 조립체의 스팀 유동성 향상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575B2 (ja) 1998-09-17 2004-03-22 笠原工業株式会社 発泡樹脂成形機の蒸気室構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961A1 (ko) * 2011-09-28 2013-04-04 (주)엠코리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434506B1 (ko) * 2013-02-21 2014-08-26 (주)엠코리아 발포체 성형장치의 코어 금형 프레임
KR101451326B1 (ko) * 2013-02-21 2014-10-15 (주)엠코리아 차단 칸막이를 갖는 발포체 성형장치의 코어 금형 구조
CN105751424A (zh) * 2016-05-19 2016-07-13 宁波方正汽车模具有限公司 全自动发泡模
CN105751424B (zh) * 2016-05-19 2019-01-29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全自动发泡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678B1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678B1 (ko)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JP6032007B2 (ja) 発泡構造材、樹脂製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171935B1 (ko)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JP4017558B2 (ja) 型内発泡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KR101915147B1 (ko)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KR100977132B1 (ko) 스티로폼 제품 생산용 금형의 마스터프레임
KR101196735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20110086437A (ko) 발포성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39875B1 (ko) 홀가공유닛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0945845B1 (ko)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JP5200828B2 (ja) 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発泡成形品
KR101171934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KR100912855B1 (ko) 발포금형
KR20190044799A (ko) 발포 성형용 금형 장치
KR101200361B1 (ko) 발포 성형 금형장치
KR101294743B1 (ko)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KR20150113598A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JP2004181630A (ja) 発泡体内装中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47075B1 (ko) 별도 냉각코어가 포함된 부분 미발포 및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
JP5202173B2 (ja) 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1044177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成形方法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成形用金型
JP5155053B2 (ja) 樹脂発泡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9163A (ko) 이종배율 발포 성형장치 및 방법
KR101301473B1 (ko) 발포 수지 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