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935B1 -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1935B1 KR101171935B1 KR1020120003402A KR20120003402A KR101171935B1 KR 101171935 B1 KR101171935 B1 KR 101171935B1 KR 1020120003402 A KR1020120003402 A KR 1020120003402A KR 20120003402 A KR20120003402 A KR 20120003402A KR 101171935 B1 KR101171935 B1 KR 101171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injection
- core
- support plate
- fixed 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3518 molded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6—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는, 캐비티금형, 상기 캐비티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측 프레임을 가지는 고정측 금형베이스; 및 코어금형, 상기 코어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이동측 백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이동측 프레임을 가지는 이동측 금형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 각각에는 복수의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분사부는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 측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분사용 홈부 및 각 분사용 홈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의 캐비티금형을 도시한 상면사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캐비티금형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의 코어금형을 도시한 상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코어금형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0: 캐비티금형 31, 32, 33, 34: 측벽
35: 바닥벽 36: 보강대
40: 코어금형 41: 코어용 돌출부
42: 코어영 홈부 60, 70: 분사부
62, 72: 마감벽 63, 73: 노즐공
65, 75: 분사용 홈부
Claims (9)
- 캐비티금형, 상기 캐비티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고정측 백플레이트, 상기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및 고정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측 프레임을 가지는 고정측 금형베이스; 및
코어금형, 상기 코어금형의 주변에 설치된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이동측 백플레이트, 상기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및 이동측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이동측 프레임을 가지는 이동측 금형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 각각에는 복수의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분사부는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 측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분사용 홈부 및 각 분사용 홈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공을 가지며,
상기 캐비티금형의 바닥벽의 가장자리 측에 인접하여 복수의 마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코어금형의 가장자리 측에는 복수의 관통공 형성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금형과 상기 캐비티금형이 닫히면 상기 코어금형의 관통공 형성돌기는 그 단부가 상기 캐비티금형의 마감부재 측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금형은 복수의 측벽 및 상기 바닥벽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측벽 및 상기 바닥벽은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들이 상호 조립되며,
상기 캐비티금형의 상기 복수의 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는 복수의 분사용 홈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각 분사용 홈부의 일측은 외측공간을 향해 개방되며, 각 분사용 홈부의 타측에는 캐비티금형의 성형공간에 인접하는 마감벽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공은 상기 마감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각 분사용 홈부의 일측에는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각 측벽 및 바닥벽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대가 끼워지고, 상기 보강대에는 측벽 및 바닥벽의 분사용 홈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의 끼움돌기들이 분사용 홈부들에 개별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금형의 상면에는 성형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코어용 돌출부 및 복수의 코어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용 돌출부 및 코어용 홈부에는 복수의 분사용 홈부가 형성되며, 각 분사용 홈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각 분사용 홈부의 일측은 외측공간을 향해 개방되며, 각 분사용 홈부의 타측에는 마감벽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공은 상기 마감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각 분사용 홈부의 외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공은 상기 분사용 홈부 내에서 사각형의 그룹 및 원형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을 이루면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공은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어금형은 복수의 셀단위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금형베이스는 고정측 지지플레이트, 고정측 백플레이트, 고정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캐비티금형의 후면을 포위하고,
상기 이동측 금형베이스는 이동측 지지플레이트, 이동측 백플레이트, 이동측 프레임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벽에 의해 스팀 및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및 냉각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가열 및 냉각 공간은 상기 코어금형의 후면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402A KR101171935B1 (ko) | 2012-01-11 | 2012-01-11 |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PCT/KR2012/000784 WO2013047961A1 (ko) | 2011-09-28 | 2012-02-01 |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402A KR101171935B1 (ko) | 2012-01-11 | 2012-01-11 |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1935B1 true KR101171935B1 (ko) | 2012-08-08 |
Family
ID=4688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4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1935B1 (ko) | 2011-09-28 | 2012-01-11 |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193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8336B1 (ko) * | 2013-12-12 | 2014-02-06 | 주식회사 제이 티 |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
KR101398397B1 (ko) | 2013-06-13 | 2014-05-27 | 주식회사 제이 티 | 냉각배관과 지지대가 일체로 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용 프레임 |
KR101400927B1 (ko) * | 2013-12-12 | 2014-05-29 | 주식회사 제이 티 | Eps/epp 포장재 성형장치용 그레이징 배관 장치 |
KR101883829B1 (ko) * | 2016-06-28 | 2018-08-01 | 유영수 |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
CN112172007A (zh) * | 2020-11-03 | 2021-01-05 |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多组包装箱盖生产的模具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0590A (ja) | 2003-01-28 | 2004-08-19 | Sekisui Plastics Co Ltd | 発泡樹脂成形型および成形品 |
-
2012
- 2012-01-11 KR KR1020120003402A patent/KR10117193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0590A (ja) | 2003-01-28 | 2004-08-19 | Sekisui Plastics Co Ltd | 発泡樹脂成形型および成形品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397B1 (ko) | 2013-06-13 | 2014-05-27 | 주식회사 제이 티 | 냉각배관과 지지대가 일체로 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용 프레임 |
KR101358336B1 (ko) * | 2013-12-12 | 2014-02-06 | 주식회사 제이 티 |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
KR101400927B1 (ko) * | 2013-12-12 | 2014-05-29 | 주식회사 제이 티 | Eps/epp 포장재 성형장치용 그레이징 배관 장치 |
KR101883829B1 (ko) * | 2016-06-28 | 2018-08-01 | 유영수 |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
CN112172007A (zh) * | 2020-11-03 | 2021-01-05 |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多组包装箱盖生产的模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9678B1 (ko) |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
KR101171935B1 (ko) |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
KR101520776B1 (ko) | 발포폼 성형 금형 | |
JP4995183B2 (ja) | 車両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15147B1 (ko) |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 |
KR101196735B1 (ko) | 조립식 캐비티금형 | |
JP2004345103A (ja) | 型内発泡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 |
KR100985432B1 (ko) | 조립식 물탱크용 단위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35900A (ko) |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 성형체 | |
KR101171934B1 (ko) | 조립식 캐비티금형 | |
KR101905751B1 (ko) |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 |
KR101139875B1 (ko) | 홀가공유닛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
JP6485052B2 (ja) | 樹脂製パネル | |
KR100945845B1 (ko) |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 |
KR100912855B1 (ko) | 발포금형 | |
KR101970100B1 (ko) | 발포 성형품 제조장치 | |
KR101979262B1 (ko) | 발포 성형용 금형 장치 | |
KR101294743B1 (ko) |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 |
JP2013154543A (ja) | 金型装置及び成形方法 | |
KR101866091B1 (ko) | 발포폼 성형 금형 | |
KR101736198B1 (ko) |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박스용 금형 및 박스 | |
KR101142301B1 (ko) | 인서트삽입형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 |
KR102171527B1 (ko) | 발포폼 성형 금형 | |
KR20150113598A (ko) |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 |
JP5827611B2 (ja) | 樹脂製ダクト、ダクト構成体および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12 |